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대학에서의 취·창업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지원방식에 대한 연구 : 국내대학 실용음악전공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청년실업률이 이제는 개인의 문제가 아닌 국가적문제로 인식하고 심각성을 느낀 바이며, 정부에서는 최근 5년간 청년실업의 해결책으로 10조원 이상을 투입하였지만 2018년 4일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지난 해 청년실업률은 9.9%로 역대 최고 수치를 보였다. 또한 높은 청년실업률에 비해서 사회는 낮은 고용률로 일자리부족현상까지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청년취업률 저조에 있어 많은 복합적인 문제 중 각 대학에서의 취업관련 지원방식이 사회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임을 말하고 있다. 현재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전공을 잘 살려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이 되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와 더불어 취업률이 가장 낮은 예술계열학과 중 한때 붐이었던 국내 실용음악전공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 때 K-POP과 방송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실용음악전공 희망자가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국내 대학의 실용음악학과 개설도 점차 증가하였다. 하지만 실용음악이 발달 된 것도 언 30년이 되어가는 지금 정작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휴학률이나 졸업 후 미취업자는 점차 늘어가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음악이나 예술산업현장에서는 전공자의 인력이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로 각 대학의 실용음악전공 교육이 이제는 음악 산업현장과 더 나아가 문화 산업까지 필요한 교육이 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각 학교 별 취·창업지원 운영방식과 학생들의 요구에 근거하여 대학과 각 학과의 역할, 그리고 대학 내의 취·창업지원센터의 운영방식과 필요성에 대한 방향 설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첫 째, 실용음악의 선행연구를 통해서 교육체계와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진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국내 대학의 학교 별 취·창업지원프로그램의 운영사례 현황을 분석하였다. 실용음악의 선행연구에서는 근 10년 동안‘실용음악의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있었고, 더불어 실용음악 교과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조사도 함께 연구되어 있었다. 그에 따른 교육문제로는 교수는 교수의 전공불일치 또는 재즈에 편중된 교수가 있었으며, 고학력 교수 채용에 대한 문제도 제기 되어있었다. 교수의 전공 불일치로 인하여 학생들은 불만과 자신의 전공에 대해 혼란이 오는 경우도 있었으며, 고학력 교수채용에 있어서는 학과의 불명확한 음악적 특성을 가지게 되고, 다양한 인적자원을 활용하지 못하는 현상이 생기게 되는 것이었다. 그 외에도 학생의 실력차나 졸업에 대한 준비 부족, 학교의 교육시설이나 교육내용, 교재 등 여러 가지의 교육체계에 대해서 문제제기가 되어 왔었다. 한 때 대학에서는 실용음악전공을 개설하는 수가 양적으로 팽창되었으나 이제는 그 거품이 줄어들고 있다. 10년 전 실용음악에 대한 유행이 지나가면서 그 피해는 졸업생들한테 나오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현재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진로나 취업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각 학교 별 제시하고 있는 학생들의 졸업 후 전망과 학생들이 재학 중 희망하고 있는 직종을 살펴보았으며, 실제 졸업 후 전공생들의 취업현황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둘 째, 우리나라와 외국 대학의 취·창업지원 서비스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조사 대상 대학은 실용음악전공이 개설되어 있는 예술대학과 종합대학을 살펴보았으며, 예술대학으로는 서울예술대학교와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백제예술대학교, 부산예술대학교, 예원예술대학교, 대구예술대학교, 백석예술대학의 일곱 개 대학이다. 국내 종합대학은 한양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경희대학교, 단국대학의 여섯 개의 대학으로 국내는 총 13개의 대학을 살펴보았으며, 이화여자대학교를 제외한 총 13개의 대학교는 실용음악과가 개설된 대학들이다. 외국대학은 미국 대학의 버클리 음악대학, 영국 대학의 리즈대학교 음악대학, 일본 대학의 도쿄음악전문학교로 이들의 취·창업지원 서비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셋 째, 취·창업지원의 실제 수요자인 실용음악전공 학생들과 관련이 있는 관계자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우선 학교는 비수도권에서 취업률 1위인 백석대학교를 기준으로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는‘교수진’과 학교 내에 설치되어 있는‘취·창업지원 센터’와 학교에서 실제로 교육을 받아보고 지원을 받았던 5년 이내의‘졸업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취·창업 지원방식과 관련 관계자들의 실제의 요구가 부합하는지 분석하였다. 이상 과정을 통해 대학에서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에게 취·창업지원 프로그램의 지원방식에 대한 방향을 다음과 같은 결과로 도출하였다. 첫째, 취업·진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둘째, 예술적 특성에 맞는 취업·진로 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국내외 인턴십 제도 활성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전공별 특수성에 따른 통합적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취·창업지원 프로그램들이 각 학과별 지원에 있어 도움이 되고 대학에서의 여러 가지 유기적인 네트워크가 이루어짐으로 앞으로의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광범위한 직업의식을 심어주며, 이제는 불확실한 미래가 아닌 자신의 전공에 대한 자신감과 음악 산업현장에 나아갔을 때는 전문인이 되기를 바란다. 더 나아가 우리 사회의 문화 산업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 귀한 인재양성이 되기를 바란다. This article was based on the situation of Korea that youth unemployment have been increased and the entire society has to consider this issue as a social problem. Despite of 10 trillion won of support from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for the last 5 years, the youth unemployment rate of 2017 were raised to 9.9%, according to National Statistical Office research on 4th January 2018. Recently, furthermore, the society of South Korea has been suffered by low accession rate and it has been caused jobs crunches in South Korea. This research reports that working support system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among different factors, takes a significant role in the effort of the entire society to solve the issue. In order to explain the topic,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working support system of the universities and checks the system works efficiently in the basis of the student’s major. Especially, this article’s research focuses on the working support system for students that who majors in practical music as art-related majors show very low accession rate. Many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opened practical music major curriculum because of popularity of K-pop audition programs for a while. However, even though practical music field has been developed for 30 years in South Korea, many students that specialized in practical music leave of absence or fail to have a job after graduation. It means the lack of actual specialized human resource in practical music and art-cultural field. Because of these reasons, in order that education of practical music is able to be a necessary part of musical field and even cultural field, the article suggests that the actual role of a university and department and actual direction of government support center’s management and requirements in the basis of demand of a student and management of each university’s working support system. First of all,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education system and the current state of accession rates of the students who major in practical music from existing researches. The preceding researches have focused on‘educational system of practical music’ for the recent decade, including insight of a demand of a student for practical educational system. The researches point the tendency that a professor’s major is not matched with his/her curriculum or a professor majored in jazz music usually lead practical music curriculum. They also point the issues caused from a professor who has high level education. Because of discordance of a