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기둥의 주근과 복합콘크리트간의 부착강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정우석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내 층간소음 해소를 위하여 최근 국내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에 새로운 기능을 도입하기 위하여 유기 화합물인 고분자와 무기화합물인 세라믹의 물성을 동시에 가지는 소재가 개발되고 있고, 고분자소재의 가공성, 강인성 및 가격 등의 장점과 무기물의 내연성 산화안정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유·무기 복합재료(Organic -inorganic hybrid marerials)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층간소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보강재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이하, EVA)와 Expanded polystyrene(이하, EPS)는 우수한 단열성능과 흡음성능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일반 콘크리트에 비하여 EVA, EPS를 첨가한 콘크리트는 내화성 및 물보다 비중이 낮은 성질로 인하여 균일한 설계 강도 실현에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어있다. Brown1)등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S(이하, POSS) 나노복합체는 무기재료와의 결합에서 강도저하 없이 기포발생 유도 및 내구성에 우수한 효과를 갖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보강재를 진보적인 성능 향상을 위하여 콘크리트와 EVA, EPS 및 POSS를 이용한 복합 콘크리트 개발을 위하여, 실제 건축구조물에서 발생되는 이형 철근간의 부착강도를 검토하고자 한다. 복합콘크리트와 이형 철근간의 부착성상에 관한 실험은 보강재와 콘크리트가 균일하게 분포하는 유무와 현장적용의 가능성에 중요 지표가 될 수 있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EVA와 EPS로 보강된 실험체는 부착강도가 무보강 실험체보다 최대 45 % 감소하는 반면, POSS로 보강된 실험체는 무보강 실험체보다 부착강도가 최대 20 %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2) 주근이 3개인 실험체군에서 무보강 실험체 3N보다 실험체 3EVA와 3EPS의 부착강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POSS 나노 복합체 0.3 %로 보강된 실험체 3POSS는 무보강된 실험체 3N보다 8 % 부착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3) 콘크리트 타설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인발한 O방향 부착강도는 콘크리트 타설과 동일한 방향으로 인발한 S방향의 부착강도보다 12 % 높은 부착강도 를 나타냈고, EVA와 EPS로 보강된 실험체의 경우 각각 24 %와 31 %의 차이를 나타냈다. POSS를 혼입한 실험체 보다 EVA와 EPS로 보강된 실험체의 경우 S방향과 O방향과의 부착강도 차이가 크게 나타난 것을 보아 POSS의 빠른 반응속도에 의해서 보강재가 균질하게 분포 시킨다고 볼 수 있다. 4) 실험값과 Fuji 제안식 값을 비교검토에서 보강된 실험체의 경우, 실험값은 계산값 보다 부착강도가 6 ∼ 8 % 높게 나타났고, 보강된 실험체의 경우, 실험값은 계산값 보다 부착강도가 최대 18 % 낮은 실험값을 나타냈다. 이것으로부터, 복합콘크리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Fuji 제안식과 실험값이 다소 차이가 있다고 사료된다.

      • 家庭環境이 兵士의 軍生活 適應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정우석 호남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47

        A family is first organization in which human being naturally participate. As a human being grows up, such a family is a place to teach a rule and courtesy for socialization. The Army, being separated from this family, is place that participates in the new organization. Because our country is in a divided situation, the youth of early twenties must join in the army. Owing to their different background , in the army, the youth differ from individual character. Therefore, military adaptation also has an individual difference. This research analyzes the effects that a home background of many factors affects military adaptation. For this research, we made two assumptions such as ; Assumption 1. between a home background and army-life adaptation, there are something relation. Assumption 2. army-life adaptation will has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standard, academic background and religion. To prove these assumptions, we tested 240 soldiers in ○○ military unity. For analysis, we used like these things 1. To investigate confidence, we used crobach-α calculation. 2. To find the reasonability, we used factor analysis. 3. To find army adaptation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ank, academic background and religion, we used analysis of variance. 4. To find range family between environment and army adaptation, we used simple correlation analysis. Research results are like these. First, Family environment factor affect army adaptation, Especially, we have to pay attention that a little controlled living affects on army adaptation. Secondly, The rank, academic background and religion affect army adaptation because these have same difference. Through, this research, we find out changing army, in future, we have to try for more army environment changes, And thinking the recognition that we identify environment in army with environment in society than the recognition that Personal character of soldiers, family environment improve army adaptation can improve army adaptation. In this respect, we hope that this research result can work for understanding and teaching soldiers.

