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현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역사가들은 19세기 중반 미국에서 정신병원 개혁운동을 이끌었던 도로시아 린드 딕스를 남북전쟁이전 미국의 주요 개혁가들 중 한 명으로 언급해 왔다. 그녀의 개혁운동은 주로 빅토리아 시대 여성의 인도주의에 입각한 자선 사업이라는 측면에서 해석되어져왔다. 그러나 딕스는 단순히 자선의 측면이 아니라 사회의 질서회복과 안정을 위해 정신병원 개혁이외에도 감옥, 빈민, 흡연 등의 사회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사회개혁에 참여한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사회개혁가로서의 도로시아 린드 딕스와 그녀의 대표적인 사회 개혁운동이었던 정신병원 개혁운동에 대한 재평가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딕스의 개혁사상은 인간의 완전성에 대한 낭만주의적 믿음 그리고 기독교 복음주의의 구원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에 깊이 영향을 받았다. 사람들은 인간과 사회의 완전성에 대한 신뢰를 통해 사회나 개인의 부패와 악덕을 제거 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했다. 인간의 이상행동은 그들이 길러진 환경을 통해 형성된 것으로 그 잘못된 환경을 제거함으로서 죄, 정신이상, 빈곤 등의 문제는 해결 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한편, 기독교 복음주의는 구원과 완전성의 실현을 위해 기독교인이 사회개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촉구했다. 도덕과 규율을 중시하며, 영국의 사회개혁으로부터 사회개혁의 구체적인 방법을 습득한 딕스는 미국 전역을 순회하며 정신병 환자의 실태에 대한 조사를 벌였다. 그녀는 그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1843년 매사추세츠 주정부에 청원서를 제출, 만성 정신병 환자를 위한 시설 건설을 위한 지원을 주정부에 요구했다. 그러나 정신병환자의 비인도주의적 수용 상태를 고발한 딕스의 매사추세츠 청원서는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것에는 성공했으나 그 보도 사실의 진위여부에 대한 논쟁에 휘말려 정치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지는 못했다. 만성환자를 위한 시설을 제안한 딕스의 안은 또다시 뉴욕에서 정신병원 의사들의 도전에 부딪히게 되었다. 만성환자 수용시설의 건설은 의사들에 의해 정신병에 대한 정신과적 치료의 무력함을 함축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리하여 유티카 정신병원 의사 브리엄의 로비로 인해 딕스의 안은 무산되었다. 충분한 의학적 지식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는 비난에 맞서 딕스는 정신병에 대한 당대의 의학적 설명을 수용했으며, 병원에서의 전문가에 의한 치료를 강조함으로써 미국에 있어 거대 정신병원의 시대가 열리는데 기여했고, 정신병을 의료화 시키는데 공헌했다. 그러나 당시 의사들은 정신병의 사회적 원인만을 강조했다. 그들은 사회가 산업화, 도시화되면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과거의 전통이 무너지는 상황을 사회적 무질서로 이해했으며, 그러한 사회의 부패가 정신병을 일으킨다고 설명했다. 또한 정신병은 빈부의 격차나 계층에 관계없이 한 사람의 이성을 무너트릴 수 있는 무차별적인 질병으로 소개되어 정신병에 대한 공포가 형성되었다. 정신병에 대한 19세기 중반 의사들의 해석은 해부와 의학 실험에 기초했다기보다 잭슨 시대 사회에 대한 비판에 그 연원을 두고 있었으며 정신병원의 건설은 인도주의의 요청에 호응하는 것과 더불어 흐트러진 사회질서를 바로 세우기 위한 사회 통제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요컨대 도로시아 린드 딕스는 연방청원을 통해 자선의 범위를 사회적으로 확장시키고 정신병의 의료화에 공헌했다. 그러나 동시에 딕스의 정신병원 개혁운동은 19세기의 급격한 산업화와 사회변동에 대응해 사회의 질서와 안정을 유지하고자 했던 보수적인 사회개혁운동으로서 평가될 수 있다. Dorothea Lynde Dix was a famous reformer who devoted herself to mental illness treatment in the mid 19th century. For generations, historians have noted her among the assortment of antebellum reformers. Despite her remarkable reputation, Dix floated outside the mainstream of American history and her "lunacy reform" movement has only been regarded as a philanthropic work. However as a 19th century reformer, she was involved in various social reform movements for prison, the poor, the insane and even tobacco, that were intended to settle social order. Dix's idea of social reform was rooted in the concepts of moral education and Perfectionism in the age of Romanticism and evangelical attitude of Unitarianism toward social reforms. She thought that deviant behaviors like crime and insanity could be rectified under an appropriate environment with good regulation uniting by kindness and well-ordered discipline, and that Christians should devote themselves into solving social problems to restore social order and advance the progress of American society. Dix moved from state to state to research the conditions of jails, poorhouses and alms houses. Based on the results, she wrote a number of memorials reporting indecent states of treatment for the mentally ill and disclosing the cruel manner in which the insane had been treated. She urged that to offering specialized places for the poor insane was favorable to removing social corruption and injustice, as well as responding to the social imperative of humanitarianism. However, her work encountered some obstacles. First, her exposure tactics were too direct to bring practical political change because the broad description of the mentally ill fell into controversial debate regarding the truth of it instead of generating general assent to her petition. Second, Dix's proposal for the poor incurable insane was attacked by mental hospital superintendents because it was quite contrary opinion to mental hospital doctors' interests by admitting their lack of ability in curing mental illness. Therefore, after the failures in Massachusetts and New York, she adopted the superintendents' explanation of mental illness and they began to cooperate together in lunacy reform. However the most critical interpretations of the origin of insanity were within the ordinary comprehension of the social disorder and corruption, for the analysis depended not on medical experiment and anatomy, but on a critique of Jacksonian society. Medical superintendents gave an authority to the critique as a medical fact and reformers like Dix and Samuel Howe promulgated it socially. Thus establishing mental hospitals in the mid 19th century was an effort at social control. In conclusion, Dix's lunacy reform movement was not only a philanthropic work in which traditional concepts of charity and benevolence of Victorian womanhood were expanded to the sphere of recently transformed modern society but also a method of social control to cope with social deviant problems brought or deepened by the growth of variety and number of population, mobility, and urbanization.
