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뇌피질 단소엽의 손상이 순막조건반응과 소뇌중간핵의 다단위 활동에 미치는 영향

        조선영,김기석,김현택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Vol.5 No.1

        토끼의 고전적 순막 조건화에서 소뇌 중간핵과 소뇌 피질 단소엽은 결정적인 신경가소성을 확립하는 부위로 여겨진다. 본 실험에서는 소뇌 중간핵의 다단위 활동을 기록하면서 순막 조건화 훈련을 실시한 후 소뇌 피질 단소엽을 손상하여, 이러한 손상이 이미 확립되어 있는 조건반응의 파지 및 재습득에 미치는 영향과 소뇌중간핵에서 형성되어 있는 행동반응에 대한 신경모델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하였다. 4일간의 조건화 훈련을 받은 토끼들은 확고한 행동적 조건반응과 전형적인 소뇌 중간핵의 신경반응을 나타내었다. 그런데 소뇌피질 단소엽을 손상시키자 행동적 조건반응이 폐지되었을 뿐만 아니라 결정적인 가소성 형성 부위로서 기억 흔적이라 여겨지던 조건 자극 동안의 중간핵 신경반응 증가 또한 사라졌다. 무조건 반응과, 무조건 자극 동안의 중간핵 신경반응은 영향 받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상적인 조건화에 있어서 단소엽에서 중간핵으로의 입력이 조건반응의 파지와 중간핵 신경가소성의 유지에 직접적으로 관여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소뇌 중간핵은 조건반응에 대한 결정적인 기억 흔적을 저장하고 있는 유일한 부위라기보다는 소뇌피질과 함께 조건반응을 표상하고 있는 신경회로상의 한 구조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손상후 훈련이 거듭됨에 따라 조건반응은 그 크기는 상당히 저하 되었으나 재습득 되었으며 중간핵의 신경반응도 다시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소뇌피질 단소엽이 정상적으로는 조건화에 관여하지만 단소엽을 포함하지 않는 회로에 의해서도 조건반응이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effects of lesions of the cerebellar cortical lobule VI (HVI) on the rabbit's conditioned nictitating membrane responses and the neural activity of the cerebellar interpositus nucleus (INT). Rabbits implanted with a recording electrode in INT were trained with a tone conditioned stimulus(CS) and an air puff unconditioned stimulus(US) for 4 days. They showed robust behavioral conditioned responses(CR) and time-amplitude neural model of learned responses in INT. Unilateral electrolytic lesions of lobule HVI were then made through 4 electrodes implanted before the training. The complete lesions of lobule HVI abolished not only the behavoiral CR but also the conditioned increase in neural activity of INT in the CS period that is considered as an essential neuronal plasiticity for the CR. Unconditioned responses(UR) and neural activities in the US period were not affected by the le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nput from HVI to I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tention of the CR and the conditioned-related neural activity in INT. The INT thus seems not to be the only site that represents the learned response but to consist an element of the neural circuit that forms the memory trace for generating the CR. As the animals with lesions of HVI further retrained, they reacquisited the CR, though the CR amplitude and the learning rate were profoundly reduced. The neural modeling in INT was also slightly recovered. It indicates that HVI is ordinarily involved in the retention of the CR and the neural modeling in INT and that the classical conditioning is possible through the neural circuit even not including HVI.

      • KCI등재

        ‘특별한 교육 요구 학생’에 대한 교양교육의 역할 고찰* —일본의 ‘합리적 배려’ 개념과의 비교를 통해—

        조선영,정혜선(鄭惠先)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23 대학교양교육연구 Vol.8 No.2

        The number of disabled people is increasing and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and above all,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re are many more cases of disabled people becoming disabled due to acquired cause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re creating an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and in fact, universities are already an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Additionally, it is expected that admissions targe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ll increase. However, preparations for this are mainly focused on measures to make lectures more convenient for faculty and staff. As confirmed in previous research, w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believe they need most is improved awareness among fellow students. This is because these college students go out into society and, as members of our society, they all belong to an ‘integrated environment’ without ‘education’ this time. To this end, it is believ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disability awareness improvement education in liberal arts subjects, especially in required subjects for freshmen. Meanwhile, at this time, it is proposed to have a broader focus on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that are not limited to physical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but also include social barriers.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lead not only to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education but also to the improvement of the social environment.

