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지 마비의 척삭종 환자에서 동반된 장관 기종 1예

        양혜민,임윤정,이용석,이진호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0 Clinical Endoscopy Vol.40 No.6

        Pneumatosis cystoides intestinalis (PCI) is an uncommon clinical condition of undetermined etiology that is characterized by multiple subserosal or submucosal gas-filled cysts. PCI may be associated with gastrointestinal, pulmonary or connective vascular diseases.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re non-specific. PCI is diagnosed by plain X-ray or CT of the abdomen. The clinical course and prognosis are usually good. Complications such as intestinal obstruction, intussusceptions and bowel perforation can occur in rare cases. Here we report a case of PCI in a chordoma patient with tetraplegia who complained of abdominal distension. The patient was diagnosed by plain X-ray which showed bubbles in the small bowel. The abdominal distension and the bubbles were markedly improved by conservative treatment. 장관 기종은 소화관 장벽의 점막하층 또는 장막하층에 다발성 낭포를 보이는 드문 질환으로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소화기, 호흡기, 교원성 질환과 연관된 이차성 장관 기종이 85%를 차지한다. 장관 기종만의 특징적인 증상은 없으나 진단은 단순 복부 촬영 및 복부 CT로 진단한다. 장관 기종은 대부분 예후가 양호하나, 약 3%에서는 장폐쇄, 장중첩증, 장천공 등의 합병증이 발생한다. 저자 등은 사지마비의 척삭종 환자가 복부팽만으로 내원하여 시행한 단순 복부 촬영에서 소장의 장관 기종을 진단하고 금식, 항생제 치료만으로 호전된 증례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퓨란계 화합물의 중합을 통한 고탄소 디젤 연료 전구체 생산

        양혜민,최재욱,서동진,하정명,최정규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0

        지구온난화에 의한 기후 변화와 화석연료의 고갈 등 여러 가지 문제들이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끌고 있고 이를 해결 할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중에서도 바이오 매스를 이용한 바이오 연료는 저장성이 우수한 액체 연료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어 바이오 연료에 대한 많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바이오매스로부터 석유 유사 연료인 고탄소 디젤 연료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탄화수소사슬이 증가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 기반 촉매 원료의 표면을 산 처리하여 촉매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이 탄소 기반 산촉매를 이용하여 목질계 바이오매스 유래 퓨란계 화합물의 중합 반응을 통해 고탄소 디젤 연료 전구체를 생성하고자 한다.

      • KCI등재

        Artistic character generation technique using a controllable diffusion model

        양혜민,희경,민경하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23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36 No.3

        With the recent advent of Metaverse, the character industry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faces is drawing attention. there is a hassle that users have to select face components such as eyes, nose, and mouth one by one. In this paper, we propose a diffusion-based model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characters from content human photographs. Our model generates user artistic characters by reflecting content information such as face angle, direction, and shape of a content human photo. In particular, our model automatically analyzes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glasses and whiskers from content photo images and reflects them in artistic characters generated. Our network generates the final character through a three-step: diffusion process, UNet, and denoising processes. We use image encoders and CLIP encoders for the connection between style and input data. In the diffusion process, a collection of noise vectors is gradually added to a style vector to enable lossless learning of the detailed styles. All input values except for the style images are vectorized with CLIP encoders and then learned with noise style vectors in the UNet. Subsequently, noise is removed from the vectors through the UNet to obtain the artistic character image. We demonstrate our performance by comparing the results of other models with our results. Our method reflects content information without loss and generates natural high-definition characters.

      • KCI등재

        신규간호사의 프리셉터와의 교환관계와 소진이 재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혜민(Hye Min Jang),야기(Ya Ki Yang)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3 사회융합연구 Vol.7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exchange relationship with the preceptor, burnout, and intention to work of new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tention intention of new nurses. The participants were 170 nurses from one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J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February 2, 2023 to March 2, 2023 from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28.0 program. The exchange relationship with the preceptor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intention to stay at work (r=.33, p<.001). Burnou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ntion to stay at work (r=-.54, p<.001).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ubject's intention to stay at work in this model were in the order of burnout (β=-.47, p=.027) and exchange relationship with the preceptor (β=.18, p=.007). The explanatory power of was about 32.9% (F=11.35, p<.001). In order to improve the intention to stay at work of new nurses, various institutional devices should be prepared so that they can continue to work in hospital, and systematic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reduce burnout.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 신규간호사의 프리셉터와의 교환관계, 소진 및 재직 의도 정도를 확인하고, 신규간호사의 재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3년 2월 2일부터 2023년 3월 2일까지이며, J도 소재 W대학병원 신규간호사 1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one way-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프리셉터와의 교환관계는 3.50점(4점 만점), 소진은 2.70점(5점 만점), 재직 의도는 5.64점(8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프리셉터와의 교환관계는 재직 의도(r=.33,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소진은 재직 의도(r=-.54,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재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소진(β=-.47, p=.027), 프리셉터와외 교환관계(β=.18, p=.007) 순이었으며, 이 모형의 설명력은 32.9%로 나타났다(F=11.35, p<.001).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신규간호사의 소진을 줄이고, 프리셉터와의 교환관계를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마련과 이를 적용하고 효과를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신규간호사가 지속적으로 임상에 재직할 수 있도록 충분한 행정적 지원과 다양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 전기 이중구연토기의 공간적 분포양상

