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국내 문화예술 정책연구 경향 분석 (2007∼2016) : 정부·광역지자체 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를 중심으로

        백현태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Culture and art are the strong resources, ideology, history of country and the heritage which can be handed over to the coming age. Korean are a people with immemorial historical background and we have been inherited fine culture and art and cultural policies for protecting them have been enforced. Now Korean culture and arts polices can be seen to have been started since 1970s.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Day, fifth day of August 1945, Korea had vestiges of Japanese imperialism to be cleared off promptly and Korean War which broke out on account of ideology differences laid all the key industrial complexes in ash and caused the loss of economic power and severe famine. In these phases of time, culture and art were regarded as luxurious and only for the elite by the public therefore they were hard to be realized in the national policy. For Culture and Art Promotion Acts was established in 1972, full-fledged Culture and Arts policy set cornerstone of support and through the foundation of Korean Culture and Art Foundation, Culture and Art Promotion Fund-Raising started and built five-year revival project of art and literature. However, those policies during Yushin regime included artist control and censorship by state-run system and this widened cultural inter-regional inequality. Later, inaugurated Civilian Government seeking for balanced development and higher degrees of enjoyment of culture started autonomous local government system and tried to expand cultural programs and facilities. Finally local culture and art policies have been transformed to adapt features of each local and are pursuing improvement of life quality via balanced development. This paper deals with the utilization form of local government’s culture and arts policy which was enforced since Civilian Government by the various regions. And it is the study on policy-trend judged by the report of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ion and researchers in local-government and we make the statistical indicator which people can get the degrees of utilization based on.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ion and 14 Korean broader unit/local governments researchers issued 934 cases of culture and art-related-policy research report. Research reports classified as 10 divisions of Cultural Industry, Local Culture, Cultural Basic Facilities, Cultural Welfare, Cultural Betterment, Indicators Development, Artistic Promotion, International Culture, Man-power Policy, Financial System is analyzed by 3 sectors: Years, Regions, Fields. First is trend analysis by the years. There has been total 943 cases of research report for 10 years. 84 cases in 2007, 85 cases in 2008, 83 cases in 2009, 81 cases in 2010, 100 cases in 2011, 102 cases in 2012, 101 cases in 2013, 109 cases in 2014, 96 cases in 2015 and 102 cases in 2016. Average 94 cases of researches have been reported, average 83 cases were reported from 2007 to 2010 and average 101 cases from 2011 to 2016 increased 18 cases a year. In overall, ceaseless studies on policy were progressed and these were seen as the effects of balanced development including special account for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In 1990s by the decentralization of power, regional research institution opened and on 2016, Daejeon Sejong Research Institution made its debut, too. Now 14 research institutions of local government and Korea Culture Tourism Institution study Culture and arts policy and try to improve and keep policy. This way, the active role of local policy research institutions and balanced-development policy enabled local cultural infrastructure and local cultural industry support resulting in consistent research report. Second is trend analysis by the regions. Central governmental institution, Korea Culture and Tourism Research Institution account for 37% and there has been 346 cases of overall research activities on Korean Culture and Arts policy. Looking at the research cases by each local institution, there have been 63 cases by Seoul Institution, 30 cases by Gyeongi Institution, 35 cases by Incheon developmental Institution, Daejeon Sejong Institution, 27 cases by Gwangju Jeonnam Institution, 48 cases by Jeonbuk Institution, 88 cases by Gangwon Institution, 25 cases by Ulsan Developmental Institution 38 cases by Chungbuk Institution, 50 cases by Chungnam Institution, 58 cases by Daegu Kyungbuk Institution, 30 cases by Kyungnam Developmental Institution, 33 cases by Busan Developmental Institution and 31 cases by Jeju Institution. Gangwon Institution reported 88 cases and this accounts for 9% of total cases as the festival-related research activities have been increased for recent years. The number of total festival-related research reports is 63 and 23 them are reports by Gangwon Institution. Most of them are talking about assessment and plans for development. Third is trend analysis by the fields. This paper is classified as 10 fields of Culture and Arts policy. 268 cases of Cultural Industry, 238 cases of Local Culture, 97 cases of Cultural Basic Facilities, 79 cases of Cultural Welfare, 74 cases of Cultural Betterment, 57 cases of Indicators Development, 51 cases of Artistic Promotion, 38 cases of International Culture, 32 cases of Man-power Policy and 9 cases of Financial System. Cultural Industry takes up the biggest part as 28% of total, Local Culture accounts for 25% and Cultural Basic Facilities and Cultural Welfare follow. Wide spectrums of cultural industry made a big influence in addition Korean wave and content business having emerged as higher value added industry took up a large amount of percent. And also after the set of local self-government system, there has been trials for developing local products and programs such as local festival where people can taste own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Now, the various contents have become the major resources of nation’s industry in these times. Culture has been subdivided therefore improvement of policy and the range of policy research are getting widen. The other fields except for culture and arts are being studied on their trend analysis. However, due to the vagueness of boundary, culture and arts lack of trend analysis materials. Research reports by different governmental cultural polices were active. However, according to report of local research institution, quantities of culture and arts polices are only a few for the last 10 years. Culture and Arts of Modern society rapidly move to software system however local cultural industry is still staying in hardware such as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y. Especially, policy report is seldom if ever or only related to tourism or cultural property. They do not come up with the speed of current culture and arts trend and only imitate precedents. On the other side, along with the cultural industry, local cultural industry is changing its aim to the software and reflect its own features into cultural brand development. This paper mainly focused on policy-reports by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ion and researchers of 14 local-government. Therefore, this excluded activity of extra government and civilian. There is a possibility of minute error between research of center and local however the paper is based on documents of researchers in local comprehensive Policy Study Institution. Through this result, analysis on trend of policy of recent 10 years are able to be utilized as base line data to discuss of trend of culture and arts policy. 문화와 예술은 국가의 강력한 자원이자, 이념이며, 역사이고 후대에 물려줄 유산이다. 유구한 역사를 지닌 우리 민족은 오래 된 역사만큼이나 수려한 문화와 예술을 물려받았고 이를 지키고 지원하기 위한 정책 역시 과거부터 시행되었다. 현재 대한민국의 문화예술정책은 1970년대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1945년 8월 15일 해방 이후의 우리나라는 36년 간의 일제 강점기에서 벗어난 터라 국내 질서 확립과 일재 잔재 청산이 시급하였고 이념 차이로 발발된 6·25 전쟁은 남한에 모여 있던 주요산업시설을 초토화 시키며 국가경제력 상실과 국민의 극심한 빈곤을 야기하였다. 이와 같은 당시 시대상에서 문화예술은 상위 부유층이 즐기는 고급향유문화로 치부되었고 대다수의 국민들에겐 사치문화로 인식되었기에 국가정책으로 구현되기 어려웠다. 1972년 제정된 ‘문화예술진흥법’의 제정으로 본격적인 문화예술정책은 지원의 토대를 마련하게 되었고 1973년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을 설립하여 문예진흥기금 모금을 개시하며 문예중흥 5개년 계획을 수립하게 되었다. 하지만 유신체제 속에 수립 된 문화예술정책은 국가주도로 시행하며 예술인 통제와 검열을 거쳤으며 중앙 정부중심의 문화행정으로 지역과의 문화격차를 벌려놓게 되었다. 이후 출범한 문민정부는 균형발전과 문화향유 증대를 위하여 지방자치제로 분권하며 문화시설과 프로그램의 확충을 과제로 삼았고 지역문화예술정책은 지역별 특성에 맞게 변모하며 현재까지 균형 발전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문화예술 정책 수립 과정을 거치며 생긴 중앙 집권의 문화예술 정책이 문민정부 이후 시작된 지방자치제의 문화예술정책 중 지역별 활용 형태에 대해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각 지자체 연구원의 연구 보고서를 통하여 정책연구경향을 알아보고 이를 근거로 현재의 지역문화예술 정책의 활용 정도를 알아볼 수 있는 통계지표를 만들고자 한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전국 14개 광역·지자체 연구원은 2007년부터 2016년까지 문화예술 관련 정책 연구보고서는 934건 발행되었다. 문화산업, 지역문화, 문화기반시설, 문화복지, 정책개선, 지표개발, 예술진흥, 국제문화, 인력정책, 재정체계 등 10가지 영역으로 분류 된 연구보고서는 연도별, 지역별, 분야별 등 세 가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 번째, 연도별 경향 분석이다. 10년간 전체 연구보고 활동은 943건으로 2007년 84건, 2008년 85건, 2009년 83건, 2010년 81건, 2011년 100건, 2012년 102건, 2013년 101건, 2014년 109건, 2015년 96건, 2016년 102건이다. 평균 94건의 연구보고 활동이 매년 이루어졌는데 2007년부터 2010년까지는 평균 83건이었으며 2011년부터 2016년까지는 평균 101건으로 연간 18건으로 증가하였다. 1990년대 지방분권으로 지역별 연구원이 개원하였는데 2016년 기존의 대전연구원이 대전세종연구원으로 새롭게 개 원되며 현재 지자체 14개 연구원과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문화예술정책을 연구 하며 지역개발과 정책개선 및 유지를 위하여 활동 중이다. 이처럼 지역정책연구기관의 활동과 균형발전 정책으로 인한 지역문화기반시설 및 지역문화산업 지원 등으로 꾸준한 연구보고활동이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두 번째, 지역별 경향분석이다. 중앙 정부 소속기관인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전체 37%로 346건의 국내 문화예술 정책에 대한 전반적 연구 활동이 있었다. 각 지자체 연구원을 살펴보면 서울연구원 63건, 경기연구원 30건, 인천발전연구원 35건, 대전세종연구원 41건, 광주전남연구원 27건, 전북연구원 48건, 강원연구원 88건, 울산벌전연구원 25건, 충북연구원 38건, 충남연구원 50건, 대구경북연구원 58건, 경남발전연구원 30건,부산발전연구원 33건, 제주연구원 31건이다. 강원연구원은 88건으로 전체 9%의 비율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강원도에 산재되어 있는 축제 관련 연구보고가 증가함에 따라 전체 건수도 증가하였다. 전체 축제 관련 연구보고서는 총 63건인데 그 중 23건이 강원연구원의 연구보고서이며 대부분 평가 및 발전방안 연구가 주요를 이루었다. 세 번째, 분야별 경향 분석이다. 10가지 분류 된 문화예술정책 영역으로 각 연구보고서를 분류하였는데, 문화산업 268건, 지역문화 238건, 문화기반시설 97건, 문화복지 79건, 정책개선 74건, 지표개발 57건, 예술진흥 51건, 국제문화 38건, 인력정책 32건, 재정체계 9건이다. 문화산업이 전체 28%, 지역문화가 25%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문화기반 시설과 문화복지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문화산업이 가진 넓은 범주도 영향이 있지만 한류열풍과 콘텐츠 사업 등 문화산업이 국가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등장하며 전체 연구의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또한 지방자치제 이후 지역문화의 개발로 지역의 특성과 유산에 대한 상품 개발, 그리고 각 지역별 지역축제의 육성으로 많은 연구활동이 이어졌고 주요를 이루었다. 현대 사회가 가진 다양한 콘텐츠는 이제 국가 산업의 주요 자원이 되었고 그 범위 또한 세분화되어 정책의 개선과 정책연구의 범위 또한 넓어지며 변하고 있다. 문화예술 이외의 다른 분야는 현재 경향분석에 대한 활동이 다양하고 많이 연구되고 있는 반면, 문화예술은 경계의 모호함으로 경향분석 자료가 많지 않으며 최근 경향의 다각적 분석 자료도 드물다. 정부별 문화정책에 대한 연구 보고는 활발하지만 지역의 연구원 연구보고서를 살펴보면 10년간의 문화예술정책 범위와 양은 그리 많지 않다. 현대사회의 문화예술은 빠르게 소프트웨어로 이동하지만 지역의 문화산업은 아직 하드웨어 즉, 문화재 관리, 유산 보존, 전통문화 등에 머물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예술 관련 정책보고서는 없거나 1~2건에 그치며 나머지는 관광, 혹은 문화유산에 관계되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문화예술 속도에 미치지 못하고 과거 문화예술 정책연구에 대한 답습 현상이 보이고 있다. 한편으로 문화산업과 더불어 지역문화산업은 빠르게 성장 중이며 그 발전 가능성을 짐작하게 할 수 있다. 지역문화 분야별 연구 활동을 살펴보면 하드웨어 중심인 것들이 많지만 조금씩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변하고 있으며 지역 특성에 맞는 브랜드 개발과 자료보고 활동이 이어진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14개 지자체 연구원의 연구보고서를 중심으로 경향 분석이 이루어졌기에 민간 활동과 타 지자체의 시행활동에 대해서는 분석되지 않았다. 중앙과 지역의 문화예술정책과 연구 활동에 대한 오차는 있을 수 있지만 지역의 종합적인 정책 연구 시행기관인 연구원의 자료를 바탕으로 경향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하여 최근 10년간 예술에 도달하는 정책 변화를 분석하여 문화예술 정책사업의 현황 파악 및 기초자료로서 세부적인 지역문화예술발전이 이루어지길 소망한다.

