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 3,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영역과 생활주제에 나타난 유아인권교육 내용 분석

        원혜경 ( Hye Kyung Won ),조숙영 ( Suk Young Ch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만 3,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영역과 생활주제에 나타난 유아인권교육 내용을 본 연구의 분석준거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만 3세의 생활주제 10권에 포함된 676개의 활동과 만 4세의 11권에 포함되어 있는 731개의 활동이다. 분석결과 첫째, 5개영역에 나타난 유아인권교육 내용은 3세 1,840개, 4세 2,195개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유아인권 교육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영역은 만 3, 4세 연령 모두 사회관계영역으로 3세 597개, 4세 787개를 다루고 있었으며, 그 중 ‘참여’에서 3세 287개, 4세 402개로 나타나 유아인권교육내용을 가장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전체 생활주제 가운데 만 3, 4세 연령 모두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생활주제에서 유아인권교육 내용을 가장 높게 다루고 있었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생활주제는 전체생활주제 가운데 3세 242개(13.2%), 4세 252개(11.5%)로 나타났으며, 그 중 ‘교육과 휴식’에서 3세 142개, 4세155개로 나타나 가장 비중 있게 다루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이 3, 4세 연령에 따른 유아인권교육 관련 활동을 계획하고 전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체계적인 유아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추후 개발될 교육과정에서 유아인권교육관련 활동을 계획.구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contents of child’s human rights education presented in the area and life theme of nuri curriculum teacher’s guidebook for the ages of 3-4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of this study. The subject of analysis consists of 676 activities included in the 10th volume of life themes for age 3 and 731 activities in the 11th volume of age 4.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ntent of child’s human rights education appeared in 5 areas includes 1,840 for age of 3 and 2,195 for age of 4. Area that dealt largely with the contents of child’s human rights education was the social relation domain for both 3 and 4-year-olds that 597 were conducted for 3-year-olds and 787 for 4-year-olds, and it was identified that ‘participation’ covered contents of child’s human rights education most importantly with 287 for 3-year-olds and 402 for 4-year-olds. Second, among entire life themes, the contents of child’s human rights education was treated most importantly in life theme of ‘spring, summer, fall, winter’ for both 3-year-olds and 402 for 4-year-olds. There were 242(13.2%) life themes of ‘spring, summer, fall, winter’ for 3-year-olds and 252(11.5%) for 4-year-olds, and among them, ‘education and rest’ was treated most importantly with 142 for 3-year-olds and 155 for 4-year-olds.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basic data for teachers in childhood education field to plan and develop activities for 3 and 4-year-olds related to child’s human righ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Also,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providing basic data which will be required in developing systematic child’s human rights educational program and which will be needed in planning and organizing activities related to child’s human rights education in educational curriculum that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 KCI등재

        예비 유아교사의 교직동기와 교직열정이 유아권리인식에 미치는 영향

        원혜경(Won, Hye-Kyung),조숙영(Cho, Su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직동기, 교직열정, 유아권리인식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교원양성과정에서 유아권리인식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북 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472명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방식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21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검증, ANOVA와 Scheffe 사후검증,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열정, 교직동기, 유아권리인식은 학년에 따른 차이나 교육 실습 경험 유무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둘째, 교직열정, 교직동기, 유아권리인식 간에는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직동기와 교직열정이 유아권리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아권리인식 전체 및 하위 요인에 대해 교직동기 및 교직열정 중 ‘열정준거’가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 으며, 모든 회귀모델에서 교직동기가 가장 영향력 있는 설명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a solution to promote awareness of children s right in the course of teacher training based on understanding of teacher motivation, passion for teaching, and awareness of children s right. For this study purpose, data from 472 pre-kindergarten teachers who are studying in three-year childhood educa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e-kindergarten teacher s motivation, passion for teaching, and awareness of children s right based on student s grade or experience in student teaching program.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 s motivation and passion for teaching and awareness of children s right. Thirdly,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analysis on effect of motivation and passion for teaching, Passion criteria among teacher s motivation and passion for teaching was shown 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awareness of children s right and sub-factors and it was also found that teacher s motivation was a most influential explanatory variable in all of regressions.

