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언어발달지체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미치는 영향

        서수민 울산대학교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0671

        국 문 초 록 본 연구에서는 기질과 기질조화적합성이 언어발달지체유아의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의 차이는 어떠한가? 1-1.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기질 차이는 어떠한가? 1-2.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기질조화적합성 차이는 어떠한가? 1-3.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화용언어능력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간 상관은 어떠한가? 2-1. 언어발달지체유아의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간 상관은 어떠한가? 2-2. 일반유아의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간 상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1.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담화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2.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3.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의사소통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4.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5.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만 5세 언어발달지체유아 125명과 일반유아 125명이었다. 유아의 기질은 Rothbart(1981)의 유아용 기질 척도(CBQ-VSF, Putnam & Rothbart, 1981)로 측정하였다. 유아의 기질조화적합성은 CBQ-VSF 기질 문항과 어머니 요구도 문항을 짝지어, 두 점수의 차이로 정의하여 측정하였다. 유아의 화용언어능력은 오소정 외(2012) 아동화용언어체크리스트(Childrens's Pragmatic Language Checklist: CPLC)로 측정하였다. SPSS 25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화용언어능력에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간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언어발달지체유아는 일반유아보다 외향기질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외향조화적합성도 유의미하게 낮았다. 또한 언어발달지체유아가 담화 관리능력,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모든 화용언어능력에서 일반유아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둘째, 집단별로 변인 간 상관을 살펴보았는데, 먼저 언어발달지체유아에서 기질과 화용언어능력 간의 상관분석 결과 주의통제기질과 담화 관리능력, 의사소통 의도 간 정적 상관이 유의하였다, 기질조화적합성과 화용언어능력 간의 상관분석결과 외향조화적합성과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비언어적 의사소통, 화용언어능력 전체 간 정적 상관, 주의통제조화적합성과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간 정적 상관이 유의하였다. 일반유아에서는 기질과 화용언어능력 간의 상관분석 결과 주의통제기질과 담화 관리능력,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 화용언어능력 전체 간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반면, 기질조화적합성과 화용언어능력 간의 상관분석결과 외향조화적합성과 의사소통 의도 간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주의통제조화적합성과 담화 관리능력 간에도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집단별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언어발달지체유아에서는 주의통제기질이 담화 관리능력에만 영향을 주었고, 외향조화적합성이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의사소통 의도, 그리고 화용언어능력 전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유아에서는 주의통제기질이 담화 관리능력,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 및 화용언어능력 전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의통제조화적합성도 주의통제기질과 마찬가지로 화용언어능력 전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및 변인 간 관계를 비교해 보았다. 두 집단 간에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모두에서 주의통제기질이 화용언어능력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언어능력이 낮은 언어발달지체유아에서는 외향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일반유아에서는 주의통제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집단에서 화용언어능력의 발달을 위해서 서로 다른 양육 특성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것을 뜻하며, 기질조화적합성이론에서 강조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가 연구 변인 간의 차이를 보이며 영향요인의 관계가 다름을 살펴보았다. 특히 집단별 화용언어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그 관계를 분석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인 언어발달지체유아의 다양한 개인차 및 특성을 고려한 양육특성과 중재방향에 대한 분석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언어능력에 따라 기질조화적합성의 영향이 달라지는 경향을 보이는지 검토하기 위해 다양한 언어능력 집단의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넓혀야 할 것이다. 주요어 :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언어발달지체유아

      • 로봇 롤러 헤밍 가공의 유한요소해석

        강민준 울산대학교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프레스 헤밍의 단점을 보완 할 수 있는 로봇 롤러 헤밍에 대하여 직선 Flat 헤밍(3 Step, 4 Step), 직선 Curl 헤밍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유한요소모델은 헤밍 조건에 따른 공정변수를 바탕으로 평면부위는 직접 그리고, 곡면부위는 3D 데이터에 근거하여 그렸다. 강판의 기계적 특성은 재료시험기 INSTRON을 사용하여 인장시험을 통해 구하였다. 인장시험을 통해 얻은 Stress-Strain 선도를 바탕으로 True Stress - Plastic Strain 선도를 구하여 MSC.MARC에 입력하였다. 유한요소해석은 MSC.MARC(Pre-processor 와 Post-process는 MSC.MENTAT)를 통해 실시하였다. 먼저 회사에서 제공하는 실험 데이터 값의 가압력에 맞추어 직선 Flat 헤밍(3 Step, 4 Step)해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높이와 길이 값에 차이를 보였다. 롤러위치를 조금씩 조정하여 Pre 헤밍, Main 헤밍 가압력을 맞추는 방법으로는 해석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어서 가압력 맞춤이 아닌 롤러높이를 실험값에 맞추어 그때의 가압력을 측정하였다. 실험값과의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아래 3가지 방법으로 해석을 실시하였다. 접힘 부분의 Mesh를 분할하여 보고, 길이방향과 넓이방향, 두께 방향으로 Mesh를 분할하여 보았다. Stress-Strain 선도를 0 < ε < 0.18 범위 데이터를 Curve Fitting하여 연장하거나 마지막 구간을 단순히 연장하여 사용하였다. Mesh 분할을 많이 할수록 해석 시간이 증가하고 너무 많은 요소수로 인하여 해석이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외판 길이를 조정하였다. 직선 Curl 헤밍은 직선 Flat 헤밍의 결과를 바탕으로 요소의 길이와 두께는 평균적으로 가장 가까운 경우와 같게 하였다. 모든 해석 결과들을 종합하여 회사에서 제공한 실험 데이터와 비교 분석을 통하여 가장 실험값에 근접한 해석 조건을 찾았다. Hemming, especially curl hemming, along the wheel housing is required for safety. Robot roller hemming is suitable for it. In this thesis, the flat hemming and the curl hemming along the straight profile is analyzed using finite element program  MSC.Marc to verify the hemming test results. Flanging is done prior to roller hemming. Roller hemming is done in three or four steps. The flange angle is initially 120 deg and becomes 0 deg finally. Finite element model is created in MSC.Mentat. The inner panel and the outer panel is modeled using 3-D solid elements and the roler is modeled using rigid surface. The finite element model yields less deformation than the real test. The position of the roller is changed until the hemming force is equal to the test results in steps except the final step. In the final step, The position of the roller is set to be quite close to the test results and the hemming force is determined. More elements are used to provide more sufficient degrees of freedom to the finite element model. And also the stress-strain curve is modified to be extraploated out of the tensile test range. In the final step, the plastic strain at the severely bent part goes over 0.50, but the tensile test ends at plastic strain 0.18. The modified finite element model yields more deformation than the previous model but the computing time increases. The final hemming force increases as the remaining hemming height decreases. It is the same as in the real test. In the curl hemming, there is a case that the curl is not formed if the pre-hemming force is not sufficient. It is also the same as in the real test.

      • 유아 언어발달 및 유아지능과 어머니 언어입력 간의 관계

        황은아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4287

        본 연구에서는 유아 언어발달 및 유아지능과 어머니 언어입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와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3~5세 유아 32명과 그들의 어머니로 간식시간 및 이야기 시간에서 어머니와 유아의 자발발화를 촬영하였다. 이러한 발화 자료를 전사한 후 총발화수를 산출하고, UTagger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형태소를 분석한 후 평균발화길이, 어휘다양도(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 어휘다양비)를 산출하였다. 또한 유아를 대상으로 한국 웩슬러 지능검사 4판(K-WPPSI-Ⅳ)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 월령과 성별에 따른 언어발달 및 지능, 어머니 언어입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유아 언어발달, 유아지능, 어머니 언어입력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어머니 언어입력이 유아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에 기초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언어발달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 월령과 관련하여 다른낱말수는 36~51개월 유아보다 52~71개월 유아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분석에서 평균발화길이는 남아보다 여아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아 언어발달 측정치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총발화수는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평균발화길이는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다른낱말수는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전체낱말수는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유아지능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 월령에 따른 유아지능 소검사 수행 차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지표 및 전체 IQ 수행에서 유동추론지표는 36~51개월 유아보다 52~71개월 유아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유아지능 소검사 수행과 지표 및 전체 IQ수행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 언어입력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 월령에 따른 어머니 언어입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유아 성별에 따른 어머니 언어입력은 총발화수,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에서 여아의 어머니 보다 남아의 어머니가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어머니 언어입력 측정치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총발화수는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평균발화길이는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다른낱말수는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전체낱말수는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넷째, 유아 언어발달과 유아지능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유아 언어발달과 유아지능 소검사 수행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총발화수,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가 동형찾기 수행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어휘다양비는 동형찾기 수행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유아 언어발달과 유아지능 지표 및 전체 IQ 수행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총발화수,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가 처리속도지표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어휘다양비는 처리속도지표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디섯째, 유아 언어발달과 어머니 언어입력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유아 총발화수는 어머니 다른낱말수, 어머니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유아 다른낱말수는 어머니 총발화수, 어머니 다른낱말수, 어머니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유아 전체낱말수는 어머니 총발화수, 어머니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여섯째, 유아지능과 어머니 언어입력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유아지능 소검사, 지표 및 전체 IQ 수행과 어머니 언어입력 간의 상관이 보이지 않았다. 일곱째, 유아 언어발달에 대한 어머니 언어입력이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 총발화수는 어머니 총발화수에 의해 60%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다른낱말수는 어머니 전체낱말수에 의해 16%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 전체낱말수는 어머니 총발화수에 의해 17%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컨대 유아의 언어발달 측정치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연령과 성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유아 언어발달 측정치와 유아 지능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처리속도지표만 상관을 보였으며 유아 언어발달 측정치와 처리속도지표가 가장 밀접한 것으로 사료된다. 어머니의 언어입력은 유아의 언어발달과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지만 지능과는 상관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 언어입력은 유아 지능보다 유아 언어발달과 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여준다.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와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3~5세 유아 32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진행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표집, 전사 및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적 부담이 크다고 알려진 자발화 분석을 통한 언어발달 평가를 통해 어머니와 유아의 자연스러운 발화자료 분석을 통해 언어자료를 수집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유아 언어발달과 어머니 언어입력간의 관계를 알아본 다수의 연구들과 달리 유아지능 검사를 실시하여 유아 언어발달 및 유아지능, 어머니 언어입력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울산광역시 주택시장 수요특성에 관한 연구