      • 기업의 문화예술 분야 파트너십 유형에 관한 연구

        이지훈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contemporary society has a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and labor structure which increased leisure time of individual and brought economic growth. Thanks to physical fertility by economic growth, the level of living increased and people had desire on the quality of life besides basic life of cloth, meal and house. To achieve better quality of life, the interest in culture and art increased. As creativity is weighed high on the economic growth, the recognition of culture and art became more significant. In line with social trend focusing on culture and art, culture and art are widely used in the marketing of the corporation such as experience marketing that combines products with culture and art, culture marketing that creates customers through communication of various cultural contents like music, art and movie with consumers and artmarketing that adds art to products through collaboration with artists. Management paradigm of the corporation consider sustainable management, creation of shared value and innovation management together with non-financial performance such as ethics, environment and social issues in order to have differentiation with other companies seeking corporate value. While companies use culture and art as a strategy for such change, due to the specialty of culture and art, it is not easy to secure culture and art resources. As an alternative, partnership relation with NGO, art organization and local government is made to share complementary key capacity for effective culture and art activity. This study examined the case of partnership of culture and art activity of the corporation by types and compared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of partnership.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artnership by type, the study proposed preparation to form positive partnership with culture and art group and various partners. For this purpose, theories on general partnership were examined and case study was made in the category of alliance, collaboration, governance and public project type culture and art cooperation and sponsor which are widely used in culture and art area. As for the case of alliance such as Gmarket, NEFS and YG Entertainment, mediating group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lliance between the company and culture and art, which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ercise capacity of the company. While there are cases of business plan to specific beneficiary, But the scope of benefit is wide to provide participants of a specific project. But, there was no sustainable of the project and most projects were one-time project. Collaboration of Hyundai Motor Company, Samsonite and Samsung Electronics have executed capacity of production and partner tomaximize synergy. Most companies had direct effect of sales increase. Also, there was an opportunity to introduce existing customers of partner through collaboration and the corporate brand image was increased by giving a new image to the existing image. Governance of Lotte Duty Free Shop and GS Caltex with local government has a large size in finance over other partnership, and it had great effect in job creation and cultural art infrastructure. The role of each subject in the partnership was clearly allocated. While companies were mainly responsible for finance, local governments were for administrative part in the project and ARCON and NGOs planned specific items on the project. Public project type culture and art cooperation by Seoul Mecenat, Artswork and C-Festival promoted by the mediating organization is performed by the participation of companies having common objective and the role and function of mediating organization was more significant than any other types. In this case, companies does not seek mutual profit nor share capacity, but formed network in one project to specify business area and to expand its size. While sponsoring on culture and art area has strong character of 'support', when the cases of GS Caltex,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Hanwha Group and Amore Pacific were examined, many companies sponsored the business of mediating organization or supported artistic groups or artists that were matched with mediating organization. And, they could progressed the business more effectively through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partnership relation. Companies did not seek financial profit from sponsor, but sought positive corporate image and effective work performance by the satisfaction of employees on the companies. Companies could get effects from partnership such as expansion ofactivity size and scope, efficient link of resources, professionality of program, sustainable of business, creation of positive corporate image and securing new customers. Except for collaboration having numerical result as product sold-out, there was no data on accurate effect of collaboration. thus, no minute analysis was performed. The study was significant as it analyzed corporate culture and artistic activities by types in order to examine features and development plan. An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further studies on culture and art development plan and partnership. 현대사회는 산업구조와 노동구조의 변화로 개인의 여가시간이 늘어나고, 경제성장이 가져온 물질적 풍요로 인해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의·식·주 의 기본적인 생활 외에 삶의 질에 대한 욕구가 생기게 되었다. 더 나은 삶 을 위한 삶의 질 문제로 인해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경제발전 의 원동력으로 창의성을 중요시하면서 문화예술에 대한 인식도 중요해져가 고 있다. 이러한 문화예술을 중요시하는 사회적인 흐름 속에 기업의 마케팅 패러다 임도 제품과 문화예술을 접목해 제품을 인지시키는 체험 마케팅, 음악, 미 술, 영화 등의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고 객을 창출하는 문화 마케팅, 예술적 작가와의 협업을 통해 제품에 예술을 덧입히는 아트 마케팅 등 기업의 마케팅 전반에 문화예술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변화해 가고 있다. 기업의 경영 패러다임도 지속가능경영, 공유가치 창출, 혁신경영 등 재정 적 이익 외에 윤리, 환경, 사회문제 등 비재무성과에 대해서도 함께 고려하 여 다른 기업과의 차별화를 갖고, 기업 가치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기업은 이러한 변화를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 문화예술을 활용하고 있지 만, 문화예술이 갖고 있는 전문성으로 인해 기업 내에서 문화예술 관련 자 원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아, 이에 대한 대안으로 비영리기관, 예술단체, 지 자체 등과 같은 외부기관과 파트너 관계를 맺고, 상호 보완적인 핵심역량 을 공유함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문화예술 활동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의 문화예술 활동을 파트너십 유형별로 나누어 사례를 조 사하여, 각 유형별 파트너십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 그 분석을 토대로 문 화예술단체 및 다양한 파트너들이 기업과 긍정적인 파트너 관계 형성을 위 해 준비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일반적인 파트너십에 대한 이론들을 조사하였고, 문화예 술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는 제휴, 콜라보레이션, 거버넌스, 공공 프로젝트 형 문화예술 협력, 후원으로 유형을 나누어 사례 조사를 하였다. G마켓, 넵스, YG엔터테인먼트의 사례를 살펴보면 기업과 문화예술과의 제휴에는 매개단체의 역할이 컸으며, 기업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 는 기회가 많았다. 사업 목적을 정하고 그 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 수 혜가 갈 수 있도록 그 수혜대상의 범위가 넓었으나, 사업의 지속성이 있지 는 않았으며, 일회성으로 끝나는 사업이 대부분이었다. 현대자동차, 쌤소나이트, 삼성전자의 콜라보레이션은 기업이 갖고 있는 제 품 제작 등의 역량과 파트너의 역량이 가장 잘 발휘되어 시너지 효과가 극 대화되었고, 대부분의 기업은 매출 상승이라는 직접적인 효과를 보았다. 또한 파트너가 갖고 있는 기존 고객을 새롭게 유입할 수 있는 계기를 마 련하였고, 다른 기업들과 차별화된 제품을 통하여 기업의 기존 이미지에 새로운 이미지를 주어 기업 브랜드 가치를 상승시켰다. 롯데면세점, GS칼텍스가 지자체와의 협력으로 이루어진 거버넌스는 다른파트너십 유형 보다 가장 재정적인 규모가 컸으며, 지역의 일자리 창출, 문 화예술 인프라 조성 등에서 큰 효과가 있었다. 파트너십에 있어 각각의 주 체의 역할은 정확히 분담이 되어, 기업은 주로 재정을 담당하고, 지자체는 행정 관련 부분을, ARCON과 시민단체는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아이템 등 을 기획하였다. 서울메세나 아츠워크와 C-페스티벌의 공공 프로젝트 형 문화예술 협력은 매개단체가 추진하는 하나의 공통된 목적에 뜻이 맞는 기업들이 참여하여 파트너를 이루는 구조로, 어떤 파트너십 유형보다 매개단체의 기능과 역할 이 가장 컸다. 이 경우 기업들은 서로 간의 이익을 바라거나 서로의 역량 을 공유하지는 않았고, 하나의 프로젝트에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사업의 분 야를 세분화하고, 규모를 확장시키는 형태로만 협력을 하였다. 문화예술 분야의 후원은 일반적으로 ‘지원’의 의미가 강하나, GS칼텍스, 서울대학교병원, 한화그룹, 아모레퍼시픽의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기업들은 예술가들에게 단순히 재정적 지원을 하는 것에서 벗어나, 다양한 파트너와 협력하여 다른 수혜대상에게 후원을 하는 구조로서 활동을 하였다. 매개단체를 통하여 매칭 된 예술단체나 예술가들과 파트너십을 갖고 후원 하는 경우가 많았고, 활동의 특성에 따라 전문기관과 파트너 관계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사업을 진행하였다. 기업은 후원을 통해 재정적인 이익을 바라지 않았으며,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임직원들의 기업에 대한 만 족으로 인한 효과적인 업무 성과 창출 등 물질 이상의 가치를 추구하였다. 기업은 다양한 파트너십을 통해 활동 규모와 범위의 확장, 자원의 효율적 연계, 프로그램의 전문성, 사업의 지속성, 기업의 긍정적 이미지 창출, 새 로운 고객 확보라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제품의 완판이라는 수치적 결과가 나타난 콜라보레이션을 제외하고는 파트너십에 대한 정확한 효과에 대한 세부 자료가 없어 세밀한 분석이 이