      • KCI등재

        플립러닝을 활용한 유아동작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수효능감과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혜경(Won, Hye-Kyung),김영주(Kim, Young-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본 연구는 플립러닝을 통한 유아동작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수효능감과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3년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2학년 학생 103명이었으며, 이들은 2019년 2학기 동작교육 과목을 수강하면서 13주간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플립러닝을 활용한 유아동작교육 수업에 참여하였다. 실험처치 전후 동작교수효능감과 전공만족도의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변화를 살펴보았다.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수효능감과 전공만족도가 어떠한가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플립러닝을 활용한 유아동작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수효능감과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수효능감은 5점 평정에 각각 동작교수 결과기대효능감 3.698점, 개인적 동작교수효능감 3.045점, 전공만족도 3.122점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플립러닝을 활용한 유아동작교육 수업은 동작교수효능감 전체 및 하위 영역 중 개인적 동작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전공만족도 전체 및 전공만족도 4개 하위영역 모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class through flipped learning on movement teaching efficac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103 sophomore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a 3-year college located in Gyeonggi-do, and they participated in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class using flipped-learning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for 13 weeks while taking a movement education clas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9. Pretest and posttest of movement teaching efficac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procedure to examine the changes. Descriptive statistics was conducted to analyze movement teaching efficac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conducted paired t-tes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using flipped learning on movement teaching efficac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s a result, movement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relatively high as movement teaching outcome expectation efficacy was 3.698 pts, individual movement teaching efficacy was 3.045 pts, and department satisfaction was 3.122 pts on a five-point scale. Also,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using flipped learning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hole movement teaching efficacy and on individual movement teaching efficacy among the sub-areas, and it was identified that it make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hole department satisfaction and 4 sub-areas of department satisfaction as well.

      • KCI등재

        일반논문 : 보육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 원장의 도덕적 리더십과 교사몰입의 관계에서 조직구성원의 도덕적 자율성의 매개효과

        조숙영 ( Suk Young Cho ),원혜경 ( Hye Kyung W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어린이집 원장의 도덕적 리더십, 조직구성원의 도덕적 자율성, 보육교사의 몰입 등의 교육·보육의 질 향상과 관련된 핵심 인적변인들 간의 관계를 밝 히며, 어린이집 원장의 도덕적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직구성원 의 도덕적 자율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영유아의 행복한 삶을 보장하고 교육·보육의 성 과와 질을 높이기 위한 어린이집 원장의 효과적인 지원체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 다. 이를 위해 서울, 경인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 문자료 총 302부를 분석하였다. 어린이집 원장의 도덕적 리더십, 조직구성원의 도덕적 자율성, 교사몰입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r =.38~.59),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조직구성원의 도덕적 자율성이 원장의 도덕적 리더십과 교사몰입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 는 것을 확인하였다[최종 모형 적합도 지수: χ(2)=169.418(df=63, p <.000), RMSEA = .077, SRMR = .045, NNFI = .934, CFI = .946]. 본 연구결과는 어린이집의 교육·보육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어린이집 원장이 도덕적 리더십 으로 보육교사의 교직 및 영유아에 대한 몰입을 직접 유도하기 보다는 조직구성원의 도덕적 자 율성이 증진되도록 리더십을 발휘하고 지원하는 방법이 보다 효과적임을 밝힌 것으로 어린이집 의 도덕적인 조직문화 조성을 위한 방안과 이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인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기 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key human variables related 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educare including daycare center director`s moral leadership perceived by daycare teachers, the moral autonomy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teacher commitment. It`s specifically meant to investigate what mediated effect the moral autonomy of organizational members would produce while daycare center director`s moral leadership affected teacher commitment in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ensure the happy lives of infants and preschoolers and how to improve the support of directors to boost the outcome and quality of educar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2 teachers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the region of Gyeongin,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moral leadership of the directors, the moral autonomy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and the commitment of the teachers(r=.38~.59). Whe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arried out, it`s confirmed that the moral autonomy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had a perfect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ral leadership of the directors and the commitment of the teach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ascertained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re in daycare center, it is more effective for the director to exert the kind of leadership to further the moral autonomy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than to exert moral leadership to stimulate teacher commitment to teaching and infant or preschoolers in a direct way. In the future, follow-up research efforts should be made to determine how to create a moral organizational culture in daycare center and what variables affect it.

