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와 희망유아교육사의 다문화적 경험에 따른 다문화교육의 의미탐색

        이연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2

        What is the mean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eachers in the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ntext? By listening to the discourses of the individual teachers who actually engage with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analysis displays the heterogeneity of voices in teachers' interpretations abou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s' diverse multicultural experiences seemed to construct teachers'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a different way. Home-visiting teachers seem to classify multicultural education as education onl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y are sent to each child's home with the purpose of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ir experience with the individual family seemed to affect their understanding of their role and responsibility. Teachers with no experiences of having children with diverse backgrounds showed the strong conceptualiz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culture understanding activity. Due to the huge effect of top-down Imposition of the Nuri curriculum, there was little room for incorporating multicultural components in classroom routines. The most important finding of the analysis of teachers' discourse was that teachers with diverse multicultural experiences in the classroom responded to multiple cultural backgrounds and identities of diverse children based on their experiences and ongoing reflection on each experience. For them, specific moments rather than the written lesson plan scripts became a textbook for understanding these children and their cultures. 본 연구는 1)가정에 직접 방문하여 이주여성과 아이들을 만나는 희망유아교육사, 2)다문화적 경험이 없는 유아교사, 3)이태원 지역의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봄으로써 유아다문화교육의 실제적 의미와 교육적 방향을 찾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첫째, 희망유아교육사들의 경험으로부터 이주여성과 아이들은 한국어 교육과 문화적응교육을 넘어 자신들의 삶의 양식을 이해하주고, 이민자로서의 삶의 어려움을 나누고 소통할 수 있도록 사회문화적 배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다문화가정이 아이들은 이중적 문화정체성을 자연스럽게 갖게 되는데 이에 대한 교육적 논의가 부족하다. 다문화교육의 구성요소에 다양성과 문화이해만큼 정체성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포함되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다문화적 경험이 없는 유아교사들에게 다문화교육은 관광식 접근을 통한 문화이해교육으로 이해되고 있었고 다문화교육에 대한 협소한 실행지식을 갖고 있거나 무관심한 태도를 보였다. 이는 Souto-Manning(2011)의 연구에서 언급했듯이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누리과정 시행과 다문화교육과정의 실행적 상충성에서 오는 것으로 일부 해석할 수 있다. 셋째, 다양한 형태의 다문화적 경험을 갖고 있는 이태원 지역의 유아교사들에게 다문화교육이란 하나의 개념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았고 문화를 배우고 이해하는 과정 속에서 그들만의 다문화적 지식이 담긴 교과서를 만들어 내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주장하는 바는 진정한 의미의 다문화교육이란 교사 개인의 경험과 그에 대한 주체적 해석과 반성과정을 통해 발전할 수 있으며 다문화교육은 교육과정적 성격을 띠기보다는 실천적 교수행위에 가깝다는 점이다. 교사들이 자신들의 다문화적 경험을 확대하고자 노력할 때, 문화적 갈등 상황을 그냥 지나치지 않고 이를 변화할 수 있는 순간으로 자각할 때, 다문화성에 대한 이해가 넓어질 것이다. 끝으로 교사들의 자서전적 경험연구, 실행연구, 다문화가정 유아와 부모의 삶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가 확대되어 실천경험이자 과정으로써의 다문화교육 연구가 확대되길 기대한다.

      • LCTV를 이용한 광연결용 다위상 격자의 구현

        이연선,김남,박성균,임종태,Lee, Yeon-Seon,Kim, Nam,Park, Seong-Gyoon,Ihm, Jong-Tae 대한전자공학회 1996 전자공학회논문지-A Vol.33 No.3

        Diffraction gratings were designed to generate multiple beams for the real-time optical interconnection in free-space using a liquid crsytal television. Multi-level phase gratings consisted of stepped phase value, 0 to 2$\pi$, and generate a 5$\times$5 spot array, and V-shaped spot patterns which have a maximum diffraction efficiency of 78.84%. Simulated annealing technique was used to determine phase states of each pixel having uniform intensity and high diffraction efficiency. Through the optical interconnection experiments, we compared the diffraction characteristics of beam paterns obtained by binary-level, four-level, and eight-level phase gratings.