        양혜민(Yang, Hyemin) 중부고고학회 2015 고고학 Vol.14 No.2

        본고는 청동기시대 전기 중서부지역을 범위로 하여 주로 가락동식토기와 흔암리식토기의 중요한 구연 부속성으로 인식되는 이중구연토기의 공간적 분포 및 타 문양과의 결합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유사한 문화권역 및 수계, 현재의 연구방향에 따라 임의적으로 4개의 지역군을 구분하고, 이중구연토기는 이 중구연과 돌대문, 공렬문 및 구순각목 등의 결합된 구연부 속성을 토대로 다섯 가지로 구분하였다. 방사성탄소연대를 활용하여 살펴본 결과 이중구연토기는 지역별로 증감양상이 비슷하고, 각각의 문양이 비슷한 시기에 공존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각 지역별로 이중구연문과 결합되는 문양뿐만 아 니라 각각의 문양이 공반되는 양상이 차이를 보였다. 특히 중서부지역의 내륙에는 이중구연토기가 단독으로 출토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서해안이나 금강하류와 같은 중서부의 외곽지역으로 갈수록 다른 문양의 결합이 많았다. 또한 각 문양별로 공반되는 토기의 양상도 다르며, 공반토기의 다양성도 지역과 관련 있었다. 결론적으로 각 문양의 분포 및 결합양상은 시간이 아닌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중서부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문양을 기준으로 한 편년을 적용하는 것은 재검토할 필요성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The present study represents a critical review of current chronology of Early Bronze Age based on reanalysis of double-rimed pottery from central-western Korea. In so doing, it shows dynamic spatial distribution of diverse cultures coexisting in the region. Current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chronological construction based on formal variability of established pottery types, and variabilities in the assemblage composition which are well exposed by recent excavations are significantly underrepresented. While many previous studies placed too much emphasis on typological differences of so-called Garakdong-style pottery and Heunamri-style pottery, this study focuses on double-rimed pottery remains from central-western Korea. Pottery remains are then divided into five groups based on combination of double-rimed pottery and other elements such as Doldaemun, Rim-perforation, and Notched strip on plain rim. Variabilities and their association with other pottery types suggest patterned distribution in the region. Consequently, distribution and combination aspect of each pattern are different by area and applying chronology based on pattern to Central-Western korea needs to be reexamined. This paper emphasize that various cultural aspect coexists in this region and examine spatial aspect of Double-rimed pottery.

      • KCI등재

        3D 공간캡처 기술 기반의 메타버스 제작 파이프라인 연구

        양혜민(Hye-Min Yang),유태경(Tae-Kyung Yoo)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3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5

        In this study, we proposed a production pipeline to effectively create virtual spaces for use in a highly immersive metaverse using 3D space capture technology. Previous research on virtual space production has focused primarily on the development of core technologies and the use of hardware. We aimed to combine and optimize the latest engineering technologies to make the production process commercially viable, and not merely focused on advancing them. We introduced automation using 3D reconstruction and cross-polarization photography technology based on existing asset creation and scene rendering techniques. The proposed method considers cost-effectiveness, that is, reducing the production time and costs, as well as productivity and software availability resulting from the automation of some of the work processes. In the future, the proposed pipeline will contribute to the infrastructure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the next-generation metaverse by enhancing the stability of virtual space production and supplementing technological capabilities.

      • KCI등재

        실시간 사족보행 동물 캐릭터 리그 시스템 개발

        양혜민(Hye-Min Yang),유태경(Tae-Kyung Yoo)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3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12

        This paper proposes a real-time character rig system for efficiently utilizing quadruped animal characters in various immersive content types, including film, animation, games,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 The proposed system effectively integrates the film production and real-time content creation pipelines. This approach mirrors the concept of “MetaHuman,” combin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quadruped animal characters into a unified workflow and facilitating data sharing. We developed a program executable in Maya, which automatically generates a character rig system when a user inputs a model. This study provides a quadruped animal production guide aligned with industry trends and is expected to make a substantial contribution to various aspects of content creation, including planning, direction, and technical development of immersive content featuring animal charac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