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대학에서의 취·창업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지원방식에 대한 연구 : 국내대학 실용음악전공을 중심으로

        김다희 추계예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청년실업률이 이제는 개인의 문제가 아닌 국가적문제로 인식하고 심각성을 느낀 바이며, 정부에서는 최근 5년간 청년실업의 해결책으로 10조원 이상을 투입하였지만 2018년 4일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지난 해 청년실업률은 9.9%로 역대 최고 수치를 보였다. 또한 높은 청년실업률에 비해서 사회는 낮은 고용률로 일자리부족현상까지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청년취업률 저조에 있어 많은 복합적인 문제 중 각 대학에서의 취업관련 지원방식이 사회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임을 말하고 있다. 현재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전공을 잘 살려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이 되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와 더불어 취업률이 가장 낮은 예술계열학과 중 한때 붐이었던 국내 실용음악전공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 때 K-POP과 방송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실용음악전공 희망자가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국내 대학의 실용음악학과 개설도 점차 증가하였다. 하지만 실용음악이 발달 된 것도 언 30년이 되어가는 지금 정작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휴학률이나 졸업 후 미취업자는 점차 늘어가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음악이나 예술산업현장에서는 전공자의 인력이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로 각 대학의 실용음악전공 교육이 이제는 음악 산업현장과 더 나아가 문화 산업까지 필요한 교육이 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각 학교 별 취·창업지원 운영방식과 학생들의 요구에 근거하여 대학과 각 학과의 역할, 그리고 대학 내의 취·창업지원센터의 운영방식과 필요성에 대한 방향 설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첫 째, 실용음악의 선행연구를 통해서 교육체계와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진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국내 대학의 학교 별 취·창업지원프로그램의 운영사례 현황을 분석하였다. 실용음악의 선행연구에서는 근 10년 동안‘실용음악의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있었고, 더불어 실용음악 교과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조사도 함께 연구되어 있었다. 그에 따른 교육문제로는 교수는 교수의 전공불일치 또는 재즈에 편중된 교수가 있었으며, 고학력 교수 채용에 대한 문제도 제기 되어있었다. 교수의 전공 불일치로 인하여 학생들은 불만과 자신의 전공에 대해 혼란이 오는 경우도 있었으며, 고학력 교수채용에 있어서는 학과의 불명확한 음악적 특성을 가지게 되고, 다양한 인적자원을 활용하지 못하는 현상이 생기게 되는 것이었다. 그 외에도 학생의 실력차나 졸업에 대한 준비 부족, 학교의 교육시설이나 교육내용, 교재 등 여러 가지의 교육체계에 대해서 문제제기가 되어 왔었다. 한 때 대학에서는 실용음악전공을 개설하는 수가 양적으로 팽창되었으나 이제는 그 거품이 줄어들고 있다. 10년 전 실용음악에 대한 유행이 지나가면서 그 피해는 졸업생들한테 나오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현재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진로나 취업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각 학교 별 제시하고 있는 학생들의 졸업 후 전망과 학생들이 재학 중 희망하고 있는 직종을 살펴보았으며, 실제 졸업 후 전공생들의 취업현황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둘 째, 우리나라와 외국 대학의 취·창업지원 서비스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조사 대상 대학은 실용음악전공이 개설되어 있는 예술대학과 종합대학을 살펴보았으며, 예술대학으로는 서울예술대학교와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백제예술대학교, 부산예술대학교, 예원예술대학교, 대구예술대학교, 백석예술대학의 일곱 개 대학이다. 국내 종합대학은 한양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경희대학교, 단국대학의 여섯 개의 대학으로 국내는 총 13개의 대학을 살펴보았으며, 이화여자대학교를 제외한 총 13개의 대학교는 실용음악과가 개설된 대학들이다. 외국대학은 미국 대학의 버클리 음악대학, 영국 대학의 리즈대학교 음악대학, 일본 대학의 도쿄음악전문학교로 이들의 취·창업지원 서비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셋 째, 취·창업지원의 실제 수요자인 실용음악전공 학생들과 관련이 있는 관계자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우선 학교는 비수도권에서 취업률 1위인 백석대학교를 기준으로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는‘교수진’과 학교 내에 설치되어 있는‘취·창업지원 센터’와 학교에서 실제로 교육을 받아보고 지원을 받았던 5년 이내의‘졸업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취·창업 지원방식과 관련 관계자들의 실제의 요구가 부합하는지 분석하였다. 이상 과정을 통해 대학에서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에게 취·창업지원 프로그램의 지원방식에 대한 방향을 다음과 같은 결과로 도출하였다. 첫째, 취업·진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둘째, 예술적 특성에 맞는 취업·진로 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국내외 인턴십 제도 활성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전공별 특수성에 따른 통합적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취·창업지원 프로그램들이 각 학과별 지원에 있어 도움이 되고 대학에서의 여러 가지 유기적인 네트워크가 이루어짐으로 앞으로의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광범위한 직업의식을 심어주며, 이제는 불확실한 미래가 아닌 자신의 전공에 대한 자신감과 음악 산업현장에 나아갔을 때는 전문인이 되기를 바란다. 더 나아가 우리 사회의 문화 산업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 귀한 인재양성이 되기를 바란다. This article was based on the situation of Korea that youth unemployment have been increased and the entire society has to consider this issue as a social problem. Despite of 10 trillion won of support from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for the last 5 years, the youth unemployment rate of 2017 were raised to 9.9%, according to National Statistical Office research on 4th January 2018. Recently, furthermore, the society of South Korea has been suffered by low accession rate and it has been caused jobs crunches in South Korea. This research reports that working support system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among different factors, takes a significant role in the effort of the entire society to solve the issue. In order to explain the topic,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working support system of the universities and checks the system works efficiently in the basis of the student’s major. Especially, this article’s research focuses on the working support system for students that who majors in practical music as art-related majors show very low accession rate. Many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opened practical music major curriculum because of popularity of K-pop audition programs for a while. However, even though practical music field has been developed for 30 years in South Korea, many students that specialized in practical music leave of absence or fail to have a job after graduation. It means the lack of actual specialized human resource in practical music and art-cultural field. Because of these reasons, in order that education of practical music is able to be a necessary part of musical field and even cultural field, the article suggests that the actual role of a university and department and actual direction of government support center’s management and requirements in the basis of demand of a student and management of each university’s working support system. First of all,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education system and the current state of accession rates of the students who major in practical music from existing researches. The preceding researches have focused on‘educational system of practical music’ for the recent decade, including insight of a demand of a student for practical educational system. The researches point the tendency that a professor’s major is not matched with his/her curriculum or a professor majored in jazz music usually lead practical music curriculum. They also point the issues caused from a professor who has high level education. Because of discordance of a professor’s major, the students report that they are confused to figure out their actual speciality, and they also claim that the curriculum’s musical speciality also has been unclear and the program is not able to use various human resources, because of a professor who has high level education. Additionally, the preceding researches have claimed different issues including lack of preparedness for capacity difference between students and their graduation, and low quality of facilities,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Even though many universities have opened their own curriculum for practical music, but now the trend was passed and the students take the burden. In order to research the issue in detail, this article researches the ideas about employment and job of the students who major in practical music, and checks the reports on the universities regarding prospect of employment. The researcher also surveyed the types of jobs which the students want to have after graduation and researched the current state of employment of the students who major in practical music. Secondly, the researcher compares working support systems of universities in South Korea with overseas countries’ one. For the research in South Korea,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information on 7 colleges and 6 universities. The colleges includes Seoul Institute of the Arts, Dong-Ah Institute of Media and Art, Paekche Art College, Busan Arts College, Yewon Arts University, Daegu Arts University, and Baekseok Arts Univeristy. The universities include Hanyang University, Ehwa Women’s University, Chung-Ang University, Dongduk Women’s University, Kyunghee University, Dankook University. Except Ehwa Women’s University, all of these researched universities and colleges have their own curriculum for practical music. For the research of overseas colleges,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working support system of U.C. Berklee College of Music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niversity of Leeds in United kingdom, and Tokyo College of Music in Japan. Third, the researcher has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major in practical music and staffs who are in charge of working support program including the professors and the staffs of working support department of Baekseok University, and alumnae graduated in last 5 years from the university as the university’s employment rate is most highest among the universities established in non-capital region of South korea. Following the process of, the research found the result of the research and survey,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working support program’s support system for students majored in practical music. First,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best environment for employment. Second, working support program has to consider the special factors of the field of art. Third, a working support program has to be able to establish different network channels. Fourth, internship program has to be encouraged. Fifth, integrated information is required in the basis of distinct characteristics of each curriculum. The researcher expects that this research helps each university’s working support program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urriculum and establish organic network to give different and wide professionalism to students majored in practical music. The researcher also hopes that the universities can encourage each student to have confidence and educate them as a professional musician for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 in cultural field of South Korea.

      • 클라라 슈만의 예술가곡 연구 : Op.12, Op.13, Op.23을 중심으로

        샤오징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63

        클라라 슈만(Clara Schumann)은 19세기 낭만주의 독일 피아니스트로 베 토벤, 쇼팽, 슈만 작품의 연주가로 유명할 뿐만 아니라 예술 가곡, 피아노 협주곡 등 많은 작품을 창작하였고 『로베르트 슈만 전집』을 편집하여 낭만주의 음악의 전파와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음악의 긴 역사 속에서 그녀의 작품은 봉건사상에 의해 조명 받 지 못하였고 남성 작곡가들에 비해 뒤지지 않는 음악적 능력을 지녔음에 도 역사에 기록되지 못하여 후대 그녀의 작품 연구 부분에 큰 영향을 끼 치게 되었다. 본 논문은 클라라의 일기 및 당시 사회 언론의 평가를 분석하여 작곡가 로서 클라라 슈만의 입지를 다시 되짚어보고 그녀의 예술가곡 〈3개의 가 곡, Op.12〉, 〈6개의 가곡, Op.13〉와〈유쿤테 의한 6개의 가곡, Op.23〉 의 분석을 통해 여성 작곡가로서 낭만 예술가곡 작품에 담겨진 그녀만의 창작 특징을 연구하며 낭만주의 음악 발전에 대한 업적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또한 필자는 클라라 슈만의 작품 분석을 기반으로 낭만시대 예술가 곡의 클라라 슈만의 어법이 제대로 표현될 수 있는 연주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Clara Schumann was a German pianist and an influential woman in the Romantic period of the 19th century. She was well-known for performing the music of Beethoven, Chopin, and Schumann and distinguished herself as a composer of art songs and an editor of the collection of Robert Schumann. She contributed a lot to the transmission and development of Romantic music. In the long history of music development, women have been oppressed by the atmosphere of feudal society. Although women were as competent and wise as men, they failed to be accepted and recorded in history of music. This prejudice also affected the later music academia. This paper is aimed to tell the faithful history through Clara Schumann's dairies and objective evaluations of the social media at that time. I tried to analyze the features of Clara's art songs which are <Three Songs, Op.12>, <Six songs, Op.13> and <Six songs, Op.23>, based on her life experience. Through this study, I wanted to identify her status in the music history and her indelibl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Romantic period music. In addition, I proposed a variety of performance strategies and an effective way of appropriate expression for Clara Schumann’s art songs.

