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국내 재배 연근과 연자육의 항비만과 항산화 효과

        유정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재배되고 연의 이용 실태를 조사하고 연의 부위 중 식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연근과 연자육의 항비만, 항산화 효과 및 안전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연의 이용 실태를 알아보고자 연 재배 현황, 가공식품 종류 및 연 관련 행사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근과 연자육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알아보고자 연근과 연자육을 에탄올로 추출한 후 (ELR, ELS) 인간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여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축적 억제 정도, 지방대사 관련 전사인자의 mRNA 발현, 지방세포 분화 시 분비되는 아디포카인을 분석하였다. 고지방식이를 먹인 흰쥐에서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고자 고지방식이를 먹인 sprague-dawley (SD) 쥐에게 ELR과 ELS를 공급하여 체중, 지방조직 무게 및 지방세포 크기, 혈청 지질, 인슐린, 아디포카인 농도를 분석하였다. ELR과 ELS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에 의한 radical 소거능, 환원력, oxygen radical antioxidant capacity (ORAC) 분석을 하였고, 고지방식이를 먹인 SD 쥐에게 ELR과 ELS를 공급하여 간의 지질과산화물 함량과 항산화물질인 glutathione (GSH) 함량, 항산화 효소인 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ELR과 ELS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ICR 마우스를 이용한 단회 경구 투여 독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연근의 생산 면적 및 생산량은 96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다가 2009년 이후 감소되었다. 연근의 주산지는 대구이고 경남, 경북, 전남 순으로 많이 재배되고 있었다. 현재 연 시장 규모는 400억 원대로 추정되며 가공식품은 연근과 연잎을 이용한 것이 많았고 연자육과 연꽃을 이용한 가공식품은 제한적이었다. 전남 무안을 비롯하여 강화 선원사, 시흥 관곡지, 아산 신정호, 부여의 서동공원, 전주의 덕진공원 등에서 매년 연 관련 행사가 개최되어 연 음식 체험 및 각종 연 관련 제품들이 판매되었다. 연근과 연자육은 시흥에서 구입하였고, 에탄올로 추출한 수율은 각각 3.24%와 6.83%이었다. ELR과 ELS는 인간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하였고, 지방세포에서 중성지방 축적을 저해하였다. RT-PCR을 통해 지방생성 관련 mRNA의 발현을 확인해본 결과 ELR과 ELS는 지방생성의 중요한 전사인자인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와 지방세포 분화의 최종 마커인 렙틴, glucose transporter 4 (GLUT4)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분화된 지방세포에 ELR과 ELS의 공급은 비만에서 증가되는 렙틴의 분비와,염증의 지표로 알려진 IL-6와 IL-8의 분비를 감소시킨 것으로 보아 비만관련 아디포카인의 분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고지방식이로 사육한 SD 쥐에 ELR과 ELS 공급은 체중 증가를 유의적으로 낮추었고, 부고환 지방과 후복막 지방의 무게 및 후복막 지방세포 크기를 감소시켰으며 고지방식이로 인해 상승된 혈청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었다. ELR의 공급은 혈청 인슐린 농도와 렙틴 농도를 낮추었고 ELS는 렙틴 농도를 낮추었다. ELR과 ELS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ORAC 분석을 실시한 결과 비타민 C보다는 낮지만 우수한 항산화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ELS 보다는 ELR의 항산화 효과가 더 우수하였다. 또한 고지방식이로 사육한 SD 쥐에 ELR과 ELS 공급은 간의 지질과산화물 축적을 저해하였고 항산화 물질인 GSH와 항산화 효소인 SOD 활성도를 상승시켰다. 안전성 평가의 일환으로 단회 경구 투여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급성 독성을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약처) 기준에 준하여 (2012.08.24) 평가한 결과 식약처 의약품의 독성시험기준에 의거 ‘시험물질의 독성이 극히 약하여 중독량을 구하기 어려운 경우 기술적으로 투여할 수 있는 한계량’인 2,000 mg/kg body weight (BW) 과 미국 환경보호청의 ‘무해 물질 분류 기준’인 5,000 mg/kg BW 모두에서 임상적인 이상이나 사망이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ELR과 ELS의 경우 LD50은 5,000 mg/kg BW 이상이어서 급성 독성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연근과 연자육 에탄올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항비만 효과, 항산화 효과에 대한 기능성이 밝혀짐에 따라 추후 임상 연구와 반복 투여 독성 시험 및 기준 규격 확보를 통하여 천연물 소재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의 개발이 요구되고, 더불어 연근의 항비만, 항산화 기능성과 관련된 다양한 가공식품 및 조리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 인지재구조화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우울 경향이 있는 기혼여성의 우울, 스트레스, 역기능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유정순 계명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지재구조화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우울 경향이 있는 기혼여성의 우울, 스트레스 및 역기능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Beck이 인지이론을 바탕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을 최승애가 우리나라에 맞게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대구시에 소재하는 C고등학교 3학년 자모회에 소속된 기혼여성 9명이며 우울점수가 상위 10%에 해당하는 기혼여성들이다. 집단상담은 2004년 12월 2일부터 2005년 1월 27일까지 총 9주간 9회기, 매 회기 120분씩 본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 그리고 프로그램 종결 8주 후 우울, 스트레스 및 역기능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PSS 10.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고, 집단내의 시기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대응표본 t 검증(paired t-test)이 적용되었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한 결과, 본 연구에서 실시한 인지재구조화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우울 경향이 있는 기혼여성의 우울의 감소, 스트레스 감소 그리고 역기능적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8주 후까지도 그 효과는 안정적으로 지속되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ognitive restructuring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depressed married woman. To accomplish this purpose, Beck's cognitive restructuring group counseling program, reconstructed by Choi, Seung-Ae, was used .