      • 교양일본어 강좌의 현황에 관한 일고찰 : 개설영역 및 과목명을 중심으로

        조선영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대학교양교육연구 Vol.1 No.1

        이 연구의 목표는 4년제 대학교의 교양과목으로 개설된 일본관련 강좌의 현황에 관해 살펴보고 앞으로의 전망에 관해 제안해보는 것이다. 강좌 현황에서는 개설 영역과 개설 교과목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이는 앞으로의 교양일본어 학습자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개설영역수는 필수 혹은 필수 선택보다는 일반선택인 경우가 많았으며 이를 통해 교양일본어 수강자의 감소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개설 교과목수는 어학이외 강좌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어학강좌 중에서는 초급 강좌도 있었으나 회화 및 중급이상 강좌도 다양한 과목명으로 개설되어 있었다. 앞으로의 교양일본어는 다양한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교양과목의 역할을 가질 수 있도록 고안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Japanese related courses established as liberal arts education of university and to propose future prospects. The reason for considering mainly the opening area of the course and the name of the opening course is because it seems that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change of Japanese learners in the future. The opening area is indispensable or not an essential choice, and in many cases it is a general selec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dict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in Japanese. In addition, the number of courses opened was dominated by courses other than language studies. And there were also beginner courses in language courses, but conversation and intermediate or higher courses were also established with various subject names. Future Japanese courses as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to have the role of general liberal arts subjects reflecting the needs of various learners.

