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전통예술공연장의 운영 개선 방안 연구 : - 한국문화의집 KOUS 극장을 중심으로 -

        손진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87

        전통예술 공연장의 운영 개선 방안 연구 - 한국문화의집 KOUS 극장을 중심으로 - 손 진 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제문화유산협동과정 K-POP 공연이 대세인 이때, 전통문화예술은 민족의 정체성과 관련되어 있어 중요하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대표 전통문화예술 공연장인 한국문화의집(KOUS ; KOrea cUltural houSe) 공연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KOUS 공연을 비롯한 전통문화예술 공연의 발전을 위하여 연구에 착수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연장의 공간적 특성과 정체성을 준거로 삼아, 공연 운영현황을 살펴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우선 설립목적과 운영방침, 구조와 형태 등 KOUS 자료 분석으로 공연장 성격을 규정하고, 이를 준거로 공연목록 검토, 관객의 설문 자료, 관객심층 면접을 통해 다음과 같이 문제점을 찾고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첫째로 KOUS 자료 분석으로 밝힌 공연의 기준(준거)은 두 방향이었다. 하나는 설립목적과 운영방향과 관련된 ‘전통문화예술의 보급, 선양, 발전이라는 공공의 이익을 추구’, 또 다른 하나는 중소규모 공연에 적합한 (중)소극장, 관객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돌출 극장이며, 용도로는 다양한 장르와 형태의 예술 공연을 위한 다목적 극장이었다. 둘째로 ‘전통문화예술의 보급, 선양, 발전이라는 공공의 이익 추구’라는 준거로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나타난 문제는 홍보의 미흡,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나 관광 상품화 노력의 미흡, 또한 민관협력이나 네트워크 형성 노력의 미흡이었다. 이에 홍보의 미흡에 대해서는, 지인중심의 인지경로를 탈피하여 홍보의 다양화와 선진화를 제안하였다. 특히, TV 등 대중매체, 인터넷, SNS 등 첨단 매체 활용을 강조하였다. 외국인에 대한 서비스와 관광 상품화의 미흡에 대해서는, 밖으로는 한류에 편승하거나 성공한 선진 사례를 벤치마킹해 공연의 세계화를 이루고, 안으로는 관광업체 등 내한 외국인 관련 단체와 연계하여 방한하는 외국인 유치를 제시하고, 공연장내 외국인 편의 시설을 갖출 것을 제안하였다. 민관협력이나 네트워크 부족에 대해서는, 교육계와 연계하여 체험학습 등의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 기타 노인 단체, 지방문화단체와 연계할 것을 제시하였다. 셋째로, ‘극장규모와 형태를 준거’로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여성 지향적, 프로그램에 따른 연령층의 편중 등의 편향성, 잠재고객 유치 노력 부족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공연의 편향성에 대해서는‘균형’있는 공연 프로그램의 편성과 운영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남성 취향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제작이나 편성을 해야 하고, 연령 편중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전통공연과 퓨전공연의 균형을 강조하였다. 잠재고객 유치와 관련해서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는 등 사전노출을 강화할 것을 제시하였다. 넷째로, 개선안을 종합하여 ‘KOUS 극장의 한국 전통문화예술공연장 랜드마크화’를 궁극적 지향점으로 삼아 장단기전략을 제시하였다. 단기 전략으로는, KOUS 공연장 홍보의 다양화 및 강화(홈페이지, 재단 공연 등 각종 협력공연의 시작과 말미 등 홍보), 협력 공연 추진, 교육계 및 관광업계와 협력한 공연장 활용안을 제시하였다. 장기 전략으로는 한국전통문화대학교의 전통문화예술공연학과 설치 유도, 국내외 관련 대학이 KOUS 극장을 체험코스나 실습장으로 활용하도록 유도, 공연장 외형에 특정 상징물(상징탑) 설치, 주차장 확대 및 전체 건물 사용의 재구조화 등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 한국문화의집(KOUS), 전통공연, 공연장 성격, 관객 특성, 관람성향, 관객 만족도, 운영 개선안, 랜드마크

      • 한국민속촌의 전통문화 콘텐츠 발굴 및 활용 증대 방안

        이현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87

        Since the emergence of cultural contents in the 1990s, Korea has established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and carried out a “Digitalization of Cultural Archetype”, and policy moves have begun to excavate cultural contents. As research on cultural content gradually progressed, and the concept and scope of cultural content changed, cultural content became an inseparable part of daily life. In addition, due to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and technology, the implementation methods of cultural content continue to diversify and expand. Traditional culture is a cultural archetype that becomes the creative material of these cultural contents. In cultural contents research and various projects, traditional culture was noted as the cultural archetype of cultural contents. Traditional culture is an important part of the cultural archetype of cultural contents, and cultural contents is created in various forms and contents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In particular, as cultural contents is a term that emerged with the spread of the Korean Wave, various projects of cultural contents in the early days focused on traditional culture. Traditional culture is a tangible and intangible product that has been transmitted for a long time in the community, and it forms our identity and life and is an important part that sometimes distinguishes us from others, so we must preserve and transmit this traditional culture. The most important part of transmission traditional culture is that people living in this era should have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and come into contact with it. The reality is that some parts of traditional culture are separated from everyday life and are gradually disappear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ut traditional culture into daily life so that people can come in contact with it, and at this time, cultural contents can play such a role. Due to the expansion of transmission, excavation, and util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 various utilization sites have appeared in Korea for cultural heritage, such as regional festivals, Royal Culture Festival, Saengsaeng Cultural Properties, and Cultural Heritage Night.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me parks in Korea is increasing recently through the opening of new theme parks based on history and culture or the expansion of existing tourist attractions. However, although numerous festivals across the country name local traditional culture and specialties, there are limitations in properly promoting their value. Representative problems include overly biased tourism, similarities due to similar festivals, internal stability in a hurry to show, and lack of expertise due to a serious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The Korean Folk Village provides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other places in every season, solar term, and various holidays, focusing on traditional culture. Therefore, this thesis analyzed the background, transition process, and status of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over the past decade, and suggested ways to excavate and increase the use of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in the Korean Folk Village in the future. 1990년대 문화콘텐츠의 등장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콘텐츠진흥원을 설립하고 문화원형 디지털 콘텐츠화 사업을 진행하면서 문화콘텐츠 발굴을 위한 정책적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점차 문화콘텐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문화콘텐츠의 개념 및 범위가 변화하면서 문화콘텐츠는 일상생활과 떨어트릴 수 없는 삶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또한 사회환경과 기술의 변화로 문화콘텐츠의 구현방식은 계속해서 다양해지고 확장되고 있다. 전통문화는 이러한 문화콘텐츠의 창작소재가 되는 문화원형이다. 문화콘텐츠 연구와 다양한 사업에서도 문화콘텐츠의 문화원형으로서 전통문화를 주목했다. 전통문화는 문화콘텐츠의 문화원형 중 중요한 부분으로서 문화콘텐츠는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다양한 형태와 내용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특히 문화콘텐츠는 한류의 확산과 함께 등장한 용어인 만큼 초기 문화콘텐츠의 다양한 사업들은 전통문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전통문화는 공동체에서 오랜 시간 동안 전승되어 내려온 유·무형적인 소산으로 우리의 정체성과 삶의 모습을 형성하고 때로는 다른 사람들과 구별되게 하는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우리는 이러한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전승해야만 한다. 전통문화를 전승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지금 시대를 살고 있는 사람들이 경험하고 접할 기회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전통문화 중 일부분은 일상생활과 괴리되어있고, 점차 소실되어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전통문화를 사람들이 접할 수 있도록 일상 속으로 넣어주어야 하는데 이때 문화콘텐츠가 이러한 역할을 해줄 수 있다. 전통문화의 전승과 발굴, 활용의 확대로 인하여 국내에는 전국의 지역축제와 궁중문화축전, 생생문화재, 문화재야행 등 문화유산을 대상으로 다양한 활용 현장들이 등장하였다. 또한 최근 국내에는 역사문화를 기반으로 테마파크들이 새롭게 개장하거나 기존 관광지의 확장을 통해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전국의 수많은 축제가 지역 전통문화와 특산물 등을 이름 걸고 있지만 그 가치를 제대로 알리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지나치게 치우쳐진 관광성, 비슷한 축제들로 인한 유사성, 보여주기에 급급한 내실성, 심각한 전문인력 부족으로 인한 전문성 부족 등이 대표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한국민속촌은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매 계절과 절기, 각종 공휴일 등에 다른 곳과 차별화되는 전통문화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역사문화 테마파크를 대표하는 전통문화의 활용현장으로서 한국민속촌의 전통문화 콘텐츠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한국민속촌의 건립 배경과 변천과정, 최근 10년간의 전통문화 콘텐츠 현황 실태를 분석하였고, 문제점 및 한계를 도출하여 향후 한국민속촌 전통문화 콘텐츠의 발굴 및 활용 증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무형문화재 전승 공동체의 맥락적 보호 방안 연구 : - 한국 무형문화재 핵심 공동체의 실행을 중심으로 -