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 married women drawn from a maternal association of three year students of C high school whose scores were in the upper 10% as measured by the depression score. The cognitive restructuring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9 weeks, 9 sessions, 120 minutes per session, from 2d December 2004 to 1st January 2005 by the present investigato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a pretest and posttest were administered, and a follow up test was conducted 8 weeks after the posttest.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3 scales measuring depression, stress and dysfunctional attitudes.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y SPSS 10.0 program. The effects of a cognitive restructuring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analyzed by paired t-test. Result showed that the cognitive restructuring group counseling program conducted for depressed married women had effects on decreasing depression, stress and dysfunctional attitudes.

      • 부모의 문제음주 여부와 가족기능이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개인내적 보호요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유정순 계명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문제음주 여부가 가족기능을 통해서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개인내적 보호요인(자존감, 심리적 독립, 문제해결력, 영성)이 완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개인내적 보호요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남녀 대학생 624명이었다. 연구도구는 한국어판 알코올중독자 자녀 선별검사, 우울증 척도, 가족응집성 및 가족적응성 척도, 자존감 척도, 심리적 독립 척도, 문제해결력 척도, 영적 안녕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21.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순차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문제음주가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고, 가족기능은 부모의 문제음주 여부와 대학생의 우울 사이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문제음주가 대학생 자녀의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가족기능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가족기능과 개인내적 보호요인(자존감, 문제해결력, 영성)이 상호작용하여 대학생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존감, 문제해결력, 영성이 가족기능이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완충한다는 의미이다. 반면에 심리적 독립은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부모의 문제음주 여부가 가족기능을 통해서 대학생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개인내적 보호요인(자존감, 문제해결력, 영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개인내적 보호요인이 단순히 가족기능과 대학생의 우울 간의 관계를 조절할 뿐 아니라 부모의 문제음주가 가족기능을 통해서 대학생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기능을 증진시키는 것이 문제음주자 대학생 자녀의 우울 예방을 위해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또한 개인내적 보호요인(자존감, 문제해결력, 영성)의 수준을 높이는 것이 낮은 가족기능으로 우울한 대학생과 부모가 문제음주를 하여 가족기능이 낮은 대학생 자녀의 우울수준을 낮추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internal protective factors (self-esteem, psychological independence, problem-solving ability, and spirituality) on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problem drinking, family function, and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A total of 624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measures included the Children of Alcoholic Screening (test-K), Beck Depression Inventory,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Evaluation Scale, Self-Esteem Scale, Psychological Separation Inventory, Problem Solving Inventory, and Spiritual Well-Bing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SPSS Macro.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sult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roblem drinking and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was completely mediated by family function. This indicates that parental problem drinking influences on their children indirectly through family function rather than directly. Second, internal protective factors (self-esteem, problem-solving ability, spirituality) moderated the effect of family function on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This result implies that internal protective factors can alleviate the impact of family function on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Third, internal protective factors also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problem drinking on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through family function. This finding indicates that internal protective factors (self-esteem, problem-solving ability, and spirituality) moderated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but also the influence that parental problem drinking has on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through family function. Overall, the results suggest that promoting family function is an effective prevention method for depres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from families with parental problem drinking. In addit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promoting internal protective factors (self-esteem, problem-solving ability, and spirituality) could be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levels of university students from background with low family function and occurrences of parental problem drinking.