      • 예술경영교육기관의 인턴쉽프로그램 운영방안

        김순남 추계예술대학교 예술경영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현재 서울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에 관한 교육기관은 학부와 대학원을 비롯해 30여 개에 이르고 있으며, 사회 전반적 요구에 따라 예술경영 교육프로그램이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예술경영교육을 받은 학생들을 위한 인턴쉽의 수요와 공급의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국내 예술경영분야 대학원의 설립은 짧은 역사에 비해 양적 성장은 있었으나 질적 성장은 가져오지 못하고 있었다. 즉 예술경영의 특성을 반영한 커리큘럼이 부족하였고, 재학기간 중 현장실습을 위한 필수과목인 인턴쉽은 늘어나고는 있었지만 체계적인 운영시스템을 갖춘 교육기관은 부재하였다. 교육기관의 인턴쉽프로그램의 체계적인 운영시스템의 미흡은 국내 문화예술단체나 기관의 인턴쉽 현황에서 마찬가지이다.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조차 인턴쉽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은 곳이 더 많으며, 제공되는 곳은 대부분 전시관련시설로 집중되어 있다. 전시관련시설에서의 인턴쉽프로그램은 예술경영전공자에게 있어 현실적인 제약이 따르고 있는데, 이는 기관에서 지정하는 과목의 이수자만이 인턴쉽 신청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국외의 경우 미국의 특정기관과 특정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모마나 게티뮤지엄의 경우 인턴쉽프로그램은 대상별로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었으며, 세분화되어 있었다. 전공분야와 무관하게 인턴쉽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으며 전공자를 위한 프로그램은 따로 제공된다. 또한 유급인턴과 무급인턴이 나누어지며, 인턴에게 프로젝트와 연관시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있었다. 교육기관(대학원)에서는 인턴쉽을 필수적으로 수료해야만 졸업이 가능하였다. 보스턴 대학의 경우 인턴쉽을 위해 지역 문화예술기관이나 단체와 산학연결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었으며, 학생들에게 인턴쉽을 제공하는 문화예술기관의 목록을 제공하였다. 학생은 지도교수와의 면담과 철저한 자기분석(자기평가목록 작성)을 통해 대상기관을 선정하고 있으며 학생과 학교, 해당기관 모두 철저한 책임과 의무가 부여되어 있어 인턴쉽프로그램이 지속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미국의 교육기관 사례 분석을 통한 국내 교육기관의 인턴쉽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고려해야할 주 항목은 ①인턴쉽의 목표설정, ②인턴대상 및 자격 요건 검토, ③대상기관선정 및 기준마련, ④인턴쉽 약정서 체결, ⑤인턴 교육, ⑥인턴파견, ⑦중간평가 및 기준마련, ⑧인턴최종평가 ⑨사후관리이다. 교육기관의 인턴쉽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통합적인 인적자원 관리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인적자원 관리시스템은 인턴쉽을 통한 현장교육의 지속적인 정착과 문화예술전문인력을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양성할 수 있으며, 문화예술인력의 수요와 공급을 활성화하여 수요공급에 따른 사각지대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인력자원 관리시스템을 통한 네트웍의 가시화는 인턴쉽, 정보공유의 차원을 넘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포럼, 세미나 등의 활동을 통해 전문인력센터로서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인턴쉽프로그램 체계적 운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교육기관과 문화예술단체 및 기관, 정부의 입장에서 각각 살펴볼 수 있다. 교육기관은 효율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현장적응력이 높은 인력을 배출할 수 있으며, 현장과의 유연교육체제(Flexible Education System)를 구축할 수 있다. 문화예술단체 및 기관은 인턴을 통해 업무의 실질적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인력채용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필요한 인재확보를 위한 기회가 된다. 정부는 교육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예술경영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으며, 문화예술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효율적인 인턴쉽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육기관과 문화예술단체 및 기관, 정부간의 협력이 있어야 가능하다. 교육기관은 현장이 요구하는 인력을 공급할 수 있는 인적자원 관리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며, 문화예술단체 및 기관은 인턴쉽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정부는 문화 예술 분야의 인턴쉽을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해주어야 한다. 교육기관과 문화예술단체 및 기관, 정부의 관계를 통한 인턴쉽프로그램 운영은 단순히 예비인력의 현장실습 차원을 넘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다. Nowadays, there are more than 30 educational organizations of arts management and it is growing bigger as the request of our society. Therefore, we come to the need of a systematic solution of internships for the students who finished the education programs of the arts management. Although our history of 'arts management' as a graduate school program is short, we were able to gain a quantitative growth but still must improve the quality in the future. There is still a lack of a curriculum which correctly projects the character of arts management. Although the 'internship' has become a required course for actual experience of the field, there were hardly any educational organizations providing an efficient operation system. The same problem of the lack of internship programs are found in other cultural organizations and corporations also. Many national and public cultural organizations don't have any internship programs, either. Even if they do, they are internship programs mostly related to exhibition facilities. Many students who have majored in arts management have problems in applying internship programs at exhibition facilities, since they limit it to people who have only qualified within the related subjects. In this paper, 1 have reviewed the cases of specified organizations and schools of the U S . MoMA or Getty Museum supply various internship programs which are specified to people from all types and majors. People may apply to internship programs that are nonrelated to their own majors, while there are separate internship programs for specialized majors. It is distinguished into 'unpaid intern' and 'paid intern',providing the interns many experiences related with the program. In most education organizations(ex. graduate schools), students must have the qualification of an internship program to finish the course. Boston University has founded a systematic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corporations and cultural & arts organizations, also preparing lists of cultural organizations which have installed internship programs. Students select their internship program through the consulting with their professor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ir characteristics(they have the list which include their valuation). These internship programs tend to be successful, since students, schools and organizations have the entire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for the perfect internship programs. The improvable points for the operation of internship programs in Korean education organizations based on the case review of U.S, are as below; ① the establishment of objective for the internship programs, ② the examination of the intern and his qualifications, ③ the selection of the appropriate organization and the preparation of the criteria, ④ the conclusion of the agreement for the internship program, ⑤ education program for the intern, ⑥ the dispatch of the intern, ⑦ the preparation of the criteria for the midterm evaluation, ⑧ the final evaluation, ⑨ the management after completion of internship programs In order for an efficient operation of the internship program, the entire human resources management system should be founded.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may maintain a consistent actual education in raising professional crops of culture and arts, and in activating the demand-supply of professional artists solving the problems related with it. Visual network based on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may raise an synergy effect by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beyond public information ownerships, making many forums and seminars and eventually becoming the center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Such effects of internship programs may be reviewed through the point of view of various education organizations, corporations and government, The education organizations enable people to have the ability in adapting to the field and also in founding the flexible education system through an effective program. The cultural & artistic organizations and corporations benefit from the internship program by not only receiving actual help from the interns but also reducing money in hiring people, and having the chance to ensure the appropriate people. The government may enhance the education policy to a more effective level, raise the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of the art management field, and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the cultural & artistic side. However, in order to operate more effective internship programs, the cooperation among the education organizations, cultural organizations, and the government is required. The education organizations must prepare the human resources management system to supply the right people to the exact position, the cultural organizations and corporations must provide the internship programs, and the government must support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aid to the internship program of arts &culture. The operation of internship programs through the relation of cultural organizations and the government will be the beginning to make the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needed in the field of the real society.

