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피아노 음악학원 운영에 관한 연구 -원주시를 중심으로-

        김은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A purpose of this treatise is that I want to show the method of improvement about operation of Piano-Music academy by Research on Won-ju. Won-ju is main city of this treatise. The Study has four concrete contents. 1) Piano-Music educational teacher's specific character and talent. 2)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 about guidance. 3) Piano-Music academy's management planning 4) Contents of Piano-Music academy's administration and environmental equipment. The method of Research is distribution the Paper which has 35 questions for 84 Piano-Music academies. The managers of each academies gave back the Paper with their own answer, I analyzed it. You can find the result on the next lines. First. The Piano lesson needs to get 「One by one personal education」, so each teachers of piano lesson have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by each teachers undertake smaller group of students. And the Piano lesson needs to get the systematic student administration by 「Charged teacher system」. Second. We should respect to teachers who spend more time with children than others, and we have to make circumstance them for better works. Third. The academies has miscellaneous affairs which was exceeded our expectation. so teachers sometimes forgot and made mistake about lesson or other things. If their mistakes increase, the belief of parents who has students was lessoned will be decreased. So teachers have to write 「Service Diary」everyday and arrange the items which was used to forget easily. Fourth. We need continuous strategic public relation for successful operation. We should be hold an event meeting like ‘Talent market’ or ‘Voluntary service’ on weekend. People are recognized that we are different and special by that actions. And we need to change the students' tools every year because people regard that we always try to keep the clean our academy and student . Fifth. Make the our own prize. If we make our own prize and award it methodically, students' morale will be increase. Then it will be the information by parents' gossip Sixth. The concert of academy is the chance which can show the people about students's ability within a defined period. The students can learn endurance when they prepare for the concert and get the accomplishment and confidence when they play in concert for audience. And They need to enter the bigger and better concert like 「International Concours」. because it helps the students to get a courage and to improve their ability. Seventh. The Education of present in Korea focus on 「Entrance examination」. so many Art academy and Physical academy has gotten the problem on management. Then some of them discount the price of lesson and try to keep management. It gives cognition for people that the lesson's level is down. So. If some of parents say that the price of lesson is expansive, give them an discount coupon for teaching materials less than discount the price of lesson. Or let them know that it is little cheaper the price in event period than common days. These ideas can help to keep the cognition that the lesson's level does not down. Last. Now, many manager of academies enter the educational program which was enforced by Union of academy and educational organ, but we find that they need more programs like Method of education, Management marketing on academy, Seminar for new teaching materials. So Union of academy and Educational organ develop and activate new educational program for management, help many manager of academies to keep their management. 본 논문의 목적은 원주시를 중심으로 피아노 음악학원의 운영에 관한 사항을 조사하고 연구함으로써 보다 나은 피아노 음악학원 운영에 관한 개선책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1) 지도교사의 특성과 자질 (2) 교육내용 및 지도방법 (3) 음악학원의 경영방법 (4)음악학원의 행정 및 환경설비에 관한 사항이다. 조사 방법은 총 35문항의 질문으로 이루어진 설문지를 각 피아노 음악학원에 배포 및 수거함으로써 원주시 관내 84개소의 피아노 음악학원장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아노는 1:1 개인 교습이 필요한 과목이기에 교사 1인당 적당한 수강인원을 나누어 지도하게 하여 교육의 질을 높여야 하며 담임제 수업을 통해 체계적인 수강생 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아이들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강사들을 최대한 존중해주며 적극적인 근무를 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그리고 학원일은 의외로 잡일들이 많아서 자칫 잘못하면 잊기 쉽고, 그로 인한 실수가 잦아지게 되면 학부모들에게 신용을 잃을 수 있으므로 근무일지를 매일 쓰게 하여 쉽게 잊어버릴 수 있는 사항들을 정리하게 해야 한다. 셋째, 학원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전략을 세운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주말에는 이벤트나 봉사활동, 달란트 시장 등의 특별행사로 학원의 존재 여부를 늘 밝혀주고 아이들이 가지고 다니는 학원 물건은 최소 1년에 한 번씩은 교체해주어 깨끗한 이미지를 고수해야 한다. 칭찬할 만한 상을 학원 자체에서 만들어 정기적으로 시상을 한다면 아이들의 사기가 증진되고 학부모들의 입소문을 통한 홍보가 될 것이다. 넷째, 학원에서 개최하는 피아노 연주회는 아이들이 일정 기간 동안 갈고 닦은 실력을 보여주는 기회로써 연주회를 준비하는 동안에 인내심을 배우고 청중 앞에서 연주를 했을 때에 성취감과 자신감을 얻을 수 있어서 좋은 기회이다. 그리고 나아가 용기를 심어주고 지속적으로 실력을 키워나갈 수 있는 피아노 콩쿠르도 참여하는 것이 좋다. 다섯째,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은 입시위주의 교육체제로 예체능 계열의 많은 학원들이 운영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다보니 수강료를 인하해서라도 수강생의 감소를 대처하며 운영하는 학원들이 있었는데 그렇게 되면 교육의 질이 낮아지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 가격이 비싸다고 하는 학부모들의 경우, 수강료를 깎아주기보다는 교재할인권이라든지 일정 행사기간을 만들어 그 기간에 등록하면 조금 저렴하게 등록할 수 있는 방법 등을 알려주어 교육의 질이 낮아지는 인식을 반드시 방지해야한다. 여섯째, 현재 학원 연합회 및 교육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학원 운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피아노 음악학원장들이 많았지만 교수법, 학원 운영마케팅, 새로운 교재에 대한 세미나 등 새로운 교육프로그램들을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원 연합회 및 교육기관에서는 운영에 관한 새로운 교육프로그램들을 개발하고 활성화시켜 이로 인해 학원 운영자들은 더 많은 연구와 노력으로 학원을 운영해야겠다. 피아노 음악학원을 운영함에 있어 건물임대료, 차량운행비, 공과금, 강사월급 등 이러한 많은 지출비용을 충당하기 위해서는 수강생이 적어도 40∼50명은 되어야 하지만 현재 그렇지 못한 학원이 과반 수 이상이나 되었다. 가정의 저 출산 계획으로 아이들의 수는 줄어들고 있지만 학원은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이고 게다가 입시위주의 교육체제로 예체능 계열 학원의 수강생 수는 줄어들고 있어 현재 원주시에 있는 많은 피아노 음악학원에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成就動機와 自己效能感이 美術自我槪念에 미치는 影響

