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졸 사회초년생의 이직의향 연구

        김동심,주경희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2 산업혁신연구 Vol.38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intention to job turnover of college graduates. Based on previous research,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gender, regular employment, and job-seeking experience and goal fulfillment factors such as goal achievement, expectation-fulfillment, and job satisfaction were selected as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job turnover. Data from the 2020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This survey was conducted in 2020 for university graduates 2019, and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8,622 employees. As a result of analysis through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it was confirmed that all variables except for gender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achieving individual goals and a stable job and work environment regarding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is, implications related to organization and individual management were derived. 본 연구는 대졸 사회초년생의 이직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된 이직의향모형 관련 연구를 바탕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인인 나이, 성별, 정규직, 구직활동경험을, 목표충족요인으로는 목표달성, 기대-충족, 만족도를 영향변인으로 선정하고, 이들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2020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이 조사는 2019년도 대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2020년도에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데이터는 이들 중 취업자 8,622명이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분석 결과, 성별을 제외하고 모든 변인이 유의한 관계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이직의향에 있어 개인 목표의 달성과 안정된 일자리와 업무환경의 중요성을 확인한 것으로, 이를 바탕으로 조직, 개인 관리와 관련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배분이수제 기반의 교양교육 성과 평가 연구

        김동심,이영주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0 No.2

        · Research top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outcomes of general education based on distribution requirement. · Research background: The outcomes of general education are divided into student outcomes and satisfaction, and this is compared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and the degree of completion of a distribution requirement.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Student outcomes were divided into humanities value, scientific value, knowledge convergence, and creative problem-solving. · Research metho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by conveniently sampling 606 university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compared through the t/F test. · Research results: First, outcomes of student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higher than that of non-metropolitan students. The difference according to majors was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pletion of distribution requirement, the more diverse the academic fields were completed in general education, the higher the student's outcomes in all areas except for creative problem-solving. Third, the differences in general educ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university location, major, gender, and grade were all significant.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was higher as the distribution requirement area increased.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Based on these results, a plan to improve outcomes of general education at universities was proposed. · 연구 주제: 대학 교양교육에서 배분이수제의 성과인 학생성과와 교양교육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 연구 배경: 교양교육의 성과를 인구사회학적 특징, 배분이수제 영역 이수에 따라 비교하였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학생성과는 인문학적 가치, 과학적 가치, 지식융합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으로 구분되어 살펴보았다. · 연구방법: 전국의 대학생 606명을 편의표집하여 온라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t/F검정을 통해 비교되었다. · 연구결과: 첫째, 전 영역의 학생성과가 수도권 대학 학생이 비수도권 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전공계열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교양교육에서 학문계열을 다양하게 이수할수록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제외한 전 영역에서 학생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교양교육 만족도는 대학소재지, 전공, 성별, 학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교양교육 만족도는 배분이수제 영역이수 수준이 높을수록 높았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대학의 교양교육의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교양교육 운영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경제, 교육, 미래 불평등과 계층이동에 관한 인식 탐구

        김동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대학생의 경제, 교육, 미래 불평등과 계층이동에 관한 인식 탐구김 동 심** 요약: 본 연구는 대학생이 인식하는 불평등과 계층이동을 살펴보기 위해, 불평등 순환모델(OED)모형에 따라 경제, 교육, 미래 변인을 선정하고, 이들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의 학생 379명을 편의표집하였다. OED모형에 따라 경제(소득분위, 용돈, 현재 SES, 부모의 SES), 교육(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온라인 자기조절학습), 미래(미래직업 성공인식, 미래SES)의 변인을 선정하고, 이들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첫째, 경제불평등은 교육불평등을 예측하지 않았다. 미래직업성공인식에는 교육불평등요인, 미래SES는 현재SES가 예측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계층이동 가능성에 대해서는 부모세대의 SES보다 미래 본인의 SES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세대내 이동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불평등과 계층이동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핵심어: 불평등, OED모형, 고등교육, 계층이동, 대학생 □ 접수일: 2022년 5월 27일, 수정일: 2022년 6월 10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이 논문은 한신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한신대학교 교수(Professor, Hanshin Univ., Email: southpaw61@hs.ac.kr) Exploring the Perceptions of University Students’ Economic,Educational, Future Inequality and Class MobilityDongsim Kim Abstract: In order to examine inequality and class mobility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selected economic, educational, and future variables based inequality cycle model (OED), and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detail. For this purpose, a convenience sampling of 379 students from university A was conducted. Economy (income, pocket money, present SES, parent SES), education (career self-efficacy, academic self-efficacy,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future (recognition of future job success, future SES) variables were selec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as confirmed. As a result, first, the economic factors did not predict the educational factors. but all educational variables affect future job success and family SES affects future SES. Second, with regard to the possibility of class mobility, future SES was perceived more positively than current SES. Also, the movement within generations was perceived positive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implications are presented. Key Words: Inequality, OED, Higher Education, Class Mobility, University Student