      • 무인 회전익기의 자율비행을 위한 모델 불확실성에 강건한 적응형 경로추종제어기 연구

        정우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treats a robust adaptive trajectory-tracking control design for a rotorcraft using a high-fidelity math model subject to model uncertainties. In order to control the nonlinear rotorcraft model which shows strong inter-axis coupling and high nonlinearity, incremental backstepping approach with state-dependent control effectiveness matrix is utilized. Since the incremental backstepping control suffers from performance degradation in the presence of control matrix uncertainties due to change of flight conditions, control system robustness is improved by combining the least squares parameter estimator to estimate time varying uncertainties contained in the control effectiveness matrix. Also, by selecting a suitable gain set by investigating the error dynamics, a uniform trajectory-tracking performance over operational flight envelope of the rotorcraft is ensured without resorting to the conventional gain scheduling method. To evaluate the proposed controller, comparative results between IBSC and Adaptive IBSC are provided in this paper with sequential maneuvers from the ADS-33E-PRF. The proposed method shows improved tracking performance under variations in control effective matrix in the flight simulation. Robust and stable parameter estimation is also guaranteed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DF-RLS algorithm for the least square estimator. 무인 항공기의 자율비행의 핵심은 자율성에 있다. 무인항공기 자율성 수준은 시스템에 대한 외부 개입 및 제어로부터의 독립성 수준에 따라 결정되며, 대표적으로 유도, 항법 그리고, 제어의 3가지 핵심기능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언급되는 무인 회전익기의 자율성 수준에 대한 척도인 ALFURS(Autonomy Levels For Unmanned Systems)에 따라, 본 연구는 단일 무인항공기에 대한 가장 높은 수준인 4단계 자율화 수준을 만족시키는 자율비행제어기를 구성한다. 단일 무인 회전익기의 자율 비행제어가 무인항공기 자율화 수준 4단계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정확하고 강건한 3차원의 경로추종능력이 요구되며, 그에 앞서 3단계에서는 항공기 고장이나 임무, 비행조건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강건제어, 재형상 혹은 적응제어기가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은 모델 불확실성에 강건한 무인 회전익기의 적응형 경로추종제어기 설계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한다. 제어기 설계에 앞서, 사전에 경로점들이 경로계획 단계에 의해 주어졌다는 가정 아래 주어진 경로점들을 토대로 스플라인 보간법을 사용하여 각 경로점 사이의 구간을 시간에 대한 고차다항식으로 표현하고, 3차원의 궤적을 생성하는 기법을 소개한다. 생성된 궤적을 추종하는 제어기의 경우, 비선형 제어기를 통해 무인 회전익기의 전 운용비행영역에서 만족스러운 제어기의 성능을 보장하도록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되는 고충실도 Bo-105 회전익기의 경우, 각 블레이드 요소의 유효받음각을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유도속도가 조종입력과 로터의 반응에 대하여 비선형적이고 커플링 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선형궤환화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유연하고 강건한 제어기 설계 방식인 Incremental backstepping 제어기를 제시한다. Incremental Dynamics 가정에 필요한 각가속도 값의 경우, 다양한 추정알고리즘들을 비교 및 분석하여 가장 정확도가 높은 방식을 채택한다. 제어 이득 값의 경우, 추종오차에 대한 오차동역학을 통해 전 비행구간에서 일정한 추종 성능을 지니게끔 하도록 선택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Incremental dynamics와 더불어 추가적인 강건성을 얻기 위해 Direction forgetting least square 기반의 추정기를 도입, 남아있는 모델 불확실성을 비행 데이터를 통해 추정하고 이를 제어기에서 보상하는 접근방식을 제안한다. 설계된 제어기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Bo-105 회전익기의 시뮬레이션으로 본 연구에서 구축한 강건 적응 경로 추종 제어기가 주어진 경로를 원활히 추종하는 것을 검증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제어기의 구조가 무인 회전익기 자율비행제어의 4단계 제어기술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으며, 자율비행기술 연구의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믿는다.