      • 문화예술회관의 효율성 분석을 통한 운영 최적화 방안 연구 : 기초지방자치단체 문화예술회관을 중심으로

        김흥태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9663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have the publicity that i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unlike companies that do general economic activities. Those culture and art organizations with such a publicity are operated as local government subsidies. As one of Korea's important cultural infrastructures, the Culture and Arts Center is a public cultural facility run by the budget of local governments and steadily increases as a local regional cultural and arts facility. As of 2017, 236 culture and arts centers were built nationwide . The Culture and Arts Center has publicity as a local facility which is the space of local culture creation, but the efficiency of operation is emphasized and there have been many prior studies on this. Since the Culture and Arts Center has many complex functions in addition to publicity and artistry, it has been required to include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in analyzing the efficiency performance of culture and arts center. The DEA model developed by Charnes, Cooper and Rhodes (1978) as a way to evaluate these various performance factors and results has been used as a measure of public institution efficiency in Korea, and there have been many previous studies using this model. In this study, we analyzed 198 culture and arts centers operated by the basic (gi-cho) local government among 236 culture and arts centers nationwide, after eliminating 9 units which do not have correct data, 4 units combined, and excluding 25 units operated by metropolitan (gwang-yeok) government since they are incomparable with units operated by basic local government. Therefore, in this study, 198 culture and art centers operated by the local governments were set as DMUs (decision making units) to analyze the efficiency by using the DEA model. In selecting the input and output factors for measuring the efficiency of the 198 culture and arts centers, the space of culture and art center, the total number of employees, and annual operating expenses have been set as key input factors. As output factors, the number of users, income of ticket selling and center's rental, and days of performance. The selection of these input and output factors has been made as a criterion for achieving the financial self-reliance and publicity of the culture and art center. The efficiency of the 198 DMUs analyzed by the input and output factors has been re-analyzed and classified by the operating entity such as local government own, the public entrustment, the foundation, and the private entrustment. Efficiencies of each unit has been analyzed by 16 Metropolitan district except SeJong special district at mean value. Also, 198 DMUs efficiencies have been compared with public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and with four(4) performances defined at operational definition. Those are the number of users compared to the population, the number of users compared to the DMU's space of area, income rate compared to annual operating expenses, and days of performance.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population size and total space size, the population size and space size have been classified into 5 scales. In the analysis of the efficiency by the operating entity, efficiency has been show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ize of culture and art center by each operating entity. The local government own management has a strong publicity and shows high efficiency in the small culture and arts centers and it is effective to take the scale of 1 and 2 space size. Public entrustment has shown high publicity and management efficiency at the scale of 2, 3, and 4 space sizes, and the private entrustment shows high management performance at the large sized culture and arts centers. And it is effective to operate the DMUs with scale of 4 and 5 space size, which use large input factor of annual operation co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iciency resulted by the number of users compared to the population, the number of users compared to size of DMU, income rate, and days of performance, the most efficient entity, public entrustment showed high results in all performance but low result in days of performance. The local government own management showed low performance in income rate, private entrustment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in income rate but days of performance was low. In the meantime, foundation shown the lowest efficiency showed the lowest results in all performance measuring. However, only 1 DMU run by foundation would not be representing foundation's operation performance. The efficiencies of metropolitan districts were in the order of Gwangju, Busan, Seoul, Chungbuk, Gyeonggi, Gyeongnam, Ulsan, Daejeon, Chungnam, Gangwon, Jeonbuk, Daegu, Gyeongbuk, Jeonnam, Incheon, Jeju. The results efficiency has shown differently by characteristic of each district, especially public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are apparently distinguished by area of metropolitan. With those results by each items of performance, this study has provided points of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direction to improve efficiency. In the metropolitan district analysis, metropolitan cities with high population density showed high efficiency. In Gwangju, Busan, and Seoul areas, high efficiency and performance were achieved. In Daejeon, Daegu, Incheon showed low efficiency and performance in all results and the results have been analyzed that there are big sized DMUs operated directly by Metropolitan government are located at same areas and affected to DMUs operated by local government. Chungnam, Gangwon, Jeonbuk, Gyeongbuk, and Chonnam districts, which have a large number of culture and art centers with low population density and wide area, showed low results in efficiency and each performance. By the ranking group, the top group showed the result of well balanced result by performance, in compare that low efficiency culture and art centers have large gap among performances. In this study, there have been made conclusions in providing prioritized tasks by performance on the basis of result of efficiency by operating entity, by metropolitan district, and by ranking group. Also additionally, this study has provided a standard index by each scale of population thru analysing the input and output factors of high ranked culture and arts center. Based on the various data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for further verification and other points of study in depth analysis. The cultural and arts center with a small population and small size of the region has difficulty in economies of scale for operation, therefore, the minimum operating expenses and resources need to be defined and set as fix cost and resource by DMU. Proper input factors based on local environment, and standardized rates of ticket and center's rental fee are required. Those standardized rates need to be defined according to the each district or region in order to make resources optimized and fulfilled. 문화예술단체는 일반적인 경제활동을 하는 기업과 달리 국가가 지원하는 공공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공공성을 가진 문화예술단체는 국가지원이나 보조금으로 운영되고 있다. 한국의 중요한 문화기반 시설 중의 하나인 문화예술회관은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의 의해서 운영되는 공립문화시설이며, 지역의 복합문화예술시설로서 꾸 준히 증가하여 2017년 기준 전국에 236개의 문화예술회관이 건립되었다. 문 화예술회관은 지역 문화 창조의 거점 공간이 되는 지역시설로서 공공성을 가 지고 있으나 운영상의 효율성이 강조되며 이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가 있었다. 문화예술회관이 공공성과 예술성에 더하여 여러 가지 복합적인 기능을 가지 고 있으므로 문화예술회관의 효율성 성과를 분석함에 있어서 재무적인 부분 과 비재무적인 성과를 포함하는 방안이 요구되어왔다. 이러한 여러 가지 성과 요인과 결과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는 방법으로 Charnes, Cooper and Rhodes (1978)에 의해서 개발된 DEA 모형은 국내에서도 공공기관의 효율성 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많은 선행연구가 있다. 본 연구는 2017년 기준 전국 236개의 문화예술회관 중에서 광역시도에서 운 영하는 25개의 문화예술회관과 자료가 미비하거나 특수한 목적으로 설립된 회 관 9개를 제외하고 동일한 운영주체의 4개의 회관을 통합하여 기초지방자체단 체에서 운영하는 198개 문화예술회관을 연구 대상 DMU(의사결정단위)로 설정 하여 DEA 모형을 이용하여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198개의 문화예술회관의 효 율성을 측정하기 위한 투입요소와 산출요소를 선정함에 있어서 문화예술회관의 주요 자원인 연면적, 총직원수, 연간운영비를 투입요소로 선정하고 이용자수, 공연 및 대관수입, 공연일수를 산출요소로 선정하여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이들 투입요소와 산출요소의 선정은 공공성을 가진 문화예술회관이라 하다라도 재정 자립도를 향상시켜야 하고 또한 공공기관으로서 최대한의 많은 사람들이 이용 할 수 있도록 하는 보편성을 성취할 수 있는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198개의 DMU에 대하여 투입요소와 산출요소에 의하여 분석된 효율성을 운 영주체별로, 지자체직영, 공공기관위탁, 재단법인, 민간위탁으로 구분하여 효율 성의 결과를 분석하고, 세종시를 제외한 16개의 광역시도별로 평균값을 구하여 분석하였다. DEA 모형에 의한 효율성과 공공성, 경영성 성과로 구분하고, 백분 율에 의해서 정의된 4개의 성과, 인구수 대비 이용자수, 연면적 대비 이용자수, 수익률, 공연일수를 산출하여 효율성과 비교하였다. 효율성을 분석함에 있어서 인구수와 연면적의 크기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인구수 규모별로 5등 급으로 분류하고 연면적 규모를 균등 5등급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운영주체별로의 효율성 분석에서는 문화예술회관의 규모에 따라 효율성의 차이를 보였다. 지자체직영은 공공성이 강하고 소규모 문화예술회관에서 높은 효율성을 보이며 연면적 1, 2등급의 규모의 운영을 맡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 로 나타났다. 공공기관위탁은 연면적 2,3,4 등급의 규모의 운영에서 높은 공 공성과 경영성을 보이며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민간위탁은 대규 모의 문화예술회관에서 높은 경영성을 보이며 연간운영비의 투입요소가 많은 연면적 4,5 등급의 회관을 운영함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효율성의 결과를 인구수 대비 이용자수, 연면적 대비 이용자수, 수익률, 공 연일수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효율성이 가장 높은 공공기관위탁은 모든 성 과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공연일수에서는 낮은 결과를 보였다. 지자체직 영은 수익률에서 낮은 성과를 보였고 민간위탁은 수익률에서 가장 높은 성과 를 보였으며 공연일수에서 성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효율성이 가장 낮은 재단법인은 모든 성과에서 낮은 결과를 보였으나, 1개의 문화예술회관을 기준 으로 한 것이므로 재단법인을 대표하기는 어려웠다. 광역시도별 효율성에서는 광주, 부산, 서울, 충북, 경기, 경남, 울산, 대전, 충남, 강원, 전북, 대구, 경북, 전남, 인천, 제주 순으로 나타났으며 효율성은 지역에 특징에 따라 공공성과 경영성에서 다른 성과의 결과를 보였으며 세부 성과별로의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으로 분석하여 효율성을 향상하기 위한 성 과별로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광역시도별 분석에서는 인구밀집도가 높은 광역 시가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주, 부산, 서울 지역이 높은 효율성 과 성과를 타나냈으며 광역시 내에 광역시에서 운영하는 문화예술회관의 비 중이 높은 대전, 대구, 인천은 효율성과 모든 성과에서도 낮은 결과를 보였 다. 광역시도 중 인구밀집도가 낮고 지역이 넓어 많은 수의 문화예술회관을 가지고 있는 충남, 강원, 전북, 경북, 전남 지역은 효율성과 개별 성과에서도 낮은 결과를 보였다. 순위그룹별로는 상위그룹에서는 성과별로의 균형적인 운 영성과의 결과를 보인 반면 중위, 하위그룹에서는 운영성과별로의 결과가 격 차를 보이며 하위그룹에서는 더욱 성과별로의 결과가 큰 격차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성 결과를 토대로 운영주체별, 광역시도별, 순위그룹별 로 분석하여 각 운영주체와 광역시도의 전체적인 운영의 결과로 나타나는 효 율성을 제시하고, 개별 성과별로의 결과를 제시하여 운영방향에 우선과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인구수의 규모에 따른 연면적의 차이에 따라 각 규모별 우수한 효율성을 보인 문화예술회관의 투입요소와 산출요소를 정 리하여 운영의 기준지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를 토대로 향후 더욱 심층적 분석을 연구함으로써 각 광역 시도별의 향후 문화예술회관의 운영방안에 도움이 되는 더욱 많은 후속 연구 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지역의 인구수가 적고 규모가 작은 문화예술회관은 운영상 규모의 경제를 갖기 어려운 측면이 있으며 이에 대한 기본적인 운영 상의 투입요소의 기준을 설정하고 지역의 특성상 수익률에 영향을 주는 공연 및 대관수입의 요율을 지역별로 일정한 수준의 표준요율을 설정하여 동일한 인접지역의 기준을 설정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 지역문화예술 역량강화를 위한 공연예술사업 성과분석 연구 : 지식네트워크 운영을 중심으로

