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 건조환경 요소: 서울시 거주자들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구나은 한국주거학회 2022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3 No.6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 built environment and residents’ mental health can be divers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ontext where a study is conducted.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what neighborhood built environmental attributes can contribute to residents’ mental health, and the mechanisms of how they can have effects by applying a multi-method qualitative study in Seoul, Korea. For this study, we interviewed 30 adult residents (age 19~49) who have lived in the four areas of Seoul. Analyzing the interview data and photos taken by the participants, we can find diverse neighborhood built environmental attributes -infrastructure for children’s care and education, everyday facilities, nature contact, transportation, street environment, safety, aesthetic characteristics, maintenance, density - can contribute to the residents’ mental health and well-being both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this research area, which is still in its early stage in Korea, by presenting detailed lived-experience of the residents and providing a basic guideline for the future research. 근린 건조환경과 거주자의 정신건강과의 관계는 각 지역의 고유한 환경적 맥락에 따라 매우 다른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유한 도시 환경 맥락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는 다방법 질적 연구(a multi-method qualitative study)의 방식을 적용하여, 서울시 거주자들이 인식하는 근린 건조환경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러한 근린 건조환경이 거주자들의 정신건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행정구역 중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은 A,B 지역과 낮은 C,D 지역을 선정하여, 두 지역에서 19~49세의 성인 15인씩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사전인터뷰 후 일주일의 기간 동안 본인의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건조 환경 요소들을 직접 촬영하였으며, 사후인터뷰에서는 이러한 사진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환경-건강 경험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사진 유도식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다양한 영역에 걸친 건조환경 요소들 – 자녀 보육/교육 관련 인프라, 자연과의 접촉, 교통 문제, 도로의 형태와 안전성, 동네의 치안, 다양한 생활 인프라, 심미적 특성, 밀도, 지속적 관리와 운영 – 이 지역의 거주자들의 정신 건강에 긍정적,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다양한 건조환경 요소들은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 모두에서 거주자들의 건강한 삶을 지원하는 것으로 보여졌으며, 양적/질적으로 우수한 환경 인프라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거주자들의 정신 건강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관찰된다. 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성 역시 연구참여자의 삶의 질에 있어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연구되어져 왔고, 본 연구에서도 그러한 부분을 일부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사회경제적 맥락은 동네의 다양한 건조환경 요소들과 결합하여 삶의 질이나 정신 건강에 보다 증가된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지역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환경-건강 경험의 패턴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만들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군이나 도로의 형태, 심미적 특성과 혐오시설 등에서는 사회경제적수준이 낮은 지역이 조금 더 두드러진 부정적인 영향력이 관찰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현재까지 매우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는 근린 건조환경-정신건강 관계와 관련된 학술 연구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수행될 양적 연구들에 매우 유용한 연구의 틀 및 가설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나아가 양적 연구들은 본 연구를 통해 다져진 다양한 가설을 확인하여 일반화할 수 있는 근린환경-정신건강의 관계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실제의 도시 환경 계획에 반영할 수 있다.

      • KCI등재

        장소의 형성 요인과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관계성 연구-C. N. Schulz의 장소 형성 요인을 중심으로-

