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한국무용연구’의 연구경향 분석

        유지영 ( Yoo Ji-young ) 한국무용연구학회 2021 한국무용연구 Vol.39 No.2

        본 연구는 지난 40년간 ‘한국무용연구학회’의 학문적인 성취를 밝히기 위하여 분석적 시각에서 학술지의 연구동향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무용학회의 현황과 한국무용연구학회의 학술활동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텍스트 마이닝을 적용하여 ‘한국무용연구’ 학술지의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연구재단에서는 학회의 통합을 요구하고 있으나 무용전문학회는 소폭 증가되었다. 둘째, 과거 한국무용연구학회의 학술활동은 여름무용학교와 같은 교육활동의 주제와 같은 맥락으로 개최되었다. 셋째, ‘한국무용연구’ 학술지에서는 ‘춤’보다 ‘무용’이라는 용어를 학문적으로 많이 사용하였다. 넷째, 2010년 이전에는 가면극에 나타나는 무용의 놀이성 연구가, 2010년 이후에는 무용 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무용교육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전체 학술지의 연구주제는 무용교육 분야에서도 ‘공연 문화로서의 무용예술 교육’, ‘한국무용 교육의 특성’, ‘무용예술 교육의 구조와 발전(개선) 방안’으로 분류되었다. This study is aimed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of journals from the analytic viewpoint in order to examine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Society of Dance Studies’ for the last 40 years. To address the goal, first of all, this researcher investigated the status of dance societies and the status of academic activities carried out by the Society of Dance Studies and also applied text mining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of journals published by ‘the Journal of Korean Dance’. According to the findings, first, alth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demands the integration of societies, societies specialized in dance have increased slightly. Second, the activities previously done by the Society of Dance Studies were held within the context like the topics of educational activities, for instance, the summer dance school. Third, journals published by ‘the Journal of Korean Dance’ tend to use the term, ‘dance’, more than ‘chum’ academically. Fourth, before 2010, research on the playfulness of dance found in the masque was often carried out whereas after 2010, research on dance targeting those majoring in dance was frequently done. Fifth, concerning the research topics of entire journals, in the area of dance education, too, they have been classified into ‘education on dance art as performing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education’, and ‘the structure and plans of development(enhancement) for dance art education’.

      • KCI등재후보

        무용학 질적연구의 주제 및 동향 분석

        한만석 ( Man Seok Han ),신주영 ( Joo Young Shin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4 한국무용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무용학에서 질적연구 주제 및 동향을 분석함으로서 그 특징들을 제시하특징을 분석하고 나아가 무용학 질적연구의 방향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은 한국체육학회지, 대한무용학회논문집, 한국무용교육학회지, 한국무용 기록학회지, 무용예술학회지에 2000년부터 2013년까지 게재된 총 1590편의 논문 중 연구자가 질적연구라고 밝힌 총79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대상 논문은 아이즈너가 질적연구 원리와 방법으로 제안한 구조적 확실성, 공감적 타당성, 준거 적합성을 기준으로 검토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연구주제와 연구 동향(전통)항목을 바탕으로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2000년 이후 질적연구는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무용학 연구주제의 다양화와 연구 기법들이 연구 되어야한다. This research is proposed to suggest academic characteristic and the direction of qualitative research for dance studies via analysis of theme and trend on dance study fields. 79 qualitative pape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mong 1590 papers which published on KCI Journals from 2000 to 2013. The qualitative research principle and method suggested by Dr. Eisner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this technique is based on structural certainty, empathic validation and suitability criteria. The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method which consider research theme and research trend. The results were sorted by type of study which shown on Creswell(1998, 2005, 2007), Denzin and Lincoln(2005) and Wolcott(1992). Lastly, research theme were sorted by the national standard classified table.