        김영훈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eoul performing arts network on organizational capabilities of autonomous cultural art center in the context of knowledge network. Sejong Center has been building the collaboration system in performing arts between the Center and other cultural art centers under the umbrella of the Seoul autonomous districts. This system aims to build the network of performing arts and to improve performances and cultural competences of local cultural art centers. The level of performance consists of two factors: performing arts resource factor and knowledge network factor. Performing arts resource factor includes organizational capabi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Knowledge network factor is composed of structure factor, interaction factor, and functional factor. The study conducts case study and implements hypothesis testing. To test the model, this paper evaluates performance appraisal of each cultural art center for the period from 2012 to 2014, drawing upon the survey on employees of 17 cultural art center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3 employees. There are fiv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an organizational capability has an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organizations. Also knowledge network leads to increases in their levels of organizational capabilities. Second, the customer satisfaction survey reveals that the quality of performance is highly evaluated. Third, the number of performances increases the network centrality of cultural art centers, which leads to a higher level of performance. Fourth, the level of sharing and reciprocity affects the level of performances. Fifth,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 functional factor and the level of performance. However, external factors increase the level of performance by making up for the weakness of internal factors. This study suggests that activating knowledge network is essential to increase the level of performance and cultural competences of autonomous cultural art centers. First, it is required to manage local resources efficiently and access to external resources using knowledge network. Second, each cultural art center needs to measure its competence and to develop a network so that it can secure perceived scarce resources. Third, it is necessary to build a community-based leading organizations other than Sejong Center to activate local knowledge networks in the longterm. Fourth, it is indispensable to strengthen linkages in order to encourage resource sharing.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 knowledge network operation is needed to strengthen the cultural competence of autonomous cultural art centers. Second,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is particularly present in terms of structure factor as well as sharing resources and reciprocity in terms of interaction factor. Third, the fact that external factors play certain roles has a lot of implications on the role of public arts center and th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policies. 본 연구는 서울지역 공연예술 네트워크 사업을 대상으로 참여 자치구들의 사업성과를 분석하고, 지식네트워크 운영을 중심으로 지역문화예술 역량강화 방안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세종문화회관 연계공연으로, 이 공연은 서울지역 문화예술 네트워크 구축 및 공연예술사업 유통을 통해 지역문화 예술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지식네트워크 운영을 중심으로 한 연구대상 사업의 성과분석은 공연예술에 필요한 지식자원에 대해 이해하고, 지식네트워크 운영을 통해 지역의 지식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여, 지역문화예술 조직역량을 강화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 따라서 대상사업의 지역성과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자치구별 사업성과에 대한 평가가 우선시되며, 평가된 사업성과는 공연예술자원 차원과 지식네트워크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공연예술사업 성과분석에 사용된 분석기준은 공연예술 자원요소와 지식네트워크 특성요소이다. 공연예술 자원요소는 조직역량과 관객만족으로 구분하였고, 지식네트워크 특성요소는 구조적 요소, 상호작용적 요소, 기능적 요소로 구분하였다. 분석은 사례분석과 가설검정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 진행하였으며, 사례분석에 의한 정성적 연구가 중심이 되고, 가설검정으로 확인하는 구조로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사업성과 분석을 위해 대상사업의 안정적 운영 시기인 2012년부터 2014년까지의 3년 실적을 중심으로 자치구별 사업성과를 평가하고, 평가된 자치구별 사업성과를 집단화하여 분석대상으로 제시하였다. 분석은 17개구 참여 자치구 담당자 17인을 대상으로 한 질문지법과 3인의 심층 인터뷰 내용을 토대로 진행되었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역량 분석결과 조직역량은 사업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조직역량과 사례사업 성과의 관계에 있어 지식네트워크를 통해 역량이 보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관객만족 분석결과 공연 상품수준이 높게 평가되어 공연예술 자원요소 중 작품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관객 의사결정과 공연장 편의성의 사례사업 성과와의 영향관계는 증명하지 못했다. 편의성은 사례사업 성과보다 조직역량과 관계가 있었다. 셋째, 구조적 요소 분석결과 사례사업 활동이 많을수록 지식네트워크 내 중심성이 강했고, 중심성이 강할수록 사업성과가 높았다. 그리고 지식네트워크 구조에서 관리성은 사례사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조직역량과 사업성과의 영향관계에 지식네트워크 관리성이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t-검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넷째, 상호작용적 요소 분석결과 공유성과 호혜성은 사례사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공유자원 중요도는 작품, 홍보, 무대기술, 기획, 고객관리의 순서였다. 그리고 네트워크 상호작용 프로세스 이론과 지식네트워크 성장단계 이론 중 성숙기 특징이 사례사업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기능적 요소 분석결과 기능적 요소는 사례사업 성과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부족한 내부 기능적 요소를 외부 기능적 요소가 보완하면 사업성과가 향상될 수 있다는 지식네트워크 보완 작용을 입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네트워크 운영을 통해 지역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부족한 자원을 지역 간 상호 보완하여 지역문화예술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지식네트워크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지역별 역량요소를 정확히 파악하고 개발하여, 지역 간에 필요한 자원의 연결을 시도해야 한다. 셋째, 지식네트워크의 장기적 성장 관점에서 세종문화회관 외에 네트워크를 주도할 수 있는 권역별 거점지역을 개발해야 한다. 넷째, 네트워크 상호작용 프로세스 이론에 따라 문화예술 자원공유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역 간 연결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가치와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문화예술 역량강화를 위해 지식네트워크 운영의 필요성을 입증하였다는 데 가치가 있다. 둘째, 지식네트워크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구조적 관점에서 관리의 중요성, 상호작용적 관점에서 자원의 공유와 호혜 관계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향후 공연예술사업의 지식네트워크 운영 및 활성화에 가치가 있다. 셋째, 지식네트워크 외부 기능적요소의 역할 확인을 통해 문화예술 공공기관의 역할과 문화예술 정책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지역문화예술 역량강화와 지식네트워크 운영에 대한 가치를 입증하였다. 따라서 향후 공연예술사업의 지식네트워크 운영 활성화와 지역문화예술 역량강화에 의미 있는 후속 연구를 기대해 본다.