        김미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문화재(유산) 보호의 국제담론은 「세계유산협약」을 기반으로 유형물 즉, 물질을 중심으로 보존·연구되어 왔으나, 무형문화유산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무형유산협약」을 채택하여 비물질적인 가치 즉,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보호를 시작하였다. 「세계유산협약」과 「무형유산협약」은 문화유산의 보호(safeguarding)라는 공동의 이슈를 중심으로 물질과 비물질의 특성에 따라 발전해 왔으며, 이러한 유물론적인 사고는 한국 문화재보호 법·제도에도 깊이 뿌리하고 있다. 문화재의 본질적 가치는 존재론적 범주에 의한 특정 문화원, 문화사, 문화층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유형문화재의 원천은 사람과 자연 즉, 무형문화재에 내재되어 있다. 유·무형 문화유산을 관계론적 범주에서 인식·보호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무형문화재 보호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특히 무형문화재는 인간에 의해 보호·전수되기 때문에 인류학적 관점에서 유산과 주변 간의 관계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 관계에 대한 보호는 맥락이라는 큰 틀에서 인지될 수 있다. 맥락은 직관적으로 인지되지 않을 뿐 무형문화유산에도 존재한다. 유형문화재에 대한 맥락적 보호는 한국 문화재보호 제도 속에서 면(面)적 보호라는 이름으로 발전해 왔으며, 유형에 한정되어 있던 맥락적 보호 관점을 무형문화재에도 도입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무형문화재의 맥락적 보호를 위해서 유산 보호 범주로서 「세계유산협약」의 ‘맥락(context)’개념과 유산 보호 방법론으로써 「무형유산협약」의 ‘보호’, 그리고 공동체(community)에 의한 ‘실행(practice)’을 제시하였다. 맥락적 보호 방안은 공동체에 의한 실행 보호와 맥락으로 확장된 보호 범주를 통해 한국 무형문화재의 전승력(viability) 강화를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맥락적 보호의 기본개념과 개념모델을 설계하고 확장성 모델을 통해 일반화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In the past, the international discourse on the safeguards of cultural properties (heritages) has been preserved and studied based on the 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1972(Abbr. WHC) centered on tangible and physical materials, but as the importanc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as emphasized,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2003(Abbr. ICH Convention) was adopted to begin safeguarding of non-material value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Abbr. ICH). The WHC Convention and the ICH Convention have been progressing with a focus on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s as the common denominator and this materialistic approach is established in Korea laws and institutions for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The intrinsic value of a cultural property does not exist only in certain cultural center and history, or in a certain occupational layer according to ontological categories. Also, the source of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s inherent in people and nature, that is,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is study proposes a new paradigm for safeguard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recognizing and safeguarding both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relational approach. Especially in the cas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 is protected and transmitted by humans so its safeguarding should be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 surroundings with an anthropological viewpoint. The protection of relationships can be recognized from the context which may not be realized intuitively but nonetheless exists in an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ntextual safeguarding of 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Korea institutions has been advancing under the name of Area-based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Contextual safeguarding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well. For the contextual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concept of ‘Context’ of WHC as a category of heritage protection, ‘Safeguarding’ and ‘Practice’ by the community of ICH Convention as a methodology for the safeguarding of heritage. ‘Contextual Safeguarding’ involves suggesting a measure to strengthen the power of transmission of Korea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rough the safeguarding of practice by the community and the extended contextual scope of safeguarding. For this purpose, the basic concepts and the concept model for contextual safeguarding have been designed, and the possibility for generalizability was then explored through an expandability model.

      • 한·중·일 전통 제다법의 비교 연구

        김송이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최근 2016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제다(製茶)’가 등재됨과 함께 차와 관련한 연구 필요성과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제다는 그 고유성을 인정받아 무형문화재로 등재되었지만, 광범위한 지역성과 다양한 기법에 따른 일반성으로 인해 특정 보유자나 전승 단체를 지정하지 않은 공동체 종목으로 지정되었다. 이와 함께 문화재청에서는 전통 차의 전승 및 현대적 활용을 위해 학술 연구를 비롯하여, 기록화 사업 등 다양한 정책 사업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본 논문의 주제인 ‘제다’는 ‘차나무의 싹, 잎, 어린줄기 등을 이용하여 차(茶)를 만드는 기법으로 찌거나 덖거나 발효 등 일련의 과정을 거친 재료를 비비기, 찧기, 압착, 건조 등의 공정을 통해 마실 수 있게 만드는 일련의 전통 기술’을 의미한다. 제다 외에 우리나라에서 별도의 문화재 종목으로 지정된 것은 다례 의식 분야가 있다. 한편 일본의 경우 1960년대에 무형문화재로 제다 기술을 지정했고, 중국 역시 2000년대 들어 구체적으로 차를 육대다류(六大茶類)로 분류하고 대표 전승자를 두어 보호하고 있다. 2022년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목록으로 중국의 전통 제다가 지정되기도 했다. 일본이나 중국에 비하면, 우리나라는 제다를 국가무형문화재로 늦게 지정한 만큼, 그 전승에 관한 연구 역시 필요하다. 더욱이 제다를 비롯한 차문화는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같은 관점에서 제다는 민속 문화의 한 유형이자, 무형유산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전통 제다법을 무형유산적인 관점에서 전승 및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학문적으로 체계화된 정리와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정리 및 분석 작업을 위해 고문헌에 나타난 삼국의 제다법을 전통 정리하였다. 또한 삼국의 제다법에는 어떠한 공통점이 있는지, 나아가 각국에서는 어떻게 전통 제다법을 보호·보존하기 위해 어떠한 정책을 취하고 있는지를 통해 무형유산으로서의 ‘제다’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먼저 ‘제다법’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는 한・중・일 삼국에서의 고문헌에 나타난 제다법에 대한 기록을 시대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문헌 연구 뒤에는 각국에서 현재 무형유산을 어떻게 보호하고, 보존하고 있는지 정책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을 전통 제다와 관련하여 무형유산적인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했다. The core theme of this paper, “Jeda(Tea Making)” refers to a series of traditional techniques that make tea using sprouts, leaves, and young stems of tea trees that can be drunk through processes such as rubbing, pounding, pressing, and drying. Related to tea in Korea, there is a tea ceremony field that has been designated as a separate intangible cultural asset in addition to Jeda. Meanwhile, in case of Japan, Jeda technology has been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the 1960s, and China also has specifically classified tea into six major types and is protecting it by having representative cultural transmitters in the 2000s. Furthermore, China's traditional Jeda has been designated as a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 in 2022. In comparison with Japan or China, Korea designated Jeda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late in time, so research on its transmission is also needed. Moreover, tea culture, including Jeda, is closely related with the daily lives of the three countries. From this point of view, Jedacan be considered as a type of folk culture and also one of the intangible heritage. Systematic organization and analysis are required academically in order to inherit and develop traditional Jedafrom an intangible heritage perspective. Therefore, in order to serve as the basis for this organization and analysis, Jeda from the three countries explained in ancient literature was arranged in this study. In addition, it tries to research Jeda as intangible heritage through commonalities of Jeda among the three countries; moreover, what policies have been taken to protect and preserve traditional Jeda in each country. Thus, this study progresses as follows. First of all,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is arrang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on Jeda. Next, the records of Jeda in ancient literature in three countries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 are examined by periods. After literature research is reviewed, we examine how each country protects and preserves intangible heritage in the present.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rough this paper, the necessity of transmission, systematic knowledge and sustainability of traditional Jeda are mentioned as one of the intangible heritages. It is true that the number of people who enjoy tea, including traditional Jeda, is increasing. As it is related to daily life closely, a complex approach is needed to consider Jeda as a cultural heritage, and also as a cultural content to pass down.

