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인과관계 연결어미 한국어 교욱 방안 연구 : -'-(으)니까'와 '-아서/어서'의 단계별 교육 방안

        박진현 한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research aimed at suggesting phased education method of '-(eu)nika', '-aseo/eoseo' in Korean grammar education as the foreign language by analyzing syntactic, semantic·pragmatic characteristics of causal relations conjunctive endings, '-(eu)nika' and '-aseo/eoseo'. As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first, there's no restriction in connection between pre-final ending '-eot-' with '-(eu) ika', however there's restriction in connection with '-aseo/eoseo'. Pre-final ending '-get-' has no restriction with connection with '-(eu)nika', however in many cases it is vague whether the meaning indicates the future or supposition, also, in respect of connection with '-aseo/eoseo', there's a limitation when '-get-' has the meaning of future, however partial connection is possible when it has the meaning of supposition. Second, movement of antecedent clause of the composition made of '-aseo/eoseo' is more natural, rather than the composition made of '-(eu)nika'. Third, formation of cleft sentence is available with '-aseo/eoseo', which has relatively less independence. Fourth, there's a restriction in '-aseo/eoseo' when imperative sentence or suggesting sentence comes in the following sentence. As the semantic·practical characteristics, first, generally it is natural when subjective determination of speaker comes in the antecedent clause of '-(eu)nika', and objective content that everybody acknowledges in the antecedent clause of '-aseo/eoseo'. Second, in the conversation situation where asking and answering the reason, it is more natural to answer by using '-aseo/eoseo' rather than answering with ‘-(eu)nika’. Third, the composition of ‘-(eu)nika’ has focus of information in the following sentence, while the composition of '-aseo/eoseo' in the antecedent clause. '-(eu)nika' and '-aseo/eoseo' as the goal sentence structure in Korean language textbook suggested the point of possibility of connection with pre-final ending among the syntactic characteristic and the types of following sentence in common, however there was difference in degree. In respect of error analysis, error rate of the beginner appeared highest in the sentence that connected two sentences of the vocabulary of beginner's level with '-(eu)nika' and '-aseo/eoseo', however, among them the error rate related to the pre-final ending and following sentence, the syntactic cause appeared higher in the error rate of medium·high learners. Error rate by semantic·practical cause appeared highest in the beginners, however the error rate of medium·high learners appeared similar, around 36%.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ause of error by dividing into the error related to objectivity, subjectivity, and focus of information, and the error related to politeness. Based on the above content,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ontent of phased education method suggestion of '-(eu)nika' and '-aseo/eoseo' as follows. As this research investigated in the text analysis as the goal sentence structure, the beginner's level showed difference per textbook without distinct standard, however each text showed difference, this research suggested the activity plan that could be utilized as the teacher's guide and task in grammar education that could be the standard. In respect of the restriction of pre-final ending, this research suggested only the restriction of connection between ‘-aseo/eoseo’ and ‘-eot-’. Second, suggested that there's restriction in the sentence that has the speaker's intension in the following sentence of the sentence that used '-aseo/eoseo', along with imperative sentence, suggesting sentence, and promissory sentence. Lastly, there's a case that divided the greeting words as 'Nice to meet you' separately from the beginner's textbook, this also could be educated by naturally being connected with politeness of '-aseo/eoseo', when teaching this by connecting with causal relations conjunctive endings '-aseo/eoseo'. In medium·high level, this research selected spiral curriculum and suggested to teacher's guide for the medium·high