      • KCI등재

        자유학기제 운영에 따른 교육성과 변화 분석 : 진로성숙도, 인지적·정의적·사회적 핵심역량,학교만족도를 중심으로

        김동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0 No.3

        2016학년도 전국 중학교에 진로교육을 강화하고, 다양한 방식의 수업을 적용한 자유학기제가 전면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의 교육성과로 진로성숙도, 인지적·정의적·사회적 핵심역량 및 학교만족도를 선정하여, 자유학기제가 운영된 한학기 동안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측정오차를 통제하여 비교하는 잠재평균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2016학년도 2학기에 자유학기제를 운영한 남자 중학교 1개교와 여자 중학교 1개교를 편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에서 집단별로 동일성 검증 절차를 거친 후, 잠재평균을 비교하였다. 잠재평균분석 결과, 자유학기제 운영에 따라 진로성숙도, 사회적 핵심역량 및 학교만족도가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대적인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Cohen의 효과크기를 확인한 결과, 진로성숙도와 학교만족도은 중간 수준의 효과크기, 사회적 핵심역량은 작은 수준의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자유학기제 운영 방향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re allowed to spend a free learning semester without tests and assessment starting in 2016. It was designed to provid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 chance to search for their future career through various kinds of job-experience activities. In the free learning semester, students only take necessary subjects like Korean, mathematics and English, and use the rest of their curriculum time for career exploration, club activities, physical training and art education.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 performance(career maturity, cognitive/affective/sociocultural core competencies, school satisfaction) of free learning semester. For this research, surveys were administered with first grade students at two middle schools. A total of 522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career maturity, social-core competencies, and school satisfaction were the variables tha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free learning semester. Career maturity, social-core competencies, and school satisfaction latent mean after free learning semester were higher than that before. Career maturity and school satisfaction effect size were medium, social-core competencies effect size was small. This study proposed strategies for the successful free learning semester.

      • KCI등재

        중고생과 대학생의 노인 인식

        김동심,주현,주경희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perceptions of the elderly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We surveyed 79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500 college students who collected convenience sampling on the age of perception and image of elderly peop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age perceived as elderly was 69.57 years, tha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68.33 years, and that of college students was 71.53 years, a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age of the elderly, the elderly were recognized as slow, stubborn, and conservative. Also,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was significant.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 a more positive image than college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perceive more negatively th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r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factors that predict the image of the elderly,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opportunity to speak to the elderly is important, not the grandparents' experience.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proposed that the method for promoting positive aged perception. 본 연구는 세대통합의 기초자료로서 중고생과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노인 이미지를 예측하는 요인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노인에 대한 인식은 노인 추정연령과 이미지로 살펴보았다. 중고생 797명과 대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노인 추정연령, 노인 이미지에 대한 중고생과 대학생의 차이를 t검정을 통해 분석하고,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노인 이미지에 대한 예측변인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생과 대학생이 인식하는 평균 노인 추정연령은 69.57세이며, 중고생 68.33세, 대학생 71.53세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노인 이미지를 살펴본 결과, 대표적으로 느리고, 고집스럽고, 보수적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중고생과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노인 긍정이미지에 대해 중고생이 대학생에 비해 더 긍정적으로, 부정이미지에 대해 대학생이 중고생보다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노인 이미지를 예측하는 변인을 확인한 결과, 조부모의 동거 경험이나 접촉정도 보다는 노인 자체에 대해 이야기 기회 정도가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생과 대학생이 노인의 긍정적 인식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CIPP모형에 기반한 교육대학원 AI융합교육 평가 연구