        이재모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34287

        주택은 입지의 고정성과 재화의 부동성에 의하여 공간적 제한을 가지며, 서울시 주택시장 혹은 울산시 주택시장과 같은 지역시장 형성하게 된다. 또한 일반재화시장은 수많은 판매자와 구매자가 존재하여 시장가격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주택시장은 특정지역에 국한된 시장이기 때문에 판매자와 구매자의 수가 매우 제한적인 것이 그 특징이다. 즉, 일반재화와는 다른 독특한 시장을 형성하는 주택시장은 지역적 특성에 따라 개별화하고 지역시장 단위로 분석하여 정책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대부분의 지역주택시장은 전국 단위의 총량적 층면에서 이루어져 오고 있어, 각 지역의 여건을 면밀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결과 지역 시장에서는 수급의 불일치에 의한 시장의 불안정이라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울산의 주택시장권 범위 및 특성을 규명하고, 주택시장분석을 통하여 울산광역시의 주택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및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울산의 주택시장을 분석하기 위하여 우선 주택시장의 범위 설정이 필요하였으며, 이에 울산과 행정경계를 접하고 있는 부산광역시, 양산시, 밀양시, 경주시, 청도군의 통근 ․ 통학자의 비율을 2000년 실시된 인구주택총조사자료를 토대로 고찰하고, 선행연구를 근거로 시장권 획정의 기준을 마련하여 울산광역시 주택시장 권역을 획정하였다. 그 후, 획정되어진 범위의 주택시장 일반현황, 주택공급추이, 가격변화 추이 등을 분석하여 시장현황을 파악하고, 기존의 설문조사 자료와 남구를 범위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거주자의 선호를 조사하고, 마지막으로 시장 내의 가격거품유무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울산광역시의 주택수요의 특성을 파악하고,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종합하여 현재 주택시장의 현황 및 성격을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울산광역시의 주택시장권은 울산시의 횡정경계와 일치하는 범위로 획정된다. 둘째, 울산의 주택시장은 꾸준한 인구증가와 농업지역의 개발 등으로 시장의 확대가 계속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고 판단되며, 토지가격 등의 안정세로 개발지 확보가 유리하다 판단되지만, 2001년과 2002년 사이의 착공물량들이 2005년 전반기부터 시장에 대량 공급됨으로써, 미분양율은 증가하면서도, 가격이 상승하는 시장의 불안정성을 보이고 있다. 셋째, 울산광역시 남구가 학교 및 교육환경, 거주지역의 생활 편리성 등의 이유로 꾸준히 높은 선호를 보이고, 투자가치 또한 높다는 판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넷째, 안방보다 거실을 더 큰 평면에 선호도가 높았으며, 내부구조 설계 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할 실은 거실, 안방, 식당 및 부엌, 화장실 ․ 욕실, 발코니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아파트 설계 시 전면에 배치가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공간은 ‘방, 거실, 방’으로 조사되었고, ‘방, 거실, 주방’의 선호도 높게 나타나고 있어서 남향주방을 선호하는 주부가 많음을 확인하였다. 거주면적이 줄어들더라도 편리성을 위하여 화장실은 최소2개소 이상 설치되는 것을 선호하였다. 주차장과 단지내 조경에 대한 불만족이 가장 높았으며, 내부공간에서는 수납공간에 대한 불만족이 가장 높았다. 다섯째, 현재 울산광역시 주택시장 전체에서는 투기성 성향이 두드러지지 않았으나, 투기성 성향으로 전향되질 가능성을 보였으며, 남구를 중심으로 한 아파트 시장에서 주택 가격 거품이 확인되어졌다. 울산시는 주택공급계획 수립에 있어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장기적 안목으로의 정책적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울산광역시 주택시장의 특성을 분석하고, 주택 선호를 통한 공급형태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울산광역시 공급정책에 있어서의 다음과 같은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지역간의 주거환경, 교육여건 같은 주거가치를 결정하는 요인에 의해 남구와 여타지역의 가격차별화 진행상황을 고려한 계획을 수립하여야 할 것으로 보이며, 또한 분양권 전매와 투기적 가수요로 촉발되는 일련의 부동산투기와 관련해서는 규제와 처벌만으로는 근본적 해결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기에 남구에 집중되고 있는 수요를 분산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가수요 억제와 지역분산 정책 등 투기예방 정책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The supply and demand of housing market in the region ha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gainst the national capital region. So it must be analyzed separately. Ulsan became a metropolitan city in 1997. As a result we haven't had sufficient and organized information on housing market for metro-city Ulsan. In recent 5 years, however, the many apartment houses have been built in Ulsan.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the housing market in Ulsan. And this paper aims to analyze housing market in Ulsa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market in Ulsan. Through it, this paper brings guides of housing policy for Ulsan.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First of all, Housing market-range is demarcated by the findings on inquiry of transit commuter to work and study from adjacent cities (Busan, Yangsan, Gyungju, Milyang, Chugdo) to Ulsan. 2) The investigation of the dynamic statistics of population, housing supply, and apartment price. 3) The research on the housing preferences in Nam-Gu, Ulsan by an opinion survey. 4) The housing price-bubble analysis throughout Ulsan. And the housing price-bubble analysis in Namgu, Ulsan and Uljugun, Ulsan was carried out using the SPSS. V10.0. Analyzed Data are housing price index in Ulsan on the Kook-Min Bank, housing price in Namgu and Uljugun, Ulsan on the Budongsan Bank. Through these analyses, effect-range and demand characteristics of housing was confirmed in Ulsan. As the results, it brings forth the housing service guides, and guides on housing policy, investment by verifying imaginary demand in Ulsan. The results of research and analysis are as follows: 1) Housing market-range demarcates on metropolitan city, Ulsan 2) The population have grew since 1997. As farming regions are changing into urban use, housing market value will steadily grow. Because the price of land is low, the insurance of the sites for development is lucrative. However, unsold apartments augment in an alarming way, and the apartment price, too. These mean an unstable housing market in Ulsan. 3) The bigger dining-room than main living-room had a high rate of preference. The dissatisfaction in apartment houses saw the highest rate on lack of the parking place and green area.