        전민주,김연정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1

        (Background and Purpose) A factitious environment that arose on the grounds of the mechanistic thought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era precipitated the problems that caused environmental havoc. The disregard towards nature led to the deterioration of both life and fundamental placeness. Ecological architecture emerged as a solution to this situation. This study analyzes cases of landscape architecture that contemplate the incorporation of the environmental element into ecological architecture, and makes several suggestions that could impede the loss of placeness.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formation of a place—which would eventually become the foundation of the place—and the environment itself. For the latter, the analytical process was based on the elements included in Norberg-Schulz’s theory of place form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cosmic, romantic, classical, and complex scenes and how these relate to the principle of necessity. (Method)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arguments of academics emphasizing nature-like environments, especially those of Norberg-Schulz, for analysis. According to Norberg-Schulz, the nature belonging to the place and the man-made place are mutually complementary factors, and that the properties of nature are deemed to be of great value in the building process. This means that the factors coming from the environmental context—including nature itself—may have an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at specific place. (Results) From our analysis of the cases, based on an analysis standard, we are in agreement with Schulz: the actual consideration and intervention of the environment itself during the building process, is what aids in adding balance between artificial and natural place. It also conveys the sense of comfort to its visitors, while influencing the area in question both historically and culturally, and thereby assisting in shaping the uniqueness of the place. Moreover, the place that is formed through this process prompts a bond to co-exist between the place and the people, while assisting in the development of the area at the same time. (Conclusions) This research emphasizes the necessity of landscape architecture that delivers the nature-like environmental factor into the future space design field. It proves how the environment is an essential factor in the formation of the placeness concept in artificially built places. It is also evidences that considering the nature-like environment factor adds more diversity to a specific region, which is necessary in the global era and thus adds competitiveness. Consequently, this study has been able to clearly conceptu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artificially created ones, and suggests predictions for the directionality of future design and design planning. That is, within that directionality, it made it evident that place formation derives from it. (연구배경 및 목적) 산업혁명 시기 기계론적 사고를 기반으로 등장했던 인위적인 건조 환경은 환경파괴와 자연에 대한 무관심 양산 같은 문제들을 야기하여 삶의 쾌적성 저하는 물론 환경을 통해 생성되던 지역 고유의 장소성을 상실시켰다. 이후 이를 해결하고자 생태건축이라는 패러다임이 대두되었는데, 본 연구는 생태건축 중 환경을 고려하는 랜드스케이프 건축 사례를 분석하여 장소성 상실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연구자는 C. N. Schulz의 장소 형성 요인 이론에 속한 우주적, 낭만적, 고전적, 복합적 경관을 기준으로 하여 사례들을 분석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장소성의 근간이 되는 장소의 형성과 환경의 관계성 및 그 필요성을 정리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장소 형성 요인에 대한 이론들 중 자연과 같은 환경을 강조했던 학자들의 견해를 집중하여 살펴보았고, 특히 C. N Schulz의 이론을 중심으로 분석기준을 마련했다. Schulz의 견해에 의하면 장소의 형성 요인에 해당하는 자연과 인공장소는 서로 상호 보완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건조 과정에 있어 자연과 같은 환경적 요인의 개입이 가치가 있다고 한다. 이는 자연을 포함한 환경적인 맥락에서 파생된 요인들이 장소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결과) 분석기준을 통해 각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본 연구자는 Schulz의 견해처럼 건조 과정에 있어 환경에 대한 고려와 개입이 인공 장소와 자연 장소의 균형을 맞추고, 이용자들에게 쾌적성을 제공하며 나아가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 영향을 미쳐 지역마다의 고유한 장소와 장소성을 형성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형성된 장소성은 궁극적으로 이용자들에게 장소에 대한 지속적인 애착심과 유대감 등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고, 장소가 소속된 지역의 활성화와 발전에도 도움을 준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결론) 본 연구는 향후 공간디자인에 있어 자연과 같은 환경적 맥락을 고려한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환경이라는 요인이 인위적으로 조성된 공간에 장소성을 부여하기 위한 필수 요인이라는 것을 보여 준다. 더불어 환경을 고려하여 형성된 장소성은 글로벌 시대 속에서 지역마다의 다양성을 부여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해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자연 환경과 인공 장소의 관계성을 명확하게 정립하는 것을 통해 앞으로의 디자인과 설계의 방향을 제언하고, 이러한 방향 속에서 고유한 장소성이 생성된다는 것을 밝힌 데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생활공간과 참여계기로서의 건조환경과 지역사회 건강증진

