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외국어로서의 중국어교육에 대한 현황과 전망

        김종미(Kim Jongmi) 한국열린교육학회 2008 열린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중국에서 이루어진 외국어로서의 중국어교육의 발전과정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중국어 교육의 시금석을 삼고자 하는 목적으로 씌어졌다. 중국에서 중국어 교육은 중문과에 속하는 전통적인 중국어 교육 계열과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 계열의 두 갈래로 양분된다. 중국에서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은 대외한어교육, 제2언어로서의 중국어 교육 혹은 국제 중국이 교육이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은 1950년대 형성되어 1980년대 이후 크게 발전하였는데 이 시기의 특징은 하나의 새로운 학문 분과로 정착했다는 점과, ‘국가 대외한어교학 영도소조 판공실’이 결성되어 국가적 차원의 지원과 지도를 받았다는 점이다. 현재 중국 110여개 중점대학에 대외한어전공이 개설되어 있는데, 가장 영향력 있는 교육기관은 북경대학과 북경언문화대학이다. 양교 모두 석ㆍ박사 과정이 있고 각각 HSK, BCT 국가고사를 개발하여 명성이 높다. 양교 석사학위 교과과정 및 2007년 새롭게 확정한 “국제중국어교사표준”의 분석을 통해 외국어로서의 중국어교육 교사가 되기 위해서 “제2언어 습득론”과 “문화 상호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와 적용을 중시하며, 중국의 외국어로서의 중국어교육은 영어 TESOL의 방향을 따라 발전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중국어 교육도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에 대한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최근 이화여대에서 개발한 “EPTeCSOL(Ewha-Peking Teaching Chinese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과정이 효과적인 중국어 교육의 한 모델이 될 것임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how China established Chines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nd how this education system was developing. Through this analysis,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Korea can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this education system and can use it as basis. In China, teach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is also called as Educating Chineseasa Second Language or The International Chinese Education for Foreigners.<BR>  As the foreign language program, this program initiated in 1950’s and after 1980’s it began to accelerate its develop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period was that this foreign language began to settle down as its own separate educational program and it was also considered as ‘The Office of Chinese Language Council International’ and therefore, began to receive financial assistances from the government.<BR>  Currently, about 110 universities around China have created this program ‘Teaching Chinese to Foreigners’. Among these universities, the most influential universities are Beijing University and Beijing Language and Culture University. Both Universities have bachelor and master programs and also they are wellknown for creating National Chinese Tests such as HSK and BCT.<BR>  These universities’ master programs and newly structured 2007’s “Standards for Teachers of Chinese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emphasizes how important it is for teachers who instruct Chinese to foreigners to understand and apply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Inter Cultural Communication”. As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Chinese education is improving as it follows the footstep of English TESOL.<BR>  This trend implied that it is important for Chinese education in Korea to follow this new education system. Recently, Ewha University established EPTeCSOL(Ewha-Peking Teaching Chinese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which visions the effective and standard teaching Chinese program in Korea in near future.

      • KCI등재

        중,고,대학의 초급 중국어 교육에 관한 고찰 -제2외국어로서 중국어 교육의 한계-

        신의연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학연구 Vol.44 No.2

        중국어는 앞으로는 중국과의 관계에 있어서 중국어전공자 뿐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인재들의 중국어 구사능력이 요구됨으로 이에 따른 중국어 교육의 변화가 요구된다. 하지만 학교 교육 안에서 중국어 교육은 아직 제2외국어라는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처음 중국어에 흥미를 갖고 시작하던 중학생들도 고등학생이 되면 학습이 어렵다는 이유로. 수능반응비율이 낮다는 이유로 중국어 선택을 주저하거나 실질적인 중국어 학습을 미루고 있다. 사회진출전의 마지막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에서도 심도 있는 교양 중국어 수업이 실시되기가 어렵다. 대부분 중고등학교 때 중국어 선수학습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높은 학점 취득을 목적으로 또 다시 초급 수준의 중국어를 수강하고 있다. 하지만 더욱 큰 문제는 중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대학교의 교양 중국어에 이르는 중국어 학습내용이 비슷하며, 이들 사이에는 연계 학습이 이루 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학습자의 중국어에 대학 흥미감소로 이어지고, 정작 중국어 학습이 필요한 비전공자들은 형식적인 대학에서의 교양 수업보다는 학원이나 해외연수를 선택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의 교육현실에서도 중고등학교와 대학사이의 초급 중국어 교육이 철저히 계획되어 학습량을 분산시키고 이를 연계한다면, 비전공자들의 중국어 교육도 충분히 제고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여기에 학생들의 분별력 있는 노력과 이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대학 측, 교수진들 그리고 교육정책차원의 적극 협력과 지원이 필요함은 물론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중국어 구사자들의 사회적 수요와 국제사회의 대 중국 현안에 대한 중요성을 공감함으로, 중국어가 기존의 제2외국어의 틀을 벗어나 중고등학교와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필수과목으로의 전환여부가 적극 검토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현대중국어 ‘ 被 ’자문의 교육과 교재 구성안