        김동심,한상윤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CIPP모형(상황-투입-과정-산출 평가)을 분석틀로 활용하여 교육대학원 AI융합교육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AI융합교육 전공자인 현직교사 5인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질적 주제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I융합교육 참여 배경 및 동기로 개인적인 관심 및 학습 동기, 높아지는 AI융합교육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둘째, AI융합교육을 위한 지원에 대한 인식으로 적극적인 재정적 지원 및 홍보, 전문가로서의 지원 부족이 도출되었다. 셋째, AI융합교육 운영의 강점 및 개선점으로 교과 다양성 강화에 대한 요구 및 특색있는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AI융합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현장 변화에 대한 요구로 높은 만족도 및 보람과 함께 AI융합교육 인식 증대 및 환경 구축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AI융합교육의 현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향후 운영방안 및 교육 현장에서 긍정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향에 대하여 함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I integrated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using the CIPP model (Context-Input-Process-Product evaluation framework). To achieve this,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current teachers majoring in AI integrated education, and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was performed. The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individual interests and learning motivations, along with the increasing necessity of AI integrated education, emerged as backgrounds and motivations for participating in AI integrated education. Secondly, perceptions of support for AI integrated education revealed active financial support, promotion, and a lack of expert assistance. Thirdly, demands for enhancing curriculum diversity and the need for distinctive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were presented as strengths and areas for improvement in AI integrated education operation. Finally, high satisfaction and a desire for changes in the field were expressed, highlighting the necessity of increased awareness and infrastructure development for AI integrated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the current state of AI integrated education is provided, an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specific directions for future operation and positive dissemination in educational settings are presented.

      • KCI등재

        에코세대와 Z세대의 사회참여 비교 연구

        김동심,한상윤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social participation of young people by dividing them into eco-generation and Z-generation. For this purpose, credentialism, political efficacy, happiness, and social participation were selected as variables and integrated verifica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ducted. The data of the 2018 Youth Social and Economic Survey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were analyzed by 2,494 young people (1,880 Eco-generations and 614 Z-gener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redentialism, political efficacy and happiness of young generation throughout the eco generation and the Z-gener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participation. Second, the eco generation and the Z-generation. did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edentialism, happiness, and social participation, but the political efficac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co generation than in the Z-genera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the intervention of youth policy and the desig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are suggested. 본 연구는 청년을 에코세대와 Z세대로 구분하여 이들의 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있다. 이를 위해 학벌주의 인식, 정치효능감, 행복 및 사회참여를 변인으로 선정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통합적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8년도 청년사회·경제실태조사 자료로, 청년 2,494명(에코세대 1,880명, Z세대는 614명)을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코세대와 Z세대를통틀어 청년세대의 학벌주의 인식, 정치효능감 및 행복은 사회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에코세대와 Z세대는 학벌주의 인식, 행복, 사회참여에는 유의한 차이를 가지고 있지 않으나, 정치효능감은 에코세대가Z세대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청년 대상 정책의 개입 방안 및 정규 교육과정설계에 있어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교양교육 학생성과 평가도구(ESOGE) 개발 및 타당화