국 문 초 록 2014년 6월에 작곡된 국악관현악 <북촌회상>은 소금, 대금, 피리, 해금, 아쟁, 25현가야금, 거문고, 장구, 모듬북, 벨, 꽹과리로 편성된 곡이다. 악곡의 구성은 4악장 형식으로 서주부-제 1악장-제 2악장-제 3악장-제 4악장의 총 5개의 단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악장은 추억-낭만-소통-공감의 부제 아래 역사성과 일상성이 공존하는 북촌의 공간적 정체성을 표현하였다. <북촌회상>의 공간적 대상인 북촌은 단순히 서울 종로구 계동길 37 주변을 의미하는 것을 넘어서 영화, 연극 등 다양한 예술에서 다양한 메타포로 작용한다. <북촌회상>은 북촌을 소재로 북촌이라는 공간이 지니는 정체성에 초점을 맞추어 작곡되었다. 본고는 <북촌회상>의 악곡 구조 및 선율, 리듬, 음악적 특징의 분석을 통해 <북촌회상>의 음악적 특징과 그로인해 만들어지는 의미를 추출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주부는 ♩=82 템포로 모듬북이 제 1악장 ‘추억’으로 향하는 ‘발걸음’을 상징하며 시작된다. 제 1악장은 임종평조이며 A-B-A'의 3부형식이다. A는 ♪=100로 피리가 주선율을 노래하고 B는♩.= 50 템포로 악기군들이 돌림노래를 표현한다. 제 2악장은 황종평조를 사용하며 A-B-Bridge-A'의 3부형식을 나타낸다. A는 ♩.= 50으로 메기고 받는형식이 나타나고 B부분은 6/8에서 9/8로 변박되며 ♩.= 52 템포로 변화한다. 제 3악장은 황종평조가 사용되며 전주-A-B의 2부형식을 갖는다. 전주는 ♩=100에서 ♩=112로 변화하며 accel.로 빨라져서 ♩=115로 A가 시작되며 6/4에서 5/4로 변박된다. B에서 중려평조가 등장하고 ♩=100로 템포로 메기고 받는 형식을 나타낸다. 제 4악장은 A-B-A'-Coda의 3부형식을 갖고 ♩.= 52 템포를 나타나며 황종평조가 사용되고 B에서 대금 솔로가 카덴차로 나타나며 남려계면조가 사용된다. 둘째, <북촌회상>의 음악적 특징은 북촌의 역사성을 표현하기 위해 전통어법을 사용하고 이의 차용과 발전을 통해 역동성을 나타내었으며 동시에 역사성과 일상성의 공존을 표현하였다. 이를 선율적, 리듬적, 그 밖의 특징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었다. 선율적 특징은 악곡 전반에 걸쳐서 정악이라는 이미지를 형성하는 평조·계면조를 사용하였고 완전 4도선율진행과 화성진행을 통해 끊이지 않는 역사성을 표현하였다. 리듬적 특징으로는 전통음악의 장단원리인 기경결해를 이용하여 역사성에 근간을 두었으며 3소박4박장단인 타령장단 자진모리장단을 사용하였다. 그 밖에 콘체르토 그로소는 음향의 대조를 꾀함으로써 곡 안에서 역사성과 일상성의 공존을 가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보다 더 능동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리듬의 강조뿐 아니라 점층적 분위기를 이끌어내는 악센트(>)와 더불어 국악기에 나타나는 농현, 전성, 퇴성의 시김새가 악센트로의 역할을 하며 음악적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처럼 국악관현악 <북촌회상>은 각 악장별로 음악적 표현을 다양화하기 위한 여러 시도를 하였고 기존의 음악적 요소를 차용하여 이를 새롭게 해석하여 변화·발전시키는 형태를 찾아볼 수 있었다. 분석 연구를 통해 기존의 ‘북촌’의 의미를 다시금 되짚어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본인의 음악양식 및 음악적 요소들의 재해석을 바탕으로 앞으로 다양한 작곡가들에 의해 보다 더 새로운 창작국악곡이 탄생되기를 바란다.