        최유미(Choi, You mi)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 Vol.33 No.1

        중국인이 피동문을 구사하는 것은 불규칙적이고 습관에 따른 경우가 다수이다. 입문자를 제외한 한국인의 중국어 학습자라면 중국어의 피동문 그중에서도 ‘被’자문에 대해 한번쯤은 공부해 보았을 법하지만 사실상 제대로 발화하기란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다. 이로 인해 언어의 활용단계에서 많은 오류 문장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이러한 까닭에 피동문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또 중요한 연구 분야이기도 하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에게 현대중국어 ‘被’자문을 교육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정하고, 이에 관한 방안을 바탕으로 교재 구성안을 제안하였다. ‘被’자문 교육에 있어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첫 번째는 ‘被’자문이 가지는 불쾌한 의미적 성격이 현대중국어 ‘被’자문 교육에 적합한지에 관한 문제이다.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被’자문의 의미적 성격에 대해 실제 예문을 가지고 빈도수를 분석하였다. 이는 말뭉치를 기반으로 한 분석 연구 방법론을 적용함으로써 현대중국어의 ‘被’자문이 가지는 의미적 색채의 방향성 이 결코 한 방향이 아니었음을 밝혀 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두 번째는 교재에서 이루어지는 ‘被’자문 교육의 소극적 노출에 관한 문제점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른 구문과 연계하는 작문연습과 같은 적극적인 ‘被’자문의 삽입 방안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被’자문의 교재 구성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예시를 보여주었다. 세 번째는 ‘被’ 자문과 한국어 피동문과의 일대일 대응에 관한 문제이다. 분석 결과 ‘被’자문과 한국어 피동문의 일대일 대응은 다수의 문장에서 가능했다. 그런데도 한국어 모어 화자로서 모국어의 방해를 받지 않고 중국어의 ‘被’자문을 유창하게 사용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被’자문의 적절한 사용법을 두 가지로 제시한다. 첫째, 의미상 피동문의 개념설명 및 표현방법이 충분히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앞 뒤 상황에 따라 한국어에서 자주 쓰이지 않는 피행위자도 주어가 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마지막으로 본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被’자문 교재의 구성안을 제시한다. 이 에 문법 교수와 의사소통 교수에 동시 적합한 ‘도입(Warm up) → 제시(Presentation) → 연습(Practice) → 사용(Use) → 마무리(Follow up)의 5단계 언어수업 구성을 도입하여 ‘被’자문 교재구성안을 설계하였다. 도입단계에서는 시청각 자료를 통해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하고, 다음 단계로 가기 위한 발판을 마련한다. 제시단계에서는 ‘被’자문의 의미와 구조 형태를 연습하기 위한 자료를 만들었다. 연습단계에서는 그림 자료와 반복 문형 연습을 통해 습관화시키는 작업을 시행하였고 사용단계에서는 조별로 회화연습과 토의하는 시간을 마련한다. 마무리 단계에서는 과제를 제안하고 스스로 복습하여 교수와의 피드백을 시행하도록 한다. 현대중국어의 피동문연구는 기존연구가 다량이며, 현대중국어의 피동문으로 대표되는 ‘被’자문연구도 다수 이루어졌지만 상대적으로 ‘被’자문 교육을 위한 연구는 적다. 그런 점에 있어서 본고는 ‘被’자문 교육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제시하고, 한국어 모어 화자 학습자의 시각에서 교육의 초점을 두었다는 점은 앞으로 유용한 자료로 참고 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한국어 모어 화자의 중국어 ‘被’자문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한국인 학습자의 적성에 맞추어 쉽고 빠르게 배울 수 있도록 하는 더 많은 교육법 연구가 필요하다. 현대중국어의 피동문 교육은 반드시 체계를 가지고 접근하여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구문이라는 친근한 인식을 심어주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더불어 학습 대상자의 모국어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분석이 이루어져야 실효성 있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The use of passive sentence by Chinese people has no rules and habits. Except for beginners, Chinese learners are asked about the passive sentence especially The ‘被(bei)’ Construction. But in fact, it must have been difficult to speak correctly. This results in many error sentences during the use of language. This is why the passive sentence is active and an important area of study. In this paper, I set the problems that Korean people face when they study Chinese passive sentence. To educate this a number of constructions have been proposed. In order to effectively educate learners on the advice of The ‘被(bei)’ Construction in Chinese, we will set up some education objectives through analysis and present a systematic plan for textbook construction.