        김은진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습자들의 미술자아개념과 미술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정의적 특성들 중 가장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선행 연구를 통해 예측된 성취동기 및 자기효능감을 연구변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변인으로 선정한 성취동기와 자기효능감 및 미술자아개념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 먼저 변인들의 성별과 지역별 차이검증을 하였다. 또한 성취동기, 자기효능감, 미술자아개념의 관계 정도를 밝히기 위해 상관관계를 검증하고, 성취동기와 자기효능감이 미술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성별, 지역별에 따른 학습자 특성을 이해하고, 성취동기, 자기효능감 및 미술자아개념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미술교수 ·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에서 표집한 초등학생 5, 6학년 학습자 697명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미술자아개념 척도』 (김은진, 2003)와 『자기효능감척도』 (정택희, 1987), 『성취동기 척도』 (황정해, 1992)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10.0으로 차이검증, 일원변량분석, 사후검증 Scheffe´-test, 상관분석, 단계적 방식의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모든 가설은 유의수준 p<.05에서 t검증과 F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성취동기'와 '자기효능감'의 성별 '미술자아개념'은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성취동기'와 '자기효능감'의 지역별 '미술자아개념'은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성취동기' · '자기효능감' 및 '미술자아개념'과 이들 각각의 하위요인들 간에는 의미 있는 상호 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4】 '성취동기' 하위요인들과 '자기효능감' 하위요인들은 각각 '미술자아개념'과 하위요인들 각각에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칠 것이다. 위의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의 성취동기(82.6)는 남학생(79.0)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여학생의 미술자아개념(76.7) 역시 남학생(70.2) 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그러나 자기효능감은 남 · 여간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성취동기와 자기효능감은 지역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으나, 미술자아개념은 지역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의 성취동기와 자기효능감 및 미술자아개념과 각각의 하위요인들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검증되었다. 넷째, 성취동기의 하위요인들과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들이 미술자아개념 및 각 각의 하위요인들에 미치는 영향력은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의 일반적 정의적 특성인 성취동기와 자기효능감이 미술영역 자아개념과 의미 있는 관계가 있음을 실증적 자료를 통하여 입증하였다. 또한 성취동기 하위요인들과 자기효능감 하위요인들이 미술자아개념 및 각 각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상대적 기여도와 총 영향력 분석 결과는, 차후학습자들의 긍정적 미술자아개념 육성과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수지도에 구체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is research chose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s the variables to research as they were identified as the features that would have the most meaningful impact, out of a number of various definitive variables, on the self-concept in art of those children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an attempt to identify the features of the achievement motivation, self-efficacy and self-concept in art, differences of the variables in terms of gender and region were verified first. In order to determine the degree of relationship between the achievement motivation, self-efficacy and self-concept in art, their correlation was verified and the effects of the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on the self-concept in art was analyzed. Through this kind of research, I tried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students by gender and region,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hievement motivation, self-efficacy and self-concept in art, and provide detailed tips on teaching/learning art. Hypotheses The hypotheses used for the research are as follows: [Hypothesis 1] There sh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ren of different gender in terms of the self-concept in art, which is formed based on the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Hypothesis 2] There sh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ren living in different regions in terms of the self-concept in art, which is formed based 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Hypothesis 3] There should be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achievement motivation, self-efficacy, self-concept in art, and its sub-factors. [Hypothesis 4] Factors placed under the achievement motivation and other factors coming under the self-efficacy should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self-concept in art and its sub-factors. Method 1. Participants: Participants in the present study are 69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5th or 6th grades. 2. Measures: 『Scale of Self-Concept in Art』 (Eun-Jin Kim, 2003), 『Scale of Self-Efficacy』 (Taek-Hee Cheong, 1987), and 『Scale of Achievement Motivation』 (Jeong-Hae Hwang, 1992). 3. Procedure: For the data collected, t-test was conducted with SPSS/PC^(+)10.0, which was followed by One-way ANOVA, follow-up verification of Scheffe´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based on stepwise method. t and F verification were made for all the hypotheses with significance level being at p<.05. Results The results of verification of the hypotheses listed above are as follows: First,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girls (82.6)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boys (79.0) and so was the self-concept in art of girls (76.7 vs 70.2). However, there is little difference of self-efficacy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by region but no difference in terms of the self-concept in art. Third, significant fixed correlation was verified among the achievement motivation, self-efficacy, self-concept in art and factors placed under each category. Fourth, it was verified that factors coming under the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have parti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self-concept in art and factors placed under it. This research prov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motivation, self-efficacy with self-concept in art using the data of actual proof.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impact that factors placed under the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have on the self-concept in art and its factors are expected to be quite usefully used in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s geared for facilitating the students' positive self-concept in art and its teaching guidelines in the future.

