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압축된 써픽스 배열 구축 알고리즘의 성능 분석

        박치성(Chi Seong Park),조준하(Junha Jo),심정섭(Jeong Seop Sim),김동규(Dong Kyue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1

        써픽스 배열은 사전적 순서로 정렬된 써픽스들의 인덱스를 저장한 인덱스 자료구조로서, 긴 텍스트에서 반복되는 패턴 검색 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O(n log ∑ ) 비트의 텍스트보다 큰 O(nlog n) 비트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대용량의 텍스트에 대해서는 큰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압축된 써픽스 배열이 제안되었지만, 구축 시 이미 만들어진 써픽스 배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실제 사용 공간을 줄이지는 못했다. 최근 써픽스 배열 없이 텍스트에서 직접 압축된 써픽스 배열을 구축할 수 있는 두 가지 알고리즘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두 가지 알고리즘을 구현한 후, 구축 시간과 사용 공간 등의 실험을 통해 기존의 써픽스 배열들과의 성능을 비교하고 분석한다.

      • KCI등재

        정부정책에 대한 이해관계자 정책 프레임 비교연구: 금연정책을 중심으로

        박치성 ( Park Chisung ),백두산 ( Paik Doo-san ),정지원 ( Chung Chi-weon ) 한국행정연구원 2017 韓國行政硏究 Vol.26 No.1

        정부정책과 관련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자신의 주장을 관철하기 위하여 정책현상의 특정 측면을 부각시킴으로써 만들어낸 선택된 해석을 `정책 프레임`이라고 할 수 있다. 정책이해관계자들은 가치체계, 지식, 경험 등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정책현상에 대하여 서로 다른 정책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정책프레임의 차이와 유사점을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이해관계자들의 정책주장을 담고 있는 텍스트를 대상으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금연정책중 2015년 담뱃값 인상을 중심으로, 이해관계자 간 정책프레임을 비교했으며 동시에 정책시행 이전과 이후에 나타난 정책프레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① 이해관계자들이 중심적으로 사용한 단어들을 가지고 정책시행 이전과 이후의 주요 관심사항을 비교했으며, ② 이해관계자들이 사용한 주요 단어들을 재구성하여 이해관계자의 구체적인 인식을 비교·분석하고, ③ 이해관계자들의 인식을 통합한 사회인식(socio-cognitive)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주요 단어 및 통합인식을 이전과 이후를 비교하여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주요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해관계자별로 관심사가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전문가집단(의료/보건)과 이익단체가 담뱃값인상 이후 비가격정책에 집중함으로써 정책 목표 달성에 관심도가 높았던 반면, 시민단체와 언론(보수/진보)은 담뱃값 인상에 의한 사회적 부작용에 집중하였다. 둘째, 흡연율을 낮추기 위해 비가 격규제가 강조되었다. 담뱃갑 경고그림 삽입, 간접흡연 규제 등에 대한 인식이 사회적으로 상당히 높은 공감대를 가지고 있었다. 셋째, 담뱃값 인상에 대해 정부와 이해관계자 간 합의가 도출되지 않았다. 담뱃값 인상 전에는 찬성, 반대, 신중 등 비교적 다양한 프레임이 등장하여 복잡한 상황이었으나 인상 이후 담뱃값 인상에 대해 정책실패로서 인식이 귀결되었으며 특히, 서민증세라는 프레임이 강하게 나타났다. In the context of government policy, policy stakeholders have their own respective perspectives or policy frames to highlight a specific aspect of the policy because they differ in value system, preferences, knowledge, and experiences. To identify the correspondence and difference of policy frames, this study carried out a text network analysis on texts containing policy claims of stakeholders. Specifically, we compared policy frames among seven stakeholders, focusing on the raising cigarette prices in 2015.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1) we compared policy frames of stakeholders by their types, and 2) we organized a socio-cognitive network, which integrates stakeholders` perceptions and analyzed the patterns of change before and after policy decision making. The main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terests of stakeholders vary considerably. While expert groups(medical/health) and interest groups focused on policy goals by concentrating non-pricing regulations after raising cigarette prices, civic groups and media (conservative/progressive) focused on social side effects caused by the raising cigarette prices. Second, non-price regulations were emphasized to lower the smoking rate. Cigarette box warning, and the regulation of secondhand smoke had a high social consensus. Finally, there was no consensus between the government and stakeholders regarding the increase in the price of cigarettes. Before the raising cigarette prices, a relatively wide range of frames including favor, opposition, and caution appeared, complicating the situation. However, the raising cigarette prices was recognized as a policy failure after the increase, in particular, the frame of the increase of the ordinary citizen tax was strong.