level learners, with the cause of higher result in error rate of learned content from the beginner's level. Firstly, this research made the learners search the rules by themselves in respect that there's a restriction when there are the meanings of command, advice, permission, and appointment in the following sentence of '-aseo/eoseo', then suggested to explain there's a focus in the information in the following sentence of the sentence that used '-(eu)nika'. After progressing the explanation enough, this research suggested to explain that the antecedent sentence of ‘-(eu)nika’ is followed by the cause of speaker's subjective determination, while the antecedent sentence of '-aseo/eoseo' is mainly followed by the objective cause. Lastly, this research intended to suggest that '-aseo/eoseo' express politeness, based on the point that '-aseo/eoseo' are mainly used in the greeting expression as 'Nice to meet you'. 본고는 인과관계의 연결어미 ‘-(으)니까’와 ‘-아서/어서’의 통사적, 의미·화용적 특징을 분석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으)니까’와 ‘-아서/어서’의 단계별 교육 방안을 제시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사적 특징에서는 첫째, 선어말어 ‘-었-’은 ‘-(으)니까’와의 결합에서는 제약이 없지만 ‘-아서/어서’와의 결합에 제약이 있다. 선어말어미 ‘-겠-’은 ‘-(으)니까’와의 결합에서는 제약이 없지만 그 의미가 미래를 나타내는지 추측을 나타내는지 모호한 경우가 많고, ‘-아서/어서’와의 결합에서는 ‘-겠-’이 미래의 의미를 가질 때에는 제약이 있지만, 추측의 의미를 가질 때에는 부분적으로 결합이 가능하다. 둘째, ‘-(으)니까’로 이루어진 구성보다 ‘-아서/어서’로 이루어진 구성의 선행절이 이동이 더 자연스럽다. 셋째, 분열문 형성은 비교적 독립성이 낮은 ‘-아서/어서’가 가능하다. 넷째, ‘-아서/어서’는 후행절에 명령문, 청유문이 오는 것에 제약이 있다. 의미·화용적 특징에서는 첫째, 일반적으로 ‘-(으)니까’의 선행절은 화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아서/어서’의 선행절은 누구나 다 인정하는 객관적인 내용이 오는 것이 자연스럽다. 둘째, 이유를 묻고 답하는 대화 상황에서는 ‘-(으)니까’를 사용하여 대답하는 것보다 ‘-아서/어서’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셋째, ‘-(으)니까’로 이루어진 구성은 후행절에, ‘-아서/어서’로 이루어진 구성은 선행절에 정보의 초점이 있다.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목표 문형으로서의 ‘-(으)니까’와 ‘-아서/어서’는 통사적 특징 중에 선어 말어미와의 결합 가능성, 후행절의 문장의 종류에 대한 부분은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었지만 정도의 차이는 있었다. 오류 분석에서는 초급 수준의 어휘를 사용한 두 문장을 ‘-(으)니까’와 ‘-아서/어서’로 연결하는 문장에서 오류율은 초급 학습자의 오류율이 가장 높았으나 그 중 통사적인 원인인 선어말어미와 후행절과 관련한 오류는 중·고급 학습자가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미·화용적 원인에 의한 오류율은 초급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중·고급 학습자의 오류율은 36% 정도로 비슷하게 나왔다. 오류의 원인은 객관성과 주관성, 정보의 초점과 관련된 오류와 공손성과 관련한 오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으)니까’와 ‘-아서/어서’의 단계별 교육 방안 제시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급 단계에서는 목표문형으로서의 교재 분석에서 살펴보았듯이 뚜렷한 기준이 정해져 있지 않고 교재 마다 차이를 보였는데, 표준이 될 수 있는 문법 교육의 교사용 지침서와 과제로 이용 할 수 있는 활동지를 제시하였다. 선어말어미 제약에 관해서는 ‘-아서/어서’와 ‘-었-’의 결합의 제약만을 제시하였다. 둘째, ‘-아서/어서’가 사용된 문장의 후행절에는 명령문, 청유문, 약속문과 함께 화자의 의도가 들어간 문장까지 제약이 있다고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만나서 반갑습니다’와 같은 인사말을 초급 교재에서 따로 분리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 또한 인과관계 연결어미 ‘-아서/어서’ 관련하여 학습을 시킨다면 ‘-아서/어서’가 가지는 공손성에 대하여 자연스럽게 연결시켜 교육할 수 있을 것이다. 중·고급 단계에서는 중·고급 학습자에게 초급 단계에서 학습한 내용의 오류율이 더 높은 결과를 나온 것을 원인으로 하여 나선형 교육 방식을 선택하여 교사용 지침서에 제시하였다. 먼저 ‘-아서/어서’의 후행절에 명령, 권유, 허락, 약속의 의미가 온다면 제약이 있다는 것에 대하여 학습자 스스로 규칙을 찾게 한 다음에 ‘-(으)니까’가 사용된 문장에서는 후행절에 정보의 초점이 있다는 것을 설명할 것을 제시하였다. 설명이 충분히 진행된 후에는 ‘-(으)니까’의 선행절은 화자의 주관적인 판단인 이유가, ‘-아서/어서’의 선행절은 일반적이고 객관적인 원인이 주로 온다는 것을 설명할 것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만나서 반갑습니다’와 같은 인사 표현에서는 주로 ‘-아서/어서’가 사용된다는 것을 바탕으로 ‘-아서/어서’는 공손성을 드러낸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대학생 스마트폰 과의존 영향요인 : 생태학적 모형 기반

        유정순 한림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2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factors influencing university stud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based on an ecological model. This study was a sequential explanatory mixed method study desig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October 20, 2020 to May 6, 2021, from students across 13 universities in each of the six regions (Seoul/Gyeonggi, Gangwon, Gyeongsang, Jeolla, Chungcheong, and Jeju). To collect quantitative data, 482 students completed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were made available on the community websites at each university. To obtain qualitative data,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8 students who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interview after completing their questionnaires at a university, where it was possible to conduct face-to-face interviews in an undisclosed region. For data analysis, the SPSS 25.