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남헌(南軒)장식(張栻)의 수양론 연구 ― 호상학과 주자학의 상호 영향을 중심으로 ―

        이연정 ( Lee Yun Jeo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8

        학술교류가 활발하던 남송(南宋)시대에 장식은 수양론 형성과정에서 그만의 독자적 사상체계를 정립한다. 수양론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사상적 전향을 보이는 것이 특징적인데, 이 과정에서 장식은 당대 주류와의 학술적 교류를 통해 그들의 사상정립에 상당한 영향을 주며, 그 안에서 자신만의 사상을 체계화시켜 나간다. 그러나 당대 주류학파에 대한 연구는 상당부분 이루어진 것에 비해, 주류학맥이 이어져 오기까지의 당대의 사상적 흐름과 동향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논자는 장식의 수양 공부론의 형성 과정을 통해 당대의 사상흐름 전반을 이해하고, 아울러 주류학파와의 교류 과정을 수양공부라는 영역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송 대 철학 전반을 이해하고, 그 흐름을 객관적으로 살피는 데 있어서 유의미한 과정이 될 것이다. 본 논고는 장식 공부론의 형성과정을 전기와 후기로 구분하여 검토하는 방식을 취한다. 우선은 장식사상의 연원에 대한 기술을 시작으로 영향을 주었던 학파의 사상적 영향을 언급하고, 수양 공부론의 변천과정을 검토하여 그의 철학사상적 전향(轉向)을 고찰한다. 이 작업은 장식만의 독자적 사상에 대한 전반을 이해하고, 사상교류를 이루었던 주희의 사상정립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Zhangshi established his own ideal system in the process of self-cultivation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period, where academic exchanges were active. A common feature in the process of self-cultivation is the transformation of ideas. In the case of Zhangshi, his academic exchanges with contemporary mainstream scholars had a major impact on them, and Zhangshi was also able to systematize his own ideas. However, while there have been a lot of researches on the mainstream schools of the Southern Song period,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 ideological trends and trends of the time when mainstream schools could have occurred.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the ideological trends of the Southern Song era by examining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his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to examine the process of exchanging of mainstream schools through the field of self-cultivation. This work will be a meaningful process for understanding the philosophy of the Song era and for examining the tendency objectively. This paper examines the formation process of self-cultivation in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In the first half, this paper refers to the ideological impact of schools that had influenced Zhangshi's thought, in the second half,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cess of change of his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then examines how his ideas had changed. This work will help to understand Zhangshi’s own ideas and to understand how Zhu Xi’s theory of Zhu xi, who had an ideological exchange with him, c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천인합일(天人合一)을 통해서 본 인식과 실천공부의 결합

