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Phase II Study of Induction Irinotecan + Cisplatin Chemotherapy Followed by Concurrent Irinotecan + Cisplatin Plus Twice-Daily Thoracic Radiotherapy

        이정은,박희선,정성수,김주옥,조문준,김진환,이충식,김선영,Lee, Jeong Eun,Park, Hee Sun,Jung, Sung Soo,Kim, Ju Ock,Cho, Moon June,Kim, Jin Hwan,Lee, Choong Sik,Kim, Sun Young The Korean Academy of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2007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3 No.2

        배경: Irinotecan hydrochloride는 topoisomerase I inhibitor로서 소세포 폐암에 효과적인 약제로 알려져 있다. Irinotecan은 cisplatin과 더불어 방사선감작물질로 작용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전에 치료받은 경험이 없는 제한성 병기의 소세포 폐암 환자에서 irinotecan과 cisplatin(IP)의 방사선 동시화학요법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2002년 12월부터 2004년 11월까지 충남대학교 병원에서 새로이 제한성 병기의 소세포 폐암으로 진단된 2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Irinotecan $60mg/m^2$을 제 1일과 제 8일째 투여하였고 cisplatin $60mg/m^2$을 제 1일째 투여하였으며 매 3주 간격으로 시행되었다. 제 3차 항암화학요법을 시작하는 날과 동시에 과다 분할방사선 치료(twice-daily thoracic irradiation; 45 Gy total)을 시작하였다. 예방적 전 뇌 방사선 조사(Prophylactic cranial irradiation)가 방사선 동시화학요법이 끝난 후 완전반응(complete response)을 나타낸 환자에서 시행되었다. 제 2차 항암요법과 제 6차 항암요법이 끝난 후에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과 기관지경 등을 통한 병기의 재평가가 이루어졌다. 결과: 병기의 재평가는 19명의 환자에게 이루어졌다. 중앙 추적관찰기간은 12.5개월이고 전체 99회의 항암치료가 시행되었다. 평균 한 환자당 5.2회의 항암치료가 시행되었다. 실제 용량강도는 cisplatin $19.6mg/m^2$/week과 irinotecan $38.2mg/m^2$/week이었다. 9명의 환자가 완전반응을 보였고 10명의 환자가 부분반응(partial response)을 보여서 전체 반응률은 95%였다. 3에서 4도의 혈액학적 독성은 백혈구 감소증(35% of cycles), 빈혈(7% of cycles), 혈소판 감소증(7% of cycles) 등으로 나타났다. 3에서 4도의 비 혈액학적 독성은 설사(5% of cycles)였다. 3에서 4도의 방사선 식도염(10% of patients)을 제외하고는 과다 분할 방사선 치료를 이용한 방사선 동시 화학요법의 기존의 방법과 독성 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치료와 관련된 사망은 관찰되지 않았다. 평가가 가능한 환자들에서 1년 생존율과 2년 생존율은 각각 89% (16/18)와 47% (9/18)였다. 결론: 3주 간격으로 시행된 irinotecan과 cisplatin을 이용한 과다분할 방사선 동시 요법은 제한성 병기의 소세포 폐암 환자에서 부작용은 높지 않으면서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Irinotecan hydrochloride, a topoisomerase I inhibitor, is effective against small-cell lung cancer. Irinotecan also can act as a potential radiation sensitizer along with cisplatin. To evaluate efficacy and toxicity of irinotecan plus cisplatin (IP) with concurrent thoracic radiotherapy, we conducted a phase II study of IP followed by concurrent IP plus hyperfractionated thoracic 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previously untreated limited-stage small-cell lung cancer. Methods: Twenty-four patients with previously untreated small-cell lung cancer were enrolled onto the study since November 2004. Irinotecan $60mg/m^2$ was administered intravenously on days 1 and 8 in combination with cisplatin $60mg/m^2$ on day1 every 21 days. From the first day of third cycle, twice-daily thoracic irradiation (total 45 Gy) was given. Prophylactic cranial irradiation was given to the patients who showed complete remission after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Restaging was done after second and sixth cycle with chest CT and/or bronchosocpy. Results: Up to November 2004, 19 patients were assessable. The median follow-up time was 12.5 months. A total of 99 cycles (median 5.2 cycles per patient) were administered. The actual dose intensity values were cisplatin $19.6mg/m^2$/week and irinotecan $38.2mg/m^2$/week. Among the 19 patients, the objective response rate was 95% (19 patients), with 9 patients (47%) having a complete response (CR). The major grade 3/4 hematological toxicities were neutropenia (35% of cycles), anemia (7% of cycles), thrombocytopenia (7% of cycles). Febrile neutropenia was 4% of cycles. The predominant grade 3/4 non-hematological toxicities was diarrhea (5% of cycles). Toxiciti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concurrent administration of irinotecan and cisplatin with radiotherapy, except grade 3/4 radiation esophagitis (10% of patients). No treatment-related deaths were observed. The 1-year and 2-year survival rate of eligible patients was 89% (16/18) and 47% (9/18), respectively. Conclusion: Three-week schedule of irinotecan plus cisplatin followed by concurrent IP plus hyperfractionated thoracic radiotherapy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limited disease small-cell lung cancer, with acceptable toxicity.