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the qualitative data were evaluated through content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average level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of university students was 37.63 (±8.62), and 77.8% of the students were at high risk user. Having self-awarenes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β=.324, p<.001), autonomy (β=-.258, p<.001), average daily smartphone usage time (β=.179, p<.001), being a fourth-year (senior) student (β=.163, p=.010), the motive for smartphone use was to build relationships with others (β=-.150, p=.011), being female (β=-.142, p=.011) and age (β=-.139, p=.023) were the intrapersonal factors influencing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university students. And friends support (β=.134, p=.019) was the interpersonal factors influencing smartphone overdependence. The explanatory power of such variables was 34.9%. In terms of the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gender, the factors for male students were the use of 5G (β=.148, p=.016), studying purposes (β=-.188, p=.003), and information search (β=-.126, p=.045),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34.4%. In contrast, female students showed friends support (β=.198, p<.001) and SNS (social network service) use (β=.112, p=.027) as the influencing factors,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29.5%. Through the qualitative analysis, 13 categories and 23 subcategories were extracted according to the questions from the three areas of ‘motives for smartphone use,’ ‘awareness of smartphone overuse cues,’ and ‘factors affecting increased use of smartphones.’ In particular, ‘the changes of environment’ in the institutional and community factors identifi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indicated that decreased in-community social networks and the imposed restrictions in daily lives due to COVID-19 triggered an increase in the use of smartphones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rsonal traits as well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which are the external environments surrounding university students, also exerted a crucial influence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differentiated intervention strategies,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 to which a student belongs, to prevent and manage students' excessive use of smartphones. This study applied an ecological model for the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 to which an individual belongs by including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external community environment factors, which were rarely considered in previous studies. Furtherm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used a mixed method study to comprehensively present the factors influencing university student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Keywords: Ecological model, smartphone overdependence, self-determination,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는 생태학적 모형에 기반하여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차원적 관점에서 규명하고자자 순차적 설명 혼합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자료수집은 양적 및 질적자료를 모두 포함하여 2020년 10월 20일부터 2021년 5월 6일까지이며, 전국 6개 권역별(서울/경기, 강원, 경상, 전라, 충청, 제주) 13개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양적자료수집은 각 대학별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총 482명을 모집하였으며, 질적자료수집은 대면 인터뷰 참여가 가능한 G지역 H대학에서 설문지 작성을 완료한 후 인터뷰 참여의사를 밝힌 1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카이제곱검정, 독립표본 t-검정, 분산분석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하였고, 질적자료는 내용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은 평균 37.63점(±8.62)이었으며, 과의존 위험 사용자는 77.8%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 요인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대한 자기 인지가 있는 경우(β=.324, p<.001), 자율성(β=-.258, p<.001), 스마트폰 사용시간(β=.179, p<.001), 4학년(β=.163, p=.010), 스마트폰 사용 동기가 주변사람들과의 관계형성인 경우(β=-.150, p=.011), 여학생(β=.142, p=.001), 연령(β=-.139, p=.023)이, 대인관계 요인은 친구지지(β=.134, p=.019)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들의 설명력은 34.9%였다. 