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 Moor의 공간추론 개념의 확장과 초등수학교과서의 공간추론 내용의 분석 - 도형영역을 중심으로

        이정민 ( Lee¸ Jungmin ),김봉준 ( Kim¸ Bongjun ),전인호 ( Jeon¸ In Ho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3

        본 연구에서는 De Moor의 공간추론에 대한 개념의 확장을 모색하며, 그 관점으로 초등수학교과서의 도형영역에서 공간추론에 관한 발문을 조사하였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초등수학교육에서 공간추론에 관한 국내 여러 선행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사용된 De Moor의 공간추론 개념을 분석하여 그 내용들을 범주화하고 구조화를 모색하였다. 그 결과 De Moor의 공간추론의 개념은 시각화와 추론으로 구성되는 수학적 사고과정으로 볼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그 개념의 구조를 공간능력과 추론으로 확장하였다. 그리고 공간추론의 정의를 다음과 같이 새롭게 제안하였다: 공간추론은 일상생활이나 학습활동에서 공간능력을 사용하여 추론을 수행하는 수학적 사고과정이다. 이 공간추론의 정의는 공간추론은 수학적 사고 과정이며 인간의 인지능력의 매우 중요한 부분인 공간능력과 수학적 추론(넓은 의미로)으로 구성되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서 공간능력은 기존의 알려진 정의(전인호, 2021)에 따라 공간시각화와 공간방향으로, 추론은 일반적으로 연역적 추론과 귀납적 추론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안을 하였고, 여기서 공간능력과 추론의 하위 구성요소들의 수준을 조정하면 대상 학년 수준에 적용가능한 공간추론 개념의 구조를 구성할 수 있음을 보였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De Moor의 확장된 공간추론 개념의 구조적 관점으로 초등수학 수준에 적용 가능한 공간추론 분석 기준을 세워 현행 초등수학교과서의 도형 영역의 발문에서 공간추론 개념의 구조적 경향성을 양적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공간추론 개념의 구조적인 면에서 구조의 구성 일부분에 편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공간추론을 구성하는 공간능력과 추론의 일부 하부 요소에서 학년과 단원에 따라 심한 편중성을 보였는데, 특히 공간능력의 경우는 학년별로 혹은 단원별로 일부 하위 구성요소에, 추론의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국소)연역적 추론에 편중되었다. 따라서 교육 과정은 학생들의 공간추론 신장을 위하여 학년과 단원에 따라 공간추론 내용을 구조적으로 편중되지 않도록 구성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선 다양한 공간능력과 추론을 사용할 수 있는 교수학적 방법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De Moor’s spatial reasoning was sought, and from that point of view, the contents of spatial reasoning were investigated in the figure area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n the first part, we analyzed De Moor’s spatial reasoning concept, which was us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everal domestic previous studies on spatial reasoning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to categorize and structure its contents. As a result, De Moor’s concept of spatial reasoning could be viewed as a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 composed of visualization and reasoning, and based on this, the structure of the concept was extended to spatial ability and reasoning. And the definition of spatial reasoning is newly proposed as follows: Spatial reasoning is a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 that uses spatial ability in daily life or learning activities to perform reasoning. This definition of spatial reasoning means that spatial reasoning is a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 and consists of spatial ability and mathematical reasoning (in a broad sense), which are very important parts of human cognitive ability. Here, spatial ability is proposed to be spatial visualization and spatial orientation based on existing known definitions (Jeon, 2021; McGee, 1979), and reasoning is generally composed of deductive reasoning and inductive reasoning. And it was shown that the structure of spatial reasoning concept applicable to the target grade level can be constructed by adjusting the level of subcomponents of spatial ability and reasoning. In the second part, as a result, in the structural aspect of the spatial reasoning concept, there was a tendency to be biased towards a part of the structure. Spatial ability constituting spatial reasoning and some sub-elements of reasoning showed severe bias according to grades and unit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patial ability, some factors were biased by grade level or unit, and in the case of reasoning, overall (local) deductive reasoning was biased. Therefore, the curriculum should be structured so that spatial reasoning contents are not structurally biased according to grades and units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spatial reasoning. suggested.