        유승현 한국보건사회학회 2017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44

        Community refers to people, the place where people live, and their operating system.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built environment(BE) for placed-andcommunity- focused approaches to health promotion. It also explored a potential of BE-focused health promotion to encourage community participation. Most of research on BE and health so far has been based in the U.S. and focused on obesogenic BE. Thus the current health promotion approach aims to create BE where active living is encouraged and healthy foods are available, accessible, and affordable. Korean studies shows a similar pattern except that there are more urban planning studies than public health studies at this point. Multi-sectoral collaboration with active community participation and the role and competence of community governance system such as the Health Cities are at the center of this approach. BE is the environment of everyday that is familiar and relevant to the community, BE-related issues can serve as a basis for community participation. Research should enhance research design and methods, inter- and transdisciplinary approaches, and advanced evaluation in the BE and health promotion. Multi-methods, mixed methods, and action research approaches are encouraged. BE perspectives should broaden to address topics beyond obesogenic characteristics. 지역사회는 사람, 그들이 생활하는 곳, 활동하는 체계이다. 이 연구는 그 중에서 장소로서의 지역사회, 특히 건강결정요인으로서의 건조환경과 건강의 관련성, 이에 대한 건강증진 연구와 전략, 과제를 고찰하고 건조환경에 대한 지역사회의 관심형성이 참여로 이어질 수 있는 잠재성을 논의했다. 지금까지 미국을 중심으로 신체활동, 식생활, 비만을 위주로 진행되어온 건조환경과 건강연구는 활동적인 삶을 장려하고 건강하고 신선한 식품을 적정가격에 구할 수 있는 건조환경 구축에 건강증진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국내연구도 유사한 경향이면서 도시계획 분야의 연구가 활발하고 보건학 연구는 시작단계로 보인다. 실행전략으로는 지역사회 조직과 전문기구, 공공기관이 협의체를 형성하여 각 지역사회의 상황에 맞는 방법과 내용 개발을 도모하는 다부문 연계·협력구조나 건강도시와 같은 도시 거버넌스 시스템의 역할이 주목된다. 건조환경은 일상생활여건으로서 사람들에게 익숙하고 밀접한 관심의 대상이 되므로, 이에 대한 정보와 계기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면 참여기반을 형성할 잠재성이 있다. 연구측면에서 양적과 질적의 다양한 연구방법의 개발과 활용, 참여실천연구의 시도, 다학제적 접근, 평가의 강화, 비만유발요인 외 다른 건강주제와 건조환경에 대한 연구, 건조환경에 연계한 사회문화환경에 대한 주목이 요구된다.

      • KCI등재

        선박건조보험약관상 조선소내 선박용 LNG 연료공급과 관련된 주요 쟁점에 대한 연구

        이창희,홍성화 한국해사법학회 2021 해사법연구 Vol.33 No.1

        국제항해에 종사하는 모든 선박은 황 함유량 0.5% m/m 이하의 선박연료유를 사용해야만 한다. 따라서 글로벌 해운기업들은 이러한 규제조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유황유의 사용, 혼합유의 사용, 탈황설비(scrubber)의 신규 설치, LNG 연료 전환 등과 같은 다양한 옵션을 해당 회사의 재무사정, 신조발주계획, 중장 기 항로배치, 글로벌 얼라이언스(alliance) 정책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조 발주를 선택하고 있다. 왜냐하면 선박용 LNG 연료는 기존의 고유황유를 대체 하면서 해양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궁극의 수단은 아니지만 현실 가능한 대체 수단으로 평가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외 조선·해운산업계는 친환경연료추진 선박, 예컨대 암모니아 또는 수소, 연료전지 등과 같이 탄소중립형선박을 건조하여 운항하는 것이 최종목표이지만, 제반 환경을 고려하였을 때 중간단계로서 반드시 LNG 연료추진선박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이 연구는 향후 상업적인 관점에서 조선소에서 대두될 LNG 연료추진선박에 대한 LNG 연료공 급과 관련된 선박건조보험상의 주요 쟁점들을 법적으로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향후 선박용 LNG 연료공급사업의 활성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였다. All ships engaged on international voyages must use fuel oil on board with a sulphur content of no more than 0.50% m/m. Therefore, global shipping companies have various options such as the use of low-sulfur fuel oil, the use of mixed oil, the installation of a new scrubber, and the conversion of LNG fuel in order to cope with these regulatory measures. The policy of Global alliance, etc. are comprehensively considered to select new orders. This is because LNG fuel for ships is not the ultimate means to protect the marine environment while replacing the existing high sulfur oil, but it is evaluated as a practical alternative method. Therefore, Maritime industry is the ultimate goal to build and operate eco-friendly fuel-promoting ships such as ammonia or hydrogen, fuel cells, etc., but LNG-fueled ships must be considered as an intermediate step when considering various environments. Therefore, this study legally reviewed major issues in Institute Clauses for Builders' Risks related to LNG fuel supply for LNG fuel propulsion vessels that will emerge from a commercial perspective in the future, and derived improvements to provide basic data for activating LNG fuel supply business for ships.

