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복합재난 예측 모형 설계를 위한 공통 입출력 파라미터 도출 연구

        이병훈,이병진,오승희,이용태,김경석 사단법인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 2017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2 No.4

        In this paper, the I/O parameters of existing predictive models were analyzed to construct a composite disaster prediction model that incorporates a previously developed natural disaster prediction model and a prediction of social disaster prediction models. A complex disaster prediction model indicates a combination of multiple disasters, not a single disaster. Such a complex disaster was mainly linked to a social disaster caused by natural disasters resulting from natural disasters, so it conducted a study of natural disasters and social disaster prediction models. Several estimates were analyzed based on several predictive models of prediction models, and the I/O parameters applied universally were derived by the types of disaster types. In this paper, It will help develop a study aimed at building a complex disaster prediction model. 본 논문은 기존에 개발된 자연재난 예측 모형과 사회재난 예측 모형을 통합한 복합재난 예측 모형을 구성하기 위하여 기존 예측모형들의 입출력 파라미터를 분석하였다. 복합 재난 예측 모형은 단일 재난이 아닌 다수의 재난이 복합적으로 일어나는 상황을 나타낸다. 이러한 복합재난은 주로 자연재난으로 인해 발생한 사회재난으로 연계되는 경우가 주를 이루기 때문에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예측 모형의 연결방안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에 개발된 예측 모형 중 재난 유형별로 몇 가지 예측 모형을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재난 유형별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입출력 파라미터가 도출되었다. 본 논문은 향 후 진행되어질 복합재난 예측 모형 구축을위한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 SCOPUSKCI등재

        Neanurid collembola 침샘의 형태 및 세포학적 비교

        이병훈 한국유전학회 1985 Genes & Genomics Vol.7 No.4

        Salivary glands from eleven species of Neanuridae (Collembola) varied in morphology with distinct generic differences. Plotting a range diagram of the numbers and sizes of the cell nuclei revealed four separate groups, possibly suggesting three strategies controlling salivary gland growth, 1) cellular multiplication, 2) cell volume increase, or 3) a combination of the two. Cellular multiplication may assure accentuated salivary function in some advanced form like Crossodonthina spp. in the present study as a potential alternative to ontogenetic lateral DNA increase observed in dipteran groups and most Neanurid Collembola with giant chromosomes.

      • KCI등재

        문재인 정부의 노동 정책에 대한 평가

        이병훈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21 동향과 전망 Vol.- No.113

        The labor policy of Moon Jae-In government, which was officially formulated by the National Planning and Advisory Commission, was shaped in the form of policy promises by the candle-light labor activism circles’ demand on pro-labor reforms, policy-solidarity agreements with labor unions, and the need of progressive political campaigns to differentiate from the conservative governments. In this study, fifteen labor policies, implemented by Moon Jae-In government, are comparatively examined in terms of policy implementation and impacts. The comparison identifies four patterns in the combination of policy implementation and impact as follows: 1) full policy implementation with little impact, 2) limited policy implementation with little impact, 3) no policy implementation, 4) full policy implementation with a satisfied impact. As such, labor policies pf Moon Jae-In government are diverse in terms of implementation processes and outcomes. In order to comprehend the changes and diversity in the implementation of labor policies, it is significant to figure out the implementation capacity of policy making actors and their political interplay with other involved actors, as well as to examine the structural contexts and constraints. 문재인 정부의 노동 정책은 대선 국면에서 촛불 시민 혁명의 핵심 주체로 동참하였던 노동계의 ‘친노동적’ 개혁 요구, 노동조합들과의 정책연대협약 체결, 그리고 보수 정권과의 차별화된 진보적 정책 대안의 제시 필요성 등에 의해 정책 공약의 형태로 형성되었으며, 집권 후 국정기획자문위원회에 의해 국정 과제로 확정되어 공표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검토한 15개의 노동 정책 과제를 이행 여부와 집행 효과의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비교·검토해 보면, 1) 이행하였으나 집행 효과가 미진하거나 새로운 문제를 초래하는 유형, 2) 이행 수준과 집행 효과가 모두 제한적인 유형, 3) 전연 이행되지 않은 유형, 4) 이행 수준과 집행 효과 모두 계획대로 또는 그 이상으로 발전된 유형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한 노동 정책들의 실행 궤적이나 집행 성과가 상당히 다양하다는 점에서 정책 집행의 변동과 편차를 이해하려면 정책 추진의 구조적 맥락 조건이나 제약 조건을 진단하는 것으로 그치기보다 노동 정책에 간여하는 다양한 주체들 간의 정치적 상호작용과 정책 추진 주체의 집행 역량을 면밀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 한국산 털보톡토기과(곤충강)의 표현형과 효소유전자형질에 대한 분지분석