      • 전통공예를 매개로 한 지역재생 사례연구

        고우리 韓國傳統文化大學校 文化遺産融合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최근 지역이 내재하고 있는 고유성이 소중한 가치로 부상하면서 지역의 문화적·역사적 특수성과 정체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나름의 독자성과 역동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지역의 역할과 지역이 가진 고유한 가치가 새롭게 인식되면서, 수많은 국가들이 역사와 문화에 기반을 둔 지역문화 자원을 발굴하고 육성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급격한 산업화, 도시화의 진전으로 획일화된 문화에 빠르게 익숙해지면서, 지역사회의 고유한 문화를 잃어버리며 지역의 해체라는 위기 상황에 당면하게 되었다. 1990년대 이후, 지방자치제의 본격적인 도입과 함께 지역사회의 붕괴, 지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의 자원과 문화를 기반으로 한 지역재생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최근 지역재생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다양한 움직임 속에서 지역의 전통문화가 핵심 자원으로 대두되면서, 지역을 기반으로 전승되어 온 전통공예가 주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의 재료, 기술, 문화 등을 기반으로 지역의 고유성을 강하게 내면화하고 있는 공예의 가능성에 주목하여, 전통공예를 매개로 한 지역재생이 지속 가능하게 작동되기 위해 필요한 기본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전통공예를 활용한 국내·외 지역재생 사례를 크게 국가 주도와 민간 주도로 나누어 조사·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국가 주도 사례의 경우, 지역의 고유한 가치를 발현할 수 있는 주요한 수단으로 전통공예를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업 단계에 따라 정책 수립 단계의 도입기, 예산 지원형 지역 정책의 과도기, 질적 맞춤형 지역 정책의 성숙기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도입기 단계의 중국은 전통공예 등의 무형문화유산이 집중적으로 전승되고 있는 지역을 지정하는 제도를 도입하여 지역문화자원의 강력한 보호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지역 재생에 활용하기 위한 시도를 준비하고 있었다. 과도기 단계의 한국은 전통공예와 지역의 상호 연관성에 주목하여 지역 전통공예 활성화에 주력하고 있으나, 거점 공간 건립 등 하드웨어 중심의 예산 지원으로 사업의 지속성에 한계를 보이고 있었다. 성숙기 단계의 일본은 전통공예의 기술과 재료를 지역의 특화된 자산으로 인식하고, 지역의 전통공예품을 일상화하는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여 지역 전통공예 육성을 통한 지역산업 부흥을 도모하고 있었다. 민간 주도 사례의 경우 사업 주체에 따라 전통공예를 다양하게 바라보고, 저마다의 특화된 방식을 통해 전통공예를 지역재생에 적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역 공예 발굴, 지역 경제 발전, 지역 문화 확산 등 사례별 목표는 상이하나, 지역 인재 육성을 통한 지역재생 기반 마련, 공예문화 저변화를 통한 지역 경제 순환 등이 공통적인 특징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가 주도 사례에 비해 지역에 밀착된 사업 진행이 가능하여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한 다양한 세부지침을 마련할 수 있다는 강점을 지닌 것을 확인하였다. 시사점을 바탕으로 전통공예를 매개로 한 지역재생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본방안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지역의 문화적, 생태적, 사회적 자원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를 통해 전통공예가 만들어지고 전승될 수 있는 지역의 고유한 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전통공예를 매개로 한 지역재생 사업의 토대를 구축하여야 한다. 둘째, 원료생산자, 공예제작자 및 예비제작자, 공예매개자의 세 가지 측면의 지역 인재 육성 방안을 통해 지역재생 성장 동력을 마련하고,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셋째, 지역 공예 저변화를 통해 지역 전통공예품의 소비가 지역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가치소비에 대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지역 공예가 원활하게 소비·확산되어 지역사회의 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지역 문화를 형성하여 지역의 고유성을 확보하기 위한 지역 공예문화 소비층을 형성하여야 한다. 넷째, 국가, 민간, 지역공동체의 긴밀한 공조체계 마련을 통해 지속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국가는 체계적인 정책과 재원을 확보하여 시스템이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 민간은 국가의 제도적 지원을 기반으로 지역공동체의 적극적인참여를 유도하여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사업을 기획·운영해야 한다.

