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전통예술공연장의 운영 개선 방안 연구 : - 한국문화의집 KOUS 극장을 중심으로 -

        손진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71

        전통예술 공연장의 운영 개선 방안 연구 - 한국문화의집 KOUS 극장을 중심으로 - 손 진 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제문화유산협동과정 K-POP 공연이 대세인 이때, 전통문화예술은 민족의 정체성과 관련되어 있어 중요하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대표 전통문화예술 공연장인 한국문화의집(KOUS ; KOrea cUltural houSe) 공연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KOUS 공연을 비롯한 전통문화예술 공연의 발전을 위하여 연구에 착수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연장의 공간적 특성과 정체성을 준거로 삼아, 공연 운영현황을 살펴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우선 설립목적과 운영방침, 구조와 형태 등 KOUS 자료 분석으로 공연장 성격을 규정하고, 이를 준거로 공연목록 검토, 관객의 설문 자료, 관객심층 면접을 통해 다음과 같이 문제점을 찾고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첫째로 KOUS 자료 분석으로 밝힌 공연의 기준(준거)은 두 방향이었다. 하나는 설립목적과 운영방향과 관련된 ‘전통문화예술의 보급, 선양, 발전이라는 공공의 이익을 추구’, 또 다른 하나는 중소규모 공연에 적합한 (중)소극장, 관객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돌출 극장이며, 용도로는 다양한 장르와 형태의 예술 공연을 위한 다목적 극장이었다. 둘째로 ‘전통문화예술의 보급, 선양, 발전이라는 공공의 이익 추구’라는 준거로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나타난 문제는 홍보의 미흡,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나 관광 상품화 노력의 미흡, 또한 민관협력이나 네트워크 형성 노력의 미흡이었다. 이에 홍보의 미흡에 대해서는, 지인중심의 인지경로를 탈피하여 홍보의 다양화와 선진화를 제안하였다. 특히, TV 등 대중매체, 인터넷, SNS 등 첨단 매체 활용을 강조하였다. 외국인에 대한 서비스와 관광 상품화의 미흡에 대해서는, 밖으로는 한류에 편승하거나 성공한 선진 사례를 벤치마킹해 공연의 세계화를 이루고, 안으로는 관광업체 등 내한 외국인 관련 단체와 연계하여 방한하는 외국인 유치를 제시하고, 공연장내 외국인 편의 시설을 갖출 것을 제안하였다. 민관협력이나 네트워크 부족에 대해서는, 교육계와 연계하여 체험학습 등의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 기타 노인 단체, 지방문화단체와 연계할 것을 제시하였다. 셋째로, ‘극장규모와 형태를 준거’로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여성 지향적, 프로그램에 따른 연령층의 편중 등의 편향성, 잠재고객 유치 노력 부족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공연의 편향성에 대해서는‘균형’있는 공연 프로그램의 편성과 운영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남성 취향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제작이나 편성을 해야 하고, 연령 편중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전통공연과 퓨전공연의 균형을 강조하였다. 잠재고객 유치와 관련해서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는 등 사전노출을 강화할 것을 제시하였다. 넷째로, 개선안을 종합하여 ‘KOUS 극장의 한국 전통문화예술공연장 랜드마크화’를 궁극적 지향점으로 삼아 장단기전략을 제시하였다. 단기 전략으로는, KOUS 공연장 홍보의 다양화 및 강화(홈페이지, 재단 공연 등 각종 협력공연의 시작과 말미 등 홍보), 협력 공연 추진, 교육계 및 관광업계와 협력한 공연장 활용안을 제시하였다. 장기 전략으로는 한국전통문화대학교의 전통문화예술공연학과 설치 유도, 국내외 관련 대학이 KOUS 극장을 체험코스나 실습장으로 활용하도록 유도, 공연장 외형에 특정 상징물(상징탑) 설치, 주차장 확대 및 전체 건물 사용의 재구조화 등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 한국문화의집(KOUS), 전통공연, 공연장 성격, 관객 특성, 관람성향, 관객 만족도, 운영 개선안, 랜드마크

      • 세계유산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문화유산관광 발전방향 연구 : 백제역사유적지구 부여를 중심으로