professor’s major, the students report that they are confused to figure out their actual speciality, and they also claim that the curriculum’s musical speciality also has been unclear and the program is not able to use various human resources, because of a professor who has high level education. Additionally, the preceding researches have claimed different issues including lack of preparedness for capacity difference between students and their graduation, and low quality of facilities,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Even though many universities have opened their own curriculum for practical music, but now the trend was passed and the students take the burden. In order to research the issue in detail, this article researches the ideas about employment and job of the students who major in practical music, and checks the reports on the universities regarding prospect of employment. The researcher also surveyed the types of jobs which the students want to have after graduation and researched the current state of employment of the students who major in practical music. Secondly, the researcher compares working support systems of universities in South Korea with overseas countries’ one. For the research in South Korea,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information on 7 colleges and 6 universities. The colleges includes Seoul Institute of the Arts, Dong-Ah Institute of Media and Art, Paekche Art College, Busan Arts College, Yewon Arts University, Daegu Arts University, and Baekseok Arts Univeristy. The universities include Hanyang University, Ehwa Women’s University, Chung-Ang University, Dongduk Women’s University, Kyunghee University, Dankook University. Except Ehwa Women’s University, all of these researched universities and colleges have their own curriculum for practical music. For the research of overseas colleges,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working support system of U.C. Berklee College of Music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niversity of Leeds in United kingdom, and Tokyo College of Music in Japan. Third, the researcher has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major in practical music and staffs who are in charge of working support program including the professors and the staffs of working support department of Baekseok University, and alumnae graduated in last 5 years from the university as the university’s employment rate is most highest among the universities established in non-capital region of South korea. Following the process of, the research found the result of the research and survey,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working support program’s support system for students majored in practical music. First,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best environment for employment. Second, working support program has to consider the special factors of the field of art. Third, a working support program has to be able to establish different network channels. Fourth, internship program has to be encouraged. Fifth, integrated information is required in the basis of distinct characteristics of each curriculum. The researcher expects that this research helps each university’s working support program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urriculum and establish organic network to give different and wide professionalism to students majored in practical music. The researcher also hopes that the universities can encourage each student to have confidence and educate them as a professional musician for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 in cultural field of South Korea.
문화마을 지원사업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 감천문화마을 사례를 바탕으로
도시 속에 방치 되어 낙후된 마을들이 문화마을 지원사업을 통해 글로벌 마을로 나아가는 중요한 거점이 되고 있다. 이렇게 폐쇄 위기의 마을이 보존과 재생의 개념으로 정주생활공간으로 재탄생하는 문화마을 지원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현재 우리나라 문화마을 지원사업은 해외 여러 나라의 사례들처럼 정리된 지침서가 있는 상황이 아니다. 그러다보니 문화마을 만들기에 있어 마을의 정체성이나 마을이 지닌 역사성이 배제된 채 어디서나 볼 수 있는 벽화, 설치물이 대부분인 경우가 허다하다. 거기다 주민이 직접 기거하는 주거지 임에도 방문객들에 의한 사생활 침해가 심해 주민들의 반감을 사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도시 속에 방치되어 쇠락한 마을로 전락한 감천2동 원주민들의 이주가 늘어나자 마을 존립에 위협을 받게 되고 그에 따라 각종 시설 기반이 와해 위기에 이르렀다. 이에 마을을 살리기 위해 지자체와 예술가, 주민들이 모여 문화마을로 거듭나기 위해 오랜 시간 노력한 결과 오늘의 감천문화마을이 조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마을 지원사업 본래 의도에 대한 사후평가가 보다 정확성을 가질 수 있도록 2009년에 처음 시행된 ‘마을미술프로젝트’에서 공모 선정되어 ‘문화마을’로 재탄생한 감천문화마을을 사례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먼저 쇠락한 마을에서 문화마을로 거듭난 감천문화마을에 거주하는 실거주민들과 마을전문가, 참여작가, 방문객 등을 대상으로 문화마을 형성이 된 후 변화된 주거환경 조사와 마을분위기 변화에 대한 조사를 비구조적 인터뷰 방식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점을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후 보존방법론에 대한 문제와 참여작가 선정 개선 부분이다. 작품 설치 후 일정기간이 지나 퇴색이 되거나 방문객들에 의해 훼손이 심한 설치물이 있지만 그대로 방치 되는 부분이다. 프로젝트 시작 시에 사후 보수에 관한 비용을 일정 금액 비축해두지만 턱없이 부족해 아무런 대책 없이 흉물처럼 남아있는 실정이다. 참여작가 선정 문제도 공모일로부터 공모마감일이 짧아 인맥 동원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둘째, 자체 먹거리 개발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감천문화마을 곳곳에 있는 먹거리들은 자체에서 개발한 고유의 음식이 아니고 어디에서나 쉽게 먹을 수 있어 감천문화마을만의 독특한 먹거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셋째, 방문객들의 소음 부분이다. 현재 감천문화마을뿐 아니라 전국에 형성된 문화마을에는 실제 주민이 살고 있는 거주지인데도 밤낮없이 몰려드는 방문객들의 소음이나 쓰레기 문제로 거주민들이 몸살을 앓고 있다. 그러다보니 주민들과 방문객 사이에 언성이 높아지는 경우도 잦은 상황이다. 넷째, 입장료에 관한 부분으로, 현재 감천문화마을 경우에는 마을지도를 구입해야 마을관람이 가능한 실정이다. 방문객들의 소음과 쓰레기 문제로 주민들에게 조금이라도 불편을 덜어주려는 자구책으로 마련한 대안이지만 관광지도 아닌데 입장료를 내야 하는가에 대해 방문객과 문화마을 측의 마찰이 일어나는 실정이다. 감천문화마을뿐 아니라 전국에서 문화마을 지원사업으로 인해 방치된 마을에 변화의 바람이 불었다. 그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마을 전체가 이전과 달리 밝아지고 아름다워진 것이다. 그로 인해 비협조적이던 마을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처음 보다 늘어났지만, 주민들의 문화의식 수준이 그에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또 설치물 조성에 있어 마을이 지닌 역사성을 작품에 더 많이 반영해 마을과 무관한 작품이 설치되거나 왜곡됨이 없이 보존과 재생을 바탕으로 낙후되고 외면당해온 마을이 재탄생함에 파급효과를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rough support projects on culture village, deteriorating villages abandoned in the city have transformed to crucial posts as global villages. Although the support projects have been actively implemented to reform the depleted and shutdown villages to sustaining habitant space as conservation and rejuvenation, current domestic projects have lacked systematic and organized protocols, unlike cases in foreign countries. This frequently results in ubiquitous street arts and installation arts, which are remote from the identity and history of the village. Furthermore, heavy intrusion on privacy by indiscreet visitors has caused opposition from local villagers. In the course of urban neglect, Gamcheon 2-Dong