소설의 영화화 과정의 서사적 변이 양상 : 이청준의 '서편제'를 중심으로
As we enter the 21st century, which is also 100th year since the modern novel was introduced into our life, we are facing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changes following this new era. No novel can avoid the waves of those changes, for it cannot but contain the reality of the current society in any way. As a result, it is the very time for novel to attempt some changes, which are caused by either own will or external factors. Fortunately, during this period of the changes, movie - the media of image which has been nourished by the novel consistently - is suggesting a new paradigm associated with the nar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fact, the hist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ovel and movie is so old and profound. Movie has borrowed its most part of the expressive patterns from novel since its birth because those two have one common narrative feature in that both of them contain the 'story or plot'. However, they use different media for conveying contents, which causes people to regard those two as distinct in spite of their similarity in the narrative structure. So then, what differences between them exist in conveying same story to people? This study, based on above question, attempts to analyze some changes occurring in the process where novel is filmed by looking at the adapting and filming procedure. It is Seopeonje, the novel written by Lee Cheong-chun, and Seopeonje and Cheonyeonhak, movies based on the novel that I choose as a text to research some changes in novel's filming procedure. In this thesis I will analyze the original work and the scenarios first and then look at the changed factors in the filming procedure. In the chapter Ⅱ, I clarify the differences among novel, scenario, and movie, then organize each media's distinct features, and finally define the meaning of the "adaption". In the chapter Ⅲ, the analysis of novel's filming procedure, I study five turning points including main character's appearance, main event's expansion, structure's visualization, the limited time, and the simplification of plot and narration. In the chapter Ⅳ, the research on novel's filming procedure, I focus five viewpoints, which are the change of characters' mental states by using close-up and mise en scene, the change of images through mise en scene, the maximization of delayed time effect and empathy, the specification of theme by the use of the sound, and the actualization of abstract moods. I bet that looking at Lee's novel - famous for its philosophical and ideological theme - altered as a movie - extremely modern media - will be the opportunity to consider the possibility the expansion of narrative works which want to maintain novel's own feature without losing their artistic value. It is true that novel, the pure literature and narrative stuff, is losing its reader in the "visual-media's" era, but well-organized novel's plot has some strong possibility that it can be visualized by many visual media thanks to its descriptive flexibility. The characters who appear in the novel can be resurrected in readers' imagination. For instance, 'Sorikkun' in the novel Seopeon-je can be actualized as any other character in any other movie as well as 'U-bong', 'Dong-ho', and 'Song-hwa' in the movie Seo-peon-je and Cheonyunhak. Those narrative novels' expansion will be an alternative to overcoming the state, so-called 'novel's crisis' because it maintain artistic values and obtain popularity at the same time.
금융마이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기반 상품 추천시스템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금융마이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기반 상품 추천시스템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이현주 IT정책경영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년 금융마이데이터 서비스 사업의 시행으로 마이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확대된 반면, 그 한계점도 드러났다. 이는 한국의 금융마이데이터 서비스가 개인 금융정보를 한곳에 모은 서비스를 제공 하는 데 그치고 있으며, 개인의 자산을 관리하거나 맞춤형 금융상품을 추천받을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치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영국, 미국 등의 사례 연구에 따르면, 이들 국가의 마이데이터 사업자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활동 패턴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금융상품 추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금융서비스에서 인공지능 기술은 4차 산업 혁명을 견인하는 주요 기술로서 자리매김하고 있으나, 금융상품 추천서 비스에 활용되는 인공지능 기술에 대하여는 체계적인 연구가 미흡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논문은 금융마이데이터 서비스에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금융상품 추천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함과 아울러, 동 시스 템이 도입될 경우 사용자의 사용의도에 미치는 요인 및 요인 간의 인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마이데이터를 활용하여 인공지능 기반 금융상품 추천시스템을 준비하는 기업에게는 소비자의 적극적인 사용을 유도하는 방안을 제시할 뿐 아니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구축 및 마케팅 전략 수립에 유용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문헌 연구 고찰을 통해서 금융마이데이터 특성, 인공지능 상품 추천시 스템 특성, 그리고 금융소비자 특성 요인을 독립변수로 범주화하고, 정 보시스템 성공모형(ISSM)과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 모형을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대부분의 성인들이 이미 금융을 생활화하고 있 는 점과 금융마이데이터 서비스가 이미 도입 시행되고 있는 점을 감안 하여, 일반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수집된 설문응 답 450부 중 유효 표본 데이터 352부를 추출하여 실증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조절효과를 제외한 30개(조절효과 2개 제외) 가설 중 24개 가설이 채택되고 6개 가설이 기각되었다. 성과기대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독립변수로는 금융마이데이터 특성 중 ‘개인화’, 인공지능 기 반 상품추천 특성 중 ‘정확성’, ‘신뢰성’, ‘전문성’, 그리고 금융소비자 특 성 중 ‘투자성향’ 등으로 나타났다. 노력기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 립변수로는 금융마이데이터 특성 중 ‘개인화’, ‘개인정보 자기결정권’, ‘지 각된 보안위험’, 인공지능 기반 상품추천 특성 중 ‘정확성’ 등으로 나타 났다. 사회적영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는 금융마이데이터 특성 중 ‘개인정보 자기결정권’, 인공지능 기반 상품추천 특성 중 ‘정확 성’, ‘신뢰성’, ‘전문성’, 그리고 금융소비자 특성 중 ‘투자성향’, ‘자기효능 감’ 등으로 나타났다. 촉진조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는 금융마이데이터 특성 중 ‘지각된 보안위험’, 인공지능 기반 상품추천 특 성 중 ‘정확성’, ‘신뢰성’, 그리고 금융소비자 특성 중 ‘자기효능감’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중그룹 간의 조절효과 분석에서는 ‘금융 리터러시’ 와 ‘인공지능 리터러시’ 모두 조절변수로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본 논문은 학문적인 관점에서는, 통계적 기법을 넘어서 인공지능 기술 을 활용한 금융상품 추천시스템에 대한 연구의 기틀을 마련하였고, 기술 적인 측면이나 금융자산관리 측면 등에 있어서 금융마이데이터 서비스 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실무적인 관점에서도 비즈니스 모델의 혁신을 위하여, 개인자산종합관리 서비스와 금융마이데이터 서비스의 융합에 대한 방향을 설정하는 데 본 논문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금융감독당국은 금융마이데이터 서비스 확산을 통한 금융소비자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현실적인 가이드 라인 설정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금번 연구를 통해, 금융산업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 활발하고 안전하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자리 잡는 데 도움이 되길 바라고,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금융상품 추천시스템이 효율적으로 개발되어 금융소비자의 적극 적인 소비활동 촉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AI-Based Financial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Using Financial Mydata LEE, HYEON JU Department of IT Policy and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The implementation of the financial Mydata service in 2021 has increased consumer awareness regarding Mydata services but has also revealed its limitations. Korea’s financial Mydata service is limited to providing a service that acquires personal financial information in one location, thus failing to satisfy consumer expectations for a service that can manage personal assets or recommend customized financial products. Meanwhile, based on case studies of similar services in the United Kingdom and United States, Mydata service providers in these countries ar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to