        박지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논문은 세계유산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문화유산관광의 발전 방향을 연구하였다. 문화유산관광이 활성화될수록 지역은 경제적 성장과 관광 기반시설의 정비로 인해 지역 생활환경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게 되었다. 하지만 세계유산의 보호에 관한 인식 부족과 무분별한 관광 개발은 세계유산의 지속가능성에 위협을 가져오게 되었고, 관광과 세계유산의 보존관리는 대립적인 태도를 유지했다. 그러나 점차 세계유산의 지속가능한 활용의 측면에서 문화유산관광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관광과 관리의 상호 협력적인 관계들을 주목하게 되었다. 세계유산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방법으로 문화유산관광의 발전 방향을 알아보고자 세계유산의 보존관리에 영향을 주는 주요 국제 협약 및 권고 사항의 내용을 살펴보고 방향성을 정리하였다. 이와 함께 국내의 문화재 보호 및 활용과 관련한 법령과 계획들을 살펴보고 방향성을 정리하였다. 주요 방향성 들이 실제로 국내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백제역사유적지구의 부여 지역을 중심으로 개발계획에 드러나 있는 정책 방향성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먼저 부여의 개발 정책의 방향성은 전반적으로 세계유산의 문화유산관광 방향성과 같은 맥락을 보였다. 그러나 각각의 세부 관광 현황에서 문제점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파악한 문제점들을 중심으로 부여 세계유산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문화유산관광 발전 방향을 제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접근성 강화를 통한 지역 활성화를 장려해야 한다. 주변 지역과의 대중교통을 이용한 낮은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부여의 주변 백제 문화권 지역과의 교통 연계성 향상을 위해 고속버스 연결 증대 및 백제 문화권의 교통권 단일화, 충청도 주요 거점 도시와의 교통 연계를 통한 관광 코스 개발 등과 같은 방법으로 지역의 접근성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생활권역의 관광 자원화를 통한 지역주민의 주체성 및 경제성을 향상해야 한다. 관광객 증가가 지역 내 소비로 연결되지 않는 점과 지역의 문화유산관광 상품화 개발에 대한 주민의 참여도 및 인식 변화를 위한 교육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백제 문화 상품 개발과 연관 산업 육성, 경관 개선 사업 등의 필요성을 주민들에게 교육하여 의식의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어야 하며 지자체는 제도적·경제적 지원에 대한 정책적 보조를 추가해야 한다. 셋째, 세계유산의 인지도 향상으로 관광객을 증가시켜야 한다. 부여 내 세계유산의 낮은 관광객 유입 효과와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편의시설 및 홍보의 부족 문제가 있다. 이에 부여의 세계적 인지도 향상을 위한 국제 행사 유치 등을 통한 홍보 방법과 적극적인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편의시설 정비와 해외 마케팅 개선에 대해 노력해야 한다. 넷째, 세계유산의 보호 및 정비를 통한 환경 영향을 감소시켜야 한다. 고도 보존 계획으로 경관 개선 사업 및 보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보수 및 복원은 자칫 세계유산의 훼손을 가져올 수 있지만, 유산의 가치에 초점을 맞춘 고증을 통한 복원 및 정비는 세계유산의 진정성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보수 및 복원 작업을 통해 관광객들로 하여금 부여의 세계유산 도시로서의 역사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에 대한 진정성을 느낄 수 있게 해야 한다. 다섯째, 온라인 마케팅 및 디지털 콘텐츠 개발을 통한 관광 프로그램을 구축해야 한다. 부여는 소극적인 홍보 프로그램과 온라인 콘텐츠의 다양성 부족이 문제점으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적극적인 홍보와 부여의 역사·문화적 즐길 거리를 향유할 수 있는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 개발을 통해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매력적인 관광지로 꼽힐 수 있도록 관광 프로그램 구축과 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 This dissertation presents development direction of cultural heritage planning for sustainability of World Heritage. As the tourism of cultural heritage became active, local environment was ameliorated due to economic growth and improvement of tourism infrastructure. However, the lack of awareness about the protection of the World Heritage and the unreasonable development of tourism posed a threat to the sustainability of the World Heritage, and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orld Heritage had stuck to a confrontational attitude. Nevertheless, the importance of cultural heritage tourism comes to the fore in terms of the sustainable use of the World Heritage and mutual cooperative relationship of tourism and management is focused on. To seek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cultural heritage tourism as a method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World Heritage, it summarizes the direction of major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recommendations affecting conservation management of World Heritage sites. In addition, it explores laws and plans related to the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properties in South Korea. In order to examine how the main directions are actually applied in Korea, it analyzes directions of policy and discerns problems in the development plan centered on Baekje Historical Remains District. As a resul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policy of Buyeo show generally analogous aspect as the direction of cultural heritage tourism of World Heritage. However, the problems discover in each detail of the tourism situation. Focused on identified issues, the following are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cultural heritage tourism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World Heritage. First, it should encourage local revitalization through enhanced accessibility of the area. The accessibility of the area should be strengthen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high-speed bus connections, unifying the traffic rights of the Baekje culture area, and developing tourism courses through traffic links with urban centers of Chungcheong-do for low accessibility and traffic connection with public transport in the surrounding area. Second, local residents' identity and economic efficiency should be improved through tourism resources of living area. To address the lack of education for residents' participation, change in awareness of tourism development in the region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ourists is not connected to consumption in the region, It should be able to change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by educating the residents about the necessity of Baekje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related industry fostering, and landscape improvement project. Local governments should add policy support for institutional and economic support. Thir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tourists by increasing awareness of World Heritage. The lower tourist influx of World Heritage in Buyeo has the problem of the lack of amenities and promotions for foreign tourists with effect. It should strive to promote publicity through pushful international events to raise awareness of global issues, to improve facilities for active foreign tourists and improve overseas marketing. Fourth, the environmental impacts through conservation and maintenance of World Heritage should be reduced. It is carrying out landscape improvement project and maintenance work with high conservation plan. Repair and restoration can bring about destruction of the world heritage, but restoration and maintenance through the high tide focusing on the value of the heritage can help maintain the authenticity of the world heritage. It should give tourists a sense of authenticity about historical values and cultural values as the World Heritage city of Buyeo. Last, it should establish tourism programs through online marketing and digital contents development. Buyeo was found to be a problem because of the lack of diversity of publicity programs and online contents. thus,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tourism program construction and services so that it can be considered as a tourist attraction to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online contents that can enjoy active publicity utilizing the online platform and historical and cultural enjoyment of Buyeo.

      • 전라북도 전통 소목공예 전승력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채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55

        전통 공예는 전통적인 기능으로써 삶에 필요한 생활용품으로 사용하기 위해 자연과 문화, 사회, 역할 속에서 스스로 제작하면서 시작되었다. 공예는 숙달된 기술로 만들어진 기능을 한다는 의미를 지니는데, 특히 전통 공예는 각 지역의 자연의 재료와 지역민인 장인의 기술이 결합하여 생겨난 결과물로 제작방식은 다품종·소량 생산으로 수공예 방식으로 제작한다는 특징이 있다. 변화하는 자연, 문화, 사회 환경 속에서 시대 구성원에 의해 파생된 전통 공예는 발전하는 시대 속에서 정체성을 반영하여 세대의 배경과 흐름을 파악하여 함께 변화하고 성장하는 무형의 문화재이다. 그러나 시대와 사회·문화적인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면서 과거의 전통적인 기술과 기법으로 제작한 공예품은 그 역할과 쓰임의 의미를 잃어가게 되면서 관심과 활용의 빈도가 사라지고, 관리 및 보호도 소홀해지며 기술자들에 대한 지원 부족, 전승자 없는 종목이 사라질 현실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전통 공예는 문화 속에서 만들어진 재화이자, 국가와 역사의 정체성의 한 부분으로 지역의 발전과 활성화에 영향을 기여 할 수 있는 충분한 조건을 갖추고 있기에 현재 발생하고 있는 결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지속적인 전승이 가능하고 활용되기 위해서는 기술의 존재가 중요하기 때문에 전통 공예 기술의 전승이 기초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처음에 만들어진 그대로의 기술을 전승하는 것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이다음 세대가 전승의 필요성을 느끼고 전승을 위한 대상으로 수긍할 수 있는 타당한 근거와 전승의 충분한 의도와 이유 필요하다. 이것이 지속적인 전승의 힘이 강화되는 방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전라북도의 전통 공예 중 소목공예를 대상으로 선정해 이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전라북도는 지역적으로 풍부한 산림과 전통 공예가 성행하던 시대의 문화와 사회적으로 활발했던 지역으로 이는 거주하던 생활 방식에서 사용하는 소목공예품에서도 잘 나타나고 현재까지도 각 지역에서 전승자들이 꾸준히 활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자는 전라북도의 소목공예를 지정과 전승 활동의 현황을 토대로 분석하여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후에 전라북도에서 활동하고 있는 보유자와 이수자의 의견을 수립하고, 지역의 축제 또는 브랜드화, 단지 활성화, 산업화로써 전통 공예를 활용한 지역의 사례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서 전라북도 소목공예를 중심으로 전통 공예 전승력을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역의 특수성과 소량 생산 수공예 기법, 자연 재료로 제작하는 전통 공예는 현대의 편리한 교통, 세계화로 인해 확장된 문화, 다양해진 생활 방식 등은 전통 공예의 강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에 한계가 존재한다. 하지만 본 연구는 전통 공예의 본질적인 파악하기 위해 전라북도라는 지역과 지역성을 대표하는 종목인 소목공예로 축소하여 전승 강화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변화하는 현대사회와 문화를 바탕으로 사라지지는 문제점을 고찰하고 전통 공예의 전승력을 강화하여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활동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 충남·전북지역 볏짚 상징물의 무형유산적 가치

