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교사 역량 및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초임교사의 인식 연구

        한은정(Eunjung Han),정혜주(Hyejoo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0

        목적 이 연구는 최근 교원 양성 교육기관의 혁신 논의에서 체제 개편에 관한 논의는 활발한 반면, 구체적인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이에, 최근의 교원 양성 교육과정을 경험한 초임교사들이 생각하는 중등교사의 역량과 그들이 경험한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특징과 문제점, 개선방안을 살펴보고, 이것이 향후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경력 5년 이하의 초임교사 9명을 대상으로 하여, 교사에게 필요한 역량, 교원 양성 교육과정(전공/교직/교생실습)의 특징, 문제점, 개선과제 등에 대해 온라인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결과는 테마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개방코딩, 하위주제 도출, 상위주제 확정의 절차로 주요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초임교사가 인식하는 중등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으로는 의사소통 역량, 관계 맺기 역량, 인간 심리와 삶에 대한 통찰, 지속적인 전문성 계발 역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들이 경험한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특징으로는 1) 이론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 2) 수업 실연 및 선배 멘토링, 생활지도 및 상담 과목 운영 등의 현장성 강화를 위한 노력, 3) 실제 수업을 해 볼 수 있는 값진 시간“”으로서의 교생실습, 협업 4)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발표 토의, 팀 , 과제 중심의 수업 운영,교 5) 사로서의 가치관 형성을 기초로 한 체계적 교육과정 운영 등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이러한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는 1) 실용적이지 못한 교육과정, 2) 담당 교수나 실습지도 교사의 개인 차에 따른 교육과정의 질, 3) 수업 기회와 실무 경험이 부족한 “이벤트성” 교생실습의 한계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으로는 1) 예비교원의 성장 과정에 따른 교육과정 재구조화, 2) 교사 초빙, 실무실습 강화 등을 통한 학교교육에의 현장성 강화, 3) 융합형 교육과정 운영, 4) 교생실습 체계화, 교육봉사 내실화, 지도교사 업무 경감 등을 통한 교생실습 개선 등을 제안하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점을 시사한다. 첫째, 초임교사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의사소통 역량과 관계 맺기 역량은 이들이 의사소통과 관계 맺기 측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둘째, 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 그간 이론 중심의 교육과정이 제기되어 왔으나, 학교 현장 전문성의 토대로서 이론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이론과 균형을 이루는 현장 중심의 교육과정 으로의 전환을 고민하여야 한다’.셋째 전통적인 교원 , 양성 교육과정의 큰 틀은 유지한 채 일부 교과목의 추가만으로 예비교원들의 실질적인 역량이 함양되기는 어려우므로, 무엇을‘’이 아닌 어떻게‘’ 가르침으로써 역량을 키울 것인지에 초점을 둔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mpetencie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by novice teachers an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tasks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y experienced. Through these results, we tri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Methods We conducted individual online interviews with nine novice teachers who have less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e data obtained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open coding, sub-topic derivation, and higher-topic determination using thematic analysis methods.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teachers recognized by novice teachers were communication skills, relationship-building skills, insight into human psychology and life, and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capabilities. Second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were theory-centered curriculum operation, efforts to strengthen practicality, student practice as a “valuable time”, presentation, discussion, team task-oriented operation, and systematic curriculum operation based on the formation of values as teachers.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problems of this schoo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were an impractical curriculum, variations in the quality of the curriculum based on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the professors or training instructors in charge, and the limitations of “eventuality” in student practice that lacked teaching opportunities and practical experience. Finally, it was proposed to improve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by restructuring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growth process of pre-service teachers, strengthening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by inviting teachers and enhancing practical practice, operating a convergence curriculum, and enhancing student practice by systematizing it, strengthening educational services, and reducing supervisor work.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e following points. Firstly, the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skills that novice teachers perceive as important competencies prove the fact that they are having difficulty communicating and establishing relationship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ransitioning to a curriculum that balances theory with a field-oriented approach. Finally, a paradigm shift is needed to focus on enhancing competencies through effective teaching methods.