analyze various activity patterns of users and provide financial product recommendation services accordingly. Although AI technology is becoming an important technology for promot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financial services, systematic researches into AI technology utilized in financial product recommendation services are rare. Hence, the importance of introducing AI-based financial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s to financial Mydata services was emphasized. Moreover, factors that affect user intention to use the systems 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were analyzed. This thesis aimed to provide recommendations that can encourage consumers to actively use the systems for companies preparing AI-based financial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s using Mydata, as well as provide useful guidelines for establishing new business models and marketing strategies. Based on literature review, it is categorized the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Mydata, AI-based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s, and financial consumers as independent variables. Subsequently, it was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based on an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and a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model. Considering that most adults use financial services daily and that financial data services have been introduced and implemented, it was conducted an online survey among the general public and an empirical analysis using 352 valid sample data extracted from 450 survey responses obtained.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24 among 30 hypotheses(excluding the 2 moderation effects), are accepted and six hypotheses are rejected.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Performance Expectancy include “personalizat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Mydata; “accuracy”, “reliability”, and “professionalism”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AI-based product recommendations; and “investment propensit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consumers.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Effort Expectancy include “personalization,”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perceived security risk”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Mydata; and “accurac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AI-based product recommendations.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significantly the Social Influence includ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Mydata; “accuracy”, “reliability”, and “professionalism”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AI-based product recommendations; and “investment propensity” and “self-efficac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consumers.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the Facilitating Conditions include “perceived security risk”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Mydata; “accuracy” and “reliabilit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AI-based product recommendations; and “self-efficac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consumers. Based on an analysis of the moderation effect between multiple groups, we discovered that both “financial literacy” and “AI literacy” exert significant effects as moderating variables.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it is valuable that this thesis provides a foundation for investigations into financial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s using AI technology beyond statistical techniques and provides guidance for comprehensive analyses into financial Mydata services in terms of technology and financial asset management.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this thesis can be used as reference for the convergence of personal asset management and financial Mydata services to revolutionize business models. Financial supervisory authorities can use this thesis to specify realistic guideline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financial consumers via the proliferation of financial Mydata services. Through this thesis, it is expected that AI technology will be more actively, safely, and stably established in the financial service industry, and that financial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s using AI technology will be efficiently developed to the promote active consumption activities among financial consumers.
납세자특성과 세무대리 서비스의 품질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n increasing number of tax agents and their intensifying competition along with easy access to the internet have brought a generalization of tax related knowledge and a considerable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ax agents and taxpayers. It would be a matter of grave concern for tax agents to understand what kind of service factors and procedures satisfy users' demands.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a multiple regression model and examining of its empirical test results. The model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ax agents' service qualities, taxpayers' condition and their tax related knowledge on their satisfac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direct interviews with 236 small business unit owners of 5 cities in Jeollabukdo and Jeollanamdo including Gwangju. Two unsuitable questionnaires were discarded and the rest 234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tatistic analyses. Because there could be a correlation between the surveyed 18 items under tax agent service quality and 17 items under taxpayers' tax related knowledge, a factor analysis was done to compress them of both categories to a smaller number of meaningful variables. As a result, five parameters were divided under each category.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on users' satisfaction, 5 variables under tax agent service quality, 5 other variables under taxpayers' tax related knowledge and the variables under taxpayers' condition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os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users' satisfaction, were plotted for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axpayers' characteristics as well as tax agent service qualities have strong influence on users' satisfaction. Though the taxpayers' condition among their characteristics did not show considerable influence, the analysis revealed taxpayers' tax ethics about tax evasion and trust in their country and society to b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users' satisfaction. As tax related knowledge has been generalized, the importance of technical service qualities has decreased and the functional service qualities have kept their significant influence.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influence of tax amount satisfaction on tax agent users' satisfaction. This kind of analysis has not done by any other preceding researches where only the influence of service qualities upon users' service satisfac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tax agent user's satisfaction was strongly influenced by tax amount they had to pay. When tax amount satisfaction was includ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regression model showed a better explanation. This implies that taxpayers' satisfaction is to be reviewed through providing them with the service of their desirable tax amount as well as other high service qualities.