      • KCI등재

        ‘한국무용’ 장르의 연구동향

        김미경 한국무용연구학회 2020 한국무용연구 Vol.38 No.2

        The present study was to provide an information necessary to establish the research direction for the ‘Korean dance’ genre, by analyzing its current status and research trend of the ‘keyword’ presented in the published papers in the dance related journals since 1973 us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Total 2,483 Korean dance related papers were selected from the journals and the 4,569 key-words were finally selected through the calibration process for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NetMiner and UCINET/NetDraw Program. The networks of the selected top 15 key-words with high frequencies from total key-words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frequency and proportion of co-occurrence, degree centrality index, and network map. The papers of Korean dance genre were most frequently presented the key-words related to research participants such as ‘female dance major college student, dancer and the elderly’. The type of dance was second frequently described key-word. The papers presented most frequently ‘traditional dance’, ‘folk dance’, ‘creative dance’, and ‘new dance’ key-words in a row among the type of dance. It was concluded that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researches of Korean dance genre since 1973 wer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Korean dance program’ on ‘participation, job satisfaction, self management, and devotion’ of the ‘dance major college students, dancers, and the elderly’. 이 연구는 1973년 이후 출판된 ‘한국무용’ 장르에 해당하는 학술지 게재논문을 대상으로 키워드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한국무용’ 장르의 연구동향을 파악함으로써 ‘한국무용’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첫째, ‘한국무용’ 장르 학술논문의 발표현황을 파악하고 둘째, ‘한국무용’ 장르 학술논문의 키워드를 분석하고 연관단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종 선정된 ‘한국무용’ 관련 논문은 2,483편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논문으로부터 얻은 키워드는 정제과정을 거쳤으며 최종 선정된 키워드 수는 4,569개이다. 학술논문의 네트워크는 동시출현(co-occurrence) 빈도와 비율, 연결중앙성(degree centrality) 지수, 연결망 지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관단어 분석은 전체 키워드 중 연결중앙성이 높은 상위 15개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논문자료는 Excel system에 자료를 입력한 후 NetMiner와 UCINET/NetDraw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1973년 이후 2019년 10월 현재까지 한국무용 관련 학술지 게제논문은 총 2,483편이 발표되었다. 둘째, ‘한국무용’ 장르 연구는 연구대상인 ‘전공 여자 대학생과 무용수, 그리고 일반 노인’ 관련 키워드가 가장 많이 제시되었다. 또한 ‘전통무용’, ‘민속무용’, ‘창작무용’, ‘신무용’ 순으로 무용유형과 관련된 키워드가 많이 제시되었다. 셋째, 네트워크 기반 키워드는 ‘한국무용프로그램이 전공자, 무용수, 노인, 참여 만족도, 직무 만족도, 자기관리, 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 KCI등재

        한국무용전공대학생의 전통문화 인식도와 한국무용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박해정 ( Hae Jung Park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6 한국무용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한국무용전공대학생의 전통문화인식도와 한국무용수행능력에 관한 연구로 한국무용전공대학생의 전통문화교육의 필요성을 제고하고 한국무용수행능력의 질적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교육체계 구축의 일환으로써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권 무용(학)과가 있는 6개 대학 한국무용전공대학생 29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변량분석 및 사후분석, 적률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 첫째 한국무용전공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전통문화인식도는 하위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한국무용전공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한국무용수행능력은 성별, 학년, 한국무용전공 지속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한국무용전공대학생의 전통문화인식도와 한국무용수행능력의 상관관계분석에서는 전통문화인식도와 한국무용수행능력의 하위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relates to Korean traditional dance studies undergraduates`level of awareness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heir competency in performing Korean Traditional dance. A total of 293 questionnaires have retrieved. For the research processing, frequencie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ost-hoc SNK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applied . As a result, First,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awareness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taking into account the demography of Korean traditional dance undergraduat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level of awareness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sex, academic year, dance career. experiences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level of commitment to Korean traditional dance studies. Second, the difference in competency in performing Korean traditional dance taking into account the demography of Korean traditional dance undergraduat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ith respect to competency in performing Korean dance for each sex, academic year, dance career and level of commitment to Korean traditional dance studies except experiences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Third, a correlation analysis on the undergraduates` level of awareness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competency in performing Korean traditional da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s were found.

      • KCI등재

        한국창작무용의 시기별 안무적 특성에 따른 경향 분석

        최혜경,박미영 한국무용연구학회 2022 한국무용연구 Vol.40 No.4

        연구목적: 이 연구는 한국창작무용의 시기별 유형의 특성과 안무적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한국창작무용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학술적 토대의 정립과 교육적 활용, 한국문화예술의 가치를 인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문헌자료와 선행연구를 통한 한국창작무용의 사적 흐름과 시기별 창작무용의 경향과 특성을 10년 주기의 4단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한국창작무용의 초기는 전통무용의 원형을 지키는특성이 부각되어, 1기와 2기는 현대적 요소를 반영하기보다는 기존의 원형을 보존 및전승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3기를 기점으로 현대무용 및 세계화 추세의 영향으로4기는 현대적으로 수용, 변용된 한국창작무용이 주도하게 되었다. 안무적 특성으로, 1기는 한국무용의 특징인 곡선의 형태를 살린 춤 선이 많았으며, 2기와 3기는 한국창작무용의 새로운 시도로서 직선 형태의 춤 선, 4기는 전통한국창작무용의 특성이 뒤섞인 혼합된 춤 선의 형태가 주를 이루었다. 결론: 1기에서 4기까지 한국창작무용의경향은 전통무용의 특징을 살리면서 창작 요소를 가미한 형태의 춤 선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으며 전통성을 유지하면서 현대적으로 변용, 새로운 한국창작무용의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안무가는 보다 과감하게 시대적 변화를 수용, 접목하여자신의 개성에 맞게 심화, 발전시켜 가면서 그 정체성은 유지하고 있었다.

