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예술기관의 ESG경영 활성화를 위한 경영평가지표 분석

        이혜린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743

        Undergoing catastrophes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supply chain crises due to wars, ESG became no longer an option but a necessity, significantly influencing not only corporations but also governments and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This study considered how to introduce and activate ESG for sustainable culture and arts in the context of survival. It especially categorized public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into executive agencies, other public institutions, regional local government-funded institutions, and basic local government-funded institutions based on their executive departments and applicable Acts, and quantified the proportion of ESG in the current management evaluation into a score through analyzing the evaluated items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handbooks. It also suggests the direction to improve management evaluation in relation to ESG activation by consulting the field experts in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through FGI. First, major concepts related to ESG are examin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and various examples of the current trend are introduced. Second, through the aforementioned theoretical background and current trend, the necessity to introduce ESG to culture and arts is suggested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and measurement for the activation of ESG. Third, the status quo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handbooks published by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is examined, and ESG classification indices are suggested based on precedent research that presented ESG evaluation indices of public institutions and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in order to select the indices in the existing management evaluation that belong to ESG. Fourth, through FGI, an interview was conducted on the topic of ESG management, ESG evaluation process, and the ideal proportion of ESG in management evaluation in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Fifth, the scores of the ESG proportion are calculated for two different years of management evaluation handbooks by four different types of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Then the item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ESG classification indices suggested earlier, and the scores of the corresponding indices were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a suggestion is made that the activation of ESG management in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can be achieved through the improvement and revision of the evaluated items in the existing management evaluation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ulture and arts, this thesis suggests that the evaluation indices should be revised based on the valu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rather than conducting a separate ESG evaluation. Furthermore, the management evaluation items and the method of evaluation can be continuously analyzed and discussed through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measurement indices suggested here, resulting in the activation of ESG and potentially expanding this trend to individual artists and private art organizations. 전 세계가 기후변화에 따른 재난,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 위기 등을 겪으며 ESG는 선택이 아닌 필수사항이 되었고 기업을 넘어 각국의 정부, 공공 및 민간단체까지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생존이라는 맥락에서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을 위해 ESG를 어떻게 도입하고 활성화 시킬 것인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특히 공공문화예술기관을 관리부처와 근거법률 등을 바탕으로 책임운영기관, 기타공공기관, 광역자치단체 출연기관, 기조자치단체 출연기관으로 나누었고 경영평가편람 평가항목 분석을 통해 현재 경영평가 내 ESG가 차지하고 있는 비중을 점수로 계량화시켰다. 또한 FGI를 통해 공공문화예술기관 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ESG활성화와 관련한 경영평가의 개선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첫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ESG 관련 주요개념의 발달을 살펴보고 현재 동향에 대한 다양한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둘째, 앞서 연구한 이론적 배경과 최근 동향을 통해 문화예술의 ESG도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또한 ESG활성화를 위해 평가와 측정의 중요성을 조사하였다. 셋째, 기존에 이뤄지는 공공문화예술기관의 경영평가편람 현황을 살펴보고 공공기관과 문화예술기관의 ESG평가지표를 제시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기존 경영평가 내 ESG에 해당되는 지표들을 선별하고자 ESG분류지표를 제시하였다. 넷째, FGI를 진행하여 문화예술기관의 ESG경영, ESG평가 진행방식, 경영평가 내 ESG의 이상적 비율 등의 내용 등에 대하여 인터뷰하였다. 다섯째, 각기 다른 유형의 네 곳의 문화예술기관의 각각 두 개의 다른 연도의 경영평가편람에서 ESG비중을 점수로 도출하였다. 이에 앞서 제시한 ESG분류지표에 따라 항목을 분류하고 해당 지표의 배점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기존 경영평가에서 이뤄지는 평가항목의 개선과 보완을 통한 문화예술기관의 ESG경영 활성화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논문은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해 별도의 ESG평가의 진행보다 기존 경영평가 평가항목을 문화예술단체가 가지고 있는 가치와 특성에 따라 평가지표의 개선을 이뤄가는 것을 제언하였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 제시한 측정지표를 통해 경영평가 평가항목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분석과 그 방법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공공문화예술기관의 ESG활성화가 이루어져 이런 추세가 민간예술인과 민간예술단체들로 확대 될 수 있을 것이다.