      • 저소득 독거노인과 일반 가족동거노인의 건강상태와 간호요구도 조사

        유정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저소득 독거노인과 일반 가족동거노인의 건강상태와 간호요구도를 비교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취약한 환경에 처해 있는 저소득 독거노인의 건강관리 및 건강유지 ․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한 비교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05년 6월 1일부터 7월 29일까지 본 연구자에 의해 훈련받은 해당 보건소의 방문간호사가 가정방문 및 시내 경로당을 방문하여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개별면담과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노인의 건강상태 측정도구와 UTMB의 Home Health Agency에서 사용하는 가정간호요구 사정표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K를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기술통계, x2 검정,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75.91세로 나타났으며, 간호자 유무에서는 독거노인 41.5%가 간호자가 있다고 응답한 반면 가족동거노인은 99.0%가 있다고 응답하여 두 군 간의 큰 차이를 보였으며, 아플 때 간호를 받을 수 있는 수발자로 자녀에 대한 선호도(70.5%)가 가장 높았다. 대상자의 93.3%가 질병을 가지고 있으며, 독거노인에서는 고혈압, 관절염, 심장질환 순이었고, 가족동거노인에서는 고혈압, 관절염, 당뇨병 순이었으며, 그 중 2가지 질병을 가지고 있는 노인이 46.2%로 가장 많았고, 질병 유병기간은 5년 이하가 40.5%로 가장 많았다. 건강상태는 가족동거노인에 비해 독거노인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건강상태(t=-7.615, p=.000), 정서․정신건강상태(t=-9.057, p=.000), 사회건강상태(t=-19.711, p=.000)에서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대상자들의 전체 간호요구도는 총 120점 만점의 평균 19.92점이었고, 독거노인(평균 26.58점)의 간호요구도가 가족동거노인(평균 13.07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 독거노인의 간호요구도는 가정환경에 대한 간호요구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영적 간호요구, 질병관련 지식에 대한 간호요구, 심리적 간호요구, 신체적 간호요구,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간호요구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족동거노인에서는 질병관련 지식에 대한 간호요구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영적 간호요구, 신체적 간호요구, 가정환경에 대한 간호요구, 심리적 간호요구,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간호요구 순으로 독거노인의 간호요구도와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건강상태와 간호요구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간호요구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거노인의 경우 신체건강상태에서 정서․정신건강상태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일상생활수행능력, 신체적 간호, 심리적 간호요구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정서․정신건강상태에서 신체적 간호, 심리적 간호요구와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사회건강상태에서는 가정환경에 대한 간호요구와는 부적 상관을, 영적 간호요구와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가정환경에 대한 간호요구는 질병관련 지식에 대한 간호요구와 신체적 간호에 대한 간호요구는 심리적 간호요구와 정적 상관을 보여, 가족동거노인과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가족동거노인에 비해 독거노인의 건강상태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병관련 지식에 대한 간호요구도가 가장 높았던 가족동거노인과 달리 가정환경, 영적 측면, 심리적 측면의 간호요구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저소득 독거노인에게 제공되는 간호는 신체적 질환 및 질병관리에 대한 간호도 간과할 수는 없지만 정서적 지지, 사회적 건강상태 증진 등에 중점을 둔 지지적인 간호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며, 특히 대상자의 특성과 욕구에 부합되는 체계적인 간호중재 개발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health conditions and nursing needs of older people living alone in poverty and those living with relatives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health of older people in ne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and observations during the period from June 1 through July 29, 2005. A nurse working at district clinics interviewed subjects after being trained by author and visiting their homes or elders' community center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instrument for mesuring health condition of Korea elderly people and the need for home nursing care by Home Health Agency of UTMB, was revis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PSS 12.0K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collected data. The data were analyzed by x2 test,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gave the following results. As a results of this study, the mean age of subjects was 75.91 years. Of alone-living elders, 41.5% said they had a relative taking care of them, and 99.0% of elders living with relatives said that they were taken care of their families,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When they need nursing care, 70.5% of total subjects prefer to be taken care of by their children. Of total subjects, 93.3% suffered from various diseases. The incidence of hypertension was the most frequent among elders living alone, followed by arthritis and heart disease. The incidence of hypertension was also the most frequent among elders living with relatives, followed by arthritis and diabetes. Those who had two different kinds of diseases accounted for 46.2% of total subjects, marking the highest proportion. Those who had the average duration of disease of 5 years or less accounted for 40.5%, representing the highest proportion. Elders living alone had poorer health than those living with relative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health(t=-7.615, p=.000), emotional health(t=-9.057, p=.000) and social health(t=-19.711, p=.000). All subjects' nursing needs indicated an average of 19.92 out of total 120 scores. Alone-living elders' nursing needs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living with relative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 Nursing needs for home environment was highest in elders living alone, followed by the need for spiritual comfort, medical tips, mental health and physical nursing needs and activities in daily living needs in descending order. Nursing needs for medical tips was highest in elders living with relatives, followed by the need for spiritual comfort, physical nursing needs, home environment, mental health and activities in daily living needs in descending order.