      • KCI등재

        The State of Marine Pollution in the Waters adjacent to Shipyards in Korea - 2. Assessment of the Pollution of Heavy Metals in Seawater around Major Shipyards in Summer 2010

        Kwang-Soo Kim 해양환경안전학회 2015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21 No.1

        국내 대형 조선소 주변해역의 중금속오염 현황을 밝히기 위하여 2010년 여름에 4개의 대형 조선소 주변 11개의 채수정점과 4개의 대조 정점에서 해수 시료를 채취하여 6종의 금속(Cu, Zn, Fe, Cd, Pb, Hg)을 분석하였다. 조선소별 주변해역 수중의 금속을 분석한 결과, (1) 구리(Cu)의 평균 농도는 0.817 ~ 1.638 ㎍/L로 해역환경기준(사람의 건강보호기준 20 ㎍/L, 해양생태계 보호 단기기준 3 ㎍/L)보다 낮았지만, 대조정점에 비하여 1.64 ~ 2.75배의 높은 값을 나타냈다. (2) 아연(Zn)의 평균 농도는 0.228 !~ 0.567 ㎍/L로 해역환경기준(사람의 건강보호기준 100 ㎍/L, 해양생태계 보호 단기기준 34 ㎍/L)보다 낮았지만, 대조정점에 비하여 1.62 ~ 5.91배의 높은 값을 나타냈다. (3) 철(Fe)의 평균 농도는 3.332 ~ 7.410 ㎍/L로 대조정점에 비하여 1.30 ~ 6.75배의 높은 값을 나타냈다. (4) 카드뮴(Cd)의 평균 농도는 0.013 ~ 0.028 ㎍/L로 해역환경기준(사람의 건강보호기준 10 ㎍/L, 해양생태계 보호 단기기준 19 ㎍/L)보다 낮았지만, 대조정점에 비해 1.18 ~ 2.33배의 높은 값을 나타냈다. (5) 납(Pb)의 평균 농도는 0.007 ~ 0.126 ㎍/L로 해역환경기준(사람의 건강보호기준 50 ㎍/L, 해양생태계 보호 단기기준 7.6 ㎍/L)보다 낮았다. (6) 수은(Hg)의 평균 농도는 0.002 ~ 0.004 ㎍/L로 해역환경기준(사람의 건강보호기준 0.5 ㎍/L, 해양생태계 보호 단기기준 1.8 ㎍/L)보다 낮았다. 비록 모든 중금속의 수중 농도가 해역환경기준보다 낮다고 할지라도, 선박 건조작업에 사용되는 구리, 아연, 철과 같은 중금속의 농도가 대조해역에 비해 조선소 주변해역에서 높다는 것은 조선소의 영향에 기인하는 것을 암시한다. 따라서 조선소로부터 각종 오염물질이 해양에 유입되지 않도록 통제하고 해양오염을 방지하는 국가적 차원의 해양환경관리가 필요하다. In order to elucidate the current state of marine pollution of heavy metals around major shipyards in Korea, sea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eleven sampling stations and four control stations around 4 major shipyards located in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in summer 2010, and 6 kinds of metals such as copper(Cu), zinc(Zn), iron(Fe), cadmium(Cd), lead(Pb) and mercury(Hg) in seawater samples were analyzed. The analyses of heavy metals in seawater showed that the mean Cu concentrations in seawater around 4 major shipyards were in the range of 0.817 ~ 1.638 ㎍/L which were lower than Korean environmental standards of 20 ㎍/L for the protection of human health(PHH) and of 3 ㎍/L for short-term protection of marine ecosystem(SPME) but higher than Cu concentration at control station by a factor of up to 2.75. The mean Zn concentrations were in the range of 0.22 ~ 8 0.567 ㎍/L which were lower than Korean environmental standards of 100 ㎍/L for PHH and 34 ㎍/L for SPME but higher than Zn concentration at control station by a factor of up to 5.91. The mean Fe concentrations were in the range of 3.332 ~ 7.410 ㎍/L which were higher than Fe concentration at control station by a factor of up to 6.75. The mean Cd concentrations were in the range of 0.013 ~ 0.028 ㎍/L which were lower than Korean environmental standards of 10 ㎍/L for PHH and 19 ㎍/L for SPME but higher than Cd concentration at control station by a factor of up to 2.33. The mean Pb concentrations were in the range of 0.007 ~ 0.126 ㎍/L which were lower than Korean environmental standards of 50 ㎍/L for PHH and 7.6 ㎍/L for SPME. The mean Hg concentrations were in the range of 0.002 ~ 0.004 ㎍/L which were lower than Korean environmental standards of 0.5 ㎍/L for PHH and 1.8 ㎍/L for SPME. Although the concentrations of metals such as Cu, Zn and Fe which were used in shipbuilding works were lower than Korean environmental standards for PHH and SPME, the fact that the concentrations of Cu, Zn and Fe at sampling stations around major shipyards were higher than those at control stations implies that the works in shipyards had some effects on marine water quality around shipyards. Therefore,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such as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the discharge of various pollutants from shipyards is required on national level.