      • KCI등재

        중국어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성인학습자 인식 연구— 경기 A 지역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

        최현미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023 중국어교육과연구 Vol.- No.41

        본고는 중국어 교육계가 직면하고 있는 학습자 감소의 문제의 해결 방안을 마련하고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며 교육계의 주요 학습자로 대두되고 있는 성인학습자를 중국어 평생교육으로 유인하고자 경기도 A 지역의 성인학습자 399명을 대상으로 희망하는 중국어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비용, 시간 등의 개괄적 욕구와 중국어 평생교육 수업 선택 방해 요인, 대상자의 특성별로 도출된 중국어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심층적 니즈 등을 욕구 조사의 주요 조사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설문조사(Survey) 방법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사회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탐색해 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결과로서 첫째,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학습 동기로 ‘미래 준비’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또한 향후 듣고 싶은 프로그램에서도 ‘취·창업’과 같은 ‘미래 준비’와 연관된 프로그램에 더 높은 선호도를 보인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둘째, ‘미래 준비’가 가장 높은 평생교육 학습 동기임에도 불구하고 조사 대상자들의 ‘취업 중국어’분야에 대한 선호도는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심층 분석을 통해 도출된 성별, 연령별로 타겟화된 수업 개설과 홍보 전략을 시행하는 방법을 고려하고 실전 취업을 목표로 하는 ‘면세점+의료코디네이터 중국어 수업’ 등의 패키지 수업 운영이나 수강자 혜택 등의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학습자 발굴의 전략 수립과 실행 등의 방법을 제안해 보았다. 셋째, 성인학습자층의 실제적인 욕구를 반영하여 평생교육 중국어 수업의 학습 내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중국어 평생교육 수업 신청을 방해하는 요인 중 주요하게 제시된 ‘중국어 수업의 필요성 부족’, ‘시간 부족’ 그리고 ‘강사진의 신뢰 부족’이라는 세 가지 요인의 해결 방안은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written to provide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declining learners facing the Chinese language education world and to attract adult learners who are emerging as major learners in education as learners of new Chinese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we would like to first conduct a consumer-centered survey of adult learners' needs for lifelong Chinese education programs, and analyze the results of this in various ways.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399 adult learners in area A of Gyeonggi-do. The general needs of the type, cost, and time of the desired Chinese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e factors that hinder the selection of Chinese lifelong education classes, and the in-depth needs of Chines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deriv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survey method and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ocial statistics program were used as the main research methods. Finall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 would like to discuss the direction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lifelong Chinese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중·고등학교 중국어 교육 위상 제고 방안

        손민정 ( Shon Minjung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6 中國文學 Vol.89 No.-

        본고에서는 중국어 교육의 위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외국어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펴본 결과, 영어의 독점적 지위와 대비되어 중국어의 낮은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외국어 교과가 영어와 제2외국어로 분리되어, 영어는 초등학교부터 필수로 편제되어 있으면서 중점적으로 운영되고, 중국어를 비롯한 제2외국어는 중학교, 고등학교 모두 선택과목으로 편제되어 있으며 수업 시수도 적다. 한국 사회에서 영어 교육의 열풍은 영어의 국제 공용어로서의 기능에 기인하였다기보다는 영어가 주요한 학력 평가 도구의 역할을 함에 따라 경쟁 사회에서 더 나은 기회를 얻기 위함인 것으로 보인다. 영어와 비교할 때 중국어의 위상은 보잘 것 없지만, 언어총생산이나 중국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향후 세계 주요 언어일 뿐만 아니라 현행 제2외국어과에서도 가장 부상하고 있는 언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어교육학이 정립되지 못하여 중국어교육에 관한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어교육학이 왜 필요하고 중국어교육학의 범위는 어떻게 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중국어 교육의 위상이 중·고등학교에서 높아지기 위해서는 우선 중국어교육학이 정립되고 활성화되어야 한다. 그리고 교육과정 총론에서 제2외국어를 외국어 교과에 다시 포함시키고 영어와 편성상의 차이를 두지 말고, 생활외국어를 필수과목으로 지정해야 한다. 또한 외국어 종류만 다양화하기보다는 주요언어를 실제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외국어 교육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중국어교육 개선방안 고찰― 다중언어교육 연구학교 성과 분석을 중심으로