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ondition and nursing needs revealed that health condi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need for nursing care. Elders living alone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but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health and the needs for assistance in daily functions, physical and mental well-being. The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ental health and the need for assistance in physical and mental well-being. They ha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health and nursing needs for home environment but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health and spiritual nursing needs. Alone-living elders' nursing needs for home environment and physical well-being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their needs for medical care and their needs for mental well-being, respectively. These findings differ from that of elders living with relatives. In conclusion, elders living alone had significantly poorer health than those living with relatives and showed greater nursing needs for home environment, spiritual comfort, mental health, whereas those living with relatives showed greater nursing needs for medical tips. The study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nursing care for mental health and social health for alone-living older people in need, in addition to nursing care for physical health. The development of nursing care programs designed to meet medical and nursing needs of elders is therefore recommended.

      • 대학생 스마트폰 과의존 영향요인 : 생태학적 모형 기반

        유정순 한림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factors influencing university stud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based on an ecological model. This study was a sequential explanatory mixed method study desig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October 20, 2020 to May 6, 2021, from students across 13 universities in each of the six regions (Seoul/Gyeonggi, Gangwon, Gyeongsang, Jeolla, Chungcheong, and Jeju). To collect quantitative data, 482 students completed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were made available on the community websites at each university. To obtain qualitative data,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8 students who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interview after completing their questionnaires at a university, where it was possible to conduct face-to-face interviews in an undisclosed region. For data analysis, the SPSS 25.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the qualitative data were evaluated through content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average level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of university students was 37.63 (±8.62), and 77.8% of the students were at high risk user. Having self-awarenes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β=.324, p<.001), autonomy (β=-.258, p<.001), average daily smartphone usage time (β=.179, p<.001), being a fourth-year (senior) student (β=.163, p=.010), the motive for smartphone use was to build relationships with others (β=-.150, p=.011), being female (β=-.142, p=.011) and age (β=-.139, p=.023) were the intrapersonal factors influencing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university students. And friends support (β=.134, p=.019) was the interpersonal factors influencing smartphone overdependence. The explanatory power of such variables was 34.9%. In terms of the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gender, the factors for male students were the use of 5G (β=.148, p=.016), studying purposes (β=-.188, p=.003), and information search (β=-.126, p=.045),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34.4%. In contrast, female students showed friends support (β=.198, p<.001) and SNS (social network service) use (β=.112, p=.027) as the influencing factors,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29.5%. Through the qualitative analysis, 13 categories and 23 subcategories were extracted according to the questions from the three areas of ‘motives for smartphone use,’ ‘awareness of smartphone overuse cues,’ and ‘factors affecting increased use of smartphones.’ In particular, ‘the changes of environment’ in the institutional and community factors identifi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indicated that decreased in-community social networks and the imposed restrictions in daily lives due to COVID-19 triggered an increase in the use of smartphones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rsonal traits as well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which are the external environments surrounding university students, also exerted a crucial influence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differentiated intervention strategies,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 to which a student belongs, to prevent and manage students' excessive use of smartphones. This study applied an ecological model for the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 to which an individual belongs by including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external community environment factors, which were rarely considered in previous studies. Furtherm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used a mixed method study to comprehensively present the factors influencing university student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Keywords: Ecological model, smartphone overdependence, self-determination,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는 생태학적 모형에 기반하여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차원적 