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반계 여고에서의 컴퓨터 기능/기술 교과 운영의 실제

        오현주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일반선택과목으로 지정되어있는 「정보사회와 컴퓨터」과목을 중심으로 일반계 여고의 특성을 살려 컴퓨터 기초 지식 습득은 물론 평가의 한 부분으로 자격증을 취득하게 한다. 그로인하여 자신의 학습된 능력을 진단해 보고, 정보소양인증과 대학진학, 그리고 미래의 직업 선택도 도움을 줄 수 있게 하여, 일반계 여고에 맞는 컴퓨터 기능/기술 교과의 운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교과활동 모형을 제안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행평가의 영역에 자격증을 포함시키지 않으면 학생들이 자격증을 취득하지 않음은 물론,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컴퓨터 수업을 하는데 있어 학생들이 목표의식이 없어 학습 참여도가 낮아 학습을 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자격증을 수행평가의 한 영역으로 포함시킨 결과 일반계 여고생들에게 자격증 취득이라는 동기부여와 목표의식이 생겨 학습 참여도도 높아지고 자격증도 취득하게 되어 컴퓨터 과목에 대한 흥미가 높아졌으며, 미래의 진로와 취업선택에 도움을 주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인문계 여고생들에게 제시한 교과활동 모형은 학습에 있어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했다. This research propose the model of curriculum that will be helpful in entering a school of higher grade and getting a job for an academic girls' high school students, focusing on a subject of 'Information Society and Computer' which is assign to a general choice subject on the 7th Education Program. Also, this model present the efficient computer technique curriculum to fit in an academic girls' high school differ from a technical high school, helping students to get a technical licence and test oneself as a knowledge acquirement. According to the this research, an academic girls' high school students didn't try to get a technical licence and didn't have any voluntary will to learn a computer subject when getting a license wasn't one's duty. However, after making getting a license to one's duty, an academic girls' high school students are try to get a technical licence and have voluntary will to learn computer subject. This compulsory method was very efficient for students to study a computer subject and get a job in the future or enter a college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curriculum model of giving a motivation in an academic girls' high school students proved to be a good method.

      • 부부 의사소통 유형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오현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부 의사소통이 실제로 어떤 유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부부 의사소통 유형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관련이 있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부부 의사소통에서 남편과 아내의 의사소통 유형은 어떠한가? 둘째, 부부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내 5개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273명, 아동의 어머니 273명, 아버지 2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부 의사소통 유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Hawkins, Weisberg 및 Ray(1977, 1980)가 개발하고 원효종(1984)이 수정, 보완한 후 김인숙(1988), 김요완(2000)이 사용한 10문항의 부부 의사소통 유형 측정 설문을 사용하였고,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Coopersmith(1967)와 Pope, McChale 및 Craighead(1988) 등의 연구를 참고하여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연구개발하고 전승배(2000)가 사용한 총 32문항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SS WIN 1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t검증,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 의사소통에서 남편과 아내 모두 억제형이나 차단형보다는 친숙형 혹은 분석형으로 의사소통함으로써 부부간에는 감정표현이 많고 개방적인 의사소통 유형을 좀 더 많이 사용하고 감정을 억제하고 폐쇄적인 의사소통 유형은 보다 적게 사용한다. 그러나 남편은 아내보다 차단형과 분석형을, 아내는 남편보다 친숙형을 더 많이 사용해 남편과 아내의 의사소통 유형의 차이가 존재한다. 둘째, 언어적 표현 정도에 있어서 부부 의사소통 유형이 일치하는 경우보다 불일치하는 경우가 아동의 사회적 자아존중감과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이 더 높다. 셋째, 감정노출 정도에 있어 부부 의사소통 유형이 일치하는 경우보다 불일치하는 경우가 아동의 사회적 자아존중감이 더 높다. 넷째, 남편의 의사소통 유형에 나타난 언어적 표현 정도에 따라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차이가 있다. 하위요인별로 보면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다. 그러나 아내의 의사소통 유형에 나타난 언어적 표현 정도에 따라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차이가 없다. 다섯째, 남편의 의사소통 유형에 나타난 감정노출 정도에 따라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차이가 없다. 그리고 아내의 의사소통 유형에 나타난 감정노출 정도에 따라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차이가 없다. 