      • KCI등재
      • KCI등재

        미국행정법과 사법심사에서의 행정청 존중 ― 미국연방대법원의 Kisor v. Wilkie 판결을 중심으로 ―

        조선영 미국헌법학회 2020 美國憲法硏究 Vol.31 No.2

        현대 법치국가에서 권력분립 원칙이 헌법상 정교하게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오늘날 이른바 행정국가화가 고도로 진행되면서 입법부는 일반・추상적인 규범의 제정이라는 입법의 본질적 한계와 전문적인 사안에 대한 입법의 한계상황이라는 현실에 직면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의회가 제정 또는 개정한 법률이 모호하거나 불명확한 경우가 발생하며, 정부는 불가피하게 법률을 보충하는 행정입법(rule-making)을 제정하고 법령에 대한 해석을 통하여 일정한 처분(adjudication)을 내리게 된다. 이와 같은 행정입법이나 처분 등이 사법부의 심사대상이 되는 경우 사법부는 이에 대한 사법심사의 범위와 기준에 대한 고민에 봉착하게 된다. 미국연방대법원은 이와 같은 문제 상황에서 이루어진 행정입법이나 행정처분에 대하여 완화된 사법심사를 함으로써 정부의 권한을 존중(deference)하는 판례법을 장기간 유지하여 왔다. 이러한 행정청 존중의 원칙(Agency Deference)은 정부가 헌법상 의회에 부여된 입법권을 침해하고 법원이 행정부의 행위를 감시해야 하는 사법권을 스스로 포기한다는 점에서 권력분립원칙에 반한다는 이유로 학계의 비판을 받아왔으며, 최근에는 헌법과 연방행정절차법에 반한다는 이유로 연방대법원의 일부 대법관들의 비판에도 직면하고 있다. 2019년 6월 선고된 미국연방대법원의 Kisor v. Wilkie 판결은 정부가 의회로부터 위임받은 행정입법권을 행사한 경우 정부의 행정입법에 대한 해석과 그에 따르는 처분 등의 적법여부에 대하여 법원이 어떠한 기준으로 사법심사를 할 것인가 하는 헌법과 행정법의 고전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있으며, Auer Deference에 대한 연방대법원에서의 갑론을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동 판결에서는 Auer Deference 원칙을 유지하되 항소심 판결을 심리불충분으로 파기환송하는 다수의견과, 항소심을 파기환송하는 결론에는 동의하되 Auer Deference 원칙을 폐기하여야 한다는 보충의견 등이 제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Kisor 판결의 다수의견과 보충의견의 내용을 면밀하게 평석하고 과연 이 판결이 행정청 존중의 원칙을 수호한 것인지 평가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행정입법의 모호성 또는 불명확성의 의미와 Kisor 판결에서 밝힌 행정청 존중의 요건과 한계에 대하여 검토한다. 다음으로, 행정청 존중의 원칙과 연방행정절차법 및 보통법원리와의 관계에 관한 Kisor 판결의 다수의견을 분석하고 그 당부를 판단한다. 그와 별개로 행정청 존중의 원칙이 연방행정절차법 등에 위반되고 보통법원리를 훼손하는지 살펴본다. 이에 더하여, 행정입법 중 실체규범과 해석규범을 구분하고 행정청 존중의 정도에 차이를 둘 필요는 없는지 논의한다. 또한 Kisor 판결의 보충의견에서 언급한 1944년 이른바 Skidmore Persuasion과 다수의견이 추종하는 Auer Deference가 본질적으로 다른지 여부도 고찰한다. 이와 같은 고찰을 통하여 향후 미국 연방대법원에서 유사한 논쟁이 제기되는 경우 연방대법원은 Auer Deference 등과 같은 선례의 용어나 명칭에 구애되기 보다는 행정청의 입법・해석・결정 등에 대하여 행정청 존중을 적용하기 위한 실체적 요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심리하는데 치중할 것으로 예상해본다. 이번 판결은 우리나라에서 법률위임 및 행정입법과 관련한 입법부와 행정부와의 긴장관계, 행정청의 재량행위에 대한 사법심사의 기준과 범위에 관한 문제해결에 관해서도 유의미 ... Although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separation-of-powers has been carefully and deliberately established in modern nations under rule of law, legislative branch is faced with substantial challenges of legislative limitations of enacting general and abstract rules and implicating substantive expertise as the administrative state has evolved substantially today. Against this backdrop, there are some cases where ambiguous or vague legislations are established or amended by Congress, inevitably leading government agencies to rely on rule-making to supplement legislation and certain adjudication by having its own interpretation of statutes. When such rule-making or adjudication becomes the subject of judicial review, the judicial branch of the government would struggle to determine the standard and scope of review it should apply.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U.S. Supreme Court has long been maintaining judicial practices and following precedents of deference to an agency’s own interpretation by applying a lenient standard of judicial review on rule-making or adjudication. When the legislation established or amended by Congress is genuinely ambiguous, the U.S. Supreme Court has been adhering to ‘Chevron Deference’ since 1984, a deference doctrine to the agency’s own interpretation of the legislation to resolve the issue. Likewise, it has been following the case laws of ‘Seminole Rock Deference’ since 1945 and the ‘Auer Deference’ since 1997, which is a principle deferring to the agency’s own interpretation of its own rules and regulations established mainly as guidelines to follow within the agency and its subsequent adjudication when the legislation established or amended by Congress is genuinely ambiguous. The agency deference principle has been criticized by academic scholars, stating that it goes against the separation-of-powers principle in a way that the government usurps legislative power granted to Congress under the U.S. Constitution and that it renounces to exercise its judicial power to monitor the agency action. Recently, it has also faced with strong criticism by some justices of the Supreme Court, arguing that the agency deference goes against the U.S. Constitution and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PA). The U.S. Supreme Court’s decision in Kisor v. Wilkie (2019) raises a classic argument under the U.S. Constitution and administrative law on which judicial review standard the court should be apply to determine the agency’s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its own rules and subsequent adjudication, when Congress defers rule-making power to the executive agencies under law and they establish their own rules accordingly. It is also a representative case that underlies controversies over Auer Deference debated in the Supreme Court. The decision presents the majority opinions upholding the Auer Deference and two other concurring opinions, and the latter contains a separate opinion substantially agreeing with the majority opinions and dissenting with the majority opinions. This study will provide a detailed annotation on the majority opinions and concurring opinions articulated in Kisor’s case and examine if the ruling over this case upholds the principle of agency deference. The bottom line is to determine the meaning of ambiguous or vague rules. Furthermore, it is important how to construe the requirements and limitations in applying Auer Deference and how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APA. To this end, we will first review the meaning of ambiguous or vague administrative rules and the requirements and limitations of agency deference outlined in Kisor’s case. Next, we will analyze the major opinions in the aforementioned case by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les of agency deference and the APA and the common law and whether or not they are reasonable. Apart from this, we will also explore whether the agency deference principle goes against the APA and undermines ...

      •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인 fluoxetine 이 우울증을 야기시킨 쥐의 수동적 회피 학습에 미치는 영향