      • 바느질을 이용한 예술표현

        김경희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We live in an age when many things are called as the 'art'. In general, category of art includes music, fine art, architecture, dance and so on. However, today, the term art is frequently used in fashion, beauty, cooking and science technology as well as even other routine skill fields with practical purpose. Before the 18th century when the art is divided into pure art and craft. The concept of art was wider than that in these days: it includes all activities in daily life. Derived from ancient times, this art concept went through the middle ages and then led to the Renaissance, a transition period when the 'art' began to be categorized into 'pure art' and 'craft'. As the craft was separated from the art, a crucial change occurred, while a criterion of pure art was established due to foundation of 18th century academy and enhancement of pure artists' status. In addition, the Kantian aesthetic theory excluding daily life and finality strongly supports this change. While such a modern art system establishes independent are in 19th century society, the craft was regarded as sub-concept of the pure art, so depreciated and degraded into the non-mainstream. However, even in the modern art system, movements of artists who advocated the craft were continued. The 'Arts and Crafts Movement' adoring beauty of the practical craft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Pattern Painting' occurring in 1970s were the primary movements. In particular, the latter planed to overthrow the hierarchy of fine art by highlighting some features of the craft restrained in pure art. Meanwhile, feminists found a potential of female aesthetics from the craft containing labors of women. As a main household work, the needlework was viewed as a females' culture containing narratives of their lives, so actively adopted by feminists. As the modern art is diversified today, a lot of domestic and foreign artists select the needlework as a formative language. The backgrounds of this situation include reception of liberal expressions and openness. Moreover, boundaries between various medium and genres become ambiguous, and also practical skills in daily life can be naturally included in the art. This paper examines what aesthetic features the needlework and handcraft have in the modern art, which are primary formative languages in the author's works, based on the contents above. Ornaments, handcrafts, labors, simple hand skills and figurate properties, finality, daily patterns and behavioral repetitions are key words explicating the author's works. The handcrafts have been closely connected with daily lives of human beings by crossing cultural, social, spatial/temporal limitations, based on fundamental activities constituting lives of human beings. The handcraft, an activity by human's hands contains humanistic emotions because workers directly touch and dominate. Therefore, the work is multilateral each time, according to states and emotions of workers. Since it is impossible to work uniformly, a product has unique and singular value. In addition, peculiarly tactile and warm emotions are felt and it has naturally aesthetic qualities, since it is along with humans' warmth during long work process. The author involves the needlework in art works, which has been regarded as only a category of general household work or a technology. The needlework, making a stitch is to permanently inscribe a lost landscape. This activity recovers time and space by filling them with the author's loves and wishes. It is also to cure some wounds of a city which has been built and demolished again and again, as the general function of needlework is recover and reproduce by patching torn and burst parts. The accumulation of stitches repeated thousands of times is that of time every single moment and also the physical inscription of temporality through physical activities. Ultimately, memories and emotions of things which disappeared into times are tied with the needlework. As needles and threads tie up and connect something, the author provides aesthetic experiences for appreciators by associating them and works through the needlework process. Thus, this study would examine artistic meanings and aesthetic qualities of the needlework by hand, a primary formative language of the author. 우리는 현재 많은 것들을 ‘예술’이라 부르는 시대에 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예술의 범주에는 음악과 미술, 건축, 무용 등이 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패션과 미용, 요리, 과학기술 이외 실용적 목적을 지닌 일상의 기술 분야까지도 어렵지 않게 예술이란 말을 사용한다. 18세기에 예술이 순수예술과 공예로 분리되기 이전, 예술은 인간의 일상생활 속 모든 활동을 포함하는 것으로 오늘날의 예술개념보다 광범위하였다. 이것은 고대시대부터 이어온 예술개념으로, 중세를 거쳐 ‘예술’이 ‘순수예술’과 ‘공예’로 분리되기 시작한 과도기적 상황의 르네상스 시대까지 이어져왔다. 예술에서 공예의 분리는 18세기 아카데미 설립과 순수 예술가들의 지위고양으로 인해 순수예술기준이 확립되면서 결정적인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또한 일상생활과 목적성을 배제하는 칸트의 미학 이론은 이에 확고한 뒷받침이 되어주었다. 이러한 근대예술체계는 19세기 사회 내에서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게 되었고, 공예는 순수예술의 하위개념으로 여겨지면서 가치 폄하되어 비주류로 전락한다. 그러나 이러한 근대예술체계에서도 공예를 옹호하는 예술가들의 움직임이 이어져 왔다. 19세기 후반 실용적인 공예의 미를 예찬하는 ‘예술공예운동(Arts and Crafts Movement)과 1970년에 일어난 ‘패턴 페인팅(Pattern Painting)’이 그 주요 움직임이다. 특히 ‘패턴 페인팅’은 순수예술에서 제약이 되었던 공예의 성격을 오히려 부각시켜 미술의 위계에 전복을 꾀하려했다. 한편,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의 노동을 담고 있는 공예에서 여성미학의 가능성을 찾았다. 바느질은 여성의 주된 가사업무로써 여성 삶의 서사를 담고 있는 여성의 문화라고 보아 페미니스트들에 의해 적극 채택된다. 오늘날 현대예술의 다원화로 국내외 많은 작가들은 그들의 조형언어로써 바느질을 선택하였다. 이러한 배경에는 현대예술의 자유로운 표현에 대한 수용과 개방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더불어 다양한 매체와 장르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과학기술이나 일상의 실용적인 기술 또한 자연스럽게 예술 안으로 들어올 수 있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본인의 작업에 주요한 조형언어인 바느질과 수공이 현대미술에서 어떤 미학적 특질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하여 밝힌다. 장식적인 것, 수공성, 노동, 단순한 손기술, 장식적, 목적성, 일상성, 신체반복 행위는 본인 작업을 설명하는 주된 키워드이다. 수공은 인간 삶의 근간을 이루는 기본적인 활동으로 문화적, 사회적, 시공간의 한계를 뛰어넘어 인간의 일상적인 삶과 밀접하게 이어져 왔다. 인간의 손 활동인 수공은 작업자가 직접 만지고 통솔하기 때문에 인간적인 정서를 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작업자의 상황과 감정 상태에 따라 작업은 매번 다변적이다. 획일적인 작업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과물은 개성적이며 유일한 독자적인 가치를 갖는다. 또한 오랜 작업과정 동안 인간의 온기와 함께한 연유로 특유의 촉각적이고 따뜻한 감성이 묻어나며 자연스러운 미적 특질을 지닌다. 본인은 일반적인 가사 활동, 혹은 공예의 한 범주로만 치부되었던 손바느질을 예술작품 안으로 끌어왔다. 실을 꿰어 천위에 한땀 한땀 놓는 바느질은 사라진 풍경을 영원하게 새기는 작업이다. 이것은 본인의 애착과 염원을 담아 시간과 공간을 다시 회복하게 만드는 행위이다. 또한 바느질의 일반적인 기능이 찢겨지고 터진 곳을 이어붙여 재생과 복원의 기능을 지니듯, 쌓고 허물기를 수없이 반복한 도시의 상처를 치유하는 것이다. 수천 번 반복으로 인한 바늘땀의 집적은 매 순간의 시간의 축적이며, 신체행위를 통해 시간성을 물리적으로 새기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시간 속으로 사라진 것들의 기억과 감정을 바느질로 얽는다. 바늘과 실이 무언가를 엮고 이어주듯, 본인은 바느질 작업을 통해 작품과 감상자를 엮어 감상자에게 미적경험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본인의 주요한 조형언어인 손바느질이 예술로써 갖는 의미와 미적 특질을 연구하고자 한다.