II-VI족 반도체 quantum dots의 제작과 광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Zn_(1-x)Cd_(x)S nanocomposite thin films were synthesized by the modified chemical bath deposition method using an aqueous solution of ZnSO_(4)Cd(CH_(3)COO)_(2) and CH_(3)CSNH_(2) Zn_(1-x)Cd_(x)S nanocomposite thin films contained small part of the ZnS quantum dots due to the slow reaction velocity, the average diameter of which was in the range of 30 A Photoluminescence properties of Zn_(1-x)Cd_(x)S thin films have been studied Three different emission bands, all attributed to defects rather than carrier recombination, are observed The violet and blue emissions are attributed to Zn atoms and S vacancies and the red emissions are attributed to sulphur vacancies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emission intensities are quite different for different emission band For the violet and blue emission of the ZnS thin film, the temperature dependence can be described by an Arrenius equation with an activation energy of 168 and 157 meV, respectively As the composition x is increased, the red region emission peaks are shifts to the lower energies Zn_(1-x)Cd_(x)S/MnS thin multilayers were deposited by the solution growth technique on the SnO_(2)-coated glass substrates using an aqueous solution of ZnSO_(4), CH_(3)CSNH_(2), Cd(CH_(3)COO)_(2), MnC1_(2) and (NH_(4))_(2)S_(x) as reacting agents Photoluminescence spectrum of Zn_(1-x)Cd_(x)S/MnS multilayers have blue-green and red emission peaks at room temperature due to the defects and the inner electronic transition from ^(4)T_(1)(^(4)G) to ^(6)A energy level of the Mn ion Ⅱ-Ⅵ compound semiconductor doped-nanocrystals (ZnS Mn, ZnS:MnS, and ZnS Te) have been synthesized by the chemial reaction technique using an aquoues solution of ZnS0_(4), Na_(2)S, MnC1_(2), and TeCl_(2) at the near ice temperature The average sizes of the as-prepared nanocrystals estimating from the Debey-Scherrer foumula are about 30 -40 A Observed photolummescence peak energy differences in ZnSMn, ZnS:MnS, and ZnS:Te nanocrystals with respect to the bulk peak energy can be explaned by the red shift due to excitonic binding energy
말초혈액 자연살해세포가 증가된 반복유산 환자의 탈락막 자연살해세포의 발현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ecidual NK cell populations between increased pre-conceptional peripheral NK cell population and normal pre-conceptional peripheral NK cell population in women with a history of recurrent abortion. Fourteen women with history of recurrent abortion and elevated pre-conceptional peripheral NK cell, above 15% of peripheral lymphocyte populatio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s a control, twelve women with history of recurrent abortion and their peripheral NK cell percentage showed below 15% were included. Distribution of CD56+ and CD16+NK cells in paraffin embedded decidual tissues including implantation sites were examin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using anti-CD56, 16 monoclonal antibodies. After immuohistochemical staining, the numbers of NK cells were counted and compared these results between study and control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decidual CD56+NK cell count (170.1±132.1 vs. 68.3±66.1, p=0.02) between increased peripheral CD56+NK cell group and control group. But, there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ecidual CD56+NK cell count and peripheral CD56+NK cell percentage.(r=0.229, p=0.261) Also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decidual CD16+NK cell count between study and control group (25.70±11.72 vs. 31.17±22.67), and no correlation between decidual CD16+NK cell and peripheral CD16+NK cell percentage. (r=-1.40, p=0.535) This study shows that in patients with history of recurrent abortion and increased peripheral CD56+NK cells, decidual CD56+NK cells a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ose showed normal peripheral NK cell population. According to present study results, it could be suggested that decidual NK cells considered to be recruited from peripheral NK cells by various evolutional processes such as chemokine expression by trophoblast and/or effect of endometrial adhesion molecules. Consequently, pre-conceptional peripheral blood NK cell population can be the useful marker for detecting the risk of subsequent miscarriage by it’s pronounce ability of increased embryo toxic decidual NK cells in patients with history of recurrent miscarriage.
