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불완전한 애도 :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애도 이론을 바탕으로

        신예빈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21 陶藝硏究 Vol.- No.30

        본 연구는 갑작스러운 반려견의 죽음으로 인한 연구자의 여러 감정을 고찰하며 반려견의 죽음을 애도하는 과정을 담은 논고이다.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은 반려동물을 키우며 자연스럽게 애착 관계가 형성되고 반려동물 소유자들은 동물을 단순한 객체가 아니라 애정 어린 관계를 나눌 수 있는 주체로, 즉 명백한 인격체로 여긴다. 이러한 관계가 형성된 상태에서 맞이하게 되는 반려견의 죽음은, 특히 예기치 못한 갑작스러운 죽음은 남은 사람에게 오랜 시간 동안 고통을 겪고 살아가게 만든다. 따라서 연구자는 이러한 갑작스러운 죽음을 겪은 후 행하게 되는 애도 과정에 관한 연구 후, 연구자의 경험을 토대로 죽음과 애도에 대한 탐구를 시작하였다.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애도(mourning)와 멜랑콜리아(mélancolie) 개념을 통해 가까운 이의 죽음을 경험한 후 상실감과 우울감이 어떻게 개인의 삶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프로이트는 애도를 정신분석학적으로 이행해야 하는 “작업”이라고 설명하며, 고통을 동반하지만 성공적으로 완수해야 하는 일이라고 말한다. 여기서 “작업”의 성공은 사랑하는 대상을 향한 리비도를 다른 대상으로 옮기는 행위를 의미하며, 이에 실패한 경우 병리적인 우울증인 멜랑콜리아에 빠진다고 하였다. 사랑의 대상이 죽었다고 다른 대상에게 리비도를 이동해야 한다는 것과 멜랑콜리아가 병리적 현상이라는 것에 동의할 수 없었던 연구자는 데리다의 애도 개념을 통해 상실에 대한 이해를 더 심화시키고자 하였다. 데리다는 정신분석학에서 논의하는 ‘정상적인’ 애도를 비판하며 애도와 멜랑콜리아 사이의 대립을 해체한다. 또한, 애도의 과정에서 멜랑콜리아가 남아 해소할 수 없는 슬픔에 빠지기도 하는 것을 병리적인 현상이 아닌, 하나의 애도의 요소로 인정한다. 그가 말하는 애도 행위에서 애도하는 주체는 죽은 대상인 타자를 자기 안으로 완전히 들이거나 바깥으로 완전히 배제하지도 않으며 대상의 타자성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타자의 타자성을 보유하면서 타자에게 응답하는 방식이 연구자에게 죽은 대상에 대한 책임이며, 예술 작업을 하는 이유이다. This study is a thesis on the process of mourning, based on researcher’s various feelings while going through a death of a dog. In modern society, many people raise pet and form a natural attachment, in which they regard their pet as a being with personalities they can share affectionate relationship with, not just objects. Since a pet owner forms an affectionate relationship with his pet, the death of it, especially an unexpected one, makes the remaining person suffer for a long time in his life.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go throughly the process of mourning after a sudden death, based on Sigmund Freud and Jacques Derrida’s theories and researcher’s personal experiences. This study went through the concepts of Sigmund Freud's mourning and mélancoli, in the perspective of how loss and depression affects a person's life after experiencing the death of a close one. Freud described mourning as a "work" that must be carried out psychoanalytically, and said it is a task that must be completed successfully though it accompanies pain in the process. The success of "work" here means the act of moving the libido toward the loved one to another, and if it fails, it falls into the pathological depression of mélancoli. However, this study deepens the understanding of mourning by Jacques Derrida’s theory that criticized Freud’s definition of “normal mourning“ which separates mourning and mélancoli. In Jacques Derrida’s theory, melancholia remains in the process of mourning in which is unsolvable. Melancholia should be respected as an element of mourning, not as a pathological phenomenon that needs to be fixed. The key to his concept of mourning is remaining otherness, rather than completely bringing the lost one into the mourner or excluding it from the mourner. As such, the method of responding to others while maintaining the otherness became the responsibility of the researcher for the dead and the reason for the work of art.