      • 시민참여를 통한 민주적 지역거버넌스의 구현 : 울산의 지역거버넌스 사례를 중심으로

        권필상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4287

        노무현정부 들어 지방분권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지방분권이 지역의 민주화와 함께 진행되지 못한다면 지방의 성장연합에 의해 왜곡된 지역 개발의 수단으로 전락할 수 있다. 이는 지난 10여년간의 지방자치의 과정에서 충분하게 학습하였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민주적 지역거버넌스가 제기된다. 민주적 지역거버넌스는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지역의 주민들이 소외되지 않고 참여하여 지역의 문제를 함께 결정하고 실행해 나가는 통치 양식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울산 지역거버넌스의 사례를 조사하고, 그 시사점을 통해 ‘민주적 지역거버넌스를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사례분석을 위해 울산 지역거버넌스를 중앙정부 주도의 지역거버넌스와 시민사회가 요구한 지역거버넌스, 갈등현안 해결을 위한 거버넌스를 구분하였다. 그리고 각 지역거버넌스에 대해 이해당사자의 참여, 내부 파트너쉽과 네트워크 활성화, 제도적 문제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중앙정부 주도의 지역거버넌스는 울산지역혁신협의회와 푸른울산21 환경위원회를, 시민사회가 요구한 지역거버넌스는 동구 주민참여예산제를, 갈등현안 해결을 위한 거버넌스는 북구 음식물 자원화시설 시민배심원단과 울산 건설플랜트 사태의 사회적 합의를 사례로 하여 조사하였다. 시민사회 요구는 대체로 지역사회의 민주화에 대한 문제 제기가 많다. 시민사회 요구 지역거버넌스는 시민참여를 활성화시키고 지역사회를 민주화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에 비해 중앙정부 주도 지역거버넌스는 중앙정부의 풍부한 제도적 역량을 동원해 지역 발전의 비전을 제시하는 능력은 있으나 지역의 현실을 고려하거나 지역 주민의 참여를 활성화 시키는 것이 부족하다. 그리고 지역의 민주화가 병행하지 못할 경우 새로운 개발주의의 도구로 전락할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시민사회가 요구하는 지역거버넌스를 활성화시키는 것은 중앙정부 주도의 지역거버넌스를 지역에 정착 시키는 것과 상관관계가 있다. 따라서 이런 두가지의 지역거버넌스 유형을 잘 결합시켜 나가는것이 중요하다. 갈등현안 거버넌스는 갈등을 사회변화의 원동력으로 만들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는데, 이를 제대로 살리지 못해서 안타깝다. 갈등의 발생원인 중 가장 큰 것은 지방자치단체가 제대로 자신의 역할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방자치단체가 충분하게 자신의 역할을 했음에도 이런 갈등이 발생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적 합의를 했다면, 합의 이후 다시 갈등이 발생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사회적 합의의 핵심은 신뢰인데 출발부터 신뢰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사회적 합의가 제대로 유지되기는 어렵다. 당위론적 이야기일 수 있지만, 참여의 전제조건은 ‘자기결정권한이 얼마나 보장되는가’에 있다. 그런 점에서 지방정부가 시민에게 자기결정권한을 양보하지 않는다면 제대로 된 지역거버넌스의 구현은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지역의 시민사회단체는 지방정부가 자기결정권한을 시민들과 공유하도록 요구하여야 한다. 시민사회단체가 새로운 권력을 만들 능력은 없지만 행정을 견제하면서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역할을 할 수는 있다. 결론적으로, 시민참여를 통한 민주적 지역거버넌스의 실현은 직접 민주주의에 가까운 참여민주주의를 실현하는 것이다. 참여민주주의는 권위적인 일방적 통치를 대체함으로써 그로 인해 발생하는 지역의 부패, 환경파괴, 개발이익 독점 등을 완화하고 지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가능케 할 것이다. Decentralization of the cental government is emphasized recently. However, local community is distorted by local growth coalition while democratization cannot be implemented. Local governance is important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look up a implement plan a democratic local governance by people's participation through investigations of a Ulsan local governance. Ulsan local governance is classified to 'the central government demand local governance', 'a civil society demand local governance', 'a local governance for trouble solution'. It is analyzed an each local governance about participation of a stakeholder, an inner partnership and network activation, institutional issue. 'The central government demand local governance' investigated the Ulsan regional innovation council and the Green Ulsan 21. And 'a civil society required local governance' investigated the Ulsan Dong-gu's inhabitant participation budget system. And 'local governance for trouble solution' investigated the Ulsan Buk-gu's civil jury and the social agreement of the Ulsan plant labor union. It is a important at local sustainable developments that 'the central government demand local governance'. However it is formal. 'A civil society demand local governance' participation is activated. It is necessary for these local governances connect through people participation. A prerequisite of participation is this whether there is own decision authority. The government shall concede own decision authority to people. And a civil society organization shall be active so as to be responsible in order to realize various local governances. Realization of a democratic local governance is caused by the participation democracy that approached in a direct democracy. A participation democracy substitutes for the rule one-sided an authoritarian, and relieve local corruption, the environmental disruption, development profit monopoly etc., and will make a local sustainable development possible.