관점에서 규명하고자자 순차적 설명 혼합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자료수집은 양적 및 질적자료를 모두 포함하여 2020년 10월 20일부터 2021년 5월 6일까지이며, 전국 6개 권역별(서울/경기, 강원, 경상, 전라, 충청, 제주) 13개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양적자료수집은 각 대학별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총 482명을 모집하였으며, 질적자료수집은 대면 인터뷰 참여가 가능한 G지역 H대학에서 설문지 작성을 완료한 후 인터뷰 참여의사를 밝힌 1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카이제곱검정, 독립표본 t-검정, 분산분석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하였고, 질적자료는 내용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은 평균 37.63점(±8.62)이었으며, 과의존 위험 사용자는 77.8%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 요인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대한 자기 인지가 있는 경우(β=.324, p<.001), 자율성(β=-.258, p<.001), 스마트폰 사용시간(β=.179, p<.001), 4학년(β=.163, p=.010), 스마트폰 사용 동기가 주변사람들과의 관계형성인 경우(β=-.150, p=.011), 여학생(β=.142, p=.001), 연령(β=-.139, p=.023)이, 대인관계 요인은 친구지지(β=.134, p=.019)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들의 설명력은 34.9%였다. 또한 성별에 따른 영향요인은 남학생에서는 5G 사용(β=.148, p=.016), 스마트폰 사용 동기 중 학업을 위함 (β=-.188, p=.003), 정보검색(β=-.126, p=.045)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34.4%였다. 반면 여학생은 친구지지(β=.198, p<.001)와 SNS 사용(β=.112, p=.027)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29.5%였다. 질적자료 분석 결과, 연구질문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 동기’, ‘스마트폰 과다사용 신호 자각’, ‘스마트폰 사용의 증가 요인’ 3개의 영역에서 총 13개의 범주와 23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특히, 질적연구를 통해 조직·지역사회 요인으로 환경의 변화와 관련하여 사회적 네트워크 감소와 COVID-19로 인한 일상생활의 제한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을 높이는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은 개인의 특성 뿐만아니라대학생을 둘러싸고 있는 대인관계 및 사회적 외부환경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 및 관리를 위해 개인이 속한 환경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중재 전략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생태학적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에서 드물게 사용했던 지역사회 외부환경 요인에 대한 변수를 포함하여 개인이 속한 환경을 다차원적으로 접근하려고 시도하였으며, 혼합연구 방법을 통하여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의 영향요인을 포괄적으로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주제어 : 생태학적 모형, 스마트폰 과의존, 자기결정성, 대학생

      • 그룹별 협력 활동을 통한 문법수업에서 연역적 지도법과 귀납적 지도법이 중학교 학생들의 문법 학습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유정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그룹 협력 활동을 통한 문법 지도 시 연역적 지도법과 귀납적 지도법의 지도방법의 차이가 중학교 학생들의 문법 습득과 정의적 영역에 차이를 가져오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두 가지로 즉 첫째, 그룹별 협력을 통한 문법 지도 시 연역적 지도와 귀납적 지도의 방법의 차이가 중학교 학생들이 문법을 습득하는데 차이를 가져 오는가? 둘째, 그룹별 협력 활동을 통한 두 지도법의 차이가 정의적 영역의 차이를 가져오는가를 설정하여 서울시 소재의 중학교 2학년 학생 42명을 대상으로 4주간 총 12차시의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연구 문제인 그룹별 협력 활동을 통한 문법 수업에서 두 지도법의 차이가 문법학습에 차이를 가져왔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집단 간 사전 · 사후 문법 평가를 실시하여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두 번째 연구 문제인 그룹별 협력 활동을 통한 문법 수업에서 두 지도법의 차이가 정의적 영역의 차이를 가져왔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분산과 빈도분석을 이용하였다.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룹별 협력 활동을 통한 문법 수업에서 두 지도방법의 차이가 중학교 학생들의 문법 학습에 있어 두 집단 간의 학습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지 않았다. 둘째, 그룹별 협력 활동을 통한 두 지도법의 차이가 정의적 영역, 즉 흥미도, 동기, 문법에 대한 불안감, 문법에 대한 인식, 연역적 · 귀납적 선호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연역적 · 귀납적인 방식의 차이가 학습자들의 문법학습이나 정의적 영역에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수업에서 활용되는 그룹별 협력활동이 변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다시 말해, 어떤 방식으로 문법을 학습하게 하는가 보다는 어떻게 학습자 중심의 활동으로 수업을 고안하는가에 따라 학습자들의 문법지식 향상이나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grammar instructions between deductive teaching and inductive teaching through group work with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carry 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The first research question was to examine whether the difference of teaching methods through group work affects grammar learning of middle school learners.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was to examine whether the difference of grammar teaching methods affects the affective domains of middle school learners, especially their attitude interest, motivation, and anxiety toward the English grammar. In order to inquire the two research questions, 42 students of a middle school in Seoul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4 weeks with 12 classes. The experimental group A was taught by the deductive method, and the experimental group B was instructed by the inductive method. For the inquiry of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e t-test was used to investigate the result of post tests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and analysis of frequency were used to get the answers for the affective domain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thodological difference in grammar class for middle school students did not make any difference, which means that both of the methods were effective in grammar learning. Second, the two grammar teaching methods did not make statistical difference on the affective domains of the learners of two groups.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evious studies. The current study may indicate that the group work, not the methodological difference, was proven the main variable of the experimental classes. In other words, it implies that as teachers, we had better develop or devise the learner-centered activities or tasks by which students can get involved in learning the target grammar more positively and voluntarily rather than focus on the methodological choice; deductive teaching or inductive teaching.