      •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지속경영 발전을 위한 방향성 연구

        장유진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1743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late 2008 helped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realize the limitations of the market economy, inducing them to pay greater interest in the social economy or social enterprises and competitively conduct diversified activities in related areas both at the private and government level. The concept of "social enterprise" originated in Europe. It received great attention in the U.S. and later came under the spotlight in Korea. Korea began to institutionalize policies related to social enterprises immediately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the mid-2000s. This effort led to the introduction of a new system to certify social enterprises in 2007. The system, implement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s centered on direct support to certified enterprises in terms of labor costs and operating expenses, while inducing pducnerships between private businesses and local governments. As of 2010, the total number of social enterprises in Korea stands at 319. Only 29 of that number is taken up by those in the culture and art sector, a clear indication that social enterprises in the said area account for a fairly insignificant portion of all social enterprises in the country. The 29 certified enterprises in the culture and art sector show a heavy dependence on government support in their overall expenditure. Most of those in the aforementioned sector have yet to establish a business model for sustainable business, which raises concerns for their operation after government support is suspende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eek a direction for sustainable business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s in the culture and art sector. To this end, a study on the theories related to social enterprises was carried out to look into the concept of social enterprise, present status thereof at home and abroad as well as into social enterprises in the culture and art sector in Korea. The study was also used to examine the concept and present status of preliminary social enterprises and the support they receive from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 direction was found in the process to draw a conclusion of this research through a review of related documents and interviews with working-level professionals. In addition, a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implications of successful cases of overseas social enterprises in the culture and art sector as well as of exemplary domestic cases and to seek measures to apply such cases in Korea. This research presents proposals based on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for sustainable business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s in the culture and art sector through a study of related theories, interviews with professionals and an analysis of successful cases at home and abroad. The three perspectives are associated with policies and institutions, management within social enterprises as well as with external environment, respectively. The proposal related to policies and institutions seeks to build an infrastructure for social enterprises by shifting the current direct support policy to a indirect support scheme and to expand educational and promotional activities. Another proposal requires social enterprises to make diversified efforts to secure necessary resources by vitalizing inter-business networks and establishing a revenue model. The last proposal seeks to improve external environment for social enterprises with greater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citizens and partnerships with large corporations in terms of technology and managerial abilities. A close look at the contents of the proposals reveals that each of the proposal is linked with one another. Communication and exchanges with various entities including the government, corporations and citizens should form the basic framework for sustainable business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s. It is within this framework that an appropriate amount of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social enterprises in the culture and art sector so that they can firmly take root as a new area in the market.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figures out and analyzes the present status of both social enterprises in the culture and art sector as well as preliminary social enterprises in general. It aims to encourage wide-ranging research and approach on not only the area of culture and art, but also on various social enterprises. 2008년 말의 세계적 금융위기 이후 시장경제의 한계를 자각하게 된 각국의 정부들은 사회적 경제(social economy) 또는 사회적기업(social enterprise)에 대해 더욱 관심을 기울이며 경쟁이라도 하듯 민간뿐만 아니라 정부 차원의 다각화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유럽에서 시작된 사회적기업은 미국에 이어 한국에까지 관심이 증대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은 금융 위기 직후인 2000년대 중반에 사회적기업 관련 제도화가 추진되었다. 우리나라의 2007년부터 노동부 주도 아래 시행되고 있는 사회적기업 인증 제도는 민간기업과 지방자치단체의 연계를 유도하면서, 사회적기업에게 인건비 및 운영비를 지원하는 직접지원의 형태를 주축으로 해왔다. 2010년까지 사회적기업 수는 총 319개를 나타내는데, 그 중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은 29개로 아직 전체 사회적기업에서 문화예술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미 인증된 29개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들도 전체 예산에서 지원금이 큰 비중을 차지하여 운영되고 있다. 대부분의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들은 아직도 지속경영을 위한 비즈니스모델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어, 정부의 지원금이 중단된 이후의 기업운영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지속경영 발전을 위한 방향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에 대한 이론연구를 통해 사회적기업의 개념 및 국내외 일반현황과 국내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및 예비사회적기업의 개념, 정부 및 지자체 지원과 일반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문헌조사 외에 실무 전문가의 인터뷰를 통해 결론 도출을 위한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었다. 또한, 해외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성공사례와 국내의 모범적인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국내의 상황에 적용 가능한 시각에서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과 전문가 인터뷰, 국내외 사례분석 등의 조사방법을 통해,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지속경영 발전을 위한 방향성으로 세 가지로 제언하고자 한다. 정책 및 제도적 관점, 기업 내부 경영적 관점 그리고 외부 환경적 관점이다. 정책 및 제도적으로는, 현재의 직접지원을 간접지원으로 전환하여 인프라를 구축하고 교육 및 홍보 등의 활동을 확대하여야 한다. 기업 내부적으로는, 기업간 네트워크를 활성화 하고 수익모델을 구축하는 등 재원을 위한 다각화된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외부 환경적으로는,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확대와 대기업의 기술 및 경영능력의 연계가 필요하다. 이 세 가지 방향성의 내용을 살펴보면 서로 하나로 연결되는 개념이다. 정부-기업-시민 및 다양한 영역과의 소통과 교류가 기본바탕이 되고 그 안에서 적절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이 새로운 시장영역으로 확실히 자리를 잡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논문은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뿐만 아니라 예비사회적기업 전반에 걸쳐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문화예술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기업에 대한 폭넓은 연구와 접근이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 문화예술단체 ESG경영의 필요성 & 구성요소 연구