또한 성별에 따른 영향요인은 남학생에서는 5G 사용(β=.148, p=.016), 스마트폰 사용 동기 중 학업을 위함 (β=-.188, p=.003), 정보검색(β=-.126, p=.045)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34.4%였다. 반면 여학생은 친구지지(β=.198, p<.001)와 SNS 사용(β=.112, p=.027)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29.5%였다. 질적자료 분석 결과, 연구질문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 동기’, ‘스마트폰 과다사용 신호 자각’, ‘스마트폰 사용의 증가 요인’ 3개의 영역에서 총 13개의 범주와 23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특히, 질적연구를 통해 조직·지역사회 요인으로 환경의 변화와 관련하여 사회적 네트워크 감소와 COVID-19로 인한 일상생활의 제한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을 높이는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은 개인의 특성 뿐만아니라대학생을 둘러싸고 있는 대인관계 및 사회적 외부환경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 및 관리를 위해 개인이 속한 환경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중재 전략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생태학적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에서 드물게 사용했던 지역사회 외부환경 요인에 대한 변수를 포함하여 개인이 속한 환경을 다차원적으로 접근하려고 시도하였으며, 혼합연구 방법을 통하여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의 영향요인을 포괄적으로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주제어 : 생태학적 모형, 스마트폰 과의존, 자기결정성, 대학생

      • 고양이 망막에서 5,7- DHT에 의한 신경절세포의 사멸과 미세아교세포의 반응양상

        주우현 한림대학교(한림대학) 1998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study was designed to clarify the neurotoxic effects of 5,7-dihydroxytryptamine (5,7-DHT) on the ganglion cells, and to investigate the microglial reactions to the neurodegenerative changes in the cat retina.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adult cats of both sex, weighing 2,500 g - 3,500 g. 5,7-DHT(100㎍) dissolved in 0.9% Nac1 was injected into the vitreous body. All injections were performed in one-side eye ; the other side served as the control, which was injected only with 0.9% Nacl.cats were sacrificed at 1, 3, 7, 14 and 21 days after intravitreal injection of 5,7-DHT. Most of the 5,7-DHT accumulating cells were undergone typical dark degeneration. That is, the cells were characterized by widening of the cellular organelles at early stage, and by darkening of the cytoplasm at late stage. The population of the degenerated cells in the GCL was peak at 14 day after the drug injection, but thereafter slightly decreased at 21 day. Most of the degenerated cells were phagocytosed by microglial cells in the cat retina, but some removed by astrocytes. NDPase-positive microglial cells were mainly distributed in the inner plexiform layer of the retina, and characterized by a small somata with a few slender processes, which were also extended in the GCL and inner nuclear layer (INL). The intensity of the microglia stained for NDPase was abruptly increased at 7 day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and thereafter continuously sustained until 21 day, the last experimental group in this study. In addition, the processes of NDPase-positive microglial cells became more short and thick after ter 7day. Under the electron microscopical observation, microglial cells in the control group exhibited elongate nucleus with perinuclear chromatin condensation,m and the perikaryon was scanty, containing strands of RER(rough endoplasmic reticulum). However, a few hypertrophic glial cells acquired abundant cytoplasm, were frequently found at 3 days after the drug injection. By 7 dya, most microglial cells began to migrate toward the degenerated neurons in the GCL, and the number of microglial cells was slightly increased by proliferation as compared with the former group. AT the 14 day, most microglial cells wraped the degenerated cells in the GCL, and a few cells showed active phagocytotic features. By 21 day, most microglial cells were engaged in phagocytotic activity, and their cytoplasm was filled with the phagocytosed matrial. Based on the results, 5,7-DHT may act as a specific neurotoxin to a part of ganglion cells in the cat retina, and microglial reactions to the neuronal death prevailed in early experimental stag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icroglial cells in the cat retina show characteristic features as glial reaction to particular type of neuronal death.