      •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평가와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김민서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In this study, a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by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e school of dream program,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perated to help learners in Yeoncheon area realize the importance of self-exploration, creativity, imagination, sense of community, and understanding and value of regional cultural heritage was selected for research and the operation cases of the program was examined based on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chievements of the program on regional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regional culture development based on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in Yeoncheon, which was implemented as part of the Gyeonggi school of dream program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planned by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s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Yeoncheon area has its significance in understanding the operational method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and strengthening the prom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regional cultural heritage of Yeoncheon. This study approached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developing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by evaluating the program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curriculum and participating learners, and analyzing the effect. In this study, effectiveness, relevance, responsiveness, and suitability were set as analysis criteria for the analysis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for case study.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the effect of direct outcomes on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regional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was analyzed through the factors including awarenes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self-direction through self-inquiry, creativity and imagination, sense of community, and understanding of regional cultural heritage. Through this relationship investigation, suggestions on the importance of the development plan for regional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regional cultural heritage were presented. This study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perated in 2020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in Yeoncheon area, and the evaluated program was presented as an analysis subject.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interviews with 9 participants of the Yeoncheon-gun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regional cultural heritage. It was found that this program increased the fidelity by expanding the scope of activities and fostering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of learners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participating learners and professional artists, centered on the self-examination of local learners. Second, the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was shown to have high suitability in a situation where the planning conditions were relatively poor. In this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the PM, who operated <Gyeonggi School of Dreams>, was found to be actively operating various art media by discussing ways to deal with the situation in order to spread and promote regional cultural heritage and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and the program was found to operate appropriately for the purpose of the program. Third,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was focusing on achieving both the goals and purpose of the program expected by the participants through understanding regional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of various artistic media and programs such as physical activity and art party.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cultural heritage and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indirectly helped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Fourth,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as one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had been playing important role with planning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by sharing self-directed ability process, sense of community, imagination and creativity through self-exploration of participating learners and is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by greatly helping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new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hidden in the Yeoncheon region. Fifth, considering that the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still lacks the participation of learners, there are possibilities for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of the Yeoncheon area to develop through the further participation of local learners in this program and by teaching the knowledg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regional cultural heritage to those who have alread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t is found that the foundation for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in Yeoncheon was formed.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is a regional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helping participating learners to engage in and experience regional cultural heritage and culture and art education together.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growth of participating learners of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expand and operate programs that can recognize the fusion of local cultural heritage and culture and art education. Second,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a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was composed by actively reflecting the opinions of participating learners as a local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introduce it as a sustainable local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in the future, the opinions of participating learners in their fields of interest should be actively accepted, encouraging their participation by inducing positive experiences through questionnaires or experiential activities that can find the interests and aptitudes of participating learners, preparing a plan to reflect the interests of learners as much as possible. Third,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was found to be providing high satisfaction to the program by well understanding the needs, preferences and values ​​of participating learners in the course of the program. A strategy should be prepared to accommodate and improve the complaints of the participating learners with immediate feedback, and to communicate with the operation instructors and the participating learners to obtain more valuable results through the meeting. Fourth, in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classes were conducted appropriately through a meeting of participating learners, operating instructors, and experts. Howeve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lass system through collaboration with experts and professional arts organizations for more subdivided and diverse programs for appropriate classes for participating learners and operating instructors. Fifth, in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it was confirmed that participating learners had improved their self-direction ability while recognizing, exploring, and expressing themselves through the program.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programs for the cultivation of positive thinking and healthy mentality of participatory learners. Sixth,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was found to improve imagination and creativity by inducing various expressions of participants through various art media. Strategies should be devised to expand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ng learners to generate their own ideas so that they can develop more diverse perspectives and ideas, as well as rich imagination and creativity. Seventh, in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ng learners improved their sense of community and social skills in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through communication, understanding, and compromise. Considering that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activities affect the social interactions of participating learner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twork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in cooperation with variou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Eighth,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was found to make the participants recognize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Yeoncheon area, expand the knowledge base, an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egional cultural heritage. Therefore, a system for diversifying regional cultural heritage should be prepared to develop it into experiential activities and regional cultural experiences to increase the level of interest.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연천지역 학습자들에게 자아탐구, 창의력과 상상력, 공동체 의식, 지역문화유산의 이해와 가치의 소중함을 깨닫 게 하는 경기도 교육청 꿈의 학교 프로그램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을 연구 선정하여 운영사례를 질적 연구 방 법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교육청에서 기획한 경기 꿈의 학교 프 로그램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프로그램을 연천지역에서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기획과 실행과정을 근거로 지역문화예 술교육과 지역문화 발전에 대한 성과를 분석하는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연천군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은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발전에 필요한 운영 방법을 이해하여, 문화예술교육 과 연천군의 지역문화유산 진흥 강화에 의미를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문화예 술교육프로그램의 교육과정과 참여 학습자들이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평가하 고 효과를 분석하여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발전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를 위해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 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의 과정 분석은 효과성, 적절성, 대응성, 적합성을 분석기 준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효과는 문화예술교육프로 그램의 인식, 자아탐구를 통한 자기주도능력과 자기표현, 창의력과 상상력, 공 동체 의식, 지역문화유산의 이해를 통해 지역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발전 확장 에 대한 직접적 결과의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관계 규명을 통해 문화 예술교육과 지역문화유산을 통해 지역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발전방안의 중 요성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연천지역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해 2020년 운영 한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실적을 중심으로 평가하고, 평가된 프로그램을 분석대상으로 제시하였다. 분석은 연천 군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참여자 9인을 대상으로 한 질문지 인터 뷰 내용을 토대로 진행되었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은 문화예술교육과 지역문화유산에 대한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리고 이 프로그램은 지역 참여 학습자의 자아탐구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프 로그램 참여 학습자와 전문 예술인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참여 학습자들의 문 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육성과 활동 범위를 확대하고, 충실도를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은 추진하고 있는 기획 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적합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 었다. 이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경기 꿈의 학교>를 운영하던 PM이 지역 지역문화유산과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확산 및 진흥시키기 위하여 적극적인 상황 대처 방안을 논의하여 다양한 예술 매체를 적극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프로그램의 목적에 적합하게 운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은 지역문화유산의 이해, 다양한 예술 매체 활용, 신체활동과 아트파티로 참여자 참 여한 인원들의 프로그램 목표와 취지에 모두 달성하도록 노력하였으며, 문화 예술교육프로그램이 지역문화유산과 문화예술교육의 발전에 더 많이 긍정적 효과를 가져왔으며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발전에는 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은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하나로 참여 학습자들의 자아탐구를 통해 자기 주도 적 능력 과정과 공동체 의식, 상상력과 창의성을 공유함으로 문화예술교육프 로그램 기획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연천지역의 숨어 있는 새로운 물적‧ 인 적자원을 통해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크게 도움이 되어 전문성 향상에 기 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은 아직은 학습자들의 참여가 부족하고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를 앞 으로 지역학습자들이 참여하여 연천군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이 발전할 수 갈 수 있도록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으며 프로그램을 참여하여 기존에 참여하 고 있던 인원들에게 문화예술교육과 지역문화유산에 이해에 대한 지식을 알고 연천지역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기반을 확충할 수 있는 기반이 형성 되어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분석 결과에서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은 지역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으로 참여 학습자들이 지역문화유산과 문화예술교 육을 함께 활동을 경험하였다. 따라서 지역문화예술교육이 참여 학습자들의 성장 향상을 위해서 지역의 문화유산과 문화예술교육의 융합을 인지할 수 있는 프로그 램을 확대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 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은 지역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으로서 참여 학습자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구성되었다. 앞으로 지속 가능한 지역문화예술교육프 로그램으로 도입하기 위해서 참여 학습자들의 관심 분야를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 용하고 참여 학습자들의 흥미와 적성을 찾을 수 있는 설문 또는 체험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경험을 유도하여 참여 학습자들의 관심 분야를 최대한 반영할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은 참여 학습자들이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의 요구와 선호 그리고 가치를 잘 파악하여 프로그램의 높은 만족감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참여 학습자들 의 불만 사항들을 즉각적인 피드백으로 수용하여 개선하고 운영 강사들과 참 여 학습자들이 회의를 통하여 더 가치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넷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은 참여 학습자들과 운영 강사 그리고 전문가들의 회의를 통하여 적절하게 수 업이 진행되었지만, 참여 학습자와 운영 강사들의 적합한 수업을 위해서 더 세분화되고 다양한 분야의 프로그램을 전문가와 전문예술단체와 협업을 통한 수업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 다섯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 램은 참여 학습자들은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 학습자의 자아를 인지하고 탐구 하고 표현하면서 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자기 주도 능력이 향상되었다. 앞으 로 더 나아가 참여 학습자들의 참여 학습자들이 긍정적인 사고하고 건강한 정 신함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야 한다. 여섯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은 다양한 예술 매체를 통하여 다양한 표현을 통해 상상력과 창의성을 향상시 킬 수 있었다. 참여 학습자들이 더 다양한 관점과 생각의 발상 그리고 풍부한 상 상력과 창의력 함양을 위해서 참여 학습자가 직접 아이디어를 낼 기회를 확대하 는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일곱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 램을 통해 참여 학습자들이 소통과 이해 그리고 타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공동체 의식과 사회성이 향상되었다. 이처럼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활동이 참여 학습자들의 사회적 상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하여 여러 기관과 단체와 협력하여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야 한다. 여덟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 램은 연천지역의 문화유산을 인지하고 지식기반 확충과 지역문화유산의 중요 성을 인지하게 되었다. 따라서 지역문화유산을 관심도를 높이기 위한 체험활 동과 지역문화 체험으로 전개할 수 있는 다양화하는 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 국내 아마추어 오케스트라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은진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Since the gradual institutionalization of the 5 days of weekly work in 2004, there have been lot of changes in our society. Particularly, leisure activities like hobbies have been attracting interests as people have more time for leisure. According to L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proactive leisure activities for satisfaction of sufficient indulgence, rather than spontaneous and brief pleasure, are increasing. As level of indulgence in leisure activities increases, tendencies to increase expertise are found. Usually people enjoy leisure activities with ease unlike their job, but there are growing number of people who do not refrain from investing their time, efforts and money to achieve specialized level of ability in various activities such as sports, painting, playing of musical instrument, etc. Activities of amateur orchestra is one of such activities. In Korea, amateur orchestras were organized for the first time in late 1920s mainly in a few universities. Since then, amateur orchestras continued to be organized and operated, but that sort of orchestras, which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ose of today - that is, being organized for consistent leisure activities, have emerged in the late 1990s. 'Amateur' is the antonym to ‘professional’, and can be defined as the person who enjoys arts, sports, etc. as a hobby. Therefore, amateur orchestra is an orchestra which is comprised of people who intend to play music as one of their hobbies. This study has conducted research and analysis for the 3 categories of amateur orchestras: those of undergraduate students, adolescents and adults. However, it was not easy to even find out the exact number of the organizations for any category of the orchestras, and specific details on operations of the organizations inevitably were available only for some of the orchestras. The insufficient availability of information stems from the fact that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some of them have been discontinued or dismissed due to difficulties in operations and some of them were being prepared to be organized. However, number of the amateur orchestras, that is estimated on the basis of data collected, as of the date of this study is 247 in total. Among the total number of the amateur orchestras, there were 80 university orchestras, 120 adolescent orchestras and 47 adult orchestras. What is the motive for participation in such amateur orchestras? How much are they satisfied and what are some of the problems they find with their practices and concerts? What do they want in the future? As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conducted for 200 subjects who are participating in the amateur orchestras, this study has found the following answers. Most of all, members of the orchestras were energetically participating in their practices just because they enjoy their practices, and considered their participation in the orchestras as the best leisure activities. The fact that they consider 'satisfaction in hobby and leisure activities' and 'pleasure of improvement in musical playing ability' as the foremost motives of participation apparently reveals the above recognitions. However, there were also aspects that were inconvenient or needs to be improved regarding group practice. They stem from origin of the amateur orchestras, and include: conspicuous dissatisfaction with the conditions of practicing rooms and inability to produce harmonized music, which is essential in the orchestra, due to the imbalance in which orchestra members are generally short of demand in the woodwind and brass instruments. However, the most worst problem is the fact that financial resources of the orchestras are not sufficient and their practices and concerts cannot be sustained only by the membership fees. In summary, members of the amateur orchestras actively participates in the group practices for self-achievement but there are several problems such as inferior conditions of practicing rooms, insufficient financial resources for operations of orchestra, and imbalance in composition of orchestra members. This study proposes alternatives to the problems as follows. Firstly, the problem in composition of orchestra members. The most important resources in an amateur orchestra is its members. However, most of orchestras have insufficient members and especially there tends to be many parts that are in need of additional members due to overcrowding in particular parts. To re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beef up the composition of members by providing a certain incentive for members in case of performing in a concert or volunteering for the orchestra or by providing a concert plan or consistent lesson for the purpose of satisfying the members with achievement. Secondly, the insufficient financial resources for operations of orchestra. Some local governments sponsor concerts of amateur orchestra. However, such cases are rare in reality. In the meantime, another alternative can be considered in which an amateur orchestra is designated as an art organization with expertise so that it can be allowed to use some facilities for its practice. If an organization is designated as an art organization with expertise, it can benefit from administrative supports, such as renting of public facilities, use of facilities at no cost and the like, in accordance wit by-laws of individual municipal/provincial governments. Thirdly, improvement of environments for practicing rooms. The members are considerably dissatisfied with the conditions of practicing rooms as was revealed in the questionnaire. If this problem is not tackled, it will end up in an indesirable result for amateur orchestras from which cessation is allowed at any time. Fourthly, promotion of inter-relationship among amateur orchestras. If amateur orchestras share information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their circumstances shall be further improved. Lastly, support for the amateur arts activities through governmental policies. There can be some assertion saying that supporting amateur arts organizations doesn't make sense in a situation in which even professional arts organizations cannot be sufficiently supported. However, voluntary participation in arts activities is proved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while providing opportunities for development of individual capabilities. It is our reality that systematic supporting of cultural activities in daily life of our society is still in early stag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provide some supports for cultural activities of amateur organizations but they are just short-term, irregular and project-oriented supports. Support for the cultural activities in daily life has the function by which relationship within a concerned community is improved through the cultural activities and cultural communities can be organized through the support. If such system can be stabilized and administered soon enough, the amateur orchestras shall rapidly grow and prosper in near future. 2004년부터 단계적으로 주 5일제 근무가 시행되면서 우리사회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노동시간의 단축과 맞물려 여가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레저나 취미활동 등과 같은 여가활동이 새롭게 각광을 받고 있다. LG경제연구원의 연구 최경운, ‘한국인의 여가가 변하고 있다’, LG경제연구소 LG Business Insight, 2010, P.45 에 의하면 즉각적이고 짧은 즐거움이 아닌 충만한 몰입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능동적인 여가활동이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여가활동에 대한 몰입도가 높아지면서 전문성을 키우려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다. 여가나 취미활동은 일과 다르게 부담 없이 가볍게 즐기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스포츠, 그림, 악기연주 등과 같은 다양한 영역에서 전문적인 수준의 실력을 갖추기 위해서 시간과 노력, 그리고 금전적 투자를 아끼지 않는 사람들이 생기고 있다. 아마추어 오케스트라 활동도 이러한 경향의 하나라고 하겠다. 우리나라에서 아마추어 오케스트라가 생성된 것은 1920년대 후반으로 일부 대학을 중심으로 결성되어 활동하였고 그 이후에도 대학 또는 일반 동호인 중심으로 아마추어 오케스트라를 결성하여 활동하였지만, 오늘날과 같은 개념의 아마추어 오케스트라, 예컨대 여가활동의 하나로 오케스트라를 구성하고 지속적인 활동을 하기 시작한 것은 90년대 후반 이후라고 하겠다. ‘아마추어’란 ‘프로페셔널’에 대비되는 말로 ‘예술이나 스포츠, 기술 따위를 취미로 삼아 즐겨 하는 사람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아마추어 오케스트라는 취미로 음악연주를 함께하기 위하여 모인 사람들로 구성된 오케스트라라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아마추어 오케스트라를 대학아마추어오케스트라, 청소년 아마추어 오케스트라, 그리고 순수한 동호인 중심의 아마추어 오케스트라로 구분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도 정확한 단체 수 조차 파악하기가 쉽지 않았고 더구나 세부적 운영 현황 파악은 일부 오케스트라로 제한할 수밖에 없었다. 오랫동안 활동을 하였으나 운영상의 어려움으로 활동을 중단했거나 해체된 경우도 있고 새롭게 창단을 준비하는 단체도 많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산출한 아마추어 오케스트라의 수는 모두 247개 단체이다. 그 중 대학 오케스트라가 80개 단체, 청소년 오케스트라가 120개 단체, 동호인 중심 아마추어 오케스트라가 47개 단체였다. 이러한 아마추어 오케스트라에 연주단원으로 참여하는 동기는 무엇일까, 그리고 참여하여 단체 연습 및 연주활동을 하면서 느낀 만족도나 문제점, 향후 바라는 점은 무엇일까. 본 연구에서는 현재 아마추어 오케스트라에서 단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2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해답을 얻을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단원들은 단체연습 자체가 즐거워서 열성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연주단원으로 활동 하는 것을 최선의 여가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아마추어 오케스트라 참여 동기로 ‘취미 및 여가활동의 만족’, ‘음악 연주실력 숙달의 즐거움’을 최우선으로 꼽고 있는 것은 이러한 인식을 극명하게 나타내고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단체연습을 하면서 불편한 점, 개선해야 될 점도 있었다. 아마추어 오케스트라의 태생적 한계이기도 하지만, 연습실 환경에 대한 불만이 가장 높았고, 단원의 구성이 특정 악기, 예컨대 바이올린, 첼로 등과 같이 현악기에 편중되어있어 오케스트라 연주에 필요한 균형 잡힌 음악을 만들어 낼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가장 심각한 문제는 악단 운영 재원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다. 단원들이 납부하는 회비만으로는 연습과 공연을 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아마추어 오케스트라 단원들은 자아성취를 위해 단체연습에 열심히 참석하고 있지만, 연습 공간 환경이 좋지 않고 운영재원이 부족하며, 파트별로 고른 악기연주자를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단원확보에 관한 부분이다. 아마추어 단체에서 가장 큰 재원은 단원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단체가 충분한 단원을 보유하지 못하고 있고, 더욱이 특정악기에 인원이 몰려 부족한 파트가 많이 생기고 있다. 이를 위해 단원들에게 연주시나 단체에 봉사 시 소정의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던지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연주기획 및 지속적인 악기레슨 등을 제공해 단원확보를 위해 힘써야 한다. 둘째, 재원확보에 관한 부분이다.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아마추어 예술단체의 공연에 지원을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충분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전문예술 법인 단체로 지정받아 최소한의 연습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다. 전문예술단체로 지정되면 각 시&#8228;도별 조례에 근거하여 공공시설의 대관, 시설 무상 제공 등 기타 행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셋째, 단체 연습실 등의 환경개선이다.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단원들은 연습실 내 환경에 불만이 적지 않았다. 이를 개선하려 노력하지 않는다면 이는 탈퇴가 자유로운 아마추어 단체에 결코 좋은 결과를 가져 올 수 없다. 넷째, 아마추어 예술단체들 끼리 교류증진에 힘써야 한다. 아마추어 단체들끼리 서로 정보도 공유하고 발전을 위해 협력한다면 아마추어 단체에 더 큰 발전이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아마추어 예술 활동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 프로페셔널 예술단체에 대한 지원도 미흡한 실정에서 아마추어 예술단체에까지 지원을 해 줘야 하느냐 하는 문제 제기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자발적인 예술참여 활동은 개인에게는 자기계발의 호기가 될 수 있는 한편 지역사회와 공동체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우리사회에서 생활 속 문화 예술 활동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시스템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는 것이 현실이다.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아마추어 문화 예술 활동에 대한 지원을 하고 있지만, 단기적, 비정기적, 사업 중심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생활 속 문화 예술 활동에 대한 지원은 문화 예술을 매개로 지역의 공동체 관계를 회복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지역 내 문화예술 공동체 형성을 구축할 수 있다. 이런 체제를 정착시키고 행정화 하는 작업이 하루 빨리 이루어진다면 아마추어 오케스트라의 빠른 성장과 부흥을 이뤄낼 것으로 본다.