        이병훈,박경화 한국통합생물학회 1991 동물학회지 Vol.34 No.3

        한국산 털보톡토기과(Collembola, Insecta)의 계통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이 과에 속하는 3개속(Sinella, Entomobrya, Homidia)의 6종과 가시톡토기과의 1종(Tomocerus kinoshitai)에 대하여 모서식과 형태적 조사 외에 전기영동을 이용한 효소분석을 시리시하였다. 이들 모든 조사에서 32개의 형태형질과 33개의 모서식형질 및 80개의 효소유전자 형질을 얻어 분지분석하였는데, 이중 효소유전자에 대해서는 UPGMA방법도 적용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 다양한 분지도를 얻었으나, Homidia종들은 언제나 두 개의 무리로 분리되었으며, Homidia munda의 두 아종이 가장 유연관계가 높았다. 반면에 Homidia koreana의 두 개체군은 다소 분리되어 같은 종으로 보기 의심스럽다는 소견을 얻었다. 또한 형태형질분석으로 얻은 계통수에서 가시톡토기과의 Tomocerus종이 털보톡토기과의 속들 사이에 끼어들어 나타나는데 이것은 형질에 따라 비중을 달리두는 평가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 결과 대체로 외부형질과 모서식, 그리고 효소유전자의 세가지 유형의 형질들을 종합 분석할 때 도출되는 계통수가 자연분류에 가장 가까운 근연성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16세기 안동지역 재지사족의 성장과 서당 건립 활동