따라서 남편과 아내는 서로 의사소통 유형에 대한 차이가 있음을 알고 이를 이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부부 의사소통 유형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자아존중감을 포함한 자녀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부부로서의 역할 또한 중요함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as to by which style the marital communication is actually taking place and whether there is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mmunication style and self-esteem of the children while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have been set up to make this possible. First, how is the communication style between husband and wife in marital communications? Second, is there difference in the self-esteem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marital communication style? This study has targeted 273 children in fifth and sixth grade of 5 elementary schools within Jeju special self governing province, 273 mothers and 273 fathers. In order to measure the marital communication styles, the marital communication style questionnaire of 10 questions used by Kim, In-sook(1988) and Kim, Yo-wan(2000) after being developed by Hawkins, Weisberg and Ray(1977, 1980) as well as being revised and improved by Won, Hyo-jong(1984). In order to measure the self-esteem, a self-esteem scale with a total of 32 questions used by Jeon, Seung-bae(2000) after being researched and developed by Choi, Bo-ga and Jeon, Gui-yeon (1993) by referring to the research of Coopersmith(1967) and Pope, McChale and Craighead(1988) was used. For all gathered data, the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multi-variate analysis have been performed using SPSS WIN 15.0.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husband and wife use more of open styles and emotional exposure rather than the closed style and emotional suppression as they communicate with contactful or speculative style rather than controlling or conventional style. But a difference exists between husband and wife for the marital communication style as the husband uses more of controlling and conventional style than the wife while the wife uses more of contactful style than the husband. Second, a child's social-peer self-esteem and home-parents self-esteem are higher in case the marital communicational style doesn't correspond in the level of verbal expression than in case of corresponding. Third, a child's social-peer self-esteem is higher in case the marital communication style doesn't correspond in the level of emotional exposure than in case of corresponding. Fourth, there is difference in a child's self-esteem according to the level of husband's verbal expression shown in the marital communication style. Looking by sub-factors, there is difference in the global self-esteem, social-peer self-esteem and school-academic self-esteem. But there is no difference in a child's self-esteem according to the level of wife's verbal expression shown in the marital communication style. Fifth, there is no difference in a child's self-esteem according to the level of husband's emotional exposure shown in the marital communication style. Also, there is no difference in a child's self-esteem according to the level of wife's emotional exposure shown in the marital communication style. So, the husband and wife have to be aware of the fact that they have difference in their communication style and need to make effort to understand this difference. Also, because the marital communication style act as an important factor having influence on a child's self-esteem, it would be necessary to aware of the fact that the role as a married couple is also important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a child including self-esteem.

      • 연골의 세포외기질 유래 다공성 지지체를 이용한 실험실적 연골 배양

        오현주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관절연골의 조직은 자가 재생 능력에 제한이 있으므로, 손상 후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퇴행성 골관절염 등의 만성질병을 초래하게 된다. 현재 손상된 연골을 치료하기 위해 1차적으로 약물 처리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손상의 정도가 심할 경우에는 소파성형술(Abrasion) 및 미세골절술(Microfracture) 등을 이용한 골수자극술(Bone marrow stimulation), 연골조직을 이식하는 골연골이식술(Osteochondral graft) 또는 환자의 연골조직으로부터 분리한 연골세포를 체외에서 배양하여 이식하는 자가연골세포이식술(Autologous Chondrocytes Implantation, ACI)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술방법들은 손상된 연골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한계점들을 가진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조직공학적 방법을 응용한 치료법들이 연구/개발 되고 있다. 