was abandoned and deserted in the city, and due to increasing migration of original residents, the existence of the town was threatened and, as a result, various social infrastructures were on the verge of collapse. Hence, on behalf of local government, artists, and villagers, today's Gamcheon Culture Village has been re-established as a culture village after a long-term endeavor. In this study, as an exemplary case, Gamcheon Culture Village was selected to ensure curate evaluation of consequence for original intention of culture village support project, since the village was revitalized to 'Culture Village' after selected from 'Village Art Project' initiated 2009. For this, unstructured interviews were performed on original dwellers, village activists, participating artists, and visitors to investigate changed living environment and atmosphere and to deduce problems and reforms for the village after it transformed to a culture village from deteriorated one. Followings are the results: First, methodology for reservation after the fact and improvement on selecting participating artists, and second, revenue for self-sustainability, and third, noise from visitors, and fourth, admission fee. Currently, village tour is enabled after purchasing a map at Gamcheon Culture Village as well. Besides Gamcheon Culture Village, the support project has drawn nationwide trend of renovation for abandoned villages. Most noticeable consequence includes whole village becoming more uncluttered and beautiful than past. Although this improvement elicited more spontaneous participation from reluctant local residents, their understanding on culture were still behind. At the same time, village’s own historical traditions are more reflected to installation arts. This would lead to prevent unrelated works or distortions on these arts, and as a consequent, a ripple effect based on the reservation and rehabilitation would propagate to deserted and neglected village transforming to rebirth.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김다희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 두 번째,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S시와 A시에 소재한 민간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2명으로, 자발적 참여자들로서 실험 참가 동의서를 제출한 12명 중 실험집단 6명, 통제집단 6명을 무선배치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기간은 2017년 8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제외한 12회기를 주 1회, 매회기 각 70분씩 진행하였다.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로는 Sherer, Maddux 및 Jacobs와 Roger 등이 개발한 자기효능감 척도(Self-Efficacy Scale; SES)를 1995년 홍혜영이 번안, 보완한 것을 선정하여 재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로는 C. L. Clark가 개발하고 R. V. D’Arienzo가 만든 ‘수정된 교사 직무스트레스요인’ 질문지(Modified Teacher Occupational stress Factor Questionnaire)와 기존 선행연구들(권기태, 1990; 김남희, 1992; 김영선, 1999; 김지현, 1994; 성영혜, 1994; 조성연, 2004; 이병해, 2015)에서 사용한 질문지를 참고로 선행연구자 이병해(2015)가 사용한 척도를 선정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척도 하위영역인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둘째,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인 근무환경 스트레스, 업무스트레스, 원아스트레스의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정서 건강을 위한 예방적 차원의 중재프로그램으로써 의의가 있으며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 향상과 직무스트레스의 감소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ndala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 - efficacy and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set as follows. First, how does mandala group art therapy affect teachers’ self-efficacy? Second, how does mandala group art therapy affect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private child care center in S city and A city, and 6 of experimental group and 6 of comparative group were voluntarily arranged among volunteers. The study period was from August 2017 to December 2017, and 12 sessions were conducted once a week except for the pre - test and the post - test, each 70 minutes for each session. Self-efficacy scale (SES) developed by Sherer, Maddux, and Jacobs and Roger (translated and supplemented by Hong Hye-young in 1995) was selected and reconstructed to be used as assessment tools for measuring self-efficacy. In order to measure job stress, ‘a modified Teacher Occupational Stress Factor Questionnaire’ developed by CL Clark (revised by R.V. D'Arienzo) (adapted by a researcher Lee Byung-Hae for his study, 2015) was selected and used the scale, and I referred to the previous questionnaires used by the researchers in the previous studies (Kwon, Ki-Tae, and Kim, Nam-Hee, 1992; 1992; Kim, Young-Sun, 1999; Kim, Ji-Hyeon; 1994; Seong, Young Hye, 1994; Cho, Sung-Yeon, 2004; Lee, Byung-Hae, 2015). The SPSS PC + ver. 18.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s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Wilcoxon Z test.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ndala group art therap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improvement of general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which are sub-areas of self-efficacy scale of childcare teachers. Second, mandala group art therap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working environment stress, work stress, and child stress, which are sub - areas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Therefore, it is found that mandala group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 - efficacy and job stress of the child care teachers. This study has meaning as a preventative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emotional health of childcare teachers, and I hope that this study can be a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self - efficacy and reduction in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김다희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본 연구는 교과서 발행제도(국정제, 검정제, 인정제, 자유발행제)의 활용 실태와 만족도를 비교·분석하고, 활용 실태와 만족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각 발행제도를 적용하고 있는 현장교사 및 교과서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교과서 발행제도의 활용 실태와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미국 전역의 중·고등학교 교사 1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문항별 응답에 대해 기본 빈도 분석을 실시하고, 교사의 배경 변인별 차이를 고찰하기 위해 교차분석(x2 검정)을 실시하였다. 일부 문항에는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를 실시하여 집단별로 비교·분석하였다. 한국의 설문조사는 2018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고등학교 교사 592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교과서 발행제도에 대한 인식 조사’의 결과를 참고하여 비교하는 데 활용하였다. 교과서 발행제도의 활용 실태와 만족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탐구하기 위해 한국의 초, 중등 교사 13명과 미국의 중등 교사 및 교과서 관계자 1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과서 발행제도의 활용 실태와 만족도를 파악하고, 활용 실태와 만족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교과서 발행제도의 주요한 차이는 심의 여부와 채택 주체, 공급 방식에 있었다. 