        정윤철(Jung, Yun-chul),김민영(Kim, Min-Young) 대한중국학회 2018 중국학 Vol.65 No.-

        1. 서론 2. 다중언어교육(중국어) 연구학교의 운영현황 및 성과분석 1) 운영현황 2) 성과분석 3. 다중언어교육(중국어) 연구학교의 개선방안 1) 어린이중국어 교육과정 개발 2) 어린이중국어 강사 인력풀 구축 4. 결론 본고는 부산에서 시행된 다중언어교육(중국어) 연구학교 중 초등학교 세 곳의 운영현황 및 성과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서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개 연구학교의 성과분석을 통해 초등학교 중국어교육의 발전을 위한 선결과제로 ‘초등학교 중국어 교육과정 개발’과 ‘중국어강사 인력풀 구축’ 두 가지로 압축하였 다. 그러나 위에서 제시된 문제는 초등학교에서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며, ‘어린이 중국어교육’을 하나의 특수한 영역으로 보고 관련 전문가들과 기관의 협력을 통해 해결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필자는 중국어교육을 위한 인프라가 갖춰진 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대학을 중심으로 초등학교와 타 유관기관이 삼자협력관계가 되어 교육공동체를 구축하는 것 이 필요하다고 보며, 교육과정 개발, 학습콘텐츠 개발, 강사 양성 등 전문성 있는 작업을 함께 추진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중국어 사전 사용 교육에 대한 연구 - 초급 중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이미향,엄세환 한국중국언어학회 2022 중국언어연구 Vol.- No.103

        사전 사용에 대해 교육을 받지 못한 학습자는 사전 사용법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한 경우가 많으며, 온라인 번역기가 보편화됨에 따라 제2언어 학습에서 사전 사용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러나 여러 연구자가 학습자의 사전 사용 능력은 사전 사용의 경험 증가와 언어 능력 향상에 따라 저절로 습득되는 것이 아니며, 교육과 훈련을 통해 길러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따라서 본고는 중국어 사전 사용 교육이 왜 필요한지, 교육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바는 무엇인지 그 필요성과 목적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중국어 사전 사용 교육의 내용을 ‘사전 유형의 이해와 사전 선택, 사전 검색법의 이해, 사전 구조의 이해와 정보 파악, 사전 표제항의 정보 해석, 사전을 활용한 학습법의 이해, 사전학 이론 및 사전 편찬 과정의 이해’ 6단계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중국어 사전 사용 교육의 4가지 원칙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급 중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중국어 사전 사용 교육을 설계하여 실제 국내 대학의 중국어 수업에서 사전 사용 교육을 실시하고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많은 학습자가 중국어 사전 사용법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받지 못하였으며, 사전 사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학습자가 사전 사용 교육이 유익했으며, 특히 몰랐던 사전의 기능과 여러 가지 검색 방법을 구체적으로 알게 되어 유익하다고 응답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수의 학습자가 중국어 사전 사용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어 교육에서 사전 사용 교육의 필요성을 일깨우고 사전 사용 교육의 체계를 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NCS기반 전문대학 교양 중국어 교육과정 개발 모색 -동아방송예술대학교를 중심으로