      • 韓國 都市家計의 貧困線 再定立에 관한 硏究

        유정순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paper reviewed the concept of absolute and relative poverty and tried to prove the validity of regarding absolute poverty and relative poverty as different level of living. 3 stage poverty lines were set and policy implication of 3 poverty lines were discussed.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Absolute poverty is redefined as a situation when monthly disposable income of a family is not enough to support necessary goods and services to maintain biological existence level of living. And relative poverty is redefined as a situation where a minimum standard of monthly disposable income is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a specific society's average living standard under the condition that basic needs on the biological existence level has been satisfied. Defined this way, absolute poverty and relative poverty are mutually exclusive concepts and in the category of 2 different level of living. The floor of poverty was considered as bottom line of relative poverty and ceiling was considered as the standard budget. Between floor and ceiling relative poverty lines were set. Using these standard lines 4 poverty bands were categorized as follows: Standard Budget ------------------------------ Minimum Health and Decency Level Relative Poverty Line ============================== Relative Poverty Level Bottom Line of Relative Poverty ------------------------------ Biological Existence Level Absolute Poverty Line ----------------------------- Starvation Level Market Basket method was used to estimate poverty lines. In order to reduce subjective arbitrariness in the composition of market basket the data was drawn from the 1993 Survey of Urban Household Consumer Expenditure Survey and 15,890 households consisting of 4 family members were chosen and 43 consumption items and income have been analyzed. 20 strata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consumption amount. The standard for absolute and bottom line of relative poverty line were consumption of 1/20 strata's average consumption. Procedure to estimate relative poverty line were as follow: 1) ordinally line up the whole samples, 2) 20 strata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consumption amount(0-5%, 6-10%, .........95-20%), 3) calculate average consumption amount of 43 items of each strata, 4) calculate average percentage of each item in the total consumption, income elasticity and Gini Coefficient, 5) Change of average consumption amount, average percentage, income elasticity according to strata change has been analyzed, 6) checked whether there was poverty threshold and if poverty threshold has been found set that point as poverty line, 6) if poverty line couldn't be found between bottom and ceiling range, pure and quasi relative poverty method were used to set poverty line, 7) set line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 of previous researches and poverty lines estimated by other objective methods. 8) poverty lines of each items were summed together. However, minimum food expenditure estimation didn't follow the above procedure and was calculated by dietist Park, H. R. considering nutritional standard. In 1993 4 member households of each poverty lines were 335,664won for absolute poverty, 549,172 won for bottom line of relative poverty and 1,075,406 won for relative poverty. These amount were converted as 1995 poverty lines as 393,331won for absolute poverty, 643,519 won for bottom line of relative poverty and 1,260,161 won for relative poverty. Households below bottom line of relative poverty were 4.1 % and below relative poverty were 32.5%. Policy implication of these 3 level poverty lines were discussed as follow: 1) Official poverty line(selection standard of official living protection) and government's living protection level should be equal and needs to be adjusted to bottom line of relative poverty line using equivalence scale according to household size. And the gap between household's income and standard should be supplemented by government. And also income after deduction of rent should be considered as income. 2) Standard for Education aid needs to be adjusted upward to relative poverty line and equivalence scale according to numbers and age of students be used. Financial aids programs needs to be adjusted upward to standard budget level and interest rates be adjusted from zero interest rate to 3%, 6% and 9%according to level of living. Medical aid also be adjusted upward to relative level of living. 3) The concept of nuclear family need to be adopted and in case of supporting disabled or old relatives. Supporting household be eligible to receive living cost of them, when his income is less than relative poverty line Man and woman be equally treated in defining family member. poor (Jahwal) protection system is to be cancelled. 4) 3level poverty lines can be utilized flexibly and the system to help working poor people under relative poverty line should be adopted 5) Appropriate minimum wage in 1995 was between 389,300 won and 198,847 won. To perform the proposed policy implication increase in the welfare budget is urged And investment on the public goods i. e. education, housing, etc. should be increased.