      • KCI등재

        생쥐의 B 세포에서 IgE의 분비와 Cytokine 생산에 대한 소청룡탕(小靑龍湯)의 효과(效果)

        이정은,한영주,박양춘,배한호,Lee Joung-Eun,Han Young-Ju,Park Yang-Chun,Bae Han-Ho 대한한방내과학회 2003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24 No.2

        Objective : We aimed to identify the inhibitory effects of SocheongRyoungTang on Cytokine Production and Secretion of IgE in Highly Purified Mouse B cells.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heongRyongTang(SCRT) on Antiallergy. Materials and Methods : We measured the cytotoxic activity for cytokines transcript expression, production of $IL-1{\beta},\;IL-4,\;IL-6,\;IL-10,\;IFN-{\gamma},\;TNF-{\alpha},\;TGF-{\beta}$ proliferation of B cell in anti-CD40mAb plus rIL-4 plus HRF stimulated murine splenic B cells and histamine in anti-CD40mAb plus rIL-4 plus HRF stimulated mast cells. Results : 1. SCRT increased the gene synthesis of $IFN-{\gamma}(m-RNA)$, the appearance of IL-10, $IFN-{\gamma}$. 2. SCRT decreased the gene synthesis of $IL-l{\beta},\;IL-4,\;TGF-{\beta}(m-RNA)$ and the appearance of $IL-l{\beta},\;IL-4,\;TGF-{\beta},\;IgE$ significantly. Conclusion : SCRT decreased the proliferation of B cell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SCRT extract might be usefully applied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lergic disease.

      • SCOPUSKCI등재

        전립선 암의 다발성 기관지내전이

        이정은 ( Jeong Eun Lee ),이유진 ( You Jin Lee ),정미경 ( Mi Kyong Jeong ),박희선 ( Hee Sun Park ),정성수 ( Sung Soo Jung ),김주옥 ( Ju Ock Kim ),강대영 ( Dae Young Kang ),설종구 ( Chong Koo Sul ),김선영 ( Sun Young Kim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6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1 No.2

        The lung is the most common site for the metastasis of extrapulmonary malignant tumors. However, endobronchial metastases (EBM) from extrapulmonary malignant tumors are rare. The most common extrathoracic malignancies associated with EBM are the breast, renal and colorectal carcinomas. Lung metastasis from prostate cancer is often encountered but EBM is rare. We report a 74-year old man with endobronchial metastases from prostatic carcinoma presented with cough. The diagnosis of prostatic cancer and the endobronchial metastasis were confirmed by immunohistological staining with the prostate specific antigen. Hormonal therapy (luteniz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agonist) was applied to this patient. (Tuberc Respir Dis 2006; 61: 162-166)

      • 생물다양성 및 외래 양서·파충류에 대한 대중 인식에 관한 연구

        이정은 ( Jung-eun Lee ),주귀암 ( Gwui-am Ju ),이세형 ( Se-hyung Lee ),박승민 ( Seoung-min Park ),함충호 ( Chung-ho Ham ),김지원 ( Ji-won Kim ),최재혁 ( Jae-hyeaok Choi ),성하철 ( Ha-cheal Su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2