심의절차가 있는 국·검·인정제와 해당 절차가 없는 자유발행제로 구분되었고, ‘보통’의미의 자유발행제는 개별학교 단위에서 위원회나 학교 재량에 따라 교과서를 선정하며, ‘강한’의미의 자유발행제는 개별교사들이 자유롭게 시장에서 교과서 및 교재를 선정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교과서 선정에 대한 교사의 재량권은 국정제, 검·인정제에 비해 자유발행제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강한’의미의 자유발행제에서 교사의 재량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과서 공급 방식과 관련하여 개별 학생들의 직접 구매방식은 자유발행제 하에서만 나타났다. 교과서 발행제도 이외에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발행제도의 활용 실태는 학교 유형, 학교 소재지, 담당 과목, 교과서 관련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과서 발행제도에 대한 교사의 만족도는 ‘강한’의미의 자유발행제, ‘보통’의미의 자유발행제, 인정제, 국·검정제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족도 차이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은 대체로 현행 발행제도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검·인정제를 하의 교사들은 검·인정제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자유발행제 하의 교사들의 경우 검·인정제를 선호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과서 발행에 대한 국가, 시·도 교육청, 주·교육구의 개입 필요성에 대해 국·검·인정제 하의 교사들은 국가, 시·도 교육청, 주·교육구의 일부 개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인 반면, 자유발행제 하의 교사들은 최소한의 개입만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였다.‘강한’의미의 자유발행제를 적용하는 교사들의 경우 개입이 필요 없다는 의견을 보였다. 교과서 발행제도 이외에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는 학교 유형, 담당 과목, 교과서 관련 경험에 따라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교과서 발행제도의 활용 실태와 만족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의 교과서 선정에 대한 재량권, 담당 교과목, 학교급, 업무부담, 입시 등에 따른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과 미국의 교육제도 및 환경, 사회·문화적 배경의 차이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과서 발행제도의 합리적인 개선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현장 교사들의 실질적인 의견과 반응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국제비교의 결과는 우리나라와 타국 간의 교육제도와 환경, 사회·문화적 배경, 기타 배경 변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시사점을 얻을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actices and satisfactions of textbook publication policies: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policy, government-approved textbook policy, and freely-published textbook policy; and to examine the impact factors from surveys conducted among teachers and textbook experts. A survey is conducted among 123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under different policies by states or by schools, across the United States to understand the practices and the satisfactions of corresponding policies. Then the result of the survey is compared with the data collected on the 'Perception on the policies in the textbook publication' among 592 Korean high school teachers, which wa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in 2018. The primary fundamental frequency analysis is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Then the cross-analysis (x2 test) i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y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For some selected questions, the one way ANOVA i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ata by groups. Additionally, the in-depth interviews are conducted with 13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and 15 American secondary teachers and textbook experts to explore the impact factors of differences between the practices and satisfactions of textbook publication policies. This paper discusses the consequences and satisfaction of practicing various textbook policies. Then we address the impact factors of differences between practice and satisfaction. The textbook polici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groups: one that requires government approval procedures, including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policy,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 policy, and government-approved textbook policy, and freely-published textbook policy which does not require the government approval procedure. The freely-published textbook policy consists of two meaning types: 'median' meaning and 'strong' meaning. Under the 'median' meaning, the school committee has the authority to choose textbooks at the school level. Individual teachers have the authority to choose their textbooks under the 'strong' meaning. As a consequence, teachers have more discretion power under the 'strong' meaning over the 'median' meaning. Meanwhile, the direct textbook purchase behavior of individual students is observed only under the freely-published policy practice. The 'strong' meaning type of the freely-published textbook policy is the most satisfactory policy among all others follow by the 'median' meaning of the freely-published textbook policy, government-approved textbook policy, government-authorized and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policies. Most of the teachers tend to prefer the current system apart from their satisfaction. Teachers under the government-approved and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 policy responded positively about their current policy and some involvement of the government in textbook publication. In contrast, teachers under the freely-published textbook policy responded oppositely with little government involvement. Notably, the teachers under the 'strong' meaning of the freely-published textbook policy system express no need for government intervention in any form. Moreover, we obtain a significant result of differences in practices and satisfaction for teachers by their background variables based on the school types, subjects, school location and their experiences in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impact factors of differences in practices and satisfaction of textbook publication policies are teacher's discretion power on the textbook selection, teaching subjects, school level, work burden, entrance examination and others. The cultural and soci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he US are also the crucial impact factors. It is important to acknowledge the consensus of teachers in response to the textbook publication policies and their suggestions to improve the outcome. Furthermore, the comparison results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must account fo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ystem, cultural and social backgrounds, and all other background variables to bring to an agreement.