        진윤일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743

        This study examines how ESG management, a new paradigm for corporate growth, can be applied to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In particular, it was reviewed how to apply the core elements of corporate ESG management to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and how to construct evaluation indexes components applicable to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These ESG evaluation indexes secures the organization's competitiveness, self-sufficiency, and stability, and preemptively predicts crises and risk factors in the organization's operation. First,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the definition and core elements of ESG management were reviewed, and the case of SK holdings, a domestic company, was studied through case analysis of companies for each core element. Second, based on the previously researched definition of ESG management and case analysis for each core element, the necessity of ESG management for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was raised and the details of each core element were studied. Third, case studies of ESG management of domestic and foreign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were analyzed. As an example in practice, the environment-based theater operation case of the Pigfoot theater company in England was investigated. As another example, Samsung Cultural Foundation's ESG management cases and current status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Third example is Academy Passion & Shar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APS), a performance group with 25 members, was analyzed for each key element of ESG management. As a result, it was suggested that ESG management is an important management method for the operation of sustainable organizations and that it can help other companies realize ESG management. Fourth, the need for ESG evalua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and the functions and components of evaluation indicators were studied. The necessity and functions of ESG evaluation indicators for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were studied. In order to construct the ESG evaluation index for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the cases of ESG evaluation index of general companies were first studied and analyzed. The corporate evaluation index of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KCGS) and the K-ESG guidelines distribut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were analyzed in detail. The company evaluation index of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KCGS) and basic diagnosis item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the K-ESG guidelines distribut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were used as models. The specificity of ESG management of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was studied, and the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ex system was constructed and presented. It is suggested that each cultural and organization itself select the weight and application part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each cultural and arts organization when evaluating each part. Furthermore, it is proposed that the evaluation index constructed in this way can be used as a fair judgment criterion by using the constructed evaluation factors when deliberation of investment and support by companies and public support organizations. If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execute and evaluate ESG management using the index system and diagnosis items studied in the future, they can be equipped with competitiveness and self-sufficiency based on sustainable management in the market. In addition, culture and arts will be able to play a role in leading a sustainable society. 이 연구는 기업성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는 ESG경영을 어떤 방식으로 문화예술단체에 적용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게 할 것인지를 고찰하였다. 특히 기업의 ESG경영의 핵심요소를 문화예술 단체에 적용하고 국내기업의 ESG경영지표와 K-ESG평가지표 모델을 바탕으로 문화예술단체에 적용이 가능한 평가지표 구성요소를 어떻게 구성할것인지를 검토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ESG평가지표는 단체의 경쟁력, 자생력, 안정성을 확보하고 단체 운영의 위기와 위험요소를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대응 할 수 있다. 또한 문화예술단체의 ESG경영이 일반기업과 기관들의 ESG경영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가의 대안도 제시하였다. 첫째, 연구 이론적 배경으로 ESG경영의 정의 및 핵심요소를 살펴보고 각 핵심요소별 기업의 ESG경영 사례분석으로 국내기업 SK주식회사의 사례를 연구하였다. 둘째, 앞서 연구된 ESG경영의 정의 및 각 핵심요소별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문화예술단체의 ESG경영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각 핵심요소별 세부내용을 연구하였다. 셋째, 국내외 문화예술단체 ESG경영 사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국외 사례로 영국 피그풋 시어터(Pigfoot theatre company)의 환경에 기반 한 극장운영사례를 조사하였고 국내사례로 삼성문화재단의 ESG경영사례 및 현황을 연구 분석 하였다. 25인 규모의 연주단체인 아카데미 열정과 나눔(이하APS)의 운영상황을 ESG경영의 핵심요소 별로 분석하였다. 시사점으로 ESG경영이 지속가능한 단체의 운영을 현실화 시키는데 중요한 경영방식 이며 특히 문화예술단체의 특성상 레퍼토리의 구성, 지역기업과의 파트너 쉽 형성 등이 다른 기업의 ESG경영 실현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넷째, 문화예술단체 ESG평가의 필요성과 평가지표 기능 및 지표 구성요소를 연구 하였다. 문화예술단체 ESG평가지표의 필요성 및 기능을 연구하고 제시하였다. 문화예술단체 ESG평가지표의 구성을 위하여 먼저 한국지배구조원(KCGS)의 기업 평가지표와 산업통산자원부에서 배포한 K-ESG가이드라인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지배구조원(KCGS)의 기업 평가지표와 산업통산자원부에서 배포한 K-ESG가이드라인 중견중소기업 기본 진단항목을 모델로 삼았다. 문화예술단체 ESG경영관련 특수성을 연구하고, ESG경영 평가지표 체계를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현재 국내외에서 대표적 기업이나 단체에서 활용되고 있는 ESG경영요소, 필요성, 평가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문화예술단체가 가지고 있는 가치와 특성을 감안한 ESG경영의 필요성을 제기했으며 단체가 가지고 있는 특수성을 바탕으로 ESG경영 평가지표 체계를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연구된 기업과 문화예술단체의 ESG경영요소, 필요성, 평가구성 요소를 비교할 수 있도록 표를 구성해 그 차이점을 설명하였다. 문화예술단체의 특수성에 맞게 구성된 ESG평가지표는 각 부분 평가 시 모든 문화예술단체의 단체별 특수성을 고려해 가중치 및 적용부분은 단체 스스로 선택할 것을 제안 하였다. 더 나아가 이렇게 구성된 된 평가지표는 사회공헌에 관심 있는 기업 및 공공지원 단체에서 투자 및 지원 심의 시 구성된 평가요소를 활용 하여 공정한 판단 기준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향후 연구된 지표체계와 진단항목을 이용하여 문화예술단체가 ESG경영을 실행하고 평가한다면 시장의 지속가능한 경영을 바탕으로 경쟁력과 자생력을 갖출 수 있다. 또한 문화예술이 지속가능한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다.

      •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응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요구분석