      • 조선후기 울산지역 ‘솔인(率人)ㆍ솔인녀(率人女)’ 연구 : -과부의 재혼 사례를 중심으로-

        황진섭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4287

        Neo-Confucianism that had influences on the Joseon society placed importance on widows' remaining chaste. King Seongjong enacted "Act on the Restriction of Remarriage," which prevented descendents of remarried widows from holding a government office. The act was discussed again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sangun, who refused to revise the act according to the opinion that the late king's decisions must be kept intact despite appeals to allow remarriage. Negative perceptions of widows' remarriage started to emerge in the upper class in the society and spread to the lower class over time. As commoners copied the ideas and acts of noblemen, the custom of tabooing the remarriage of a widow settled down across the society. Commoner widows, however, got remarried for various reasons as they needed a new husband that was capable of economic activities and would protect them from external risks in order to survive. Early studies on the remarriage of widows during Joseon focused on examining the reality of remarriage among noble widows by interpreting the enactment process of "Act on the Restriction of Remarriage"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and the provisions of "Gyeonggukdaejeon." Studies on commoner widows began in the early 2000s as researchers obtained access to data about commoners following the computerization of family registers. There are "Sorins" and "Sorinnyeos" related to widows in the "Census Register of Ulsan-bu" currently under the process of computerization. Before the middle 18th century, male Sorins had the nature of subordination & employment, relative, and common law marriage. Female Sorins had the nature of subordination & employment, divorce, and common law marriage. Male Sorins were found in 1672~1708, but their records were missing between 1708 and the middle 18th century. Female Sorins began to rise in numbers in 1729 and increasingly focused on common law marriage relations. When the data of "Sorins" before the middle 18th century was put together, it seems that Sorins had the strong nature of a dependent other than a member of one's own family. In cases where "Sorins" remained in a household for a long term, all of them were converted into servants and farmhands and became definite members of the household. In other cases where relatives of the head of household or wife were converted into "Sorins," they referred themselves to the household or would soon become independent from the household. In the last cases where "Sorins" included Yugaes with female Sorins converted into Guhwalbis later, they were not acquainted with the head of family or wife. These findings raise a high possibility that "Sorins" were not fit to be members of a household. The term, male Sorins, was used to indicate relatives and common law marriage since the middle 18th century. There was an increase to the number of male Sorins used in common law marriage relations from the period before the middle 18th century. Female Sorins made a rapid increase in the middle 18th century, and most of them were used to indicate common law marriage relations. Male Sorins disappeared from the census register in 1792, and their female counterparts did in 1789. The extinction of male Sorins was an outcome of the government's efforts as it preferred the head of household being recorded as male. The extinction of female Sorins happened as their role was transferred to "Sorinnyeos." The term "Sorinnyeos" was first found in 1753. Its records surged along with the number of female Sorins, who had the same nature as "Sorinnyeos." Unlike female Sorins that disappeared in the latter part of the 18th century, "Sorinnyeos" maintained a certain number since then, which suggests that the principle of using only "Sorinnyeos" in records settled down after the mixed use of female Sorins and "Sorinnyeos." "Sorinnyeos" recorded in common law marriage relations were remarried widows. There were cases in which "Sorinnyeos" and "Uijanyeos" lived in the same household as mothers and their daughters. In other cases, "widow heads of household and male Sorins" were converted into "widower heads of household and Sorinnyeos." These findings show that widows were recorded as "Sorinnyeos" rather than wives after remarriage. There were, however, cases in which "Sorinnyeos" were converted into wives. The fact that widows were recorded as wives means that their remarriage was recognized as official marriage. The study examined cases in which "Sorinnyeos" were converted into wives and found that remarried widows remained as "Sorinnyeos" for different durations. The reason can be estimated from the cases in which "Sorinnyeos" and concubines were converted into each other. Concubines were not recognized as formal wives. When remarried widows belonged to the same category as concubines, they must have received lower treatments than formal wives despite their same position, which is demonstrated by the facts that a "Sorinnyeo" promoted her position as a wife by recording the maternal grandfather of the former wife's child as her father and that the tendency was high when "Sorinnyeos" were alive. The terms "Sorins and Sorinnyeos" were used overwhelmingly among the common people especially under the Jungin class. The main recorders of family registers wrote down remarried commoner widows as "Sorinnyeos." Given the fact that the term "Sorinnyeos" was used among the common people, the remarriage cases were the most in commoner men in their sixties and commoner women in their early forties. Men needed remarriage even in old age as they remained as heads of household for tax collection and labor requisition. Women were able to live as mothers in the households of their grown-up sons. "Sorins and Sorinnyeos" also show changes to the members of remarried families. The records of Uijanyeos and relatives of Sorinnyeos disappeared in remarried families over time, which shows the changing practice oriented toward a male-dominant society. The Neo-Confucian ethical beliefs of a paternal line-centered society also penetrated into the common people of Ulsan. The Neo-Confucian ethical beliefs also brought changes to the noblemen of Ulsan. The main recorders of "Sorins and Sorinnyeos" in family registers were noblemen, who tried to reflect the immoral idea of remarriage on the census register by extinguishing "second wives" recognized as formal wives and recordings "Sorinnyeos." They used Sorinnyeos as a tool to enlighten common people to have the chastity consciousness and propagate their own chastity consciousness. Despite these actions of noblemen, the common people continued to practice remarriage actively, which suggests that the chastity consciousness had not penetrated into the entire society yet in the early 19th century. In short, "Sorins and Sorinnyeos" offer clues to figure out how much influence the Neo-Confucian ethical beliefs had on the society of Ulsan along with the timing and methods of their influence. The census register reflects the lifestyles of people those days and the ideas of main recorders, which raises a need to employ a high-dimensional perspective to examine the contexts of changes beyond the one-dimensional perspective based on statistical numb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life of the past and sympathize with it. 조선 사회에 영향을 미친 성리학은 과부들의 수절을 중요시했다. 성종은 과부들이 재혼하면 자손들이 관직을 받지 못하는 ‘재혼제한법’을 제정했다. ‘재혼제한법’은 연산군 때 다시 한 번 논의가 되었다. 연산군은 재혼 허가를 요청하는 상소에도 선왕이 결정한 일은 고칠 수 없다는 의견에 따라 법을 개정하지 않았다. 사회의 상위 신분 계층이 가지기 시작한 과부의 재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시기가 지날수록 하위 신분 계층으로 확대되었다. 평민들이 양반들의 사상과 행동을 모방하면서 과부의 재혼을 금기시하는 풍속이 사회 전반에 정착해나갔다. 하지만 평민 과부는 다양한 이유로 재혼을 했었다. 자신이 먹고살기 위해서 경제적 활동이 가능하고,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해 줄 새로운 남편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과부의 재혼에 대한 초기 연구는 조선전기에 있었던 ‘재혼제한법’의 입법화 과정과 『경국대전』 법조문의 해석을 통한 양반 과부의 재혼 실상을 파악하는 것에 주력했다. 평민 과부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 초부터 진행되었다. 호적 전산화 사업이 진행되면서 평민에 대한 자료가 확보되었기 때문이다. 현재 전산화 사업이 진행 중인 『울산부호적대장(蔚山府戶籍大帳)』에는 과부와 관련 있는 ‘솔인(率人)ㆍ솔인녀(率人女)’의 존재가 확인된다. 18세기 중반 이전의 남성 솔인은 예속ㆍ고용, 친족, 사실혼의 성격을 가졌다. 여성 솔인은 예속ㆍ고용, 이혼, 사실혼의 성격을 가졌다. 남성 솔인은 1672~1708년 사이에 확인되지만 그 이후부터 18세기 중반까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여성 솔인은 1729년부터 수가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점차 사실혼 관계에 집중되는 변화가 나타났다. 18세기 중반 이전 ‘솔인’의 자료를 종합해본다면 객식구(客食口)의 성격이 강하다. ‘솔인’이었던 사람이 장기적으로 호에 존속하는 사례는 전부 노비(奴婢)ㆍ고공(雇工)으로 전환하여 명확한 호의 구성원이 되었다. 반대로 호주(戶主) 또는 처(妻)의 친족이 ‘솔인’으로 전환되는 사례는 잠시 몸을 의탁하거나 조만간 호에서 독립하는 경우로 추측된다. 마지막으로 ‘솔인’ 중에 유개(流丐)가 포함되어 있고, 후에 여성 솔인이 구활비로 전환되는 사례는 호주 또는 처와 ‘솔인’이 서로 면식이 없는 관계라는 점을 알려준다. 따라서 ‘솔인’은 호의 구성원으로 적합하지 않는 인물을 나타냈을 가능성이 높다. 18세기 중반 이후의 남성 솔인은 친족과 사실혼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18세기 중반 이전과 비교하면 사실혼의 관계에 사용된 남성 솔인이 증가한 특징을 보인다. 여성 솔인은 18세기 중반부터 급증하는 양상을 보이며, 대부분 사실혼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남성 솔인은 1792년, 여성 솔인은 1789년 이후로 호적대장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남성 솔인의 소멸은 호주가 남성으로 기재되기를 선호한 정부의 노력으로 인한 결과로 생각되며, 여성 솔인의 소멸은 ‘솔인녀’에게 그 역할을 넘겨주었기 때문이다. ‘솔인녀’는 1753년부터 확인된다. 여성 솔인과 함께 수가 급증하는 모습을 보인다. 여성 솔인과 ‘솔인녀’는 서로 동일한 성격을 가졌다. 여성 솔인이 18세기 후반 이후로 소멸되는 것과 달리 ‘솔인녀’는 그 이후에도 일정한 수를 유지했다. 이는 여성 솔인과 ‘솔인녀’가 병행되어 사용된 시기를 지나 ‘솔인녀’만 사용하도록 하는 원칙이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실혼 관계로 기재된 ‘솔인녀’는 재혼한 과부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솔인녀’와 ‘의자녀’가 서로 친모의 관계로서 같은 호에 존재하며, ‘과부 호주와 남성 솔인’ 호가 ‘홀아비 호주와 솔인녀’로 전환되는 사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부는 재혼을 하면 처가 아닌 ‘솔인녀로’ 기재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솔인녀’가 처로 전환하는 경우가 있다. 처로 기재된다는 사실은 과부의 재혼이 정식 혼인으로 인정받았다는 의미를 가진다. ‘솔인녀’가 처로 전환되는 사례를 살펴보면, 재혼한 과부가 ‘솔인녀’로 존속하는 기간이 서로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솔인녀’와 첩이 서로 전환되는 사례를 통해 그 이유를 유추해볼 수 있다. 첩은 정식 아내로 인정받지 못했다. 재혼 과부가 첩과 같은 범주에 속했다는 것은 정식 아내의 위치에 있었지만 그보다 낮은 대우를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솔인녀’는 전처 자식의 외조를 자신의 친부로 기재해 자신이 처의 위치에 있음을 표현했으며, ‘솔인녀’가 생존해있을 때 그러한 경향이 높다는 사실은 이를 증명해 준다. ‘솔인ㆍ솔인녀’는 중인 이하 신분층 특히, 평민 계층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되었다. 호적 작성의 주도층은 평민 재혼 과부를 ‘솔인녀’로 기재한 것이다. ‘솔인녀’가 평민층에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감안하고 살펴보면, 평민 남성은 60대에 재혼하는 인원이 가장 많았고 여성은 40대 초반이 가장 많았다. 이는 남성은 조세 수취와 역의 징발 대상으로 호주인 상태로 남아있어 노년에도 재혼이 필요하지만 여성은 장성한 아들의 호에서 어머니의 삶을 살아갈 수 있었던 차이점으로 보인다. ‘솔인ㆍ솔인녀’는 재혼가정의 구성원의 변화도 보여준다. 시기가 지날수록 의자녀 기재와 솔인녀의 친족들이 재혼가정에서 사라지는 현상에 주목하여 남성 중심 사회를 지향하는 관행의 변화를 확인했다. 울산지역 평민 계층에도 부계 중심 사회의 성리학적 윤리관이 침투한 것이다. 성리학적 윤리관은 울산지역 양반층에도 변화를 주었다. ‘솔인ㆍ솔인녀’라고 호적에 작성하는 주도층은 양반층이다. 그들은 정식 아내로 인정되는 ‘후처’를 소멸시키고 ‘솔인녀’를 기재하여 재혼을 부도덕하게 여기는 관념을 호적대장에 반영하고자 했다. ‘솔인녀’는 평민들이 정조의식을 가지게 만드는 계몽을 위해, 자신들은 정조의식을 가지게 보이게끔 선전하는 도구로 사용된 것이다. 이러한 양반층의 행동에도 평민층은 지속적으로 활발한 재혼 관행을 유지한 것으로 보아 19세기 초에는 아직 정조의식의 침투가 사회 전반에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솔인ㆍ솔인녀’는 울산지역에서 성리학적 윤리관이 어느 시기에 어떤 방식으로 사회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보여주는 단서라고 말할 수 있다. 호적에는 당시 사람들의 삶의 방식과 작성 주도층의 관념이 담겨있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의 삶을 이해하고 공감하기 위해서는 통계 수치를 활용한 1차원적인 관점에서 더 나아간 변화의 맥락을 살펴보는 고차원적인 관점이 요구될 것이다.