      • KCI등재

        국내 조선소 주변해역의 해양오염 현황 - 2. 2010년 하계 대형조선소 주변 해수의 중금속오염 평가

        김광수,Kim, Kwang-Soo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 2015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1 No.1

        국내 대형 조선소 주변해역의 중금속오염 현황을 밝히기 위하여 2010년 여름에 4개의 대형 조선소 주변 11개의 채수정점과 4개의 대조정점에서 해수 시료를 채취하여 6종의 금속(Cu, Zn, Fe, Cd, Pb, Hg)을 분석하였다. 조선소별 주변해역 수중의 금속을 분석한 결과, (1) 구리(Cu)의 평균 농도는 $0.817{\sim}1.638{\mu}g/L$로 해역환경기준(사람의 건강보호기준 $20{\mu}g/L$, 해양생태계 보호 단기기준 $3{\mu}g/L$)보다 낮았지만, 대조정점에 비하여 1.64~2.75배의 높은 값을 나타냈다. (2) 아연(Zn)의 평균 농도는 $ 0.228{\sim}0.567{\mu}g/L$로 해역환경기준(사람의 건강보호기준 $100{\mu}g/L$, 해양생태계 보호 단기기준 $34{\mu}g/L$)보다 낮았지만, 대조정점에 비하여 1.62~5.91배의 높은 값을 나타냈다. (3) 철(Fe)의 평균 농도는 $3.332{\sim}7.410{\mu}g/L$로 대조정점에 비하여 1.30~6.75배의 높은 값을 나타냈다. (4) 카드뮴(Cd)의 평균 농도는 $0.013{\sim}0.028{\mu}g/L$로 해역환경기준(사람의 건강보호기준 $10{\mu}g/L$, 해양생태계 보호단기기준 $19{\mu}g/L$)보다 낮았지만, 대조정점에 비해 1.18~2.33배의 높은 값을 나타냈다. (5) 납(Pb)의 평균 농도는 $0.007{\sim}0.126{\mu}g/L$로 해역환경기준(사람의 건강보호기준 $50{\mu}g/L$, 해양생태계 보호 단기기준 $7.6{\mu}g/L$)보다 낮았다. (6) 수은(Hg)의 평균 농도는 $0.002{\sim}0.004{\mu}g/L$로 해역환경기준(사람의 건강보호기준 $0.5{\mu}g/L$, 해양생태계 보호 단기기준 $1.8{\mu}g/L$)보다 낮았다. 비록 모든 중금속의 수중 농도가 해역환경기준보다 낮다고 할지라도, 선박 건조작업에 사용되는 구리, 아연, 철과 같은 중금속의 농도가 대조해역에 비해 조선소 주변해역에서 높다는 것은 조선소의 영향에 기인하는 것을 암시한다. 따라서 조선소로부터 각종 오염물질이 해양에 유입되지 않도록 통제하고 해양오염을 방지하는 국가적 차원의 해양환경관리가 필요하다. In order to elucidate the current state of marine pollution of heavy metals around major shipyards in Korea, sea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eleven sampling stations and four control stations around 4 major shipyards located in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in summer 2010, and 6 kinds of metals such as copper(Cu), zinc(Zn), iron(Fe), cadmium(Cd), lead(Pb) and mercury(Hg) in seawater samples were analyzed. The analyses of heavy metals in seawater showed that the mean Cu concentrations in seawater around 4 major shipyards were in the range of $0.817{\sim}1.638{\mu}g/L$ which were lower than Korean environmental standards of $20{\mu}g/L$ for the protection of human health(PHH) and of $3{\mu}g/L$ for short-term protection of marine ecosystem(SPME) but higher than Cu concentration at control station by a factor of up to 2.75. The mean Zn concentrations were in the range of $0.228{\sim}0.567{\mu}g/L$ which were lower than Korean environmental standards of $100{\mu}g/L$ for PHH and $34{\mu}g/L$ for SPME but higher than Zn concentration at control station by a factor of up to 5.91. The mean Fe concentrations were in the range of $3.332{\sim}7.410{\mu}g/L$ which were higher than Fe concentration at control station by a factor of up to 6.75. The mean Cd concentrations were in the range of $0.013{\sim}0.028{\mu}g/L$ which were lower than Korean environmental standards of $10{\mu}g/L$ for PHH and $19{\mu}g/L$ for SPME but higher than Cd concentration at control station by a factor of up to 2.33. The mean Pb concentrations were in the range of $0.007{\sim}0.126{\mu}g/L$ which were lower than Korean environmental standards of $50{\mu}g/L$ for PHH and $7.6{\mu}g/L$ for SPME. The mean Hg concentrations were in the range of $0.002{\sim}0.004{\mu}g/L$ which were lower than Korean environmental standards of $0.5{\mu}g/L$ for PHH and $1.8{\mu}g/L$ for SPME. Although the concentrations of metals such as Cu, Zn and Fe which were used in shipbuilding works were lower than Korean environmental standards for PHH and SPME, the fact that the concentrations of Cu, Zn and Fe at sampling stations around major shipyards were higher than those at control stations implies that the works in shipyards had some effects on marine water quality around shipyards. Therefore,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such as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the discharge of various pollutants from shipyards is required on national level.