        이병훈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8 민족문화논총 Vol.69 No.-

        In the 16thcentury, the Hyangchon domination order was established by JaejiSajok(在地士族). Jaeji Sajok grew in popularity mainly among Yiju(移住) families such as those with native family names like the Jinseong Yi family, the Heunghae Bae family, and the Gwangsan Kim family, or mainly those within the Andong Gwon family. Meanwhile, the Hyangchon order was reorganized through the lead of Toegye(退溪) Yi Hwang(李滉) and his literary affiliates beginning in the mid-16thcentury after his retirement to the country. They reinforced the implementation of Hyangyak(鄕約) and the standard of Hyang-an(鄕案) Ibrok(入錄) while also promoting academic and blood solidarity through exclusive marriage among Jaeji Sajok. Accordingly, Seowon(書院), Seodang(書堂), Jeongsa(精舍), and other spaces were established by powerful families such as the Andong Gwon family, the Uiseong Kim family, the Pungsan Ryu family, and the Jinseong Lee family as a means of reinforcing the Jaeji basis of Sajok. The Seodang and Jeongsa of the Andong(安東) and Ye-an(禮安) regions appeared after Toegye’s Gyesang Seodang(溪上書堂) and were regularly established after his death. Since the main agents of the establishment of Seodang by the powerful families were mostly Toegye’s literary affili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yesang Seodang and Dosan Seodang(陶山書堂) in Dohakjeok(道學的) and Jeongsajeok(精舍的) influenced these individuals. When Toegye was alive, he visited the Seodang which he established and generally read at Sachal(寺刹) and Amja(庵子) according to the previous customs. There were differing characteristics of Jeongsa, which were open only to a few persons as Jonyang implied the place of an individual, and Seodang, which were universal and open to the public. Thus, Sohak and Saseo became basic, since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curriculums were similar. Jeongsa and Sadang, established by individual literary affiliates, targeted the children and Sajok Dongmong.(士族童蒙) However, the spaces established jointly by Dong-in(洞人), Hyun-in(縣人), and several Sajok mostly included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the Sajok for educational purposes. Jeongsa, as the Jonyangcheo of an individual, appeared a lot among former government officials and after Japanese invasions of Korea.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a lot of instances of Seodang due to the fact that individuals who had literary associations and high reputations such as Hakhaeng(學行), Sahwan(仕宦), and the descendants of the representative families of Andong (including, among others, Yi Hwang(李滉), Lyu Seongryong(柳成龍), Kwon Homun(權好文), Gu Bongryeong(具鳳齡), and Bae Yonggil(裵龍吉)) were advanced to Seowon. Later, there arose such spaces as the Dosanseowon Confucian Academy(陶山書院), the Byeongsanseowon Confucian Academy(屛山書院), the Cheongseongseowon Confucian Academy(靑城書院), the Jugyeseowon Confucian Academy(周溪書院), the Dosaengseowon Confucian Academy(道生書院), and the Gyeonggwangseowon Confucian Academy(鏡光書院). Eventually, the Seodang of the 16thcentury took on the regular role in reinforcing Sajok domination through the distribution of Neo-Confucianism and Yeje(禮制) as an assistant educational institute of Seowon in the transitional period when the Seowon system was established. 조선시대 서당은 한말까지 기능하면서 유학과 유교윤리의 보급과 정착에 기여하였다. 특히 서당이 향촌사회에 정착하던 16세기는 사림세력의 성장과 그 궤를 같이하고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영남지역에서 가장 사족이 번성하였고, 조선후기 영남사회를 영도하였던 안동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5세기 이래로 안동과 예안지역에서는 안동권씨를 비롯한 일부 토성과 타지에서 이주해온 가문들이 사족사회를 주도하고 있었다. 이들은 산사와 서재 등을 통해 동몽교육을 진행해왔다. 그러나 16세기 중반 퇴계 이황이 낙향하여 계상서당과 도산서당 등을 통해 본격적으로 후진을 양성하면서, 그의 문인들에 의한 서당 건립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즉 15세기 이래로 안동지역에 정착해온 가문들을 중심으로 그들 가문이 거주하는 지역에서의 서당 건립이 퇴계문인들에 의해 진행되었다. 한편으로는 중앙정부의 유학지배체제의 확산노력에 힘입어 수령을 중심으로 한 면리단위의 서당 건립과 동몽을 중심으로 초학교육과 윤리서 보급이 진행되었다. 퇴계문인들은 사족 자제의 교육을 중심으로 서당을 운영하면서 동몽의 초학교육에서부터 성리학의 심화 과정까지 다양한 교육이 진행되었다. 그 결과 임란이후 기존의 유교경전 및 윤리서 중심의 서당 교육을 유지하는 곳이 있는 반면, 보다 높은 수준의 성리학 교육을 진행하였던 도학적 서당은 도산서원, 병산서원 등과 같이 서원으로 승원하기도 했다. 이들 도학적 서당은 당시 함께 확산되었던 서원과 교육 수준에서 별다른 차이점이 없었다. 한편 옥연서당과 같이 은거수양을 목적으로 건립된 정사형 서당도 확인된다. 서당의 성격이 규정되지 않았던 16세기는 이처럼 도학적, 정사적 성격의 서당뿐만 아니라 사족자제 외에도 일반민의 동몽을 대상으로 하는 서당이 혼재하여 건립되었다. 또한 서당의 건립 주체는 그 교육대상에 따라서 사족자제는 해당 지역의 사족 가문이 건립하였으며, 일반민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면리민과 수령의 주도로 건립되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서당의 건립목적은 동몽들의 교육을 통한 유학 사상의 보급과 사족주도의 향촌지배질서를 확립하는 것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