        다양한 생물들이 상호작용하여 안정성이 유지되는 생태계는 기후변화, 서식지 훼손, 외래생물 유입 등의 변화에 따라 생태계 안정성이 크게 변화하게 된다. 최근 교통 수단 발달 및 국가간 교류 증가에 따라 외래생물 유입이 증가 되었으며, 이로 인해 생태계의 안정성이 위협되고 있다. 또한 외래생물의 유입은 생물다양성 감소, 질병 전이 및 생태계 교란, 경제적 손실까지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중의 올바른 인식 및 환경 태도 함양이 중요하다. 생태계 생물 구성 요소 중 양서·파충류는 생태계 지표종으로 기후 및 환경적 변화에 민감하여 생물다양성 감소에 높은 위협을 받는 생물 분류군에 해당한다. 따라서 외래 양서·파충류 유입은 생물다양성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과거 우리나라 또한 양식 또는 식용으로 외래 양서류 황소개구리를 유입하여 생태계 교란 및 파괴에 심각한 문제가 나타난 바 있다. 이러한 외래 양서·파충류 유입에 의한 생물다양성 감소, 생태계 교란, 위해성 등의 환경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중의 인식 개선 및 환경적 소양을 함양 통해 친환경적인 행동수행을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대중들의 외래 양서·파충류에 대한 올바른 환경적 소양 함양을 위해 생물다양성 및 외래 양서·파충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다양성: 양서·파충류’, ‘양서·파충류’, ‘외래 양서·파충류’의 총 3개 분야 55개 문항에 대한 대중들의 인지 및 정의 측면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인식 조사 결과 각 분야의 평균 점수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인식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외래 양서·파충류’ 분야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평균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각 분야에 대한 인식의 상관 계수를 도출한 결과, ‘생물다양성: 양서·파충류’와 ‘양서·파충류’ 분야의 상관계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Male=.805, Female=.740 Total=.740), 생물다양성의 인식이 높을수록 양서·파충류에 대한 인식도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각 세부 문항별 응답 분석 결과 가장 높은 인식 점수를 나타낸 문항은 ‘생물다양성: 양서·파충류’ 분야의 경우 인지적 인식에서 생물다양성의 의미 중 ‘생태계다양성 의미(M=.946, SD=.227)’, 정의적 인식에서 생물다양성 가치 중 ‘윤리적 가치(M=4.225 SD=.841)’로 나타났으며, ‘양서·파충류’ 분야에서는 인지적 인식에서 양서·파충류 지식 중 ‘생태 지위(양서류)(M=.628, SD=0.485)’, 정의적 인식에서 양서·파충류 감소 원인 중 ‘서식지 파괴(M=3.961 SD=0.887)’로 나타났다. ‘외래 양서·파충류’ 분야의 경우 인지적 인식에서 외래 양서·파충류 인식 중 ‘간접적 인식(M=.713, SD=.454)’, 정의적 인식에서 양서·파충류 관리 방안 중 ‘토종 보호(M=3.879, SD=0.984)’ 항목에서 가장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중들의 생물다양성 및 외래 양서·파충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한 것으로 생물다양성 및 외래 양서·파충류에 대해 대중들이 올바르게 인식하는 항목과 미흡하게 인식하는 항목 및 인식의 정도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대중들의 생물다양성 및 외래 양서·파충류에 대한 인식 개선 자료, 시민 교육 자료 개발 등에 기초 자료로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SCOPUSKCI등재

        유제한성 병기의 소세포 폐암에서 3주 간격으로 시행된 irinotecan과 cisplatin을 이용한 과다분할 방사선 동시 요법

        이정은 ( Jeong Eun Lee ),박희선 ( Hee Sun Park ),정성수 ( Sung Soo Jung ),김주옥 ( Ju Ock Kim ),조문준 ( Moon June Cho ),김진환 ( Jin Hwan Kim ),이충식 ( Choong Sik Lee ),김선영 ( Sun Young Kim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7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3 No.2