자기격려와 동료의 긍정적 피드백이 쓰기 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
사회가 점차 복잡해지고 다원화되어감에 따라 자신의 생각을 정확하고 명료하게 표현하는 일이 중요해지면서 국어 교과가 할 일이 분명해지고 있다. 국어 교과가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적절한 전략을 활용하여 쓰도록 가르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쓰기 행위의 복잡한 특성과 쓰기의 인지적 측면에 치중한 교실 환경으로 인하여 많은 학생들이 쓰기 불안을 느끼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현대 사회에서 학생들이 느끼고 있는 쓰기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수업 지도 과정을 구안하였다. 수업 지도 과정에 쓰기 불안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자기격려와 동료의 긍정적 피드백 활동을 넣었다. 그리고 구안된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해 학생들의 쓰기 불안이 어떻게 변해 가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기격려와 동료의 긍정적 피드백 활동으로 쓰기 불안을 줄일 수 있는 수업 지도 과정을 구안할 수 있는가? 둘째, 자기격려와 동료의 긍정적 피드백 활동이 인문계 고등학생의 쓰기 불안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 이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실험 집단을 경기도 안산시의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16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정규 수업시간을 활용하여 사전 교육과 사전 검사, 사후 검사에 3차시 수업 지도 과정을 4회기 실시하여 총 14차시를 진행하였다. 사전 교육에서 학생들에게 자기격려와 동료의 긍정적 피드백 활동에 대한 안내를 하고 사전 검사 단계에서 쓰기 불안 검사를 진행하였다. 이후 자기격려와 동료의 긍정적 피드백 활동 수업을 4회기에 걸쳐 진행하고 이후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Statistics Version 22.0을 사용하여 대응 표본 t검증을 통해 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자기격려와 동료의 긍정적 피드백 활동은 인문계 고등학생의 쓰기 불안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전 검사의 평균이 ‘3.714’, 사후 검사의 평균이 ‘2.390’으로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가 ‘1.324’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쓰기 불안 정도에 따른 쓰기 불안 점수 변화를 비교한 결과 고불안 학생들의 쓰기 불안 감소폭이 저불안 학생들보다 컸다. 셋째, 쓰기 불안 점수의 변화를 성별에 따라 비교해 본 결과 여학생의 쓰기 불안 감소폭이 남학생보다 컸다. 넷째, 쓰기 불안 검사 도구를 3가지 요인으로 나누어 그 변화를 분석한 결과 쓰기에 대한 거부감, 쓰기에 대한 자신감, 쓰기 평가에 대한 불안감 순으로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통계 분석 결과 외에 질문지를 통해 자기격려와 동료의 긍정적 피드백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자기격려와 동료의 긍정적 피드백 활동이 쓰기 불안 감소에 도움을 주었고 쓰기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는 반응을 보였다. 다만 친구들의 글을 읽고 그에 대한 평가를 해 주어야 한다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끼거나 시간이 부족했다는 의견도 있었다. 이 연구는 먼저 고등학교 학생들이 경험하고 있는 쓰기 불안을 줄이는 데 기여했다는 점, 고등학교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쓰기 수업 지도 과정을 제시하였다는 점, 학생들의 참여를 통한 학생 중심 수업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일부 한계점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우선 연구 대상인 학생들의 범위가 한정되어 있어서 일반화하기에 무리가 있고, 유사 실험 연구로서 통제 집단이 없이 실험 집단으로만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지역, 다양한 학년으로 연구 대상을 구성하고 통제 집단을 둔 실험 집단의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영등포 준공업지역 내 주ㆍ공 혼재지역 변천에 관한 연구
이현주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The industrial area of the industrial age located on the outskirts of Seoul is incorporated into the center of the city according to the urban growth. In addition, the industrial facilities of the period of industrialization plays an important function for urban development, but it has been recognized as inadequate facility in the city of the deindustrialization epoch depending on the change of time. This phenomenon is same in the Western countries so the same areas to the target destination of this study are treated for the current major destination of urban regener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has been changed rapidly during less than a century, so the large-scale residential and plants were mixed recently. It is judged that there are many mixed residential-industrial areas in addition to the subjects of this study, but the place that reveals the problem tracking in the urban environment and scenic aspects by the extreme policies such as the industrial promotion policy in the national level and the large-scale residential development boom of the development period etc. were mixed sharply within an urban area is uncommon. The urban status reveals the layer of time but the mechanism of formation for each period is different by the policy and urban plan spatially and temporally, so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cause or solve problem by only analysis of current mixed situation and to find implications either. In this contex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phases largely. First, the current problem situation of the Yongdeungpo mixed residential-industrial area was analyzed through the literature and observation. Second, the seasonal transition process was comprehended by analysis of