      • 각설이 공연 연희자 연구 : 품바예인 버드리를 중심으로

        김은진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47

        각설이 공연은 한국 전통연희의 혼합체로써 무당의 굿으로부터 비롯한 노래와 춤, 연극, 그리고 악사의 음악이 함께하는 악가무적(樂歌舞的)‘종합공연예술’의 특징을 담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최근 각설이 공연이 대중과 친화력을 보이며 관객들에게 정신적 정화 효용성을 제공하고 있고, 또한 각설이 예인들의 복지와 경제적 활성화 방안이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하여 각설이 공연 연희자 연구를 수행했다. 한편 K-트롯이 흥행몰이에 성공한 것은 우선 발달된 SNS의 소통전파력이 큰 역할을 했고 여기에 중·장년층의 인구 비율이 높아지면서 충성도 높은 중장년층 팬덤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그 영향으로 K-트롯이 공연계에서 매우 활성화 되었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주목하게 되었다. 그래서 ‘각설이 공연 연희자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연구의 목적은 K-트롯을 주 종목으로 연희하는 각설이 공연 역시 지역축제 등에서 중·장년층 관객에게 호응을 받고 있음에도 학계에서는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고 그러므로 각설이를 논제로 한 선행연구가 많지 않았다. 이에 각설이 공연 품바예인 버드리 연희자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의 방법은 각설이 공연 연희자 연구 중 품바예인 버드리 관련 연구이기 때문에 문헌 연구와 텍스트 분석 방법, 현장조사 연구 방법을 사용했다. 기존의 선행연구의 주요 관점은 각설이의 기원→ 각설이타령→ 연극<품바>→ 품바축제→ 지역 축제장의 품바 공연→ 특정 품바 연행자의 연희에 대한 심층 관찰-분석과 같은 흐름으로 분석되었다. 그래서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음성지역 품바공연장의 현장 연구를 통해서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지역 축제장이라는 공간을 전제로 한 각설이 공연은 관객친화적인 특성을 보이며 해학적 측면을 그대로 지역 축제에서도 사용하여 사회적 풍자를 보여주었다. 또한 각설이 공연은 한국 전통연희의 혼합체로서 무당의 굿판으로부터 비롯한 노래와 춤, 연극, 그리고 악사의 음악이 함께하는 악가무적(樂歌舞的)‘종합공연예술’의 특징을 담고 있었다. 각설이 공연은 악가무(樂歌舞)와 담극기(談劇技)라는 오락공연의 구성요소를 혼합해 다양한 연희 종목을 공연 시간 내내 긴장과 이완을 반복하면서 연행된다. 지역축제장 한쪽 구석에 자리한‘각설이 공연장’에서 각설이가 6가지의 역할, 즉 가수, 춤꾼, 연주자, 연기자, 코미디언, 진행자 역할을 수행한다. 각설이 공연은 기본적으로 악극에서 짤막한 촌극과 악가무(樂歌舞) 연희를 적절히 혼합하고 있다. 대체로 악가무(樂歌舞)가 연희되는 사이사이에 극적인 요소가 삽입되는데 각설이 연행의 웃음유발 공식은 연행자가 공연단의 단원 또는 관객을 상대로 해학과 풍자를 통해서 공연을 진행한다. 품바 공연단의 경우 이상적인 인적구성과 캐릭터 배역은 기존에도 품바 공연단 안에서는 나름대로 역할이 있기는 했지만 공연단 내부의 가변적인 환경 때문에 캐릭터의 배역과 그에 따른 인적구성을 지속시키기가 어려웠다. 2역 춤꾼은 노래의 곡조에 어울리는 춤을 독창적으로 고안해 연행하는데 품바들의 춤은 시각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소 과장되고 요란스럽다. 그 이유는 각설이가 공연장에서 다양한 연희 종목을 연행했을 때 관객들로부터 호응을 얻어 친밀한 공연효과를 보였기 때문이다. 이것은 연희자의 타고난 자질과 예술적 기량과 밀접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기서 타고난 자질은 기본적인 신체적 조건이다. 예술적 기량은 가창력, 안무력, 연주력, 표정, 몸짓 연기력, 관객 소통력, 무대 관장력, 관객 장악력, 창의력 등이다. 버드리라는 특정 예인의 자질과 예술적 기량을 분석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버드리라는 특정 예인의 자질과 예술적 기량을 다양한 각도에서 심층 분석해보는 것은 분석 결과로 나타난 데이터를 가지고 각설이의 전형(典型)을 수립한 다음 각설이 공연양식을 보편화하는 방안의 중요 요소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버드리는 가창에서도 창의성을 발휘하지만 노래에 곁들여 연행하는 안무 분야는 나름대로 상당한 영역을 구축한 것으로 보인다. 부르는 노래마다 노랫말의 느낌에 부합하는 춤동작을 고안해 온 몸으로 연행하는데 안무가 아주 독창적인 몸동작으로 구성된다. 또한 버드리의 안무를 분석해보면 노래의 곡조와 노랫말의 의미에 정확하게 부합하도록 구성하는데 안무가 춤동작이라기보다는 곡조에 맞게 몸동작을 맞추는 성격 연기처럼 연행된다. 그러므로 각설이 연행자로서의 버드리는 예술가의 기본 자질과 기량, 흥행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지녔으니 예술적 기량이 풍부한 것으로 분석된다. Gakseori performance is a mixture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s and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a musical dance 'comprehensive performing arts' with songs, dances, plays, and musicians' music, including the shaman's gut. Therefore, this researcher recently conducted a study on Gakseori performers, thinking that Gakseori shows affinity with the public and provides mental purification utility to the audience, and that Gakseori is a time when measures for the welfare and economic revitalization of artists are needed. Meanwhile, K-trot succeeded in attracting box office because the developed SNS's communication propagation power played a big role, and a loyal middle-aged fandom was formed as the proportion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population increased. As a result, K-trot became very active in the performing arts world, and this phenomenon was noted. Therefore, Gakseori raised the need for a study of performe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hat although Gakseori, which plays K-trot as a main event, is also well received by middle-aged and elderly audiences at local festivals, the academic world did not pay much attention, and there were not many prior studies on Gakseori. Therefore, we looked at Budry performers, whose performance Gakseori is Pumba. Since Gakseori is a research related to Pumba in the study of performers, literature research, text analysis methods, and field survey research methods were used. The main perspective of the previous studies was analyzed in the same flow as the origin of Gakseori→ GakseoriTaryeong→ play< Pumba >→ Pumba Festival→ Pumba Performance at a local festival venue→ In-depth observation-analysis of the performance of a specific Pumba performer.