        조선영,이기철,이정호,김현택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Vol.8 No.1

        우울증에는 흔히 학습과 기억 장애가 수반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울증의 동물 모델을 적용시킨 쥐에게 수동적 회피 조건화를 실시한 후, 항우울제로 개발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 fluoxetine을 투여하여 약물이 우울증과 조건화의 파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쥐에게 시끄러운 소리나 번쩍이는 빛, 먹이나 물 제한 등의 경미한 스트레스(chronic mild stress: CMS)를 지속적으로 가하면 우울증에 상응하는 증상이 야기된다. 실험집단의 쥐들에게 총 8주간 CMS 처치를 가하고, 우울증의 지표로서 매주 1% 자당 섭취량을 조사하였다. CMS를 처치한 지 4주가 경과된 후에 수동적 회피 학습을 시키고, 나머지 4주동안 약물을 주입하면서 파지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을 약물 주입전 자당 섭취량이 대등하도록 두 집단으로 나누어 각기 fluoxetine (15㎎/㎏)이나 식염수를 후반 4주동안 매일 복강 주사하였다. 통제집단으로 아무런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은 쥐들을 사용하였으며 나머지 절차는 동일하였다. 약물을 주입하기전 처음 4주동안 실험집단의 쥐들은 평상시 선호하던 자당 용액을 점차로 더 적게 섭취하였다. 나머지 4주동안 식염수를 주입한 실험집단은 자당 섭취량이 감소한 채로 계속 지속된 반면, fluoxetine을 주입한 실험집단은 약물주입 3주가 경과하자 자당 섭취량이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학습시행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습득 정도가 더 낮았으며, 3주 파지시행에서 식염수 실험집단이 식염수 통제집단에 비해 더 낮은 수행을 보였다. 즉, CMS 처치가 동물의 학습과 기억능력에 결함을 가져왔다. fluoxetine 실험집단은 3주 파지시행에서 식염수 실험집단보다 수행이 우수하였으며, fluoxetine 통제집단 또한 식염수 통제집단에 비해 4주 파지시행에서 더 우수한 수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세로토닌성 약물인 fluoxetine이 항우울 효과를 지닐 뿐만 아니라 우울증에 수반되는 기억장애에 긍정적인 영향을 지님을 시사한다. Depression is often related with memory impairment. The present study used the passive avoidance conditioning to evaluate the effects of fluoxetine on the retention of memory in an animal model of depression. Chronic exposure to a variety of mild unpredictable stress such as loud noise, flash light, or restriction of food and water, causes several behavioral symptoms correspondent to those of depression. Rats in experimental groups were exposed chronic mild stress(CMS) during 8 weeks, and monitored the consumption of 1% sucrose solution every week as a index of depression. After 4 weeks of CMS exposure they received the training trials of passive avoidance conditioning, and during next 4 weeks they received the retention tests weekly with drug treatment. On the basis of sucrose intake of 4th week they were devided two matched subgroups, and during latter 4 weeks each group daily treated with fluoxetine(15㎎/㎏) or saline. CMS exposure reduced the sucrose consumption gradually in the first 4 weeks. This effect was reversed after 3 weeks of fluoxetine treatment. In the training trials, experimental groups showed lower acquisition scores than control (no stress) groups and in the 3week-retention trial, saline-experimental group performed more poorly than saline-control group. This is, CMS exposure impaired the learning and memory processing of animals. Fluoxetine-experimental group showed better retention of memory than saline-experimental group in the 3week-retention trial, and fluoxetine-control group also performed better than saline-control group in the 4week-retention trial. These results suggest that fluoxetine, the representative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has positive effects on memory improvement as well as antidepressant effects.

      • KCI등재

        Advances in Automated Urinalysis Systems, Flow Cytometry and Digitized Microscopy

        조선영,허미나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9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39 No.1

        Screening of urine samples is the third most frequently performed test in clinical laboratories [1]. Urinalysis generally includes two kinds of methods: strip tests and microscopic examinations [1]. Urine microscopy, urine sediment analysis using microscope, has been used to detect various urologic diseases affecting from kidney to urinary tract [1, 2]. However, manual microscopic examination is time consuming and needs experts for interpretation [3].

      • KCI등재

        다른 관상동맥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한 스텐트 내 혈전

        조선영,신경황,신현성,이수진,이지은,정경연,강태수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지 Vol.84 No.4

        Drug-eluting stents (DES) dramatically reduce the rate of restenosis and the need for repeat revascularization. Despite these promising results, stent thrombosis seems to occur more frequently with DES and often seems to be associated with premature discontinuation of antiplatelet agents. We experienced a case of recurrent stent thrombosis with separate lesions. Recurrent stent thrombosis is a very rare event, and simultaneous stent thrombosis is also rare. Here, we report a case of recurrently developing stent thrombosis involving separate lesions. 약물방출 스텐트(drug-eluting stents, DES)의 등장으로 관상동맥 중재술 후 재협착율 및 재시술 비율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이런 결과에도 불구하고, 일반 스텐트에 비해 높은 혈전생성 경향성 때문에 약물방출 스텐트 삽입 후에 발생하는 스텐트 내 혈전 예방에 관하여 광범위하게 논의되어 왔다. 항혈소판 약물요법에도 불구하고, 반복적으로 스텐트 내 혈전이 발생하는 것은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고, 게다가 혈전이 다른 부위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더욱 드물다. 저자들은 두 배 용량의 clopidogrel을 포함한 항혈소판 삼제 요법으로 치료받던 72세 남자에게서 다른 두 스텐트 내 반복적으로 혈전이 발생했던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