      • KCI등재

        양극 활물질의 입도에 따른 열전지 출력 특성 연구

        이정민,Lee, Jungmin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4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7 No.6

        Thermal batteries are used for military power sources that require robustness and long storage life such as missiles and torpedoes. $FeS_2$ powder is currently used for cathode materials because of its high specific energy density, environmental non-toxicity and low cost. However, large particle size of conventional $FeS_2$ has been deterred its possible application for higher power thermal batteries. In order to improve the power density, high energy ball milling of $FeS_2$ has been introduced to crush the micron-sized $FeS_2$.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single cells fabricated with nano-materials and conventional $FeS_2$ powder were evaluated.

      • KCI등재

        국내 원자로시설 해체계획서 세부 작성지침(안) 개발

        이정민,문주현,Lee, Jungmin,Moon, Joohyun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3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11 No.3

        원자로시설 해체계획서 작성은 원자로시설의 안전한 해체, 해체폐기물의 발생 최소화, 사람과 환경 보호 등을 위해 원자로시설 해체에 앞서 반드시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고리 1호기, 월성 1호기가 머지않은 시기에 해체를 맞이하게 되지만, 해체계획서를 작성하는데 필요한 관련 세부 지침이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IAEA의 원자력 국제 안전기준과 원자로시설 해체경험과 선진화된 규제체계를 보유하고 있는 미국, 영국, 프랑스의 해체계획서 작성 지침을 비교분석하고 국내 상황을 감안하여 원자로시설 해체계획서 세부 작성지침(안)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작성지침(안)은 국내 원자로시설 해체 관련 법령을 정비하고 해체사업자가 원자로시설을 해체하고자 할 때 미리 준비사항을 알려주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KCI등재

        열전지용(MS<sub>2</sub>, M=Fe, Ni, Co)계 양극의 전기화학적 특성 연구

        이정민,임채남,윤현기,정해원,Lee, Jungmin,Im, Chae-Nam,Yoon, Hyun-Ki,Cheong, Hae-Won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7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30 No.9

        Thermal batteries are used in military power sources that require robustness and long storage life for applications in missiles and torpedoes. $FeS_2$ powder is currently used as a cathode material because of its high specific energy density, environmental non-toxicity, and low cost. $MS_2$ (M = Fe, Ni, Co) cathodes have been explored as novel candidates for thermal batteries in many studies; however,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1, 2, 3 plateau) of single cells in thermal batteries with different cathodes have not been elucidated in detail. In this study, we independently analyzed the discharge voltage and calculated the total polarizations of single cells using $MS_2$ cathod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 $NiS_2$ as a potential cathode material for use in thermal batteries.

      • KCI등재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초기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유형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이정민(Lee, Jungmin),정혜원(Chung, Hyewon)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교육방법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 학생들의 공동체의식 성장 특징들이 동일한 유형으로 나타나기보다는 질적 으로 다른 복수의 유형을 나타내는지, 그렇다면 이러한 차이는 무엇으로 설명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하여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2013(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2013: KELS2013) 1~3차 년도(초5~중1)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공동체의식 유형에 따른 계층 분류와 개인, 가정, 학교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잠재계층분석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초기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잠재계층은 3개의 집단(‘저초기치-빠른증가형’, ‘중간초기치-보통증가형’, ‘고초기치-느린증가형’)으로 분류되었다. 3개의 계층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계층은 ‘중간초기치-보통증가형’으로 나타났으 며, ‘저초기치-빠른증가형’과 ‘고초기치-느린증가형’의 성장궤적의 상호교차가 이루어지는 시기는 초6 시점 이었다. 둘째, 공동체의식 잠재계층 분류를 예측하는 요인을 검증한 결과, ‘저초기치-빠른증가형’ 은 초5 시점에서 자아개념, 다문화 수용성의 영향이 낮을수록 이 계층에 속할 확률이 낮았지만, 초6 을 경유하여 중1에 이를 때 ‘저초기치-빠른증가형’에 속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모학업지원, 교사관계, 또래관계의 영향력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저초기치-빠른증가형’에 속할 확률이 다른 계층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언을 논의하 였다. The objective of our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classes of the sense of community of early adolescent were qualitatively distinct rather than appearing as one of a plurality of classes. Also, if they were qualitatively different, these differences would be examined through further search. This longitudinal study was applied to the KELS2013(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panel data from 1st to 3rd wave (5-7th grade). By using growth mixture modeling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ree distinct latent growth classes of community were found. These classes were named the ‘high beginning-slowly increasing group’, ‘middle beginning-normally increasing group’, ‘low beginning-fast increasing group’. Nearly 56.4% of early adolescent showed that their sense of community normally increased up to 7th grade. Particularly, both ‘low beginning-fast increasing group’ and ‘high beginning-slowly increasing group’ were intercrossed patterns of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the sense of community at 6th grade. Second, the results of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e influential factors across three classes. The probability that self-concept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elonged to ‘low beginning-fast increasing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wo latent classes at 5th grade. However, When students passed through six and seventh grade,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low beginning-fast increasing group’ in those factor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two classe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콜롬비아 중소도시의 토사재해 취약성분석 연구Ⅱ