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field research of Pumba Performance Hall in Eumseong area. Accordingly, the Gakseori performance, which presupposes a space called a local festival venue, showed audience-friendly characteristics, and used the humorous aspect in local festivals to show social satire. In addition, the Gakseori performance was a mixture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s and contained the characteristics of a "comprehensive performing art" with songs, dances, plays, and musicians' music, including the shaman's gutpan. The Gakseori performance is performed by mixing the components of the entertainment performances, such as the musical dance and the martial arts, and repeating tension and relaxation throughout the performance period. At the "Gakseori Concert Hall" located in one corner of the local festival venue, Gakseori plays six roles: singer, dancer, performer, comedian and host. Gakseori performance basically mixes a short sketch and a musical dance performance in a musical play. In general, dramatic elements are inserted between the performances of the musical dance, and the laughter-inducing formula of Gakseori performance is performed by the performer through humor and satire for the members or audience of the performance group. In the case of the Pumba performance group, the ideal human composition and character role had their own roles in the Pumba performance group, but it was difficult to sustain the character's role and the resulting human composition due to the variable environment within the performance group. The dancer in the second role originally devised and performed a dance that matches the tune of the song, and the dance of the pumba is somewhat exaggerated and loud to enhance the visual effect. The reason is that when Gakseori performed various performance events at the concert hall, he received a favorable response from the audience and showed a close performance effect. It can be seen that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natural quality and artistic skill of the performer. The qualities born here are basic physical conditions. Artistic skills include singing ability, choreography skills, performance skills, facial expressions, gesture acting skills, audience communication skills, stage direction, audience control, and creativity. The reasons for analyzing the qualities and artistic skills of a specific artist named Budry are as follows. The in-depth analysis of the qualities and artistic skills of a specific artist named Budry from various angles is to establish the epitome of Gakseori with the data shown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and then use Gakseori a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way to generalize the performance style. Budry also shows creativity in singing, but the choreography field performed along with the song seems to have established a considerable area in its own way. Each song that is sung has devised a dance movement that matches the feeling of the song, and the choreography is composed of very unique body movements. In addition, if you analyze Budry's choreography, it is structured to accurately match the meaning of the song and the lyrics, and the choreography is performed like a personality performance that matches the tune rather than a dance movement. Therefore, it is analyzed that Budry as a performer has a lot of artistic skills because he comprehensively has the basic qualities, skills, and box office ability of an artist.