      • 1970~1980년대 울산지역 화학섬유산업과 노동자의 생활

        이경서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4287

        In this study, I summarized the construction processes of major chemical fiber industry factories in the Ulsan region, such as Taekwang Industry, Tongyang Nylon, and Sunkyong Synthetic, and examines the specific labor conditions and everyday life of chemical fiber factory workers. This research aims to restore the experiences of chemical fiber industry workers that have not been well-documented in the history of industrialization in Korea an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chemical fiber production labor. Since the liberation,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South Korea in synthetic fibers due to their durability and versatility compared to natural fibers. However, at that time, South Korea did not have the infrastructure to produce chemical fibers domestically, so it relied on imports. Given the capital-intensive and technologically advanced nature of the chemical fiber industry, active government intervention was necessary to promote import substitution. Ulsan, which was designated as a industrial center in 1962, had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chemical fiber factories. With the presence of large-scale petrochemical complexes and Ulsan oil refineries, various social overhead capital could be utilized, and it was suitable for diversifying future business ventures. The government played a role not only in the establishment of private companies, factory construction approvals, and foreign capital import approvals but also in influencing the composition of corporate management and mediating conflicts between companies to encourage the construction of factories that aligned with its plans. Private companies, while accepting the government's position, also sought ways to maximize their profits through share acquisition and new business proposals. The production process of chemical fibers can be divided into the primary process, which involves chemical reactions to create fibers, and the secondary process, which involves processing and sorting fibers for specific purposes before packaging. The primary process required a certain level of engineering knowledge and was primarily staffed with a male worker who has graduated from college. On the other hand, the secondary process, which required less specialized knowledge or skills, employed workers who has not graduated from college and does not possess specialized technical skills. Among secondary processes, more labor-intensive and straightforward tasks were assigned to female workers with lower wages. Workers in the secondary process had limited opportunities to switch to higher-paying jobs that required learning technical skills and faced challenges in promotions. The standard working condition for workers in each process was a 3-shift, 3-rotation schedule. Efficiency in production was paramount, so workers had to labor continuously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holidays. The ongoing factory work exacerbated physical and mental fatigue among the workers,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even to participate in scheduled training or lectures. Additionally, workers had to endure high temperatures, noise, and chemical odors in the production process field. Until the late 1980s, workers in chemical fiber factories received wages lower than the national manufacturing industry average, with a significant wage gap between male and female workers. Complaints and anger regarding these poor working conditions accumulated over time and were eventually expressed through labor disputes in 1987. Unmarried workers in Ulsan's chemical fiber factories, residing in dormitories, faced difficulties in getting proper rest and maintaining a stable life. This was due to the varying commuting times of residents sharing the same room and the health and safety threats posed by smoke, dust from nearby factories, and industrial accidents within the industrial complex. Particularly in female dormitories, strict rules were enforced to control labor, and privacy invasion issues arose from incidents of male workers entering female dormitories and peeping into rooms. To meet the educational needs of workers, evening high schools and broadcasting correspondence high schools for workers were established nationwide from the mid-1970s. However, in Ulsan, these options were limited. Evening high schools with company support had limited spots, and the broadcasting correspondence high school required workers to study on their own. Moreover, workers on a 3-shift rotation schedule found it challenging to attend classes or listen to scheduled lectures. In the chemical fiber factory, tasks were assigned hierarchically according to gender. Female workers were mainly given physically demanding and less complex tasks within the same process as male workers. This division of tasks also created hierarchical relationships, with female workers having to tolerate condescending language and behavior from their male colleagues in the workplace. There were differences in social or self-perception of labor based on gender. For male workers in chemical fiber factories, wearing work uniforms was not considered embarrassing. In the southern district of Nam-gu, where the factories were located, showing work uniforms and identification cards could be used to receive credit, reflecting some level of recognition in the local community. However, female workers' labor in chemical fiber factories was often seen as supplementary and was stigmatized by traditional gender roles. Many female workers themselves considered their factory work as something to be ashamed of and tried to hide it as part of their past. In a region where the urban industrial structure was transitioning from primary industries to a male-dominated heavy chemical industry, chemical fiber factories in Ulsan provided ample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women. However, their work was often perceived as secondary labor. Furthermore, the societal perception of being temporary, auxiliary labor, and the self-perception that factory labor itself was demeaning, made it challenging for female workers to develop their own class consciousness. Additionally,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of the city further reduced the presence and status of female workers in Ulsan's chemical fiber factories. As a result, the organized actions of female workers, which were seen in other urban industrial sites, did not occur in Ulsan, and the existence of female workers in the 1970s and 1980s was forgotten in the history of Ulsan's industrialization. 이 논문에서는 울산지역 화학섬유산업을 대표하는 태광산업, 동양나이론, 선경합섬 공장의 건설 과정을 정리하고 화학섬유공장 노동자들의 구체적인 노동 조건 및 생활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그간 한국 산업화 역사에서 정리되지 않았던 화학섬유산업 노동자들의 경험을 복원하고 화학섬유 생산 노동의 특징을 규명하고자 했다. 해방 이후부터 천연섬유에 비해 내구성과 활용도가 좋은 화학섬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그런데 당시 우리나라에는 화학섬유를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화학섬유 수요 전량을 수입에 의존해야만 했다. 화학섬유산업은 산업 특성상 고도의 기술과 대자본이 필요했기 때문에 수입대체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 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울산은 1962년 특정공업지구로 지정되어 화학섬유공장이 건설되기에 알맞은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대규모 석유화학공단과 정유공장이 조성되어 있어 여러 가지 간접 자본을 활용할 수 있었고 향후 사업의 다각화를 모색하기에도 적합했다. 정부는 민간 기업의 법인 설립, 공장 건설 승인, 외자 도입 승인 과정뿐만 아니라 회사의 운영진 구성, 기업 간 갈등 중재 과정에도 개입하여 정부의 계획에 부합하는 공장 건설을 유도했다. 민간 기업은 정부의 입장을 수용하여 울산공장 건설 허가를 얻는 한편 지분 인수와 새로운 사업 구상을 통해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나갔다. 화학섬유의 생산 공정은 화학반응을 일으켜 섬유형태로 만드는 선공정과 용도에 맞게 섬유를 가공하고 선별한 후 포장을 하는 후공정으로 나뉜다. 선공정에서는 공학에 대한 일정 수준 이상의 지식이 필요했기 때문에 주로 공채를 통해 대졸 남성이 채용되었다. 반면 후공정일수록 특별한 지식이나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대졸 미만의 노동자들이 배치되었다. 후공정 중에서도 보다 더 노동집약적이고 단순한 업무는 임금이 저렴한 여성노동자에게 배정되었다. 후공정에 배치된 노동자들은 기술을 배워 고임금을 받는 직종으로 이직할 수 있는 기회가 적었고 승급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각 공정에 배치된 노동자들의 근무 조건은 3조 3교대가 기본이었다. 생산의 효율화를 위해서는 공장을 멈추지 않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노동자들의 노동 역시 휴일의 구분 없이 계속되었다. 계속되는 공장 노동은 노동자들의 육체적, 정신적 피로를 가중시켰고 정해진 시간에 실시되는 교육이나 강의에 참여하는 것조차 어렵게 만들었다. 또한 노동자들은 생산 현장에서 매우 뜨거운 열기와 소음, 화학 약품 냄새를 견뎌야 했다. 임금 측면에서도 1980년대 후반까지 전국 제조업 평균 임금보다 낮은 임금을 받았으며 남성노동자와 여성노동자의 임금에는 큰 차이가 존재했다. 이러한 열악한 노동 조건에 대한 불만은 지속적으로 누적되어 1987년 노동쟁의를 통해 표출되었다. 울산지역 화학섬유공장 미혼 노동자들이 거주하는 기숙사에서는 숙면을 취하거나 안정적인 생활을 이어나가는 것이 어려웠다. 같은 방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출퇴근 시간이 제각각 달랐고 인근 공장의 매연과 분진, 공단 내 안전사고로 인해 건강과 생존까지 위협받았기 때문이다. 특히 여성 기숙사에서는 엄격한 생활 규율을 통해 노동 통제가 이루어졌고 남성노동자의 기숙사 침입과 방 엿보기 때문에 사생활 침해 문제가 일어나기도 했다. 한편 노동자들의 교육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1970년대 중반부터 전국적으로 노동자가 다닐 수 있는 학교가 만들어졌지만 울산에는 타도시보다 늦게 야간 고등학교와 방송통신고등학교가 마련되었다. 그런데 화학섬유공장의 노동자들은 그것조차 제대로 다니기 힘들었다. 회사의 지원을 받아 다닐 수 있는 야간 고등학교는 인원이 한정되어 있었고 방송통신고등학교는 개인의 힘만으로 공부를 해나가야 했다. 또한 잔업이 잦은 3교대 근무 노동자가 출석 수업에 나가거나 일정한 시간에 방송되는 강의를 청취하는 것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남성노동자와 여성노동자가 배치되는 업무에는 위계가 존재했다. 여성노동자들은 같은 공정 내에서 남성노동자들보다 훨씬 더 노동집약적이고 단순한 업무에 배정되었다. 업무의 차이는 관계의 위계로도 이어졌고 작업 현장에서 여성노동자들은 남성노동자들의 무시하는 말투와 행동을 참아가며 일해야 했다. 젠더에 따라 노동 경험에 대한 사회적 또는 자기 인식에도 차이가 있다. 화학섬유공장에 다니는 남성노동자들에게 공장 작업복은 부끄러운 것이 아니었다. 또한 공장이 위치한 남구 일대에서는 작업복과 신분증을 보여주면 외상 취식이 가능했을 만큼 지역사회 내에서 어느 정도 인정을 받았다. 그러나 여성노동자들의 공장 노동 경험은 전통적 성별 분업 논리에 의해 보조적인 노동력으로 인식되었고 여성 스스로도 공장 노동을 수치스럽고 숨기고 싶은 과거로 기억하는 경우가 많다. 화학섬유공장은 도시의 산업 구조가 남성 중심의 중화학공업으로 바뀌어가는 지역에서 여성이 대거 취업할 수 있는 공장이었다. 하지만 화학섬유산업의 특성상 여성노동자의 노동은 중심 공정에서 소외되었다. 또한 일시적, 보조적 노동력이라는 사회 인식과 공장 노동 자체가 수치스러운 것이라는 자기 인식은 여성노동자들이 스스로의 계급의식을 각성해나가기 어렵게 만들었다. 또한 노동자로서의 의식을 자각하기 어려웠던 회사 내 분위기, 퇴근 후 다시 본가로 돌아가 농사일을 돕거나 돌봄 노동을 이어나가야 했던 개인 형편, 도시산업선교회나 학생운동가가 부재했던 지역적 상황도 여성노동자들의 비판의식 형성에 걸림돌로 작용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도시의 산업 구조는 완전히 중화학공업 중심으로 바뀌었고 여성노동자의 존재와 위치는 더욱 축소되었다. 그 결과 울산지역의 화학섬유공장에서는 타 도시의 경공업 사업장에서 보이는 여성노동자들의 조직적 실천이 이루어지지 못했고, 1970~80년대 여성노동자의 존재 자체마저도 울산지역 산업화의 역사에서 잊혀졌다.