      • 노인과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 비교 연구

        고영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조사대상자들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태도와 의식을 조사함으로써,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노인들과 대학생들로부터 노인에 대한 태도와 관련된 질문을 통하여 노인과 젊은이들에 대한 의식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셋째, 연령에 따른 노인집단과 대학생집단간의 긍정적, 중간적, 부정적인 태도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이전 연구결과와 비교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세대간의 차이와 갈등의 원인을 검토함으로써, 상호 견해차를 극복하는데 필요한 바람직한 이해와 표현의 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서 60세 이상 남?여 노인 99명을 대상으로 서울시 3개구에 위치한 노인종합복지관, 경로당, 공원, 노인학교에서 조사하였다. 또한, 18세 이상 남?여 대학생 199명을 대상으로 서울시에 위치한 10개 대학교에서 조사하였다. 노인에 대한 태도는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이 때 신뢰도 계수는 Cronbach's alpha=.72였다.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조사대상자집단의 노인에 대한 태도 차이를 평균점수에 따라서 문항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노인에 대한 태도는 노인집단인 경우 M=2.35, 대학생집단인 경우 M=2.14로 나타났다. 노인에 대한 태도는 노인집단인 경우 최고 M=2.84, 최저 M=1.36, 대학생집단인 경우 최고 M=2.82, 최저 M=1.64로 나타났다. 평균점수가 가장 높은 문항은 13번으로 ‘당신은 노인들이 일종의 장애인 같은 취급을 받는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문항에서 M=2.84로 나타났으며, 평균점수가 가장 낮은 문항은 17번으로 ‘당신은 노인들이 비슷한 나이의 노인들과 어울리는 것을 더 좋아한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문항에서 M=1.36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통해서 볼 때, 노인집단이 대학생집단보다 노인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또한, 노인집단과 대학생집단 모두 노인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2.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노인인 경우에는 노인에 대한 태도가 배우자의 건강상태여부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배우자가 건강하지 않은 경우가 M=2.41로 건강한 경우인 M=2.29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배우자가 건강하지 않은 노인들이 배우자가 건강한 노인들보다 노인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대학생인 경우에는 노인에 대한 태도가 성별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남자 대학생들이 M=2.17로 여자 대학생들 M=2.12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자 대학생들이 여자 대학생들보다 노인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3.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사회 인구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노인에 대한 태도에서 노인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노인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대학생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은 성별로 나타났다. 성별의 회귀계수인 β=.256(t=2.113, p<.05)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볼 때, 노인에 대한 태도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는 노인인 경우 배우자의 건강상태여부로 나타났으며, 대학생인 경우 성별로 나타났다. 그리고 노인인 경우 노인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 인구학적 특성은 없었지만, 대학생인 경우 성별로 나타났다. 그리고 노인집단과 대학생집단 모두 노인에 대한 태도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학생집단보다 노인집단이 노인에 대하여 더 긍정적이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subjects' attitude toward the aged socio-demographicall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to fine factors that influence peoples' attitude to the aged, by studying old people's and University students' attitude toward and thinking of the aged. Second, it i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thinking between the old and University students through questions related to an attitude toward the aged. Third, it is to compare with the earlier result of studies by analyzing the positive, neutral, negative attitudes between the old group and University students group by age. Finally, it is to provide a good chance to understand and express, which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difference in mutual opinion, by examining a reason of the generation gap and troubles. For the study, the survey was done at senior welfare centers, senior community centers, parks, & senior schools in the areas of 3 gus, Seoul, with 99 old people(men & women) over sixty as subjects. Besides, it was conducted with 199 University students(men &women) over eighteen at the 10 universities in Seoul. An attitude toward the aged is Cronbach's alpha= .72.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1. The below is a result that it looks at the difference of attityde toward the aged between the two group by field and by item depending on the mean. For an attitude toward the aged, it is found that M=2.35 for the old and M=2.14 for minimum of M=1.36, while University students group has M=2.82 as the maximum and M=1.64 as the minimym, It is found item No. 13, do you think that the old are treated as the handicapped? To be highest mean, M=2.84, while the lowest, M=1.36, comes from the item No. 17, do you think that old people prefer to keep company with peers? Considering the above result, the ole group shows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ged than University students group, although both groups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ged. 2. Next is a result from analyzing an attitude toward the aged socio-demographically. For old peopl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ward the aged, depending on the health condition of a spouse. In turn, the case of having unhealthy spouse, M=2.41, is found to be higher than the case of healthy spouse, M=2.29. So, the old with an unhealthy spouse show more positive attitude than those with a healthy one. For University students,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 by sex. It is found that male students take higher values, M=2.17, than female students, M=2.12, showing male students have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old than female students. 3. Following is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e influencing the attitude toward the aged. Whereas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old people has no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ttitude toward the aged, that of University students is found to bo sex. It turns out to be significant, with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sex, β=.256(t=2.113, p<.05). Based on the above result, as a socio-demographic variable influencing the attitude toward the aged significantly, it is found that it depends on the health condition of a spouse for the old, and sex for University students. Also, as a socio-demographic variable influencing the attitude toward the aged significantly, it is found that old people have no such a variable, while students differ depending on sex. In addition, both groups show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ged, suggesting that the old group have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ged than University students group.