      • 세계시민교육에 있어 문화예술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권희연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세계화(Globalization)의 가속화로 인하여 국가 간, 문화 간의 교류가 증대되면서 타문화에 대한 이해, 다양성에 대한 존중이 요구되며, 개인과 공동체 그리고 국가들은 복잡한 상호 연계성 및 상호 의존성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고 있다. 세계시민교육(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D)이란 국제개발협력과 개발교육의 이해를 바탕으로 인권, 빈곤 상호의존성, 평화, 환경 등에 대한 교육과 함께, 더불어 사는 지구촌을 만들기 위한 공동체의식을 함양하는 교육이다. 이는 인종, 문화, 종교를 넘어 다양한 지구촌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그 문제의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사람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으로 UN이 정한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의 주요 목표로도 다뤄지는 교육이다. 궁극적으로 세계시민교육은 세계의 다양한 사람들의 삶과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지구촌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을 바탕으로 지구촌 이슈 및 문제에 대해 이해하고 지속가능한 해결방안을 위해 소통, 협업, 창의 및 실천의 기술을 습득하고 역량을 키워나가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교육이다. 국내에서는 정부와 국제개발협력NGO를 중심으로 세계시민교육이 시행되고 있으며, 세계시민교육, 글로벌시민교육, 국제이해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 등의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세계적으로 세계시민교육이 대두됨에 따라 인성, 창의성, 협력, 공감능력, 타인 존중 등 장르별로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지닌 문화예술을 활용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및 연구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세계시민교육에 있어 문화예술의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세계시민교육은 다양성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뿐만 아니라 학습자 중심의 소통능력과 공감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하고, 경험과 실천이 동반되어야하므로 다양한 교육방법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보아 세계시민교육의 교육방법에 문화예술을 활용하는 것은 효과적일 것이라고 기대한다. 이에 앞서 선행연구를 통해 세계시민성에 관한 다양한 정의와 구성요소, 세계시민교육의 방향 및 목표, 핵심역량에 대하여 정리하고, 국내 공공영역과 세계시민교육 관련 기관의 세계시민교육의 현황을 토대로 다양한 교육 분야에 문화예술을 활용한 프로그램 및 연구 자료를 통해 문화예술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 세계시민교육의 목적 및 핵심역량과 부합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영국, 독일, 캐나다를 중심으로 국외의 세계시민교육 현황과 국내의 공공영역인 교육부와 서울특별시교육청의 세계시민교육 현황을 알아보았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제이해교육을 증진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대한민국정부와 유네스코 간 협정으로 2000년에 설립된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APCEIU)를 시작으로 세계시민교육 관련 사업 및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 및 국제개발협력NGO의 종류와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와 현황을 토대로 국내외의 문화예술을 활용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및 연구의 방향과 교육내용을 알아봄으로써 앞으로 국내에서 세계시민교육에 있어 문화예술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모색하였다. 선행연구와 현황조사를 통해 도출된 세계시민교육에 있어 문화예술교육의 활용방안은 첫 번째로는 세계시민교육에 있어 문화예술분야가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세계시민교육을 주제로 한 전시·공연 등의 문화예술프로그램을 진행하거나 책, 공연, 동영상 등의 매체를 활용하여 정보 및 자료 제공의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다문화가정 및 그룹 내의 소통과 강사들 간의 교류, 학습자들 간의 교류, 단체나 기관의 교류에 있어서 방법론적으로 문화예술을 활용할 수도 있다. 현재 국내 세계시민교육에 있어 문화예술교육이 활용된 사례들을 살펴보면, 사진, 노래, 동화 등 몇몇의 장르에 국한되어 있다. 문화예술을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한다면 대상 및 주제에 따라 음악, 미술, 연극, 다양한 미디어 등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두 번째로 문화예술분야의 교원 및 강사의 역량을 강화하여야 한다. 세계시민교육에 있어 문화예술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분야의 강사가 학습자보다 먼저 세계시민교육에 대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갖추도록 교육프로그램을 고안해야 한다. 국내 공공영역의 기관 및 세계시민교육 관련 기관 모두 강사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교원연수 및 강사양성을 통해 역량강화를 추구하며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문화예술분야에서도 교원 및 강사를 대상으로 하는 세계시민교육을 진행해야한다. 세 번째로는 세계시민교육의 발전을 위해 시민사회단체의 참여를 확대하고, 문화예술을 활용하여 세계시민교육의 대상자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세계시민교육은 청소년뿐 아니라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으로, 정부나 학교, 문화예술기관, 예술가 및 전문가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시민사회단체의 참여가 필요하다. 또한 문화예술을 활용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에서 나아가 전 연령을 대상으로 하는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해야 한다. 박물관을 활용한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체험형 프로그램은 이미 대중적으로 활용될 만큼 효과를 입증하였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사진 전시를 활용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은 대상자뿐 아니라 전시를 관람하는 관객에게도 세계시민교육을 접할 수 있게 한다. 전시나 박물관을 활용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은 일반 시민이 보다 쉽게 세계시민교육에 다가설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 참여를 촉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세계시민교육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정책 연구 활동을 진행해야 한다. 세계시민교육의 전문성을 갖추고 있는 기관뿐 아니라 문화예술기관, 시민사회단체, 청소년단체 등을 포함하여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세계시민교육이 대두됨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지만 정책과 구조 및 과정이 정교하지 않다. 현재 국내의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들 중에서 국내의 전시, 공연, 축제 등을 활용한 세계시민교육은 단발성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체계적으로 기획·운영되어 지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운영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하며, 학교 내의 세계시민교육과 학교 외부 기관인 개발NGO, 문화예술기관, 시민사회단체, 청소년기관 등이 구조적 측면에서 협력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또한 세계시민교육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국내외 자료수집 및 분석과 함께 다양한 사례연구가 필요하다. 세계시민교육의 이론, 새로운 모형의 개발, 세계시민교육 가이드라인 개발, 세계시민교육 학습·평가지표 개발 등 다양한 정책 연구를 시행해야 한다. 특히 세계시민교육에 있어 문화예술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기관 및 단체들이 세계시민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문화예술을 활용한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이슈들에 대해서 문제를 인식하며, 교육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교육역량을 갖추기 위해 준비할 필요가 있다.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other cultures and to respect diversity due to increase in exchanges between cultures and countries arising from acceleration of globalization and it is also required for individuals, communities and countries to understand complicated interconnectedness and interdependence. GC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means the education to cultivate community spirit in order to create a global village living together as well as the education of human rights, poverty interdependence, peace, and environment based on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development education. As education to foster people who have an interest in various problems of global village beyond race, culture and religion and take positive behavior to solve the problems, this education treats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determined by UN as one of its major objectives. Ultimately, the objective of GCED is to learn and to raise the skill of communication, cooperation, creativity and practice in order to understand and to respect lives and cultures of many people in the world and to understand global village issues and problems based on a sense of belonging to global village community for the purpose of sustainable solutions. At home, GCED is being implemented mainly by the government and NGO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in various forms such a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GCED has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and empathic ability in addition to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varieties and it has to accompany diversified education methods because it needs experience and practice. As all the world faces GCED, this study intends to look into GCED research and program cases using culture·arts with various educational effects in such genres as personality, creativity, cooperation, empathic ability, and respect for others and then, to investigate culture·arts educational application plan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an advanced research prior to this, it investigated various definitions of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civic awareness as well as the concept and purpose of GCED and it looked into educational effect on culture·arts based on research data using culture·arts in varied education fields in order to confirm compliance with the purpose of GCED. In addition, it investigated status of GCED at home and abroad through GCED-related projects and programs being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other various institutions. Beginning with the APCEIU (UNESCO Asia-Pacific Center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stablished in 2000 according to an agreement between the Korean government and UNESCO in order to improve and develop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in Asia-Pacific area, this study arranged kinds of various institutions and NGO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which performed GCED-related projects and programs as well as programs of GCED. Finally, it investigated GCED programs using culture·arts at home and abroad based on advanced research and status survey, direction of research, and contents of education in order to seek culture·arts educational application plan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 home in the future. Following are culture·arts educational application plans in GCED drawn from advanced research and status survey. First, it is to positively apply culture·arts to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 of GCED. It can conduct culture·arts programs like exhibitions·performance-themed GCED and use media like books, performances or video as a means of providing information and data, or it may methodologically apply culture·arts to communication and exchanges between multi-cultural families, groups, lecturers, learners,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If we look into cases utilizing culture·arts education in GCED at present, they are limited to some genres such as photos, songs, and fairy tales. If we diversely use culture·arts, music, we may positively utilize arts, dramas, or various media pursuant to the object or theme. Second, it is necessary to train and rear lecturers in culture·arts field for GCED. In order to apply culture·arts to GCED, it is necessary for lecturers in culture·arts field to more accurately recognize GCED than learners and to be qualified as global citizens. Third, in order to effectively apply culture·arts to GCED, it is necessary to have full cooperation between responsible government agency, development NGO, culture·art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and artists. It is required to establish GCED-related system and to have teachers workshop and lectures training; and in particular, it is required for culture·art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to recognize importance of GCED and then, to prepare training methods and competence. Finally, most of GCED using current domestic exhibitions, performances, and festivals are one-time events. It is required to set up an operation system to systematically devise and operate such programs for continuous performance and it is also required to make a plan providing infra and an institutional strategy so that GCED in a school, development NGO of outside institution, cultural institutions and youth institutions may cooperate each other from the structural aspect.