      • 졸업연주작품집 : - Johannes Brahms, Georges Bizet의 성악곡과 Richard Rodgers, Stephen Joshua Sondheim, John Harold Kander, Andrew Lloyd Webber, Claude-Michel Sch?nberg, Stephen Schwartz 뮤지컬곡 중심으로-

        김은진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작품집에서는 브람스(Johannes Brahms, 1833-1897)와 비제(Georges Bizet, 1838-1875)의 성악곡과 로저스(Richard Rodgers, 1902-1979), 손드하임(Stephen Joshua Sondheim, 1930-), 칸더(John Harold Kander, 1927-), 웨버(Andrew Lloyd Webber, 1948-), 클로드 미셸 쇤베르크(Claude-Michel Schönberg, 1944-), 슈왈츠(Stephen Schwartz, 1948-)의 뮤지컬 곡을 중점으로 작곡가의 생애와 작품탄생배경 및 인물의 특징과 음악적 특징을 연구하였다. For the collection, this research herein investigated the composers' life, the creation background of pie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and music based on songs of Johannes Brahms(1833-1897), Georges Bizet(1838-1875), and musical pieces of Richard Rodgers(1902-1979), Stephen Joshua Sondheim(1930-), John Harold Kander(1927-), Andrew Lloyd Webber(1948-), Claude-Michel Schönberg(1944-), and Stephen Schwartz(1948-).