historical events of the target area and related policies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Third, the urban structure transition process was investigated by comprehend of the applications and forms change by entire target area and partial areas. The seasonal transition process(Chapter 3) of Yongdeungpo mixed residential and industrial area which was comprehended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formation of Yongdeungpo mixed residential-industrial area and policy, change of urban plan and mixed phenomenon which had impact on the transition process were observed by dividing from around 1900 to the present by total four steps. The first step, the dawn of modern urban planning in around 1900~ 1920 The most of the industry types at that time was the cottage industry, and the factory located in high place where flood damage was less. However, the low-income housings occurred caused by flood damage for the huge floods in 1925. The second step, the formative years of modern urban planning in 1930~1940 The industrial area was established in Yongdeungpo where there is a railroad passing through the Manchuria based on the town planning laws as part of military base by Japan, and the military supplies centered large factory developed rapidly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movement of Japan. So Yongdeungpo, the housing of Korean workers who received low wages compared to Japanese was just poor. The housing shortage before liberation emerged as a serious problem again, so the public housing complex for the workers was constructed in large scale in 1944. The third step, Industrial growth in 1950~1970 After Korean War, the government recovered the factory in Yongdeungpo firstly, and the industry of Yongdeungpo has expanded in quantity. Up until this time, the residential housing is still in the phase of the affordable housing, and the housing of low income class and the war sufferer group acceptance housing shortage were formed as the refugee concentration in 1970. When the administrative power has been weakened, the unlicensed residential housing has been started so the apartment began to be erected in Yongdeungpo. The fourth step, the change of housing period in 1980~2000 Since the late 1970s, the plants was considered as ineligible usage for the city, and the distribution of industry act of 1945 was enacted so the factories were moved to the region, and the apartment house was provided in the place where the large plants were moved in the 1980s. Next, the results of analysis about the urban structure transition process of Yongdeungpo mixed residential-industrial area(Chapter 4) is as follows. Put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ogether, the urban form has changed by the change of usage in Yongdeungpo. First, the trend of change of housing & factory are showing the opposite way generally. Since around 1980, the factory decreased and the housing increased. The increase or decrease of each usage like this has changed over different time and the mixed residential-industrial situation arose. Second, the housing and commercial usage except industry-related facilities is growing rapidly in Yongdeungpo. As the housing usage increased, the commercial usage based on this increased as well. The industry-related sales are decreasing for the same trend with increase & decrease of the factory recently. Third, the highest housing percentage appeared due to the factory employment population concentration in 1960, but the workers of related industry leaved along with relocation of factory so the housing percentage decreased in 1970. But according to the enactment of Distribution of Factory Act, the residential housing was built in the place where the factory-moved sites around 1980, the housing percentage has begun to increase exponentially. Fourth, the most of the areas where have changed from the factory into a residential housing in the 1950s are residential areas. In the 1980s, the areas where have changed from the factory into a residential housing are the factory areas surrounded by housing, and the areas where have changed from the factory into a residential housing in the 2000s are the factory areas. The changes in the subject areas by partial section are as follows. First, ZONE1ㆍZONE5ㆍZONE11 are areas composed by small scale lots, the housing usage decreased and the factory or the commercial usage increased compared to early in 1939. It is the area which was planned as housing areas when the usage plan in 1939 