      • KCI등재후보

        은유분석을 통한 영유아부모의 CCTV에 대한 인식고찰

        이연선,연희정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6 교육혁신연구 Vol.26 No.2

        연구목적: 영유아보육기관에 CCTV설치가 의무화된 이래로 보육실 내에 CCTV운영 문제를 다각도로 접근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우선하여 부모들이 가지는 CCTV에 대한 사회?통념적 인식 및 그 인식의 원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은유분석을 위해 제작된 CCTV에 대한 인식을 묻는 질문지 중 회수된 것 중 은유분석에 활용 가능한 119개의 은유와 그 이유진술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은유분석결과, 감 시?관찰 도구, 생활?발달기록, 증거와 해결, 안전과 보호, 교사?기관 처벌책, 기타 6개 유형으로 분류되 었으며 이는 다시 CCTV의 역할과 기능, CCTV의 사회적 의미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논의 및 결론: CCTV가 아동학대를 포함하여 보육실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 고 있었으며 물리적 장치로서 가지는 CCTV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인식이 주를 이루었다. 또한 CCTV설치 가 자기 자녀에 대한 과잉권한행사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이 나타났으며 모든 일을 CCTV로 해결하려는 CCTV만능론 및 CCTV로 인한 감시자와 피감시자 간의 권력관계 등이 논의될 수 있다. 이러한 논의들의 이 면에 담긴 불신 문제의 해결은 상호소통을 통한 신뢰회복이 뒤따를 때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유아 공간 연구 동향 분석

        이연선,김민우,강승지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관련 국내 학술지, 교육관련, 건축디자인분야의 학술지에 게재된 유아 관련공간 대상 연구 동향을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목적별로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유아 관련공간연구의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17년 2월 까지 국내학술지에 등재된 학술지에서 유아 공간과 관련된 논문 114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술지분야별 논문의 수는 유아교육분야 51편(44.75%), 건축·디자인분야 44편(38.57%), 교육 분야 12편(10.54%), 기타 7편(6.14%)로 나타났다. 연구 공간은 유아교육기관 75편(65.79%), 유아교육기관 외에 유아 대상 공간(숲, 동네 놀이터, 박물관, 도서관, 체험관, 키즈카페 등) 39편(34.32%)으로 나타났다. 연구 방법은 질적연구 50편(43.86%), 양적연구 41편(35.96%), 문헌연구 8편(7.02), 설계·디자인 연구 15편(13.16%)으로 나타났다. 연구 목적 별 동향은 사례를 통한 공간의 의미 고찰이 목적인 연구 37편(32.46%), 공간이 유아에게 미치는 효과 확인이 목적인 연구 22편(19.30%), 공간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인 연구는 19편(16.67%), 공간 디자인과 개선 방향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인 연구 14편(12.28%), 공간의 안전이 목적인 연구 8편(7.02%)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 초등교사의 혁신학교 교육경험에 관한 내러티브탐구

        이연선,연희정,한안나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7 교육혁신연구 Vol.27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혁신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한 한 초등교사의 9년간의 생생한 경험 이야기를 통해 교사의 시각에서 혁신학교의 의미를 탐구하고 유아교육에의 시사점을 찾고자 연구방법: 내러티브 탐 구 방법을 선택하였다. 연구결과: 문제의식과 교육에 대한 회의감을 갖고 있었던 한교사는 같은 마음을 가 진 교사들을 만나 폐교대상학교에 혁신학교를 시작하게 되었다. 작은 학교 성공사례들에 힘을 얻어 동료교 사들과 교육철학에 합의하고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문화, 예술, 생태 기반 생명 중심 교육과정을 만들게 되 었다. 9년의 시간을 통해 내부 교직문화의 변화, 외부 행정과 정책의 변화를 일으키며 공교육의 정상화를 도모하였다. 교사 자율성과 민주성이 아이·학교·가정·마을이 상생하는 교육공동체를 운영할 수 있게 하는 계 기가 되었다. 결론: 추후연구를 통해 이와 같은 교사중심의 혁신학교 운영의 사례들이 많이 연구되어 유아 교육의 혁신의 방향을 수립하는데 있어 실천적 사유의 장이 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