      • KCI등재

        도시 건조 환경이 노인 통행에 미치는 영향: 수도권을 사례로

        김규식,권규상 한국도시지리학회 2020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3 No.2

        Korea, becoming an aged society, faces various social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elderly. Scholars in geography and urban planning have emphasized the mobility of the elderly as means to overcome their social isolation and have argued that dense urban built environments that transit-oriented development pursues are more likely to improve their mobility. Based on this rationale, this study aims to examine determinants of the built environments on travel probability and distance of the elderl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ere the public transit system is well developed and land use is mixed. Using the 2010 Household Travel Survey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refore, we analyzed determinants of travel probability and distance via the Heckman two-step sample selection model. As a result, while a dense urban built environment raises travel probability and reduces travel distance of the entire group, the effects of the built environment tend to offset the travel probability and distance of the elderly. From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improving a safe pedestrian environment and convenient public transit system in order for the elderly to travel actively and promote travel using public transit. 급격한 고령화를 겪고 있는 한국은 노인과 관련된 다양한 사회 문제들을 경험하고 있다. 지리학과 도시계획학 분야에서는 노인의 사회적 고립을 극복하기 위한 노인의 이동성 확보를 강조해왔고, 대중교통 지향 개발이 추구하는 고밀의 도시 건조 환경이 노인의 이동성을 촉진할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 이러한 주장을 토대로 이 연구는대중교통체계가 잘 발달되어 있고 토지이용이 고밀도로 이뤄진 수도권에서 도시 건조 환경이 노인의 통행확률과거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10년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를 이용하여 Heckman 2단계 표본 선택 모형을 통해 통행확률과 통행거리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고밀의 도시 건조 환경은 전체 집단의 통행 확률을 증가시키고 통행거리를 단축시키는 효과를 보이나 노인의 통행에는 도시 건조 환경의 영향이 상쇄되는 경향을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노인의 활발한 통행과 대중교통 이용 촉진을 위해 보행환경 개선과 대중교통 이용환경 및 편의성 증진을 제안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시멘트계 혼합토의 환경안정성 및 내구성 평가

        오세욱,배우석,김홍석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22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23 No.9

        시멘트를 활용한 도로 기층은 경제적이며, 수정 및 보완이 용이하여 도로 포장 품질 관리가 우수하다. 또한, 시멘트는 점착력이 없는 사질토에 점착력을 부여하고 점성토에서는 점착력을 영구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하여, 강도 증가 및 압축률 감소 등의 내구성 향상의 장점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시멘트는 강도면에서 우수하나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하면 유지보수가 어렵고, 시멘트에서 용출되는 6가 크롬으로 인해 지반의 pH가 상승하여 지하수 오염과 같은 환경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발생하는 현장토와 시멘트계 고화재를 활용하여 환경성과 내구성을 고려한 도로 기층 대제재의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도로 기층의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환경안정성실험 및 시멘트계 고화재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동결융해실험 및 습윤건조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범위는 시멘트계 고화재 10%, 20%, 30%의 배합비와 재령 기간 7일, 28일로 적용하여 시멘트계 고화재 혼합비율에 따른 조기 강도 및 기준 강도를 평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