        이연정 ( Yun-jeong Le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4 No.-

        천인합일은 안신입명(安身立命)을 지향하는 ‘유학의 궁극적 이상’임과 동시에 사실상 유학사상을 집약적으로 드러내는 유학의 대표적인 특징이다. 필자가 여기에서 주목하는 점은 천인합일이 유가사상에서 인간이 이루어야 할 궁극지점임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천인합일이 이루어지는 과정 속에서의 그 의의와 가치이다. 필자는 천인합일을 궁극적인 목표에서 그 내용을 단정 짓기보다 각 하늘(天)과 인간(人)의 입장에서 합일을 이루어가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유학 공부의 성격을 설명하고자한다. 천인합일에 대한 귀납적 해석 방법을 사용하는데, 우선은 하늘의 입장에서 인간을 합하는 방향의 해석을 통해, 하늘의 인간의 존재근거로서의 의의를 드러낸다. 다음으로는 인간의 입장에서 하늘을 합하는 방향의 해석을 통해, 인간의 실천도덕 수양공부의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그리고, 천명과 인성의 관계에서 천명을 통하여 인간에게 부여하는 리(理)를 본성으로 삼아 인간의 입장에서 하늘에 합치될 수 있는 가능성의 근거를 마련함과 동시에, 천도와인도의 관계를 통해, 천인합일을 실행하는 구체적인 방법론의 근거를 마련한다. 마지막으로, 천인합일의 실제 구현방법에 대한 논의는 결국 천인합일은 인식과 실천공부의 결합물이다. 이에, 천입합일의 경지인 성(誠)과 인(仁)에 대한 검토를 시도한다. 성(誠)과 인(仁)이 본체론적 원리임과 동시에 인간의 도덕행위의 실천원리임을 검토함으로 천인합일의 경지로서 인식과 실천공부의 결합물임을 밝힌다. An Idea of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天人合一)” is ‘an ultimate confucian ideal’ which is aiming at settling down(安身立命) and at the same time is a typical feature showing a confucian idea intensively. The points of this study deal with not only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that is not only an essential point which can be achieved by man but also a significance and a value during process of getting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In this paper, this study does not conclude that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is just the ultimate aim. This study, however, examined nature of studying Confucianism dealing with the process of making the unity in each position of heaven and human. This study uses inductive inference to understand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At the first, this study shows the significance of heaven as reason of existence of human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adding the human at the side of heaven. Secondly,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human’s self-cultivating and learning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adding heaven at the side of human. Thirdly, In a relation between heaven’s will and a character, Li(理) is given to human through heaven’s will. With this Li as nature, this study examines a basis of possibility of combination to heaven at the position of human and, at the same time, examines a basis of an actual method to carry out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y of heaven and the way of human. Finally, this study shows that discussion about the actual method of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is the combination of perception and practical study. at this point, through the examination of Cheng(誠) and Humanity(仁), this study examines that Cheng and Humanity is ontological principle. it, then, shows the combination of perception and practical study as a state of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 KCI등재

        장식(張?)의 수양 공부론

        이연정 ( Lee Yun Jeo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3

        장식은 주희 여조겸과 함께 동남삼현으로 불리울 만큼 저명한 학자이다. 그는 주희와의 사상적 교류를 통해 영향을 주고받은 것으로도 유명하다. 그러나 그에 비해 그의 사상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미비한 상황이다. 본 논고는 장식의 수양 공부를 연구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삼아 그의 사상철학 전반을 이해하고자 한다. 그의 수양 공부는 형이상학적 정초(定礎)위에서 심성론을 수립하여 천인합일을 이루는 경로에서 심의 주체성을 특히나 강조한다. 이러한 그의 사상적 경향에서 그의 수양 공부론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유의미한 작업이 될 것이다. 본 논고는 천인합일사상을 근거로 삼아 천도와 인도를 합치하는 과정을 토대로 수양 공부 방법에 접근하는 방식을 취한다. 우선 장식에게 있어서 천(天)과 인(人)의 의미를 고찰하고 두 가지 범주의 관계성 속에서 합일경로로서 수양공부 방법을 제시한다. 이는 천인합일을 이루는 과정에서 심의 주체성을 강조할 뿐 아니라 인간이 하늘에 합치할 가능성을 부각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연구는 장식의 독자적인 철학체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연구 작업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Zhangshi(張?) is a distinguished Chinese scholar, who is known as the South-east Three sages with Zhuxi(朱熹)·Luzujian(呂祖謙). He is well known for his influence through exchanges of ideas with Zhu xi, but the research on his ideas is rather poor.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ideology in general by looking deeper into the study of Zhangshi`s self-cultivation. Contents of his self-cultivation especially emphasized the subject of the mind in the way establishing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within the theory mind based on metaphysical foundation. It would be very meaningful to study his theory of self cultivation in his ideological tendencies. this essay Based on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especially uniting the ways of heaven and morality, this essay is approaches to the way of self-cultivation.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meaning of heaven and human for Zhangsi, and presents a self-cultivation method as a unified method in two categories of relationships This not only emphasizes the subject of the mind in the process of realizing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but also to highlight the possibility of human becoming one with the heaven. This research will be an important research work in understanding Zhangshi`s own philosophical system.