      • 해외선교에서의 문화예술 활용사례 연구

        강은주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21세는 문화예술이 주도하는 시대이며 문화예술은 우리 사회에서 핵심적 국가 경쟁요소이자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정책 중 하나이다. 이러한 현상은 기독교 활동에도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현재 기독교는 세계적으로 변화의 전 환점을 맞아, 내적 및 외적으로 많은 개혁이 일어나고 있다. 이는 곧 현 시대에 서 문화예술을 수용하고 문화예술을 통해 교회의 소통과 사회 속에서의 역할, 선 교전략 등 문화예술을 매개체로 하여 문화예술선교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해외선교영역에서 문화예술을 적용한 문화예술 전문인선교사와 문 화예술선교단체의 현황조사 및 사례들을 비교 분석하여 문화예술을 통한 해외선 교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현재를 진단하며 선교에 있어서 문화예술의 활 용을 모색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또한 다음세대 선교에 있어 문화예술 활성 화의 대안 및 제안을 이끌어 내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결과 문화예술을 통한 선교는 일방적인 선교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연대차원의 선교 즉 쌍방향으로서 상대방의 문화에 대해 인정하는 운명공동체적 연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교지 와의 소통, 선교지의 사회와 연계 점 을 가지기 위해서는 현지와의 연합과 협력체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외선교에 있어서 문화예술을 통해 선교전략으로 대두되고 있는 전문인선교사 와 청소년 및 젊은 세대들의 선교 적 문화예술 활동으로 인하여 기존의 선교전 략보다 우리의 컨텐츠를 보급하고 해당국에 우리의 문화예술을 가르치며 전파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 분석으로 나타난 문화예술전문인선교사와 문화 예술선교단체의 활성화에 대한 대안 및 제안은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예술을 통한 해외선교는 곧 협력체계를 가진 하나의 도구로서 현지 와 협력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선교지, 문화예술전문인선교사, 문화예술선교단체 등 정보교류와 네트워 크 형성을 통해 정보교류 협력 체제시스템을 구축하여 협력하고 공유할 수 있는 체계가 되어야 한다. 셋째, 해외선교에서의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분석결과 음악에서 그 활동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예술선교가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문화예술선교와 관련된 문화예술전문인양성을 위한 학교, 기관이 만들어져야 함 을 제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분석에 따라 해외선교에서의 문화예술 활용 현황과 사례들을 비 교 분석하여 앞으로 한국교회의 세계선교에 있어서 새로운 대안과 전략적인 선 교환경을 만들며 다음세대를 위한 문화예술선교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Culture and art take a leading role in 21st century, they are core competency in our society, and one of the fields that require a policy for continuous development. Christian activities are under this influence as well and are facing many reforms in and out. This is because churches are embracing culture and art and using them as a mechanism through which they actively go out for mission finding their role as a church in a society and building strategies for mission. This research examines the present of overseas mission activities using culture and art by comparing current states and cases, focuses on application of culture and art on mission, and has its purpose on drawing suggestions to invigorate culture and art for the mission of the next generation. This research found that mission requires mutual consent requiring a connection as a unit with common destiny with acknowledgement on each other’s culture, and it also needs collaboration and connection with locals to have links to societies and to communicate in mission field. In addition, professional missionaries, who are rising as a strategy for overseas mission, and culture and art mission activities of young adults are supplying our contents and teaching and spreading our culture and art more than existing mission strategies. This analysis found the following methods and suggestions to activate culture and art professional missionaries and organizations. First, overseas mission using culture and art as a tool for collaboration requires a policy to have connection with locals. Second, mission field, culture and art professional missionaries and organizations need network to exchange information and to build a system to share and cooperate. Third, it turns out that music takes the biggest portion of culture and art activities in overseas mission. It suggests that, to diversify the fields of culture and art mission, school and organizations are needed to cultivate professionals for various culture and art mission.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e and cases in using culture and art in overseas mission and aims to provide a new method and strategic mission environment to Korean churches and to prepare a stepping stone of culture and art mission for the next generation.