      • KCI등재

        유아「안전교육」관련 내용 분석

        조숙영(Suk Young Cho),원혜경(Hye Kyung W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유아 안전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 준거에 의해 누리과정 관련요소별, 활동유형 및 흥미영역별, 생활주제별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유치원 교사들이 유아 안전교육 관련 내용을 보다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전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며, 나아가 유아 안전교육에 필요한 실질적인 관련 매뉴얼과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데에도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첫째, 5세 누리과정 관련요소별에 포함된 유아 안전교육 관련 내용은 85개(32.4%)를 보인 신체운동·건강영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놀이에 대한 안전이 17개를 보여 가장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활동유형 및 흥미영역별에 수록된 유아 안전교육 관련 내용은 총 100개였으며, 그 중 대·소집단 활동이 60개 (60.0%)를 나타내어 가장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전체 활동유형 및 흥미영역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유아 안전교육 관련 내용은 24개를 보인 물건, 도구, 기구에 대한 안전으로 나타났다. 셋째, 11개의 생활 주제 가운데 유아 안전교육 관련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생활주제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이었으며 22개 (22.2%)의 유아 안전교육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in teacher``s manual for Nuri-curriculum by Nuri-curriculum related elements, activity type, interest region, and life theme based on the criteria of analysis.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help for kindergarten teachers to plan and progress the safety education related contents more systematically,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 for preparing substantial related manuals and programs that are required in safety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ighest number of contents related to the safety education of children in the five-year-old Nuri-curriculum was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 with 85 contents(32.4%), and among them, there were 17 contents for play safety that were treated with highest emphasis. Second, there were 100 contents on safety education of children listed in the activity type and interest area, and among them, there were 60 contents(60.0%) for large/small group activity that were treated with highest emphasis. Also, for contents on safety education of children, safety for objects, tools, and apparatus was highest in entire activity type and interest area with 24 contents. Third, among 11 life themes, the topic that handled contents related with safety education of children was ‘spring, summer, fall, winter’ with 22 contents(22.2%).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DISC행동유형에 따른 교직동기와 교직열정의 차이

        김영주(Kim, Young-Ju),원혜경(Won, Hye-K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행동특성을 기반으로 한 교직동기 및 교직열정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통하여 교원양성과정의 교육의 효율성과 유아교사의 핵심역량 극대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북 지역의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1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예비유아교사의 행동유형은 상호작용(I)형, 지지(S)형, 판단(C)형, 주도(D)형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동유형에 따른 교직동기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직동기 전체 및 하위요인 중 ‘지적자극’을 제외한 ‘아이들과 활동’, ‘자아평가’, ‘애타주의’, ‘일의 성격’ 4개 하위요인에서 행동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동유형에 따른 교직열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열정준거’와 ‘조화로운 열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집착적 열정’에서는 행동유형별로 교직열정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ness of education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maximizing core ability of pre-kindergarten teachers through objective understanding of teacher motivation and passion for teaching based on behavior characteristics of pre-kindergarten teacher.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data of 210 pre-kindergarten teachers who are enrolled in 3-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eoul, Gyeonggi, and Chungbuk reg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he behavior type of pre-kindergarten teachers was in the order of interaction(I) type, support(S) type, judging(C) type, and dominance(D) type.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in teacher motivation based on the behavior type of pre-kindergarten teacher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y behavior type in 4 subfactors among the entire and subfactors of teacher motivation as ‘activities with children,’ ‘self-assessment,’ ‘altruism,’ and ‘character of work.’ Thir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in passion for teaching based on the behavior type of pre-kindergarten teacher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ndard of passion’ and ‘harmonious passion,’ but ‘obsessive pass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passion for teaching based on the behavior type.