      •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에 관한 문헌연구 : 한국 웩슬러 유아 및 아동 지능검사 수행 분석을 중심으로

        윤소영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4287

        This study literature reviewed academic publications reporting the performance measured by the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 (K-WPPSI) to investigate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prior to analyzing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I categorized these publications by the published year, the number of participants(n), ages of participants, and participant grouping (either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and organized them. Second, I analyzed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K-WPPSI) (Park, Kwak, Park, 1996b),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IV (K-WPPSI-IV) (Park, Lee, Ahn, 2016),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III(K-WISC-III) (Kwak, Park, Kim, 2001b), and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IV(K-WISC-IV) (Kwak, Oh, Kim, 2011) by focusing on subtests, indexes, and the levels of IQ to analyze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outcom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 found the total of 4 publications reporting on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s performance among the 70 publications reporting on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which include 46 publications measuring performances of the general children and 20 publications measuring those of the exceptional children. The numbers of participants on the general children varied from n=1 to 360, which averaged n=64. The participants' ages ranged from 3 to 7. Among the result of performances on the subtests, the Geometric Design showed the highest scores (M=12.73(SD=3.92)) and the Vocabulary showed the lowest scores (M=9.79(SD=2.57)). By the performances of the IQ indexes, the Performance Intelligence Quotient(PIQ) (M=103.68(SD=16.53)) and Vocabulary Intelligence Quotient(VIQ) (M=103.68(SD=14.82)) showed similar scores and the mean of the Full-Scale Intelligence Quotient(FIQ) was 103.23(SD=15.06). The numbers of the exceptional children whos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varied from n=1 to 40, and the average was n=11. The participants' ages ranged from 3 to 13. By performances of the subtests, the Information showed the highest scores (M=7.01(SD=1.73)) and the Geometric Design showed the lowest scores (M=5.50(SD=2.12)). By performances of the IQ indexes, PIQ(M=81.45(SD=14.00)) showed the higher scores than the VIQ(M=77.56(SD=12.92)), and the average of the FIQ was 82.61(SD=10.37). Finding the between-group similarity as to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showed the higher scores on the performances of the PIQ than VIQ.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 whose age ranges suitable for the K-WPPSI greatly represent the ability that is influenced by genetic and biological factors rather than experiential or learning factors. Whereas searching the between-group difference, the general children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the Geographic Design, but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the lowest scores on the performance of the Geographic Design. The younger general children showed the higher ability in visual memorization and visual-motor integration, yet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lower abilities in these categories than the general children. Second, the number of publications reporting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IV was 10 and all were subjected to the general children. The numbers of participants on the general children varied from n=36 to 148, which averaged n=88. The participants' ages were 2 to 7. By performances of the subtests, the Bug Search showed the highest scores(M=12.24(SD=2.75)) and the lowest scores(M=8.32(SD=2.51)). By performances of the basic indexes, the Processing Speed Index(PSI) showed the highest scores(M=108.65(SD=13.29)) and Verbal Comprehension Index(VCI) showed the lowest scores(M=97.44(SD=13.68)). The average performance of the FSIQ was 104.30(SD=12.85). Comparing the performance outcomes of the general children measured equally by the K-WPPSI and K-WPPSI-IV, both examinations showed the lowest scores on the VCI.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younger general children were associated with a lack of vocabulary and language expression 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K-WPPSI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the Geographic Design, and similarly, the highest scores were shown on the Bug Search that was conducted in a similar manner of measuring the Geographic Design outcomes, although I acknowledge that the Geographic Design was excluded on the K-WPPSI-IV so that it might not be possible to directly compare to one another.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younger general children were associated with the superior ability in visual memorization, visual-motor integration. Third, among the total of 88 publications reporting the performance outcomes measured by the K-WISC-III, 14 studies examined both the general and exceptional children, 16 studies solely conducted to the general children and the rest of 58 examined the exceptional children. The numbers of the general children participants ranged from n=1 to 357, which averaged n=62. The ages of the participants were from 3 to 16. By the subtests, the Similarities showed the highest scores M=11.01(SD=2.99)) and the Digit Span resulted in the lowest scores (M=8.85(SD=2.25)). By the indexes, the VCI showed the highest scores (M=103.35(SD=12.42)), and the PSI resulted in the lowest scores(M=100.14(SD=13.50)). By performances of the IQs, VIQ(M=104.07(SD=14.84)) showed the higher scores than the PIQ(M=102.26(SD=14.87)) and the FIQ score was 102.89(SD=14.07). The numbers of participants in the studies conducting the K-WISC-III to exceptional children varied from n=1 to 297 and the average was n=38. These participants' ages were 5 to 16. Performances by the subtests showed that the Similarities was the highest(M=10.25(SD=2.71)) and the Mazes was the lowest(M=7.55(SD=2.74)). Performances by the indexes proved that the Perceptual Organization Index(POI) was the highest M=92.30(SD=15.68)), the Freedom from Distractibility Index(FDI) was the lowest(M=90.38(SD=14.75)). Performances by IQs resulted that VIQ(M=93.59(SD=13.95)) was higher than the PIQ(M=91.82(SD=14.09)) and the average performance FIQ was 90.60(SD=13.25). Looking up the between-group similarity of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ISC-III,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reached to the highest scores on the Similarities subtest. The Korean children whose age ranges suitable for the K-WISC-III had the superior ability in verbal conceptual formation and reasoning. Additionally, the similar outcome was also convinced that both of them performing higher VIQ scores than PIQ scores.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Korean children showed the advanced ability in verbal knowledge and number concepts that are influenced by experience and learning. Whereas the performance difference of the between-group was that the general children scored the lowest in the Digit Span subtest, but the exceptional children performed the lowest in the Mazes subtest.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general children showed limited attention, concentration, and short-term memory. Whereas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the lacks of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in planning, visual-motor integration, speed, and precision. Fourth, among the 15 publications adapted the K-WISC-IV, the total of 4 publications both examined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another 5 studies conducted to the general children, and the rest of 6 studied with the exceptional children. The numbers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ies relevant to the general children ranged from n=6 to 200, which the average was n=39. The participants' ages ranged from 4 to 16. Performances by the subtests showed that scores of the Cancellation were the highest (M=12.50(SD=5.41)) and the Coding scores were the lowest (M=9.04(SD=2.74)). Performances by the indexes showed that the PRI scored the highest (M=99.76(SD=14.19)) and the PSI scored the lowest(M=95.24(SD=14.07)). The FSIQ performance average was 97.05(SD=13.43). The numbers of participants in the studies conducting the K-WISC-IV to the exceptional children varied from n=1 to 91, which averaged n=22. The participants' ages varied from 5 to 19. Performances by the subtests showed that the Picture Completion scored the highest(M=8.63(SD=3.39)) and the Letter-Number Sequencing scored the lowest(M=6.34(SD=2.72)). Performances by the indexes showed that the PRI scored the highest (M=88.64(SD=14.82)) and the PSI scored the lowest(M=81.26(SD=12.89)). The FSIQ performance average was 79.72(SD=7.66). Looking up the commonality of the between group measured by the K-WISC-IV,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scored the highest on the PRI and the lowest on the PSI.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 whose age ranges suitable to using the K-WISC-IV showed the superior ability in perception construction, spatial perception, and reasoning, but they were relatively deficient at mental acuity, visual memorization. While the difference of the between-group was that the general children showed the lowest scores in the Coding subtest and the exceptional children scored the lowest in the Letter-Number Sequencing subtest. The older general children lacked in the mental acuity, yet the exception children showed the limited mental control and concentration. Comparing the performance outcomes of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measured by both K-WISC-III and K-WISC-IV, the general children showed the lowest scores on the PSI in the both examinations. Additionally, similar outcomes were found that the exceptional children scored higher on the performances by the factors and indexes than the FSIQ performances. The older general children showed a relatively less intellectual ability in mental acuity and short-term memory. On the other hand, I found the similar outcome that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a lower ability in both examinations of the Coding subtest.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older exceptional children may lack mental acuity and visual-motor integration. As comparing the outcomes of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measured by the K-WPPSI and K-WISC-III, both groups scored higher on the PIQ than the VIQ in the K-WPPSI. In particular, scores on the subtests of the Object Assembly and Picture Completion were high.