김다희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Youtube is being used in the field of street dance. The author began with an awareness of street dancing’s problematic situations such as improving the awareness of street dancing, diversifying and its popularity. Apart from dance performance and other activities, street dancers actively uses social networking services to upload their artwork and use as promotional purpose. Among them, YouTube is a platform used by people all over the world, and it is causing many changes in the street dance industry. A lot of performances, education, and tournaments, which has been conducted offline are rapidly linked online to actively promote and communicate with the public by uploading videos such as their dance moves, team videos, class videos, school promotion videos etc.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how how the street dance sector will move forward in the YouTube market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21 representatives of each type of channel based on street dance. To this end, we first looked at the concept, history, and type of street dancing and looked at the types of street dancers who are currently active. Second, we looked at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where many dancers currently use and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hird, by selecting YouTube as the representative platform of social network services, this study will deep dive into YouTube’s concept, terms, creators, type of contents, revenue structure and revenue report, copyright, issues that YouTube is currently facing and its solutions by analyzing YouTube's usage and system. The contents related to social network services and YouTube were found through prior research, press releases, Internet search, and the link between street dancers and social network services. Fourth, under the theme of "A Study on YouTube Activites of the Street Dance," 21 representative channels operated by Street Dance were selected to conduct in-depth interviews to find out the background of channel launching , subscribers, content production, profit structure, positioning, issues, and promotional methods. Issues has been identified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s, presenting total of five ways to revitalize the effective use of Youtube in the street dance industry. First, we pinpointed a group of target to diversify street dance content, precise topics to better understand street dance culture, and summarized types of content activities into online education, online performance and tournament, talk show and entertainment content and vlog content.. For the development of street dance-related Youtuber’s competencies, the technical aspects of the producer, contents planning, marketing, bench marking has been described as main criteria to keep track of their personal growth. Regarding effective tactics to engage with subscribers and to increase customers we have summarized the examples of necessary skills to secure subscribers from different age groups and ways to communicate with their subscribers. In the context of business model, we have summarized the right of music copyright distribution which was considered the most problematic issue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s. We have also listed other profit-generating methods via Youtube as advertising and sponsorship to connect variety of businesses. Finally, we present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street dance focused YouTube agency by benchmarking MCN Company’s Sandbox where “Dotti” the Youtube star currently belongs to. From face-to-face to non-face-to-face. In meeting In line with the changing trend where offline switching to online, many platforms are emerging and contents are evolving. As a result of this change in trend, YouTube platform is expected to affect more in street dance industry as well as in the culture and art industry. Through various street dancing contents posted on YouTube, we tried to help people understand the culture of street dance and identified the problem to help street dance to become a representative category on YouTube channel.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give readers an understanding of the YouTube and variety of activities related to street dance. 본 연구는 스트릿댄스 분야 유튜브 활동에 관한 연구이다. 저자는 스트릿댄스의 인식 개선, 스트릿댄스 활동의 다양화, 대중성에 대한 문제의식을 느끼고 시작하게 되었다. 스트릿댄서들은 공연 외 활동에서 영상매체를 이용하여 작품을 남기고 이 영상들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업로드하며 홍보 매체로 사용을 하고 있다. 그중 유튜브는 전 세계 사람들이 사용하는 플랫폼으로써 이용률이 급증하며 스트릿댄스 시장에서도 많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대면으로 이루어졌던 공연, 교육, 대회 등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연계되고 있고, 자신의 댄스 영상을 홍보하거나 팀 영상, 학원 수업 영상, 학교 홍보 영상 등을 올리며 온라인에서 대중들과의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튜브를 이용한 스트릿댄스 확산과 유튜브 채널 현황에 대해 파악하고 스트릿댄스를 기반으로 운영하는 유형별 채널 대표 21인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스트릿댄스 분야가 앞으로 유튜브 시장에서 나아갈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스트릿댄스의 개념, 역사, 유형을 알아보고 현재 스트릿댄서들이 활동하고 있는 유형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현재 많은 댄서가 사용하는 새로운 홍보 방법과 대중들과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개념과 특성, 이용 동기 및 현황,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다. 셋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플랫폼인 유튜브를 대표 플랫폼으로 선정하여 유튜브의 개념, 용어, 크리에이터, 유튜브 콘텐츠 유형, 수익구조 및 수익 신고, 유튜브 저작권, 유튜브 문제점 및 해결방안에 대한 내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정리하며 유튜브의 활용 방법과 유튜브가 가지고 있는 시스템을 분석하였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유튜브에 관련한 내용은 선행연구와 보도자료,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 알아보고 스트릿댄서들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연계성을 알아보았다. 넷째, ‘스트릿댄스 분야 유튜브 활동 연구’를 주제로 스트릿댄스 중심으로 운영하는 대표 채널 21인을 선정하여 유튜브의 시작 배경, 구독자층, 콘텐츠 제작 관련 내용, 수익구조, 활동 방향, 문제점, 홍보 방법을 알아보며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다. 심층 면접을 통해 나온 내용을 토대로 문제점을 파악하고 스트릿댄스 분야 유튜브 활성화 방안을 총 5가지로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스트릿댄스 콘텐츠를 다각화시키기 위한 표적 대상 설정과 스트릿댄스 문화 이해에 대한 정확한 주제, 콘텐츠 활동 유형을 온라인 교육형, 온라인 공연 및 대회형, 토크 및 예능 관련 콘텐츠형, 브이로그형 콘텐츠로 정리하였다. 스트릿댄스 관련 유튜버 역량 개발에서는 제작자의 기술적인 측면과 콘텐츠 기획, 마케팅, 벤치마킹 등을 통한 자기개발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구독자 소통 및 증가 유도 방안에서는 다양한 연령층을 확보하기 위한 예시와 방법, 구독 자들과의 소통 방법에 필요한 기술에 대해 정리하였다. 수익 모델 도출 방안에서는 심층 인터뷰를 통해 제일 문제가 되었던 음악저작권에 관련한 내용을 토대로 음악 저작권 배분 요구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또 다른 수익도출 방법은 유튜브 채널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사업들을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광고 및 협찬으로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스트릿댄스 콘텐츠 유튜버 에이전시 설립 방안은 MCN회사로 유튜버 스타 ‘도티’의 소속인 샌드박스의 벤치마킹을 통해 스트릿댄스 콘텐츠 유튜버 에이전시를 설립해야 하는 필요성에 대해 제시하였다. 대면에서 비대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변화되는 시대에 맞춰 많은 플랫폼이 생겨나며 콘텐츠도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앞으로 유튜브라는 플랫폼은 문화예술계뿐만 아니라 스트릿 댄스 씬에서 더욱 활발한 활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유튜브에 게시되는 스트릿 댄스의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많은 사람들의 스트릿 댄스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스트릿 댄스가 유튜브 채널에서 하나의 대표 유형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문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튜브와, 다양한 스트릿 댄스 활동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길 기대한다.