        김동심,이영주,류다현,은경,박정하 한국교육개발원 2021 한국교육 Vol.48 No.1

        본 연구는 교양교육의 세 가지 영역(기초교육, 교양교육, 소양교육) 중에서 교양교육에서의 학생성과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대학에서 배분이수제 교양과목을 수강한 학생의 성과를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발된 도구는 구체적으로 교양교육의 인간과 세계에 대한 바람직한 가치관과 융합적 사고 및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학생성과를 측정한다. 이 도구는 행동기준 평정척도(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 BARS)로 개발되었다. 교양교육의 목표 분석과 전문가 인터뷰 조사, 학생 인터뷰를 통해 평가도구 초기 문항을 개발했다. 초기 개발된 문항을 바탕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했으며, 이에 의해 바람직한 가치관 9개 문항과 융합적 사고 및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13개 문항이 개발되었다. 전국의 4년제 대학의 학생 671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진행했으며,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인문학적 가치’ 5개 문항, ‘과학적 가치’ 3개 문항, ‘지식융합능력’ 6개 문항,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6개 문항으로 총 20개 문항을 확정했다. 최종 도구는 ESOGE(The Evaluation tool for Students’ Outcomes in General Education)로 명명했고, 최종 신뢰도는 .904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교양교육에서의 학생 성과를 보다 객관화된 척도를 통해 측정하여, 성과를 기반으로 교양교육 성과 함양 및 개선에 활용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research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to measure the Evaluation tool for Students’ Outcomes in General Education (ESOGE). This scale applied the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 (BARS).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To achieve the aim, two factors (values for humans and the world, integrative thinking & creative problem-solving) of general education were established to measure the students' outcomes, and each factor includes representative behavioral situa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671 students from four-year universities in Korea. This data was used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 total of 20 items were confirmed. Findings/Results: The tool was named ESOGE, and the final reliability was confirmed .904. Valu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to cultivate and improve curriculum and students' outcomes of general education based on an objective scale.

      • KCI등재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 인터넷 인지실패, 교우관계, 학업스트레스 및 행복간의 관계

        김동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8 청소년상담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삶에 스마트폰과 인터넷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스마트폰 의존, 인터넷 인지실패, 교우관계 및 학업스트레스와 행복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의 일반계 A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19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의존은 인터넷 인지실패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스마트폰 의존과 인터넷 인지실패는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스마트폰 의존과 인터넷 인지실패는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스마트폰 의존과 교우관계는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결과로 스마트폰과 인터넷이 고등학생의 삶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폰과 인터넷의 긍정적 사용을 통하여 고등학생의 삶의 행복을 추구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스마트폰과 인터넷 활용에 대한 교육과 상담영역에서의 운영에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dependency, internet cognitive failure, peer relationship, academic stress, and happiness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195 students attending the same high school in South Korea.A hypothetical model was composed of smartphone dependency and internet cognitive failure as exogenous variables, peer relationship, academic stress, and happiness as endogenous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study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smartphone dependency significantly affect internet cognitive failure. Second, smartphone dependency and internet cognitive failure significantly affect peer relationship. Third, smartphone dependency and internet cognitive failure significantly affect academic stress. Fourth, smartphone dependency and peer relationship significantly affect happiness. These results imply that smartphone dependency and internet cognitive failure considerably influence high school students’ life overall. Based on these finding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high school students, education and counselling professionals should develop programs that focus on smartphone dependency and internet cognitive failure. Also, they should provide various educational and counselling strategies to high school students to effectively use smartphone and internet.

      • KCI등재

        일반고와 특성화고 학생의 부모지원, 교사지원, 진로성숙도, 자기조절학습 및 학교만족도 차이 분석

        김동심,주영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0 No.3

        Korean high schools are categorized into general, special purpose (gifted), vocational, and autonomous schools. Each high school has its own purpose for education, but until recently, Korean high schools have focused on achievements for university entrance. Studies have thus largely been limited to analyses of academic achievements. There is a lack of studies, however, that compare the parent support, teacher support, career maturity, self-directed learning, and school satisfaction between the different types of high schools. For this study, 1,141 students from high schools in Korea completed surveys (851 students: general school, 851 students: vocational school). Parent support, career matur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were the variables that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s. Parent support and career maturity in a vocational high school was higher than that in a general high school. Self-directed learning in a general high school was higher than that in a vocational high school. 본 연구는 일반고와 특성화고 학생의 부모지원, 교사지원, 진로성숙도, 자기조절학습 및 학교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잠재평균분석을 활용하였다. 서울과 경기도의 일반고 4개교와 특성화고 4개교를 편의표집하여, 일반고 학생 851명, 특성화고 학생 290명 총 1,1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사용하여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에서 일반고와 특성화고 집단의 동일성 검증 절차를 거친 후, 잠재평균을 비교하였다. 잠재평균분석 결과, 부모지원, 진로성숙도 및 자기조절학습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부모지원과 진로성숙도는 특성화고가 높게, 자기조절학습은 일반고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대적인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Cohen의 효과크기를 확인한 결과, 부모지원과 자기조절학습은 중간 수준의, 진로성숙도는 작은 수준의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유형에 따른 각 변인의 차이를 분석하고, 향후 학교유형별 운영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