but the commercial usage in the ZONE1 and ZONE11 which was planned as commercial areas became dominant and the industrial usage in the ZONE5 as affordable housing surrounded by industries became dominant. Second, ZONE2ㆍZONE3ㆍZONE6ㆍZONE7 are areas composed by the large scale lots, it has changed more than 40% from the factory mainly into the housing at 1980s and the most of the housing usage is apartment. Third, ZONE4ㆍZONE8ㆍZONE9 are areas composed by the largeㆍmidiumㆍsmall scale lots, and the various usages are mixed currently. The size of lots is configured variously so the change is easy to each usage so the mixed residential-industrial situation is more serious. Fourth, ZONE10 ZONE12 are areas with more than 30% of the initial existing dwelling rate. And where there was a railroad was factory-moved site. The lots are large and both sides of railroad were used for the factory so it can be changed into the housing usage after the railroad changed into the road. 서울시 외곽에 입지했던 산업시대 공업지역은 많은 경우 도시 성장에 따라 도시 중심부로 편입된다. 또한 산업화시대 공업시설은 도시 발전에 있어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였으나, 시대 변화에 따라 탈산업화시대 도시에서는 부적격 시설로 인식되고 있다. 서구의 경우도 이 같은 현상은 공통된 것으로 현재 도시재생의 주요 대상지로 본 연구의 대상지와 같은 지역들을 다루고 있다. 연구의 대상지는 한 세기도 채 되지 않는 시간동안 급격한 변화를 겪어왔기 때문에 현재 대규모 주거와 공장이 혼재되어 입지하게 되었다. 주․ 공 혼재지역은 본 대상지 외에도 많이 있다고 판단되지만, 국가적 차원의 공업진흥정책 및 개발시대 대규모 주거단지 개발 열풍 등 극단의 정책들이 하나의 도시지역 내에서 첨예하게 혼재함으로써 도시환경 및 경관적 측면에서 문제현황을 극단적으로 드러내는 곳은 흔치 않다. 도시현황은 시간의 켜를 드러내지만, 매 시기마다 형성의 메커니즘은 시공간적으로 정책 및 도시계획 등에 따라 다르므로 현재의 혼재된 상황만의 분석으로 문제의 원인을 규명하거나 해결하기에 어려우며 시사점을 찾기도 어렵다. 이런 배경에서 본 연구는 크게 세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문헌 및 관찰조사를 통해 현재 영등포 주ㆍ공 혼재지역이 갖고 있는 문제 상황을 분석하였다. 둘째, 문헌조사를 통해 역사적으로 대상지역에서 일어났던 사건 및 관련 정책들을 분석하여 시기별 변천과정을 알아보았다. 셋째, 대상지 전체 및 부분 구역별 용도 및 형태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도시구조 변천과정을 규명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알아낸 영등포 주ㆍ공 혼재지역의 시기별 변천과정(제3장)은 다음과 같다. 1900년 전후부터 현재까지 시기를 총 4단계로 구분하여, 영등포 주ㆍ공 혼재지역의 형성 및 변천과정에 영향을 미친 정책 및 도시계획 변화 및 혼재현상을 시기별로 살펴보았다. 첫 번째 단계, 1900년 전후~1920년대 근대 도시계획의 태동기 당시 공업의 종류는 대부분 가내수공업이었고, 공장은 홍수피해가 적은 지대가 높은 곳에 입지했다. 그러나 1925년 대홍수로 인한 홍수 피해로 저소득층 주거지가 많이 발생하였다. 두 번째 단계, 1930년대~1940년대 근대 도시 계획 형성기 일본이 병참기지화의 일환으로 만주행 철로가 지나는 영등포를 공업지역으로 만들었다. 일제의 공업화 운동에 의해서 군수용품 위주의 대규모 공장이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식민지 공업화로 일본인에 비해 저임금을 받던 한국인 노동자들의 거주지인 영등포는 열악할 수밖에 없었다. 해방 전 주택난은 또 다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고 이에 1944년 공공사업으로 노동자를 위한 주택인 영단주택단지를 대규모로 건설하였다. 세 번째 단계, 1950년대~1970년대 공업성장기 6.25 전쟁 후에도 정부는 영등포의 공장을 가장 먼저 복구하기 시작하였고, 이 시기동안 영등포의 공업은 양적으로 확대되었다. 이 시기까지 주거지는 아직 배후주거지로의 위상에 지나지 않았고, 1970년대에는 피난민 집중현상으로 저소득층 주거지와 전재민 집단 수용 주택지가 형성되었다. 행정력이 약화된 틈을 타 무허가 판잣집은 급격히 늘어나기도 했지만, 곧 무허가 주택지의 무차별 철거가 시작되었고 영등포내 아파트가 건립되기 시작하였다. 네 번째 단계, 1980년대~2000년대 주거 변동기 1970년대 후반부터 공장은 도심 부적격용도로 여겨졌고 공업배치법이 제정됨에 따라 공장을 지방으로 이전하게 되면서 공장이전적지가 발생했다. 1980년대에는 대형공장 이전적지에 공동주택을 공급하였다. 다음으로 영등포 주ㆍ공 혼재지역의 도시구조 변천과정(제4장)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영등포의 경우 용도변화에 따라 도시형태 변화가 일어났다. 첫째, 전반적으로 주거와 공장의 변화추이가 정반대의 현상을 보이고 있다. 1980년 전후를 기점으로 공장은 감소하고, 주거는 증가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각 용도의 증감이 시간차를 두고 변하면서 주ㆍ공 혼재 상황이 발생했다. 둘째, 공업관련 판매시설을 제외하고, 현재 영등포는 주거와 상업용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주거 용도가 늘어나면서 그것을 수반하는 상업용도도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공업관련 판매 상업은 공장의 증감과 추이가 같아 현재 줄어들고 있다. 셋째, 1960년대는 공장 취업 인구의 집중현상으로 주거비율이 가장 높게(대지면적 기준) 나타났지만 1970년대 공장이전과 함께 관련업종 종사자들도 떠나서 주거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공장배치법이 제정됨에 따라 1980년을 전후하여 공장이전적지에 주거용도가 들어서면서 주거비율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했다. 넷째, 공장에서 주거로 바뀐 시기가 이를수록 주거비율이 높다. 1950년대에 공장에서 주거로 바뀐 지역은 대부분 주거지역이다. 1980년대에 공장에서 주거로 바뀐 대상지는 주거지역에 둘러싸인 공장지역이고, 2000년대에 공장에서 주거로 바뀐 대상지는 공장지역에 둘러싸인 공장지역이다. 대상지내 구역별 변천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ZONE1ㆍZONE5ㆍZONE11은 소필지로 구성된 지역으로, 1939년 초기에 비해 주거용도는 줄어들고 공장이나 상업용도는 늘어났다. 이는 1939년 용도계획 당시 주거지역으로 계획하였던 지역인데, 상업가로로 계획했던 ZONE1과 ZONE11은 상업용도가 우세해졌고, 공업으로 둘러싸여있던 배후주거지인 ZONE5는 공업용도가 우세해졌다. 둘째, ZONE2ㆍZONE3ㆍZONE6ㆍZONE7은 대필지로 구성된 지역으로, 1980년대를 기점으로 40%이상 공장에서 주거로 주로 공장이전적지에서 변화하였고 주거용도는 아파트가 대부분이다. 셋째, ZONE4ㆍZONE8ㆍZONE9은 대ㆍ중ㆍ소필지로 구성된 지역으로, 현재 다용도가 혼재되어 있다. 필지 크기가 다양하게 구성이 되어 각 용도로의 변화가 용이하였기 때문에 주ㆍ공 혼재 상황이 더 심각하게 나타났다. 넷째, ZONE10ㆍZONE12은 초기 기존주거지 비율이 30%이상이던 지역이다. 또한 철로가 지나가던 공장이적지이다. 필지가 크며, 철로 양측을 모두 공장용도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철로가 도로가 된 후에도 가로를 중심으로 같이 주거용도로 변화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