생활체조 참가자가 인지하는 지도자의 전문성과 신뢰가 운동열정과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 of instructors’ professionalism and reliability perceived by participants in every day exercises on their passion for exercise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ing. To this e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women living in Metropolitan City G, Province J who had been participating in everyday exercises, and 304 effective sample data was used for analysis using convenience sampling, one of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a total of 44 questions, including four questions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ight questions for professionalism, 10 questions for reliability, 14 questions for passion for exercise, and eight questions for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ing. To analyze the data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window 26.0 Program.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from the above research subjects based on the questionnaire are as follows: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rofessionalism, reliability, passion for exercise,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ing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for age, practical knowledge ability was found to be higher in teenagers than in those in their 60s or older. Instruction skills were higher in the participants in their 20s, 30s, and 40s than those in their 60s or older. When it comes to character, it was found to be higher in those in their 40s than in their 60s or older. Consistency was higher among those in their teens and 20s than those over 60 years of age, and sincerity was higher among those in their teens, 20s, and 30s than those over 60 years old. Harmonious passion was higher in those in their 30s than in their teens, and people in their 20s, 30s, and 50s showed higher results than those in their 60s or older. Obsessive passion was higher in teenagers than in those in their 20s and 30s, and participants in their 20s showed higher results compared to those in their 50s and 60s or older. In addition, those in their 30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ir 40s and 60s or older. Sports skills were higher among those in their 20s and 30s than those in their teens, and people in their 20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ir 40s, 50s, and 60s or older. In addition, participants in their 30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ir 40s and 60s or older. As for the exercise environment, those in their 20s and 30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ir 60s or older. For interest in exercise, those in their 20s and 50s showed higher interest than those in their 30s and their teens, respectively, and those in their 20s and 50s showed higher interest in exercise than those in their 30s and 60s or older,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type of sports, practical knowledge ability was found to be higher in aerobics, K-pop dance, Jazzercise, Zumba, choreography (hip hop), and line dance than in physical exercises. As for instruction skills, K-pop dance, Zumba, choreography (hip hop), line dance, and belly dance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physical exercises, and choreography (hip hop), line dance, and belly dance were higher than K-pop dance. When it comes to character, aerobics, Jazzercise, Zumba, and choreography (hip hop)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physical exercises. For openness, Zumba, choreography (hip hop), and belly dance were higher than physical exercises. As for ability, Zumba, choreography (hip hop), line dance, and belly dance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physical exercises. Consistency was higher in aerobics, K-pop dance, Jazzercise, Zumba, choreography (hip hop), line dance, and belly dance than physical exercises. Sincerity was higher in choreography (hip hop) than aerobics, K-pop dance, line dance, and physical exercises, and higher in K-pop dance, Zumba, choreography (hip hop), and belly dance than physical exercises. For harmonious passion, aerobics, K-pop dance, Zumba, choreography (hip hop), line dance, and belly dance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physical exercises. As for obsessive passion, aerobics, K-pop dance, Zumba, line dance, and physical exercises were higher than belly dance, and physical exercises were higher than choreography (hip hop). As for sports skills, choreography (hip hop) was higher than aerobics, Zumba, and physical exercises, and belly dance was higher than aerobics, K-pop dance, Zumba, line dance, and physical exercises. When it comes to the exercise environment, aerobics, K-pop dance, Zumba, choreography (hip hop), line dance, and belly dance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physical exercises. Interest in exercise was higher in Zumba than in K-pop dance, and line dance was also higher than in K-pop dance. In addition, K-pop dance and physical exercises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line dance, and Jazzercise, Zumba, choreography (hip hop), line dance, and belly dance were higher than physical exercises.