      • KCI등재

        선진시대 도통(道統) 의식 검토 -순자(荀子)의 도통 의식을 중심으로-

        이연정 ( Lee Yun Jeong ) 한국유교학회 202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86

        선진 유가는 ‘도’를 가치 이상의 기준으로 삼아 이를 수호하며 비판 정신을 표현하였다. ‘도’ 는 철학 사상의 근저에 흐르는 정신 근간이자 핵심 내용이다. 우리는 도통 계보를 통해 도의 전승 과정을 파악하고 있지만, 그 계보가 담고 있는 ‘도’ 의 내용에 대해서는 간과하고 있는 듯하다. 도통 의식은 유가사상철학사에서 유학이 지향하는 정신의 전승 과정에서 확립되어 시대별 가치 이상과 이념을 대표한다. 선진 유가의 도통 의식은 공자의 도에 대한 계승 여부에 따라 상반되는 평가를 받는 맹자와 순자로 대표한다. 이러한 평가는 학문적 흐름을 계승한 학통(學統)의 측면에서는 이견이 없으나 정치양상으로 나타나는 정통(政統)에 입각하면 객관적인 검토가 필요성이 있어 보인다. 이에 공자의 도가 지시하는 바와 맹자와 순자의 도통 의식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이 작업은 유가 선진유학자들의 당면한 현실에서의 각자의 학자적 고민과 함께 시대정신을 표출하는 사상가로서의 면모를 파악하고 유가 철학에 대한 현대적 조명을 시도하는 의미 있는 과정이 될 것이다. Pre-Qin Confucianism held 'dao' (the Way) as the ideal value to pursue, and took a critical stance for its protection. Dao lied at the base of its philosophical thought and formed the core content. While we usually attempt to understand the transmission of the dao based on the Confucian orthodoxy of its genealogy, we do not seem to pay sufficient attention to how it had been conceived along the line of succession. The consciousness of the Confucian orthodoxy, which had been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spirit that its followers aspired to achieve through the philosophical history of Confucian thought, represented the ideal value and ideology of each epoch. The pre-Qin notion of the Confucian dao is exemplified by Mencius and Xunzi, who receive opposite evaluations depending on their inheritance of Confucius's doctrine. Although this assessment may not invite disagreement in terms of the academic orthodoxy (學統) of the flow, it appears to warrant an objective examination when it is considered on the premise of the political orthodoxy (政統) manifested in political facets. Thus, my paper probes into Confucius's instruction on the dao and the conceptions of Mencius and Xunzi about the tradition of its transmission. I hope that this endeavor is a meaningful attempt by clarifying how each of the pre-Qin Confucians, as a scholar and thinker, grappled with the reality of the times they lived in and understood the spirits of the eras, and also illuminating on Confucian philosophy in the contemporary context.

      • KCI등재

        장식 ‘인(仁)’ 에 대한 소고(小考)