      • 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 탐구활동의 계열성 분석 : 일제 강점기 단원을 중심으로

        유정순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역사교육 반복의 문제 즉 계열성의 문제가 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 탐구활동에도 나타난다는 점에 문제점을 인식하고 중·고 탐구활동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하여 문제점을 검토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계열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역사교과의 탐구는 기존 역사 서술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고 역사가의 사고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매개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또한 교과서 탐구활동은 교사 강의 위주의 수업이 지닌 한계를 극복하고 역사의 본질을 전달할 수 있는 학습 방법으로 필요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현행 ‘한국사’ 교과서의 탐구활동 방식은 사고의 단계 과정과 절차를 통하여 논리적으로 의미를 추론하기보다는 자료에 대한 직관적 통찰을 통해 해답을 추론하는 방식에 가깝다. 그리하여 교과서 내 탐구활동을 설정한 취지를 충분히 살리지 못하고 있다. 계열화란 선행 학습을 기초로 후속 학습을 전개하되 점차적으로 내용을 확대, 심화, 향상하는 것을 의미한다. 계열화에 있어서 교육 내용의 연계성과 차별성은 핵심 부분이다. 각 학교의 역사교육 내용은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야 하는데 반드시 이전 단계의 학습 내용과 일정한 연계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런데 중·고등학교의 국사교육은 '범위와 깊이만 약간 달리한 채' 비슷한 내용을 거의 같은 방식으로 반복하고 있다는 비판을 오랫동안 받아왔다. 일반적으로 상급학교의 교육내용은 하급학교보다 넓은 범위의 역사적 사실을 다루거나 더 깊이가 있어야 하므로 역사적 사실을 다루더라도 관점이나 접근 방식에 차이를 두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2011 역사과 교육과정으로 지칭되는 현행 교육과정의 ‘목표’ 진술은 학교급별 위계를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교육과정의 역사교육 목표가 중·고의 계열성을 충분히 설정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교과서 내 탐구활동의 필요성과 계열성에 있어서의 문제점 인식을 바탕으로 탐구활동의 구성 요소인 ‘학습자료’와 ‘발문’을 각각 중·고간 비교 분석하는 방법을 통해 현행 역사교과서 탐구활동의 계열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분석 대상과 범위는 중학교 '역사2' 교과서 ‘Ⅱ. 민족 운동의 전개 단원’과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Ⅴ. 일제의 강점과 민족 운동의 전개’ 단원으로 한정하여 5종의 중학교 교과서와 4종의 고등학교 교과서를 살펴보았다. 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의 탐구 활동의 주제 및 내용은 많은 부분 일치하였다. 중·고등학교 간에는 학습할 내용요소 뿐만 아니라 교과서 탐구활동도 중복하여 제시되고 있었다. 학습자료와 더불어 탐구활동의 또다른 구성요소인 발문은 바스(James L. Barth)와 최상훈이 제시한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범주, 김한종이 제시한 역사 인식을 바탕으로 분류하였다. 그것은 ‘사실 인식형’, ‘관계 이해형’, ‘행위의 목적 이해형’, ‘가치 판단형’의 네 가지이다. 전형적인 학습 자료에 대한 발문의 내용은 중·고간 공통적인 면이 나타났다. 대체로 고등학교보다 중학교에서 인지 기억 질문이 조금 더 많았으며 평가적 질문은 고등학교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탐구활동의 학습 자료와 발문 분석의 결과 중·고간 차별화를 통한 계열화는 잘 구현이 되었다고 볼 수 없다. 역사교육의 체계적인 실천을 위하여 교육 내용의 계열화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교육 내용의 반복이 불가피함을 인정하고 그 위에 중·고간 탐구활동의 계열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탐구활동에서 수준의 차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은 첫째 학습 자료의 수준을 달리하는 방법, 둘째 같거나 혹은 다른 수준의 학습 자료에 단계적 발문을 적용하여 사고의 단계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조금 더 역사가의 사고에 접근하게 하는 것, 셋째 ‘가치 판단형’의 탐구활동을 고등학교에서 많이 다룸으로써 차별성을 두는 것이다. 또한 역사학습에서 사료 학습의 중요성은 중·고 모두 같지만 고등학교에서 더 많은 비중으로 다루어야 한다면 고등학생에게 사료를 읽는 절차 및 사료에 대한 이해에 필요한 내용을 가르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본고에서 제안한 대안을 실제 수업과 학습의 개선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 하는 점에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본고에서 제시한 대안은 학습자료와 발문을 바탕으로 한 교과서 구성의 변화 혹은 ‘학습 방식의 위계성’에 대한 인식의 틀로서 의미를 찾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교과서 편찬 및 역사교사의 수업에 있어서 중·고간 탐구활동의 연계성과 차별성 마련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와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quiry activity of middle and high schools with an awareness that the repetitiveness problem of history education, i.e. sequence problem is shown in the inquiry activity of history textbook of middle and high school. For this purpose, the study reviewed problems and suggested a method to secure sequence. Inquiry of history textbook is important in that it is a media to overcome limit of existing history description and to experience thinking process of historians. And, textbook inquiry activity is necessary to overcome limit of lecture based class and to deliver essence of history as a learning method. However, existing inquiry activity of ‘Korean history’ is closer