      • 국내 문화예술 정책연구 경향 분석 (2007∼2016) : 정부·광역지자체 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를 중심으로

        백현태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Culture and art are the strong resources, ideology, history of country and the heritage which can be handed over to the coming age. Korean are a people with immemorial historical background and we have been inherited fine culture and art and cultural policies for protecting them have been enforced. Now Korean culture and arts polices can be seen to have been started since 1970s.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Day, fifth day of August 1945, Korea had vestiges of Japanese imperialism to be cleared off promptly and Korean War which broke out on account of ideology differences laid all the key industrial complexes in ash and caused the loss of economic power and severe famine. In these phases of time, culture and art were regarded as luxurious and only for the elite by the public therefore they were hard to be realized in the national policy. For Culture and Art Promotion Acts was established in 1972, full-fledged Culture and Arts policy set cornerstone of support and through the foundation of Korean Culture and Art Foundation, Culture and Art Promotion Fund-Raising started and built five-year revival project of art and literature. However, those policies during Yushin regime included artist control and censorship by state-run system and this widened cultural inter-regional inequality. Later, inaugurated Civilian Government seeking for balanced development and higher degrees of enjoyment of culture started autonomous local government system and tried to expand cultural programs and facilities. Finally local culture and art policies have been transformed to adapt features of each local and are pursuing improvement of life quality via balanced development. This paper deals with the utilization form of local government’s culture and arts policy which was enforced since Civilian Government by the various regions. And it is the study on policy-trend judged by the report of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ion and researchers in local-government and we make the statistical indicator which people can get the degrees of utilization based on.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ion and 14 Korean broader unit/local governments researchers issued 934 cases of culture and art-related-policy research report. Research reports classified as 10 divisions of Cultural Industry, Local Culture, Cultural Basic Facilities, Cultural Welfare, Cultural Betterment, Indicators Development, Artistic Promotion, International Culture, Man-power Policy, Financial System is analyzed by 3 sectors: Years, Regions, Fields. First is trend analysis by the years. There has been total 943 cases of research report for 10 years. 84 cases in 2007, 85 cases in 2008, 83 cases in 2009, 81 cases in 2010, 100 cases in 2011, 102 cases in 2012, 101 cases in 2013, 109 cases in 2014, 96 cases in 2015 and 102 cases in 2016. Average 94 cases of researches have been reported, average 83 cases were reported from 2007 to 2010 and average 101 cases from 2011 to 2016 increased 18 cases a year. In overall, ceaseless studies on policy were progressed and these were seen as the effects of balanced development including special account for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In 1990s by the decentralization of power, regional research institution opened and on 2016, Daejeon Sejong Research Institution made its debut, too. Now 14 research institutions of local government and Korea Culture Tourism Institution study Culture and arts policy and try to improve and keep policy. This way, the active role of local policy research institutions and balanced-development policy enabled local cultural infrastructure and local cultural industry support resulting in consistent research report. Second is trend analysis by the regions. Central governmental institution, Korea Culture and Tourism Research Institution account for 37% and there has been 346 cases of overall research activities on Korean Culture and Arts policy. Looking at the research cases by each local institution, there have been 63 cases by Seoul Institution, 30 cases by Gyeongi Institution, 35 cases by Incheon developmental Institution, Daejeon Sejong Institution, 27 cases by Gwangju Jeonnam Institution, 48 cases by Jeonbuk Institution, 88 cases by Gangwon Institution, 25 cases by Ulsan Developmental Institution 38 cases by Chungbuk Institution, 50 cases by Chungnam Institution, 58 cases by Daegu Kyungbuk Institution, 30 cases by Kyungnam Developmental Institution, 33 cases by Busan Developmental Institution and 31 cases by Jeju Institution. Gangwon Institution reported 88 cases and this accounts for 9% of total cases as the festival-related research activities have been increased for recent years. The number of total festival-related research reports is 63 and 23 them are reports by Gangwon Institution. Most of them are talking about assessment and plans for development. Third is trend analysis by the fields. This paper is classified as 10 fields of Culture and Arts policy. 268 cases of Cultural Industry, 238 cases of Local Culture, 97 cases of Cultural Basic Facilities, 79 cases of Cultural Welfare, 74 cases of Cultural Betterment, 57 cases of Indicators Development, 51 cases of Artistic Promotion, 38 cases of International Culture, 32 cases of Man-power Policy and 9 cases of Financial System. Cultural Industry takes up the biggest part as 28% of total, Local Culture accounts for 25% and Cultural Basic Facilities and Cultural Welfare follow. Wide spectrums of cultural industry made a big influence in addition Korean wave and content business having emerged as higher value added industry took up a large amount of percent. And also after the set of local self-government system, there has been trials for developing local products and programs such as local festival where people can taste own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Now, the various contents have become the major resources of nation’s industry in these times. Culture has been subdivided therefore improvement of policy and the range of policy research are getting widen. The other fields except for culture and arts are being studied on their trend analysis. However, due to the vagueness of boundary, culture and arts lack of trend analysis materials. Research reports by different governmental cultural polices were active. However, according to report of local research institution, quantities of culture and arts polices are only a few for the last 10 years. Culture and Arts of Modern society rapidly move to software system however local cultural industry is still staying in hardware such as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y. Especially, policy report is seldom if ever or only related to tourism or cultural property. They do not come up with the speed of current culture and arts trend and only imitate precedents. On the other side, along with the cultural industry, local cultural industry is changing its aim to the software and reflect its own features into cultural brand development. This paper mainly focused on policy-reports by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ion and researchers of 14 local-government. Therefore, this excluded activity of extra government and civilian. There is a possibility of minute error between research of center and local however the paper is based on documents of researchers in local comprehensive Policy Study Institution. Through this result, analysis on trend of policy of recent 10 years are able to be utilized as base line data to discuss of trend of culture and arts policy. 문화와 예술은 국가의 강력한 자원이자, 이념이며, 역사이고 후대에 물려줄 유산이다. 유구한 역사를 지닌 우리 민족은 오래 된 역사만큼이나 수려한 문화와 예술을 물려받았고 이를 지키고 지원하기 위한 정책 역시 과거부터 시행되었다. 현재 대한민국의 문화예술정책은 1970년대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1945년 8월 15일 해방 이후의 우리나라는 36년 간의 일제 강점기에서 벗어난 터라 국내 질서 확립과 일재 잔재 청산이 시급하였고 이념 차이로 발발된 6·25 전쟁은 남한에 모여 있던 주요산업시설을 초토화 시키며 국가경제력 상실과 국민의 극심한 빈곤을 야기하였다. 이와 같은 당시 시대상에서 문화예술은 상위 부유층이 즐기는 고급향유문화로 치부되었고 대다수의 국민들에겐 사치문화로 인식되었기에 국가정책으로 구현되기 어려웠다. 1972년 제정된 ‘문화예술진흥법’의 제정으로 본격적인 문화예술정책은 지원의 토대를 마련하게 되었고 1973년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을 설립하여 문예진흥기금 모금을 개시하며 문예중흥 5개년 계획을 수립하게 되었다. 하지만 유신체제 속에 수립 된 문화예술정책은 국가주도로 시행하며 예술인 통제와 검열을 거쳤으며 중앙 정부중심의 문화행정으로 지역과의 문화격차를 벌려놓게 되었다. 이후 출범한 문민정부는 균형발전과 문화향유 증대를 위하여 지방자치제로 분권하며 문화시설과 프로그램의 확충을 과제로 삼았고 지역문화예술정책은 지역별 특성에 맞게 변모하며 현재까지 균형 발전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문화예술 정책 수립 과정을 거치며 생긴 중앙 집권의 문화예술 정책이 문민정부 이후 시작된 지방자치제의 문화예술정책 중 지역별 활용 형태에 대해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각 지자체 연구원의 연구 보고서를 통하여 정책연구경향을 알아보고 이를 근거로 현재의 지역문화예술 정책의 활용 정도를 알아볼 수 있는 통계지표를 만들고자 한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전국 14개 광역·지자체 연구원은 2007년부터 2016년까지 문화예술 관련 정책 연구보고서는 934건 발행되었다. 문화산업, 지역문화, 문화기반시설, 문화복지, 정책개선, 지표개발, 예술진흥, 국제문화, 인력정책, 재정체계 등 10가지 영역으로 분류 된 연구보고서는 연도별, 지역별, 분야별 등 세 가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 번째, 연도별 경향 분석이다. 10년간 전체 연구보고 활동은 943건으로 2007년 84건, 2008년 85건, 2009년 83건, 2010년 81건, 2011년 100건, 2012년 102건, 2013년 101건, 2014년 109건, 2015년 96건, 2016년 102건이다. 평균 94건의 연구보고 활동이 매년 이루어졌는데 2007년부터 2010년까지는 평균 83건이었으며 2011년부터 2016년까지는 평균 101건으로 연간 18건으로 증가하였다. 1990년대 지방분권으로 지역별 연구원이 개원하였는데 2016년 기존의 대전연구원이 대전세종연구원으로 새롭게 개 원되며 현재 지자체 14개 연구원과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문화예술정책을 연구 하며 지역개발과 정책개선 및 유지를 위하여 활동 중이다. 이처럼 지역정책연구기관의 활동과 균형발전 정책으로 인한 지역문화기반시설 및 지역문화산업 지원 등으로 꾸준한 연구보고활동이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두 번째, 지역별 경향분석이다. 중앙 정부 소속기관인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전체 37%로 346건의 국내 문화예술 정책에 대한 전반적 연구 활동이 있었다. 각 지자체 연구원을 살펴보면 서울연구원 63건, 경기연구원 30건, 인천발전연구원 35건, 대전세종연구원 41건, 광주전남연구원 27건, 전북연구원 48건, 강원연구원 88건, 울산벌전연구원 25건, 충북연구원 38건, 충남연구원 50건, 대구경북연구원 58건, 경남발전연구원 30건,부산발전연구원 33건, 제주연구원 31건이다. 강원연구원은 88건으로 전체 9%의 비율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강원도에 산재되어 있는 축제 관련 연구보고가 증가함에 따라 전체 건수도 증가하였다. 전체 축제 관련 연구보고서는 총 63건인데 그 중 23건이 강원연구원의 연구보고서이며 대부분 평가 및 발전방안 연구가 주요를 이루었다. 세 번째, 분야별 경향 분석이다. 10가지 분류 된 문화예술정책 영역으로 각 연구보고서를 분류하였는데, 문화산업 268건, 지역문화 238건, 문화기반시설 97건, 문화복지 79건, 정책개선 74건, 지표개발 57건, 예술진흥 51건, 국제문화 38건, 인력정책 32건, 재정체계 9건이다. 문화산업이 전체 28%, 지역문화가 25%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문화기반 시설과 문화복지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문화산업이 가진 넓은 범주도 영향이 있지만 한류열풍과 콘텐츠 사업 등 문화산업이 국가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등장하며 전체 연구의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또한 지방자치제 이후 지역문화의 개발로 지역의 특성과 유산에 대한 상품 개발, 그리고 각 지역별 지역축제의 육성으로 많은 연구활동이 이어졌고 주요를 이루었다. 현대 사회가 가진 다양한 콘텐츠는 이제 국가 산업의 주요 자원이 되었고 그 범위 또한 세분화되어 정책의 개선과 정책연구의 범위 또한 넓어지며 변하고 있다. 문화예술 이외의 다른 분야는 현재 경향분석에 대한 활동이 다양하고 많이 연구되고 있는 반면, 문화예술은 경계의 모호함으로 경향분석 자료가 많지 않으며 최근 경향의 다각적 분석 자료도 드물다. 정부별 문화정책에 대한 연구 보고는 활발하지만 지역의 연구원 연구보고서를 살펴보면 10년간의 문화예술정책 범위와 양은 그리 많지 않다. 현대사회의 문화예술은 빠르게 소프트웨어로 이동하지만 지역의 문화산업은 아직 하드웨어 즉, 문화재 관리, 유산 보존, 전통문화 등에 머물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예술 관련 정책보고서는 없거나 1~2건에 그치며 나머지는 관광, 혹은 문화유산에 관계되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문화예술 속도에 미치지 못하고 과거 문화예술 정책연구에 대한 답습 현상이 보이고 있다. 한편으로 문화산업과 더불어 지역문화산업은 빠르게 성장 중이며 그 발전 가능성을 짐작하게 할 수 있다. 지역문화 분야별 연구 활동을 살펴보면 하드웨어 중심인 것들이 많지만 조금씩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변하고 있으며 지역 특성에 맞는 브랜드 개발과 자료보고 활동이 이어진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14개 지자체 연구원의 연구보고서를 중심으로 경향 분석이 이루어졌기에 민간 활동과 타 지자체의 시행활동에 대해서는 분석되지 않았다. 중앙과 지역의 문화예술정책과 연구 활동에 대한 오차는 있을 수 있지만 지역의 종합적인 정책 연구 시행기관인 연구원의 자료를 바탕으로 경향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하여 최근 10년간 예술에 도달하는 정책 변화를 분석하여 문화예술 정책사업의 현황 파악 및 기초자료로서 세부적인 지역문화예술발전이 이루어지길 소망한다.