      • 피마자 유칠(油漆)을 이용한 문화유산 단청마감재의 적용성 연구

        한보석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71

        피마자 유칠(油漆)을 이용한 문화유산 단청마감재의 적용성 연구 한 보 석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보존‧복원전공 전통 목조 건축물의 단청보수 및 수리 작업 시 문화재표준수리시방서(문 화재청, 2023)에 나와 있는 생유인 들기름과 명유에 고문헌에 나와 있는 첨 가물의 배합비에 맞추어 만든 명유를 단청을 채색한 후에 마무리 작업으로 단청에 도포 하여 단청과 목 부재를 보호한다. 피마자가 언제부터 한반도에 들어왔는지는 확실치는 않지만 신라 시대 때 아주까리 열매의 탄화미가 발 견된 것을 보았을 때 오래전부터 민간의 생활 속에서 다방면으로 사용하였 던 것으로 보이며 생들기름과 명유에 비해 가격에서도 저렴한 것으로 분석 되는바 향후 실험 결과로 인하여 생들기름과 명유와 성능이 유사하다면 충 분히 문화재 현장의 적용 가능성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피마자 유칠의 재료 배합비에 따른 물리적 특성 연구를 통해 기존 문화 재표준수리시방서에 나와 있는 들기름과 명유를 비교, 분석하여 최적화된 문화유산 현장의 단청마감재로서의 적용 가능성에 관하여 연구하여 피마자 기름의 유칠 제조 기법을 규명하고자 한다. 들기름과 명유, 피마자기름을 기존시장에서 구입하여 문헌 및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제조에 들어가는 주재료(피마자기름, 송진, 백반, 테라핀유)의 배 합 조건을 달리하여 여러 가지의 피마자기름 유칠을 제조하고, 피마자유, 생들기름, 명유로 나누어 시편을 제작하여 색차측정, 표면 및 단면 현미경 관찰, 중량측정, 접촉각측정을 실시하였다. 먼저 테라핀의 배합 비율을 다 르게 하여 제조한 3종의 피마자기름 유칠은 테라핀의 배합비가 증가할수록 유칠의 점도가 약화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피마자기름의 특성상 기존 생들기름와 명유와의 점도 및 건조 차이가 비슷하게 나오게 하는 것인데 피마자기름, 송진, 백반, 테라핀을 1kg:40g:40g:100g일 때 기존 생들기름, 명유와 점도 및 건조에 있어 표면과 중량을 관찰했을 때 중량이 늘어나는 것과 피막이 잘 형성되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다음으로 유칠의 색상 변화도를 측정한 결과 도포 횟수와 관계없 이 모두 어두워 짐을 알 수 있었고 도포 전에 비해 녹색도가 증가하였으며 비교적 안정적인 색상 변화폭을 나타내었다. 또한 방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접촉각을 실시한 결과 피마자유칠, 명 유, 법유 순서로 접촉각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에 제시 되어 있는 생들기름, 명유와 더불어 피마자 유칠도 문화유산의 단청마감재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재 현장의 단청공사뿐만 아니라 목조 건축물 및 금속 유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쓰여지길 바라며 향후 다각적인 연구와 기 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피마자기름, 유칠, 단청마감재, 법유, 명유

      • 한국 비무장지대(DMZ)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적 가치에 관한 연구 : 전쟁·분단관련 유산을 중심으로

        김가영 韓國傳統文化大學校 文化遺産融合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World Heritage value of the heritages of war and division in the Korean DMZ. A new term, ‘Remembrance Heritage’, was coined to limit the scope of heritages with “moral values” related to “negative history” such as war and division. In addition, the Outstanding Universal Value of the heritages of war and division in the Korean DMZ was analyzed by making use of the applicable World Heritage value strategic analysis obtained from reviewing the current state of heritages and analyzing other similar World Heritages.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lthough an official classification or definition of heritage that contain negative history such as Remembrance Heritage does not exist in UNESCO, this kind of heritage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current World Heritages and its significance is already being recognized. In analyzing the World Heritage examination of Remembrance Heritage, the presence of a universal value to mankind in the major historical background, which matters greatly in the criteria (vi), must be primarily reviewed before the historical, artistic, scenic, and academic value of the heritage. The criteria (iii) for slavery and (iv) for the era of Cold War are observed to be applied together as seen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historical background. Also, a direct or visible proof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heritage and the universally significant event is thought to increase its possibility in being listed as a World Heritage Secondly, as a result of selecting a Cultural Heritage that witnessed the major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Korean DMZ namely, the Korean War and the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Battlefields, Panmunjeom, Labor Party Office, Seungilgyo (bridge), Military Tunnels, and Observatorys are chosen. Thirdly, the Korean War and the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are the products of the Cold War and this is identified as a universally tragic incident that gave mankind a moral lesson. Therefore, it is likely to be listed as a World Heritage applying the World Heritage criteria (iv) and (vi). The value of the Korean DMZ as a witness of the war and division during the Cold War is deemed appropriate for the application of the criteria (iv)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criteria (vi), upon emphasizing the tragic results and international impact of the Korean war and the division of the country into North and South. The study verifies the potential of the Korean DMZ which had been slightly neglected despite its natural and ecological value, to be part of the World Heritage as a war and Division Heritag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in the reflection of various perspectives on promoting the Korean DMZ to be part of World Heritage and be a great help in coming up with maintenance and administrative measures for the Korean DMZ. 본 연구는 한국 비무장지대 일원에 있는 전쟁·분단 유산의 세계문화유산적 가치를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쟁·분단유산과 같이 “부정적인 역사”와 이와 관련한 “교훈적 가치”를 지닌 유산을 ‘기억유산’이라는 새로운 용어를 제시하여 유형을 한정하였다. 또한 이에 해당하는 한국 비무장지대 전쟁·분단 유산 현황 검토 및 유사 세계유산사례 분석을 통해 적용 가능한 세계유산적 가치 분석전략을 도출하여 한국 비무장지대 전쟁·분단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억유산과 같이 부정적인 역사를 지닌 유산에 대한 유네스코의 공식적인 분류나 정의는 존재하지 않지만 그와 같은 성격의 유산이 기존 문화유산의 개념과 분명히 다른 성격으로 분류되며 그 중요성이 이미 인식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기억유산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분석에 있어서는 등재기준 (ⅵ)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며, 유산 자체의 역사적, 예술적, 경관적, 학술적 등의 가치보다는 해당 유산이 갖는 주된 역사적 배경의 인류 보편적 의의 여부가 우선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주된 역사적 배경의 특성에 따라 노예제도의 경우 등재기준 (ⅲ), 냉전시대의 경우 등재기준 (ⅳ) 등을 함께 적용하여 등재되는 경향이 확인된다. 아울러, 보편적 의의를 갖는 사건과 유산의 직접적 또는 가시적 연관성의 증명을 통해 세계유산으로 등재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한국 비무장지대의 주요 역사적 배경이 되는 6·25전쟁과 남북분단의 역사를 증명하는 문화유산을 선정한 결과, 전적지, 판문점, 노동당사, 승일교, 땅굴, 전망대 등이 해당 역사를 포괄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전쟁·분단유산의 대표적인 사례로 판단된다. 셋째, 6·25전쟁과 남북분단의 역사가 냉전시대의 산물로서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인 비극으로 인류에게 교훈을 주는 사건임이 확인되며, 이에 따라 세계유산 등재기준 (ⅳ)와 (ⅵ)을 적용한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등재기준 (ⅳ)는 한국 비무장지대 전쟁·분단 유산의 냉전시대의 증거로서의 가치를, 등재기준 (ⅵ)은 6·25전쟁과 남북분단이 낳은 비극적 결과와 국제적인 영향력을 부각시킴으로써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이는 그동안 한국 비무장지대의 자연생태학적 가치에 비해 다소 외면되어온 전쟁·분단유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가능성을 확인하는 연구로, 향후 한국 비무장지대 일원의 세계유산 등재 추진에 있어 다양한 시각을 반영하는 데에 기여하고, 한국 비무장지대의 보존관리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캠퍼스타운의 유·무형적 유산속성의 활용을 통한 대학문화 활성화 연구