      • 한국농구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 1990년대 중심

        정우석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 농구경기를 학교농구, 성인농구, 세계속의 한국농구로 구분하여 1990년대 즉, 1991∼2000까지를 중심으로 사실적 편년체로서 그 전개과정을 구명하였다. 한국학교농구는 1990년대 지방초등학교의 기술과 신장에서 두드러진 발전을 가져오면서 초등부에서는 수도권과 지방의 구분이 없이 평준화 현상이 나타났다. 한편 중·고등부에서는 초등부 보다 많은 대회를 개최하였고, 이를 통해 성인농구의 밑거름이 되는 선수들이 발굴되었다. 대학부에서는 서울이나 수도권 대학은 1부에 소속되어 있어 탁월한 선수들의 양성으로 성인농구의 입문에 앞서 많은 발전을 가져왔지만 2부 지방대학의 농구는 갈수록 퇴보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한국성인농구는 1990년대 중반부터 남·여프로농구의 창설과 용병도입으로 현재까지 많은 발전을 가져왔다. 이는 한국 농구경기의 획기적인 발전과 선수뿐만이 아닌 농구인들의 스포츠 참여 수준과 의식을 높여 주었고, 스포츠 마케팅이나 스포츠 경영에서도 새로운 장을 마련하게 되었다. 끝으로 세계속의 한국농구는 1984년 올림픽에서 여자농구가 은메달을 차지하여 올림픽 대회에서 역사를 이룩하였지만, 그 이후 1990년대에는 아시아의 여러 대회에서 정상을 차지하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왔었다. 그러나 여자프로농구의 출범 후 한층 발전된 한국농구는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여자농구가 4위를 차지하는 또 하나의 신화를 창조하였다. 따라서 앞으로의 한국농구는 학교농구에 있어서 지방대회를 더 많이 개최함으로써 지방학교농구의 저변확대와 활성화가 요긴하다 할 것이며, 성인농구에 있어서는 미국 NBA농구를 모델링하여 보다 전문화된 스포츠 마케팅 기법이 요구된다 하겠다. The present study is a chronological analysis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basketball, focused on a decade from 1991 through 2000. The development processes are examined in three main divisions of school basketball, adult basketball, and the Korean basketball in future. First, in school basketball, athletes’ body height and skills have all but similarly developed in elementary schools’ basketball throughout the nation. Middle and high school athletes have held a lot of competitions, where some promising players for adult basketball teams have been produced. In campus basketball, however, much progress was seen in the First League of Seoul and its vicinity universities, while the Second League of local colleges have merely regressed. Second, in adult basketball, considerable and visible progress was made owing to the birth of professional basketball teams and the KBL in the mid-1990s. This opened a new chapter in the Korean basketball history, resulting in an epoch-making stride of the overall Korean basketball, heightening the levels of participation and consciousness of the players and the basketball-concerned people, and triggering further development in sports marketing and sports administration. Last, in the world arena, the Korean basketball has failed to capture any championships (including the ABC) in the 1990s since it earned the silver medal in women's basketball in the 1984 LA Olympics. After the birth of the WKBL, however, the Korean women's representative team made another myth by standing the 4th in the 2000 Sydney Olympic Games. Therefore, the Korean basketball should hold even more regional contests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standardization or equalization among the various levels of school teams across the country. Adult teams also need to grow their athletic performance based on fair play and real sportsmanship, not on excessive commercialism. This also applies to the Korean basketball in the world stage, where pure and authentic sportsmanship is emphasized.