        진민지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1727

        Korean Society is in a rapid transition into a diverse community. And, a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 increases, the status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is getting more and more attention. Female marriage immigrant in an international family are exposed in a quite significant amount of stress due to the sociocultural differences and mental anxiety as a result. In this perspective, it is required to provide these women with practical culture & arts education to help them overcom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es and burden they experience. The culture & arts education programs can be seen as a professional endeavor to resolve the conflicts and dissatisfaction in a more efficient way and provide a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their selves. Also, it is an attempt to help enhance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into something more productive. With this in mind, we set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identify and develop the kind of culture & arts education program that could help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who are from foreign countries and now living in Korea with their Korean husbands after marriage adapt to Korean society and develop their potential capabilities. To serve this objective, we examined the definition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their current status, problems, and the status and problems involving the culture & arts educations offered for them. Also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who are living in Gyeonggi-do for such examin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samples of the interviewees of this survey were immigrant women who are not yet familiar with reading Korean languages, we used questionnaires translated in the native languages of these immigrants, such as Chinese, Vietnamese, and Japanese. By the means of the above mentioned examination and survey, we investigated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immigrant women as well as whether they participate in any culture & arts education programs. Also, for those who are participating in such programs, their channels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on the courses, and their needs were also examined. In addition, we examined what kinds of supports are to be provided to make these programs further enriched in quality and quantity. Considerations to be made when planning such education programs were also examined. With all this information, we proposed a culture & arts education program that could best facilitate such education for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As a result of our study, the demands for the culture & arts education turned out to be very high, and a considerable number of the immigrant women showed potential for development in terms of culture & arts perspective. However, the opportunities for these immigrants to participate and appreciate such culture & arts experiences are still limited. It turned out that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were exposed to the indifference by their husbands or Korean family members. Also, many of them were burdened not only with the house works but also with the responsibility to make a living for their families due to the unfavorable economic status of their Korean family. Many of them also felt alienated due to the lack of their understanding on Korean culture and society. The lack of language proficiency in Korean also was a difficulty, hindering their communication with others around them since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Korean language program was limited. The difference in the life style was also found to be a source of inconvenience for them. Under these circumstances, participating in the culture & arts education programs will be an opportunity for them to have a better state of lives, by means of culture and art. It is also proposed that the culture & arts education programs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immigrant women themselves. Instead, such programs are recommended to include other family members of these women, such as the husband and the children, since the problems these immigrant women have are entangled with the problems of raising the children, economic hardship of their families, language barriers, and cultural differences suffered by them and their families alike. In this study, we approached the culture & arts education program in a wider perspective, which includes the recreational aspect of such programs but also the fact that it was about the very survival of these people. It was also proposed that these immigrants are not only to be mere objects of the education to be fed with the Korean culture, but they need to be an active subject who could introduce the international cultures from their origins. It would be desirable, too, that there are programs that could help the other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families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these immigrants’ home countries. To serve these goals, the education programs should also include language educations, cultural educations to help them live in Korean culture, and, ultimately, these immigrant women need to be given with the opportunity and education to play a role of creative provider of the culture and art in Korean society, like teaching international cultures or foreign languages. Further studies would be required, in this perspective, as to the systems for cultivation and training of teachers with such culture & arts capabilities. 최근 우리사회는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국제결혼이 증가함에 따라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민자는 타국인으로 사회적 문화적 이질감이 커서 심리적 불안감과 스트레스가 날로 증가하여 삶을 압박 받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육체적, 정신적, 심리적으로 압박감과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문화예술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갈등과 욕구불만을 효율적으로 해결하고, 보다 원만한 자기성장의 기틀을 마련할 뿐만 아니라 주위의 여건을 생산적인 방향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려는 하나의 전문적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우리사회에 보다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찾아내 그들이 지닌 잠재적 능력을 활용하도록 도와주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의 개념, 현황 및 문제점들과 이들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함께 살펴보고, 경기도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가 한국어 읽기에 능숙하지 못한 외국여성임을 감안하여 여성결혼이민자들 중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중국, 필리핀, 베트남, 일본 여성들의 모국어인 중국어, 영어, 베트남어, 일본어로 번역한 설문지를 작성하여 활용하였다. 이러한 조사와 설문을 통하여 현재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생활상과 문화예술교육 참여여부, 참여경로, 만족도 및 요구사항을 살펴보고, 여성결혼이민자 문화예술교육의 양적·질적 발전을 위하여 지원되어야 할 내용과 프로그램 기획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점들을 파악하고자 하며 이를 토대로 여성결혼이민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은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과 욕구가 높으며, 문화예술 관련 자원과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들도 상당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문화예술 향유기회와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 기회는 제한되어 있다. 여성결혼이민자는 남편 또는 가족의 무관심속에 방치되거나 경제적 어려움으로 취약한 사회경제적 기반 속에 가사노동은 물론 가족의 생계까지 책임져야하는 부담이 있으며,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사회적 고립을 느끼고, 한국어교육의 부족으로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느끼며, 생활방식의 차이로 인한 불편함 또한 크다. 이러한 현실에서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을 통해 자신의 삶을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여성결혼이민자의 어려움은 자녀양육문제, 가족의 경제적 빈곤, 언어소통의 문제, 문화적 갈등 등이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관계로 여성결혼이민자 문화예술교육은 단지 이들만의 교육프로그램이 아닌 남편과 자녀 외에 다른 가족, 이웃을 포함하는 포괄적 교육프로그램이 이루어져야한다. 여성결혼이민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생존과 여가를 포함하는 광의의 문화라는 차원에서 접근하였고,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일방적으로 한국문화를 주입시키기 보다는 이들이 교육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또한 한국인 배우자와 가족이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도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서는 문화예술과 함께 한국어교육, 한국생활문화에 대한 교육이 연계되어야 하고, 궁극적으로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이 다문화강사나 원어민강사 등 한국사회에서 문화예술의 창의적인 생산담당자로서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문화예술적 역량을 가진 교사의 양성과 훈련제도에 대한 연구도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 기업교육에 있어 문화예술교육인력 역량강화 교육의 필요성 및 방법에 대한 연구