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K-WISC, the PIQ scores were lower than the VIQ scores. In particular, scores on the Information, Similarities, Arithmetics, and Vocabulary were relatively high. The younger Korean children showed the superior ability in visual memorization that was greatly determined by genetic and biological factors, yet the older children gradually made an improvement in the numeric concept or verbal ability influenced by experience or learning. Comparing the K-WPPSI-IV and K-WISC-III performances of the general children, it showed that the PSI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the K-WPPSI-IV and the VCI scored the lowest in the K-WISC-III. Whereas the VCI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the K-WISC-III and the PSI reached to the lowest scores. The younger Korean children have gradually improved verbal ability that is influenced by experience or learning. In conclusion, this study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the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 research through the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f the studies relevant to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K-WPPSI-IV, K-WISC-III, and K-WISC-IV. Additionally, it not only provides baseline data of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but also suggests some potential research directions for the future. Keywords: General children, Exceptional children,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K-WPPSI),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Fourth edition(K-WPPSI-IV),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Third edition(K-WISC-III),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Fourth edition(K-WISC-IV)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한국 웩슬러 유아 및 아동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을 중심으로 문헌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분석하기 전에 조사대상 논문의 특성을 논문발표연도, 출처, 연구대상자 수(n), 연구대상연령, 연구대상집단(일반아동과 특수아동)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K-WPPSI)(박혜원, 곽금주, 박광배, 1996b),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4판(K-WPPSI-IV)(박혜원, 이경옥, 안동현, 2016),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 3판(K-WISC-III)(곽금주, 박혜원, 김청택, 2001b)과 4판(K-WISC-IV)(곽금주, 오상우, 김청택, 2011)의 수행을 중심으로 소검사, 지표, 지능수준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 70편 중 일반아동과 특수아동을 모두 검사한 논문은 4편이었으며, 일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46편, 특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20편이었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360명까지였고, 평균 64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3세에서 만 7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의 평균은 도형(M=12.73(SD=3.9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휘(M=9.79(SD=2.57))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의 평균은 동작성IQ(M=103.68(SD=16.53))와 언어성IQ(M=103.68(SD=14.82))가 유사하게 나타났고, 전체IQ는 103.23(SD=15.06)이었다. 특수아동에 대한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40명까지였고, 평균 11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3세에서 만 13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의 평균은 상식(M=7.01(SD=1.73))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도형(M=5.50(SD=2.12))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의 평균은 동작성IQ(M=81.45(SD=14.00))가 언어성IQ(M=77.56(SD=12.92))보다 높게 나타났고, 전체IQ는 82.61(SD=10.37)이었다. 집단간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수행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동작성IQ 수행이 언어성IQ 수행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유아용 검사의 사용연령에 해당하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 형성되는 능력보다 유전적ㆍ생물학적 요인의 영향을 반영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집단간 검사 수행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도형 소검사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특수아동의 경우 도형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낮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시각적 기억 능력과 시각-운동협응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특수아동의 경우 이러한 능력들이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4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은 10편이었고, 모두 일반아동을 검사하였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36명에서 148명까지였고, 평균 88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2세에서 만 7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동형찾기(M=12.24(SD=2.7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휘(M=8.32(SD=2.51))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기본지표별 수행은 처리속도(M=108.65(SD=13.2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언어이해(M=97.44(SD=13.68))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IQ 수행 평균은 104.30(SD=12.85)이었다.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와 4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 아동만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두 검사 모두에서 어휘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낮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단어 지식과 언어표현 능력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한편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에서는 도형 소검사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이 소검사가 4판에서는 삭제되었기 때문에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도형 소검사와 유사한 실시방법으로 측정되는 동형찾기 소검사의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는 것도 유사한 점이라 볼 수 있다. 이 점에서 낮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시각적 기억 능력과 시각-운동협응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 88편 중 일반아동과 특수아동을 모두 검사한 논문은 14편이었으며, 일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16편, 특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58편이었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357명까지였고, 평균 62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3세에서 만 16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공통성(M=11.01(SD=2.9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숫자(M=8.85(SD=2.25))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요인별 수행은 언어이해(M=103.35(SD=12.4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M=100.14(SD=13.50))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은 언어성IQ(M=104.07(SD=14.84))가 동작성IQ(M=102.26(SD=14.87))보다 높게 나타났고, 전체IQ 수행 평균은 102.89(SD=14.07)로 나타났다. 특수아동에 대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297명까지였고, 평균 38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5세에서 만 16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공통성(M=10.25(SD=2.7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미로(M=7.55(SD=2.74))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요인별 수행은 지각조직(M=92.30(SD=15.68))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의집중(M=90.38(SD=14.75))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은 언어성IQ(M=93.59(SD=13.95))가 동작성IQ(M=91.82(SD=14.09))보다 높게 나타났고, 전체IQ 수행 평균은 90.60(SD=13.25)이었다. 집단간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 수행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공통성 소검사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서 아동용 검사의 사용연령에 해당하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언어적 개념형성 능력과 추론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언어성IQ 수행이 동작성IQ 수행보다 높게 나타났다는 점도 유사한 점으로 볼 수 있다. 즉 높은 연령의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언어적 지식 및 수 개념에 대한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집단간 검사 수행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숫자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지만, 특수아동의 경우 미로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살펴보면 높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주의력 및 집중력과 단기기억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고, 반면에 특수아동의 지적 특성은 계획 능력, 시각-운동협응 능력, 속도 및 정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넷째,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 15편 중 일반아동과 특수아동을 모두 검사한 논문은 4편이었으며, 일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5편, 특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6편이었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6명에서 200명까지였고, 평균 39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4세에서 만 16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선택(M=12.50(SD=5.4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기호쓰기(M=9.04(SD=2.74))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표점수별 수행은 지각추론(M=99.76(SD=14.1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M=95.24(SD=14.07))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IQ 수행 평균은 97.05(SD=13.43)로 나타났다. 특수아동에 대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91명까지였고, 평균 22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5세에서 19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빠진곳찾기(M=8.63(SD=3.3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순차연결(M=6.34(SD=2.72))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표점수별 수행은 지각추론(M=88.64(SD=14.8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M=81.26(SD=12.89))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IQ 수행 평균은 79.72(SD=7.66)로 나타났다. 집단간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 수행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지각추론지표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지표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들을 해석해 볼 때, 아동용 검사의 사용연령에 해당하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지각구성 능력, 공간지각 능력, 추론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 시각적 기억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집단간 검사 수행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기호쓰기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특수아동의 경우 순차연결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경우에는 높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고, 특수아동의 지적 특성은 정신적 통제 능력과 집중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과 4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과 특수집단 아동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두 검사 모두에서 처리속도지표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점을 통해 높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과 단기기억 능력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특수아동의 경우 두 검사 모두에서 기호쓰기 소검사 수행이 낮은 경향으로 나타난 것도 유사한 점이라 볼 수 있다. 이는 높은 연령의 특수아동의 지적 특성은 시각-운동협응 능력과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와 아동 지능검사 3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과 특수집단 아동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유아용 검사의 경우 동작성IQ 수행이 언어성IQ 수행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모양맞추기, 빠진곳찾기 소검사 수행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반면 아동용 검사의 경우 동작성IQ 수행이 언어성IQ 수행보다 낮게 나타났고, 특히 상식, 공통성, 산수, 어휘 소검사 수행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즉 낮은 연령의 한국아동은 시각적 기억 능력과 유전적이며 생물학적 요인이 결정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수 개념 및 언어능력이 더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음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4판과 아동 지능검사 3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 아동만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유아용 검사의 경우 처리속도지표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언어이해지표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아동용 검사의 경우 언어이해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 역시 경험이나 학습에 영향을 받는 일반아동의 언어능력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더 발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처럼 본 연구는 한국 웩슬러 유아 및 아동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연구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은 물론이고, 향후 관련 연구의 방향 설정에 시사점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도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주요어: 일반아동, 특수아동, 지적 특성,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K-WPPSI),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4판(K-WPPSI-IV),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K-WISC-III),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K-WISC-IV)

