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TPACK) 증진을 위한 수업모형의 효과 및 의미탐색

        양유진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5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TPACK) 증진을 위한 수업모형이 예비유아교사의 TPACK에 미치는 효과 및 수업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타당성 을 검증받은 양유진(2023)의 ECE-TPACK 모형시안을 예비유아교사 40명을 대상으로 총 15주간 적용하였다. 이후 순위 공변량분석과 Wilcoxon 대응-표본 순위검정, 반복측정 분산분석, 내용분석 법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ECE-TPACK 수업모형 모형 적용 후 실험집단 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평균이 증가하였다. 또한 수업모형의 적용 시간이 흐를수록 예비유아교사의 TPACK 능력이 지속적으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저널과 면담을 통해 본 수업모형은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테크놀로지에 대한 태도적인 측면에도 긍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수업의 모형은 예비유아교사들이 테크놀로지를 교육 과정에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토대로 교육 현 장에서 더 나은 교육 경험을 제공할 방안을 모색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 of an instruction model to improve the technology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examin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instruction. For this purpose, the literature related to pedagogical knowledge and technology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examined to derive the theoretical basis. The model proposed by Yang (2023), which was validated through a Delphi survey, was applied for analysis. A total of 4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University A and University B in Seoul participated for 15 weeks from September 1, 2022, to December 9, 2022.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instruction model for technology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technology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The instruction model is significant in that it enhance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ing of how technology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the curriculum. Based on this study, useful ways to provide better educational experiences in the classroom can be sought.

      •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과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이 테크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양유진,이주영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1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1 No.1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과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 테크노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과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이 테크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유치원,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210명을 표집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의 학력과 경력은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과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학력은 정적,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 하위요인 중 테크놀로지 유아교수내용지식은 부적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테크놀로지의 통합이 강조되는 현시점에서 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 함양과 테크노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교육을 위한 교육적 함의에 대해 논하였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과 이용정도가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양유진,이경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8

        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이용정도가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서울, 경기, 충청지역의 예비유아교사 2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설문지중 연구에 적합한 201부를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23.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결과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은 디지털 역량과 높은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 이용정도와 낮은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이용시간, 디지털, 페다고지, 디지털 시민성은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에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과 디지털 역량에 대한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Congenital Thoracic Ectopic Kidney associated with Diaphragmatic Hernia in a 15-month-old Boy

        양유진,정연준,황평한,이대열,김민선,Yang, Eu Jeen,Jeong, Yeon Jun,Hwang, Pyoung Han,Lee, Dae-Yeol,Kim, Min Sun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2014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8 No.2

        선천성 흉강내 신장은 이소성 신장의 가장 드문 형태로 알려져 있다. 흔히 증상이 없어 우연히 흉부 방사선 촬영을 통해 발견 되며, 주로 성인 시기와 산전 진단에서 진단 받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천성 흉강내 신장은 다른 동반기형이 없는 무증상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며, 횡격막 탈장이 동반된 경우 출생 후 수일 이내에 교정 수술이 필요 하다. 이에 저자들은 분만력, 과거력상 특이 소견이 없었던 15개월 남아로 간헐적인 심한 보챔을 주소로 내원하였고 흉부 방사선 촬영에서 종격동 종괴를 보여 시행한 초음파와 스캔에서 신장 위치의 이상을 확인하였고, MRI를 통해 횡격막 탈장을 확인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Congenital thoracic ectopic kidney is a very rare developmental disorder and the rarest type of ectopic kidney. This condition is usually asymptomatic and detected incidentally on routine chest radiography. Most cases of thoracic ectopic kidney develop in adulthood and during the neonatal period, and congenital thoracic ectopic kidney rarely develops in children. Most patients are asymptomatic, and the treatment depends on the diagnosis. Herein, we report a rare case of ectopic thoracic kidney associated with a diaphragmatic hernia in a 15-month-old male infant, who presented with periodic severe irritability. The thoracic ectopic kidney was detected as a mass in the right base of the chest on routine chest radiograph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TPACK) 수업모형 개발

