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The Effect of First Year Experiences on Retention

        서원석(Wonseok Suh)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2 역량개발학습연구 Vol.7 No.3

        학생들의 학업 중단은 재정적 손실, 졸업률 저하 및 학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 등으로 인하여, 대학과 같은 고등교육기관이 직면하고 있고 해결해야 하는 도전적 이슈이다.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들이 새로운 환경에서 접하게 되는 여러 가지 경험들 가운데 학업 유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인식 요소들을 살펴보고, 대학 신입생들이 중도에 학업을 포기하지 않고 학습을 유지하는데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하고자 연구가 수행되었다. 총 853명의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한 결과에 의하며, 3가지의 인식 요인들 즉, 학습 환경 분위기, 학업 경험, 협동학습 경험이 신입생들의 학업 유지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가 새로운 학습 커뮤니티에서 신입생의 입장으로 겪는 다양한 경험들이 궁극적으로 학업 유지에 매우 중요한 영향력을 가진다는 점을 보여주며, 특히 학생과 교수자의 상호작용 및 협동학습의 경험이 학습유지를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입 사원을 대상으로 하는 사내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의 개발에 있어서도 사원들의 지속성 있는 능력개발 및 유지를 위하여 고려되어야 할 점들을 제시해 준다. Dropping out is one of the most challenging issue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es because drop-out directly affects lower graduation rates, financial loss, and negative impressions of learning.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the first year experiences on students’ retention aiming to investigate and sought to find out the influential factors that affect students’ retention rate based on six student perceptions in the first year of college life of 853 freshmen cohort. According to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ree major perceptions(classroom climate, academic experience, and collaborative learning experience) of first year experiences, though it was not significant, had relatively high degree of influence over students’ reten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e first year of experiences in academic learning community are very critical requisite for students retention and quality interaction and collaborative working experience are important factor to decrease students’ drop-out. In addition, this result has the potential application to orientation program of new employees for positive experiences in workplace.

      • KCI등재
      • KCI등재

        다층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효과 분석

        서원석(SUH, Won-Suk),김석우(KIM, Suk-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효과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중학생의 개인수준 학업성취도와 학교수준 학교효과를 위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중학교가 가지는 학교 효과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2009년 ~ 2016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패널 데이터(INAEA)의 2016년 중학생 3학년 492,094명과 학교장 3,1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Excel 2016, SPSS 23.0, Mplus 7.02를 활용하여 다층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그에 따라 도출된 연구결과 첫째, 학생개인수준 변인인 독서시간, 운동량, 도서보유량, 부모관계, 학습태도, 학교만족도, 진로성숙도, 방과후 학습활동, 여가생활, 학업이해도, 교과태도는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을 나타났다. 둘째, 학교수준변인인 학교장의 성별, WEECLASS 운영, 교사교수풍토, 학생학업풍토, 학부모풍토는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학업성취를 증진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 that affects the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92,094 middle school seniors and 3,192 school principals from NAEA, 2016. The data analyzed with Hierachical Linear Model using Excel 2016, SPSS 23.0, Mplus 7.02.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individual variables such as reading time, exercise volume, book retention, parental relationship, learning attitude, school satisfaction, career maturity, after-school learning activities, leisure life, academic difficulties, and academic attitude influence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gender, WEECLASS management, teacher teaching climate, student academic climate, and parent climate of school level variabl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 KCI우수등재
      • Exploring Teachers’ Perception of Technology Integration and Teaching Practices