      • 국어 형용사의 유의관계 연구

        김은진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of the synonyms through analyzing the words of synonymous relation in Korean adjectives. I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synonymous relation from a semantic standpoint. In chapter Ⅰ, I examined other previous researches concerning synonyms. In chapter Ⅱ, I discussed that there are no complete synonyms and there exist partial synonyms which have little difference of meaning. Because there are the fact that two words having the same meaning are not needed according to the economical principal. I presented substitution test, arrangement test, antonym test, selectional restriction test, semantic component analysis for analyzing the meaning of words in synonymous relation. I examined the words in synonymous relation by comparing the definition in dictionaries and observing the concordance data. In Chapter Ⅲ, I suggested that most of adjectives are cases of polysemous words where two or three possible meanings. I examined considering weather the synonymous meanings were central meanings or extended meanings. At first they are subcategorized according to whether the words of synonymous relation are found between <1>central meanings and extended meanings, <2>central meaning and central meaning, <3>central meaning and extended meaning, or <4>extended meaning and extended meaning. Semantically distinctive these four types are each specified by ①there exist other conceptual meaning or not, ②the difference in connotation, grade or degree of meaning-intensity//size//vigor//state etc., stylistic meaning- honorific : neutral : vulgarism// spoken : written , and emotive meaning- negative : positive// familiar : unfamiliar etc.), ③the difference in co-occurrence relation. The last chapter is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I pointed out the problems, limitations and fruits about my study.

      • 효과적인 자질 선택과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한 단어 중의성 해소

        김은진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thesis we propose a method that creates sense tagged data using machine readable dictionaries for ambiguous word sense tagging. Our method introduces a bootstrapping method to create training data additively and learn gradually. In this bootstrapping routine, this method applies penalty to a word that leads to wrong sense tagging. So it makes the right sense tagging in the next bootstrapping turn. The proposed method creates the meaning group that consists of distinguishing surrounding words near target words. This method introduces concentration concept into word weight formula for selecting important word and enhances the tagging accuracy. The tagging result on the SENSEVAL-2 data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about 7% of accuracy over the base tagging system. 본 연구에서는 기계 가독형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중의어 의미 태깅을 위한 학습에 사용될 의미부착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부트스트래핑 기법을 도입하여 학습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생성하고 점진적으로 학습한다. 이 과정에서 잘못된 의미부착으로 유도하는 단어에 대한 패널티를 적용하여 다음 부트스트래핑 단계에서 의미 부착 정확도를 높인다. 그리고 중의어의 의미별로 특징있는 주변 단어를 원소로 갖는 의미그룹을 생성하며 의미그룹 내 중요 단어 선정을 위해 집중도 개념을 도입한다. SENSEVAL-2 데이터를 사용하여 태깅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이 기본 태깅 방법보다 정확도를 7% 가량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 조현병 환자의 영양상태분석과 식사 가이드라인 개발

        김은진 전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현병은 환각 또는 망상을 수반하는 정신질환으로 국내외적으로 그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조현병 환자가 복용하는 항정신병 약물의 부작용으로 대사증후군이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조현병 치료와 관리에서 대사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 식사 중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조현병 환자와 관련하여 영양섭취실태 조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조현병 환자의 영양상태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식사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로는 20∼50대 총 142명(건강한 성인 56명, 정신건강 센터 조현병 환자 60명, 병원 조현병 환자 26명)이 참여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에 참여하였고 병원대상자의 경우 생화학적 검사 결과도 분석에 이용하였다. 추가 대조군으로는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년도(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Ⅵ-2, KNHANES Ⅵ-2) 대상자의 영양섭취 및 생화학적 검사 자료를 이용하여 외래 및 입원 조현병군과 비교하였다. 집단은 정신건강 센터대상자의 경우 성별에 따라 대조군과 조현병군으로 나누었고 병원대상자는 대조군, 외래 조현병군, 입원 조현병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student’s t-test와 ANOVA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영양소 섭취량, 생화학적 검사 인자를 비교하였고, 조현병 관련 영양소 간의 상관성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다항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영양상태분석 결과, 정신건강 센터대상자의 경우 남자 조현병군은 대조군보다 단백질 섭취량이 낮았고 다가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과 니아신 섭취량도 유의적으로 낮았다. 여자 조현병군은 대조군보다 총 열량 섭취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남녀 조현병군 모두 엽산, 비타민 C 섭취량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조현병 관련 영양소 간의 상관관계에서 니아신, 엽산, 비타민 C는 총 n-3계 PUFA와 각각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특히 비타민 D와는 보다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항 회귀분석 결과 각각의 섭취량이 높을수록 조현병 위험률이 니아신은 0.277배(P=0.001), 비타민 C는 0.373배(P=0.010) 감소하였다. 총 n-3계 PUFA의 경우 교란인자인 연령, 체질량 지수, 흡연, 신체 활동으로 보정 시 조현병 위험률이 0.427배(P=0.044) 감소하였고, 엽산은 연령과 체질량 지수로 보정하였을 때 조현병 위험률이 0.304배(P=0.00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병원대상자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총 열량 섭취는 낮은 반면 콜레스테롤과 나트륨 섭취는 유의적으로 높았다. 그리고 생화학적 검사 결과에서 외래와 입원 조현병군 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KNHANES Ⅵ-2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외래와 입원 조현병군의 혈중 비타민 D 수준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식사 가이드라인은 건강 체중 유지와 관련된 지침과 더불어 병원대상자의 경우 실외활동으로 비타민 D를 보충할 수 있도록 권고하였다. 또한, PUFA, 니아신, 엽산, 비타민 C의 주요 식품 급원과 1일 영양섭취기준을 제시하여 해당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도록 권고하였다.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의 영양상태분석을 바탕으로 식사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식사 가이드라인은 조현병 환자가 건강한 식사패턴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고 향후 조현병 환자와 가족을 위한 영양교육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태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커피전문점을 중심으로