        이은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55

        Rice straw symbols are created to convey an abstract concept or meaning in a concrete way. In Korea, rice straw symbols are found in folk beliefs, as well. Transmitted since early times, folk beliefs involve such acts as selecting an object and putting faith in it to make a life comfortable. Such rice straw symbols are found only in rice farming culture zones and were used to express wishes for good harvests, life force, fecundity, well-being of the village community, expulsion of evils, and good luck. Based on this interest in rice straw symbols for their symbolism and making techniques, this study selected three rice straw symbols, which include Geumjul, tug-of-war, and Byeotgaridae, in two of the seve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ategories in the nation, which are "social consciousness including folk beliefs" and "play, festivals and skills, and martial arts." Chapter 2 examined the attributes of rice plants and straws to understand rice straw symbols. Chapter 3 examined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rice straw symbols. Chapter 4 looked into their making techniques, transmission, and values as intangible heritage. The findings show that rice straw symbols were created based on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symbolism of rice straws. They were an element of traditional culture that was common across different rice farming culture areas, thus holding values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old days saw no need for master craftsmen that would make rice straw symbols, but today there is a shortage of manpower to create them. It has been difficult to transmit cultural heritage due to the deconstruction of traditional villages following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bsence of manpower for transmission according to aging, and lack of conditions and population to transmit cultural heritage. There is a need for documentation and transmission environments to preserve cultural heritage.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some rice straw symbols and did not analyze the entire rice straw symbols. In the future, alternative researches will be needed on the overall current state, making techniques, and transmission of rice straw symbols. 볏짚 상징물은 볏짚을 주재료로 하여 추상적인 개념이나 의미 등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볏짚으로 제작한 것이다. 이러한 볏짚 상징물은 우리나라의 민간신앙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벼농사 문화권에서만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충청남도와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볏짚 상징물의 상징성을 연구하고, 제작기법과 전승 실태를 통해서 볏짚 상징물이 지닌 무형유산적 가치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무형문화유산 7개 범주 중 ‘민간신앙 등 사회적 의식’과 ‘놀이 ․ 축제 및 기예 ․ 무예’에 해당하는 세 가지 볏짚 상징물인 금줄, 줄다리기, 볏가릿대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Ⅱ장에서는 볏짚 상징물의 주재료인 벼와 볏짚이 가진 속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벼와 볏짚은 농학(農學)에서 흔히 연구되는 주제로, 농학의 관점에서 연구되는 벼와 볏짚의 역사, 활용, 재질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편 벼와 볏짚의 상징성은 볏짚 상징물을 이해하기 위해 살펴보았다. 벼는 생명력을 상징하고, 신성함을 상징한다. 또한 볏짚은 악귀(惡鬼)와 부정(不淨)한 것을 물리치는 벽사력(辟邪力)을 상징하고, 벼 보다 생명력이 더욱 증대되어 안산(安産)을 도와주고 아이의 성장을 도와주는 힘을 상징한다. Ⅲ장은 볏짚 상징물의 의미와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다. 첫째, 금줄은 생명력과 신성, 벽사의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금줄의 기능은 완전하고 완성된 상태로 변화시키는 주술적 용구(用具)의 기능과 어떤 사물에 신성을 부여하고, 잡귀나 사람을 금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둘째, 줄다리기는 농경사회에서 생산력을 보장받기 위한 편싸움이면서 동시에 풍농을 기원하고, 폐백을 의미한다. 줄다리기의 기능은 두 가지로 마을의 변고나 액을 막고 복을 부르는 제액초복의 기능과 공동체 구성원에게 일체감을 갖게 하는 기능을 한다. 셋째, 볏가릿대는 우주목 또는 우주축의 하나로서 하늘과 땅을 연결해주며, 한 해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풍흉을 예측하고, 마을 주민들 간의 화합의 장을 마련하는 마을공동체의례의 기능을 한다. Ⅳ장에서는 Ⅲ장을 바탕으로 세 가지 볏짚 상징물의 제작과 전승 체계를 설명하였다. 현지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볏짚 상징물의 제작기법과 전승 실태와 볏짚 상징물이 지닌 무형유산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이상으로 살펴본 볏짚 상징물의 제작 동기는 벼농사 문화권에서 의례와 사회적 의식, 놀이를 할 때 공동체가 가지고 있었던 염원을 함축적이고 상징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처럼 볏짚 상징물은 벼농사 문화권에서 보편적으로 볼 수 있는 전통문화이다. 줄다리기는 2015년에 벼농사(稻作) 문화권에서 볼 수 있는 전통문화 중 하나로 1960년 후반부터 국가무형문화재와 시도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또한 무형문화유산의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되었다. 이외에도 금줄과 볏가릿대는 벼농사 문화권에서 유사한 형태로 전통문화가 전승되고 있어서 기존에 지정된 줄다리기와 같이 벼농사 문화권의 특성을 가진 문화유산으로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다만 기존에는 볏짚 상징물을 제작할 때 특정한 제작자인 장인이 필요 없었지만, 현재는 볏짚 상징물을 제작하는 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한 전통 마을의 해체, 고령화에 따른 전승인력의 부재, 마을 문화를 전승할 수 있는 여건과 인구 부족으로 인해 문화유산의 전승이 어렵다면 문화유산의 보존을 위해 기록화와 전승환경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은 일부 볏짚 상징물을 주제로 했기 때문에 볏짚 상징물 전체를 분석할 수 없었다. 향후 볏짚 상징물의 전체 현황과 제작기법, 볏짚 상징물의 전승을 위한 대안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무형문화재 전승 공동체의 맥락적 보호 방안 연구 : - 한국 무형문화재 핵심 공동체의 실행을 중심으로 -