      • 한국의 청년 시민사회교육 사례 연구 : - 서울YMCA 청년교실 활동을 중심으로 -

        정우석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case study on the Public Citizen Education : Focusing on the Seoul YMCA's young man Citizen Education Program. Jung Woo-Seuk Major in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An investigator start to study on the these days the meaning of Citizen Society and Public Citizen Education, moreover study for the changes of the times remodeled to Education's course. In historical connection of the Korea Citizen Society Movement, YMCA Citizen Society Movement is a good case, particularly the Seoul YMCA's young man Citizen Education Program in 2004 to 2007 at 4 times. An investigator study on the formation of Citizen Society, counting on the possibility of voluntary Public Citizen Education, and present as follows issues. First, How progress the Korean YMCA's Public Citizen Education in a connection? Second, in that connection what is the character and suggestive point of the Seoul YMCA's young man Citizen Education Program? Third, what is the method and model of the new Public Citizen Education, meaning of the qualitative change of the moving forth Seoul YMCA's young man Citizen Education Program and members? For this research, an investigator used to method of literature and deep interview. The method of literature used to a basic understanding and a theoretical debate for this research. The method of deep interview used to reconstructing a history of Seoul YMCA's young man Citizen Education Program and a experience of director and members. Mostly that is a individual interview, but because of time sometimes that is a group interview just 2-3 persons. This method is a moderate to this research because of not a simple historical description but a educational value and significance through a intend of director and change of members. An investigator study on course of the Seoul YMCA's young man Citizen Education Program in 2004-2007, and classify to a formative period of them, a lasting period, and a transitional period. The first one is a first time, that is a formative period of young man Citizen Education Program, great help to the young, they have been new fresh experience of education, introduced and practiced citizen society. The second one is a 2∼3 times, that is a lasting period, a development of citizen leadership period, to practice voluntary active a role of citizen in reflecting on one's life in progressing citizen society. The second young man program is a meaning of lasting one and progressing to only citizen, practicing to political roles in society, the third one carry on a program, also required to change of the program for fitting at modern society’s request. The third period is a qualitative transitional period of a purpose of the young spirit. As for that, they reconfirm YMCA's spirit, ideology, Paris Basis, Kampala Principal, and have practiced a forth one named Public Youth Leader education program. The forth program has going on Public Youth Leader education program, that is a vision design project. it is a passage for voluntary study, research, progress of citizen society movement to the young. An investigator study on a connection of Korean Public Citizen Education by YMCA Citizen Society Movement, and define a character of YMCA's young man Citizen Education Program to a field of the young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Public Citizen Education. In this connection, a change of Public Citizen Education, focusing on the