        김나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71

        우리나라 대학 교육은 근대 개혁 이후부터 시작되었으며 한국인, 일본인, 그리고 외국 선교사들에 의해 설립된 고등교육기관들의 주도로 이루어졌다. 광복 이후, 사립 학교들이 대학으로 인가를 받기 시작했고, 소수 의 지식인 계층이 향유했던 대학 교육은 현재 대부분의 사람이 경험할 수 있는 한 가지의 문화이자 기관으로 자리 잡았다. 이에 따라 사람들의 기 억으로 형성되기 시작한 대학문화가 정의되기 시작했으며, 대학-지역사회 사이에 영향을 끼쳤다. 캠퍼스타운, 대학 마을이자 대학가로고도 불리는 이 공간은 대학생들의 학사 일정과 캠퍼스의 위치 등의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발전했는데, 코로나 펜데믹 이후 학생들의 부재에 따른 침체를 겪으 며 단조로운 캠퍼스타운의 상권에 큰 타격을 입혔다. 코로나 종식 후, 학생들이 학교에 복귀했음에도 불구하고 캠퍼스와 캠퍼스타운의 단절은 심 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절 요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려는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본 연구는 대학문화와 캠퍼스타운의 개념에 대해 정의하고, 고찰하고자 했다. 캠퍼스타운과 대학 사이의 단절을 일으키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세 곳의 연구 대상지를 선정했는데, 연세대학교 신촌 캠퍼스,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 마지막으로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이다. 신촌 캠퍼스타운은 연세대학교를 비롯하여 이화여자대학교, 서강대학교, 홍익대학교 등 대형 종합 사립 대학교들을 대거 보유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형성 되기 시작한 캠퍼스타운이기에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했다. 두 번째 로 동아대학교는 하나의 캠퍼스가 아닌 세 개의 멀티 캠퍼스를 각 목적에 맞게 운영 중인데, 이 중에서도 부민캠퍼스는 오픈형 캠퍼스를 추구하고,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세 캠퍼스와 캠퍼스타운을 비교할 목적으로 선정 했다. 이 세 곳을 중심으로 학생들과 일반 시민들의 주 통행로, 출입구의 위치, 대중교통과의 거리 등 다양한 근거로 분석하고자 했으며, 이에 필 요한 조사를 공통 설문, 심층 면담, 공간 분석 프로그램(Space Syntax) 등 의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진행했다. 현재 우리나라 대학들은 폐쇄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캠퍼스는 대부분 주 출입구를 사용하고, 담으로 경계를 구분하여 캠퍼스타운과의 단절을 표현하고 있다. 실제로 연세대학교와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는 차량 통행 위주의 도로로 인한 보행자의 통행 위험성, 지리적인 위치 등의 이유로 학생들의 인식 조사에서도 부정적인 응답을 많이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오픈형 캠퍼스를 유지하고 있는 부민 캠퍼스의 경우에는 지역사회와 꾸준 한 교류를 진행하고 있었고, 지역주민들은 학교를 자유롭게 통행하고 있 었으며, 주 출입구가 따로 없다는 상반된 결과를 얻었다. 이에 따라 캠퍼 스타운과 대학의 단절을 해소하고, 이에 따른 정체성 확보 방안을 모색하였다. 첫 번째, 오픈형 캠퍼스 및 대학 도시 개념 도입이 필요하다. 세계 여러 유명 대학 도시 사례를 보았을 때, 대부분은 도시 계획에 관여할 만큼 중 심 공간으로 작용하고 있거나, 명확한 경계를 두지 않고서 도시와 공생하 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들은 명확한 경계를 설정하는 담이나 대형 건물들을 설치하고, 정문 외의 다른 출입구로는 쉽게 통행할 수 없다는 상반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대학과 도시는 결코 분리될 수 없는 개념이 자 집단이며, 캠퍼스타운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유명 대학 도시들을 벤 치마킹하여 그 장단점을 분석하고, 그걸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구축해야 한다. 두 번째, 차량 위주의 통행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보편적으로 학생들은 대중교통이나 도보를 이용하여 통학하는 경우가 많은데, 도로 자체는 차량 위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른 통행 문제를 해결해야 캠퍼스와 캠퍼스타운의 단절을 해소할 수 있고, 조금 더 캠퍼스를 많이 활용 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 지역 문화유산 및 대학 박물관 등의 유·무형유산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창출이 필요하다. 대학 박물관, 근현대문화유산 등의 지역 정체성을 나타내는 지역유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 학과 도시, 즉 캠퍼스타운이 활성화될 수 있는 새로운 문화콘텐츠를 창출 하여 학생과 지역주민 외에도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방문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본 연구는 대학문화를 활용한 캠퍼스타운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모색하고, 고찰하였다. 대학문화라는 정체성과 캠퍼스타운 내에 산재한 다양한 유산을 활용하는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고, 이를 정책적으로 활 용하기 위한 해외 벤치마킹 사례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이처럼 지역성 을 더욱 명확하게 정의하고, 그 특색을 강화한다면 단조로운 캠퍼스타운 을 재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Korean university education began after the modern reform and was led by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established by Koreans, Japanese and foreign missionaries. After liberation, private schools began to be approved as universities, and university education enjoyed by a small number of intellectuals has become a culture and institution that most people can experience today. As a result, the university culture that began to form in people's memories began to be defined and influenced between universities and communities. The space, also known as campus town, university village, and university district, developed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college students' academic schedules and campus locations, but suffered a slump caused by the absence of students after the COVID-19 pandemic. Even though students returned to school after the end of COVID-19, the disconnection between campus and campus town is serious. Therefor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analyzing the disconnect factors and seeking ways to do so. This study sought to define and examine the concept of university culture and campus town. Three research site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cause the disconnection between campus towns and universities: Yonsei University's Sinchon Campus, Dong-A University's Seunghak Campus, and finally Dong-A University's Bumin Campus. Sinchon Campus Town has a large number of large comprehensive private universities such as Yonsei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Sogang University, and Hongik University, and it was judged worth researching because it was the first campus town in Korea. Second, Dong-A University operates three multi-campus campuses for each purpose, not one campus. Among them, the Bumin Campus was selected to compare the three campuses and campus towns in that it pursues and maintains an open campus. Based on these three sites,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were analyzed on various grounds, such as the main passageway, entrance location, and distance from public transportation, and necessary surveys were conducted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common questionnaires, in-depth interviews, and Space Syntax. Currently, Korean universities operate closedly, and most campuses use the main entrance and border with walls to express a disconnection from campus towns. In fact, Yonsei University and Dong-A University's Seunghak Campus received many negative responses in student perception surveys due to the risk of pedestrian traffic and geographical location of roads centered on vehicle traffic. However, in the case of Bumin Campus, which maintains an open campus, it has been steadily interacting with the community, and local residents are free to pass through the school and there are no main entrances. As a result, the government sought ways to resolve the disconnection between campus towns and universities and secure identity accordingly. First, the introduction of open campus and university urban concepts is necessary. Looking at the cases of many famous university cities around the world, most of them act as central spaces or coexist with cities without any clear boundaries. However, Korean universities have a conflicting characteristic that they cannot easily pass through other entrances except the main gate by installing walls and large buildings that set clear boundaries. Universities and cities are concepts and groups that can never be separated, and in order for campus towns to be activated, famous university cities must be benchmarked to analyze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establish ways to apply them. Second, the problem of vehicle-centered traffic should be solved. In general, students often commute by public transportation or walking, but the road itself is often composed mainly of vehicles. Only by solving the resulting traffic problem can the disconnection between campus and campus town be resolved, and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make more use of campus. Third, it is necessary to create cultural contents using local cultural heritage and university museum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local heritage that shows regional identity, such as university museums and modern cultural heritage, to create new cultural contents that can revitalize universities and cities, i.e., campus town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is study explored and considered ways to revitalize campus towns using university culture. More overseas benchmarking case studies will be needed to present the identity of university culture and revitalize various heritage scattered in campus towns and utilize them as policies. By defining the locality more clearly and strengthening its characteristics, it will be possible to revitalize the monotonous campus town.