      • 기업의 문화예술 분야 파트너십 유형에 관한 연구

        이지훈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contemporary society has a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and labor structure which increased leisure time of individual and brought economic growth. Thanks to physical fertility by economic growth, the level of living increased and people had desire on the quality of life besides basic life of cloth, meal and house. To achieve better quality of life, the interest in culture and art increased. As creativity is weighed high on the economic growth, the recognition of culture and art became more significant. In line with social trend focusing on culture and art, culture and art are widely used in the marketing of the corporation such as experience marketing that combines products with culture and art, culture marketing that creates customers through communication of various cultural contents like music, art and movie with consumers and artmarketing that adds art to products through collaboration with artists. Management paradigm of the corporation consider sustainable management, creation of shared value and innovation management together with non-financial performance such as ethics, environment and social issues in order to have differentiation with other companies seeking corporate value. While companies use culture and art as a strategy for such change, due to the specialty of culture and art, it is not easy to secure culture and art resources. As an alternative, partnership relation with NGO, art organization and local government is made to share complementary key capacity for effective culture and art activity. This study examined the case of partnership of culture and art activity of the corporation by types and compared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of partnership.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artnership by type, the study proposed preparation to form positive partnership with culture and art group and various partners. For this purpose, theories on general partnership were examined and case study was made in the category of alliance, collaboration, governance and public project type culture and art cooperation and sponsor which are widely used in culture and art area. As for the case of alliance such as Gmarket, NEFS and YG Entertainment, mediating group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lliance between the company and culture and art, which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ercise capacity of the company. While there are cases of business plan to specific beneficiary, But the scope of benefit is wide to provide participants of a specific project. But, there was no sustainable of the project and most projects were one-time project. Collaboration of Hyundai Motor Company, Samsonite and Samsung Electronics have executed capacity of production and partner tomaximize synergy. Most companies had direct effect of sales increase. Also, there was an opportunity to introduce existing customers of partner through collaboration and the corporate brand image was increased by giving a new image to the existing image. Governance of Lotte Duty Free Shop and GS Caltex with local government has a large size in finance over other partnership, and it had great effect in job creation and cultural art infrastructure. The role of each subject in the partnership was clearly allocated. While companies were mainly responsible for finance, local governments were for administrative part in the project and ARCON and NGOs planned specific items on the project. Public project type culture and art cooperation by Seoul Mecenat, Artswork and C-Festival promoted by the mediating organization is performed by the participation of companies having common objective and the role and function of mediating organization was more significant than any other types. In this case, companies does not seek mutual profit nor share capacity, but formed network in one project to specify business area and to expand its size. While sponsoring on culture and art area has strong character of 'support', when the cases of GS Caltex,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Hanwha Group and Amore Pacific were examined, many companies sponsored the business of mediating organization or supported artistic groups or artists that were matched with mediating organization. And, they could progressed the business more effectively through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partnership relation. Companies did not seek financial profit from sponsor, but sought positive corporate image and effective work performance by the satisfaction of employees on the companies. Companies could get effects from partnership such as expansion ofactivity size and scope, efficient link of resources, professionality of program, sustainable of business, creation of positive corporate image and securing new customers. Except for collaboration having numerical result as product sold-out, there was no data on accurate effect of collaboration. thus, no minute analysis was performed. The study was significant as it analyzed corporate culture and artistic activities by types in order to examine features and development plan. An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further studies on culture and art development plan and partnership. 현대사회는 산업구조와 노동구조의 변화로 개인의 여가시간이 늘어나고, 경제성장이 가져온 물질적 풍요로 인해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의·식·주 의 기본적인 생활 외에 삶의 질에 대한 욕구가 생기게 되었다. 더 나은 삶 을 위한 삶의 질 문제로 인해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경제발전 의 원동력으로 창의성을 중요시하면서 문화예술에 대한 인식도 중요해져가 고 있다. 이러한 문화예술을 중요시하는 사회적인 흐름 속에 기업의 마케팅 패러다 임도 제품과 문화예술을 접목해 제품을 인지시키는 체험 마케팅, 음악, 미 술, 영화 등의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고 객을 창출하는 문화 마케팅, 예술적 작가와의 협업을 통해 제품에 예술을 덧입히는 아트 마케팅 등 기업의 마케팅 전반에 문화예술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변화해 가고 있다. 기업의 경영 패러다임도 지속가능경영, 공유가치 창출, 혁신경영 등 재정 적 이익 외에 윤리, 환경, 사회문제 등 비재무성과에 대해서도 함께 고려하 여 다른 기업과의 차별화를 갖고, 기업 가치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기업은 이러한 변화를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 문화예술을 활용하고 있지 만, 문화예술이 갖고 있는 전문성으로 인해 기업 내에서 문화예술 관련 자 원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아, 이에 대한 대안으로 비영리기관, 예술단체, 지 자체 등과 같은 외부기관과 파트너 관계를 맺고, 상호 보완적인 핵심역량 을 공유함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문화예술 활동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의 문화예술 활동을 파트너십 유형별로 나누어 사례를 조 사하여, 각 유형별 파트너십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 그 분석을 토대로 문 화예술단체 및 다양한 파트너들이 기업과 긍정적인 파트너 관계 형성을 위 해 준비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일반적인 파트너십에 대한 이론들을 조사하였고, 문화예 술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는 제휴, 콜라보레이션, 거버넌스, 공공 프로젝트 형 문화예술 협력, 후원으로 유형을 나누어 사례 조사를 하였다. G마켓, 넵스, YG엔터테인먼트의 사례를 살펴보면 기업과 문화예술과의 제휴에는 매개단체의 역할이 컸으며, 기업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 는 기회가 많았다. 사업 목적을 정하고 그 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 수 혜가 갈 수 있도록 그 수혜대상의 범위가 넓었으나, 사업의 지속성이 있지 는 않았으며, 일회성으로 끝나는 사업이 대부분이었다. 현대자동차, 쌤소나이트, 삼성전자의 콜라보레이션은 기업이 갖고 있는 제 품 제작 등의 역량과 파트너의 역량이 가장 잘 발휘되어 시너지 효과가 극 대화되었고, 대부분의 기업은 매출 상승이라는 직접적인 효과를 보았다. 또한 파트너가 갖고 있는 기존 고객을 새롭게 유입할 수 있는 계기를 마 련하였고, 다른 기업들과 차별화된 제품을 통하여 기업의 기존 이미지에 새로운 이미지를 주어 기업 브랜드 가치를 상승시켰다. 롯데면세점, GS칼텍스가 지자체와의 협력으로 이루어진 거버넌스는 다른파트너십 유형 보다 가장 재정적인 규모가 컸으며, 지역의 일자리 창출, 문 화예술 인프라 조성 등에서 큰 효과가 있었다. 파트너십에 있어 각각의 주 체의 역할은 정확히 분담이 되어, 기업은 주로 재정을 담당하고, 지자체는 행정 관련 부분을, ARCON과 시민단체는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아이템 등 을 기획하였다. 서울메세나 아츠워크와 C-페스티벌의 공공 프로젝트 형 문화예술 협력은 매개단체가 추진하는 하나의 공통된 목적에 뜻이 맞는 기업들이 참여하여 파트너를 이루는 구조로, 어떤 파트너십 유형보다 매개단체의 기능과 역할 이 가장 컸다. 이 경우 기업들은 서로 간의 이익을 바라거나 서로의 역량 을 공유하지는 않았고, 하나의 프로젝트에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사업의 분 야를 세분화하고, 규모를 확장시키는 형태로만 협력을 하였다. 문화예술 분야의 후원은 일반적으로 ‘지원’의 의미가 강하나, GS칼텍스, 서울대학교병원, 한화그룹, 아모레퍼시픽의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기업들은 예술가들에게 단순히 재정적 지원을 하는 것에서 벗어나, 다양한 파트너와 협력하여 다른 수혜대상에게 후원을 하는 구조로서 활동을 하였다. 매개단체를 통하여 매칭 된 예술단체나 예술가들과 파트너십을 갖고 후원 하는 경우가 많았고, 활동의 특성에 따라 전문기관과 파트너 관계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사업을 진행하였다. 기업은 후원을 통해 재정적인 이익을 바라지 않았으며,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임직원들의 기업에 대한 만 족으로 인한 효과적인 업무 성과 창출 등 물질 이상의 가치를 추구하였다. 기업은 다양한 파트너십을 통해 활동 규모와 범위의 확장, 자원의 효율적 연계, 프로그램의 전문성, 사업의 지속성, 기업의 긍정적 이미지 창출, 새 로운 고객 확보라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제품의 완판이라는 수치적 결과가 나타난 콜라보레이션을 제외하고는 파트너십에 대한 정확한 효과에 대한 세부 자료가 없어 세밀한 분석이 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