        박청실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727

        기업은 급변하는 사회와 예측할 수 없는 미래를 바라보며 기업 경쟁력을 갖추고 지속 성장을 위한 방법으로 인적자원개발(Human Resource Development)을 기업의 중요한 사안으로 보고 있다. 기업 내 HRD 담당자는 끊임없이 새롭고 효과적인 교육을 찾으며 그 일환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이 검증되어 가고 있다. 이에 기업교육에서 활용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점차 다양해지고 있으며, 문화예술교육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교육회사도 함께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문화예술교육인력은 기업교육 담당자로서 전문적인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가, 활발한 기업교육 활동이 이뤄지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교육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인력의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고 문화예술교육인력이 기업교육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역량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역량강화 교육의 필요성과 역량강화 교육 방법에 대해 제시한다. 이를 위해 기업의 인적자원개발과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학술적 개념 및 특성을 선행연구 하였으며 기업교육 내 문화예술교육인력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HRD전문가와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국내에 이뤄지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인력 대상 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문화예술교육인력에게 필요한 역량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들의 역량 강화가 현재의 교육 시스템으로 가능할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문화예술교육인력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기업교육의 이해, 교육 역량, 조직에 대한 이해, 고객 중심 태도, 커뮤니케이션 능력이었으며 조직 경험이 없거나 적은 문화예술교육인력에게 해당 역량을 단기간에 습득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라고 보았다. 하지만 마치 예비창업자가 창업교육을 수강하는 열정과 태도처럼 예술인들이 기업교육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 열의와 노력을 쏟는다면 더 빠른 교육 결과가 실현될 것으로 보았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인력 대상 교육 과정을 살펴 본 결과 기업교육을 위한 역량강화 과정은 찾을 수 없었다. 문화예술교육과 문화예술교육인력에 대한 제도와 교육 복지가 잘 갖추어져 있다고 보았지만 교육 영역이 공공·사회 방면으로 치우쳐져 있어 민간·기업으로의 확대는 크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먼저 기업교육에 특화된 역량 개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다. 첫째, 앞서 도출된 역량을 바탕으로 기업교육 전문가가 되기 위한 단기적·장기적 역량 개발 과정을 개설한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사의 정규 교육 과정 중 문화예술교육인력에게 필요한 교육 과정을 개설하고 선택하여 수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문화예술교육인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은 꼭 필요한 단계이며 그 어떤 조치보다 우선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다음으로 공공 및 민간에서의 지원 및 연계하는 방법이다. 첫째, 한국예술인복지재단에서 예술인경력정보에 강의/교육을 경력으로 인정해주는 것이다. 예술인의 경력정보에 강의/교육활동을 포함시켜 문화예술교육인력이 기업교육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하고 경력 개발을 용이하게 만들어주어야 한다. 둘째, 기업과 문화예술 전문인력 간의 연계를 맡고 있는 한국메세나협회의 교육 지원이다. 기업과 예술인을 연계한 프로젝트에서 프로젝트 초기와 단계별로 역량 개발 과정을 실시하여 기업과 문화예술교육인력 모두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는 기업과 문화예술교육인력 간의 코워크(Co-Work)를 실행하는 방법이다. 실제 기업 교육 현장에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프로젝트를 만들어 역량 개발 과정에서 습득한 역량을 현업에 즉시 적용해 봄으로써 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인력이 기업교육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인력의 역량이 개발되고 기업교육에서의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기업교육에 있어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Companies regard their human resource development as their important issue as a method to be competitive and sustainable while preparing for a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unpredictable future. HRD representatives in companies are constantly looking for new and effective education, and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and moreover,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on culture and arts has also been proven. Therefor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used in corporate training are becoming more diverse, and the number of companies specializing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at educate other companies is on the rise. However, there are currently insufficient studies on whethe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have professional competency as a person in charge of corporate education and are active in corporate edu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t has a purpose of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in corporate education and of figuring out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to grow as an expert for corporate education. Based on this, it presents the need for training to strengthen competencies and its methods. To do this, it first studied academic concepts and roles in corporate education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hen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in corporate education. In addition, it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HRD experts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education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in Korea. As a result, it was able to understand the competencies needed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and to confirm whether or not strengthening their capabilities could be achieved through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were summarized in five factors. They were understanding of corporate education, educational competency,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 customer-centered attitude, and lastly communication ability, and it assumed that it would be difficult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with little or no experience in the organization to acquire those competencies in a short period of time. However, if artists make a lot of enthusiasm and efforts to become corporate education specialists just as would-be founders’ enthusiasm and attitude to tak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t assumed that faster training results would be obtain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urriculum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there was no curriculum for strengthening competencies for corporate education. It could be also found that it was originally thought that system and education welfare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its personnel, but the expansion of the education sector to private and enterprise was not significant due to the bias toward the public and social sector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details. First of all, it provides education to develop competencies specialized in corporate education. First, it opens the short-and long-term processes to develop competencies to become corporate education specialists based on the previously mentioned competencies. Second, it opens up the curriculum required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among the regular curriculum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structors and develops a system that they can select and take classes freely.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is a necessary step and should take precedence over any measures. Next is the way to receive and link supports from the public and the private sector. First, Korean Artist Welfare Foundation recognizes lecture/education experiences as a career in the career information of artists. It should include lectures and educational activities in artists’ career information so that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can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corporate education,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career. Second, it is the educational support of the Korea Mecenat Association in charge of linkage between companies and culture and arts professionals. Furthermore, it conducts the competency development process at the beginning and each stage of the project with companies, so that it ensures positive results for both companies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Finally, it is a method to implement the co-work between companies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In other words, it creates projects that plan and operat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in the actual field of training companies and immediately apply the competencies acquired during the competency development process to the actual field to maximize the effect. In conclusion, it was available to examine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to become experts in corporate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of this study hopes that they will be able to becom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corporate education by developing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m and supporting their activities in corporate education.