Seoul YMCA's young man Citizen Education Program has as follows characters. First, YMCA's young man Citizen Education Program is a course of making oneself. The activity of the young is a YMCA's basic spirit and it's a motive. That is a active educational course, the young personally debate to social issues, take to movement direction, suggest to a solution. Second, that is a course of lifelong education and study. The Seoul YMCA's young man Citizen Education Program offers to a educational chance, the young can't be educated by society, and effects to lasting interest about eduction. Moreover it is a field of chance and verification to education themselves for realize of their dreams and visions. Third, it is a course on new recreation of education through voluntary formed society from educational course. The members change an individual and social life through self-examination, fill the role of citizen, organize to another community, and carry on the Public Citizen Education, creating new education. But this study have limitations and suggest to succeeding study as follows. First, it is excessive the Korean Public Citizen Education is limited by the Seoul YMCA's young man Citizen Education Program. It can't define objectified various meaning and form change of Public Citizen Education. Second, it changed to program and member's character, the first one is the cramming education, the second one is interesting education, and the third one is voluntary education, but this study don't identify to the next educational model. Third, this study classify to a formative period, a lasting period, and a transitional period of educational program, but it is excessive to evaluate them on qualitative level, because each of program directors have different interest, passion, and capability. And a result of the vision design project on the forth one and a valuation of followed new educational activity will conclude in succeeding study as developed Public Citizen Education. Key words: Citizen Society, Public Citizen Education, young man Citizen movement, young man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young man Education Program. 연구자는 ‘오늘날 시민사회가 갖는 의미와 시민에 의한 교육이란 무엇이며 과연 어떠한 형태를 가지고 진행 되었는가’ 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여, 시간이 지나면서 시대마다 그 모습을 달리하는 교육의 방향성을 짚어가는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시민사회운동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YMCA의 시민사회운동은 우리나라 시민사회교육의 변화와 방향을 살펴볼 수 있는 바탕이 되었고, 특히 2004년부터 2007년까지의 총 4회에 걸쳐 진행된 서울YMCA 청년교실 활동은 적절한 사례가 되었다. 연구자는 청년교실 참가자를 통한 새로운 시민공동체의 형성을 살펴보고 거기서 발생되는 자발적인 시민사회교육의 가능성을 기대하며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우리나라 YMCA 시민사회교육은 어떠한 맥락으로 진행되어 왔는가? 둘째, 그러한 맥락가운데 서울YMCA 청년교실의 특성과 시사점은 무엇인가? 셋째, 그리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제4회 청년교실의 질적 변화와 그에 따른 참가자들의 변화가 의미하는 새로운 시민사회교육의 방향은 무엇인가? 이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문헌연구와 참여관찰, 심층면담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문헌연구의 방법은 본 연구를 위한 기본적인 이해와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사용되었다.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의 방법은 서울YMCA 청년교실의 역사와 기획자와 참가자들의 경험을 재구성 하는 과정에서 단순한 역사적 기술을 목적으로 한 것 이 아니라 청년교실 활동을 통해 보는 기획자의 의도와 참가자들의 변화 속에 우리나라 시민사회 교육적 가치와 의의를 알아보기 위함에 있었기에 본 연구에 적절한 방법론이었다. 연구자는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진행된 청년교실의 과정을 각 회기별 청년교실을 중심으로 ‘청년교실의 형성기’, ‘청년교실의 지속기’, ‘청년교실의 전환기’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첫 번째 시기는 청년교실의 형성기로 1968년의 시민논단과 10대들의 광장, 시민토론과 같은 시민사회운동을 이어오다가 1980년대 시민자구운동을 계기로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시민정치실천운동을 통해 시민청치, 시민성 교육의 싹이 자라면서 시작된 1회 청년교실은 참가자들로 하여금 시민사회를 소개하고 연습하는 새롭고 신선한 교육의 경험으로 젊은이들의 시민사회교육의 단초가 되었다. 