      • 한국 전통 목가구조 건축의 구조계통에 관한 해석적 접근

        곽진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ifferentiation of the system in traditional Korean wooden architecture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overall structure. The reason for planning this study was the question of why the order of construction is always explained in the order of stylobate, foundation stone, plane, column, beam, king post, girder, and rafter when studying traditional wooden architecture. You might think “you can’t build a beam without a column.” but the reason for setting up a column is to lift the beam and girder. If there is no rafter, there is no need for a girder, and if there is no girder, there is no need for a beam and column. The order of construction and the order of structural inevitability are not the same. Although the detailed type classification of partial structures or decorations is also important, I was curious about the system that is divided and branched out logically from the most essential member and structure of framework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verall structure. To establish the system, I traced the beginning of architecture. In the case of Korea, it is estimated to be in the Neolithic period, and the structural member that supports the thatch that block the rain by weaving linear members of wood, that is, the rafter,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architectural structure system. The occurrence of the ridge girder, which was made by making a one-dimensional line from a dimensionless point at the top of the rafters, revolutionized the architectural space. The column that lifted the rafters separated the roof structure from the wall structure. This is the differentiation of the structural system of the formation period of traditional Korean wooden archite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verall structure. Afterwards, Korea, along with China and Japan, shared the genetic factors of East Asian wooden architecture and developed the formal framework of architecture. Shared genetic factors include wooden structure, tiled roofs, deep eaves, high stylobate, and the development of Gongpo(栱包). Korea, China, and Japan have deeply influenced each other and have reached a technical peak. This is the establishment period of traditional Korean wooden architecture. However, it is not easy to trace the system because there are not many buildings left in Korea during this period. Afterwards, Korea, China, and Japan evolved the structural system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circumstances while incorporating shared genetic factors of accumulated technical skills. This is the establishment period of traditional Korean wooden architecture. Many buildings from this period still remain in Korea, and I would like to trace the structural system through them. This will include the structural system of the establishment period. From the original Rafter Structure, the structural system of the roof structure and wall structure that evolved separately was established. The structural branching point in the roof structure is the topmost member of the roof. The structural system was differentiated into the Ridge Girder Structure, which made the top of the roof a one-dimensional line, and the Oksimju(a column that support the rafters at the center of plane, 屋心柱) Structure, which maintained the tradition of a dimensionless point. The Ridge Girder Structure has a grid-shaped plane, and the Oksimju Structure has a radial plane. Each has a different structural system for composing member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load flow. The arrangement of the rafters determines the shape of the roof, and the framework for constructing the shape of the roof becomes the structural branching point of the structural system. The arrangement of the rafter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unfolded, joined, and overlapped. The unfolded rafters are the most fundamental arrangement that forms the roof plane, and each rafters is made in a Closed State or Open State. To make the width of the Major Two-dimentional Load-bearing Areas even wider, the rafters are joined, and the joint of the rafters requires a middle-purlin. The overlapping of the rafters makes the roof structure more abundant in various parts. In the Ridge Girder Structure, the Open Eaves make an Open Roof called “matbaejibung” in Korean. If an Open State is formed above the Closed Eaves, it is called “paljakjibung” in Korean. If a Closed State is formed above the Closed Eaves, it is called “ujingakjibung” in Korean. The Oksimju Structure must have a Closed Eaves and a Closed Roof, and is called “moimjibung” in Korean. The Ridge Girder Structure branched out into the Open Eaves and Closed Eaves to form a structural system. The Open Eaves have a relatively simple structural system, but the Closed Eaves form independent structural system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ide room framework and the roof-shaped framework, respectively, and are combined to form one structure. The Oksimju Structure can only have a Closed Eaves and a Closed Roof, so the arrangement of the rafters cannot be a structural branching point, and the Busangju(an Oksimju that is over the ground, 浮上柱) Structure and Simju(an Oksimju that is on the ground, 心柱) Structure form a structural system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Oksimju. However, the structural system of the Oksimju Structure is entangled