        이연정 ( Lee Yun-jeo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5

        장식에게 있어서 ‘인(仁)’은 사상적 핵심축이라 할 만큼 중요하다. 그는 동남삼현의 한 사람으로서 호굉의 학문에 사상적 연원을 두고, 주희와의 학술교류를 통해 사상체계를 확립했다. 이러한 학술적 행보의 결실이 호상학과 주자학의 연관성 안에서 정립된 그의 독자적인 사상체계이다. ‘인’설은 장식의 사상변천과정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으며, 형이상학과 심성가치론의 결합지점으로 드러나는 것이 특징이다. 장식은 정호의 영향을 받아 그의 인론을 정립해가기 시작했으며, 나아가서는 주희의 사상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본 논고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우선은 장식 인사상의 연원에 대해 살펴보는데, 호굉의 ‘성본론(性本論)’을 바탕으로 한 장식 사상의 기초를 살펴본다. 다음은 장식 ‘인’의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장식의 사유체계를 이해한다. 마지막으로 주희와 사상적 교류를 통해 정립한 장식의 사상을 고찰함으로써 사상체계의 독자성을 살펴본다. 장식의 ‘인’설은 당시 사상적 동향을 살피고, 나아가서는 주자학을 정립하는 과정에서의 주자의 사상적 동향을 살피는 주요한 연구 작업이 될 것이다. For Zhangshi, benevolence is as important as the center of the an ideological core. As a man of the Southeast Three Sages', he had an ideological source in Hohong’s studies and established an ideological system through academic exchanges with Zhuxi. These academic moves are founded as independent ideas of his own in the association of Huxiangxue and Zhuzixue. The theory of benevolence reflects intactly the transition process of zhangshi thought and appears at the combinative point of metaphysics and theory of mental values. Zhangshi was influenced by Chenghao’s benevolence so that he began to establish his benevolence theory, and furthermore, gave a considerable impact JooHee through the academic exchanges with him. This thesis consisted of the following. First of all, author examined the origins of Zhangshi benevolence theory and studied the base of Zhangshi‘s thought on the basic of Hohong’s Xingbenlun. Next, this thesis was studied his philosophical system by examining the meaning of Zhangshi benevolence. Finally, it was examined the originality of the ideology system by considering zhangshi thought established through ideological exchanges with JooHee. zhangshi’s benevolence theory will be a major research work that can examine the contemporary ideological trends, and furthermore, a major research that can examine Zhuxi’s ideological tren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Zhuzixue.

      • KCI등재

        주자학의 순자적 음영陰影 : 수양공부 방법을 중심으로

        이연정(Lee Yun-jeong) 한국중국문화학회 2022 中國學論叢 Vol.- No.73

        주자는 맹자의 사상적 정통을 계승하여 사상 철학을 수립하였고, 상대적으로 순자는 유가 도통 계보에서 배제된 유학자이다. 그러나 주자의 사상체계는 심에 관한 논의나 규명에서 순자의 것과 유사한 구조가 발견되고 나아가 그 수양 공부체계는 더욱 명확하게 순자적 음영陰影이 드러난다. 이에 주자학과 순자학의 유사한 사유구조를 비교 대조함으로써 그들 간의 학문 사상적 연관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우선 지각능력을 통한 주재성을 지닌 심에 대한 각 입장을 살피고 수양공부 측면에서 순자의 ‘허일정’ 개념과 주자의 수양론의 영역의 유사성을 파악하고, 공부 방법적 측면에서 축적을 통한 후천적 학습을 통해 둘 사이의 경험주의적 입장을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주자학을 특성을 세밀하게 살피는 작업이면서 동시에 순자학의 사상적 가치를 제고 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Zhuzi established an ideological philosophy by inheriting the ideological orthodoxy of Mengzi, and Xun-zi is relatively a Confucian scholar excluded from the Confucian genealogy. However,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Xunzi s was found in the discussion and investigation of the mind of the Zhuzi, and furthermore, the system of training and study of the Zhuzi reveals the shadow of Xunzi more clearly. Therefore,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similar thought structures of Juju and Xunzixue, we intend to examine the academic ideological connection between them. First, examine each position on mind with mastery through perceptual ability, understand the similarities between Sunja s Xu yi-jing concept and zhuzi s discipline theory in terms of discipline study, and learn both through acquired learning through accumulation in terms of study methods. We will examine the empiricist position between the two. This proces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Zhuzixue in detail and at the same time enhance the ideological value of Xunzixue. 朱子繼承了孟子的思想正統,樹立了思想哲學,相對而言,荀子是被儒家道統系排除在外的儒學家。但是,在有關朱子的思想體系與心相關的討論或查明中發現了與荀子的相似的結構,進而其修養學習體系更加明確地體現了荀子的陰影。因此,通過比較朱子學和荀子學的類似思維結構,來考察他們之間的學術思想關聯性。首先,通過知覺能力觀察對具有主宰性的心態的各立場,從修養學習的角度瞭解順子的 虛壹靜 概念和主人的修養論領域的相似性,從學習方法的角度出發,通過積累的後天學習,觀察兩者之間的經驗主義立場。這樣的過程既是細緻觀察朱子學特性的工作,同時也是提高荀子學思想價值的契機。