      • 모바일 단말기를 위한 만화 영상 자동 변환

        한은정(EunJung Han),전성국(Sungkuk Chun),정기철(Keechul Jung)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인쇄 매체가 아닌 온라인 매체로 만화 콘텐츠를 제공받는 수요층이 늘어나고 있고, 모바일 단말기의 작은 화면 위에 기존 오프라인 만화를 브라우징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큰 만화 콘텐츠를 영상의 의미 정보(배경이 아닌 모든 부분: 사람, 중요한 오브젝트, 문자)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기존의 오프라인 만화 콘텐츠를 모바일 단말기에 맞게 자동 변환시스템 (Automatic Comics Conversion System: ACCS)을 제안한다. ACCS는 기존 만화 콘텐츠 영상의 각 페이지를 프레임 단위로 자르고 잘라진 프레임을 분할, 확대, 축소 등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 화면 크기에 맞게 자동으로 변환한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IPTV 도입에 따른 국내 양방향 방송 매체간 경쟁 관계 비교 : 적소 이론의 적용

        한은정(EunJung Han),서보밀(Bomil Suh) 한국전자거래학회 2010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5 No.4

        IPTV의 시장 진출 이후 양방향 방송 특성을 중심으로 한정된 미디어 수용자의 매체 선택을 둘러싼 유료 방송 시장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IPTV 도입 이후 변화된 유료 방송 시장의 경쟁 구조를 양방향 방송 매체간 경쟁 관계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적소 이론에 의한 경쟁 관계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IPTV와 기존 유료 방송 매체인 케이블방송, 위성방송간의 경쟁 관계를 양방향 방송의 충족 기회 특성에 따라 분석하였다. 양방향 방송에 대한 수용자의 기대 가치 차원은 사용 용이성, 상호작용성, 선택의 다양성, 경제성의 4가지로 제시하였으며, 적소 이론에 의해 수용자의 각 매체 별 활용 정도, 매체간 유사성 정도, 매체간 경쟁 우위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 분석 결과에 의해 IPTV와 타방송 매체와의 경쟁 구도를 살펴보고, IPTV가 유료 방송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성공 전략을 제시하였다. The charged broadcasting market has been becoming very competitive to get the limited media consumers since IPTV was introduced to the market. This research analyzed the competition among interactive broadcasting media. We employed the niche theory for comparing IPTV with Cable TV and Satellite TV, which are two major existing broadcasting media. For employing the niche theory, we focused on the gratification-opportunity features of the media caused by the consumers’ gratification sought: ease of use, interactivity, variety of content, and economic feasibility. The results showed the extent to which media are utilized, the extent to which each pair of media are perceived as similar, and the competitive superiority between each pair of media on each dimensions. Finally, we examined the competition structure of IPTV and other broadcasting media, and proposed the competitive strategy for IPTV to get an advantages.

      • KCI등재

        A Conceptual Framework for Value Co-creation in an Innovation Ecosystem

        Han Eunjung(한은정),Hong Soon-Goo(홍순구) 한국산업정보학회 2017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2 No.4

        Innovation Cosystems are Conceptualized as Organizational Networks of Economic Actors, Technologies and Social Contexts that Interact for Knowledge Production, use, and Adaptation. This Paper Proposed a Conceptual Framework to Describe Value Co-creation of Organizational Networks Engaged in Technology Innovation. We Adopted Theory-Based Approach by Integrating the Perspective of Service-Dominant (S-D) Logic Into the Evolutionary Model of the Triple Helix. The Framework Gives a Plausible Explanation on how Actors Collaborate to Create Value in Dynamic Contexts of an Innovation Ecosystem. The Innovation Ecosystem can be Considered as a Composite of Sub-Ecosystems, Including Knowledge, Sectoral, and Business Ecosystems. When these Sub-Ecosystems are Recursively Transformed by Coordination of Functional Mechanisms that Serve Value Co-creation in the Innovation Process, the Innovation Ecosystem will be Re-Organized and Evolve. The case of the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was Examined to Demonstrate the Fundamental Mechanisms for Value Co-creation that was Described in the Framework. The case Study Indicates Features of Value Co-creation when Implementing Innovation in Organizational Networks.