      • KCI등재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조숙영(Cho Suk Young),원혜경(Won Hye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에 관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초조사, 예비조사, 본 조사를 거쳐 유아교사 총 858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SPSS & AMOS 18.0을 통해 분석하였다. 먼저 기초조사에서는 유엔의 아동권리협약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토대로 구성개념 탐색 및 문항개발을 하였고, 전문가 적절성 검증을 통해 1차 시안을 마련하였다. 예비조사에서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의 유아교사 276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 척도는 ‘생명존중 돌봄 받을 권리’, ‘차별받지 않을 권리’, ‘폭력과 학대로부터 보호받을 권리’, ‘적합한 발달을 지원받을 권리’, ‘의사표현의 자유와 참여의 권리’ 등의 5요인 27문항으로 개발되었다. 본 조사에서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강원도 및 충청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의 유아교사 582명의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 척도의 측정모형의 적합성이 입증되었으며, 내적합치도(Cronbach’s α)는 .93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 척도의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해 유아권리존중 실행척도와 pearson’s 적률상관분석 결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가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을 측정하는데 신뢰성 있고 타당한 것임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for infant right awareness of infant teachers. For this purpose, 85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SPSS & AMOS 18.0 though basic , preliminary and main surveys. In the basic survey, first, configuration concept was explores and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Rights of the Child and review of preceding literatures and the first draft was prepared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e experts. In the preliminary survey, questionnaires with 276 infant teachers of children education institute located at Seoul and Gyeonggi-do were used to perfor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5 factors and 27 questions were developed. Five factors include ‘Respect for life. right to be cared’, ‘Right not to be discriminated’, ‘Right to be protected from violence and abuse’, ‘ Freedom of expression and right to participate’. This study verifi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by using questionnaire data of 582 infant teachers of child education institute located at Seoul, Gyeonggi - do, Gangwon - do and Chungcheong - do. As a result, it is proved that measurement model of infant right awareness scale of infant teacher is appropriated, showing .93 of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ronbach’s α). For verification of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infant right awareness scale of infant teacher,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as observed as the result of Pearsons’s product-moment correlation with respect for infant rights execution measure. Such results confirm that the scale developed in the following study is reliable and valid in measuring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 구성주의 과학교육의 경사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 및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 만 3세아 중심으로

        이영만(Lee, Young-Man),홍경란(Hong, Kyung-Ran),원혜경(Won, Hye-Kyung)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2010 변형영유아교육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유아의 과학적 능력 향상을 위해 물리적 지식활동 중 3세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경사활동을 적용하여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 향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으로 만3세아 10명으로 실험집단 5명, 통제집단 5명유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경사를 이용한 물리적 지식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과학적 탐구능력 점수가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점수는 경사를 이용한 물리적 지식활동에 참여한 사전-사후 점수 증가분의 차이가 실험집단 7.13( SD=1.43), 통제집단 .47( SD=.90)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8)=6.67, *** p<.001). 즉 경사를 이용한 물리적 지식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었으며. 둘째, 경사를 이용한 물리적 지식활동의 유아의 과학적 태도는 사전-사후 점수 증가분의 차이가 실험집단 7.60( SD=2.27), 통제집단 1.10( SD=1.24)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t(8)=5.61, ** p<.001). 즉 경사를 이용한 물리적 지식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 향상에 과학적 태도 향상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었음을 알 수 있다. For this research, 10 kids of an experimental group and 5 kids of a controlled group age of 3 were observed to find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ies using slopes for the purpose of intellectual development on the improvement of kids'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Firstly, kid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uch higher scientific inquiry ability score compared to the controlled group. Kids' scientific inquiry ability score change before and after the activities using the slope were 7.13( SD=1.43) for experimental group and .47( SD=90) for controlled group respectively and therefore the scor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t(8)=6.67,*** p<.001). Thus it showed firstly, significant evidence that activities using slopes has positive effect on the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secondly score change before and after the activities using the slope were 7.13( SD=1.43) for experimental group and .47( SD=90) for controlled group respectively and therefore the scor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t(8)=6.67,*** p<.001). In conclusion, it could be seen that physical activities using slopes for the purpose of intellectual development are effective programs for the improvement of kids' scientific attitude and scientific inquiry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