특히 연골조직의 기질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3차원 지지체를 개발하여 치료에 적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생체조직공학의 연구에 많이 사용되는 재료로는 다공조절이 가능하고 물성이 좋은 합성지지체와 생체적합한 천연지지체로 나눌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합성지지체의 물리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천연지지체를 제작하여 연골조직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천연지지체의 제조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돼지연골의 분말을 탈세포하여 압력을 가한 후 염추출법을 이용하여 3차원 지지체를 제작하였다(PCSs: Porcine Cartilage derived Substance Scaffold). 직경 5 mm, 높이 2 mm의 지지체에 연골세포를 접종하여 실험실적 배양을 시행하였다. 어린 토끼의 연골조직으로부터 분리한 연골세포를 PCSs2(실험군)와 제 1형 교원질 지지체(대조군)에 접종하였으며, 조직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직학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제 1형 교원질 지지체 그룹에 비해 PCSs2 그룹에서 세포의 분포도와 소강의 모양 및 세포외기질의 분포도가 정상 연골과 더 비슷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동물실험에 이어 사람 연골세포에서의 PCSs2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지증 영아의 손가락 및 발가락에서 분리한 연골세포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사람의 연골세포를 3차원적 지지체에 접종하였을 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든 그룹에서 세포외기질의 분비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PCSs2 그룹에서 가장 우수한 연골조직이 형성함을 확인하였다. PCSs2는 천연 생체소재의 복합성분으로서 세포에 대한 친화도가 높고 실제 연골환경과 유사하여 성숙된 연골 조직의 형성에 효과적일 것이라 판단되며, 임상에 적용 시 그 효용가치가 높은 새로운 지지체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천연염료를 활용한 헤어컬러링 연구

        오현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e 21st century, the modern industry is trending towards embrac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for sustainability. As a result, there is an increasing consumer demand for natural hair dyes in the beauty industry. However, in the field of natural hair coloring, the research on a wide range of natural dye colors is lacking, as it is currently limited to henna dyeing. Moreo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applying natural dyes to hair coloring techniques in actual beauty practices. Therefore, in this study, firstly, we aim to find natural hair coloring shades that look natural and beautiful while also being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Secondly, we will perform hair coloring using doll head samples, applying the popular foiling technique currently in trend.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d a combination of theoretical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through experimentation. In the theoretical research phase, we explored the concept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natural dyes and mordants, as well as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hair in relation to hair color design and design techniques. In the empirical study, virgin hair was bleached to create experimental hair swatches. Then, using six different mordants, including errous sulfate, potassium aluminum sulfate, cooper formate, them to the naked eye. For mulberry dye, except for errous sulfate mordant, all the hair swatches exhibited soft-toned yellowish colors, with no significant visual difference between them. The HV/C value for the non-mordanted hairpiece was 0.6G 4.5/3.6, while for the errous sulfate mordant it was 0.3GY 3.0/2.5. With potassium aluminum sulfate mordant, it showed 2.0G 3.8/2.8, with copper formate mordant it displayed 3.1G 3.3/2.8, and with sodium hydroxide mordant it resulted in 2.7G 2.2/2.9. Madder dye resulted in warm shades of yellow and orange overall. However, the hair swatches dyed with copper formate mordant showed an HV/C value of 7.2Y 4.5/3.2, while with errous sulfate mordant it was 8.9Y 3.2/3.1. For lac dye, it generally produced dark-toned and deep-toned reddish shades, with all the hair swatches having ΔE values exceeding 50. Secondly, three colors were selected through a survey of 66 hair color specialists using 42 hair swatches dyed with natural dyes. The selected colors for different styles are as follows: For the highlights style, the color is an ash gray (6.4PB 3.6/0.4) obtained by treating indigo natural dye with sodium hydroxide mordant. For the sombré style, the color is a reddish violet (4.8RP 3.5/4.5) obtained by using cochineal natural dye with potassium aluminum sulfate as the mordant, known for its hair-friendly properties. For the balayage style, the color is an orange shade (2.8YR 5.1/9.2) obtained by using gromwell natural dye with citric acid mordant as the mordant.