      • 기업교육에 있어 문화예술교육인력 역량강화 교육의 필요성 및 방법에 대한 연구

        박청실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기업은 급변하는 사회와 예측할 수 없는 미래를 바라보며 기업 경쟁력을 갖추고 지속 성장을 위한 방법으로 인적자원개발(Human Resource Development)을 기업의 중요한 사안으로 보고 있다. 기업 내 HRD 담당자는 끊임없이 새롭고 효과적인 교육을 찾으며 그 일환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이 검증되어 가고 있다. 이에 기업교육에서 활용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점차 다양해지고 있으며, 문화예술교육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교육회사도 함께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문화예술교육인력은 기업교육 담당자로서 전문적인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가, 활발한 기업교육 활동이 이뤄지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교육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인력의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고 문화예술교육인력이 기업교육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역량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역량강화 교육의 필요성과 역량강화 교육 방법에 대해 제시한다. 이를 위해 기업의 인적자원개발과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학술적 개념 및 특성을 선행연구 하였으며 기업교육 내 문화예술교육인력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HRD전문가와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국내에 이뤄지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인력 대상 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문화예술교육인력에게 필요한 역량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들의 역량 강화가 현재의 교육 시스템으로 가능할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문화예술교육인력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기업교육의 이해, 교육 역량, 조직에 대한 이해, 고객 중심 태도, 커뮤니케이션 능력이었으며 조직 경험이 없거나 적은 문화예술교육인력에게 해당 역량을 단기간에 습득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라고 보았다. 하지만 마치 예비창업자가 창업교육을 수강하는 열정과 태도처럼 예술인들이 기업교육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 열의와 노력을 쏟는다면 더 빠른 교육 결과가 실현될 것으로 보았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인력 대상 교육 과정을 살펴 본 결과 기업교육을 위한 역량강화 과정은 찾을 수 없었다. 문화예술교육과 문화예술교육인력에 대한 제도와 교육 복지가 잘 갖추어져 있다고 보았지만 교육 영역이 공공·사회 방면으로 치우쳐져 있어 민간·기업으로의 확대는 크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먼저 기업교육에 특화된 역량 개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다. 첫째, 앞서 도출된 역량을 바탕으로 기업교육 전문가가 되기 위한 단기적·장기적 역량 개발 과정을 개설한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사의 정규 교육 과정 중 문화예술교육인력에게 필요한 교육 과정을 개설하고 선택하여 수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문화예술교육인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은 꼭 필요한 단계이며 그 어떤 조치보다 우선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다음으로 공공 및 민간에서의 지원 및 연계하는 방법이다. 첫째, 한국예술인복지재단에서 예술인경력정보에 강의/교육을 경력으로 인정해주는 것이다. 예술인의 경력정보에 강의/교육활동을 포함시켜 문화예술교육인력이 기업교육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하고 경력 개발을 용이하게 만들어주어야 한다. 둘째, 기업과 문화예술 전문인력 간의 연계를 맡고 있는 한국메세나협회의 교육 지원이다. 기업과 예술인을 연계한 프로젝트에서 프로젝트 초기와 단계별로 역량 개발 과정을 실시하여 기업과 문화예술교육인력 모두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는 기업과 문화예술교육인력 간의 코워크(Co-Work)를 실행하는 방법이다. 실제 기업 교육 현장에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프로젝트를 만들어 역량 개발 과정에서 습득한 역량을 현업에 즉시 적용해 봄으로써 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인력이 기업교육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인력의 역량이 개발되고 기업교육에서의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기업교육에 있어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Companies regard their human resource development as their important issue as a method to be competitive and sustainable while preparing for a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unpredictable future. HRD representatives in companies are constantly looking for new and effective education, and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and moreover,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on culture and arts has also been proven. Therefor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used in corporate training are becoming more diverse, and the number of companies specializing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at educate other companies is on the rise. However, there are currently insufficient studies on whethe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have professional competency as a person in charge of corporate education and are active in corporate edu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t has a purpose of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in corporate education and of figuring out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to grow as an expert for corporate education. Based on this, it presents the need for training to strengthen competencies and its methods. To do this, it first studied academic concepts and roles in corporate education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hen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in corporate education. In addition, it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HRD experts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education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in Korea. As a result, it was able to understand the competencies needed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and to confirm whether or not strengthening their capabilities could be achieved through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were summarized in five factors. They were understanding of corporate education, educational competency,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 customer-centered attitude, and lastly communication ability, and it assumed that it would be difficult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with little or no experience in the organization to acquire those competencies in a short period of time. However, if artists make a lot of enthusiasm and efforts to become corporate education specialists just as would-be founders’ enthusiasm and attitude to tak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t assumed that faster training results would be obtain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urriculum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there was no curriculum for strengthening competencies for corporate education. It could be also found that it was originally thought that system and education welfare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its personnel, but the expansion of the education sector to private and enterprise was not significant due to the bias toward the public and social sector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details. First of all, it provides education to develop competencies specialized in corporate education. First, it opens the short-and long-term processes to develop competencies to become corporate education specialists based on the previously mentioned competencies. Second, it opens up the curriculum required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among the regular curriculum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structors and develops a system that they can select and take classes freely.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is a necessary step and should take precedence over any measures. Next is the way to receive and link supports from the public and the private sector. First, Korean Artist Welfare Foundation recognizes lecture/education experiences as a career in the career information of artists. It should include lectures and educational activities in artists’ career information so that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can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corporate education,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career. Second, it is the educational support of the Korea Mecenat Association in charge of linkage between companies and culture and arts professionals. Furthermore, it conducts the competency development process at the beginning and each stage of the project with companies, so that it ensures positive results for both companies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Finally, it is a method to implement the co-work between companies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In other words, it creates projects that plan and operat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in the actual field of training companies and immediately apply the competencies acquired during the competency development process to the actual field to maximize the effect. In conclusion, it was available to examine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to become experts in corporate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of this study hopes that they will be able to becom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corporate education by developing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m and supporting their activities in corporate education.

      • 문화예술단체 재원조성 전문가 육성 방안에 관한 연구

        정진원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Most of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in Korea relies heavily on public support funds and corporate sponsorships or supports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for their activities, Consequently, it is easily affected by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economic depression and so forth. The amount of funds shows a decline every year although they try to raise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s through the donation culture activation in culture and arts and their financial resources from donation support funds are on the decrease while the ratio of public support funds are on the increase year by year.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draw up a development plan for financial resources management expert of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 as a self-reliant method of their stable and active private finances procurement, by analyzing current status and performing relative case studies. Firstly, as a current status analysis, the change and ratio of annual income structure for public support funds, self-revenue, and donation support funds has been analyzed, compared to the total incomes in the past three years of performance facilities, cultural art centers, and specialized arts corporation or organizations excepting performing groups. In addition, to figure out the limitation of public supports and the necessity of private supports,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budgets of the central government's department exclusively responsible for culture of major countries was performed and the current status of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s of Korean Culture and Arts Committee was analyzed as well as the donation expenditures and corporative supports in Korea were investigated. Secondly, the organization structure related to financial resources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 was comparatively analyzed with foreign cases and the overseas education curriculum for fund-raising experts, the domestic educational program of non-profit organizations, and the current educational status of financial resources development in the domestic arts were closely analyzed.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drawn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and investigation. First of all, the public support funds account for almost a half of the total income. It reflects that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dependence on public support funds is high and the domestic donation culture for culture and arts is not established yet according to the annual decrease of self-revenue and donation support funds. The public culture and arts support in Korea is typically from the national treasury or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s. Considering the economy size of Korea, however, the scale and ratio of cultural budget should be increased for smooth public supports in the area of culture and arts because of the government's low expenditure on the cultural sector, but it is hard to be solved since the cultural budget is regarded as a subsidiary matter in the order of priority compared to the budgets of national defense, economy, and industry. Even though Culture and Arts Committee is consistently collecting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s from other financial resources such as private or corporate donations through the activation of donation culture to meet the demand of steeply increasing cultural and artistic creative and entertainment activities since the fund-raising was abolished, it is decreasing every year. Therefore, the private efforts and supports are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financial stability of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to overcome the financial danger of being exhausted. Regardless of the annual steady increase of corporate and private expenditures on donation in Korea, the total amount of private donation on culture and arts excepting other's family events and religious offering accounts for 0.2% and the corporate donation even including the sports sector accounts for 8.7%, which is very low. The corporate supports on culture and arts are more likely to be supports on their own programs or events for corporation PR than pure supports. The donations for supports and sponsorships are relatively low and their motives are also 'contribution to community', 'marketing strategy', or 'organization management'. Moreover, the corporate supports on culture and arts are sensitive to economic situations, so it would not be stable for financial resources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Thus, instead of depending on these unstable financial resources which are easily fluctuating by environmental factors, donator recruitment, program implement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the organizations are necessary for settled financial resource procurement through private donations. Secondly, the concept for financial resources development of organizations, executives, and staff members should be changed above all things so that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can develop financial resources more organizationally and systemically. As foreign cases, various programs development and support management should be carried out for financial resource procurement with proper organizations and human resources by establishing financial resources development committee or separate organizations and departments. CFRE, a fund-raising expert certificate authentication institution in U.S., grants certifications with educational and training curriculum for fund-raising experts by strictly verifying professional theory, skills, and qualifications and reviewing responsibility for ethical criteria and working-level fund raising career over a given period. Furthermore, fund-raising expert educational institutions systemically provide an introduction course on AFT financial resource development (raising fund) so that experienced working-level employees can study from fundamental fund-raising to advanced skills for CFRE preparation. The Hope Institute, Korean Donation Culture Institute, 우리나라의 문화예술단체 대부분은 활동을 영위하기 위한 재원마련에 있어 공공지원금 및 기업의 협찬이나 후원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경기 침체 등으로 인한 외부 환경변화에 있어서 결코 안정적이지 못하다. 최근 문화예술 기부문화 활성화를 통해 문예진흥기금을 꾸준히 마련하고 있기는 하나 매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매년 공공지원금의 비중은 높아져가고 있는 반면 기부후원금을 통한 수입은 점점 낮아져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단체들이 스스로 안정적이고 활발한 민간재원을 조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화예술단체 재원조성 전문가 육성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현황 및 관련 사례분석 중심의 연구로 진행할 것이다. 첫째, 현황 조사로써 공연단체를 제외한 공연시설, 문예회관, 전문예술법인·단체의 최근 3년간 전체수입 대비 공공지원금, 자체수입, 기부후원금에 대한 비율 및 연도별 수입구조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공공지원의 한계와 문화예술단체 민간지원의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주요국가의 중앙정부 문화전담부처 예산과의 비교분석 및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예진흥기금의 현재 상황을 알아보고 우리나라의 기부금 지출현황과 문화예술에 대한 기업의 지원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둘째, 문화예술단체 재원조성 관련 조직구조를 외국 사례와 비교분석하였으며, 외국의 모금전문가 교육과정 및 국내 비영리 기관의 모금인력 양성과정과 국내 예술분야 재원조성 관련 교육현황에 대하여 면밀히 조사하였다. 이러한 비교분석 및 조사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공공지원금이 전체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거의 절반에 가깝다. 이는 문화예술단체들이 공공지원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으며, 자체수입 및 기부후원금은 해마다 점점 줄어드는 추세로 보아 아직까지 우리나라에 문화예술에 대한 기부문화가 정착되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공공부문에 의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문화예술 지원은 정부의 국고를 통한 지원이나 문예진흥기금을 통한 지원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제규모를 감안할 때, 정부의 문화부문에 대한 지출이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어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원활한 공공지원을 위해 문화예산의 규모와 비중을 높일 필요성이 있으나 정책 우선순위에서 국방예산이나 경제, 산업분야의 예산에 비해 부수적으로 생각되는 경우가 많아 어려움이 있다. 문예진흥기금 역시 2004년 모금이 폐지된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문화예술 창작 및 향유활동에 대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문화예술위원회가 기부문화 활성화를 통한 개인 및 기업의 기부금 등의 기타재원으로 꾸준히 마련하고 있기는 하나 매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점차 고갈될 위기해 처해 있어 문화예술단체의 재정적 안정을 위해 민간의 노력과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우리나라 법인 및 개인의 기부금 지출액은 매년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조사비 및 종교적 헌금을 제외한 순수 개인 기부금의 주요 기부처 중 국내 전체 문화예술에 대한 기부는 0.2%, 기업 기부금은 체육분야를 포함해도 8.7%로 아주 낮게 나타났다. 기업의 문화예술에 대한 지원은 순수지원의 개념보다는 대부분 기업의 홍보를 위해 자체적으로 기획한 프로그램이나 행사를 위한 지원으로 후원 및 협찬을 통한 기부는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지원동기 역시 ‘지역사회 공헌’, ‘마케팅 전략’, ‘조직관리’에 있었다. 또한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은 경기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분야로 문화예술단체 재원조성에는 결코 안정적이지 않아 환경에 따라 바뀌는 불안정한 재원에 의지하기 보다는 개인의 기부를 통한 안정적인 재원 확보를 위해 기부자 모집 및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조직 내 인적자원 육성이 필요하다. 둘째, 문화예술단체들이 보다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재원조성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단체의 임원과 직원들의 재원조성에 대한 개념이 바뀌어야 할 것이며, 외국의 사례처럼 재원조성과 관련된 위원회나 별도의 조직 및 부서 신설을 통해 적절한 조직이나 인원을 갖추어 재원마련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후원회 관리를 해야 할 것이다. 미국의 모금전문가 자격인증 기관인 CFRE는 모금전문가가 되기 위한 교육과 훈련과정으로 전문이론 지식 및 기술, 자질 등을 평가하는 검증, 윤리적 기준에 대한 책임, 일정기간 이상의 실무적인 모금경력을 엄격히 검토한 후 모금 전문가의 자격을 인증해 주고 있으며, 모금전문가 교육기관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 AFP 재원조성(기금모금) 입문과정을 통해 모금관련 실무 경력자들이 모금의 기초 이해부터 CFRE를 준비할 수 있을 정도의 모금활동 기법과 내용들을 자연스럽고 체계적으로 가르치고 있다. 민간영역에서 비영리기관 대상으로 모금전문가를 양성하는 희망제작소, 한국기부문화연구소, 도움과 나눔에서는 모금 담당자 대상으로 각각의 특색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체계적