        배경: Irinotecan hydrochloride는 topoisomerase I inhibitor로서 소세포 폐암에 효과적인 약제로 알려져 있다. Irinotecan은 cisplatin과 더불어 방사선감작물질로 작용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전에 치료받은 경험이 없는 제한성 병기의 소세포 폐암 환자에서 irinotecan과 cisplatin(IP)의 방사선 동시화학요법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2002년 12월부터 2004년 11월까지 충남대학교 병원에서 새로이 제한성 병기의 소세포 폐암으로 진단된 2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Irinotecan 60 mg/m2을 제 1일과 제 8일째 투여하였고 cisplatin 60 mg/m2을 제 1일째 투여하였으며 매 3주 간격으로 시행되었다. 제 3차 항암화학요법을 시작하는 날과 동시에 과다 분할방사선 치료(twice-daily thoracic irradiation; 45 Gy total)을 시작하였다. 예방적 전 뇌 방사선 조사(Prophylactic cranial irradiation)가 방사선 동시화학요법이 끝난 후 완전반응(complete response)을 나타낸 환자에서 시행되었다. 제 2차 항암요법과 제 6차 항암요법이 끝난 후에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과 기관지경 등을 통한 병기의 재평가가 이루어졌다. 결과: 병기의 재평가는 19명의 환자에게 이루어졌다. 중앙 추적관찰기간은 12.5개월이고 전체 99회의 항암치료가 시행되었다. 평균 한 환자당 5.2회의 항암치료가 시행되었다. 실제 용량강도는 cisplatin 19.6 mg/m2/week과 irinotecan 38.2 mg/m2/week이었다. 9명의 환자가 완전반응을 보였고 10명의 환자가 부분반응(partial response)을 보여서 전체 반응률은 95%였다. 3에서 4도의 혈액학적 독성은 백혈구 감소증(35% of cycles), 빈혈(7% of cycles), 혈소판 감소증(7% of cycles) 등으로 나타났다. 3에서 4도의 비 혈액학적 독성은 설사(5% of cycles)였다. 3에서 4도의 방사선 식도염(10% of patients)을 제외하고는 과다 분할 방사선 치료를 이용한 방사선 동시 화학요법의 기존의 방법과 독성 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치료와 관련된 사망은 관찰되지 않았다. 평가가 가능한 환자들에서 1년 생존율과 2년 생존율은 각각 89% (16/18)와 47% (9/18)였다. 결론: 3주 간격으로 시행된 irinotecan과 cisplatin을 이용한 과다분할 방사선 동시 요법은 제한성 병기의 소세포 폐암 환자에서 부작용은 높지 않으면서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Tuberc Respir Dis 2007; 63: 154-164) Background: Irinotecan hydrochloride, a topoisomerase I inhibitor, is effective against small-cell lung cancer. Irinotecan also can act as a potential radiation sensitizer along with cisplatin. To evaluate efficacy and toxicity of irinotecan plus cisplatin (IP) with concurrent thoracic radiotherapy, we conducted a phase II study of IP followed by concurrent IP plus hyperfractionated thoracic 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previously untreated limited-stage small-cell lung cancer. Methods: Twenty-four patients with previously untreated small-cell lung cancer were enrolled onto the study since November 2004. Irinotecan 60 mg/m2 was administered intravenously on days 1 and 8 in combination with cisplatin 60 mg/m2 on day1 every 21 days. From the first day of third cycle, twice-daily thoracic irradiation (total 45 Gy) was given. Prophylactic cranial irradiation was given to the patients who showed complete remission after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Restaging was done after second and sixth cycle with chest CT and/or bronchosocpy. Results: Up to November 2004, 19 patients were assessable. The median follow-up time was 12.5 months. A total of 99 cycles (median 5.2 cycles per patient) were administered. The actual dose intensity values were cisplatin 19.6 mg/m2/week and irinotecan 38.2 mg/m2/week. Among the 19 patients, the objective response rate was 95% (19 patients), with 9 patients (47%) having a complete response (CR). The major grade 3/4 hematological toxicities were neutropenia (35% of cycles), anemia (7% of cycles), thrombocytopenia (7% of cycles). Febrile neutropenia was 4% of cycles. The predominant grade 3/4 non-hematological toxicities was diarrhea (5% of cycles). Toxiciti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concurrent administration of irinotecan and cisplatin with radiotherapy, except grade 3/4 radiation esophagitis (10% of patients). No treatment-related deaths were observed. The 1-year and 2-year survival rate of eligible patients was 89% (16/18) and 47% (9/18), respectively. Conclusion: Three-week schedule of irinotecan plus cisplatin followed by concurrent IP plus hyperfractionated thoracic radiotherapy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limited disease small-cell lung cancer, with acceptable toxicity.