      • 금주동맹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주정중독 환자의 변인에 관한 연구

        윤정섭 한림대학교(한림대학) 1991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author investigated the background of a alcoholic patients which seemed to affect the participation of alcoholic patients to Alcoholics Anonymou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59 patients with alcoholic patients who had been admitted to Kangdong Sacred Heart Hospital from July, 1988 to September, 1990. This study was performed by the review of inpatient records and interview through telepho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s we compared the group of maintaining sobriety with the alcoholic group which had drunken alcohol continusously after discharge, 1) The alcoholic patients who had professional job were more difficult to be abstinent than the other groups.(p=0.046) 2)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continuously drinking group had significantly domineering mother and weak father.(p=0.037) 2. As we compared participating group with non-participating group, 1) Alcoholic patients with drinking history over 15 years revealed resistance to participate in alcoholic anonymous.(p=0.034) 2) Well-educated alcoholic patients attended alcoholic anonymous well more than patients with lower educational level.(p=0.0389) 3) Alcoholic patients in higher socioecconomic status had higher tendency to participate alcoholic anonymous than those in lower socioecconomic status.(p=0.031) 4) Those who eagerly participated alcoholic anonymous seems to maintain sobreity more than those who did not showed interest in alcoholic anonymous.(p=0.0045)

      • 기억 지시 조건과 단어의 정서가가 노인과 대학생의 기억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억제적 통제능력과 정서의 긍정성 효과

        김상순 한림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노화에 따라서 저하되는 인지영역에는 개인차가 있지만 그 중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받게 되는 영역은 기억력이다. 기억에는 신경해부학적으로 해마를 포함한 내측 측두엽 구조뿐만 아니라 전두엽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두엽은 인간의 두뇌 발달 과정에 있어서 가장 나중에 발달하고 노화에 따라서 가장 먼저 그 기능이 퇴화하는 영역으로 알려져 있다. 전두엽은 사고, 추론, 문제해결 및 규칙전환의 인지기능뿐만 아니라 보상과 동기, 의사결정 및 정서조절과 관련된 정서기능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Hasher와 Zacks(1997)는 전두엽 기능 중에서도 목표와 관련이 있는 정보는 활성화시키고 관련 없는 정보는 의식적으로 억제하는 억제적 통제능력이 노화에 따라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하였다. 이처럼 노화에 따라서 많은 인지적 능력이 저하되는 것과는 달리 노인의 정서조절 능력은 젊은이들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거나 오히려 증진된다(Carstensen, 1995). 특히, 정서조절 능력과 관련하여 노인들은 부정적인 정보보다 긍정적인 정보를 더 잘 처리하는 긍정성 효과를 지닌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노년기의 전두엽 기능 변화에서 비롯된 억제적 통제능력의 저하와 정서의 긍정성 효과가 노인의 기억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학생 30명(남 15명, 여 15명)과 정상 노인 29명(남 15명, 여 1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억제적 통제능력과 정서의 긍정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지시에 따라서 긍정, 중립 및 부정단어를 기억하거나 망각해야 하는 망각 지시 과제(directed forgetting task)를 실시하였고, 즉각회상과 지연회상 단계에서의 수행을 평가하였다. 또한 망각 지시 과제로 평가된 억제적 통제능력과 기존의 신경심리검사들에서 평가하는 억제적 통제능력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K-WAIS-IV의 숫자 소검사, Korean-Color Word Stroop Test, Flanker Test 및 Continuous Performance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즉각회상 단계에서 대학생이 노인집단보다 단어를 유의미하게 많이 기억하였다. 집단과 지시조건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대학생 집단이 노인 집단보다 “기억하시오” 조건의 단어를 더 많이 회상한 반면에 노인 집단은 대학생 집단보다 “기억하지 마시오” 조건의 단어를 더 많이 회상하였다. 또한 노인 집단은 긍정 단어를 부정과 중립 단어보다 더 많이 회상하였고, 대학생 집단은 중립 단어를 부정 단어보다 더 많이 기억하였으나 긍정과 중립, 긍정과 부정단어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즉각회상 단계와는 달리 두 기억조건에서 제시된 단어를 모두 회상하도록 한 지연회상 단계에서는 대학생 집단이 노인 집단보다 즉각회상단계에서 제시되었던 “기억하시오”(대학생: 49%, 노인: 22%)와 “기억하지 마시오”(대학생: 5%, 노인: 2%) 두 조건 모두에서 단어들을 더 많이 회상하였다. 