두 번째 시기는 청년교실의 지속기인 2회와 3회 청년교실 활동으로 발전하는 시민사회 속에서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삶속에서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시민의 역할을 실천하는 시민리더십 개발의 기간이었다. 2회 청년교실은 이전의 청년교실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연속해서 지속되었다는 점과 핵심 내용이었던 시민으로 출발하여 사회로의 확장, 그리고 자신의 삶을 사회 적용하여 삶 속에서의 생활정치를 실천하는 취지가 1회 청년교실과는 다른 점으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고, 3회 청년교실은 그동안의 서울YMCA 청년교실의 연장선에서 시민교육을 이어가면서도 현재 사회의 요구에 맞게 변형하려는 과도기적 단계에서 기존의 청년교실의 수정이 불가피하다는 시사점을 안겨주었다. 세 번째 청년교실의 전환기에서는 청년정신의 취지와 목적을 재설정한 청년교실의 질적 전환기이다. 이를 위해 YMCA의 정신과 운동이념, 파리기준과 캄팔라 원칙을 재확인하고 4회 청년교실 Public Youth Leader 양성과정이 진행되었다. 4회 청년교실은 비전디자인프로젝트라는 프로그램 과정을 통해 다양한 방식의 시민사회운동을 청년들이 자발적으로 연구, 리서치, 개발 할 수 있는 통로서 자리매김 하면서, YMCA형 인재들을 양성하는 발전소로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우리나라 시민사회교육의 맥락을 YMCA의 시민사회운동에서 찾아보고 서울YMCA 청년교실이 갖는 특징을 ① 청년교육의 장으로의 YMCA 청년교실, ② 평생교육의 장으로의 청년교실, ③ 시민사회교육 재창조의 장으로의 청년교실이라는 세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서울YMCA 청년교실 사례를 중심으로 한 시민사회교육의 변화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청년교실은 청년 스스로가 만들어 가는 교육 과정이었다. 청년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는 것은 YMCA의 기본정신과 함께 YMCA가 존재하는 이유이다. 청년들은 스스로 사회현상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자유로운 담론을 통해 지식과 정보를 나누어 운동의 방향을 정하고 사회에 제안하고 해결해 나가는 적극적 교육의 과정이었다. 둘째, 청년교실은 평생교육과 평생학습의 과정이었다. 서울YMCA 청년교실은 사회에서 받을 수 없는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교육에 관한 지속적인 관심의 형성을 이루었다. 또한 자신의 꿈과 비전을 이루고 적극적 시민으로의 삶을 살아가기 위한 목표를 위해 스스로 교육하고 학습하게 하는 기회와 확인의 공간이었다. 셋째, 청년교실은 교육과정에서 자발적으로 형성된 공동체를 통해 새로운 교육이 재창조 되는 과정이었다. 청년교실의 참가자들은 개인의 내면적 성찰을 통해 개인과 사회에서의 삶의 변화를 통해 시민으로의 역할을 다하고, 공통된 관심을 가지고 자발적으로 형성되는 공동체를 통해 서로의 생각과 사고를 넓히고 새로운 경험과 지식의 확장을 통해 또 다른 공동체가 조직화 되고 새로운 교육을 창출하는 시민사회교육을 지속하고 창조되는 공간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의 몇가지 한계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우리나라 시민사회교육을 서울YMCA 청년교실 프로그램으로 한정지음으로써 시민사회교육이 갖는 다의의 의미와 형태의 변화를 명확하게 객관화 하여 정의하는데 무리가 있다. 둘째, 각 회기별 청년교실의 성격과 참가자들의 변화를 1기 참가자 주입식 시민교육, 2기 참가자 관심적 시민교육, 3기 참가자 자발적 시민교육이라는 변화단계를 보이면서 그 다음단계의 발전된 시민사회교육의 모델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셋째, 청년교실의 형성과 지속, 그리고 전환기로 구분하였지만 청년교실을 담당하는 실무자들의 교체로 인해 담당실무자의 관심과 열정, 역량의 차이로 인한 청년교실의 교육의 질적 수준을 동일한 기준으로 평가하는 것에 무리가 있다. 또한 4회 청년교실에서 보여준 비전디자인 프로젝트의 과정으로 형성된 공동체를 통해 이루어 가는 공공프로젝트의 성과와 그러한 과정에서 형성되는 새로운 교육활동에 대한 평가는 후속 연구를 통해 이루어질때 하나의 발전된 시민사회교육의 형태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 포괄수가제 시범사업 전,후 질식분만 환자의 진료형태 변화에 관한 연구 : 보험자 직영 병원을 중심으로

        정우석 高麗大學校 保健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포괄수가제 시범사업에서 제외되어 행위별수가제 적용 받는 질식분만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서비스량과 진료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진료형태, 진료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보험자 직영 병원인 일개 종합병원에 입원한 질식분만환자 중 포괄수가제 적용 받는 2002년 9월부터 2003년 2월까지 6개월 동안에 89명과 질식분만환자로 행위별수가제를 적용 받는 2003년 9월부터 2004년 2월까지 6개월 동안에 89명으로 총 178명으로 하였다. 자료는 질식분만 환자들의 진료비와 재원일수에 대한 사항이 포함된 건강보험명세서와 진료비 계산서 및 진료기록부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행위별수가제 적용 대상과 포괄수가제 적용 대상의 재원일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포괄수가제 적용 대상의 총 진료수익보다 행위별수가제 적용시 총 진료수익이 다소 증가하였다. 셋째, 환자본인부담액(비급여 포함)은 행위별수가제 적용 대상보다 포괄수가제 적용 대상인 경우 증가하였다. 