      • Incidental Cavernous Hemangiomain Menopausal Woman

        이대근,김미진,신예빈,김지혜,김태희 대한산부인과학회 2016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102 No.-

        해면상 혈관종은 혈관에서 발생한 종괴로 내피세포로 구성되어 혈관들이 확장된 형태이다. 몸의 어느 곳이든 발생 할 수 있으며 주로 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 종괴는 여성생식기, 자궁경부나 질에서도 매우 드물게 발견되기도 한다. 혈관종은 출생부터 발생하여 90%는 자연적으로 퇴화하지만, 일부는 작은 크기로 지속되며 외상, 혈전증, 감염, 임신, 그리고 호르몬의 변화로 인해 크기의 변화가 일어나기도 한다. 대부분의 경우 작고 무증상으로 발견이 어렵다. 특히, 질 내부에 위치한 경우에는 더 어렵게 된다. 하지만 일부의 경우에서 종괴의 표면이 벗겨져서 출혈을 일으키기도 한다. 저자는 임상적으로 드물며 무증상으로 인해 경험하기 어려운 폐경 여성에서의 해면상 혈관종 1예를 우연히 발견하게 되어 문헌고찰을 통해 진단 및 치료를 보고하는 바이다. 52세 여자 환자, 질내 분비물 증가로 내원하였다. 4년전 폐경 되었고 약 8년 전 복식 자궁근종절제술 및 좌측 난소 낭종 절제술 시행하였다. 질경을 통한 질강 진찰시 11시 방향에 약 2cm의 종양이 관찰되었다. 전체는 붉었으며 부분적으로 파란색을 띄고 있었다. 이에 대한 전기 소작기를 이용한 종양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조직학적소견으로서 해면상 혈관종이 확인되었다. 발생 위치적으로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해면상 혈관종을 특징적인 증상의 발생 없이 폐경여성에서 산부인과 진료 시 우연히 발견하였다. 이번 증례에서는 다른 연구와는 다른 점이 많았다. 우선 후천적으로 발생하였다. 또한 에스트로겐의 영향으로 인해 크기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와 다르게 폐경여성에서 매우 드문 부위인 질에서 혈관종이 발견된 것은 특이한 점이다. 산부인과 진료에 있어 골반 진찰의 중요성을 이번 경험을 통해 확인하며 혈관종에 대한 재고와 치료에 대한 옵션을 제시함으로서 하부생식기에서 발생하는 흔치 않은 질내 양성 종양에 대해서 재조명한다.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High Value-added Food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Republic of Korea (114025-03-1-HD030)

      • 초음파와 소음 감지 센서를 이용한 학교 급식실 대기 시간과 연관 요소 분석

        정지민 ( Jimin Jung ),신예빈 ( Yebin Shin ),이은지 ( Eunji Lee ),김지은 ( Jieun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2

        본 연구는 아두이노 보드와 다중 센서들을 사용하여 학교 급식실 대기 공간에서의 대기 상황을 분석한다. 실험에 사용한 초음파 및 소음 감지 센서들로부터 초음파 및 소음 데이터를 입력 받아 송신하는 아두이노 보드 기반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데이터를 수집, 저장, 관리하기 위하여 CoolTerm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또한, C 언어를 기반으로 정규화 프로그램과 필터링 프로그램을 구현하여 대기 인원 감지라고 인정할 수 있는 조건(일정 소음 이상 발생, 초당 5회 이상 감지 및 3미터 미만 거리에서 감지)에 맞지 않는 데이터를 걸러낸다. 예비 실험 이후 실시한 본 실험 범위는 8월 27일(화)부터 30일(금)까지 4일간, 점심 식사 시간 중 중간 시간대인 12시 20분부터 12시 39분까지이다. 분석 결과 식단 선호도에 따라 대기 시간에 확연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배식 시간 역시 대기 시간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초음파 센서로부터 분석한 결과와 소음 감지 센서로부터 분석한 결과, 상당한 유사성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대기 시간만의 측정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식단과 대기 시간과의 관계 분석을 통해 학생 식사 행태가 대기 시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추가적인 사실을 증명하였는데, 이는 대기 시간 문제 해결이 단순히 급식 대기 상황 개선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식단 및 배식 방식 등의 개선과 같이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이는 기존 연구들이 확인하지 못했던 사실로, 본 연구의 주요한 기여로 볼 수 있다. 향후 본 연구를 확대하여 무선 인터넷 및 알림 시설을 갖춘다면, 현재의 학교 급식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 스마트 북스탠드와 독서관리 앱 개발에 관한 연구

        추아름 ( A-reum Choo ),노승영 ( Seung-young Noh ),신예빈 ( Ye-bin Shi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8 No.2

        본 논문은 뉴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온라인 독서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우리는 본 시스템을 사용자로 하여금 흥미로운 독서 취미 활동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하였다. 아두이노에 무게센서, 조도센서, LCD 등을 부착한 스마트 북스탠드 ‘수북 홀더’와 이와 호환되는 안드로이드 OS 애플리케이션 ‘수북’을 설계하였다. 수북 홀더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 독서 시간 데이터와 사용자 기록 데이터를 활용하여 저장 및 분석하고, Firebase Database 내에 관리한다. 본 논문의 시스템은 사용자의 좋은 독서 습관 형성에 도움을 주고 같은 취미를 가진 사람들 간 시공간적 제약 없이 소통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