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독일내 한국상징적 기념건축물 보존방안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Conservation Plans on Commemorative Architecture in Germany as Symbols of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8855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Christian Church in Hawaii was built on April 24, 1938. The structure of the church took on the form of Gwanghwamun Gate, sangryu, in Seoul, Republic of Korea. This particular building, in terms of importance, has been a pivotal focus for m...

      The Korean Christian Church in Hawaii was built on April 24, 1938. The structure of the church took on the form of Gwanghwamun Gate, sangryu, in Seoul, Republic of Korea. This particular building, in terms of importance, has been a pivotal focus for many Korean style architecture outside of Korea as it is more than a religious space. It has been the symbol of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r those who were homesick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church was Korea. It has been a space that symbolize a country that was denied of its identity and the first Korean style traditional architecture known as ‘Hanok’ outside of its own land.
      Since then, the Korean Government donated the ‘Hanguk-jeong’, another hanok in a foreign environment. This time it was built in Mexico City to commemorate the Summer Olympic Games. This particular hanok was built in 1968 and it is located in the Bosque de Chapultepec, Mexico City. In reality, this hanok was sent to Mexico City as a symbolic monument paying tribute to the descendants of Korean immigrants who left Korea on April 4, 1905 at Jemulpo Port. The British merchant ship, Ilford, carried some 1,033 Joseon people as immigrants. In 1974, the Korean traditional style bell tower was donated to America as a symbol of amicable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is particular architecture is located near the beach of San Pedro in Los Angeles, USA where the Korean population is mostly concentrated. The occasion commemorates 200 years of American Independence. The bell tower overlooks to Korea as the shores of the western beach directs toward the country. Korean immigrants living in the area longed for their birth land by looking toward it.
      The study focuses specifically on Korean traditional style architecture built outside of the country. They have symbolic meanings for immigrants, almost substituting their homeland. Seen from such a perspective, the role of these buildings have much significance. Toward the middle of the 1990s, regional governments become independen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consequently pavilions, bell towers and more were built in many foreign environments outside of Korea. However, because of the lack of expertise required to build such authentic features, there has been many drawbacks in terms of materials and management. Many have been left abandoned and therefore the buildings have deteriorated into hideous states. This study investigates on such phenomena in order to find ways to strategically and continuously manage the Korean architectural buildings in different places around the world. Such distinct architectural structures are a representation of a culture and a country. In order to maintain a cultural identity it is important to resolve such issues, even as a way of paying respect to the Korean immigrants.

      Many of the hanoks found in different places around the world began as symbolic national sites for Koreans living abroa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majority were donated by the Korean government. After 1995, as mentioned above, regional governments were decentralized and they began to broaden their perspectives beyond the domestic market. Their activities exceeded the local scene and they began to donate hanoks to different countries for economical exchanges and also as a symbol of the love for one’s homeland.
      Today, in many different countries around the world where there are sister cities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al features have been included in Korean style gardens or in city gardens as a place for resting. In such places pavilions and other Korean features have been built. However entering into the year 2000,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civilian contribution with much going beyond simple exchanges as the financial situation of Korea improved.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finally made a mark in the market and it no longer is simply a symbolic feature.
      The special phenomenon is that individuals are taking interest in hanok. Korea is rising as a strong cultural country with bands such as BTS taking the position of Number 1 on the Billboard Chart. They stand on a par with Beatles. Furthermore, ‘Parasite’ movie, directed by Joonho Bong, has won 4 Academy Awards.
      The Korean popular culture based on tradition in terms of dress, food, crafts and more are now enjoyed by a global audience. We have established a market. Korean hanok is also developing in this way. For civilians and individuals this is becoming a new field for exploration.
      This study has analyzed the hanoks of the past. The objective is to restore and repair existing ones for the image of the country.


      Keywords : Hanok Abroad, Korean Garden, Korean Pavilion, National Image, Exporting Hanok,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hanoks of the past. The objective is to restore and repair existing ones for the image of the count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38년 4월 24일 하와이에는 광화문을 모티브 삼아 성루형식의 하와이한인기독교회가 만들어지고, 종교 활동과 더불어 일제강점기 민족적 상징의 공간으로써 구심적 역할을 한다. 일제강점기...