      • KCI등재

        한국무용소양 함양을 위한 교육 내용 탐색

        김연재 한국무용연구학회 2023 한국무용연구 Vol.41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무용소양의 구성요소와 핵심 개념 탐색에 관한 후속 연구로써 이에 대한 실천적 측면으로 교육 내용을 탐색하고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진행되었으며, 문헌분석을 통해 한국무용 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교육 내용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연구 자료들을 토대로 분석, 해석의 과정을 거쳐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한국무용소양의 구성요소인 신체소양, 인지소양, 심미소양을 기준으로교육 내용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신체소양의 교육 내용은 호흡, 동작, 표현, 조화의 내용을 아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인지소양의 교육 내용은 인지적 안목을 형성하기 위한 교육 내용은 음악, 철학, 역사, 전통과 관련된 내용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심미소양의 교육 내용은 한국무용의 한국적 공감을 갖기 위한 교육 내용으로는 태도, 감정, 감성, 미학에 대한 교육내용을 말한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한국무용의 교육 내용에 대해 더 구체적이고, 세분화하여 균형 있게 제공할 수 있다.

      • 생활한국춤의 무용적 의미 정립과 직업적 전망

        김경숙,김기화 한국무용연구학회 2011 한국무용연구학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Vol.2011 No.-

        생활한국춤은 생활무용의 하위 범주에 속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생활한국춤은 생활무용에서 장르적 개념인 한국무용, 특히 한국전통무용으로 인식되어 왔을 뿐 이 용어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통한 정립이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생활한국춤의 의미를 평생교육의 이념에 근거하여 논의 정립하였다. 세부적인 연구 논제는 용어 정립에 따른 생활한국춤의 범주와 가치, 새로운 학문분야로서의 전망, 그리고 무용계의 심각한 현안인 직업적 전망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한국춤의 학문으로서의 전망과 직업적 전망을 구체적으로 정립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개발, 지도자양성, 교육현장의 구축 등이 체계적으로 연구되고 실행되어 이를 임금구조로 연계하는 일련의 과정이 있어야 함을 제안 하였다. 아직까지 생활한국춤이 무용의 한 분야로서 정립되거나 이를 통한 새로운 취업을 모색하기에는 많은 부분 해결해야 할 것들이 있다. 그러나 생활한국춤을 조금 더 큰 사회 구조 안에서 바라본다면 우리 무용계가 취할 수 있는 많은 내용이 있을 것이다. 큰 틀 안에서 미래의 무용계를 위해 기성의 무용인들은 생활한국춤의 발전을 도울 수 있는 당면한 문제들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통일된 목소리로 합리적인 방안을 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국내 학술지 등재제도 개선에 따른 무용학회 운영의 선진화 방안 -KCI 학술지 내용평가를 중심으로-

        유지영 ( Ji Young Yoo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4 한국무용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학술지 등재제도의 개선배경과 평가항목들을 검토하여 무용학회의 선진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 첫째, 공동학술대회와 공동연구를 통해 학회 간 협력함으로써 무용학 학문을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회 간 차별화를 추구한다. 둘째, 편집위원에게 학술활동에 대한 서약서를 받고, 학술활동 의무성에 대한 자율규정을 마련함으로써 편집위원의 학술활동을 적극적으로 장려한다. 셋째, 편집양식을 통일하고, 전문편집인 상주와 같은 업무환경 개선을 통해 학회 행정의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넷째, 심사자의 자격기준을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명단을 공개하여 심사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한다. 다섯째, 영문초록을 전문적으로 감수하기 위해 외부 인력을 수용함으로써 논문초록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킨다. 여섯째, 연구부정 행위의 구체적 기준을 설정하고, 부정행위에 대한 처벌수위를 강화시켜 연구부정 행위를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심사자는 논문표절방지시스템을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체계적인 논문검증시스템을 마련하고, 학회에서는 연구자와 심사자를 대상으로 관련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엄격한 연구윤리를 확립시킨다. This study aimed to suggest plans to advance dance society management by reviewing the backgrounds of journal registration system improvement and evaluation ite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results of the study, first, dance theories should be established by collaborating among societies through joint scholarly competition and collaboration. Based on them, the differentiations among societies should be pursued. Second, the covenants on scholarly activities should be received from contributing editors and autonomic regulations on scholarly activity obligation should be arranged. Scholarly activities of contributing editors should be actively encouraged. Third, the form of edition should be integrated. The efficacy of administration should be improved by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like constant residence of professional editors. Fourth, the qualifications of evaluators should be established in details. The list of names should be opened to obtain the reliability for evaluation results. Fifth, to review English abstract scrupulously, external professionals should be employed and improve the quality of paper. Sixth, specific standards for unfair practices of wrong research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level of penalty for such wrong research should be intensified to prevent wrong research actions.