지연회상 단계에서 노인 집단은 긍정과 부정, 부정과 중립 단어에 대한 회상률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긍정 단어를 중립 단어보다 유의미하게 더 많이 기억하였다. 대학생 집단에 있어서는 중립 단어를 부정과 긍정 단어보다 유의하게 많이 기억하였다. 대학생 집단은 즉각회상 단계의 “기억하시오” 조건으로 제시되었던 중립 단어를 부정과 긍정 단어보다 유의하게 더 많이 기억하였으나 “기억하지 마시오” 조건의 단어에 대한 정서가의 지연회상률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집단은 즉각회상 단계에서 대학생 집단보다 “기억하지 마시오” 조건의 단어를 더 많이 기억하였고, 부정과 중립단어보다 긍정 단어를 더 많이 기억하였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들에 있어서 억제적 통제능력의 저하와 정서의 긍정성 효과가 기억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증명한다. 또한 선행 연구들과는 달리 즉각회상과 지연회상 단계에서 대학생 집단이 정서의 부정편향을 나타내지 않은 것은 기억과제의 종류와 난이도에 따라서 젊은이들이 서로 다른 방식의 정저조절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廣東 國民政府하의 反基督敎運動과 敎會學校의 對應 : 1926年 廣州 嶺南大學 학원소요를 中心으로

        승병철 翰林大學校 1995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thesis is aimed to shed a light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Anti-Christian Movement in the Nationalist Revolution era. Its character is a tension between linkage of the Anti-Christian Movement to the Nationalist Revolution and the question of its autonomy. The Anti-Christian Movement to aim at anti-imperialism is regularized after GMD-CCP Alliance(國共合作). By means of anti-church or Restore Educational Rights Movement, Guomindang(國民黨, GMD) could mobilize the people, especially students. But Guomindang's policies transfered to Anti-Cultural Invasion Movement(反文化侵略運勳), for some limits of the GMD's policies were exposed in the Huangsha Church Incident(黃沙敎會事件) December, 1925. Students played crucial role in the Anti-Christian Movement, but Guangdong Communist Youth League(廣東共産主義靑年團) and right-wing students of GMD (representatively Sunism Socienty 孫文主義學會) were in conflict to acquire leadership of the Guangzhou Student Union(廣州學聯) and Guangdong Student Union(廣東全省學聯). The split of these two Student Union brought about or accelerated the split of christian school's students. For instance, Lingnan University(嶺南大學) was applicable to this case. In the Lingnan Univ.'s unrest the school's authorities were opposed to the Canton Nationalist Government(廣東國民政府). The Nationalist Government took the restoration of the Lingnan Univ. into account, on the contrary Lingnan Univ. unyieldingly responded to the Nationalist Government's order. A large portion of the students supported their school's attitude. Why did they support the school's authorities? In every respect, for instance education of English and natural sciences, teaching staff, and strict class, and so on, Lingnan's students obtained so high standard of discipline to support their school's attitude. By May 1925 Lingnan Univ. had established friendly relations with the Nationalist Government. But since Shakee Incident(沙基事件) in June 1925, Lingnan Univ. suffered from a political issue because of American Staff's Resolution for that Incident. This experience had the Univ. to learn a lesson, i.e. the elimination of political factors from its campus. I think the propel of the Anti-Cultural Invasion Movement as a product of Lingnan Univ.'s case. For after the Lingnan Univ.'s unrest GMD promoted the Anti-Cultural Invasion Movement in theory and practice. I drew some conclusions from this analysis. First, before and after the Northern Expedition Nationalist Government was in a dilemma between ruling and revolutionary government. Second, I explained why Lingnan Univ. choose the latter between politics and education. Third, I explained a christian school's view of the Nationalist Revolution. Above all, what is endeavoured to emphasize in this thesis is the character of the Anti-Christian Movement in the Nationalist Revolution era.