      • 공공문화재단의 메세나 지원사업에 관한 연구 : 광역문화재단을 중심으로

        박은경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727

        최근 문화예술의 저변을 확대하려는 사회적 인식이 매우 중요해지면서 민간지원의 자율성을 높이고 역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민간 후원 활성화에 다양한 노력이 수반 되고 있다. 기업이 문화예술 지원을 통해 사회에 공헌한다는 의미를 지닌 ‘메세나’ 활동은 1967년 미국에서 예술지원기업위원회가 최초 창설되며 이후 유럽, 일본 등 각 국으로 확산되었고 우리나라는 1994년 한국메세나협회가 설립되면서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본래 기업을 회원으로 두고 협회 중심으로 진행되어왔던 메세나 사업이 민간 후원 활성화, 지역 특성화를 위해 공공문화재단으로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 이러한 활동이 바람직한 것인가에서 출발하여 본 논문에서는 공공문화재단에서의 메세나 지원사업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메세나의 기원은 고대 로마 제국에서 문화, 예술인의 창작 활동을 지원한 가이우스 마에케나스의 이름에서 유래하였으며 기업의 문화 예술 후원을 통한 사회적 책임 실현을 뜻한다. 세계 각 선진국들의 공통점은 경제와 더불어 문화가 강하다는 점이다. 글로벌 문화산업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그들의 문화력은 탄탄한 기초체력에서 비롯되며 문화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기초예술에 대한 투자를 통해 길러진 결과물이다. 우리나라의 예술 기부에 대한 인식은 현저히 낮은 편이며, 그 중 문화예술 분야의 기부 불균형 해소를 위해 기업이 메세나 활동의 주체가 됨으로써 실질적인 재정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후 민간의 문화예술후원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문화예술후원 활성화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며 법적·제도적 근거를 마련,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을 활성화하기 위한 근거법이 제정되게 되었다. 최근 광역단체 문화재단에서 시민이나 예술가를 돕는 지원중심 사업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기업과 예술단체를 매개해주는 지역 메세나 사업이 확산되며 현재 13개의 광역단체 문화재단 중 서울, 경기, 대구, 대전, 부산 총 5개의 문화재단이 메세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공공문화재단에서의 메세나 활동 사례 조사를 통해 유형별로 활동을 분석 할 수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의 개선방안을 위해 문헌조사 외에 실무 전문가의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기업과의 네트워크, 메세나 단체 간의 네트워크, 매칭펀드 지원사업, 인증제도 및 예우, 전문인력 양성, 홍보 방향 등에 관한 인터뷰를 통해 여섯 가지의 대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조직구조 개선필요, 기업과 상생하는 파트너십, 메세나 사업 주체들간의 네트워크 활성화, 예우프로그램 개발 및 전문인력 양성, 홍보방향 개발이다. 첫 번째로 공공문화재단에서 메세나 사업을 하는데 가장 중요한 기업과의 네트워크를 위한 조직구조 개선이다. 전문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업무를 분담할 수 있는 조직형성이 필요할 것이다. 두 번째로 기업과 돈독한 마케팅으로 관계를 유지시키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파트너십이 필요하다. 세 번째로 메세나 사업 주체들 간의 네트워크 활성화이다. 사업을 끊임없이 공유하고 아이템을 공유할 수 있도록 소통의 장이 필요한 부분이다. 네 번째로 기부 고객에 대한 진정성 있는 예우가 필요할 것이며 다섯 번째로 이러한 지역 문화를 잇는 전문성을 갖춘 매개자 양성 및 실무자 교육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더 많은 기업과 예술단체 그리고 시민들이 문화예술을 이해 할 수 있도록 함께 공유할 수 있는 홍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공공문화재단에서의 메세나 사업이 올바른 방향으로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대안을 제시 하였으나 인터뷰를 하는데 있어서 메세나 관련 전문가가 한정되어 있었으며 공공문화재단의 메세나 사업 또한 충분한 홍보가 되어 있지 않아 자료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한계점이 있지만 본 연구는 공공문화재단에서의 메세나 활동 현황에 관한 자료가 아직까지 없다는 것과 앞으로 점차 발전될 지역문화재단에서의 메세나 활동이 활발히 전개되기 위해서 필요한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본 연구가 갖는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문화예술발전을 위해 기업에 문화예술이 지닌 고유의 예술 가치와 예술이 삶에 얼마나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에 대한 끊임없는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이를 위해 메세나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지역 문화재단에서도 다양한 메세나 사업을 시행해 나감으로써 지역발전에 도움이 되고 타 지역에 바람직한 사례로 기여하게 되기를 기대해본다. In recent years with the rise of awareness on expanding the base of arts and culture,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enhance the private sponsorship on arts and culture that would enable the autonomy of private support. ‘Mecenat’ which originally means corporations’ contribute to the society by sponsoring arts and culture with providing arts funding has been officially established in USA with the foundation of the Business Committee for the Arts(BCA) in 1967. From then on, mecenat activities have quickly spread to various countries in Europe and to Japan. In Korea, mecenat activities to funding various arts has officially set up with the launch of Korea Mecenat Association in 1994. Starting point of this essay was to investigate whether spreading of mecenat projects from its limited exercise only through the Korean Mecenat Association with its membered corporates to public foundations for arts and culture and to regional art councils should be welcomed and promoted, especially under the current climate of initiatives of sponsoring arts being executed by more and more public foundations. This essay aims to study closely on the mecenat activities carried out by public foundations. The term, ‘Mecenat’ originates from the character’s name of Gaius Clinius Maecenas in Roman Empire and has acquired the meaning of corporations’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funding in arts and culture. Developed countries not only have strong economy but also have rich and flourishing culture. The flourishing culture that play key roles in leading the global cultural business stems from their long history of corporate funding in the foundation of pure arts. On the contrary, Korean corporations have little understanding on the importance of arts funding and this led to mecenat activities predominantly being carried out as a practise of philanthropic efforts by many corporates. However, culture and arts sponsorship facilitation law was legislated to promote more active private arts funding. With these legal grounds, more corporations can participate sponsoring arts and culture through various means. As a result, regional arts foundations have launched the mecenat projects and started playing key roles to intermediate between many corporations and art councils outgrowing their passive functions of supporting artists or artistic communities directly. There are 5 regional arts foundations - in Seoul, Gyeonggi, Daegu, Daegeon and in Busan that are actively executing mecenat projects out of total 13 regional foundations nationwide. This on-going mecenat projects in 5 regional communities enabled this essay to investigate closer on the effect of mecenat by categorising and analysing the activities carried out so far. During the study, various interviews with field workers and documentary surveys were carried out aiming to present some alternative measures in tacking the present problems in arts funding on a regional level. As a result, this essay reached the conclusion of 6 alternative proposals to reinforce the mecenat activities of regional arts foundations – strengthening networks between arts foundations and corporations, revitalising networks between regional mecenat organisations, promoting of matching fund business, setting up certificate system and courteous treatment for sponsors, training industry experts and lastly stepping up with reinforced marketing tools. These proposals are to make an improvement of organisational structure, beneficial partnership with corporations, reinforcement of activities between mecenat organisations, developing courteous treatment for sponsors, training experts and developing marketing campaigns. First proposal is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in the regional arts foundations, so that they can build up strong networks with regional and national corporations. It is vital for the organization to have expertise and experience to sustain good work. Second is to maintain great partnership with corporations through beneficial marketing strategies. Third is to stimulate relationships between regional mecenat organizations. Good communications would be the main key to keep each other updated on business plans and future and on-going projects. Fourth is to develop courteous treatment to the sponsoring corporations as return of their providing. Fifth is to train industry experts who understand the regional situations and characteristics. Last proposal is to develop powerful marketing strategies for a lot more businesses, art councils and general public to enforce their understanding arts and culture. So far, this essay has examined the current practice of mecenat projects on national and regional levels and proposed some alternative measures for the mecenat activities to head in the right direction. However, it had faced some difficulties in finding sufficient materials due to lack of expertise in the business field and inexperienced practice of mecenat on regional level. Nevertheless, this paper has great meanings by presenting alternative measures for mecenat activities to be able to thrive in regional communities, especially considering there haven not yet been any studies on the performance of regional mecenat projects that have been executed by regional arts and culture foundations. It is necessary to continue educating corporates on how important the artistic value that arts and culture contain and how big the influence the arts can impact on everyday lives. Hopefully this essay can contribute these mecenat activities to spread to regional arts foundations that mecenat project has never been in place and as a consequence, it assists to flourish regional arts and culture.