      • KCI등재

        “한국춤 학술,교육적 측면의 성과와 비전”고찰 -한국춤협회를 중심으로-

        이미영 ( Mi Young Lee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5 한국무용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한국춤 협회를 중심으로 학술적 측면은 한국무용연구학회 학술논문집과 학술대회로, 교육적 측면은 한국춤협회 주체 경연대회 및 강습회의 성과를 살펴보았다. 현재 무용공연은 더 이상 무대공간에서만을 주장할 수도 없거니와 대중들과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아 오늘날 무용인구의 감소현상까지 치닫게 되는 한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보다 춤 교육에 대한 관심과 내실을 기하고 학술이나 강습회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양적·질적 성과에 주목하고자 한다. 학술대회-강습회-제전까지 서로 일련의 유기적 관계로 통합 연결시켜 서로 시너지 효과를 증진시키는데 일조하여야 한다. 이론과 실기의 통합적 발전과 지식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융복합적 성격의 학술대회와 교육적 실천을 확대시키고자 하는 것이 한국춤 협회의 비전이라 할 수 있다. 21세기 현재 교육이 무엇보다 본성을 회복하는 교육으로서, 춤 교육의 방향을 올바르게 잡는 것이 시급한 일이라 생각한다. 이와 함께 앞으로 한국 춤 전반의 학술·교육적 측면의 비전을 제시해보고자 하는 데 본 연구 의의가 있다. The study aimed to examine performance and vision in the academic and educational aspects of Korean dance in quantity and quality in consistent with study subject called "performance and vision in the academic and educational aspects of Korean dance." But this study had limitation because the study could not investigate whole performance in the academic and educational aspects of Korean dance. The study focused on Korean dance association - for academic aspect, the author had reviewed academic theses published by the Society of Korean dance studies and its performance of academic conference; for educational aspect, the study investigated performance of competitions and learning class led by Korean dance association. The study examined activity of Korean dance association for 34 years while tried to introspected for parts which became large discourse in a certain aspect. It was thought that it would be urgent to lead dance education in right direction because above all, present education in the 21th century was one to recover real nature. And this study had a meaning in suggesting vision of academic and educational aspects of whole Korean dance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장애인무용에 관한 연구동향분석

        배주옥 ( Ju Ok Bae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4 한국무용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장애인무용과 관련된 논문들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대별 분석결과 1980년대는 장애인무용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태였으나 2000년대 이후부터 장애인의 문화 복지 및 요법의 한 방법으로써 무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연구대상은 지체장애와 청각장애를 대상으로 한 논문이 가장 많았고, 대상의 범위는 정서적인 측면에서 점차 신체적인 측면으로까지 확대되었다. 둘째, 무용과 장애관련 연구는 무용치료·요법과 관련된 논문이 가장 많았고, 신체활동, 교육, 복지문화 측면에서 활용되었다. 연구방법의 측정항목은 정서, 심리, 사회적응, 인성을 측정하는 항목이 많았다. 셋째, 분석결과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아직은 각 개인의 장애나 연령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이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거기에 반해 무용이 공연이라는 활동을 통하여 장애인들이 사회에 진출할 수 있는 장이 생겨나게 되었고, 문화 활동 및 사회적응에도 도움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장애인을 위한 무용교육 및 요법이 댄스 스포츠나 K-pop 같은 생활무용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순수 무용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용가들의 적극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 of dance for disabled people. The finding we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chronological analysis showed that this topic had been treated actively from 2000 but very limited studies in the 80``s. Traditionally the research topic focused on the physically challenged or hearing-impaired people. However, recently the research scope expanded from emotional aspect to physical aspect. Second, the most topics were about dance therapy and treatment among the researches on the dance and disability, and those were applied to the welfare culture, education and physical training. The primary measurement variables were questions about personality, psychology, sociality and emotion. Third, mostly the research topics were about activities for program development. While there were rare research about program for specific types of disorder and age. On the contrary, disabled people could participate in public affairs through the activities of dance performances, and helped them to adjust to society and cultual activities. But, since the dance sport or leisure dance like K-Pop were mostly used for the dance education and dance therapy for the disabled people. Therefore this required more proactive participation of professional dancer to make the dance to do social function and ro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