      • KCI등재
      •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의 익명화 비용에 관한 연구

        박치성 ( Chi-seong Park ),강주성 ( Ju-sung Kang ),이옥연 ( Ok-yeon Y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8 No.2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된 수많은 데이터들은 여러 분야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으며, 소셜 네트워크상의 데이터들이 이용되면서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프라이버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프라이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용적인 방안으로 k-익명성, l -다양성 등의 개념과 이를 토대로 한 데이터 익명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데이터의 익명화에서는 원본데이터의 왜곡을 최소화하면서 프라이버시 보호를 극대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익명화 비용을 측정하기 위한 합리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그래프의 익명화 알고리즘 수행을 위해 필수적 요소인 익명화 비용을 합리적이고 실용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2차원 배열의 Succinct 표현을 위한 Rank 및 Select 함수

        박치성(Chi Seong Park),김민환(Minhwan Kim),김동규(Dong Kyue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A

        집합이나 배열의 원소, 트리의 노드, 그래프의 정점과 간선 등과 같은 이산 객체는 일반적으로 주기억장치의 논리적 주소 값과 같은 정수로 표현되어 왔다. Succinct 표현은 이와 같은 n개의 이산 객체를 O(n)비트에 표현하는 방법이다. 대부분의 succinct 표현은 rank와 select라는 함수를 기본적으로 사용하며, 다양한 연구들에 의해 현재 rank와 select 함수는 o(n) 비트만을 사용하여 O(1) 시간에 수행될 뿐만 아니라, 실제로도 실용적으로 구현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n×n 배열, 즉 2차원 비트 스트링에 대한 Rank 및 Select 함수를 새롭게 정의한다. 또한, O(n²log n) 비트를 사용하여 O(1) 시간에 Rank 질의를 수행하고 O(log n) 시간에 Select 질의를 수행하는 방법과, 보다 적은 O(n²) 비트를 사용하면서 O(log n) 시간에 Rank 질의를 수행하고 O(log² n) 시간에 Select 질의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정의하는 2차원 배열 상의 Rank와 Select 함수는 이미 개발된 2차원 상의 써픽스 트리 등을 기반으로 향후 개발될 2차원 상의 압축된 인덱스 자료구조나 이미지 프로세싱 등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 KCI우수등재

        집단-격자 문화유형의 소득재분배에 대한 영향 분석 - 퍼지셋 다중결합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

        박치성 ( Chisung Park ),신현중 ( Hyeon-joong Shin ),주재현 ( Jaehyun Joo ) 한국정책학회 2020 韓國政策學會報 Vol.29 No.4

        본 연구는 문화유형이 소득재분배에 어떤 원인조건으로 작용하는지, 그리고 문화요인이 다른 요인들과 어떤 조합의 형태로 소득재분배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집단-격자 문화이론과 비교복지정책 분야의 기존 문헌을 이론적 준거로 하고, 퍼지셋 질적 비교분석방법을 적용해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등주의 문화유형은 그 자체만으로도 소득재분배에 대한 충분조건이 됨과 동시에, 강한 노동조합, 높은 소득재분배수요, 그리고 경제적 상황과 결합하여 높은 소득재분배가 발생하는 원인조건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계층주의 문화유형의 경우, 그 자체로는 일관성이 높은 원인조건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나, 다른 변수와의 결합을 통해서(즉 경제 상황이 좋았을 때) 높은 소득재분배 효과를 야기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개인주의와 운명주의 문화유형은 그 자체로도, 그리고 다른 변수와의 조합에 의해서도 전혀 원인조건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평등주의적 국가에서는 경제성장률이 낮을 때 소득재분배 수준이 높아지는 반면, 계층주의적 국가에서는 경제성장률이 높을 때 소득재분배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전반적으로 집단-격자 문화이론을 토대로 한 본 연구의 추론 및 비교복지정책 분야의 기존 연구성과와 부합되는 결과를 보여준다.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첫째, 한국 사회의 문화유형이 계층주의와 유사하다는 측면에서 볼 때, 소득재분배가 높아지기 위해서는 경제성장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한다. 둘째, 앞으로 한국 사회의 격자성은 점차 약화되지만 집단성은 약화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에서 [집단 성향*강한 노동조합*높은 소득재분배수요]의 조합에서 미래의 처방책을 찾아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aim of the study is to explore compounding effects of the culture (i.e., grid-group cultural theory) with other contextual variables (such as policy demands on income-redistribution, economic growth, and strength of labor union) on income-redistribution as a result of the welfare policy. Focusing on 19 Western European and English-American countries, the study applies Fuzzy set qualitative comparative methods. Major findings are; 1) out of four typologies of the grid-group culture, the egalitarianism has independent influences on income-redistribution as a sufficient condition. 2) In the case of the collectivism, it does not have its independent effects, but combined with higher economic growth, it becomes a causal condition. However, 3) other two cultural typologies (i.e. individualism and fatalism) show no casual effect on income-redistribution. 4) While the level of income redistribution in egalitarian states increases when the growth rate of national economy decreases, vice versa effects happen in collectivistic countries.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can be drawn based on findings above. First, since Korean culture is similar to collectivism, it is necessary to simultaneously make economic growth in order to increase income redistribution. Second, “group*(strong) labor union*high income-redistribution demands” combination as a causal condition to income redistribution could be a policy recipe to make better of welfare policy in Korea, in the sense that it is expected that the grid would be weakened whereas the group would remain the same as now.