      • KCI등재

        주희 독서론: 함양공부로서의 독서

        이연정(Lee, Yun-jeong) 한국양명학회 2016 陽明學 Vol.0 No.44

        주희의 ‘독서’는 그의 수양공부의 가장 구체적인 도덕 구현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독서의 참 의미는 단순의 문자 상의 공부를 통해 성현의 말에서 얻는 지혜를 깨닫는 지(知)공부일 뿐 아니라, 그 앎을 실제 자신의 삶 속에서 실천해야 한다는 행(行)공부로서의 의미도 함축하고 있다. 주희의 독서에는 지행합일을 추구할 수 있는 개념이 있는데, 바로 ‘절기체찰(切己體察)’이다. ‘절기체찰’은 격물치지의 주요 방법으로 제시되는 독서관에 실천을 수반해야 하는 행공부의 필요성을 제고한다. 논자는 함양의 측면에서 독서의 의미를 재해석하고, 이를 통해 주희의 독서법이 지니는 진정한 의미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결국 주희의 독서관이 그의 수양공부의 지향점인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일용생활 속에서 실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매일의 함양공부임을 확인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본 논문의 전개는 독서가 지니는 의미를 설명하고 독서를 위한 전제조건으로서의 심(心)에 대해 서술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리고는 존심(存心), 허심(虛心), 평심(平心)에 대해 서술하면서 독서를 통해 얻어지는 효과보다는 독서를 위해 전제되어야 할 마음의 자세에 대해 언급한다. 이는 함양공부로서의 독서체계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그리고는 거경궁리로서의 독서의 특성을 알아보고, 본격적으로 ‘절기체찰(切己體察)’에 대한 해석을 통해 독서가 지니는 함양공부로서의 의미를 제고한다. Zhuxi’ s ‘Dushu(讀書)’ is known as the general method of moral incarnation. The meaning of ‘Dushu’ is not only to study for ‘knowledge’ to get sages’ wisdom in books but also to study for ‘action’ to practise ‘knowledge’. Zhuxi’s ‘Dushu’ has ‘Qiejiticha(切己體察)’ which is a concept to follow ‘the unity knoeledge and conduct(知行合一)’. ‘Qiejticha’ enhances the necessity of study for actions to involve a way of ‘Dushu’ which is a main method of ‘Gewuzhizhi(格物致知)’ in practice. In this paper, the meaning of Dushu is reinterpreted and then the true meaning of Zhuxi’s way of Dushu is examined. This work is also working to ensure that every foster study of Zhuxi’s Dushu implements the orientation of the translational ‘the unity knowledge and conduct’ of cultivating tangibly his foster learning in daily life. This paper begins with an explanation of the meaning of ‘Dushu’ and description of ‘Mind’ as precondition of Dushu. With description of ‘Cunxin(存心)’, ‘Xuxin(虛心)’, ‘Pingxin(平心)’, this work will verify ‘Mind’ which is not for the general effect of Dushu but for the attitude, Dushu is referred as Mind. Also, the attitude is for the system of “Dushu” as a study based on ‘Hanyang(涵養)’. Finally, the character of study on ‘Jujingqiongli(居敬窮理)’ is examined and then the meaning of study of Hanyang as an aspect of the interpretation of Qiejiticha is discussed.