        서원석(Won-Seok Suh)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고등교육연구소 2011 사이버사회문화 Vol.2 No.2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의 교육적 활용을 교수자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교육적 실천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자는 심층 인터뷰, 교수자 관찰, 그리고 이차적인 자료 분석을 기반으로 한 삼각측정을 통하여 테크놀로지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교수자 인식 및 장애요소들과 관련하여 세 가지의 중요한 주제(의미)를 발견하였다. 첫째, 다수의 교수자들이 교수적 활용을 위한 테크놀로지의 도입의 필요성에 대하여 합의적인 생각을 갖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과도한 수업자료 및 요구되는 수업활동에 대한 부담감을 표출하였으며, 이러한 요소들이 교수자들로 하여금 테크놀로지를 교수적인 목적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데 있어서 방해되는 요소인 것으로 이해되어진다. 둘째, 테크놀로지의 적극적인 교수적 활용에 영향을 주는 잠재적, 상황적 요소들이 발견되었다. 즉, 테크놀로지의 교수적 활용에 있어서 교수자들의 인식이나 활용 역량보다 사전 경험이나 교수전략의 부재가 보다 영향력을 가진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공적인 테크놀로지 접목을 위한 사후 지원의 필요성이 다수의 교수자들에 의해서 확인되었다. 특히, 많은 교수자들이 집중적이고 개인화된 교육의 필요성을 표출하였다. 특히, 교수자 동료들이 테크놀로지를 성공적으로 교수 활용한 사례들은 교수자 본인들로 하여금 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하여 자기 성찰적 의식을 강화함과 동시에 매우 긍정적인 도전을 주는 요소인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교수자의 관점에서,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교육방법의 현주소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가지며, 아울러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더 나은 교수 및 학습 경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효율적이고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perception of technology adoption and integration in learning along with teaching practices from instructors’ perspectives. Through triangulation based on in-depth interviews, instructor observation, and secondary data analysis, three significant themes were drawn regarding how instructors had perceived technology integration into teaching and what barriers they had against their teaching practices. First, a majority of instructors were not in accord with the necessity of technology adoption for their teaching. They had expressed concerns on excessive course materials and activities in curriculum, which are interpreted as hindrances of taking their active role in integrating technology into instructional practices. Second, there were latent and situational barriers that affected the active use of technology in teaching. One of the influential factors to instructional practices with technology was the absence of prior experience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with technology rather than perception or technical skills. Third, the demand of follow-up support for successful technology integration was shown by a large number of instructors. In addition, many of instructors expressed the necessity of customized and focused training. Especially, it was shown colleagues’ successful innovation practices for technology integration was a very positive influence that had promote reflective thinking and challenge the instructional use of technolog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ssential fo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tate of instructional utilization of technology from the perspectives of instructors and also suggest efficient approach to support better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for both instructors and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고등학생의 자아효능감, 학습태도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 교사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

        서원석(SUH, Won-Suk),김경수(KIM, Kyung-Soo),김석우(KIM,SUK-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자아효능감, 진로성숙도, 교사관계만족도, 학습태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자아효능감과 학습태도 간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와 교사관계만족도의 다중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2(KEEPⅡ)의 1차년도 자료 중 일반계 및 자율계 고등학생 2학년인 5,929명을 최종연구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태도는 자아효능감, 진로성숙도, 교사관계만족도와 정적인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구조방정식을 통해 자아효능감은 진로성숙도를 통해 학습태도에 간접 효과를 주어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도출하였다. 셋째, 자아효능감은 교사관계만족도를 통해 학습태도에 간접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같은 결과는 고등학생의 자아효능감이 진로성숙도와 교사관계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학습태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를 통해 실제 고등학교 교육 현장에 실질적 시사점과 정책적 의사결정의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teacher satisfaction, and academic attitude in high school students. To accomplish this study, the first year data of the Korea Employment Panel 2 (KEEPⅡ) 5,929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academic attitud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teacher satisfac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efficacy has an indirect effect on academic attitude through career maturity, and thus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Third,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academic attitude through teacher satisfaction, and thu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This means that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not only directly affects career maturity and teacher satisfaction, but also indirectly affects their academic attitude. Throug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 actual high school education can have practical implications and basic data for policy decision making.

      • KCI등재
      • KCI등재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에 대한 종단연구 :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서원석 ( Suh Won-suk ),장재혁 ( Jang Jae-hyuck ),김석우 ( Kim Suk-wo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가 학년 증가에 따라 어떠한 패턴으로 변화하는지 살펴보고 변인들간의 종단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부산교육종단연구(BELS)의 중학생 패널 1차년도(2016년)부터 ~ 3차년도(2019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중학생 2,565명을 대상으로 Excel 2016, SPSS 23.0, Amos 23.0을 통해 다변량 잠재성장모형(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을 적용하였다. 도출한 연구결과 첫째는 1차~3차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 초기치는 학업성취도 초기치에 부적인 영향을 주며 그 사이 학업적 자기효능감 초기치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 변화율은 학업성취도 변화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나 학업적 자기효능감 변화율을 통해 학업성취도에 간접영향을 주어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정책에 대해 제언하고 적실성 있는 지원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patterns of self-esteem, curriculum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first to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using the results of the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with Excel 2016, SPSS 23.0, Amos 23.0,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Y1-Y3's self-esteem, Y1-Y3's curriculum self-efficacy, and Y1-Y3's academic achievement showed a statistically correlated relationship. Second, self-esteem, curriculum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change linearly with time. Third, the initial value of self-esteem affects negatively on the initial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hile the initial level of curriculum self-efficacy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addition, the rate of change of self-esteem did not directly affect the rate of change of academic achievement, but showed indirect effect through the rate of change of curriculum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the establishment of policy for self-esteem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