        김미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55

        문화재(유산) 보호의 국제담론은 「세계유산협약」을 기반으로 유형물 즉, 물질을 중심으로 보존·연구되어 왔으나, 무형문화유산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무형유산협약」을 채택하여 비물질적인 가치 즉,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보호를 시작하였다. 「세계유산협약」과 「무형유산협약」은 문화유산의 보호(safeguarding)라는 공동의 이슈를 중심으로 물질과 비물질의 특성에 따라 발전해 왔으며, 이러한 유물론적인 사고는 한국 문화재보호 법·제도에도 깊이 뿌리하고 있다. 문화재의 본질적 가치는 존재론적 범주에 의한 특정 문화원, 문화사, 문화층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유형문화재의 원천은 사람과 자연 즉, 무형문화재에 내재되어 있다. 유·무형 문화유산을 관계론적 범주에서 인식·보호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무형문화재 보호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특히 무형문화재는 인간에 의해 보호·전수되기 때문에 인류학적 관점에서 유산과 주변 간의 관계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 관계에 대한 보호는 맥락이라는 큰 틀에서 인지될 수 있다. 맥락은 직관적으로 인지되지 않을 뿐 무형문화유산에도 존재한다. 유형문화재에 대한 맥락적 보호는 한국 문화재보호 제도 속에서 면(面)적 보호라는 이름으로 발전해 왔으며, 유형에 한정되어 있던 맥락적 보호 관점을 무형문화재에도 도입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무형문화재의 맥락적 보호를 위해서 유산 보호 범주로서 「세계유산협약」의 ‘맥락(context)’개념과 유산 보호 방법론으로써 「무형유산협약」의 ‘보호’, 그리고 공동체(community)에 의한 ‘실행(practice)’을 제시하였다. 맥락적 보호 방안은 공동체에 의한 실행 보호와 맥락으로 확장된 보호 범주를 통해 한국 무형문화재의 전승력(viability) 강화를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맥락적 보호의 기본개념과 개념모델을 설계하고 확장성 모델을 통해 일반화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In the past, the international discourse on the safeguards of cultural properties (heritages) has been preserved and studied based on the 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1972(Abbr. WHC) centered on tangible and physical materials, but as the importanc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as emphasized,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2003(Abbr. ICH Convention) was adopted to begin safeguarding of non-material value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Abbr. ICH). The WHC Convention and the ICH Convention have been progressing with a focus on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s as the common denominator and this materialistic approach is established in Korea laws and institutions for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The intrinsic value of a cultural property does not exist only in certain cultural center and history, or in a certain occupational layer according to ontological categories. Also, the source of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s inherent in people and nature, that is,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is study proposes a new paradigm for safeguard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recognizing and safeguarding both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relational approach. Especially in the cas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 is protected and transmitted by humans so its safeguarding should be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 surroundings with an anthropological viewpoint. The protection of relationships can be recognized from the context which may not be realized intuitively but nonetheless exists in an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ntextual safeguarding of 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Korea institutions has been advancing under the name of Area-based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Contextual safeguarding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well. For the contextual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concept of ‘Context’ of WHC as a category of heritage protection, ‘Safeguarding’ and ‘Practice’ by the community of ICH Convention as a methodology for the safeguarding of heritage. ‘Contextual Safeguarding’ involves suggesting a measure to strengthen the power of transmission of Korea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rough the safeguarding of practice by the community and the extended contextual scope of safeguarding. For this purpose, the basic concepts and the concept model for contextual safeguarding have been designed, and the possibility for generalizability was then explored through an expandability model.

      •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보존과 활용 증대 방안 연구 : 돈암서원 사례를 중심으로

        김영숙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55

        2019년 7월 6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한국의 서원」을 세계유산으로 등재를 결정하면서 9개 서원을 포괄하는 통합 보존·관리방안과 함께 통합해설 마련을 권고하였다. 본 논문은 이에 따른 서원의 보존관리체계 현황과 보존·관리 및 활용과 관계된 법령과 정책, 지정 및 관리 체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유네스코 세계유산 돈암서원의 문화재 보존과 활용 증대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논지를 전개하였다. 첫 번째는 서원의 역사적 변천과 경관적 특성 및 기능, 조선시대 향촌사회에서 역할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서원은 단순히 교육기관으로 그치지 않았다. 체계적인 조직운영과 관리 제도를 바탕으로 선현제향과 학맥형성, 향음주례 등을 통해 향촌문화를 주도했음을 정리하였다. 두 번째는 서원의 보존과 활용현황 분석을 위해 관련 법령과 정책현황, 지정현황과 관리체계를 분석하였다. 문화재보호법과 관련지침,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를 통해 「한국의 서원」 통합관리를 위한 한국의 서원 세계유산센터 설립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나 출범이 지연되면서 연속유산인 9개 서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세 번째는 서원의 보존과 활용실태 분석을 통하여 9개 서원 연속유산에 대한 통합적인 활용프로그램의 부재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대표적인 유학교육시설 활용사업인 향교·서원 활용사업에 있어서 진정성을 고려하지 않는 양적 성장과 향교·서원 활용사업 지원 건수의 불균형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민관산학 뉴거버넌스를 통한 영주 소수서원의 유교콘텐츠와 선비촌의 선비문화를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우수사례로 제시하였다. 네 번째 돈암서원의 통합적 보존과 활용 증대와 관련하여 유·무형문화재의 지속가능한 통합적 보존과 활용, 세계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와 완전성·진정성 보호 방안, 지속가능한 보호관리 체계와 모니터링 평가 방안, 서원 네트워킹과 주민참여를 통한 지속가능한 관광자원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의 서원」 돈암서원의 차별성 있는 활용프로그램을 위해 제향인물, 학문과 관련한 콘텐츠를 활용한 개별프로그램 제안과 다른 8개 서원 간 연계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을 제안하였다. 돈암서원 활용 증대를 위해 정부·지방자치단체·지역민 간의 뉴거버넌스를 통해 7년째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신축 체험시설인 예학관과 한옥마을 문제를 해결하고 한국의 서원 세계유산센터 유치 등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함을 강조하였다. 이 같은 간접자본 마련 후에는 돈암서원과 사계고택 등 연산-계룡을 잇는 사계 김장생 관광코스 개발로 활성화를 모색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원의 문화유산적 가치인식과 지속가능한 활용 증대를 위한 통합적 보존·관리 및 활용체계 구축의 필요성 강조하였다. 또한 지역민의 지역유산의 모니터링 및 활용프로그램 참여유도,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돈암서원의 활용 증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On July 6, 2019, the World Heritage Center, UNESCO decided to inscribe “Korean Seowons Neo-Confucian Academies” as a World Heritage, it recommended to prepare an integrated explanation of nine Korean Seowons along with an integrated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covering the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conserv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Korean Seowons Neo-Confucian Academies, and the analysis of the legislations, policies, and systems of designation and management related to con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thereof; this article set out the following thesis to suggest a measure on increasing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Donamseowon as the UNESCO World Heritage. Firstly, this study considered the historical change of seowon,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landscape, and the role and meaning in the country community of the Joseon Dynasty. Seowon was not just an educational institution. Based on a systematic organizational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it is summarized that the country community culture was led through the formation of veneration, the formation of academia, and the rite of drinking(Hyangeumjurye). Secondly, this study analyzed related legislations, current policies and designations, and management systems along with the current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Seowons. Based on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and its guidelines and also ordinances by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raised a need to establish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Korean Seowons Neo-Confucian Academies. As the launch of World Heritage Center for Korean Seowons Neo-Confucian Academies was postponed, there were difficulties with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serial heritage across many different areas. Thirdly, through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status analysis of the Seowon, this study suggested measures to overcome the problem of the absence of an integrated utilization program for the serial heritage of the nine Korean Seowons Neo-Confucian Academies. Also this study pointed out the problems of quantitative growth without considering authenticity of the Hyanggyo and Seowon utilization projects and the imbalance in the number of support for Hyanggyo and Seowon utilization projects. Besides, this study suggested the best practice of utilizing integrally the culture of Confucian scholars and Confucian content of Yeongju Sosu Seowon and the village of Confucian scholars based on the new-governance between private, government, industry, and/or academy. Finally, this study proposed a couple of plans to promote the integrated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Donamseowon including the integrated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e protection of World Heritage's remarkable universal value, integrity, and authenticity, plans based on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ystem and monitoring and evaluation plans, and sustainable tourism resources through Seowon networking and resident participation. Individual programs were proposed based on content about enshrined figures and studies to ensure a differentiating utilization program for Donamseowon as a Korean Seowon. Also proposed in this study were programs to connect eight Seowons in planning and management. It is critical to solve the issues of Yehakgwan, which is a new experience facility not in service for seven years, and Hanok Village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Donamseowon through the new governance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local residents. It was also highlighted to make active efforts such as the attraction of World Heritage Center. Once such indirect capital is funded, it is important to promote the vitalization of Donamseowon and Sagye's old house to develop a tourist course of Sagye Kim Jang-saeng between Yeonsan and Gyeryong. The present study puts an emphasis on an integrated con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system to promote Seowons' value as cultural relics and their sustainable utilization. It also proposed plans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Donamseowon by inducing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monitoring and utilization programs for local heritage and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 해방 이후 경주시 황남동 일대 한식 건물 주거지 형성과 역사적 경관의 구축