      • KCI등재

        호원(胡瑗):교육을 통한 도통 정립 ―명체달용明體達用을 중심으로―

        이연정(YUN JEONG LEE) 한국중국문화학회 2024 中國學論叢 Vol.0 No.81

        Hú-yuàn (胡瑗) is one of the three greatest Confucian masters early in Song Dynasty, leading the establishment of Confucian truth descending system along with Sūn-fù and Shí-jiè in the era of Song Dynasty. He tried to correct the confused ideologies of his time by establishing Confucian truth descending system. Applying the principle of ‘MingTiDaRong(明體達用)’ to his education policy, he carried out the education reform practically, which led to regulating Confucianism as the root of the ideologies of that time, making them used in basis of Confucianism and establishment of Confucianism-based system. Carrying out the Hú-yuàn Act of Dividing Manpower Type especially in education field to teach the students for academic manpower and administrative manpower, he was faithfully coping with the mission of innovation and progress not only in the educational aspect but also further in the political and cultural fields of his time to establish and rebuild the Confucian truth descending system. 호원(胡瑗)은 송초삼선생(宋初三先生) 가운데 한 인물로서 손복, 석개와 함께 송대 유가 도통의 확립에 앞장선 인물이다. 그는 당대의 혼란스러운 사상이 성행하는 상황을 유가 도통 정립을 통해 바로잡고자 하였다. 그는 ‘명체달용(明體達用)’이라는 원리를 그의 교육 정책에 적용하여 실제적인 교육 개혁을 단행한다. 이러한 그의 행보는 유가 사상을 본원으로 삼고 이를 바탕으로 쓰임을 이루어 가도록 하여 유가 중심의 체계 구축으로 드러났고 교육 분야에서 인재를 양성하여 정치체계를 바로잡는 데에까지 나아간다. 특히나 교육영역에서 경의재(經義齋)와 치사재(治事齋)를 구분하여 가르치는 호원분재법을 실행함으로써 교육 측면에서의 개선과 진보뿐 아니라 시대의 정치 문화 영역에까지 나아가 유가 도통을 구축하고 재건하는 사명을 충실히 감당하였다.

      • KCI등재

        주자 격물치지를 통한 인성교육적 요소와 원리 고찰

        이연정 ( Lee Yun-jeo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2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가장 본질적으로 당면한 과제는 실상 인간의 자질, 인성에 관한 문제이다. 이는 현 교육의 실상과 현행법을 보더라도 쉽게 알 수 있는 사실이다. `인성`에 대한 동양철학에서의 연구는 양명학의 입장에서 이루어져 왔으나, 사실 주자학에서 그 실제적인 교육원리를 찾아볼 수 있다. 이는 바로 육왕이 비판하는 주자의 `격물치지`공부이다. 본 연구는 지(知)공부로 알려져 있는 격물치지가 인성교육에 있어 적용되는 실제적인 원리를 모색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주자학의 수양공부특성인 존덕성(尊德性)과 도문학(道問學)의 관계를 고찰하고, 도문학의 주요 방법인 격물과 치지를 검토함으로써 주희공부의 특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그리고는 격물과 치지의 과정과 원리를 통해 인성 교육적 요소와 교육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 원리를 탐색함으로써 이 시대에 적합한 인성 교육적 측면에서 격물치지 공부의 의의를 드러내고자 한다. In the present life of us, the challenges, we face essentially, relate to human quality and personality. It is a fact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a situation of present education and the law. The research in the eastern philosophy of the `personality` has been handled in regard to Yangmingxue, but a practical principle of education can be also found in an aspect of Zhuzixue indeed. That is Zhu`zi`s study of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 which was criticized by Yangming. This paper is to examine that with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 which is known as study of `zhi`, we can find the practical principle which is applied to the education of personality.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Zundexing(尊德性)` and `Daowenxue(道問學)` which are characters of cultivating study of Zhuzixu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of Zhu`zi by examining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 the main method of `Daowenzue`. This study, then, to show the meaning of study of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 exploring prncan appropriate education of personality in this time drawing practical principle which can be applied to education of personality through the process and principle of `taking the objective principles(格物)` and `achieving morl self-Congnition(致知)`. Then, through the process and principles of `taking the objective principles` and `achieving morl self-Congnition `, this paper explore factors of the education of personality and the principles that can be applied in the education field, so as to reveal the significance of studying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 in terms of the education of personality for this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