      • KCI등재후보

        촉지되지 않는 갑상선 결절의 특성과 악성 결절 예측과의 관련성

        이주영 ( Ju Young Lee ),이정은 ( Jung Eun Lee ),문성수 ( Seong Su Moon ),박순홍 ( Soon Hong Park ),이신원 ( Sin Won Lee ),정귀화 ( Gui Hwa Jung ),김정국 ( Jung Guk Kim ),하승우 ( Sung Woo Ha ),김보완 ( Bo Wan Kim ),이재태 ( Jae Ta 대한내과학회 2005 대한내과학회지 Vol.69 No.5

        목적 : 최근 초음파 기기의 발달로 촉지 되지 않는 갑상선 결절의 발견 빈도가 늘어나고 있고 이에 따른 초음파 유도하 세침흡인 검사의 빈도도 늘어나고 있으나 이런 우연종의 진단 및 진료에 있어 확립된 기준이 없는 상태이다. 모든 환자에게서 세침흡인 검사를 시행할 수는 없으므로 세침흡인 검사를 시행하기 이전에 악성 결절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는 지표들을 알아보고 악성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1년 7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경북대학교 병원을 내원한 환자 중 초음파 및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갑상선 결절이 확인되었으나 이학적 검사상 결절이 촉지 되지 않고 병리학적으로 최종 진단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320명을 대상으로 하여 병력지를 통한 후향적 연구조사를 시행하였으며 갑상선 질환 및 방사선 조사의 과거력, 결절 진단 이후 세침 흡인 검사까지의 지속기간, 갑상선 초음파, 갑상선 기능검사, 자가 항체 검사, 핵의학 스캔, 세침 흡인 검사, 수술 소견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세부 항목들의 갑상선 우연종에서의 양상 및 악성을 예측하는데 있어서의 유용성, 악성 결절 진단에 있어 예민도와 특이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 320명의 대상 환자 중 양성 268명, 악성 52명이었고, 조사 항목 중 초음파 소견에서의 구조, 에코 강도, 석회화, 경계, 모양이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값을 나타냈고 이외에 성별, 연령, 갑상선 기능검사, 자가 항체검사, 핵의학 스캔 등은 악성 결절예측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음파상 세부 항목의 소견이 같이 존재하는 결절의 경우 민감도와 특이도는 80% 이상의 값을 나타냈다. 결론 : 최근 고해상도 초음파의 도입으로 촉지 되지 않는 갑상선 결절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초음파 유도하 세침흡인 검사의 빈도도 증가하고 있다. 세침흡인 검사 시행이전의 초음파상 결절의 구조, 모양, 경계, 석회화 등이 악성 결절 예측에 도움이 될 수 있었고 의미있는 세부 항목이 같이 존재하는 경우는 민감도와 특이도가 증가하여 이러한 결절을 가진 환자에 있어서는 적극적인 조사 및 경과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Thyroid nodules are commonly encountered in clinical practice and a p revalence of general population is 19~67% by ultrasonography. We made a study to investigate clinical characteristics, malignancy ratio of thyroid incidentalomas and predicting factors for diagnosis of malignancy, to provide recommendation for evaluation. Methods :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medical records of 320 patients who visited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uly 2001 to December 2003 with non palpable thyroid nodules. We reviewed physical examination, ultrasonographic findings, laboratory findings, histology of thyroid nodules and did statististic analysis to examine relationship to malignancy. Results : 52 patients revealed papillary carcinomas and malignancy rate whin incidentalomas is 9.3%. Sonographic findings of solid structure, hypoechogenecity, punctate calcification, ill defined margin, irregular shape showed meaningful diagnostic value for malignancy. Conclusions : Combination of meaningful sonographic findings increased possibility of maliganancy and require active mangements including recurrent fine needle aspiration and surgery if needed.(Korean J Med 69:474-480, 2005)

      • KCI등재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요 알부민 크레아티닌 비와 관상동맥 석회화와의 관련성

        이주영 ( Ju Young Lee ),최연경 ( Yeon Kyung Choi ),서현애 ( Hyun Ae Seo ),전재한 ( Jae Han Jeon ),이정은 ( Jung Eun Lee ),문성수 ( Seong Su Moon ),김정국 ( Jung Guk Kim ),김보완 ( Bo Wan Kim ),이인규 ( In Kyu Lee ) 대한당뇨병학회 2009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3 No.4