      • 기업의 문화예술교육분야 사회 공헌활동에 관한 연구

        함성애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As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Support Act is enforced, the interest in arts education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surged. In the public sector over the past 10 years, social awareness about art education was spread through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olicy, in particular with the demand for arts education in schools increasing - an encouraging result that shows that the R&D base of arts education has been laid. (Baeknyeong, 2015) In both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support for arts and cultural education has been made in various ways. However, research on arts education in the private sector is in the minority compared to the public sector and basic research is still needed. Therefore, in this study, types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that are operated or supported by corporations as thei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y are organized on the basis of examples in the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small and medium-sized corporations casebook. Prior to looking at the examples, definitions and current status were organized in order to underst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y, and we also examined how businesses support the arts and culture, and the recent status of corporate support of arts and culture. And we examined the concept and value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nd the status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that is supported by the public sector. Relevant cases gathered were organized under several headings of objective, operations, support type, program type, and the targeted items. Businesses carry out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s a part of thei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nd it is shown that social awareness improvements were regarded as a means of operating and supporting arts and cultural education, through human resources development, eliminating educational gaps and cultural differences, culture promotion, and arts and cultural educations. This can be interpreted as companies adding to the welfare of society by operating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rough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nd also trying to contribute to national cultural promotion. As ways of operating arts and cultural education with these purposes, there was direct operation, collaboration and support. When directly operating, corporations construct programs using cultural infrastructure (human resources, facilities, etc.), or plan and direct their own programs through the volunteer activities of their employees. In cases of collaboration, corporations mainly pay the operating costs of foundations, public institutions, local authorities and NPOs. For the sponsorship, it is shown that corporations select the institutions or organizations that operat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nd support their operating cost. Support types were organized and divided into cash and non-cash support, cash support is divided into directly hosted costs, operating expenses, prize money and scholarships, non-cash support is divided into material support and personnel support. Program types are described and divided into education, contest, scholarship program, and audition program. For education, it is divided into history education, awareness training, work experience education, combined education as well as arts education, and in case of contests and scholarship programs, new concept programs developed from simple forms such as awards and scholarships are found. Targets were studied based on age, region and social-stratum. Primarily, targets are children and teenagers, and there different programs availabl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pecific regions and countrywide. It was found that most of targets are underprivileged, such as low-income, multicultural families, single-parent families or people with disabilities. While each type were divided and analyzed, it is seen that the corporations us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with an interest in the instrumental value of cultural arts, not in the education to train artists as was previously the objective. However, there are cases that participants of training programs for social awareness are somewhat not consistent with the objective, therefore improvement is needed. Also it is found that evaluations for the conducted education are not performed. It is considered that evaluation could enable review of the program conducted, find improvements to operate long-term programs, keep data and also help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cademia. In addition, it is proposed to design programs that are connected to the region where the corporations are located to develop relationships with regions, and improve the image and favorability of the corporation. This is because there are extremely rare cases of programs operating at a region where a corporation is located, using its region’s personnel and material infrastructure, while there are many programs operated by targeting welfare facilities and institutions already in the region. Finally, a partnership with arts organizations is proposed. As a partner to build long-term relationships rather than short-term employment as an educator, it is more effective to develop a variety of programs. In this study, the operating system, type of support, program type, purpose and targets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in the private sector were looked at by categorizing each type, on the basis of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rograms classified in the social contribution casebook of the Federation of the Korean Industries (FKI) small and medium-sized corporations, and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rogram in Korea Mecenat Association. Although there are limits, specific or detailed analysis was not performed and the effects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r educational effects were not presented, it should be helpful in future studies as a basis for upcoming research. References Baeknyeong (2015). The New 10 Year, Expected Prospect of Arts Education - Proposal for Objec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이 시행되면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관심이 공공과 민간영역에서 급증하였다. 공공영역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문화예술교육정책을 통해 예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확산되었고, 특히 학교에서 예술교육의 수요가 증가되고, 예술교육에 대한 R&D 기반이 마련됐다는 고무적인 결과를 낳았다 백령(2015), ‘새로운 10년, 예술교육의 새 지평을 기대하며-한국예술교육의 목표와 전략을 위한 제언’, 메세나협회계간지, 2015 Autumn Vol.92, p.16 . 공공영역 뿐만 아니라 민간영역에서도 그간 다양한 방식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민간영역에서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연구는 그 수가 공공영역에 비해 소수에 불과하고 아직 기초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이 문화예술교육분야에 사회공헌활동으로써 어떤 문화예술교육을 운영, 혹은 지원하고 있는지 전경련과 중견·중소기업 사례집의 사례를 토대로 정리해보았다. 사례를 살펴보기에 앞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이해하기 위해 정의와 현황을 정리하였고, 기업이 문화예술을 지원하는 방식과 최근 기업의 문화예술지원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의 개념과 그 가치, 공공영역에서 지원하는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살펴본 내용을 토대로 수집한 사례는 목적, 운영방식, 지원유형, 프로그램유형, 대상으로 항목을 나누어 정리하였다. 기업은 사회적 책임(CSR)의 일환으로 사회공헌활동을 실시하는데, 그 중 문화예술교육을 운영 및 지원하는 목적으로 인재양성, 교육격차해소, 문화격차해소, 문화진흥,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사회인식개선을 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이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복지적 차원의 사회공헌활동을 실시함과 더불어 국가 문화진흥에 기여하려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런 목적의 문화예술교육을 운영하는 방식으로는 직접 운영, 협업, 후원이 있었다. 직접 운영을 할 경우 기업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인프라(전문인력, 시설 등)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거나, 임직원의 봉사활동을 통해 직접 프로그램을 기획, 총괄하고 있다. 협업으로는 재단, 공공기관, 자치단체, NPO 등이 있었는데 기업에서는 주로 운영비를 부담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후원은 문화예술교육을 운영하는 기관이나 단체를 선정하여 운영비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 유형으로는 현금 지원과 비현금 지원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는데, 현금 지원은 직접 주최, 운영비, 경연대회의 상금 및 장학금으로 나뉘었으며 비현금 지원은 물적 지원과 인적 지원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프로그램유형으로는 교육, 경연대회, 장학금지원프로그램, 오디션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는데, 교육에는 예술교육과 더불어 역사교육, 인식개선교육, 직업체험교육, 융합교육 등으로 다시 나뉘었고, 경연대회와 장학금지원프로그램에서는 수상 및 장학금 수여의 간단한 형태에서 발전한 새로운 형태의 프로그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대상은 연령, 지역, 사회계층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주로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서울 및 수도권, 특정 지역 대상, 전국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들을 살펴봤다. 그리고 대부분이 저소득계층, 다문화가정, 한부모가정, 장애인 등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각 유형별로 나누어 정리하고 분석함으로써 기업은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기존의 예술가양성을 위한 교육이 아닌 문화예술의 도구적 가치에 관심을 가지고 활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사회인식개선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대상자가 목적과 다소 부합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개선할 필요가 보인다. 또 실시한 교육에 대한 평가가 진행되지 않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가를 통해 실시한 프로그램에 대해 돌아보고 개선점을 파악함으로써 장기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자료로 남김으로써 문화예술교육학계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역과의 관계 발전, 기업의 이미지와 호감도 상승을 위해 기업이 소재하고 있는 지역과 연계한 프로그램을 기획할 것을 제안하였다. 지역에 위치한 복지시설 및 기관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은 많았지만 기업의 사업장이 소재하고 있는 지역의 인적, 물적 인프라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사례는 극히 드문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예술단체와의 파트너십을 제안하였다. 교육자로서의 단기고용이 아닌 파트너로서 장기적인 관계를 구축하여 프로그램을 더욱 다양하게 발전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경련의 사회공헌사례집과 중견·중소기업의 사회공헌사례집에서 분류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과 한국메세나협회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각 항목별 유형화를 통해 민간영역에서 실시하는 문화예술교육의 운영방식, 지원유형, 프로그램유형, 목적, 대상자에 대해 알아보았다. 각 항목별로 구체적이고 세밀한 분석을 하지 못한 점, 사회공헌활동으로써의 효과 및 교육의 효과를 다루지 못한 점 등의