      • KCI등재

        산업생태계의 기술혁신과 가치창출 구조 변화

        한은정(Eunjung Han),홍순구(Soon-Goo Ho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1

        산업과 지역의 혁신성과를 높이기 위한 기존의 정책이나 전략들은 지속적인 혁신 활동을 이끌어내고 기술혁신을 확산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최근에 혁신생태계가 떠오르고 있다. 이는 혁신 과정에 관련된 주체들의 상호작용이 지속적으로 변화하면서 혁신이 확산된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 분야의 관련 연구들은 대부분 이론적 프레임웍을 제시하는데 그치고 있으며, 생태계의 구조적 동태성을 실증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산업생태계의 기술혁신에 따른 구조적 동태성을 실증하기 위해 산업기술의 활용을 둘러싼 기업 협력 네트워크에 대해 종단적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기업 간 상호작용을 네트워크 데이터로 작성하여 구조적 등위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기술혁신의 확산과 관련된 기업 간 상호작용의 변화는 크게 세 가지의 패턴으로 요약된다. 즉, 기술 활용 방식의 제도화, 규모의 경제에 의한 혁신 확산, 기술 개방에 의한 롱테일 가치창출의 산업 구조가 만들어지면서 기술혁신의 성공적 확산이 가능해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술의 상업적 확산을 위한 기술활용 네트워크의 구성 및 기술혁신 관리에 있어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며, 지역혁신을 위한 전략 수립 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xisting innovation policies and strategies mainly focused on the influencing factors for improvement of innovation outcome. However, these strategies were not always successful in driving innovative activities that make technology innovation disseminated. In this regard, innovation ecosystems approach has recently been coming to the force to establish a successful innovation strategy. The innovation ecosystems concept describes that innovation processes are evolved through collaborative networks of economic actors. In an innovation ecosystem, different organizations collaborate for technology development and its use. They interact for value co-creation by sharing mutual resources. The organizational networks are re-organized by dynamic changes of actors’ interactions, which drive innovation mechanism of the networks. Recent studies on innovation ecosystems mostly have paid attention on developing theoretical frameworks to describe dynamics of an innovation ecosystem. There have hardly been empirical tests on the theoretical ecosystem models. In this vein, we investigated dynamics of an innovation ecosystem by analyzing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collaborative network among organizations which are involved in the use of innovative technologies. Particularly, we examined the longitudinal changes of the interaction patterns among the organizations. This test was performed by an analysis of structural equivalence on the network dataset transformed from the organizational interactions. This result provides a guideline for an organization in developing an innovation strategy under a systemic perspectiv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e-러닝 자기주도적 학습 콘텐츠 개발

        한은정 ( Eunjung Han ),정기철 ( Keechul Jung ),임충재 ( Chungjae 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2 No.1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처리기술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발전으로 인해, 교육 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교육 도구로 e-러닝이 자리 잡고 있다. 현재까지 연구되어온 교육 콘텐츠는 단순한 상호작용만을 허용하고, 실습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에는 제약이 따르며, 기존의 콘텐츠를 재구성하여 개발하기에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학습효과 측정에 대한 의식이 희박하고, 콘텐츠 평가의 명확한 기준이 없어 품질 향상에 많은 어려움이 뒤따른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자기주도적 학습 콘텐츠를 제작한다. 이렇게 제작된 교육 콘텐츠를 비전 기반의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더욱더 직관적이고, 인터랙티브한 교육 콘텐츠를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