      • 경찰관과 대학생의 거짓말 행동 특징에 관한 신념 및 거짓말 탐지능력에 대한 연구

        김재홍 한림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경찰관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거짓말에 대한 고정 관념과 신념 그리고 이들의 거짓말 탐지 능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따라 경찰관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두 가지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1에서는 거짓말에 대한 고정관념과 거짓말할 때 나타날 것이라고 기대하는 행동 특징에 대한 신념에 대하여 확인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1의 결과, 경찰관들과 대학생들은 자신의 거짓말이 발각될 가능성을 낮게 평가하였고, 타인의 거짓말에 대한 탐지 가능성도 낮게 평가하였다. 거짓말에 대한 6가지 고정관념은 경찰관과 대학생이 유사하게 믿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거짓말할 때 나타나는 비언어적·언어적 특징에 대한 신념에서도 경찰관과 대학생 모두 유사한 신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거짓말하는 범죄용의자들의 행동과 본 연구 참가자들의 신념을 비교해 보았을 때 언어적 특징에 대한 신념은 비교적 일치하였지만, 비언어적 행동 특징에 관한 신념은 불일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두 번째 연구는 실제로 경찰관과 대학생들이 얼마나 거짓말을 정확하게 판단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경찰관과 대학생들의 거짓말 탐지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자극재료를 만들기 위하여 예비연구가 실시되었다. 예비연구는 자원한 4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돈 봉투를 가지고 간 사람과 가지고 가지 않은 사람들을 조사관이 면담하여 진위여부를 판단하는 실험이었다. 이 중 10명의 진실 혹은 거짓말을 하는 사람들을 선정하여 녹화된 비디오 화면과 음성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이들의 행동적 특징을 체크하였다. 예비연구 결과, 진실한 사람과 거짓말을 하는 사람의 비언어적·언어적 행동 특징에는 아무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자극재료를 이용하여 경찰관과 대학생들이 실제로 얼마나 정확하게 판단하는지 본 연구에서 알아본 결과, 경찰관은 평균 44.76%, 대학생은 평균 43.72%로 두 집단의 판단 정확성이 모두 우연수준인 50%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진실한 사람을 판단할 때보다 거짓말을 하는 사람들을 상대적으로 더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위 판단에 사용된 단서를 분석해 본 결과, 비언어적 행동 특징에서 경찰관 집단과 대학생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것은 '미소' 였는데, 진실한 사람을 판단할 때는 대학생이 '미소' 에 대하여 더 많이 주목하였으며 거짓말을 하는 사람을 판단할 때는 경찰관이 더 많이 주목하였다. 언어적 특징 단서를 사용한 정도에서는 두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경찰관 집단은 판단 정확성과는 상관없이 판단 확신도가 대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거짓말 탐지 연구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understand stereotype and beliefs on lying with Korean police officers and university students as participants and (2) to see their lie detecting ability. Two studies were been conducted. In study 1,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75 police officers and 56 university students. The questionnaire were composed of questions asking their beliefs about characteristics of ly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1, police officers and university students evaluated that the possibility of their own lies detecting to be low. They evaluated that the possibility of detecting others' lies to be low as well. It appeared that six stereotypes about lying were similarly believed by both police officers and university students. Also, both police officers and university students had similar beliefs about non-verbal and verbal characteristics of lying. When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foreign studies, current results were relatively consistent in verbal characteristics of lying but were rather inconsistent in non-verb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e study 2 was conducted to see how accurately police officers and university students detect lies in experimental setting. A pilot study was conducted to make video material of lying or innocent persons being interviewed. The video material depicted a male student being questioned by a male investigator regarding a stolen money from an envelop. Ten video clips( 5 truth , 5 lying) were selected and shown to police officers and university students in group sessio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behavioral analysis, there was no difference in non-verbal and verb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between liars and truth tellers. Police officers showed the average lie defection accuracy of 44.76% and university students showed 43.72%, which were both lower than 50% chance level. It appeared that participants were more accurate when judging liars than judging truth tellers. As a result of analyzing used clues in deciding truth or lie, "smile" showed significance in both group of police officers and university students in non-verbal behavioral characteristic. That is to say, when judging truth tellers, the university students used this cue more than police officers did. but, when judging liars, police officers used "smile" more than university students di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use of verbal characteristics between two groups. Also, police officers were more highly confident in their judgment compared to university students and confidence was not correlated with decision accuracy.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was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