      • 문화예술단체 ESG경영의 필요성 & 구성요소 연구

        진윤일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examines how ESG management, a new paradigm for corporate growth, can be applied to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In particular, it was reviewed how to apply the core elements of corporate ESG management to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and how to construct evaluation indexes components applicable to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These ESG evaluation indexes secures the organization's competitiveness, self-sufficiency, and stability, and preemptively predicts crises and risk factors in the organization's operation. First,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the definition and core elements of ESG management were reviewed, and the case of SK holdings, a domestic company, was studied through case analysis of companies for each core element. Second, based on the previously researched definition of ESG management and case analysis for each core element, the necessity of ESG management for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was raised and the details of each core element were studied. Third, case studies of ESG management of domestic and foreign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were analyzed. As an example in practice, the environment-based theater operation case of the Pigfoot theater company in England was investigated. As another example, Samsung Cultural Foundation's ESG management cases and current status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Third example is Academy Passion & Shar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APS), a performance group with 25 members, was analyzed for each key element of ESG management. As a result, it was suggested that ESG management is an important management method for the operation of sustainable organizations and that it can help other companies realize ESG management. Fourth, the need for ESG evalua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and the functions and components of evaluation indicators were studied. The necessity and functions of ESG evaluation indicators for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were studied. In order to construct the ESG evaluation index for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the cases of ESG evaluation index of general companies were first studied and analyzed. The corporate evaluation index of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KCGS) and the K-ESG guidelines distribut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were analyzed in detail. The company evaluation index of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KCGS) and basic diagnosis item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the K-ESG guidelines distribut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were used as models. The specificity of ESG management of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was studied, and the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ex system was constructed and presented. It is suggested that each cultural and organization itself select the weight and application part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each cultural and arts organization when evaluating each part. Furthermore, it is proposed that the evaluation index constructed in this way can be used as a fair judgment criterion by using the constructed evaluation factors when deliberation of investment and support by companies and public support organizations. If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execute and evaluate ESG management using the index system and diagnosis items studied in the future, they can be equipped with competitiveness and self-sufficiency based on sustainable management in the market. In addition, culture and arts will be able to play a role in leading a sustainable society. 이 연구는 기업성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는 ESG경영을 어떤 방식으로 문화예술단체에 적용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게 할 것인지를 고찰하였다. 특히 기업의 ESG경영의 핵심요소를 문화예술 단체에 적용하고 국내기업의 ESG경영지표와 K-ESG평가지표 모델을 바탕으로 문화예술단체에 적용이 가능한 평가지표 구성요소를 어떻게 구성할것인지를 검토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ESG평가지표는 단체의 경쟁력, 자생력, 안정성을 확보하고 단체 운영의 위기와 위험요소를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대응 할 수 있다. 또한 문화예술단체의 ESG경영이 일반기업과 기관들의 ESG경영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가의 대안도 제시하였다. 첫째, 연구 이론적 배경으로 ESG경영의 정의 및 핵심요소를 살펴보고 각 핵심요소별 기업의 ESG경영 사례분석으로 국내기업 SK주식회사의 사례를 연구하였다. 둘째, 앞서 연구된 ESG경영의 정의 및 각 핵심요소별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문화예술단체의 ESG경영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각 핵심요소별 세부내용을 연구하였다. 셋째, 국내외 문화예술단체 ESG경영 사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국외 사례로 영국 피그풋 시어터(Pigfoot theatre company)의 환경에 기반 한 극장운영사례를 조사하였고 국내사례로 삼성문화재단의 ESG경영사례 및 현황을 연구 분석 하였다. 25인 규모의 연주단체인 아카데미 열정과 나눔(이하APS)의 운영상황을 ESG경영의 핵심요소 별로 분석하였다. 시사점으로 ESG경영이 지속가능한 단체의 운영을 현실화 시키는데 중요한 경영방식 이며 특히 문화예술단체의 특성상 레퍼토리의 구성, 지역기업과의 파트너 쉽 형성 등이 다른 기업의 ESG경영 실현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넷째, 문화예술단체 ESG평가의 필요성과 평가지표 기능 및 지표 구성요소를 연구 하였다. 문화예술단체 ESG평가지표의 필요성 및 기능을 연구하고 제시하였다. 문화예술단체 ESG평가지표의 구성을 위하여 먼저 한국지배구조원(KCGS)의 기업 평가지표와 산업통산자원부에서 배포한 K-ESG가이드라인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지배구조원(KCGS)의 기업 평가지표와 산업통산자원부에서 배포한 K-ESG가이드라인 중견중소기업 기본 진단항목을 모델로 삼았다. 문화예술단체 ESG경영관련 특수성을 연구하고, ESG경영 평가지표 체계를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현재 국내외에서 대표적 기업이나 단체에서 활용되고 있는 ESG경영요소, 필요성, 평가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문화예술단체가 가지고 있는 가치와 특성을 감안한 ESG경영의 필요성을 제기했으며 단체가 가지고 있는 특수성을 바탕으로 ESG경영 평가지표 체계를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연구된 기업과 문화예술단체의 ESG경영요소, 필요성, 평가구성 요소를 비교할 수 있도록 표를 구성해 그 차이점을 설명하였다. 문화예술단체의 특수성에 맞게 구성된 ESG평가지표는 각 부분 평가 시 모든 문화예술단체의 단체별 특수성을 고려해 가중치 및 적용부분은 단체 스스로 선택할 것을 제안 하였다. 더 나아가 이렇게 구성된 된 평가지표는 사회공헌에 관심 있는 기업 및 공공지원 단체에서 투자 및 지원 심의 시 구성된 평가요소를 활용 하여 공정한 판단 기준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향후 연구된 지표체계와 진단항목을 이용하여 문화예술단체가 ESG경영을 실행하고 평가한다면 시장의 지속가능한 경영을 바탕으로 경쟁력과 자생력을 갖출 수 있다. 또한 문화예술이 지속가능한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다.

      • 지역문화예술 역량강화를 위한 공연예술사업 성과분석 연구 : 지식네트워크 운영을 중심으로

        김영훈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eoul performing arts network on organizational capabilities of autonomous cultural art center in the context of knowledge network. Sejong Center has been building the collaboration system in performing arts between the Center and other cultural art centers under the umbrella of the Seoul autonomous districts. This system aims to build the network of performing arts and to improve performances and cultural competences of local cultural art centers. The level of performance consists of two factors: performing arts resource factor and knowledge network factor. Performing arts resource factor includes organizational capabi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Knowledge network factor is composed of structure factor, interaction factor, and functional factor. The study conducts case study and implements hypothesis testing. To test the model, this paper evaluates performance appraisal of each cultural art center for the period from 2012 to 2014, drawing upon the survey on employees of 17 cultural art center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3 employees. There are fiv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an organizational capability has an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organizations. Also knowledge network leads to increases in their levels of organizational capabilities. Second, the customer satisfaction survey reveals that the quality of performance is highly evaluated. Third, the number of performances increases the network centrality of cultural art centers, which leads to a higher level of performance. Fourth, the level of sharing and reciprocity affects the level of performances. Fifth,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 functional factor and the level of performance. However, external factors increase the level of performance by making up for the weakness of internal factors. This study suggests that activating knowledge network is essential to increase the level of performance and cultural competences of autonomous cultural art centers. First, it is required to manage local resources efficiently and access to external resources using knowledge network. Second, each cultural art center needs to measure its competence and to develop a network so that it can secure perceived scarce resources. Third, it is necessary to build a community-based leading organizations other than Sejong Center to activate local knowledge networks in the longterm. Fourth, it is indispensable to strengthen linkages in order to encourage resource sharing.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 knowledge network operation is needed to strengthen the cultural competence of autonomous cultural art centers. Second,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is particularly present in terms of structure factor as well as sharing resources and reciprocity in terms of interaction factor. Third, the fact that external factors play certain roles has a lot of implications on the role of public arts center and th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policies. 본 연구는 서울지역 공연예술 네트워크 사업을 대상으로 참여 자치구들의 사업성과를 분석하고, 지식네트워크 운영을 중심으로 지역문화예술 역량강화 방안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세종문화회관 연계공연으로, 이 공연은 서울지역 문화예술 네트워크 구축 및 공연예술사업 유통을 통해 지역문화 예술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지식네트워크 운영을 중심으로 한 연구대상 사업의 성과분석은 공연예술에 필요한 지식자원에 대해 이해하고, 지식네트워크 운영을 통해 지역의 지식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여, 지역문화예술 조직역량을 강화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 따라서 대상사업의 지역성과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자치구별 사업성과에 대한 평가가 우선시되며, 평가된 사업성과는 공연예술자원 차원과 지식네트워크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공연예술사업 성과분석에 사용된 분석기준은 공연예술 자원요소와 지식네트워크 특성요소이다. 공연예술 자원요소는 조직역량과 관객만족으로 구분하였고, 지식네트워크 특성요소는 구조적 요소, 상호작용적 요소, 기능적 요소로 구분하였다. 분석은 사례분석과 가설검정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 진행하였으며, 사례분석에 의한 정성적 연구가 중심이 되고, 가설검정으로 확인하는 구조로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사업성과 분석을 위해 대상사업의 안정적 운영 시기인 2012년부터 2014년까지의 3년 실적을 중심으로 자치구별 사업성과를 평가하고, 평가된 자치구별 사업성과를 집단화하여 분석대상으로 제시하였다. 분석은 17개구 참여 자치구 담당자 17인을 대상으로 한 질문지법과 3인의 심층 인터뷰 내용을 토대로 진행되었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역량 분석결과 조직역량은 사업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조직역량과 사례사업 성과의 관계에 있어 지식네트워크를 통해 역량이 보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관객만족 분석결과 공연 상품수준이 높게 평가되어 공연예술 자원요소 중 작품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관객 의사결정과 공연장 편의성의 사례사업 성과와의 영향관계는 증명하지 못했다. 편의성은 사례사업 성과보다 조직역량과 관계가 있었다. 셋째, 구조적 요소 분석결과 사례사업 활동이 많을수록 지식네트워크 내 중심성이 강했고, 중심성이 강할수록 사업성과가 높았다. 그리고 지식네트워크 구조에서 관리성은 사례사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조직역량과 사업성과의 영향관계에 지식네트워크 관리성이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t-검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넷째, 상호작용적 요소 분석결과 공유성과 호혜성은 사례사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공유자원 중요도는 작품, 홍보, 무대기술, 기획, 고객관리의 순서였다. 그리고 네트워크 상호작용 프로세스 이론과 지식네트워크 성장단계 이론 중 성숙기 특징이 사례사업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기능적 요소 분석결과 기능적 요소는 사례사업 성과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부족한 내부 기능적 요소를 외부 기능적 요소가 보완하면 사업성과가 향상될 수 있다는 지식네트워크 보완 작용을 입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네트워크 운영을 통해 지역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부족한 자원을 지역 간 상호 보완하여 지역문화예술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지식네트워크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지역별 역량요소를 정확히 파악하고 개발하여, 지역 간에 필요한 자원의 연결을 시도해야 한다. 셋째, 지식네트워크의 장기적 성장 관점에서 세종문화회관 외에 네트워크를 주도할 수 있는 권역별 거점지역을 개발해야 한다. 넷째, 네트워크 상호작용 프로세스 이론에 따라 문화예술 자원공유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역 간 연결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가치와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문화예술 역량강화를 위해 지식네트워크 운영의 필요성을 입증하였다는 데 가치가 있다. 둘째, 지식네트워크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구조적 관점에서 관리의 중요성, 상호작용적 관점에서 자원의 공유와 호혜 관계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향후 공연예술사업의 지식네트워크 운영 및 활성화에 가치가 있다. 셋째, 지식네트워크 외부 기능적요소의 역할 확인을 통해 문화예술 공공기관의 역할과 문화예술 정책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지역문화예술 역량강화와 지식네트워크 운영에 대한 가치를 입증하였다. 따라서 향후 공연예술사업의 지식네트워크 운영 활성화와 지역문화예술 역량강화에 의미 있는 후속 연구를 기대해 본다.