넷째, 비급여 본인부담액은 행위별수가제 적용 대상보다 포괄수가제 적용 대상에 비해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조사 대상병원의 의료서비스 형태를 보면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질식분만환자의 포괄수가제 제외된 후 행위별수가제 적용시 재원일수 증가, 총진료비, 본인부담액(비급여 포함) 증가됨으로써 의료기관의 수익 증대를 가져왔다. 향후 포괄수가제와 관련하여 7개 DRG 전체를 포함한 연구대상 선정과 시범사업에 참여한 모든 의료기관들을 대상으로 시범사업 전기간 동안의 변화에 대하여 비교 연구되어야 한다. 또한, 직업, 교육수준, 경제상태 등 재원기간 및 진료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자의 개인적인 특성과 재원기간이나 의사의 진료행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병원 및 의사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의료의 질을 보장하면서 비용절감을 제고하고 병원의 진료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의료기관들의 다각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 A study of medical treatment practices of vaginal delivery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DRGs payment system.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factors, medical service practices and medical fee differences which influence the amount of medical services and medical fees when applying a Fee For Service system rather than a Diagnosis Related Group payment system. The subjects were 178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and underwent vaginal delivery. Half (89) fell under DRG, and the other half (89) fell under FFS. By using all the data, including medical treatment fee statements, bills, and patient medical charts,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re was a big gap between the DRG patients and the FFS patients. Second, medical treatment revenues increased when FFS was applied compared to DRG. Third, there was an increase in patients medical fees, including the fees that were not covered by medical insurance, when DRG was applied. Fourth, there was a decrease in patients medical fees that were not covered when DRG was applied. In conclusion, when FFS was applied to the patients who underwent vaginal delivery without complications,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 days, medical fees, and patients medical co-payments, including fees not covered by medical insurance, had increased, which led to an increase in hospitals revenues. From now on, there should be more studies on changes in the seven objects which were applied to DRG and all the hospitals which were applied to DRGs payment system. In addition, individual patient characteristics (such as occupation, educational level, and financial situation) and doctor's diagnosis types should also be considered. Finally, diverse approaches should be undertaken to improve patient care quality, enhance hospital medical revenues and reduce medical treatment costs.

      • 한국 장애분야 공적개발원조(ODA) 정책변동 과정 연구 : 다중흐름모형을 중심으로

        정우석 한신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2015년 유엔개발정상회의에서 회원국 만장일치로 채택된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에서는 장애관련 목표를 구체적으로 포함시켜 장애를 모든 목표 달성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범분야 이슈로 인식하고, 장애포괄적 개발협력을 실천하기 위해 7개의 세부목표와 11개의 지표에 장애를 명시하였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ODA 규모에 비해 유독 장애분야 ODA가 성장을 하지 못하고 있고, 현장에서도 장애포괄적 개발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장애분야 ODA 성장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관련 정책의 이해가 필요한데, 장애분야 ODA 정책의 도입과 변동 과정에 대한 연구는 단 한 번도 시도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2013년과 2018년 「국제개발협력기본법」개정을 통해 장애포괄적 개발협력을 위한 법적 근거가 어떻게 마련이 되었는지 두 번의 법 개정 과정을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Multiple Streams Framework)을 통해 분석하였다. 