      • KCI등재

        문화예술지원체계 네트워크 거버넌스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박치성 ( Chisung Park ),정창호 ( Changho Chung ),백두산 ( Doosan Paik ) 한국정책학회 2017 韓國政策學會報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창작지원과 향유확대라는 문화예술지원정책의 목표달성을 위해 현재의 문화예술지원체계를 진단하고 향후 협력체계를 강화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체부 산하 20개 주요기관에서 추진하는 주요사업을 기준으로 이론적으로 연계 및 보완이 될 경우 시너지 효과가 날 수 있는 사업들 간의 관계를 측정한 `가능 협력네트워크`를 제시하고, 현재의 지원체계를 나타낼 수 있는 두 가지 네트워크, 즉 실제로 수행되는 `사업실행 협력네트워크`와 MOU 등을 통해 기관 간 협력 필요성 인식을 보여주는 `전략적 맞춤 협력네트워크`와 비교하여 통합적 문화예술 지원체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능 협력네트워크와 전략적 맞춤 협력네트워크 간 유사점이 상대적으로 높고, 사업실행 협력네트워크는 상대적으로 다른 특징을 보여줌으로써 이론적 수준에서 협력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 관점과 기관에서 사업협력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인식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둘째, 네트워크 구조적 특징으로 콘텐츠진흥원과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등이 네트워크의 주요 행위자로서 협력관계의 조정역할이나 공동작업을 위한 기획 수립 및 지원의 역할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가능 협력네트워크에서 하위협력체계를 도출하여 현재 실제 협력관계 네트워크를 비교한 결과, 사례에 따라 협력관계가 상이하거나 유사한 경우를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문화예술지원정책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관 간 수평적 협력관계를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고, 유관기관들이 사업 간 협력을 제고할 수 있는 정부의 조정 역할이 중요하다. Since the government`s support for culture and arts has appeared as a policy failure resulting in `Blacklist` case, it is necessary to reevaluate the current culture and arts support system. So we propose three types of art and culture support network system, which are 1) `possible collaboration network` that is an ideal type for achieving cultural and arts policy goals, which is composed of 20 major public institutions under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 `actual culture and arts support networks` through `Business real-name system` and 3) strategic fit network which is composed of `MOU` relations between the institutions. We compared structural patterns in three networks, and explored culture and arts policy designs.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main findings. First, There has been a large gap between `possible collaboration network` and the actual networks, whereas possible collaboration network resembles strategic fit network. Although each institution recognizes the need for collaboration(i.e. strategic fit network), institutions show different patterns of collaboration in actual network. Second, there are 9 core institutions that can enhanc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culture and arts policies in `possible collaboration network`. Especially, the roles of the Arts Council Korea and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are important. Finally, it has been found that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as significant involvement in the actual network.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culture and arts polic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horizontal cooperation and the role of government as coordinator should be emphasiz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교량용 외장재 적용에 따른 경관의 시각적 선호도 분석

        박치성(Chi Seong Park),김신원(Shin Wo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2