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e application of natural dyes in hair coloring styles such as highlights, sombré, and balayage. It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utilizing natural dyeing agents in hair coloring with sustainabl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pproaches. 21세기 현대산업은 지속 가능한 환경보존을 위해 친환경주의를 지향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뷰티산업에서도 헤어컬러링을 위한 천연 염모제의 소비자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모발의 천연염색 분야에서는 새치염색에만 국한되어 있어 다양한 색상의 천연염색제의 연구가 미흡하고 실제 미용 실무의 테크닉컬한 헤어컬러링까지 천연염색을 적용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인체에 유익한 천연염료 중 색상이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천연의 헤어컬러링 색상을 찾는다. 둘째, 가발을 이용하여 현재 유행하는 호일워크테크닉의 헤어컬러링을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이론적 연구와 실험을 통한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천연염료와 매염제의 개념과 종류 및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헤어컬러디자인에 해당하는 모발의 구조 및 특성, 디자인 기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버진 모발을 탈색하여 실험용 헤어피스를 만들고 울금, 자초, 코치닐, 오배자, 멀베리, 꼭두서니, 락의 천연염료를 무매염을 포함한 6가지 매염제로 황산제1철, 명반, 초산구리, 구연산,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동시매염으로 염색하였다. 염색한 헤어피스는 색차계와 분광측색계로 분석하여 다양한 색감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용 산업 현장에서 많이 시술되고 있는 탈색 후 염색하는 컬러링 기법으로 천연염료를 활용하여 염색하였다. 헤어컬러링은 미용 실무에 응용하여 실제 적용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한 작업이다. 이로써 도출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천연염료를 이용한 색 추출의 결과이다. 울금으로 얻어진 색은 구연산매염제의 HV/C값은 2.8Y 6.8/11.3으로 밝고 선명한 주황빛을 띈 노란색을 보였다. 철매염제는 6.8Y 3.2/4.2, 구리매염제는 2.3Y 4.9/6.8로 염색되었다. 자초는 다색성 천연염료로 시각적으로 모든 매염제가 각각의 다채로운 색상을 보여주었다. 무매염의 HV/C값은 6.9R 4.4/3.2, 철매염제는 0.9Y 3.2/3.0, 명반매염제는 3.2R 3.0/4.7, 구리매염제는 5.7GY 4.6/2.1, 수산화나트륨매염제는 6.4PB 3.6/0.4, 구연산매염제는 7.2R 4.7/6.1로 염색되었다. 코치닐은 전반적으로 붉은색으로 염색되었다. 무매염의 HV/C값은 7.6R 4.0/2.7, 철매염제는 4.6RP 3.5/4.6, 명반매염제는 4.8RP 3.5/4.6, 구리매염제는 7.7RP 2.7/2.2, 수산화나트륨매염제는 1.2R 3.4/7.5, 구연산매염제는 6.1R 3.2/6.5로 염색되었다. 오배자의 철매염제의 HV/C값은 1.3Y 6.2/5.1로 ∆E값이 62.9로 독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철매염제를 제외하고 소프트톤의 주황빛을 띈 노란색이 서로 간에 색상은 육안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멀베리는 모든 헤어피스가 덜톤과 다크톤의 연두색과 초록색으로 염색되었다. 철매염에서는 0.3GY 3.0/2.5로 명반매염제는 2.0G 3.8/2.8과 구리매염제는 3.1G 3.3/2.8로 또한 수산화나트륨매염제는 2.7G 2.2/2.9로 염색되었다. 꼭두서니의 경우 전반적으로 노랑, 주황의 선명한 색조의 따뜻한 색상으로 염색되었다. 하지만 구리매염제를 사용해서 염색한 헤어피스의 HV/C 값은 7.2Y 4.5/3.2이고, 철매염제에서는 8.9Y 3.2/3.1로 염색되었다. 락은 전반적으로 다크톤, 딥톤의 붉은색으로 염색되었다. ∆E값이 모두 ∆E 50을 넘는 톤으로 염색되었다. 둘째, 천연염색한 헤어피스 42개를 헤어컬러전문가 66명으로부터 설문조사하여 얻은 선호도를 토대로 선정된 3가지 색은 다음과 같다. 하이라이트(highlights)스타일의 색은 자초 천연염료에 수산화나트륨매염제를 처리하여 얻은 애쉬그레이색(6.4PB 3.6/0.4)이다. 솜브레(sombré)스타일의 색은 모발에 친화력이 있는 코치닐 천연염료에 명반을 매염제로 사용하여 얻은 붉은 보랏빛의 자주색(4.8RP 3.5/4.5)이다. 발레아쥬(balayage)스타일의 색은 꼭두서니 천연염료에 구연산을 매염제로 사용하여 얻은 주황색(2.8YR 5.1/9.2)이다. 본 연구는 천연염색을 활용하여 하이라이트, 솜브레, 발레아쥬 등의 헤어컬러링을 시현해 봄으로써 천연염모제의 헤어컬러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전통공연예술 해외진출 지원사업 현황과 개선과제

        오현주 한국예술종합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 협소한 시장의 한계 극복과 예술 단체의 자생력을 강구하기 위해 해외시장은 반드시 진출해야 하는 곳이다. 전통예술분야 예술인들과 민간단체들은 작품의 판로를 확대하기 위해 해외진출을 시도하며 세계 여러 권역의 국가에서 시행되는 아트마켓(Art Market)에 참가한다. 그러나 대개 비즈니스의 한계에 맞닥뜨리기 일쑤이며, 세계인의 마음을 지속적으로 사로잡기에는 역부족이다. 국가 문화예술 지원기관에서는 순수예술 장르의 해외진출을 위한 지원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해외진출의 첫 관문을 통과한다 하더라도, 지속적인 지원이 단계적으로 뒷받침되지 못하면 연속적인 마케팅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원제도 개선을 통해 급변하는 현장의 요구가 반영되어야 하고, 일회적이거나 단발적인 해외 진출사업을 지양해야 한다. 예술인 및 예술 단체가 실질적인 자립 기반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도록 공연 작품의 제작에서부터 판매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제도적 개선이 요구된다. 공연예술작품에 대한 제작 지원, 해외 축제 시장에 진출을 위한 작품 선정과 지원 등에 보다 경쟁력 있고 강화된 정부 차원의 정책도 필요하다. 이에 대한 논의를 위해 본문에서 먼저 해외진출 단체들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지원 기조의 변화 양상과 특징을 짚어보았다. 변화의 시기를 크게 탐색기, 진출기, 활성기 등으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로 지원사업이 어떻게 펼쳐졌는지, 특이점은 무엇이었는지 변천 과정을 살펴보았다.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등의 지원기관별 해외진출사업 현황 분석을 하고. 차별화된 운영 전략을 제시하였다. 과연 한국 사회에서 전통공연예술 분야 예술인 및 공연단체의 자생이 가능한가? 이 질문에 대한 실마리를 찾기 위해 자생력을 담보할 수 있는 해외진출 및 활동에 관련한 공연예술계의 지원 제도와 방식, 그리고 지원체계에 주목하였다. 이 연구에서 주로 전통예술 분야에서 왕성한 해외 활동을 벌인 한국 창작음악 단체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논의하였다. 해외진출이 활성화된 시기에 한국 창작음악계를 주름잡던 예술인들을 만나 심층면접을 하였으며, 사례분석과 현장의 실태 파악을 병행하였다. 