to infer answers through intuitive insight on resources rather than to infer meaning logically through thinking process and procedure. Thus, the intention of inquiry activity in the textbook is not sufficiently realized. Sequence means to expand, deepen and improve contents gradually while progressing further studies based on preceding learning. In the sequence, connectivity and distinction of education contents are keys. History education contents of each school must be structured differently but it has certain connectivity with previous leaning contents. However, Korean history education at middle and high school has been criticized that it repeats similar contents with ‘some difference in scope and depth’. Generally education contents of upper school must be wider than lower school in dealing with historic fact. Therefore, it needs to make difference in perspective and approaching method. However, the current education curriculum called 2011 history curriculum does not consider hierarchy by school level which shows sequence of middle and high school has not been sufficiently reflected. The study analyzed sequence of history textbook inquiry activity by comparing ‘learning resource’ and ‘preface’ component of inquiry activity based on the awareness of necessity of inquiry activity and problem of sequence. The analysis subject and scope were middle school ‘History 2’ textbook ‘Ⅱ. Progress of national movement and high school ‘Korean history’ ‘Ⅴ. Japanese occupation and progress of national movement’ in 5 kinds of middle school textbook and 4 kinds of high school textbook. Topic and contents of inquiry activity of history textbook of middle and high school were identical in many parts. Contents to study and inquiry activity of textbook were overlapped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s. Together with learning resources, preface, another component of inquiry activity was classified based on sub-category of historic thinking suggested by James L. Barth and Sanghun Choi and based on historic awareness suggested by Hanjong Kim. It consists of 4 including ‘Fact awareness’, ‘Relation understanding’, ‘Understanding objective of behavior’ and ‘value decision.’ Contents of preface on typical learning resources were similar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In general, middle school textbooks have more questions on cognitive memory and high school textbooks have more evaluating questions. As a result of learning data and preface of inquiry activity, sequence by distinction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was not realized well. Sequence of education contents is necessary for systematic practice of history education. This study suggested a plan of securing sequence of inquiry activity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by admitting inevitability of repetitiveness. Ways to make difference in the inquiry activity includes, firstly, a method to make difference of level of learning resources, secondly, a method to approach historian’s idea more closely by experiencing thinking process through applying gradual steps on same or different level learning contents, thirdly, a method to make a distinction by dealing more ‘value judgment’ inquiry activity at high school. While importance of historic resource learning is same to middle and high school, if it needs to be treated more at high school, it is necessary to teach history resource reading procedure and necessary contents for understanding history resources. The limit of this study is whether suggested alternatives could be applied in actual class or learning improvement. But, it is believed that the alternatives in this study could be meaningful as a frame of awareness on the change of textbook structure of ‘hierarchy of learning method.’ It is recommended to make further studies on the connectivity and distinction of inquiry activity betwee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n the textbook writing and history teachers’ teac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