        이정민(Lee Jungmin),이윤상(Lee Yunsang),진규남(Jin Kyunam),김상단(Kim Sangdan)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6

        토사재해를 포함한 자연재해로 인한 위험 및 피해정도의 평가를 위해서는 취약성 평가가 수행되어야 하며, 이는 물리적 취약성과 사회경제적 취약성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의 선행연구에서는 콜롬비아 중소도시의 물리적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취약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지표기반 모델을 개발하였다. 인구통계 및 경제적 지표, 2차 피해 유발 지표, 재해 대비 및 대처 지표별로 대리변수의 점수 및 가중치 설정하였다. 각 대리 변수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사회경제적 취약성 점수가 계산하고 등급화 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수행한 물리적 취약성 평가결과를 반영한 토사재해 통합취약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통합 취약성 평가결과 현장 조사결과와 거의 유사한 취약지역을 도출할 수 있었다. 추후 토사재해 통합 취약성 평가 방법론을 기반으로 콜롬비아 중소도시 지역의 취약성 평가 추가 확대 및 토사재해 예측 및 예방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Vulnerability assessments are essential for evaluating slope hazards and damages from natural disasters.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focused on physical vulnerability assessments of small cities in Colombia. In this second part, we developed an indicator-based model for socioeconomic vulnerability assessment. We defined weights for indicators and proxy variables, including indicators for demographic and economic conditions, secondary-damage triggers, disaster preparedness, and response measures. Socioeconomic vulnerability scores were calculated and graded using the weights assigned to the proxy variables. In addition, the evaluation of the combined vulnerability to slope disasters incorporated the results of the physical vulnerability assessments that were conducted in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As a result, vulnerable areas similar to those identified in the field survey were obtained. In the future, these vulnerability assessment results will be used as basic input data for the forecasting and prevention of slope disasters in Colombia.

      • KCI등재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변화와 체험활동의 시간효과

        이정민 ( Jungmin Lee ),정혜원 ( Hyewon Chung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7 중등교육연구 Vol.65 No.3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변화와 체험활동의 시간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중1 패널 1차∼6차년도(중1∼고3)까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중·고등학교 6년간 공동체의식 변화궤적과 체험활동 참여의 동시효과와 지연효과의 시간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중1부터 고3까지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은 시간에 흐름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고, 자유모수변화 모형에 의해 증가의 폭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중3에서 고1까지 학교급전환기에서의 공동체의식 증가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둘째, 중1부터 고3까지 중3시기를 제외하고, 체험활동 참여가 공동체의식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동시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중2와 고2에서 각각의 체험활동은 지연시점인 중3과 고3의 공동체의식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지연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중·고등학교에 이루어지는 체험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시간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학교현장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 of the sense of community and time effect of experiential activity in adolescents using KCYPS(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panel data from the 1st to 6th wave. For the analysis, the latent growth model was applied to six-time points(7th grade - 12th grad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nse of community was observed to increase from 7th grade to 12th grade except for 9th grade. The free parameters model showed the different width of a increase. Especially, the sense of community was the ranges of the largest changes in turning point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Second, the engagement of experiential activity had the positive effects on the sense of communities of the 7th grade to 12th grade, except for 9th grade. Also, each of experiential activity of 8th grade and 11th grade was shown the lagged effects on the sense of the communities to 9th grade and 12th grade.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scene of a school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생 참여형 활동 중심 대학 교양 융합 교과목 실행연구