      • 얼리어답터 측정방법에 따른 대학생 소비자의 유형화 : 제품구입시기, 유행선도력,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강한나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4287

        본 연구는 제품구입시기, 유행선도력 및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의 세 가지를 이용하여 얼리어답터를 측정하고 유형화 하였다. 조사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 ㆍ 여 대학생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여 조사대상자가 직접 기입하게 하였다. 질문지는 학교와 학생 수의 규모에 비례하여 울산대학교 330부, 울산과학대학 140부, 춘해대학 80부로 총 550부를 배포하여 522부가 회수되었다. 이 중 부실 기재된 10부를 제외하고 512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행선도력과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의 수준을 알아보았다. 유행선도력은 혁신성, 의견선도력, 정보탐색의 세 가지 하위차원으로 측정하였다. 혁신성과 의견선도력은 보통 수준이었으며 정보탐색은 다소 높게 나타났다.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은 전문성, 경쟁력, 참신성의 세 가지 차원으로 측정하였는데 세 차원 모두 보통 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조사대상이 대학생으로 경제적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 진다. 즉 혁신성과 의견선도력 보다는 얼리어답터의 라이프스타일을 더 많이 추구하고 있었다. 그러나 10~20대의 소비자들은 얼리어답터들을 동경하고 그들을 모방하려는 욕구가 강하므로 합리적인 구매습관이 요구된다. 남들보다 신제품을 많이 가지고 있고 구매력이 높아야만 얼리어답터가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내의 얼리어답터들은 자신에게 필요 없는 제품을 잘 보관해 두었다가 중고시장에 되팔아 비용을 충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제품을 구매할 때에도 무조건적으로 구매하기 보다는 철저한 정보탐색을 바탕으로 신중하게 하고 있었다. 둘째, 제품구입시기를 기준으로 대학생 소비자를 분류한 결과 얼리어답터(35.3%), 조기대다수(34.7%), 비얼리어답터(30.1%)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얼리어답터 유형에 속하는 대학생은 평균적으로 여성보다는 남성이 많이 포함되어 있고 연령이 22세 이며 한 달 용돈으로 29만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얼리어답터는 다른 유형에 비하여 유행선도력과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행선도력을 기준으로 분류했을 때는 의견선도자(15.3%), 유행선도자(16.1%), 비유행선도자(30.2%), 비의견선도자(38.4%)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네 가지 유형 중에서도 유행선도자는 다른 사람들보다 일찍 신제품을 구입하며 유행선도력과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왔다. 이들은 아버지가 전문직 ㆍ 경영관리직 ㆍ 전문기술직에 많이 종사하고 있으며 한 달 용돈으로 31만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을 기준으로 분류한 결과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 유형(15.4%), 비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 유형(26.8%), 전통적리더 라이프스타일 유형(26.8%), 신세대리더 라이프스타일 유형(31.0%)의 네 가지로 유형화되었다. 네 가지 유형 중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 유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 신제품의 구입시기가 빠르며 유행선도력과 라이프스타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유형에 속하는 대학생은 여성보다 남성이 많고 월평균 용돈이 31만원이며 월평균 가계소득이 369만원으로 다른 유형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준이었다. 다섯째, 유행선도력과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의 두 가지를 기준으로 대학생 소비자를 분류한 결과 참신성추구 유행선도자(34.5%), 비얼리어답터(26.7%), 얼리어답터(15.2%), 정보탐색 리더(23.6%)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얼리어답터에 속하는 대학생은 여성보다 남성이 많고 아버지가 전문직 ㆍ 경영관리직 ㆍ 전문기술직에 많이 종사하며 한 달 용돈이 30만원 정도였다. 앞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얼리어답터는 다른 사람들보다 신제품을 일찍 구입하며 유행선도력과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 가지 방법으로 측정해 본 결과 제품구입시기보다는 유행선도력과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을 각각 이용하거나 유행선도력과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을 함께 측정하는 것이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선행연구에서 소비자를 분류하는 방식은 다소 기계적이었으나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여 얼리어답터의 다양한 특성을 보다 현실적으로 밝혀낸 데에 그 의의가 있다. 과거에는 의류나 악세사리 등 특정제품에 얼리어답터들의 관심이 집중되었으나, 최근에는 디지털제품을 넘어 다양하고 넓은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들은 소비자들에게 제품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여 주고 생산자에게는 갓 출시된 제품의 문제점이나 개선방안을 재빨리 지적하여 더 좋은 제품을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있다. 기업과 소비자의 교량 역할을 하면서 모두가 윈-윈(win-win)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끌어 나갈 때에 진정한 얼리어답터의 역량이 발휘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dentified and typified earlyadopters based on product purchasing time,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and earlyadopter lifesty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Ulsan Metropolitan City. They were surveyed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students and school size, 33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University of Ulsan, 140 to Ulsan College and 80 to Choonhae College, so a total of 5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with excluding 10 inadequately replied ones, 512 questionnaires were used in analysis. Analyzing collected data, we measured the subjects’ level of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and their earlyadopter lifestyle.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was measured in three sub-factors, namely, innovativeness, opinion leadership and information search.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were about average, and information search was somewhat high. Earlyadopter lifestyle was measured in three dimensions, namely, professionalism, competitiveness and originality, all of which were slightly above the average. This is probably because of college students’ low economic capacity. That is, they were pursuing earlyadopter lifestyle rather than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However, because consumers in their 10s and 20s tend to envy earlyadopters and try to imitate them, they need to develop reasonable purchasing habits. It is because earlyadopters do not necessarily have to have new products and high purchasing power. In actuality, earlyadopters in Korea were found to preserve unnecessary goods and sell them in the secondhand market to buy what they need. They were buying new products prudently based on thorough information search rather than buying blindly. Second, when college student consumers were classified by product purchasing time, they were grouped into three types: earlyadopters (35.3%), early majority (34.7%) and non-earlyadopters (30.1%). The earlyadopter group had more male students than female ones, their mean age was 22, and their mean pocket money per month was 290,000 won. Among the three types of students, earlyadopters were highest in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and earlyadopter lifestyle. Third, based on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th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opinion leaders (15.3%),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 (16.1%), non-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 (30.2%), and non-opinion leaders (38.4%). Of the four types,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 purchased new products earliest, and highest in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and earlyadopter lifestyle. Many of their fathers were specialists, business managers or technical expert, and their monthly pocket money was 310,000 won on the average. Fourth, based on earlyadopter lifestyle, th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earlyadopter lifestyle (15.4%), non-earlyadopter lifestyle (26.8%), traditional leader lifestyle (26.8%), and new-generation leader lifestyle (31.0%). Of the four lifestyles, the earlyadopter lifestyle purchased new products earlier than the other lifestyles, and highest in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and lifestyle. The group of this style had more male students than female ones, and their monthly pocket money was 310,000 won on the average, and their monthly family income was 3,690,000 won on the average, much higher than other lifestyle students. Fifth, when college student consumers were classified using two criteria, namely,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and earlyadopter lifestyle, they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originality-pursuing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 (34.5%), non-earlyadopters (26.7%), earlyadopters (15.2%) and information search leaders (23.6%). The earlyadopter group had more male students than female ones, and many of their fathers were specialists, business managers or technical expert, and their monthly pocket money was around 300,000 won on the average. Like the results of previous classifications, earlyadopters purchased new products earlier than others, and highest in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and earlyadopter lifesty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easuring students based on the four criteria as above, it was found appropriate to use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and earlyadopter lifestyle separately or use them jointly. While consumer classification methods in previous researches were somewhat mechanical, this study overcame the limitation and explained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earlyadopters more realistically. In the past, earlyadopters’ interest was concentrated on specific products like dress and accessories, but recently their interest is being extended to wider areas including digital products. They provide consumers with correct information on products, and manufacturers with opportunities to correct problems in newly launched products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ducts by reflecting their opinions. Earlyadopters’ true value will be realized when they play the role of a bridge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and lead both them to winnings.

      • 울산시 이주단지 조성 전후 도시개발 비교에 관한 연구

        정우석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4287

        울산은 1962년 울산공업센터 기공식을 시작으로 정유, 비료, 석유화학, 조선 등의 국가 공업단지가 순차적으로 개발되었다. 1960년대까지 미개발상태였던 울산지역에는 국가 공업단지 개발이 진행되면서 외부에서 많은 기업 및 노동 인구들이 유입되었고, 그 결과 울산은 대표적인 공업도시로서 성장하게 되었다. 하지만 공업지역의 개발과 함께 생겨난 소음 및 공해로 인해 주민들의 생활터전이 위협받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1970-80년대 공업지역 인근에서 거주하던 많은 지역주민들이 정부의 이주정책에 의해 살던 곳을 떠나 새로운 장소로 이주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울산공업센터 개발 이후 조성된 이주단지들을 중심으로 이주배경 및 조성과정 등을 분석하고, 이주단지 조성과 울산 도시개발과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주단지의 현황 파악과 개발과정을 분석한 후, 이주단지 조성 전후 울산의 도시변화를 비교·분석하여 이주단지 조성이 울산의 도시공간구조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국가 공업단지로 인해 발생한 이주문제와 그에 대한 해결방안이 울산의 도시공간구조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본격적으로 ⌜공해주민이주사업⌟이 공고·시행된 1985년을 시작으로 하여 행정적으로 사업이 완료된 1998년까지 그 연구범위로 설정하였으며, 공간적 범위는 공해주민이주사업의 이주대상지였던 삼호지구(현 무거동·옥동 일대), 태화지구(현 태화동), 다운지구(현 다운동)로 한정하였다. 울산의 이주단지는 1986년부터 1988년까지 약3여년에 걸쳐 정부 주도하에 공해지역주민의 피해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온산공단과 함께 울산지역 환경오염지구 주민 5,950세대, 2만 7,017명을 이주시키기로 결정되었는데 이 시기는 울산의 토지구획정리사업 및 택지개발사업이 진행되었던 도시개발시기와도 일치한다. 당시 이주단지 대상지는 삼호지구, 태화지구, 다운지구 등 3개 지구로서 모두 1,929,000m²(약59만평) 규모의 이주단지를 조성하기로 계획하였다. 이 이주단지의 지리적 위치는 공해가 발생하는 공단지역과 물리적으로 먼 거리에 위치한 울산 서부 외곽지역으로서 당시 신시가지와는 달리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은 지역이었다. 울산의 이주단지 조성은 환경문제에 대한 대처방안이었을 뿐만 도시개발사업과 함께 진행됨으로서 각종 정비시설 및 도시기반시설의 확충이 이루어지는 등 결과적으로 오늘날 울산 서부외곽지역의 도시공간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밝힐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