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의 초기 배 발생단계별 Telomeric DNA 함량 및 Telomerase Activity 분석

        정예화,이수희,조상래,공일근,조재동,손시환,Jung, Yei-Hwa,Lee, Soo-Hee,Cho, Sang-Rae,Kong, Il-Keun,Cho, Jae-Dong,Sohn, Sea-Hwan 대한생식의학회 2009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6 No.2

        목 적: 소 수정란의 telomeric DNA 함량 및 텔로머레이스 활성도 (telomerase activity)를 분석하여 초기 배아형성과정에서 텔로미어의 변화 양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소의 초기 배 발생단계별 체외수정란을 대상으로 양적형광보인법 (Q-FISH)을 이용한 telomeric DNA의 함량 분석과 Telomeric Repeat Amplification Protocol (TRAP)로서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를 분석하였다. 결 과: 소의 초기 수정란의 telomeric DNA 함유율은 발생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유의적인 양적 증가를 나타내었다. 배반포배의 질 (quality)에 따른 텔로미어의 함량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소 수정란의 8 세포기, 상실배기 및 배반포기의 모든 초기 배 단계에서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를 보였으며, 상실배에서 증가하여 배반포배에서 가장 강한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결 론: 소의 초기 배아형성과정이 진행되면서 텔로미어의 함량 및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이들 간에는 정 (positive)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Telomeric DNA 함량의 증가를 유지하기 위하여 텔로머레이스의 활성화는 필수적인 것으로 보여진다. 배반포기 배아에서 높은 텔로미어 함량과 강한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는 이 시기가 배발생 및 분화과정 중 가장 세포적 활성도가 높은 시점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amount of telomeric DNA and telomerase activity in early bovine embryos. Methods: The amount of telomeric DNA in early bovine embryos at the 8 cell, morula and blastocyst stages was analyzed by Quantitative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Q-FISH) technique using a bovine telomeric DNA probe. Telomerase activity was analyzed by Telomeric Repeat Amplification Protocol (TRAP assay). Results: The relative amount of telomeric DNA in early bovine embryos was gradually increased from 8 cell to blastocyst stage. It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grade of embryo quality. While telomerase activity was detected in the early bovine embryos at these stages, it significantly increased at morula stage and showed maximum activity at the blastocyst stage. Conclusion: The amount of telomeric DNA and the telomerase activity of bovine embryos increase during the progression of early embryogenesis, suggesting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lomeric DNA and telomerase activity. The telomerase activity seems to increase to maintain the levels of telomeric DNA through embryo development which are required for extensive cell division.

      • KCI등재

        초·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정예화(Jeong, Yehwa),정제영(Chung Jae Yo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찾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2차년 도 자료를 사용하였고, 분석 방법은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개인요인 중 독서시간과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치지만, 친구들과 노는 시간과 여가취미시간은 학업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요인 중에서 다문화가정은 초등학생의 국어 성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 치지만, 양친과 동거하는 것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셋째, 학교생활요인 중 교사와의 관계는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고, 차별경험은 부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에서는 학 생들이 독서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고,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 환경 을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학생들이 친구들과 노는 시간, 여가취미시간을 잘 관리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가정요인과 관련하여, 다문화가정 및 한부모 가 정의 학생들을 지원하는 교육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학생들이 교사와 긍정적인 관계 를 형성하고, 학생들의 차별경험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olicy measures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by analyzing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In this study, the method of analysis wa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utilization of the GEPS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2nd-year data.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individual factors, reading time and self-study time h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meanwhile the time spent with friends and leisure time had nega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Second, among the family factors, being with multicultural families had a nega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language achievement, but living together with their par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and teacher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yielded a negative effect. There are four points that can be concluded in this study. First, in elementary schools, it is necessary to help students secure reading time and to create a self-directed learning environment in middle and high schools. Second, it is necessary to instruct students to manage their time with friends and leisure time. Third, in relation to family factors, it is essential to make educational policy efforts to support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 parent families. Fourth,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form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for teachers to help students minimize their discrimination experiences.

      • KCI등재

        지역규모에 따른 고등학생 학업중단의 학교요인 탐색

        정제영(鄭濟永),정예화(鄭譽華),장선희(張善熙),이슬아(李슬아)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아시아교육연구 Vol.1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규모에 따라 고등학생 학업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교육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에듀데이터서비스시스템(EDSS)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t-검정, F-검정 및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학력미달학생 비율이 높은 학교에서 학업중단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읍면지역에서는 학교 내 진로상담실 수가 많은 학교에서 학업중단율이 낮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소도시와 읍면지역의 경우, 상담전문가 상담실적 건수가 높은 학교에서 학업중단율이 높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모두 학업중단 학생 비율을 낮추기 위해, 기초학력미달 학생들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읍면지역에서는 학생들에게 진로상담실과 같은 진로 교육과 관련된 도움을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중소도시와 읍면지역에서는 상담전문가의 상담의 질을 높이려는 노력과 함께 상담전문가 상담과 학업중단율과의 관계를 분석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hool factors that influence high school dropout rate depending on the local scale, and to look for ways to reduce high school dropout in terms of education policy. This study uses data from the EDSS(Edu-Data Service System) from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The analytical methods are utilized to t-test, F-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 dropout rate tended to be higher in schools where the ratio of underachievement students was high. Second, in rural communities, the school dropout rate tended to be low in schools where the number of career counseling classrooms was high. Third,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rural communities, the school dropout rate tended to be high in schools where the number of consultations with professional counselors was high. Three conclusions have been deduced from this study. First, to reduce the underachievement rates, there is a need for care and support for the underachieve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can provide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in the rural communities.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quality of counseling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ropout and consultation with professional counselor.