        구성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55

        20세기 초중반에 걸쳐 형성되기 시작한 소규모 재래 주거지였던 황남동 일대는 1970년대에 이르러 관에 의한 역사적 경관을 형성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황남동의 특수한 배경에 주목, 일대에 형성된 한식 건물군의 형성 배경부터 건축적 특징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의미를 고찰했다. 황남동 일대는 경주 중심부에 위치한 대릉원 일대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구한말 무렵까지는 농경지에 가까운 모습이었다.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점차 주거지로 변모하고, 1970년대에 이르면 1971년 ‘경주관광종합개발계획’을 기점으로 관 주도 경관 구축이 본격적으로 일어난다. 개발은 대릉원과 가까운 북동쪽으로부터 남서쪽 방향으로 개발되고, 후기에 주로 지어지는 ‘비 목조 한식 건물’의 분포 역시 증가하여 각각 개발 초기와 개발 후기에 해당하는 구역의 경관이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주거지구조 또한 구역별로 상이하다. 개발 초기에는 ‘가로체계를 우선으로 한 자연발생적 배경’을, 중기에는 ‘필지를 우선으로 한 집단개발적 배경’, 후기에는 ‘가로체계와 필지를 동시에 고려하여 형성되는 배경’을 보인다. 필지는 규모 면에서 후기로 갈수록 더 커지며 정형적인 모습이 반복된다. 평면 유형은 1960년대까지 一자 전퇴집이 대부분을 차지하나,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ㄱ자 웃방꺾음집 유형이 폭발적으로 신축되어 이 일대의 일반적 평면유형을 대체한다. 1980년대부터는 제도적 규제 아래 ‘비 목조 한식 건물’을 건립하기 시작하여 이후 신축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20세기 중후반 황남동의 한식 건물은 ‘한식’을 유지하되 새로운 재료 및 구조를 통하여 새로운 평면을 모색한다는 점이 특징적이라 할 수 있다. 규모와 평면의 계획적 특징은 실측가옥 조사를 통해 일부 확인했다. 1970년대 이후 황남동 목조 한식 건물은 웃방꺾음집을 기본형으로 하기 때문에 규모와 가옥 이용이 유사하다. 비 목조 한식 건물은 실 배치 및 동선에서 대체로 거실중심형에 주방이 배면에 위치하고 화장실이 배면 또는 방 사이에 위치하는 점, 그리고 테라스-현관-거실의 진입 순서가 나타나는 등 특징을 공유한다. 목조 한식 건물의 경우에 비해 면적 및 전후폭에 있어 개별 가옥 간 차이가 큰 것도 특징이다. 구조 측면에서는 건물의 구조 조합과 지붕틀 구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벽체부와 지붕부에서는 목조·조적조·철근콘크리트조의 다양한 조합이 일어난다. 지붕틀은 종래의 한식 목구조의 일반적 규범에서 벗어나 높고 가볍고 간략화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목조 지붕틀 구조는 1970년대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시기를 구분하지 않고 나타나며, 또한 벽체부 주구조가 목조인지 조적조인지에 무관하게 전형적으로 적용된다는 점이 특이하다. 외관은 비 목조 한식 건물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지붕부는 시각적으로 현저한 기와지붕과 서까래의 모사가 필수적으로 나타난다. 반면 벽체부 외관은 지붕부와 가까운 벽체 상단 뺄목에 한정되어 나타나고 오류를 가진 경우도 흔히 나타난다. 위의 분석은 ‘관의 주거지 조성에 따른 역사적 경관 구축’, ‘도시한옥이자 일반주택인 이중적 정체성 형성’, ‘한식 건물에 대한 다양한 실험’이라는 주제로 종합된다. 우선 관 주도의 주거지 조성에 따른 역사적 경관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황남동은 ‘주거’와 ‘역사적 경관’이 중첩되어 있는 지대이다. 일상의 공간인 주거지는 20세기 중후반에 걸쳐 여러 시도를 통해 역사적 경관 구축의 일환으로 다루어진 바 있는데, 주거라는 맥락 자체에서 이탈시키면서까지 역사적 경관을 무리하게 적용하는 등 유지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반면 황남동의 경우 관의 역사적 경관 구축과 주거지가 양립 가능했다. 황남동은 실용적으로 역사적 경관을 만들어낸 현대적 기획이 유효하게 실현된 곳이다. 한편 황남동의 한식 건물은 도시한옥임과 동시에 20세기 후반의 일반주택으로 분류될 수 있는 이중적 정체성을 가진다. 먼저 도시한옥 간 비교 가능한 요소들을 통해 살펴본 결과, 같은 도시한옥이라는 범주 안에서도 각 지역마다 가지게 되는 특징은 상이했다. 경주시 황남동의 한식 건물은 타 지역 도시한옥처럼 도시화의 영향을 받았으나, 관 주도 경관 형성이라는 배경이 자리한다는 점에서 특수하다. 또한 주요 형성 시기가 1970~90년대이므로 타 지역의 경우 20세기 초중반에 걸쳐 형성되었다는 점과 다르다. 배치의 비교 결과 지역별로 모두 상이했다. 평면의 측면에서 서울·대구·경주는 모두 웃방꺾음집의 지속 또는 도입, 그리고 변형을 중심으로 전개되나, 전주는 一자형 안채가 겹집화되어 지속된다. 20세기 후반의 일반주택으로서의 황남동 한식 건물의 의의는 동 시기 일반주택을 대표하여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대거 건립된 불란서 주택과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1970년대 중반이라는 시기, 거실중심형 평면, 조적조 벽체 구조를 지닌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보이는데, 지붕틀이나 외관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특히 두 유형은 평면상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외관에서 각각 전통과 서구라는 상반된 이미지를 표상하고 있어, 서구화의 추구와 그에 대한 반대급부로 새로운 역사적 경관을 창출해내고자 하는 시대상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한식 건물에 대한 다양한 실험은 평면 변천, 구조 전환, 외관 지속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평면 변천은 유형적으로 볼 때 크게 3단계에 걸쳐 변화했다. 가장 먼저 지역적 형식으로서의 一자집이 있었고, 1970년대에 도입된 양식으로서의 웃방꺾음집이 출현했고, 이후 차츰 보편적 양식으로서의 거실중심형 평면이 정착되어간다. 구조 전환은 아래에서 위로 향하며, 조적조 벽체,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목조 지붕틀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절충적 구조의 사례는 전통목조건축이 새롭게 도입된 구조에 적응하는 당시의 기술적 상황을 대표하여 보여준다. 한편 황남동 한식 건물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되는 목조 지붕틀 구조는 서까래의 덧걸이 배치를 중심으로 한 변형된 한식 목구조의 일종으로 판단되며, 조선후기 지붕가구 형식 변천의 연장선에 놓일 수 있다. 외관 지속의 측면에서는 1960~70년대의 성역화 사업 등 국가건축사업에서 나타난 건물들처럼 구조가 변화해도 한식 목조 의장이 지속되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허나 국가가 주체가 되어 건설한 한식 건물은 목조 특유의 모습을 살려 외관이 유지되는 데 비해 황남동 비 목조 한식 건물은 지붕부 및 벽체 상부 외에는 ‘한식’의 특징이 생략된다. 이는 곧 조례로 정한 ‘한국고유의 건축양식’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며, 지붕부 및 그와 가까운 벽체 상부의 뺄목 등, 다른 부분보다 시각적으로 현저한 부분을 더 중시했다. 결국 황남동에서 나타난 한식 건물에 대한 다양한 실험은 한옥의 재규정이 일어나는 20세기 후반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경주시 황남동 일대 한식 건물 주거지는 우리나라에서 전반적으로 한옥 건립이 급감한 것으로 알려진 1970~90년대라는 시기적 배경에도 불구하고 한옥 건립 흐름을 지속했다. 이와 함께 양식 및 구조가 전이되는 시기에 적응과 변용을 통해 고유한 건축 유형을 형성했다. 이 점에서 황남동의 한식 건물의 발달은 20세기 전반기의 새로운 조건과 환경에 대한 대응에 따라 나타난 도시한옥의 발생에 비할 수 있는 사건이라 할 수 있다. The area of Hwangnam-dong, a small traditional residential area that began to form in the early and mid-20th centuries, was formed by the government in the 1970s. This study noted this particular background of Hwangnam-dong. The Hwangnam-dong area is located in the west of the Daeneungwon area located in the heart of Gyeongju, and was originally close to farmland. After that, it gradually changed into a residential area through Japanese colonial era, and by the 1970s, the government-led landscape construction began in earnest. As a result, urban tissues gradually becomes based on a plan rather than a natural occurrence, and the size of the parcel becomes larger and more formal in the latter phase. Although most of the floor plan types of Korean-style buildings(─ shaped) were constructed until 1960s, which was a regional tradition, the L-shaped floor plan type was constructed in the 1970s, replacing the general floor plan types in this area. In the 1980s, the construction of 'non-wooden Korean Style buildings' began under institutional regulations, and most of them were constructed later. The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Style buildings in Hwangnam-dong in the mid to late 20th century is that they maintain a “Korean style” but seek new surfaces through new materials and structures. The planned features of size and floor plan were identified in part by a survey. Since the 1970s, the size of the wooden Korean building in Hwangnam-dong is similar to the size of the house because it is based on typical traditional plan. The non-wooden Korean buildings are similar in that they generally follow the center of the living room in the layout. On the structural side, this study looked at the structural combination of the building and the construction of the roof frame. Various combinations of structures occur in the wall and roof sections. The roof frame shows a high, light and simplified form, breaking away from the general norm of traditional Korean wooden structures. This wooden roof frame structure is unique in that it appears from the 1970s to the late 1980s without distinguishing the timing, and is also typically applied regardless of whether the main structure of the wall is wooden or masonry. The exterior was focused on the non-wooden Korean style building. The roof is visually marked with roof tiles and rafters.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style' exterior of the wall is limited to the top of the wall close to the roof, and it is common to have errors. The above analysis is aggregated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Hwangnam-dong, the construction of historic landscape by the government and the maintenance of residential characteristics were compatible, and thus the modern planning of creating historic landscape through residential areas was effectively realized. Secondly, the case of Hwangnam-dong shows the formation of dual identity, which is an urban Hanok and a general contemporary house. Third, there are various experiments on Korean-style buildings, which are explained by the process of plan transition, structural changeover, and appearance continuation. The residential area of a Korean-style building in Hwangnam-dong, Gyeongju, continued to build hanok despite the period of the 1970s and 1990s, when the construction of hanok in general fell sharply in Korea. At the same time, a unique type of architecture was formed through adaptation and transformation at a time when forms and structures were transferred. In this regard, the development of Korean-Style buildings in Hwangnam-dong is comparable to the occurrence of the concept of urban hanok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n response to the new conditions and environment.