        양유진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2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reliable instruction model to enhance the technology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prev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were reviewed, and 17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experts were selected to form an expert panel. Then, 2 rounds of the Delphi study were conducted with the experts. For the development of a reliable instruction model, descriptive statistics, the content validity ratio (CVR), and data validity (agreement and convergence) were calculated. As a result, the CVR value, agreement and convergenc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elphi studies conducted with the expert panel were all verified at a significant level. On the basis of the agreed final results, a technology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instruction model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developed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class goals and contents, based on the opinions regarding the direction of the instruction model presented by the panel in Delphi study on the second instruction model. This instruction model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a verified instruction model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t can provide assistance for properly integrating edu-tech into the classroom setting with a focus on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 증진을 위해 델파이 조사를 토대로 신뢰성 있는 수업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유아교육전문가, 유아교육현장전문가 17인을 전문가 패널로 선정하고, 1-2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양호한 수업모형 개발을 위해 기술통계, 내용타당도비율(CVR), 자료타당도(합의도와 수렴도)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합의한 결과를 중심으로, 2차 수업모형에 대한델파이조사에서 패널들이 제시한 수업모형의 방향성에 대한 의견들을 중심으로 수업목표와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예비유아교사 대상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수업모형은 영유아교사의 전문성 제고를 중심으로 에듀테크 기술을 교육현장에 적절히 통합할 수있도록 도울 수 있는 검증된 예비유아교사 대상 수업모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있다.

      •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과 이용정도가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양유진,이경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2 No.10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이용정도가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서울, 경기, 충청지역의 예비유아교사 2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설문지 중 연구에 적합한 201부를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23.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탐색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은 디지털 역량과 높은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 이용정도와 낮은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이용시간, 디지털, 페다고지, 디지털 시민성은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에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과 디지털 역량에 대한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에 따른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TPACK) 역량 및 교육요구도 분석

        양유진,전희경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5

        This study was aimed at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difference in the level of technology,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 according to teaching creativ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xamining the educational needs for TPACK competencies of each group with high or low teaching creativity.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4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y were verified through paired sample t-test, Borich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ctual TPACK competenc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actors and items of TPACK, and needs were always higher than actual executio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ecution level of TPACK for each group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teaching creativity. Third, in the priority of TPACK competencies for each group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eaching creativity, early childhood pedagogy knowledge was given the highest priority regardless of overall and teaching creativity, and the next priority was shown to be different for each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e training proc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수준에 따른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Technology,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 이하 TPACK) 역량 수준 차이를 확인하고, 교수창의성 상, 하 집단별 TPACK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24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대응 표본 t-검정,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분석을 통해 교육요구도와 우선순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가 실제 보유하고 있는 TPACK 역량에서 TPACK의 모든 요인과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모두 요구도가 실제 실행도 보다 크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수준에 따른 집단별TPACK 수행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수준에 따른 집단별 TPACK 역량에 대한 우선순위 결과, 전체와 교수창의성 수준과 상관없이 유아교육학지식이 최우선 순위로 나타났으며, 차순위에서는 집단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교육적 함의에 대해 논하였다.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테크놀로지관련 연구동향 탐색: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양유진,이주영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4

        This study explored technology-related research trends by selecting 423 papers from 20 KCI-registered academic journals cove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general from 2011 to 2021. Frequency, 1-mode centrality analysis, N-gram, and topic modeling analysis were performed for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and connection centrality of major keywords from 2011 to 2021, the frequency and connection centrality index of 'young children' were high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as well as R-learning, smartphones, parents,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ddic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N-gram analysis, it was found that many studies on technology-related perception, use, and addiction were conduct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young children and smartphones. Third, as a result of topic modeling, it can be seen that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smartphones on young children, parents, and homes was conducted, as well as research on media such as R-learning, technology devices, programs for technology educ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helpful in establishing the influence and direction of technology on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ransition to future education.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21년까지 유아교육 전반을 다루는 KCI 등재 학술지 20종으로부터논문 423편을 분석대상을 선정하여 테크놀로지 관련 연구동향을 탐색하였다. 키워드 네트워크분석 방법으로 빈도, 1-mode 중심성 분석, N-gram, 토픽 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11년부터 2021년까지 주요 키워드의 빈도와 연결중심성 분석 결과, 전 시기에 걸쳐‘영유아’의 빈도와 연결중심성 지수가 가장 높았다. 전반적으로 R-러닝, 스마트폰, 부모, 영유아교사, 중독 등의 단어 빈도가 높으며 이에 관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N-gram 분석 결과, 영유아, 스마트폰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테크놀로지 관련 인식, 사용, 중독 등의 연구가 다수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토픽 모델링 결과, R-러닝, 테크놀로지기기, 미디어 등의 매체와 테크놀로지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교수학습방법 등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영유아와 부모, 가정에스마트폰으로 인한 영향력에 대한 연구도 함께 이뤄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미래교육으로의 전환하는 데 있어 유아교육분야에서 테크놀로지가 교육에 미치는 영향력과 방향성을 설정하는 데 도움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