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period, the character was found to be higher in over 5 years than in less than 1 year. Harmonious passion was higher in 3-5 years than in less than 1 year. Sports skills were found to be higher in 1-3 years and over 5 years than in less than 1 year. The exercise environment was found to be higher for 3-5 years and over 5 years than for less than 1 year. Interest in exercise was higher for 3-5 years and over 5 years than less than 1 year. Depending on the level of interest in the program, more participants showed high interest in practical knowledge ability than medium interest. More people had a high interest in instruction skills than medium interest or low interest. As for character, more showed high interest than medium interest. More people had a high interest in openness than a medium interest. As for ability, more had high interest than medium interest. More showed high interest in consistency than medium interest. As for sincerity, more answered high interest than medium or and low interest. As for harmonious passion, more showed high interest than medium interest. More showed high interest in sports skills than medium interest. More participants showed high interest in the exercise environment than medium interest. In addition, more had a high interest in exercise than a medium interest. Second, the professionalism and reliability of instructors perceived by the participants in everyday exercises were correlated with their passion for exercise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ing. Third, sub-factors of professionalism, including practical knowledge ability, instruction skills, and character, affected the participants’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which are sub-factors of passion for exercise. Fourth, sub-factors of professionalism, such as practical knowledge ability, instruction skills, and character, affected the participants’ sports skills, exercise environment, and interest in exercise, which are sub-factors of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ing. Fifth, sub-factors of reliability, including openness, ability, consistency, and sincerity, affected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which are sub-factors of passion for exercise. Sixth, sub-factors of reliability, such as openness, ability, consistency, and sincerity, affected sports skills, exercise environment, and interest in exercise, which are sub-factors of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ing. 본 연구는 생활체조 참가자가 인지하는 지도자의 전문성과 신뢰가 운동열정과 운동지속의사에 인과적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 대상자는 G광역시, J도에 거주하는 생활체조 참여 여성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비확률 표집방법(non-probability sampling)중 하나인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304명의 유효 표본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 이용된 설문지의 구성은 인구통계학적 특성 4문항, 전문성 8문항, 신뢰 10문항, 운동열정 14문항, 운동지속의사 8문항 총 4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한 자료 분석방법으로는 SPSS window 26.0 Program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대상을 통해 수집된 설문지를 기초로 자료를 분석하고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전문성, 신뢰, 운동열정, 운동지속의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연령에 따라서는 실기지식 능력은 10대가 60세 이상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기술은 20대, 30대, 40대가 60세 이상보다 높게 나타났다. 인성은 40대가 60세 이상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관성은 10대와 20대가 60세 이상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성실성은 10대와 20대, 30대가 60세 이상보다 높게 나타났다. 조화열정은 30대가 10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20대와 30대, 50대가 60세 이상보다 높게 나타났다. 강박열정은 10대가 20대, 30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20대가 50대, 60세 이상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30대가 40대, 60세 이상보다 높게 나타났다. 운동능력은 20대, 30대가 10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20대가 40대, 50대, 60세 이상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30대가 40대, 60세 이상보다 높게 나타났다. 운동환경은 20대와 30대가 60세 이상보다 높게 나타났다. 운동관심은 20대가 30대, 50대가 10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20대가 30대, 50대가 60세 이상보다 높게 나타났다. 참가종목에 따라서는 실기지식 능력은 에어로빅, 방송댄스, 째저싸이즈, 줌바댄스, 코레오(힙합), 라인댄스가 건강체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기술은 방송댄스, 줌바댄스, 코레오(힙합), 라인댄스, 밸리댄스가 건강체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레오(힙합), 라인댄스, 밸리댄스가 방송댄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성은 에어로빅, 째저싸이즈, 줌바댄스, 코레오(힙합)가 건강체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성은 줌바댄스, 코레오(힙합), 밸리댄스가 건강체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능력은 줌바댄스, 코레오(힙합), 라인댄스, 밸리댄스가 건강체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관성은 에어로빅, 방송댄스, 째저싸이즈, 줌바댄스, 코레오(힙합), 라인댄스, 밸리댄스가 건강체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실성은 코레오(힙합)이 에어로빅, 방송댄스, 라인댄스, 건강체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방송댄스, 줌바댄스, 코레오(힙합), 밸리댄스가 건강체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화열정은 에어로빅, 방송댄스, 줌바댄스, 코레오(힙합), 라인댄스, 밸리댄스가 건강체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박열정은 에어로빅, 방송댄스, 줌바댄스, 라인댄스, 건강체조가 밸리댄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체조가 코레오(힙합)보다 높게 나타났다. 운동능력은 코레오(힙합)이 에어로빅, 줌바댄스, 건강체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밸리댄스가 에어로빅, 방송댄스, 줌바댄스, 라인댄스, 건강체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환경은 에어로빅, 방송댄스, 줌바댄스, 코레오(힙합), 라인댄스, 밸리댄스가 건강체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관심은 줌바댄스가 방송댄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라인댄스도 방송댄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댄스와 건강체조가 라인댄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째저싸이즈, 줌바댄스, 코레오(힙합), 라인댄스, 밸리댄스가 건강체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가기간에 따라서는 인성은 5년 이상이 1년 미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화열정은 3년~5년 미만이 1년 미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능력은 1년~3년 미만, 5년 이상이 1년 미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환경은 3년~5년 미만, 5년 이상이 1년 미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관심은 3년~5년 미만, 5년 이상이 1년 미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흥미도에 따라서는 실기지식 능력은 흥미도 상이 흥미도 중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기술은 흥미도 상이 흥미도 중, 흥미도 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성은 흥미도 상이 흥미도 중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성은 흥미도 상이 흥미도 중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능력은 흥미도 상이 흥미도 중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관성은 흥미도 상이 흥미도 중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실성은 흥미도 상이 흥미도 중, 흥미도 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화열정은 흥미도 상이 흥미도 중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능력은 흥미도 상이 흥미도 중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환경은 흥미도 상이 흥미도 중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관심은 흥미도 상이 흥미도 중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조 참가자가 인지하는 지도자의 전문성과 신뢰는 운동열정, 운동지속의사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전문성의 하위요인인 실기지식능력, 지도기술, 인성은 운동열정의 하위요인인 조화열정과 강박열정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전문성의 하위요인인 실기지식능력, 지도기술, 인성은 운동지속의사의 운동능력, 운동환경, 운동관심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신뢰의 하위요인인 개방성, 능력, 일관성, 성실성은 운동열정의 조화열정과 강박열정에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신뢰의 하위요인인 개방성, 능력, 일관성, 성실성은 운동지속의사의 운동능력, 운동환경, 운동관심에 영향을 미쳤다.