      • KCI등재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영어 학업성취도 변화 요인 분석

        정제영,정예화,최지원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9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the change of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high school and to find the school factors influencing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analysis, we used the school information disclosure data from 2013 to 2016 and national grade achievement evaluation data provided by 'Edu Data Service System(EDSS)'.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by year, we used panel analysis to identify the school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chievement by high school typ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changes of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by high school type from 2013 to 2016 show similar patterns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international high schools and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and similar patterns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s, non-equalization general high schools and equalization general high school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chool factors influencing the academic achievement by the high school type using the fixed effect model of the panel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and international high schools, the lower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chool; in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s,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the students receiving the school meal, the higher the dropout rate, the more the level-based classes,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chool. In non-equalization general high schools and equalization general high schools, the higher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the higher the dropout rate, the more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the more the English education program,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chool. 본 연구는 고등학교 유형별로 영어 학업성취도의 변화 양상이 어떤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지와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요인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에듀데이터서비스시스템(EDSS: Edu Data Service System)’에서 제공하는 2013년부터 2016년까지의 학교정보공시자료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자료를 활용하였다. 연도별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패널분석을 활용하여 고등학교 유형별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2013년부터 2016년까지의 고교 유형별 영어 학업성취도의 변화는 외고와 국제고, 자사고의 학업성취도가 비슷한 패턴을 보였고, 자공고 및 비평준화 일반고, 평준화 일반고의 영어 학업성취도가 비슷한 패턴을 보였다. 패널분석의 고정효과모형을 사용하여 고등학교 유형별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요인을 분석한 결과, 외고 및 국제고는 교사 1인당 학생 수가 적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공고에서는 교사 1인당 학생 수가 많을수록, 급식비지원학생의 비율이 높을수록, 학업중단율이 높을수록, 수준별 이동수업을 실시할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준화·비평준화 일반고는 교사 1인당 학생 수가 많을수록, 학업중단율이 높을수록, 교과교실제 및 영어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할수록 학교의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부모의 교육적 관여 수준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정제영,정예화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parental involvement on the student achievement and to draw out policy implications. Parental involvement was defined parental expectation, parents' school engagement, uses of school website and cultural activities with childr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rental involvement according to school level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suggested that the parental involvement influences on student achievement strongl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influence of parental expectation and uses of school website were significant. For middle school student and high school student, the effects of parental expectation, parents' school engagement and uses of school website were import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olicy makers need to improve overall parental involvement and to make differentiated parental policies according to school levels. Finally, government should focus more on students from broken families to make up for the deficiency of parental involvement.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가 교육에 관여하는 수준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부모가 자녀의 교육에 관여하는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부모의 교육기대, 부모의 학교 참여, 학교 홈페이지 이용, 자녀 동반 문화 활동’ 등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학교급이 높을수록 부모의 교육적 관여 수준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부모의 교육적 관여는 자녀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교육기대는 모든 학교급에서 높은 수준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학교 참여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교 홈페이지 이용은 모든 학교급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부모의 교육적 관여 수준을 전반적으로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고,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교육적 관여 수준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특히 부모의 교육적 관여 수준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결손 가정의 자녀 등 특별한 배려가 필요한 계층의 학생들에 대해서는 더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 KCI등재

        캄보디아 대학생의 대학생활 경험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

        스베이사우마(Svay, Souma),정제영(Chung, Jae Young),정예화(Jeong, Yehwa),장선희(Jang, Seon Hee) 한국비교교육학회 2018 比較敎育硏究 Vol.28 No.3

        본 연구에서는 캄보디아 대학생의 학업성취 수준과 대학생활 경험 수준을 살펴보고, 대학생활 경험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캄보디아 프놈펜에 소재한 대학(5개교)의 재학생 524명을 대상으로 ‘대학생 경험 척도(College Student Experiences Questionnaire; CSEQ)’ 문항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의 분석에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컴퓨터 및 인터넷 이용(Comput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교과목학습(Course Learning)’, ‘동아리 및 학생모임(Club and Organization)’ 경험이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은 학생들이 컴퓨터와 인터넷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인프라의 구축을 확대할 필요가 있고, 학생들의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소양을 함양할 수 있는 관련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대학 강의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대학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동아리 및 학생모임에의 참여가 학업성취의 향상과 연계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college life experience of students in Cambodia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college life experiences on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in Cambodia.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College Student Experiences Questionnaire (CSEQ)’ questionnaire of 524 students from five universities in the city of Phnom Penh, Cambodi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Comput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Course Learning’, ‘Club and Organiz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lleges have to install more infrastructure for students to easily use computers and the Internet inside the school, and to provide programs to develop ICT skills to all students. Second, college-based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ectures for providing the students’ knowledge and skills. Third, students’ club and organization participation should be set up in college to find ways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