        진준화 한국중국문화학회 2016 中國學論叢 Vol.0 No.5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specialized Chinese language education for professional jobs can be effectively achieved by designing and operating foreign language education, especially Chinese language education, as a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G2 and NCS era. The university has focused on discussions. In other words, as a liberal arts education that conforms to the nature of the job required in the industrial field beyond the general and basic level of general Chinese, which is currently conducted in most universities, the Chinese language education is called 'Chinese language education as basic foreign language ability' The two-track style of Chinese-based job-centered Chinese education, On the one h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general and basic Chinese education necessary for general industrial field job and daily life as part of the basic Chinese ability among communication skills of NCS ' On the other hand, we consider the requirements of each academic field, job suitability and the NCS system in a comprehensive manner, Based on the 'Job-Oriented Learning Curriculu Standards', Chinese curriculum and education contents deeply correlated with industrial field jobs in each academic field are derived, and specialized Chinese training is provided for industrial field jobs linked to each academic field I think it should. 본고는 G2시대 및 NCS시대에 전문대학의 외국어 교육, 특히 중국어 교육을 교양 교육으로서 어떻게 설계하고 운영해야만 효과적으로 산업현장 직무에 맞는 특화된 중국어 교육이 실현될 것인가에 대해 방송예술분야로 특성화된 동아방송예술대학교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즉, 현재의 대부분의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일반적이고도 기초적인 교양 중국어의 한계를 넘어서 산업현장에서 요구되는 직무의 성격에 부합되는 교양 교육으로서 중국어 교육을 ‘기초외국어능력으로서 중국어교육’과 ‘NCS를 기반으로 한 산업현장 직무 중심의 중국어 교육’의 ‘Two-track’식 이원화된 교육이 절실한 시점이다. 즉, 한편으로는 기존의 교양 선택 형식의 중국어 교육과 마찬가지로 일반 산업현장 직무와 일상생활에 필요한 일반적이고도 기초적인 중국어 교육을 NCS의 직업기초능력의 의사소통능력 중 기초중국어능력의 일환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각 학문분야별 요구와 직무 적합성 및 NCS체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본고에서 제시한 ‘NCS기반 산업현장 직무 중심형 교양 중국어 교육과정 설계의 기본 원칙’ 및 ‘NCS기반 산업현장 직무 중심형 교양 중국어 교육과정 편성 기준’을 기반으로 각 학문분야의 산업현장 직무와 상관성이 깊은 내용의 중국어 교육과정 및 교육내용을 도출하여 각 학문분야와 연계된 산업현장 직무에 특화된 중국어 교육을 제공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대학 중국어 교육에 있어서의 어휘교육

        이연주(Lee, Yeon-Joo)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9

        본 논문에서는 중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대학에서의 중국어교육에 있어 어휘교육 방안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이들에 대한 중국어교육 목표 설정에서 출발해 이와 연계한 단계별 어휘교육의 목표와 중점사항에 대해 논했으며, 이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특별히 신경 써 교육할 필요가 있는 주요 항목들을 살펴보고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문제와 한자어 교육문제 등 중국어 어휘교육에 있어서의 몇몇 이슈에 대해 논했다. This paper discussed the issue of vocabulary education in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universities for Chinese language majors. In doing this, we started from setting goals for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in connection with this goal, discussed the goal and priorities for the phased vocabulary education. Then we discussed the items that needs to be educated with special emphasis in Chinese language vocublary education. We finally discussed some issues in Chinese language vocabulary education, includ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 KCI등재

        초등학교 중국어교육 개선방안 고찰 ― 다중언어교육 연구학교 성과 분석을 중심으로

        정윤철,김민영 대한중국학회 2018 중국학 Vol.64 No.-

        This paper analyzed the status and performance of the three elementary schools among the multilingual education (Chinese) schools conducted in Busan. This paper is aim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problem which the Chinese language education face to in nowadays. First, The Stud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among the problem of the Chinses Education circumstance in elementary schools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Chinese Education Curriculum and lack of the labor pool in Chines Education flied. But, the problem presented above can’t be solved in elementary school itself. So, we should consider 'Children's Chinese education' as a special area and resolve the problem through cooperation of related institutions and expert. I sugge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ain Institution which is capable of research for professional children's Chinese education to resolve the problem, and it should be a ‘Chinese Education of University’. I think the university, as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equipped with infrastructure and facilities for Chinese language education, and it is very suitable to teach the Chinese language for them. Also, the university should be located in the center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and cooperate with other education institutions such as elementary school to build substantial education communities and facilitate the professional education research. And I hope to be able to study the contents of education, teaching method and evalu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lementary school Chinese education by participating in Children's Chinese expert. 본고는 부산에서 시행된 다중언어교육(중국어) 연구학교 중 초등학교 세 곳의 운영현황 및 성과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서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개 연구학교의 성과분석을 통해 초등학교 중국어교육의 발전을 위한 선결과제로 ‘초등학교 중국어 교육과정 개발’과 ‘중국어강사 인력풀 구축’ 두 가지로 압축하였다. 그러나 위에서 제시된 문제는 초등학교에서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며, ‘어린이 중국어교육’을 하나의 특수한 영역으로 보고 관련 전문가들과 기관의 협력을 통해 해결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필자는 중국어교육을 위한 인프라가 갖춰진 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대학을 중심으로 초등학교와 타 유관기관이 삼자협력관계가 되어 교육공동체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며, 교육과정 개발, 학습콘텐츠 개발, 강사 양성 등 전문성 있는 작업을 함께 추진할 것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