      1938년 4월 24일 하와이에는 광화문을 모티브 삼아 성루형식의 하와이한인기독교회가 만들어지고, 종교 활동과 더불어 일제강점기 민족적 상징의 공간으로써 구심적 역할을 한다. 일제강점기 모국의 그리움을 공감하는 공간으로, 잃어버린 나라의 상징으로 만들어진 공간은 이렇게 해외에서 처음 만들어진 한국적 전통건축물 ‘한옥’이 된다.
      이후 해외한옥은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을 앞두고 우리정부가 차폴테백 공원에 ‘한국정’을 기증한다. 이는 1905년 4월 4일 조선인 1033명이 영국 상선 일포드 호에 몸을 싣고 제물포항을 떠난 이민자와 그의 후손을 기리기 위한 상징물로 보내졌다. 또 1974년 미국독립 200주년을 기념해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살고 있던 미국 LA의 산페드로 해변 한미 우정의 종각을 만들어 기증한다. 미국 서부 해변에서 서쪽 바다 넘어 고국을 향해 종각을 만들고 한국과 미국의 우정의 상징물로 만들고 이민자들의 향수를 상징하는 공간이 된다.
      이렇게 해외 각지에 만들어지는 한옥은 그 의미를 두고 이민자들의 민족 또는 국가를 대신하는 의미성을 갖게 되는 공간과 상징의 역할을 하고 있다. 더욱이 1990년대 중반이 넘어서며 지방분권의 이뤄지며 지방자치단체의 활동은 국외로 나가 각 나라에 애향의 상징물로 정자, 누각, 종각 등이 만들게 된다. 그러나 해외에 만들어지는 한국적 전통건축물인 한옥은 전문인력, 재료 등의 부족과 관리 소홀로 인해 많은 곳에서 흉물로 전락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이에 연구는 이러한 현상의 인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지속적인 관리의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국가의 이미지 제고와 이민자의 상징물로 그 형상을 온전하게 유지하고자 함에 있다.
      해외한옥은 일제강점기 민족적 거점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해 정부의 외교적 상징물로 기증되거나 설치되었다. 이후 1995년 지방분권이 시작되며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활동영역이 국외로까지 넓어지는 배경에서 경제교류와 애향의 상징물 등으로 만들어지고 기증하게 된다.
      현재는 해외 각국에 한국정원을 만드는 부속 건물에서 부터 주요 자매결연 도시의 공원과 휴양지 등에 한국 정자, 종각, 누 등을 만들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민간 활동의 교류가 증가하고 경제적 여건의 개선 등으로 많은 곳에서 상징의 역할을 넘어 소비시장의 구성으로 한국적 전통건축물인 한옥을 요구하는 시장이 생겨나고 있다.
      특히 이민자의 경제적 수준과 민족적 향수를 공공의 공간에서 만족하지 않고 개인이 향유하려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BTS의 음악이 발매 3주 만에 압도적인 호응으로 빌보드 차트 1위를 차지한건 유래가 없는 일로 이제는 비틀즈에 견주는 음악가로 자리하고 봉준호 감독은 영화 ‘기생충’으로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는 4관왕을 석권하며 문화강국으로의 진면모를 보여주기도 했다.
      대중문화의 관심과 조명은 한국적이라는 정체성의 관심으로 이어지고 전통적인 옷, 음식 등 이 상품화되면서 각국의 현지에서 하나의 시장까지 구성됐다. 주거문화는 전통문화를 포괄하는 상징적 공간으로 그 속에는 공예, 옷, 먹거리 등을 함께 표현한다. 한국적이라는 문화의 상징으로 말하는 공간은 해외 속 존재하는 한옥과 민간단체 및 개인까지 새롭게 만들어지는 한옥에서 그 정점을 이룰 듯하다.
      과거 해외 각국에 만들어진 한옥과 새롭게 조영하려는 한옥, 이것에 대한 현상 분석과 통계는 기존의 공간을 관리하는 체계를 만들고 새롭게 조영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적 전통의 정체성을 통해 문화강국이라는 국가적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해 해외한옥의 체계적 관리 시스템이 요구되고, 이를 위한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 목차 ⅲ
      • 그림 목차 ⅳ
      • 국문 초록 ⅷ
      • Ⅰ. 서론 1
      •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표 목차 ⅲ
      • 그림 목차 ⅳ
      • 국문 초록 ⅷ
      • Ⅰ. 서론 1
      •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3
      • 3. 연구의 조사대상 7
      • 1) 프랑크푸르트 그뤼네부르크공원 ‘초로루(草露樓)’와 ‘매궁(梅宮)’ 9
      • 2) 포츠담광장 ‘통일정’ 11
      • 3) 마르짠 휴양공원 ‘백림계정(伯林溪停)’ 12
      • 4) 베를린자유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지혜의 샘’ 13
      • 5) 라이너 쿤체의 정원 ‘시정(市井)’ 14
      • Ⅱ.건립 배경과 건축 주최 15
      • 1. 외교적 관계의 건축 15
      • 2. 지방자치단체 교류에 의한 건립 28
      • 3. 민간 교류 및 개인에 의한 건립 35
      • Ⅲ. 해외 한옥 시공 39
      • 1. 설계와 제작 39
      • 1) Palmen Gruneburgpark ‘草露樓’ and ‘梅宮’ 40
      • 2) Garten der Welt im Erholungspark Marzahn ‘伯林溪停’ 53
      • 3) Freie Universität BerlinFachbereich -
      • Geschichts und Kulturwissenschaften ‘지혜의 샘’ 60
      • 4) Berlin Potsdamer Platz ‘통일정’ 66
      • 5) Reiner Kunze der Garten ‘市井’ 71
      • 2. 운송과 현지조립 74
      • Ⅳ. 해외에 건립된 한국적 기념건축물 문제점과 관리방안 88
      • 1. 건립 후 해외 한옥 관리의 문제점 88
      • 1)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정치적 상징물 90
      • 2) 관리주관 부처 부재의 해외 한옥 기념물 98
      • 3) 건립 후 관리 매뉴얼 부재 106
      • 2. 해결 방안 111
      • 1) 해외소재 한국적 전통건축물의 전담기구 설립 113
      • 2) 해외대학 한국학과를 통해 활용과 관리 병행 116
      • Ⅴ. 결론 119
      • 참고문헌 121
      • Abstract 126
      • 부 록 / 미국의 한옥구조계산 도서 13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