      • 선·면 단위 등록문화재의 활성화를 위한 관리 개선방안 : -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을 중심으로 -

        이은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55

        현대 사회에서 유산은 역사적, 학술적, 예술적 가치를 넘어선 사회적, 경제적 가치까지 추구하는 자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도시의 자원으로 이용되는 유산은 도시개발로 인하여 원래의 기능과 용도를 상실하거나 훼손되는 결말을 맞이한다. 한국에서는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하여 사라져가는 근대유산을 보호하고자 2001년 등록문화재 제도를 시행하였다. 이후 개별단위 문화재 중심의 단선적‧평면적 보존관리에 따른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2018년에 선·면 단위 등록문화재가 시행되었다. 현재 국내에 등록된 면 단위 등록문화재는 총 8곳이며, 모두 근대역사문화공간이다. 근대역사문화공간은 등록문화재인 동시에 도시 재생사업이 함께 진행되고 있는 공간이다. 등록문화재 제도는 보존과 활용이 유연한 장점이 있어, 도시계획을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도시계획에 치중하면 유산이 파괴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어 보존과 활용의 명확한 기준을 통해 진행되어야 한다. 유산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보존하면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지향하기 위해서는 도시의 활성화(revitalization)를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닌 유산의 활성화를 목표로 해야 한다. 유산을 활성화하는 방식은 재건(reconstruction), 개조(remodel), 재생(renewal), 재활용(recycle), 재활(rehabilitation), 보수(renovation), 재활성화(revitalization) 등 다양하게 존재하며, 각자 다른 결과로 도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을 중심으로 적용된 유산의 활성화 현황을 분석하고, 해외사례와 비교를 통하여 근대역사문화공간이 추구해야 할 유산 활성화 방식과 관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도시 속에서 지속가능한 근대유산의 보호가 가능하길 기대한다. In modern society, heritage is used as a resource to pursue social and economic values beyond historical, academic and artistic values. However, the heritage used as a city resource ends up losing its original function and use due to urban development. In order to protect modern heritage sites that are disappearing due to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Korea implemented a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system in 2001. Subsequently,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in line and area units were implemented in 2018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ingle-track and planar preservation management centered on cultural properties in individual units Currently, there are eight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in Korea, all of which are modern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s. Modern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s are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an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being carried out together. The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system has the advantage of being flexible in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and can apply city planning. However, if urban planning is focused, it may lead to the destruction of heritage and should be carried out based on clear standards of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In order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while preserving the value of heritage, we should aim to revitalize heritage rather than to revitalize cities. There are many ways to revitalize the heritage, such as reconstruction, remodeling, renewal, recycling, rehabilitation, renovation, and revitalization, which can be applied to cities with different results. In this study, we will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heritage revitalization applied mainly to Mokpo Modern History and Culture Space, and present the method of heritage revitalization and management improvement that modern history and culture space should pursue compared to overseas cases. Based on this, we hope that sustainable modern heritage can be protected in cities.