        연구배경: 제2형 당뇨병환자에게 주된 사망원인인 관상동맥질환에서 죽상경화증의 진행은 칼슘 축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이는 관상동맥 전산화 단층촬영술을 통해 정량화할 수 있다. 또한 미세알부민뇨는 심혈관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제2형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미세알부민뇨와 관상동맥 석회화 정도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다중박편 나선형 전산화 단층촬영술을 시행한 제2형 당뇨병환자 155명을 대상으로 요 알부민 크레아티닌 비에 따른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 및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를 조사하였다. 결과: 요 알부민 크레아티닌 비가 증가함에 따라서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외에 나이, 당뇨병 유병기간, Apo A1, Log hs-CRP가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와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며 다중회귀분석으로 연령을 보정한 뒤에도 요 알부민 크레아티닌 비는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여주었다. 결론: 요 알부민 크레아티닌 비는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관상동맥 석회화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는 심혈관질환의 고위험군 환자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혈중 석회화 관련 수치의 발굴 및 혈관합병증의 공통된 기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필요로 한다. Background: Atherosclerosis,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in type 2 diabetic patients, is closely associated with coronary artery calcium deposition. The coronary calcifications can be easily measured using coronary calcium scoring computed tomography (CT). And microalbuminuria is known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So, we examined the association of urinary albumin to creatinine ratio (UACR) and coronary calcification score (CCS) in type 2 diabetic patients. Methods: Among type 2 diabetic patients who underwent the multidetector CT scanning for the evaluation of CCS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December 2007 and May 2008, 155 subjects were included. CCS, demographic and laboratory data were assessed. Results: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s were identified in 90 patients (51%) and mean, median CCS was 205.8±476.9, 8.74 (0, 132.0). 60 subjects revealed UACR greater than 30 ug/mg. With the UACR increment, CCS revealed a significant increase (P<0.001). Age, duration of diabetes, serum Apo A1 level, serum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level were also associated with CCS. However, after adjusting for age, UACR and CCS exhibit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P=0.002). Conclusion: Increased UACR is associated with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in type 2 diabetic patients and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in early evaluating the presence of macrovascular complications in these patients. (Korean Diabetes J 33:289-298, 2009)

      • KCI등재후보

        유방 관상피내암의 유방 보존술 후 방사선 치료의 성적과 예후 인자 분석

        김경주(Kyoung Ju Kim),허승재(Seung Jae Huh),박원(Won Park),양정현(jeong Hyeon Yang),남석진(Seog Jin Nam),김정한(Jeong Han Kim),이성공(Sung Kong Lee),이지현(Jee Hyun Lee),강성수(Sung Soo Kim),이정은(Jeong Eun Lee),강민규(Min Kyu Ka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2 No.1

        목적: 유방 관상피내암 환자들의 유방 보존술 및 방사선 치료 후 생존율과 국소 재발률, 재발 양상 및 국소 재발에 영향을 준 인자들을 분석하고, 적절한 치료법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6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유방 관상피내암으로 유방 보존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았던 9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수술은 국소 절제 또는 광범위 절제가 시행되었고, 일부에서 액와림프절 곽청술이 시행되었다. 방사선 치료는 전 유방에서 50.4 Gy/ 28회를 조사하였고, 절단면에 종양이 있거나 절단면에서 종양이 가까웠을 경우 (≤2mm) 일부에서 종양이 있었던 부위에 10~14 Gy를 추가 조사하였다. 전체 환자의 중앙 추적 관찰기간은 43개월(12~102개월)이었다. 결과: 5년 국소 무병생존율 생존율은 각각 91%, 100%였다. 국소 재발은 6명(6.3%)에서 발생하였고, 이 중 침윤성 유방암으로 재발한 환자는 1명이었다. 수술에서 재발까지의 기간은 1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2년 이상이었다. 주위림프절 재발이나 원격전이는 없었다. 재발한 환자 중 5명은 유방전절제술 후 무병생존 중이고, 1명은 구제 치료예정이다. 국소 재발에 영향을 준 인자들에 대해 문석했을 때 , 연령, 절단면 상태, comedo type, 핵분화도 모두 국소 재발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 범위에 따라서도 국소 재발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p=0.30), 절단면이 종양에서 가까웠던 경우 초기 종양 부위에 추가 조사도 국소 재발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p=1.0) 결론: 유방 관상피내암의 치료로 유방 보존술 및 방사선 치료 시행 후 높은 국소 제어율과 생존율을 얻을 수 있었다. 종양이 절단면을 침범하지 않는 한 절단면과 종양과의 거리와 추가 방사선 조사는 국소 재발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향후 더 많은 환자로 장기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survival rate, local failure rate and patterns of failure, and analyze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local relapse of ductal carcinoma in situ treated with breast conserving surgery and 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1995 to December 2001, 96 patients with ductal arcinoma in situ treated with breast conserving surgery and radiotherapy were etrospectively analyzed. The operations were either local or wide excision in all patients, with an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performed in some patients. Radiation dose to the whole breast was 50.4 Gy, over 5 weeks, with 1.8 Gy daily fractions, with additional doses (10 14 Gy) administered to the primary tumor bed in some patients with close ( 2 mm) or positive resection margin.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43 months (range 12 102 months). Results: The 5-year local relapse free survival and overall survival rates were 91 and 100% respectively. Local relapse occurred in 6 patients (6.3%). Of the 6 recurrences, one was invasive ductal cell carcinoma. With the exception of one, all patients recurred 2 years after surgery. There was no regional recurrence or distant metastasis. Five patients with local recurrence were salvaged with total mastectomy, and are alive with no evidence of disease. One patient with recurrent invasive ductal cell carcinoma will receive salvage treatment. On analysis of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local relapse, none of the factors among the age, status of resection margin, comedo type and nuclear grade affected local relapse. Operation extent also did not affect local control (p=0.30). In the patients with close resection margin, boost irradiation to the primary tumor bed did not affect local control (p=1.0). Conclusions: The survival rate and local control of the patients with ductal carcinoma in situ treated with breast conserving surgery and radiotherapy were excellent. Close resection margin and boost irradiation to the primary tumor bed did not affect local relapse, but further follow-up with much more patients is needed.