because the beams, middle-purlin frameworks, rafters, and floor state of the Oksimju do not have a strong dependency. The wall structure evolved from a single-story structure that erected columns of appropriate height at the intersection of the beam and the girder to a multistory structure that overlapped storys by raising the wall. The structural branching point in the multistory structure is the degree of the structural cohesion between storys. The structural system of the multistory structure is differentiated into a Respective Storys Structure that combines the stacked storys structure in which each story has an independent structural system and an Integrated Story Structure that adds structures that distinguishes story in the structure that surrounds the entire story. There are structures morphologically with and without a horizontal reduction between the lower story and the upper story in the multistory structure. The structure without a horizontal reduction is a building with one roof externally and uses a “numaru(樓)” which overlapping the floor inside. The structure with a horizontal reduction forms a roof between storys externally, but internally, it can be used as a single floor without overlapping the floor or multi floor with overlapping the floor. The Respective Storys Structure with a horizontal reduction stacks the floors that are structurally reduced. And the weak structural cohesion between upper and lower storys allows for subtle reduction. However, the Integrated Story Structure with a horizontal reduction does not have a structure that is structurally reduced, but the lower part of the integral structure forms a surrounding space and expands horizontally. For this reason, the Integrated Story Structure is reduced in units of one or half a unit(a distance between inner column and outer column, 間). A case analysis on the structural system of 233 major buildings of traditional Korean wooden architecture was conducted to interpret the trends. The structural system of architecture is dynamis. Energeia arises from the dynamis, but the dynamis cannot completely confine energeia within its boundaries. This is because there are mutations in energei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ructural system to avoid losing coordinates by jumping into the sea of energeia without holding a map of the dynamis. Keywords: matbaejibung, paljakjibung, ujingakjibung, moimjibung, multistory 본 논문은 한국 전통 목가구조 건축에 관하여 전체 구조의 관점에서 계통의 분화를 추적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를 기획한 계기는, 전통 목조건축을 공부할 때 왜 항상 시공의 순서인 기단, 초석, 평면, 기둥, 보, 대공, 도리, 서까래의 순서로 설명할까, 라는 의문이었다. ‘기둥이 없으면 보를 세울 수 없으니까’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기둥을 세우는 이유는 보·도리를 들어올리기 위함이다. 서까래가 없으면 도리가 필요 없고, 도리가 없으면 보와 기둥이 필요 없다. 시공의 순서와 구조적 필연성의 순서는 같지 않다. 부분적인 구조나 의장의 세부적인 유형분류(classification)도 중요하지만, 전체 구조의 관점에서 가장 본질적인 부재와 구조로부터 논리적 분기점을 따라 구분(division)되어 뻗어나가는 계통이 궁금했다. 계통을 수립하기 위하여 건축의 시작을 추적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시기적으로 신석기로 추정하며, 선형부재인 나무를 엮어 비를 막아줄 이엉 등을 지탱하는 구조부재, 즉 서까래로부터 건축의 구조계통이 시작되었다. 서까래의 최상단을 무차원 점으로부터 1차원 선으로 만든 종도리의 발생은 건축공간을 획기적으로 진화시켰다. 서까래를 들어 올린 기둥은 지붕구조과 벽구조를 분리하였다. 한국 전통 목가구조 건축 형성기의 구조계통의 분화이다. 이후 우리나라는 중국·일본 등과 함께 동아시아 목조건축의 유전인자를 공유하며 건축의 형식적 틀을 다져나갔다. 공유 유전인자는 목가구조, 기와지붕, 깊은 처마, 높은 기단, 공포의 발달 등을 들 수 있다. 한·중·일은 서로 깊은 영향을 주고받으며 기술적인 정점에 다다랐다. 한국 전통 목가구조 건축의 확립기이다.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 이 시기의 건축물이 많이 남아 있지 않아 계통적인 추적이 쉽지 않다. 이후 한·중·일은 축적된 기술력의 공유 유전인자를 내포하면서 각자 사정에 따라 구조계통의 진화를 이뤘다. 한국 전통 목가구조 건축의 정착기이다. 우리나라에도 이 시기의 건축물이 많이 남아 있으며, 이를 통하여 구조계통을 추적하고자 한다. 이는 확립기의 구조계통을 내포할 것이다. 원래 하나였던 서까래구조로부터 진화한 지붕구조와 벽구조에 관하여 각각 구조계통을 수립하였다. 지붕구조에서 구조적 분기점은 지붕 최상단의 부재이다. 지붕 최상단을 1차원 선으로 만든 종도리구조와 무차원 점의 전통을 유지한 옥심주구조로 구조계통이 분화하였다. 종도리구조는 격자형 평면을 가지며, 옥심주구조는 방사형 평면을 가진다. 각각은 하중흐름의 특성이 달라 가구부재를 구성하는 구조계통이 다르다. 서까래의 배열은 지붕의 형태를 결정하며, 지붕의 형태를 구성하기 위한 가구구조는 구조계통의 구조적 분기점이 된다. 서까래의 배열은 펼침, 이음, 겹침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서까래의 펼침은 지붕 평면을 형성하는 가장 근본적인 배열로서, 각각의 서까래를 닫힌상태와 열린상태로 만든다. 주요하중흐름면의 폭을 더욱 크게 만들기 위해 서까래를 이으며, 서까래의 이음은 중도리를 필요로 한다. 서까래의 겹침은 다양한 부위에서 지붕구조를 더욱 풍성하게 만든다. 종도리구조에서 열린처마는 열린지붕을 형성하며, 소위 맞배지붕이다. 닫힌처마 위로 열린상태를 구성하면, 소위 팔작지붕이다. 닫힌처마 위로도 닫힌상태를 구성하여 닫힌지붕이 되면, 소위 우진각지붕이다. 옥심주구조는 닫힌처마 닫힌지붕이어야만 하며, 소위 모임지붕이다. 종도리구조는 열린처마와 닫힌처마를 시작으로 구조계통이 분화하였다. 열린처마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계통을 가지지만, 닫힌처마는 측면 퇴칸 가구구조의 관점과 지붕 형식 가구구조의 관점에서 각각 독립적인 구조계통을 형성하여 조합을 이루면서 하나의 구조체로 완성된다. 옥심주구조는 닫힌처마 닫힌지붕일 수밖에 없어 서까래의 배열은 구조적 분기점이 될 수 없으며, 옥심주의 상태에 따라 부상주구조와 심주구조가 구조계통을 형성한다. 그러나 옥심주구조는 보, 중도리틀, 서까래, 옥심주의 바닥 상태가 강한 종속성을 가지지 않아 구조계통이 얽혀 있다. 벽구조는 도리와 보의 교차점에 적절한 높이의 기둥을 세우는 단층구조에서 벽을 높여 층을 중첩하는 중층구조가 분화하였다. 중층구조에서 구조적 분기점은 층간의 구조적 결속력이다. 각층이 독립적인 구조체계를 가지면서 적층되는 각층구조와 전 층에 걸친 하나의 구조체에 층을 구분하는 구조를 더하는 일체구조가 1차적인 구조계통의 분화이다. 중층구조는 형태적으로 수평 체감이 있는 구조와 없는 구조가 있다. 수평 체감이 없는 구조는 외적으로는 하나의 지붕을 가지는 건축물로, 내부에 층바닥을 중첩하여 누마루를 사용하는 구조이다. 수평 체감이 있는 구조는 외적으로 층간 지붕을 형성하지만, 내적으로는 층바닥을 중첩하기도 하고 중첩하지 않고 하나의 층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수평 체감이 있는 각층구조는 구조적으로도 체감된 각층을 적층한다. 그리고 상하층 간의 구조적인 결속력이 작아 미세한 체감이 가능하다. 그러나 수평 체감이 있는 일체구조는 구조적으로 체감되는 것이 아니라 일체구조의 하부 구조가 겹칸을 형성하며 수평으로 확장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일체구조는 한 칸 또는 반 칸 단위로 체감된다. 한국 전통 목가구조 건축의 주요 건축물 233동에 대하여 구조계통에 관한 사례분석을 실시하여, 그 경향성을 해석하였다. 구조적 관점의 계통은 건축의 가능태이다. 현실태는 가능태로부터 발아하지만, 가능태는 현실태를 테두리 안에 완벽하게 가둘 수 없다. 현실태는 돌연변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가능태라는 지도를 손에 쥐지 않고 현실태의 바다에 뛰어들면 좌표를 놓치기 십상이다. 구조계통을 수립해야 하는 이유이다. 주제어: 맞배지붕, 팔작지붕, 우진각지붕, 모임지붕, 중층