코로나19 이전 한류로 인해 한국 전통예술의 해외진출 중흥기를 맞으며 많은 예술인들이 시장 및 판로 확보에 대한 가능성을 엿보았다. 2019년부터 현재까지 팬데믹으로 인해 세계 공연예술계의 흐름이 변화되기에 이르렀으며, 본고에서 문화환경의 변동과 그 추이를 살피고, 그에 따른 대응 방안에 대해 다루었다. 해외진출에 특화된 전문 인력양성과 현장실무 중심의 예술교육의 필요성, 경쟁력 있는 공연 콘텐츠 개발과 팬덤 확보, 공정성과 전문성을 담보한 심사제도의 개선 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특히 예술인이 양질의 공연 작품을 생산하고, 그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판매 및 유통까지 가능한 단계로 이어져야함을 강조하였다. Prior to the COVID-19 pandemic, many artists saw a possibility of growth in securing markets and an availability in sales channels for Korean traditional arts in lieu of the Hallyu wave.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domestic arts market and for arts management companies to seek self-sustainability, entering overseas arts markets was a necessity. Musicians or private organizations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arts participated in overseas arts markets to expand the sales channels of their works and participate in art markets held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but faced limits in business and keeping the attention of overseas audiences. National culture and arts support organizations implement a system for overseas expansion for the arts field, but long-term marketing is not possible because continuous support is not sponsored after passing the first gateway into overseas expansion. One-time advances should be avoided by improving the current system to reflect changing market demands and to help prepare a mid to long-term development plan. It is essential to research ways to improve the grant systems which can lay the foundation for practical self-reliance for artists and arts organizations, from the production of performances to continuous sales. Government policies are needed to strengthen support for more competitive performing arts works, from production assistance for performing arts and the continuous entry into overseas festivals and markets. Before discussing how to improve current policies, first, this paper will classify overseas organizations by period and examine the changes and differences in support policies. By dividing the history into three main periods, an examination of how the support projects for each period were carried out and what the differences were, as well as the transition process, will be presented. Second, by analyzing the status of support for each institution such as the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the Korean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nd the Arts Council Korea will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funding supported by these major institutions. Thir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aforementioned three arts groups during the active period of overseas expansion, as well as case analyses and real-world conditions were identified to discuss future improvement tasks. Fourth, from 2019 to the present, the flow of the world performing arts industry changed due to the pandemic and these changes in the cultural environment have been tracked, with countermeasures discussed accordingly. Fifth,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support organizations and fostering specialized talent resources when private performing arts groups enter overseas markets will be examined. Conclusively, to secure the self-reliance of artists and organizations, mid to long-term strategies can be established through improvements in the organizational system and analysis of the classic cases which have been presented. The definition of overseas expansion in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field of Korean creative music, which is the most active overseas in the field of traditional arts, with an exception of excluding national events and projects hosted by Korean institutions abroad. Is there a possibility for artists or performing groups in the field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o thrive in Korean society? In order to find a possible solution to this question, focus should be placed on the support system, methods and systems of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related to overseas expansion and activities which can guarantee self-reliance. In addition, there should be further intentions to study more effective improvement measures by considering ways for artists to lead a stage where they can produce high-quality performances and in the future, sell and distribute these works.