      • 유선칠보기법을 활용한 길상무늬함 작품제작 연구

        임희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논문은 한국의 전통금속공예기법인 칠보(七寶) 중 유선 칠보 기법을 활용한 작품 제작과 그 제작 과정을 상세히 정리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선 칠보 기법을 활용하여 제작한 각각의 6세트 작품에 있어서 제작 진행 과정을 순차적으로 상세히 기록하여 유선 칠보 기법의 전통기술 계승의 토대를 마련하고, 기술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칠보의 기원은 고대 이집트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후 유럽으로 전래 되어 비잔틴 시대에 성행하였다. 실크로드를 통하여 동아시아로 전래된 칠보는 한국·중국·일본 등 각 나라의 문화와 개성을 담아 계승·발전하였다. 한국의 칠보는 신라 시대 경주 금령총에서 발견된 금제가는고리귀걸이를 통하여 살펴보았을 때 삼국시대부터 그 원형이 확인되며, 고려·조선 시대를 지나 현재까지도 이어져 내려오는 전통금속공예기법 중 하나이다. 이렇게 전래 되어 계승·발전된 칠보에는 다양한 기법이 존재한다. 그중 유선 칠보 기법은 금속판 위에 다양한 금속선을 원하는 문양에 따라 모양을 만들어 세운 뒤 금속선 사이에 칠보 유약을 채워 구워내는 기법이며, 섬세하고 화려한 문양 표현과 다채로운 색상 표현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선 칠보를 제작함에 있어 금속 동판을 활용하고 둥근 은선(丸銀線)을 눌러 만든 납작 은선을 사용하였다. 바탕 금속 동판을 활용해 칠보의 투명 유약과 불투명 유약을 다양하게 사용하였고, 금속선의 두께는 얇아지고 높이는 높아진 납작 은선을 사용해 더욱 유선 칠보 기법의 특유의 특징인 섬세한 문양 표현과 다채롭고 풍부한 색 표현이 가능하도록 진행하였다. 작품을 제작하는 데 있어 유선 칠보 기법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기물 중심의 입체 작업을 시도하였으며 많은 종류의 기물 중에서 물건을 담아 보관할 수 있는 용도를 지니고, 오브제로서의 활용도 가능한 함(函)을 선택하였다. 물건을 담아 보관하는 함에 유선 칠보를 활용하여 기능적인 면에 심미적인 요소를 부여하고, 예로부터 길하고 상서로운 의미를 띄는 길상무늬를 넣어 기능적인 용도가 있는 함에서 귀하고 중요한 물건으로의 의미가 확장되도록 작품을 제작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전통문양인 길상무늬를 기반으로 문양을 새로이 도안화하고 이를 납작 은선으로 옮긴 뒤 칠보 작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작품에서 유선 칠보가 활용된 면적을 넓히고 가장 윗부분에 위치하여 칠보의 비중을 두었다. 물건을 담아내는 아래 함에 경우 금속 위에 칠보를 올리거나 옻칠을 사용해 표면을 마무리하여 칠보의 화려한 색상과 섬세한 은선 표현이 최대한 돋보일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영롱하고 화려한 색과 섬세한 문양 표현을 위해 효과적인 납작 은선을 활용한 유선 칠보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현대 한국 칠보의 아름다움과 유선 칠보의 지속 발전 가능성이 보이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길상무늬의 전통적인 이미지와 귀중함을 담아내는 의미를 활용하여 함이라는 공예품을 제작해 조금이나마 한국의 전통 칠보와 문양의 아름다움을 토대로 현대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1950~1980년대 한반도 비무장지대 안 대성동마을 개발의 의미와 영향