김다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초고령사회를 앞두고 서울시는 “건강하고 활기찬 100세 도시, 서울”이라는 비전과 함께 “고령친화도시(Age-Friendly City)”라는 목표를 설정하고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기반을 갖추어 나가기 시작했다. 이러한 사회적 흐름에 따라 노인복지시설 및 서비스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노인복지시설은 사회복지시설에 포함되어 도시계획상 설치 의무가 없는 임의시설이기 때문에 이용대상 및 시설의 특성별 입지기준 설정이 필요하다. 또한 기존 노인복지시설의 분포에 관한 연구들에 따르면 대부분의 노인복지시설이 민간에 의해서 공급되고 있기 때문에 이용대상과 시설의 특성을 고려한 공급체계가 부족하여 지역적으로 불균등한 분포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25개 자치구별 노인복지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노인복지시설의 공급 및 불균등 현황을 도출하고, 이를 지역 및 노인인구 특성과 비교분석하는 것으로 추후 지역 및 노인인구 특성에 맞는 공급 계획 수립 및 복지·돌봄 서비스 고도화 인프라 구축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자치구별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기초생활수급 여부, 질병(치매) 여부, 장기요양 등급판정 현황 등의 특성을 노인복지법에 따른 노인복지시설의 설치 목적에 따라 분석에 활용하였다. 또한 지니계수를 활용하여 불균등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GIS를 이용하여 공급 현황분석 및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복지시설의 공급 현황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공급이 부족하였고, 일부 자치구에서는 시설이 부재하거나 공급량이 서울시 평균에 비하여 매우 저조하여 추가 시설 공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복지시설 구분에 따라 자치구별 불균등 현황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일부 지역은 노인여가복지시설이 전무하여 추가 공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치구별 지역 및 노인인구 특성에 따라 불균등 현황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불균등 원인에 따른 시설 공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치구별 노인인구 특성에 따른 적정 시설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의 차별성으로는 서울시에서 이루어지는 노인복지시설 공급이 각 자치구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있음을 밝혔으며.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노인복지시설 공급 불균등 해소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head of the super-aged societ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t a goal of "Age-Friendly City" with the vision of "Healthy and vibrant 100-year-old city, Seoul" and began to lay the foundation for creating an elderly-friendly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supply and inequality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stipulated in the Welfare of the Elderly Act of 25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and to compare them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he elderl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pply status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the overall supply was insufficient, and in some autonomous districts, the supply was very low compared to the average of Seoul, so additional facilities were neede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tatus of inequality by autonomous district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some areas, there were no leisur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so additional supply was needed. Third, it was analyzed that inequality appea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he elderly population by autonomous district, and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supply facilities according to the cause of inequality. In particular, it is judged that proper facilities are not suppl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opulation by autonomous district. As a differentiation of the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 supply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Seoul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utonomous district. Based on the above results, implications for resolving inequality in supply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ere derived.
본 논문은 법실증주의를 대표하는 법학자인 한스 켈젠의 해석이론이 결코 개념법학과 같은 극단적 법적 결정주의적 이론이 아니라 법적 결단주의적 요소 또한 포함하는 균형적 이론을 지향했다는 사실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켈젠의 거대한 이론적 건축물인 순수법학은 법학을 독자적인 학문분과로 확립시키고자 하였으며, 법학의 대상인 법규범은 위계적인 법단계의 형태로 체계를 이루는 것으로 보았다. 순수법학의 해석이론은 순수법학의 중추인 법단계설 중에서 법률과 판결의 관계를 구체화시킨 이론이다. 순수법학의 해석이론은 법적 결정주의와 법적 결단주의의 이분법을 극복하는 제3의 길을 제시한다. 순수법학에 대한 잘못된 비판, 즉 순수법학이 극단적 법적 결정주의를 따른다는 오해와는 달리, 순수법학은 법적 결정주의적인 전통적 해석이론을 비판한다는 점에서 자유법론과 마찬가지로 법적 결단주의적 성격 또한 가지고 있다. 「순수법학 제1판」에 따르면 법률은 가능한 판결의 범위를 제시함으로써 판결을 규정하며, 법관은 법률의 가능한 의미범위 내에서 판결을 내린다. 이 때 켈젠은 법관의 법률해석을 법률의 범위를 확인하는 인식행위와 법률에 규정되지 않은 사항을 결정하는 의지행위로 이루어져 있다고 본다. 왜냐하면 법률의 명확성, 즉 법률은 모든 법적분쟁과 관련된 구체적 사실을 명확하게 규정하며 법률에 대한 인식행위만으로도 구체적 사례를 법률에 포섭시킬 수 있다는 것은 허구에 불과하기 때문에 법관의 법률해석은 의지행위를 통해 그 내용을 보충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순수법학 제2판」에서는 이러한 법관의 해석을 진정해석으로 지칭하고 그 외의 사인의 해석, 특히 법학적 해석을 비진정해석이라 이름붙이고 양자를 엄격히 구분한다. 이러한 구분에 따르면 비진정해석은 법적 구속력을 갖지 않으며 순수한 인식행위이지만 진정해석은 법적 구속력을 가지며 인식행위와 의지행위 모두를 포함한다. 「순수법학 제2판」에서 변화를 보이는 또 다른 점은 진정해석의 범위가 확장되었다는 점이다. 「순수법학 제1판」에서 켈젠은 법관의 해석범위를 법률의 가능한 의미범위 내에 한정시켰지만 「순수법학 제2판」에서는 법률의 의미범위를 넘어서는 해석도 구속력을 갖는 진정해석으로 본다. 「순수법학 제2판」에서 켈젠이 이론적 변화를 꾀한 이유는 순수법학의 기획이기도 한 이데올로기 비판 기능을 강화하기 위함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순수법학의 해석이론을 다시 법체계 전체로 확장하면 권력분립원칙에 대한 순수법학의 관점을 획득할 수 있다. 기존의 권력분립이론은 다양한 역사적 사건을 토대로 성립되었기 때문에 개인의 자유와 주권의 효율적 행사라는 두 가지 상충될 수 있는 정당화근거에 토대를 두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권력분립모델은 권력분립원칙을 실현하는 현실의 다양한 국가법질서에 대해 체계적 설명을 제공하지 못한다. 그러나 켈젠은 법단계설에 따라 삼권이 분리될 수 없음을 밝히고 순수법학의 전체 체계에 합치되며 일관적인 권력분립이론을 정립한다. 그러나 이 때문에 켈젠의 권력분립이론은 법단계설을 단순히 국가조직에 적용한 것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하지만 켈젠의 권력분립이론은 다수의 법질서에서 권력분립원칙을 구현한 양태를 이론에 정합하게 설명해낼 수 있는 역량을 갖추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켈젠은 객관적 법학을 정립하여 이데올로기를 비판하고자 하였다. 법학이 이데올로기 비판적 기능을 수행하고, 정치 또는 결단에 정당성을 부여할 수 있기 위해서 법학은 객관적 학문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순수법학의 해석이론의 관점에서 판결은 주관적 의지활동이다. 기존의 해석방법론은 해석카논을 통해 법관의 자의를 통제하고 판결을 정당화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켈젠의 관점에서 해석방법론은 다수의 해석카논들 가운데 하나의 해석카논을 선택하는 문제도 법관의 주관적 의지행위라는 점을 간과했다. 결국 해석방법론은 의지가 개입하는 법관의 해석을 순수한 인식의 결과로 잘못 파악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따라서 켈젠은 전통적인 방법론의 해석기준들을 거부하고 법관의 해석이 법관의 결단을 포함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순수법학의 이론적 관점에서 법관의 해석은 주관적 의지를 포함한다는 점과 주관적 의지를 정당화할 수 있는 것은 학문만의 배타적 기능이라는 점을 종합하여 볼 때, 법관의 주관적 해석을 정당화할 수 있는 것은 오직 법학적 해석이다. 켈젠은 이러한 주장을 하지는 않았지만, 켈젠의 해석이론은 결국 법관에게 더욱 섬세한 논증과 정당화과정을 요청하는 법적 논증이론과 유사한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 그러나 켈젠에 의하면 법관의 해석은 법학적 해석과 명확히 구분되기 때문에 판결의 정당화 문제는 법학의 영역 밖이다. 순수법학의 해석이론은 판결의 정당화 문제를 법정책의 영역으로 넘긴다. 켈젠은 순수법학의 이론구성을 통해 법학을 독립된 학문분과로 정립하고자 했지만, 자신의 의도와는 달리 법학의 문제해결능력을 제한하게 되고 만다. 따라서 순수법학은 사실적·도덕적 요소를 법과 법학의 영역에서 추방함으로써 판결의 정당화 문제를 다룰 수 있는 체계내재적 역량을 스스로 거세시켰다는 평가를 받게 된다. 결국 순수법학의 해석이론은 모순적이게도 법학의 학문적 객관성을 통해 법관의 자의를 통제하지 못하게 되며, 궁극적으로는 순수법학은 법을 이데올로기로부터 수호하지 못한다는 결론에 마주하게 된다. 하지만 켈젠이 순수법학을 통해 보여준 이데올로기 비판, 그리고 순수법학의 해석이론이 법적 논증이론으로 나아갈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는 성과이다. 그러나 이러한 순수법학의 학문적 성과가 빛을 발하기엔 순수법학과 그 해석이론에 대한 오해가 너무 짙다. 학문적 근거가 전무함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의 인식 속에 뿌리 깊게 박힌, 순수법학에 대한 편견이 거두어질 때에만 순수한 법학적 해석이론이 자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