      • 문화예술교육사의 활동영역 및 배치에 관한 연구

        박환석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1727

        이전의 많은 연구와 발표에 의해서 문화예술이 얼마나 우리들의 삶과 가까이 있고 밀접하며 문화예술 없이는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힘들다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문화예술은 단지 즐기고 향유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각종 분야와 융합되고 접목되어 다양하게 활용되고 그 역할이 확장되어 가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사회적 요구와 문화예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현재 많은 문화예술관련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문화예술교육 분야에서는 2003년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추진계획’을 계기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분야에 많은 관심과 지원을 하고 있다. 그 연장선상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전문 인력의 필요성을 느끼고 2013년 ‘문화예술교육사’ 제도를 시행하였으며 자격증 발급을 위한 교육을 전국 13개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미국의 T.A.제도나 영국의 C.P. 그리고 프랑스 DRAC의 문화예술전문인력 양성과정 등과 같은 해외의 사례를 연구하여 국내 사정에 맞는 국가공인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제도를 추진하였다. 그 추진배경은 두 가지로 볼 수 있는데,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력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모색, 둘째 문화예술 전공 대학졸업생들의 진출영역 확대이다. 문화예술교육사는 기존의 문화예술교육 인력인 예술강사, 교육사(에듀케이터), 창의예술교육가, 또는 전문 예술교육단체 등과의 차별성을 위하여 예술영역, 교육영역, 경영영역을 보다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문화예술교육사의 활동영역이나 배치에 관해서는 아직 정확한 해답을 찾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예술교육사와 관련된 인력군의 분석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사가 진출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영역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사의 효과적인 배치를 위한 해외 사례를 알아보고 이들을 배치할 수 있는 법적 근거의 당위성,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많은 관심에서 오는 트렌드적 관점의 당위성, 그리고 사회적기업, 1인기업과 같은 분야로 까지 확대되어 문화예술관련 인력군의 사회진출 및 기회확장의 당위성을 제시하여 문화예술교육사의 진출 방향을 모색해볼 수 있겠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제도가 단지 자격을 갖추기 위한 도구로 끝나지 않고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을 배양해 내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rough previous researches and studies, we know well that culture and arts are how much important and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also these make our lives more abundant and pleasant. These days, Arts and culture are applied to not only entertainment things, but also various different fields, so the role of arts and culture is extended. For the these social demands, Government is planing and carrying forward many businesses related arts and culture. Government has spent many cares and supports on arts education in school and society especially after the announcement of the arts and culture activation plan in 2003. As an extension of the concern about arts and culture education, government feels the needs of professionals and carries out the national certification system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Throughout national, thirteen universities have curriculums to produce professionals with national certification. By researching T.A(Teaching Artiest) system in America, C.P(Creative Partnership) system in England, and the system of DRAC(Direction Reginale des Affaires Culturelles) in France,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made a suitable system that is suited well on the environment of korea education, and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operates the national certification system from 2013. The reason why the national certification system is made has two important purposes, the first is the paradigm shift in arts education policy seeks personnel and the second is Graduates to enter the area of cultural arts expansion. Art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has differentiating characteristics and roles compare to existing teaching artist, educator, creative art teacher, and other professional instructor, Art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is demanded more strong abilities on management and producing. In this thesis, I will propose the various working fields that Art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can advance and also study the disposal of Art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By my research and study, I wish the system of Art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can sustain well and the system can produce excellent education professionals.