        김은진 청주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대표적인 기호식품의 하나인 커피가 문헌상에 처음으로 언급된 것은 AD 900년경 아라비아 내과의사인 Rhazes(AD 865~932)의 의학 서적이다. 처음에는 음식을 만드는 재료로 사용되었으며, 술, 의약품을 거쳐 음료로 이용하게 된 것은 AD 1,100년경이다. 우리나라에는 1890년대에 처음 커피가 등장하였으며, 해방과 6ㆍ25이후 일반화되었고, 1960년대 말 국내 커피제조업체가 설립되었다. 1890년대에는 인스턴트커피가 인기였고, 1990년대에는 원두커피의 시장으로 넓혔으며, 2000년대에는 에스프레소 커피전문점이 증가하였다. 커피산업은 1조 9천억 원 대의 시장으로 규모가 커졌으며, 커피전문점의 매출 규모는 약 6천억 원 대로 성장하였다. 세계적인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커피시장은 급성장을 이루고 있고, 특히 커피전문점은 호황을 누리고 있다. 커피전문점 시장은 ‘에스프레소 커피의 확산과 대중화’로 요약되어진다. 중심 상권에서는 커피전문점 업체들이 춘추전국시대를 연상시킬 만큼 많은 매장을 확보하여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마니아 중심으로 커피를 즐기던 고객들은 대중으로 고객 확장을 이루었으며, 이용 연령층도 젊은 층 외에 중ㆍ장년층에 이르기까지 다양해졌다. 감성소비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 소비자의 개성과 감성에 의존하는 브랜드는 커피브랜드가 단연 으뜸일 것이다. 커피전문점은 기본적인 커피 맛에 대한 요소뿐만 아니라, 외식 산업에서 중요하게 자리 잡고 있는 브랜드, 만족, 충성도 등 전반적인 여러 요소들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외식문화의 급속한 세계화에 따라서 기존의 소자본으로 창업이 가능하여 개인 창업이 주를 이루었던 커피 산업에 브랜드를 이용한 세계화가 이루어지고 있고, 그 시장이 커짐에 따라 대기업에서도 커피 산업에 진출하였고,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커피 산업에서 업체 간의 경쟁 속에 기업이 고객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이 기업을 선택하는 시대로 고객의 욕구는 날로 까다롭고 다양해지고 있다. 하지만 시장은 이미 포화상태이며 공급은 많고 수요가 일정하기 때문에 타사의 커피전문점 보다 차별화된 자신들만의 이미지를 소비자들에게 인식시켜야 한다. 커피전문점들은 치열한 경쟁 상황 속에서 자신들만의 차별화되고 상징적인 이미지를 고객에게 각인시킴으로써 경쟁우위를 선점하고 고객으로 하여금 자기업의 상품을 지속적으로 구매할 수 있게 유도하여 현재의 고객에게는 지속적인 재방문을 유도하고, 잠재고객에게는 자사의 브랜드를 긍정적으로 인식시키기 위하여 많은 부분을 노력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브랜드 이미지 문제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전개되고 있으며 브랜드 이미지가 기업 간의 차별화를 만들어 주고 고객과의 관계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글로벌 경쟁 시대에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브랜드 이미지와 소비자 행동 간의 관계를 너무 단순화하여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 복잡한 현상을 보다 다각적이고체계적으로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소비자들은 브랜드를 단순히 제품이나 서비스를 식별하는 것으로만 인식하지 않고 자신의 사후 행동과 연결시키는 성향을 보이기 때문에 브랜드에 인간의 정서적 가치를 부여한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연구와 구매 후 행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뿐만 아니라 최근 들어 극심한 경쟁상황 하에 있는 커피전문점 분야의 경우 고객으로 하여금 보다 차별화되고 친밀한 관계형성을 위한 브랜드 이미지 형성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태도 및 충성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제품의 특질이 크게 차이 나지 않는 커피라는 제품을 선정하였으며, 수요가 일정한 포화된 국내 커피 시장 속에서 각 커피전문점 브랜드 이미지를 분석하여 브랜드 이미지가 소비자 선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함으로써 각각의 커피전문점의 성장과 더불어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태도 및 브랜드 충성도와의 관계를 규명하여 전략적 고려를 극대화 할 수 있다.