      • 문화예술교육 연계 전통 나전?칠공예 교육프로그램 모색

        유지윤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Today, there's a noticeable rise in socio-cultural expectations surrounding traditional crafts. This growth is mainly attributed to the ever-expanding global online retail market and the changing purchasing habits, fueled by an increasing emphasis on improving the quality of consumption patterns. Many believe that these factors mark a significant turning point for traditional crafts. As the public's outlook diversifies, there's a noticeable shift towards respecting individual experiential values more than ever before. In the early days of traditional crafts in Korea, fostering policies and support programs were often limited to indirect communication between craftsmen and the public, such as exhibitions and competitions to select winners,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systems, and master craftsman qualifications. However, as the scale of the crafts industry has grown, the crafts sector has evolved to include roles such as planners, merchandisers, and educators who help connect crafts with the public, as well as expanding opportunities for contact points between craftsmen and the public. Therefore, we believe that the future trend of traditional crafts is to go beyond the category of creation and help people to enjoy them by embodied in the daily culture of living subject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urrent trends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mother-of-pearl and lacquerware industries in Korea over the past century. Additionally, it seek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industries and craft education, examining how they have evolved and developed. To achieve this, the study first examin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traditional craft industry and craft education. It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traditional craft education implemented in various institutions, with a specific focus on mother-of-pearl and lacquer crafts. The analysis highlights the demand for general, social najeon, and lacquerware education for the public, while also identifying the lack of diverse programs as a key issu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mother-of-pearl and lacquerware into public life, the study sets the goal of proposing an educational program that falls under the umbrella of "cultural arts education" accessible to everyone. In this regard, the study reviews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y (2018-2022)," which aligns with UNESCO'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derives directions and points of improvement for traditional craft education. The first goal is to establish a cultural ecosystem that fosters the enjoyment of crafts. The second goal involves diversifying craft education to cater to the needs and interests of consumers. The third goal aims at enhancing the traditional craft workforce by strengthening the manpower base. To achieve the goal of diversifying craft education to meet consumer needs, both long-term and short-term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mother-of-pearl and lacquerware wer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emphasis was placed on creating consumer-centered programs. To assess and evaluate the outcomes,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rticipants in the education programs. The ultimate objective is to establish a strong connection and resonance with the general public through traditional crafts such as najeon and lacquerware education. By doing so,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rection and program outcomes of mother-of-pearl and lacquerware education as a strategy for sustainable popularization.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into five main categories. Firstly,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surrounding the mother-of-pearl and lacquerware industry and education in Korea confirmed the necessity of public education in traditional crafts. It was observed that societal issues and consumption patterns are shifting towards sustainable attitudes that prioritize experiences and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Consequently, there is a need to transform our perception of traditional crafts from mere material possessions to valuing the experiential aspects. Secondly, the study explored ways to enhance education on sustainable mother-of-pearl and lacquer crafts as a mediator between traditional crafts and the public. Through analyz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of craft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it became evident that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diverse traditional craft education programs that respect and embrace different generations and cultural backgrounds. Thirdly, a proposed traditional craft education program, aligned with the cultural arts education policy strategy, focused on the second goal of diversifying craft education centered around the consumers.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o select customized topics for the education target group, with an aim to create a consensus that bridges the gap between the public's daily life and mother-of-pearl and lacquer crafts. Fourthly, the study incorporated craft-related educator completion courses, including craft educator training and cultural arts education history, as an empirical educational program reviewed through real-world case studies.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relying solely on theoretical analysis, the researcher completed courses to foster craft mediators and attain qualifications as cultural arts educators, providing a practical foundation for the program. Lastly, the study conducted a series of processes from program design to training and result analysis, allowing for a close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the program structure. This approach, which involved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he program, is not commonly found in previous studies on craft education programs withi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The research provided valuable insights by swiftly improving the program through direct consumer feedback and incorporating it into the various stages, from planning to execution and evaluation. However, there are certain limitations that should be acknowledged, including the analysis of various target groups, the objectivity of program results, and the absence of active publicity measures. To implement a customized education program that caters to the specific needs of each target group, a more extensive analysis of the target groups and further development of program planning are necessary. Moreover, future efforts should focus on establishing objectivity and justif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craft education programs. Additionally, to ensure that educational programs reach diverse generations and social classes, it is crucial to implement a comprehensive publicity strategy. This strategy should aim to inform and engage individuals from different backgrounds and make them aware of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available. By establishing traditional crafts as a culture that can be enjoyed by anyone in their daily lives, rather than exclusively by a select group of experts, we can foster the contemporary relevance of traditional crafts. As the demand for crafts continues to expand in our society, it is hoped that there will be further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each craft field. Furthermore, raising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consumer-centered traditional craft education is essential. Through these efforts, we can promot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ppreciation of traditional crafts in our society. 오늘날 전통공예에 대한 사회문화적 기대는 날로 커지고 있다. 전 세계 온라인 유통시장의 확장과 소비패턴의 질적 향상에 따른 구매방식의 변화는 전통공예 전환점의 신호로 생각된다. 대중들의 시선은 다양화되고 개인의 경험적 가치를 존중하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다. 국내 초창기 전통공예 육성정책과 지원사업은 전시, 공모전을 통해 수상작을 선별하거나, 무형문화재 보호제도와 명장 자격과 같은 공예가가 대중과 직접적이기보다는 간접적 소통방식에 그친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오늘날 공예산업의 규모가 커지면서 공예 분야에는 기획자, 머천다이저, 교육가 등 공예와 대중과의 연결을 돕는 역할들과 함께 공예가와 대중이 만나는 접점의 기회가 확대되는 양상으로 진전되어오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흐름은 창작의 범주를 넘어 생활 주체의 일상 문화로 체화하여 향유 하도록 돕는 것이 전통공예의 지향점이자 필요한 역할이라고 믿는다. 본 연구는 지난 백여 년간 한국의 근현대 나전‧칠공예 산업의 현 지점을 파악하고, 나전‧칠공예 산업과 공예 교육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며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해왔는가 알아보고자 하는데서 출발하였다. 이와 같은 배경과 목적에 의해, 먼저 전통공예 산업과 공예 교육의 관계에 대하여 살피고, 현재 여러 기관에서 시행되는 전통공예 교육의 현황을 나전‧칠공예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대중을 위한 일반‧사회 나전‧칠공예 교육에 대한 수요와 다양한 프로그램의 부족을 문제로 지적하였다. 대중의 삶과 연동된 나전‧칠공예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는데 목표를 두고, 누구나 누릴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유네스코 주요 정책인 지속 가능한 발전목표의 ‘양질의 교육’ 전략 가운데 하나인 ‘문화예술교육 정책(2018~2022)’을 중심으로 검토하였으며, 전통공예 교육의 개선 방향과 연계점을 도출하여 다음과 같이 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공예 향유 문화생태계의 구축’ 둘째, ‘수요자 중심의 공예 교육 다각화’ 셋째, ‘전통공예 인력기반 고도화’ 이 가운데 ‘수요자 중심의 공예 교육 다각화’를 중심으로 장․단기 나전‧칠공예 교육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설계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또한, 해당 결과에 대한 검증과 평가를 위하여 교육 참여집단의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전통공예(나전․칠공예) 교육을 매개로 일반 대중과의 공감대(연결)를 형성하고, 지속 가능한 대중화를 위한 전략으로서의 나전‧칠공예 교육의 방향성과 프로그램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삼았다. 연구 성과는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국내 나전‧칠공예 산업과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분석을 통해 대중을 위한 전통공예(나전‧칠공예)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오늘날 사회적 이슈와 소비패턴은 제작과 물질적 소비 중심에서 경험을 중시하고, 환경을 생각하는 지속 가능한 태도를 중시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즉, 전통공예에 대한 우리의 인식 역시 이러한 동향을 반영했을 때, 공예를 단순히 물질적 소유물로 바라보는 태도에서 공예를 통한 경험을 중시하는 태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둘째, ‘전통공예(나전‧칠공예)와 대중을 매개할 지속 가능한 나전‧칠공예 교육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국내 외 공예 교육프로그램 개발 사례 분석을 토대로, 각 세대와 문화적 배경을 존중하고 함께 아우를 수 있는 다양한 전통공예 교육프로그램의 연구와 개발의 필요성을 밝혔다. 셋째, 개선 방향의 두 번째 목표 ‘수요자 중심의 공예 교육 다각화’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 정책전략과 연계한 전통공예(나전‧칠공예)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설정 목표를 기준으로 교육 대상층에 대한 사전 조사를 진행하여 맞춤형 주제를 선정하였고, 대중의 일상과 나전‧칠공예를 매개할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넷째, 공예 관련 교육자 이수 과정(공예 에듀케이터, 문화예술교육사)을 통해 실제 현장 사례로 검토된 실증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분석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본 연구자는 공예매개인력 양성과정과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을 함께 이수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의 실제 설계부터 진행에 들어갈 때 단계별 실행방안을 설정하여 체계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었다. 다섯째, 프로그램 설계부터 교육 진행, 결과 분석까지 일련의 과정을 진행하면서, 해당 프로세스를 면밀하게 분석하고 파악할 수 있었다. 기존 문화예술교육 내 공예 교육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기획부터 실제 적용사례와 결과 분석까지 이루어진 경우는 드문 편이며, 프로그램의 구상 단계에서 실현되지 못하고 그친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필자가 프로그램 기획부터 진행과 평가까지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면서, 수요자의 생생한 의견을 반영해 프로그램을 빠르게 개선하는데 활용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대상층에 대한 분석과 프로그램 결과에 대한 객관성 그리고 적극적인 홍보방안 부족 등에서는 한계점을 지닌다. 각 대상층의 수요에 맞는 맞춤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양의 대상층 분석과 프로그램 기획안의 개발 등을 필요할 것이며, 이런 과정을 통해 전통공예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객관성과 당위성을 입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앞으로 다양한 세대와 사회 계층에게 교육프로그램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라도 이를 알리는 홍보 전략이 필수적이다. 우리 사회에서 전통공예의 지속 발전 가능성은 특정 전문가들만이 누리는 문화가 아니라, 생활 속에서 누구나 누릴 수 있는 문화로 자리 잡을 때 비로소 전통공예의 현재화가 이행될 것으로 생각한다. 본 논문이 공예가 우리 사회에서 그 수요가 확장됨에 따라, 각 공예 분야별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수요자 중심의 전통공예 교육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확대되기를 바라며, 향후 이와 관련된 구체적이고 진전된 연구가 계속해서 이루어지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