      • KCI등재

        심리상담 중 내담자의 점복 상담 경험을 들은 상담사의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영주(Young Ju Lee),이정은(Jeong Eu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8

        목적 본 연구는 한국 사회는 심리상담이 들어오기 이전부터 소위 ‘점복’이라고 불리는 타로, 사주신, 점 상담이 대중화되어 있다. 점복 문화가 심리상담보다 더 큰 시장으로 존재하는 한국의 독특한 문화적인 배경이 있다. 심리상담 중 내담자의 점복 상담 경험을 들은 상담사의 경험에 대해 탐색해 보고 이를 통해 기초자료를 제공하려 한다. 방법 상담 중 내담자에게 점복 상담 경험을 들은 적이 있는 상담사를 대상으로 총 50명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응답 자료들을 탐색적 연구방법 중 경험자 조사방법과 수정된 합의적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자료의 수집 기간은 2021년 10월에서 12월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상담사가 생각하는 내담자가 점복 상담 경험을 심리상담 중에 말하는 이유, 상담사가 내담자가 점복 상담 경험을 심리상담 중에 말했을 때 보인 반응, 상담사가 생각하는 점복 문화의 장단점 요소, 상담사가 생각하는 내담자의 종교와 점복 상담의 관계, 상담사가 생각하는 심리상담과 점복 상담의 차이점, 상담사가 내담자의 점복 상담 경험을 들은 상담 종결 후 만족도 평가, 상담사로서 점복 상담 경험을 상담하는 내담자에게 고려해야 할 점, 적용한 상담이론과 초심상담사에게 추천하고 싶은 상담이론을 탐색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사들이 상담 교육 및 실습에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Objectives Research shows that so-called ‘fortune-telling’, such as tarot, fortune telling, and divine fortune counseling, has been popular in Korean society even before the introduction of psychological counseling. Korea has a unique cultural background where divination culture exists as a larger market than psychological counseling. During psychological counseling, we will explore the experiences of counselors who have heard about clients' fortune- telling experiences and provide basic data through thi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50 counselors who had heard about their experiences with divination counseling from clients during counseling. The collected response data were analyzed through an exploratory research method, an experienced survey method, and a modified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collection period of research data was from October to December 2021,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Results The counselor's view on why the client talks about his fortune-telling experience during psychological counseling, the counselor's reaction when the client talks about his fortune-telling experience during psychological counseling, the counselor's view on the pros and cons of the fortune-telling culture, and the counselor's view on the client's religi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rtune-telling counseling, the differences between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fortune-telling counseling that counselors think of, the evaluation of satisfaction after the counselor listens to the client's fortune-telling counseling experience, things that a counselor should consider when counseling a client about their fortune-telling counseling experience, and applied counseling theory. and explored counseling theories that would be recommended to beginning counselor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basic data that counselors can refer to in counseling education and practice was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