      • 1800년 정조(正祖) 국장(國葬) 재현을 위한 의장군(儀仗軍) 복식 연구

        김은진 안동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1800년 정조국장의 올바른 재현을 목적으로 국왕의 의위(儀衛)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의장군 복식에 관하여 고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정조 국장은 조선 후기 대대적인 국가예제 정비 이후 처음 치러진 왕의 장례이므로 그 의미가 크다. 특히『정조국장도감의궤』에는 의장에 관한 사항이 타 의궤에 비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1800년 의장과 의장군 복식 연구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먼저 현재 진행 중인 궁중의례 재현에서 의장과 의장군 복식에 관한 내용이 올바르게 재현되고 있는지에 의문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표적인 궁중의례행사인 ‘궁중문화축전’과 ‘단종문화제’의 답사를 진행한 결과 몇 가지의 사항에서 원전과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의궤와 당시의 시대상황을 반영한 세부내용을 참고하지 않고 반차도와 전례서의 내용에만 치중하면서 생긴 오류로 추정된다. 조선시대 왕실의례는 때에 따라 상황에 맞게 대처하여 치러졌기 때문에 기록과 실제 행사의 내용은 차이가 날 수 있다. 특히, 재현행사를 위해 가장 쉽게 참고할 수 있는 ‘반차도’는 사전(事前)에 제작된 계획서의 성격을 가지므로, 행사의 구체적인 상황이 반영되지 않았다. 이러한 내용은 관청들 사이에 오고 간 문서인 ‘계사(啓辭)ㆍ이문(移文)ㆍ품목(稟目)ㆍ감결(甘結)’ 등을 통해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 위의 내용을 확인한 결과 몇 가지 사항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의장군의 숫자는 의장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대기(大旗) 5명, 중기(中旗)는 3명, 소기(小旗)와 고(鼓)는 2명이 들며 나머지 의장은 모두 1명이 든다. 이 부분은 왕실의례 재현행사에서 가장 많이 오류가 생기는 부분이다. 후기의 반차도에서 의장군이 생략되어 그려졌기 때문에 현재 재현에서도 모든 의장을 한 명이 잡는 모습으로 재현해 왔다. 의장군 복식은 분류에 따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의장기를 드는 의장군은 청의(靑衣)에 피립(皮笠)을 착용하고, 산(傘)ㆍ선(扇) 시위(侍衛)와 은마궤군(銀馬机軍)은 청의에 자건(紫巾)을, 의장물과 기물군은 홍의(紅衣)에 자건을 착용한다. 청의와 홍의는 무명으로 만든 소창의(小氅衣) 형태의 옷이다. 착수(窄袖)에 옆이 트인 긴 포(袍)이다. 피립은 초립(草笠) 형태의 붉은색 가죽 모자이며, 자건은 무명으로 만든 직사각형 형태의 모자이다. 여기에 공통적으로 홍목대(紅木帶)를 하고 청색 제비행전[耳行纏]을 착용하면 의장군 복식이 완성된다. 궁중의례 재현에 있어서 고증은 당시의 시대상황을 반영하여 의례의 진실성과 신빙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의궤 속 논의를 통해 의례는 꾸준히 변화ㆍ발전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재현은 단순히 전례서와 반차도만을 사용하지 않고 실질적인 논의 내용을 반영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