        도시의 개발이 활발했던 초기 성장기에 건설된 교량들은 기능과 경제성에만 중점을 둔 합리적인 교량의 건설을 추구해온 것이 사실이며, 이러한 시대적인 배경 속에서 건설된 교량들의 대부분은 미(美)적인 배려가 상당히 미약한 수준이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그 시절에 건설된 교량들은 오랫동안 외부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있었으므로 표면의 부식 및 오염 물질의 정착(定着) 등으로 인해 외형(外形)의 시각적 오염도가 높거나 물리적인 노후가 발생한 교량들이 대부분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교량의 외관은 점차 더 흉물스러운 경관으로 변해가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각 지자체들은 해당 지역의 경관개선사업을 실시하여, 노후 되어 성능이 저하된 교량들에 대한 철거 및 교체, 심미성이 부족한 교량의 경우, 리노베이션(renovation)사업 등을 실시하여 교량경관의 개선과 향상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편승하여 교량용 외장재의 사용 빈도가 늘어나고 있으며 기설교량의 교량경관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신도시의 경관계획이나 지구단위의 특수구조물 경관설계 시에도 교량용 외장재가 사전에 반영되고 있어 신설교량의 조형성과 경관미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사용도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반면, 교량용 외장재에 관련된 기존의 문헌과 연구 자료들은 교량용 외장재에 대한 효용성 및 기능성에 관한 부분만을 언급한 자료가 대부분으로 미적 관점의 연구와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교량용 외장재를 설계에 반영하는 과정에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적인 정보와 자료를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으며, 그 세부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량용 외장재에 대한 문헌자료와 연구보고서 등을 통한 국내 및 일본 등의 현황을 파악하고 전반적인 기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둘째, 시각적·미적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대상지를 선정하고 해당 교량경관의 현황조사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셋째, 경관 통제점을 바탕으로 시각적 평가를 위한 사진촬영을 진행하였다. 넷째, 형식미학적 관점의 평가지표를 도입하여 정량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다섯째, 교량별, 외장재 적용 유·무별, 외관의 재료별 선호도를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SPSS. ver18을 사용하여 신뢰도분석, 집단별 t-test, one way-anova를 각각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교량용 외장재의 적용은 교량경관의 개선 및 향상에 전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형식미학적 관점의 14개 항목 중 질감, 주변과의 관계, 쾌적성, 조화성은 외장재의 적용 시 교량경관의 시각적·미적 향상에 대한 기여도가 높은 항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상기에 제시된 자료들이 교량용 외장재의 설계에 참고 될 필요가 있다. The bridges which were constructed in the initial growth period in which the development of cities was active, on the other hand, had only focused on the construction of rational bridges concentrated on only the functions and economic feasibility. The bridges which were built in such a periodic background mostly have a considerably low level of aesthetic consideration. In addition, the bridges that were constructed during the period mostly have high degree of visual pollution or physical aging on the exterior due to erosion on the surface and settlement of pollutants because of their continuous exposure to the external environments for a long time. Thus, the exterior of those bridges are becoming more horrid as the time passes. In order to solve such issues, the relevant local governments are conducting landscape improvement projects to put efforts for enhancement of bridge landscapes through demolishing and replacement of bridges with lowered functions as well as renovation projects for those with insufficient aesthetic appreciation. Going along with the atmosphere, the use of finish materials for bridges is increasing. Also, people are paying attention to the finish materials for bridges a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improve bridge landscapes of existing bridges. Furthermore, they are being reflected in advance when designing the landscapes for special structures in the district units or planning landscapes of new towns. Thus, it is predicted that the use of finish materials for bridges to improve the formativeness and landscape beauty will increase. Whereas, the existing literature and research data related to finish materials for bridges mostly only mention the parts on usefulness and functionality of finish materials for bridges. Consequently, it is time that studies and analysis on the aesthetic aspect ar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nd data which can serve as a reference in the course of reflecting the finish materials for bridges in the design. The details are as below. First, the current status of Korea and Japan were reviewed through literature and research reports on finish materials for bridges and an overall technologic study was conducted. Second, in order to conduct visual and aesthetic evaluations, subjects were selected. Then, the current status of the subject bridge landscapes was researched and analyzed. Third, based on the landscape control point, photographs were taken for visual evaluation. Fourth, by introducing the evaluation index of formative aesthetic aspect, quantitative evaluation was executed. Fifth, the preferences per bridge, per application of finish material, and per material of exterior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ver18, the reliability analysis, t-test per group, and one way-ANOVA were each conducted. In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finish material for bridges exhibited its overall influence over improvement of bridge landscapes. Among the 14 items in the formative aesthetic aspect, the texture,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agreeableness, and harmony were those with the highest contribution to the visual and aesthetic improvement of bridge landscapes when applying finish materials. Consequently, efforts need to be made to refer to the above details when planning application of finish materials to review and select preferential factors appropriate to the structural forms and the surrounding landscapes of the subject bridge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reflect a finish material which can bring out the aesthetics of the bridge with outstanding design on the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