      • 공공문화재단의 메세나 지원사업에 관한 연구 : 광역문화재단을 중심으로

        박은경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47

        최근 문화예술의 저변을 확대하려는 사회적 인식이 매우 중요해지면서 민간지원의 자율성을 높이고 역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민간 후원 활성화에 다양한 노력이 수반 되고 있다. 기업이 문화예술 지원을 통해 사회에 공헌한다는 의미를 지닌 ‘메세나’ 활동은 1967년 미국에서 예술지원기업위원회가 최초 창설되며 이후 유럽, 일본 등 각 국으로 확산되었고 우리나라는 1994년 한국메세나협회가 설립되면서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본래 기업을 회원으로 두고 협회 중심으로 진행되어왔던 메세나 사업이 민간 후원 활성화, 지역 특성화를 위해 공공문화재단으로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 이러한 활동이 바람직한 것인가에서 출발하여 본 논문에서는 공공문화재단에서의 메세나 지원사업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메세나의 기원은 고대 로마 제국에서 문화, 예술인의 창작 활동을 지원한 가이우스 마에케나스의 이름에서 유래하였으며 기업의 문화 예술 후원을 통한 사회적 책임 실현을 뜻한다. 세계 각 선진국들의 공통점은 경제와 더불어 문화가 강하다는 점이다. 글로벌 문화산업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그들의 문화력은 탄탄한 기초체력에서 비롯되며 문화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기초예술에 대한 투자를 통해 길러진 결과물이다. 우리나라의 예술 기부에 대한 인식은 현저히 낮은 편이며, 그 중 문화예술 분야의 기부 불균형 해소를 위해 기업이 메세나 활동의 주체가 됨으로써 실질적인 재정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후 민간의 문화예술후원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문화예술후원 활성화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며 법적·제도적 근거를 마련,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을 활성화하기 위한 근거법이 제정되게 되었다. 최근 광역단체 문화재단에서 시민이나 예술가를 돕는 지원중심 사업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기업과 예술단체를 매개해주는 지역 메세나 사업이 확산되며 현재 13개의 광역단체 문화재단 중 서울, 경기, 대구, 대전, 부산 총 5개의 문화재단이 메세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공공문화재단에서의 메세나 활동 사례 조사를 통해 유형별로 활동을 분석 할 수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의 개선방안을 위해 문헌조사 외에 실무 전문가의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기업과의 네트워크, 메세나 단체 간의 네트워크, 매칭펀드 지원사업, 인증제도 및 예우, 전문인력 양성, 홍보 방향 등에 관한 인터뷰를 통해 여섯 가지의 대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조직구조 개선필요, 기업과 상생하는 파트너십, 메세나 사업 주체들간의 네트워크 활성화, 예우프로그램 개발 및 전문인력 양성, 홍보방향 개발이다. 첫 번째로 공공문화재단에서 메세나 사업을 하는데 가장 중요한 기업과의 네트워크를 위한 조직구조 개선이다. 전문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업무를 분담할 수 있는 조직형성이 필요할 것이다. 두 번째로 기업과 돈독한 마케팅으로 관계를 유지시키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파트너십이 필요하다. 세 번째로 메세나 사업 주체들 간의 네트워크 활성화이다. 사업을 끊임없이 공유하고 아이템을 공유할 수 있도록 소통의 장이 필요한 부분이다. 네 번째로 기부 고객에 대한 진정성 있는 예우가 필요할 것이며 다섯 번째로 이러한 지역 문화를 잇는 전문성을 갖춘 매개자 양성 및 실무자 교육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더 많은 기업과 예술단체 그리고 시민들이 문화예술을 이해 할 수 있도록 함께 공유할 수 있는 홍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공공문화재단에서의 메세나 사업이 올바른 방향으로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대안을 제시 하였으나 인터뷰를 하는데 있어서 메세나 관련 전문가가 한정되어 있었으며 공공문화재단의 메세나 사업 또한 충분한 홍보가 되어 있지 않아 자료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한계점이 있지만 본 연구는 공공문화재단에서의 메세나 활동 현황에 관한 자료가 아직까지 없다는 것과 앞으로 점차 발전될 지역문화재단에서의 메세나 활동이 활발히 전개되기 위해서 필요한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본 연구가 갖는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문화예술발전을 위해 기업에 문화예술이 지닌 고유의 예술 가치와 예술이 삶에 얼마나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에 대한 끊임없는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이를 위해 메세나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지역 문화재단에서도 다양한 메세나 사업을 시행해 나감으로써 지역발전에 도움이 되고 타 지역에 바람직한 사례로 기여하게 되기를 기대해본다. In recent years with the rise of awareness on expanding the base of arts and culture,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enhance the private sponsorship on arts and culture that would enable the autonomy of private support. ‘Mecenat’ which originally means corporations’ contribute to the society by sponsoring arts and culture with providing arts funding has been officially established in USA with the foundation of the Business Committee for the Arts(BCA) in 1967. From then on, mecenat activities have quickly spread to various countries in Europe and to Japan. In Korea, mecenat activities to funding various arts has officially set up with the launch of Korea Mecenat Association in 1994. Starting point of this essay was to investigate whether spreading of mecenat projects from its limited exercise only through the Korean Mecenat Association with its membered corporates to public foundations for arts and culture and to regional art councils should be welcomed and promoted, especially under the current climate of initiatives of sponsoring arts being executed by more and more public foundations. This essay aims to study closely on the mecenat activities carried out by public foundations. The term, ‘Mecenat’ originates from the character’s name of Gaius Clinius Maecenas in Roman Empire and has acquired the meaning of corporations’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funding in arts and culture. Developed countries not only have strong economy but also have rich and flourishing culture. The flourishing culture that play key roles in leading the global cultural business stems from their long history of corporate funding in the foundation of pure arts. On the contrary, Korean corporations have little understanding on the importance of arts funding and this led to mecenat activities predominantly being carried out as a practise of philanthropic efforts by many corporates. However, culture and arts sponsorship facilitation law was legislated to promote more active private arts funding. With these legal grounds, more corporations can participate sponsoring arts and culture through various means. As a result, regional arts foundations have launched the mecenat projects and started playing key roles to intermediate between many corporations and art councils outgrowing their passive functions of supporting artists or artistic communities directly. There are 5 regional arts foundations - in Seoul, Gyeonggi, Daegu, Daegeon and in Busan that are actively executing mecenat projects out of total 13 regional foundations nationwide. This on-going mecenat projects in 5 regional communities enabled this essay to investigate closer on the effect of mecenat by categorising and analysing the activities carried out so far. During the study, various interviews with field workers and documentary surveys were carried out aiming to present some alternative measures in tacking the present problems in arts funding on a regional level. As a result, this essay reached the conclusion of 6 alternative proposals to reinforce the mecenat activities of regional arts foundations – strengthening networks between arts foundations and corporations, revitalising networks between regional mecenat organisations, promoting of matching fund business, setting up certificate system and courteous treatment for sponsors, training industry experts and lastly stepping up with reinforced marketing tools. These proposals are to make an improvement of organisational structure, beneficial partnership with corporations, reinforcement of activities between mecenat organisations, developing courteous treatment for sponsors, training experts and developing marketing campaigns. First proposal is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in the regional arts foundations, so that they can build up strong networks with regional and national corporations. It is vital for the organization to have expertise and experience to sustain good work. Second is to maintain great partnership with corporations through beneficial marketing strategies. Third is to stimulate relationships between regional mecenat organizations. Good communications would be the main key to keep each other updated on business plans and future and on-going projects. Fourth is to develop courteous treatment to the sponsoring corporations as return of their providing. Fifth is to train industry experts who understand the regional situations and characteristics. Last proposal is to develop powerful marketing strategies for a lot more businesses, art councils and general public to enforce their understanding arts and culture. So far, this essay has examined the current practice of mecenat projects on national and regional levels and proposed some alternative measures for the mecenat activities to head in the right direction. However, it had faced some difficulties in finding sufficient materials due to lack of expertise in the business field and inexperienced practice of mecenat on regional level. Nevertheless, this paper has great meanings by presenting alternative measures for mecenat activities to be able to thrive in regional communities, especially considering there haven not yet been any studies on the performance of regional mecenat projects that have been executed by regional arts and culture foundations. It is necessary to continue educating corporates on how important the artistic value that arts and culture contain and how big the influence the arts can impact on everyday lives. Hopefully this essay can contribute these mecenat activities to spread to regional arts foundations that mecenat project has never been in place and as a consequence, it assists to flourish regional arts and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