      • 고열량·저영양 간식 섭취가 건강한 한국 성인의 신장 기능 감소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오현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만성 신장 질환은 당뇨, 고혈압과 같은 만성 질환의 합병증으로 작용하면서 그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식생활은 만성 질환에 기여하는 대표적인 요인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식이 요인과 만성 신장 질환과의 연구는 미흡하다. 특히, 신장 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당, 지방, 단백질, 칼륨, 나트륨 함량이 높은 식이와 신장 기능에 관한 연구는 진행되어 있지만,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한 고열량·저영양 간식 섭취와 신장 기능 감소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쌍둥이 코호트를 기반으로 하여 건강한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고열량·저영양 간식의 섭취 실태를 파악하고, 이와 신장 기능 감소와의 연관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기저조사와 추적조사에 평가된 사구체 여과율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GFR) 수치가 있는 대상자 중 질병이 없는 건강한 성인 총 1,141명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eGFR은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MDRD) Study의 산출식에 근거하여 산출되었다. 신장 기능 감소는 1년당 3 mL/min/1.73㎡이상의 eGFR 감소가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고열량·저영양 간식은 식품의약품안전청의 기준을 참고하여 타당도가 검증된 식품섭취빈도조사지에 있는 식품들 중 선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선별된 식품은 호빵/팥빵/풀빵, 기타 빵, 케?/초코파이, 쿠키/크래커/스낵, 사탕/초콜릿, 아이스크림, 탄산음료이었다. 단면적인 연구 디자인에서는 다중 일반 선형 모델 (Multivariate general linear models)을 사용하였고, 코호트 디자인에서는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고열량·저영양 간식 섭취량은 eGFR 수치와 음의 연관성이 있었고, 신장 기능 감소와 양의 연관성이 있었다. eGFR 수치에 따른 기하평균 (Geometric means) (95% confidence interval, CI)는 고열량·저영양 간식 섭취량이 가장 적은 분위수에서 84.9 (83.2-86.6) mL/min/1.73㎡, 가장 높은 분위수에서 82.9 (81.4-84.5) mL/min/1.73㎡이었다 (p for trend = 0.08). 또한, 신장 기능 감소에 대하여서는 고열량·저영양 간식 섭취량이 가장 적은 분위수와 비교했을 때, odds ratio (OR) (95% CI)는 두번째 분위수에서 1.14 (0.72-1.80), 세번째 분위수에서 1.07 (0.66-1.72), 가장 많은 분위수에서 1.53 (0.91-2.58)이었다 (p for trend = 0.09). 본 연구에서 고열량·저영양 간식 섭취가 건강한 한국 성인의 신장 기능 감소와 연관 있음이 관찰되었다. Evidence about the association between energy-dense·nutrient-poor snack food intake and renal function decline is sparse. A total of 1141 participants who had baseline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GFR) levels of more than 60 mL/min/1.73㎡ in the Healthy Twin Study were included and followed for 3 years. We determined renal function decline as ≥3 mL/min/1.73㎡/year of eGFR decline from baseline to second visit measurements. The eGFR was calculated based on the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MDRD) Study equation. Energy-dense·nutrient-poor snack food items included bread, cake, cookie, candy, ice cream, and soda assessed by a validate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Multivariate general linear models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with eGFR levels in a cross-sectional design and with eGFR decline in a prospective design, respectively. We found that energy-dense·nutrient-poor snack food intake was associated with lower eGFR levels and renal function decline. Geometric means (95% confidence intervals, CI) of eGFR levels were 84.9 (83.2-86.6) mL/min/1.73㎡ in the lowest quartile and 82.9 (81.4-84.5) mL/min/1.73㎡ in the highest quartile of energy-dense·nutrient-poor snack food intake (p for trend = 0.08). Also, energy-dense·nutrient-poor snack food intake was related to renal function decline; compared to the lowest quartile of snack food intake, odds ratio (OR) (95% CIs) were 1.14 (0.72-1.80) for the 2nd quartile, 1.07 (0.66-1.72) for the 3rd quartile, and 1.53 (0.91-2.58) for the highest quartile (p for trend = 0.09). Energy-dense·nutrient-poor food intake was associated with renal function decline in Korean adults.