        이정민(Lee, Ju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6

        미래 사회는 한 분야의 전문성을 넘어 이질적 정보를 새로운 방식으로 결합하여 창의적 결과물을 창출할 수 있는 융합형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예비 사회인인 대학생들에게 이러한 융합 역량이 요구되고 있으며, 고등교육 기관인 대학은 이러한 융합 역량의 함양을 위한 교과목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 교양 교과목으로 학생 참여 중심의 융합 역량 증진을 위한 강좌를 개발하고 운영하였을 때, 어떠한 양상의 현장 적용성과 개선점이 도출되는지 실행 연구를 통하여 탐구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 네 가지 주제, 다학제와 다양성의 특성을 지닌 교양 교과에서 융합교육의 효과성, 교양 융합 교과에서 학생 참여형 활동 중심 수업 방법 구현의 적절성, 소집단 활동에 대한 평가와 보상 구조, 지원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유형화 되었고, 각 주제에서 상이한 양상이 도출되었다. Future society requires convergence talents to be able to creative synergies by gethering distributed resources in a new way beyond the expertise of one field. This convergence competency is especially required of college students who are soon to be members of societies, and many universities have developed and opened courses for improving students convergence competency. This action research analyzes the applications of course based on students participative activities on the convergence education in college general education. As the result of this qualitative analyses, different patterns were deducted and emerged; the effectivenes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general education with multidisciplinary and diversity characteristics, the appropriateness of implementing students participative activities on the convergence education in general education, the evaluation and reward structure for small group activities, the necessity of building support system.

      • KCI등재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Primary Maxillary Central and Lateral Anterior Zirconia Crown

        이정민(Jungmin Lee),이효설(Hyoseol Lee),남옥형(Okhyung Nam),김미선(Misun Kim),최성철(Sungchul Choi) 大韓小兒齒科學會 201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3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shape and dimension of anterior zirconia crowns to other pediatric crowns using a three-dimensional scanner to investigate adequate amount of tooth preparation. Primary central and lateral anterior zirconia crowns, stainless steel crowns and celluloid strip crowns were scanned by a three-dimensional scanner. Outer and inner surfaces of zirconia and stainless steel crowns, and outer surface of celluloid strip crowns were analyzed. In outer scanned images, all sizes of central and lateral size 1 zirconia crown had the largest labiolingual diameter among the three crowns. In inner scanned images, zirconia crown’s mesiodistal diameter was 0.7-1.0 mm smaller and crown length was approximately 1 mm shorter than those of stainless steel crowns. Zirconia crown’s labiolingual diameter was larger in central crowns whereas it was smaller in lateral crowns than that of stainless steel crowns. Recommended preparation required for zirconia crown is incisal 2.5-3.0 mm, mesiodistal 1.5-2.0 mm, labial 0.5-1.0 mm. Cingulum should be trimmed parallel to the long axis. No more lingual reduction is needed in central incisors whereas additional 0.5 mm reduction is suggested in lateral incisors. 본 연구는 전치부 지르코니아 전장관을 위한 적정 치아 삭제량을 조사하기 위해 3차원 스캐너를 이용, 지르코니아와 다른유치 전장관들의 크기와 형태를 분석하였다. 상악 좌측 유중절치, 유측절치 지르코니아 전장관과 금속관의 내/외면, 레진관의 외면을 스캔하여, 근원심경이 유사한 세종류의 전장관을 한 군으로 만들어 분석하였다. 외면에서 모든 중절치, 1번 측절치 지르코니아 전장관이 같은 군의 전장관 중 가장 큰 순설경을 나타냈다. 내면에서 지르코니아 전장관은 금속관에 비해 근원심경 0.7-1.0 mm, 치관길이는 1 mm 가량 작았으며, 순설경은 중절치에서는 더 컸으나 측절치에서는 더 작았다. 비교결과, 지르코니아 전장관은 절단면 2.5-3.0mm, 근원심 1.5-2 mm, 순면 0.5-1 mm, 설면결절을 장축에 평행하게삭제 후 측절치에서만 0.5 mm 설면삭제를 시행하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