      • 문화예술협동조합의 필요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 협동조합기본법의 제정 · 시행과 관련하여

        이원빈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1727

        세계의 협동조합은 각기 다른 태생환경을 가지고 있지만, ‘공동으로 소유하고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사업체를 통하여 공통의 경제 · 사회 · 문화적 필요와 열망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자율적 단체’라는 협동조합의 정의에는 공감하고 있다. 2012년 12월 1일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된다. 국내에는 협동조합 설립을 위해 몇몇 단체가 준비중에 있으며, 기존 문화예술분야의 사회적기업 및 비영리단체들이 협동조합에 관하여 많은 관심과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그 이유로는 기존 문화예술의 생산자 · 매개자 · 소비자들이 활동함에 있어 많은 문제점들을 느껴왔고, 그 문제점의 대안으로서 협동조합을 기대하고 있기 때문인 것이다. 그 예로, 예술(창작)인의 사회보장 문제, 자유로운 창작활동보장 문제, 창작물의 유통문제, 향유기회의 부족 및 문화예술 활동의 참여기회 부족 등이다. 이러한 생산 · 소비· 유통에 관한 문제는 협동과 협력으로 해결 가능하기 때문에 협동조합운동이 필요한 것이다. 또한 협동조합운동은 사회 · 경제적인 가치실현을 위해서 필요한 사회운동이다. 문화예술은 시민의 심미적 여가활동을 견인하고, 도시의 재활성화를 통한 지역의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제공하며, 결국 시민의 삶의 질이 개선된다. 그리고 문화예술의 경제적 가치로는 문화산업의 고부가가치를 위한 콘텐츠 개발의 원천이고, 문화 · 관광산업에서 많은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며, 지역축제 및 이벤트 등을 통하여 지역에 직접적인 경제적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문화와 예술을 활용한 지역의 이미지 개선은 창조적 계급의 유입과 관광객을 유치하는 효과가 있어 지역에 경쟁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문화예술의 필요성과 가치들로 인해 많은 문화예술 협동조합이 생겨날 것으로 예측된다. 많은 협동조합들이 효과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몇가지 유형을 제시했다. 협동조합은 먼저 설립목적에 따라 일반협동조합과 사회적협동조합으로 구분하며, 또한 각 협동조합은 협동조합 연합회를 구성할 수 있다. 일반 협동조합과 사회적협동조합의 경우 조합원과 사업내용의 특성을 고려하여 4가지의 협동조합 유형을 제시한다. 첫 번째, 예술(창작)인 협동조합은 예술인의 자유로운 창작과 사회경제활동의 보장이 가능하다. 두 번째, 매개자 협동조합은 문화예술의 생산과 소비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세 번째, 문화예술 소비(향유)자 협동조합은 문화예술의 향유기회가 확대될 것이다. 네 번째, 복합형 협동조합은 생산자, 매개자,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와 욕구가 융합 · 반영되어 새로운 문화예술 서비스가 제공될 것이다. 영국 · 이탈리아 · 독일 · 스위스 · 미국 등의 외국 협동조합 선진국들은 오랜 협동조합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사례 및 성공요인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그 동안 협동조합과 사회적목적이 유사한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이 활동하고 있었는데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되면 이러한 사회적기업들이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협동조합의 성공적인 정착과 발전을 위하여 정책 · 행정분야와 운영분야에서 고려해야할 사항들을 제언하였다. Cooperatives in the world have their own birth environments, however, it has been universally agreed on the definition of cooperative which is self-regulating organization voluntarily formed by those who want to satisfy their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need and aspiration through the jointly possessed and democratically operated business. December 1st in 2012, the framework act of the cooperative is supposed to be enforced. Internally, a few organizations are preparing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ooperative and simultaneously, existing social enterprise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have paid attention to the necessity of the cooperative because producers, intermediaries, and consumers of existing Culture-Art field have experienced the problems in their action, and they anticipate the cooperative as an alternative for the solution. The problems they face can be enumerated such as social security of artist and creator, guarantee of free creative writing and performance and distribution of creative production, their lack of enjoyment chance, and finally lack of opportunity in their cultural and artistic action. These problems which are related to production,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could be solved through the cooperation and the collaboration, and that’s why the cooperative is needed. Also, the cooperative is a necessary social movement for the social and economic value realization. Culture-art offers aesthetic leisure activities to citizen, provides a new identity to a region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a city, and finally improves citizen’s life quality. In addition, the economic value of Culture-Art is to be the source of contents development for a high value added cultural industry, to make job creation possible in cultural and tourist business, and to provide direct economic effect to a region through the regional festival and event. Futhermore, the image improvement of a region by making use of culture and art can attract tourists and draw creative classes, and finally enhance the a region’s competitiveness. Thus, we can expect a lot of cooperatives will be organized due to the necessity and value of cultural and artistic effect.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types for the effective business performance of various cooperatives. A cooperative is classified into a general cooperative or a social cooperativ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and each cooperative can compose cooperative federation. With the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cooperative’s members and its workings, I suggest 4 types of cooperative. First, artist(creator) cooperative is able to guarantee artist a free creative action and a social-economic activity. Second, intermediary cooperative can interact between production and consumption. Third, consumer cooperative will expand the chance to enjoy culture and art. Fourth, complex-type cooperative will provide a new cultural and artistic service through the reflection and combination over various needs and desires of producers, intermediaries, and consumers. Foreign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Kingdom, Italy, Germany, Swiss, and the United States have long history of cooperatives and show us diverse examples and success factors. In Korea, cooperatives and social enterprises which have a similar objective to the cooperative in cultural and artistic field are extensively promoted. And lots of social enterprises in cultural and artistic field are expected to change into a cooperative type.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and development of the cooperative, each part of policy, administration, and operation should suggest rational and valid proposal, and at the same time, a continuous effort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