      •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기반을 둔 창의적 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오현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등학교 시기는 기본적인 생활습관과 기초적인 학습능력을 습득하게 되는 가장 초기 단계이므로, 지역적이고 문화적인 맥락과 상황을 고려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을 둔 체험 중심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이의 적용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과 과학적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한 총 13차시 분량이며 지속가능발전의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관점의 내용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또한 학교 및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체험 및 실천 중심의 활동으로 구성함으로써 창의적 체험 활동의 목표를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 각 차시는 생각열기, 생각다지기, 창의성 더하기, 체험활동, 체험공유하기, 생활화하기 등으로 이루어진 총 6단계 중에서 차시의 성격에 따라 이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내용을 구성하고 있다. 개발된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은 경기도 성남 지역의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주당 1-2시간씩 수업을 통해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 전·후에 환경소양 검사와 과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고, 공변량 분석(ANCOVA)을 통해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수업을 진행하는 동안 학생들의 전반적인 변화를 관찰하고 학생들이 작성한 활동지 등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병행함으로써 양적 연구를 보완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SD에 기반을 둔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한 환경소양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하위 영역 중에서 환경 정서의 환경 감수성, 환경 기능, 환경 행동의 참여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둘째,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과학적 태도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과학적 태도의 하위 요소들 중 비판성, 자진성, 끈기성 등에 대해서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셋째, 학생들이 수업 중 작성한 활동지에 대한 분석 결과, 이 프로그램은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끌어올렸으며, 수업을 통해 체득한 다양한 환경 실천의 방법과 행위들을 가정과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실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보면,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관심을 증진시키고 이들의 실천적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주요어 : 지속가능발전교육(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창의적 체험활동, 환경소양, 과학적 태도 It is very important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aking into account regional and cultural contexts and situations because elementary school is the earliest stage to acquire basic living habits and basic learning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reative hands-on activities based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o see how the application influences the environmental literacy and scientific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developed program is a total of 13 lessons for fifth-grade class in elementary school and includes all aspec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economic and social aspects. It also reflects the goals of creative hands-on activities by organizing activities that can be easily accessed in school and everyday life. The developed program were applied to the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Seongnam City, Gyeonggi Province for one to two hours per week. Environmental literacy tests and scientific aptitude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and the effects was verified by ANCOVA. For supplement quantitative research, I observed the overall changes of students during class and collected and analyzed the activities made by th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experiment group that applied creative hands-on activities program based on ES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tests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Howev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sensitivity, environmental functions, and environmental behaviors of the environmental literacy test. Second, a experiment group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ientific attitude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Howev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iticism, self - esteem, and tenacity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Third,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activities that students wrote during the class, this program raised students' interest and attention about ESD and proved that various environmental practices and activities learned through lessons act in connection with the household consistently. In conclusion, the creative hands-on program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has been shown that it contributes positively to the growing interest in environmental issues and to change their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