        박채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55

        After the Armistice Agreement of the Korean War on July 27, 1953, th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into South and North Korea. As a result, a "Demilitarized Zone" was created in the border area to prevent armed conflict. Although civilians are prohibited from entering this place, South and North Korea each have a village where civilians can live. Among them, The village located in the South Korea is “Daeseong-dong Village” and is also known as “Freedom Village”. Between a military demarcation line, Gijeong-dong Village which is located in the North Korea and Daeseong-dong Village face each other. Due to this locational specificity, Daeseong-dong Village has been transformed into a propaganda village that can show the progress of South Korea to North Korea. So, Daeseong-dong Village had a total of three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conducted by the country from the 1950s to the 1980s. During this period, system competition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reached its peak. The first project of Daeseong-dong Village was to build a "Modern Ideal Village" in 1959. It was to respond up to the village of Gijeong-dong. Through this project, a new type of housing called "Cultural Housing" was built in the village. Furthermore, public facilities for culture and welfare which were not in the usual rural areas of South Korea at the time were also built. The new housing of the village was built by the Korea Housing Corporation, which was leading the reconstruction of the city and the resolution of housing shortages. However, compared to other houses at the same time, the floor plan, appearance, and finish were all inferior. In addition, it did not build an annex that is essential to the residents of rural areas. It means that the housing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reality that the location of the village is a rural area. The second project is "The 1st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which was conducted from 1971 to 1972. The purpose of this project was to develop an ideal "Demonstration Village" that could show off its national power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Through this, the village had a new residential quarter, and new types of houses and public facilities were built. At that time, newly formed residential quarter, houses, and public facilities were more actively deployed to propagate against North Korea, unlike the previous period. This project created a terraced residential quarter using the original sloped topography of Daeseong-dong Village, and all the houses in it were arranged westward to face North Korea. In addition, the new residential area in Daeseong-dong Village was not only against North Korea, but also was created as a "Demonstration Village of Saemaeul Movement," which was an example of Demonstration Village in rural areas of South Korea at the time. Through comparison with the village plans and standard rural houses planned in the early Saemaul Movement, similar village plans and houses were preemptively supplied to Daeseong-dong Village at the time. It implies that Daeseong-dong Village also served as a demonstration village for the Saemaul Movement. Moreover, The 1st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the village also affected the "Unification Village(Tongilchon)", a village with the similar purpose – propaganda to North Korea - created in Civilian Control Zone(CCZ) in 1973. In the Unification Village(Tongilchon), houses with the same floor plan as Daeseong-dong Village were built, and the village was placed in a direction facing North Korea. The last one is the "2nd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conducted from 1979 to 1983. This was the final development project of Daeseong-dong Village to display that South Korea's national power has become stronger internally and externally. Also, it was to encourage local residents to have a sense of security and settle down, and to promote increase production of food. In this project, a development plan was established only for Daeseong-dong Village. Through the project period, a layout plan using direction of the buildings, slope topography, floor height, and axis of buildings was carried out for propaganda against North Korea. Also, houses that reminiscent of Western country houses were built. It was a village optimized for propaganda against North Korea compared to previous development projects, and it can be said that it was " The Best of propaganda village against North Korea". To sum of the above, the meaning and Influence of the development of Daeseong-dong Village in the Demilitarized Zone on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1950s to the 1980s are as follows. Daeseong-dong Village is not only the first, but also the last village which is specialized in propaganda against North Korea. Therefore, it is meaningful as the only village in South Korea that can examine the architectural change process of the village aimed at propaganda against North Korea from the 1950s to the 1980s, when the system competition intensified after the armistice agreement of the Korean War. Furthermore, Daeseong-dong Village played a role as a demonstration village in creating a Unification Village(Tongilchon) formed in Civilian Control Zone(CCZ)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The reason is that village plans and housing construction were preemptively carried out for propaganda against North Korea. In addition, the village plan and the standard rural housing plan of the Saemaul Movement in 1972 were preemptively supplied because Daeseong-dong Village was selected as a demonstration village of the Saemaul Movement in the early 1970s. It implies that this village became an example for general rural areas in Korea during the Saemaul Movement. 1953년 7월 27일 한국전쟁의 정전협정 이후, 한반도는 남한과 북한으로 분단되었고, 접경지역에는 무력 충돌을 막기 위한 ‘비무장지대’가 만들어졌다. 이 비무장지대는 민간인의 출입이 금지된 구역이지만, 남한과 북한에 각각 하나씩 민간인이 거주할 수 있는 마을이 존재하고 있다. 이 중 남한에 위치한 마을이 ‘자유의 마을’이라 불리는 ‘대성동마을’이다. 대성동마을은 북한과 군사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서로의 상황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장소적 특수성 때문에, 대성동마을은 남한의 발전상을 북한에 보여줄 수 있는 선전마을로 변화해 나갔다. 이에 대성동마을은 1950년대부터 남북의 체제경쟁이 가장 고조되었던 1970년대와 1980년대까지 국가 주도로 총 3차례의 대규모 개발사업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대성동마을의 첫 번째 개발사업은 1959년 ‘근대적 이상촌’을 건립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이는 북한에 있는 기정동마을에 맞서기 위한 개발이었다. 이 사업을 통해 대성동마을에는 ‘문화주택’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주택이 건설되었고, 당시 일반 농촌에서는 볼 수 없는 문화 및 복지를 위한 공동이용시설들도 함께 마련되었다. 이 대성동마을의 문화주택은 동시기 도시의 재건과 주택난 해결을 주도하고 있던 대한주택영단에 의해 건설된 것이었지만, 당시 대한주택영단에서 건설한 주택들에 비하면 평면과 외관, 마감 상태 등 모두가 뒤떨어진 상태였다. 또한 주민들에게 꼭 필요한 부속사도 건설해주지 않은 것으로 보아, 농촌에 있는 대성동마을의 특성마저도 고려하지 못한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개발사업은 1971~1972년에 이루어진 ‘제1차 종합개발사업’이다. 이는 대내외적으로 국력을 과시할 수 있는 이상적인 ‘시범부락’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 사업을 통해 대성동마을에는 새로운 주택지가 형성되었고, 새로운 형태의 주택과 공동이용시설들이 건설되었다. 당시 새롭게 형성된 주택지와 주택, 공동이용시설들은 이전 시기와 다르게 북한을 더욱 적극적으로 의식하여 배치계획이 이루어졌다. 주택지는 대성동마을이 원래 가지고 있던 경사 지형을 이용하여 계단식으로 택지를 조성했고, 그 안의 주택들은 모두 북한에서 정면이 보이는 서향으로 배치되었다. 또한 공동이용시설들도 서향을 하거나 북한이 위치한 서쪽 위주로 배치되었다. 그런데 대성동마을의 새로운 주택지는 대북 선전 역할 외에도 당시 국내 농촌의 모범이 되는 ‘새마을 시범부락’으로 조성된 것이기도 했다. 초기 새마을 운동에서 계획한 마을계획, 표준형농촌주택과의 비교를 통해 당시 대성동마을에 유사한 마을계획 및 주택을 선제적으로 공급하여 새마을 운동의 시범부락으로서 역할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대성동마을의 제1차 종합개발사업은 1973년 민간인출입통제구역에 조성되는 유사한 성격의 마을인 ‘통일촌’에도 영향을 주었고, 이는 통일촌의 배치계획과 주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세 번째 개발사업은 1979~1983년에 이루어진 ‘제2차 종합개발사업’이다. 이는 한국의 국력 신장을 대내외에 전시하고, 지역 주민의 안보 의식과 정착 의욕을 제고하며, 식량 증산을 도모하기 위한 대성동마을의 마지막 개발사업이었다. 이 사업을 통해 대성동마을만의 독자적인 마을계획이 이루어졌다. 이 개발사업은 향과 경사 지형, 건물의 높이, 축을 활용하여 북한에 효과적으로 보일 수 있는 배치계획이 이루어졌고, 서양의 전원주택을 연상시키는 주택이 건설되었다. 이는 이전 시기의 개발사업들에 비해 대북 선전에 최적화된 마을, 즉 ‘대북 선전 마을의 결정판’이었다고 할 수 있다. 위 내용을 종합해보면, 1950년대~1980년대 한반도 비무장지대 안 대성동마을 개발의 의미와 영향은 다음과 같다. 대성동마을은 대북 선전을 위해 조성된 첫 마을이자 마지막 마을이다. 따라서 한국전쟁 이후 1950년대부터 남북 간의 체제경쟁이 가장 심화한 1970년대, 1980년대까지 대북 선전을 목적으로 한 마을의 시기별 건축적 변화 과정을 모두 살펴볼 수 있는 우리나라의 유일한 마을로서 의미가 있다. 또한 대성동마을은 대북 선전을 위한 마을계획과 주택 건설이 선제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유사한 성격으로 민간인출입통제구역에 형성된 통일촌을 조성하는데 있어 시범마을로서 역할을 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대성동마을은 1970년대 초 새마을 운동의 시범부락으로 선정되어, 1972년 새마을 운동의 마을계획과 표준형농촌주택설계도가 선제적으로 공급되었다. 이는 새마을 운동 과정에서 국내 일반 농촌의 모범이 되기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