각각의 정책변동이 일어날 수 있었던 문제의 흐름과 정책의 흐름, 정치의 흐름을 분석하고 정책의 창이 어떻게 열렸는지, 정책 선도가의 역할과 특징은 무엇이었는지 분석하여 장애분야 ODA 정책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ODA 정책과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장애분야 ODA 정책 변동이 장애분야 ODA 현장에서 어떠한 변화를 이끌어냈는지 고찰하여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3년과 2018년 「국제개발협력기본법」법 개정을 통해 장애포괄적 개발협력을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는 장애포괄적 개발협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우리나라 ODA 기본법은 정부에 시책 추진을 촉구하는 정책형 기본법으로 법 개정만으로는 정부 시책 변화를 이끌어내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둘째, 우리나라 ODA 정책 조정과 심의, 평가는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국제개발협력위원회와 산하 위원회에서 실시하고 있는데, 총 65명의 위원 중 장애인 전문위원이 단 한명도 없고, 장애정책 소관 부처인 보건복지부조차도 장애분야 ODA 사업에 관심이 없어 ODA 정책 논의에서 장애분야가 소외되고 있는 현상이 나타났다. 셋째, 우리나라 유상 ODA는 기획재정부에서, 무상 ODA는 외교부에서 담당하고 있고, 각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등에서도 ODA 사업을 별도로 실시하고 있어 정책 분절성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장애분야 ODA 정책 수립과 현장에서의 장애포괄적 개발협력 실천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리나라의 국제개발협력 연구는 2009년 11월 OECD DAC에 가입한 다음해인 2010년 이후 그 규모가 크게 성장하였고, 학제 간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장애분야 ODA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주제 또한 다양하게 다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다섯째, 호주와 미국, 영국의 ODA 정책을 분석한 결과 장애인을 범분야 이슈로 보고, ODA 실천에 있어 모든 분야에서 장애인이 배제되지 않도록 장애포괄적 개발협력을 위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었다. 우리나라도 2017년 KOICA에서 장애포괄적 개발협력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지만 ODA 현장에는 적용되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다중흐름모형으로 2013년 법 개정을 분석한 결과, 범 장애계가 국제개발협력에 관심을 가지게 된 초점사건은 ‘2012년 인천세계장애대회’였다. 2012년 대회 준비를 위해 출범한 한국장애포럼(KDF)의 활동이 법 개정에 결정적이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정부나 국회가 주도적으로 법을 개정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법 개정 후 정부 시책에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어, 국정감사나 정부 모니터링을 통한 사회 이슈화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일곱째, 다중흐름모형으로 2018년 법 개정을 분석한 결과, SDGs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높았지만 정작 법 개정을 대표발의한 것은 국방위원회 소속의 김중로 국회의원이었다. 이러한 현상은 2013년 법 개정 과정과 달리 표면적으로는 국회가 주도하여 법을 개정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김중로 의원의 관심사가 아닌 보좌진의 개인적인 관심사로 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한 것으로 분석되어, 법 추진에 힘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장애분야 ODA 사업 확대와 장애포괄적 개발협력을 위해 연구에서 제시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ODA 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 장애인 전문위원이 참여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2008년 유엔장애인권리협약(CRPD)을 비준했는데 이는 국내법과 동일한 효력을 가지고 있다. CRPD에서는 국제개발협력 전 과정에 장애인의 참여를 보장하도록 하고 있어 국제개발협력위원회에의 장애인 전문위원 참여는 그 정당성을 찾을 수 있다. 둘째, 무상 ODA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KOICA에 장애분야 전문관을 두어야 한다. 무상 ODA 사업 규모가 커지고 있고, 장애분야 ODA 사업 상당 부분이 KOICA의 민관협력사업 형태로 시행되고 있어 KOICA 직원들이 먼저 장애인지적 관점을 이해하고, 현장에 장애포괄적 개발협력을 적용시키기 위해 노력한다면 장애분야 ODA 사업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장애포괄적 개발협력을 위한 법적 제도장치가 2013년과 2018년 「국제개발협력기본법」 개정을 통해 마련되었다면, 이제는 정부 시책에 장애포괄적 개발협력이 포함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특히 향후 5년간 우리나라 ODA 기본정책을 수립하는 2020년이 중요한 한 해가 될 것이다. ‘제3차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2016-2020)’ 수립 시 기본계획 안에 장애인이 범분야 이슈로 포함되고, ODA 사업 성과지표에도 포함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학계와 장애계, 그리고 장애관련 소관부처인 보건복지부가 장애인이 범분야 이슈로 포함될 수 있도록 정책 선도가의 역할을 다해야 할 것이다. 넷째, 학계와 장애계에서는 장애분야 ODA에 관심을 가지고 관련 연구와 정부 정책 모니터링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소외된 장애관련 이슈가 의제화 되지 못하는 현실을 고려하여 인류가 추구해야 할 SDGs에 담겨있는 장애포괄적 개발협력 목표 달성을 위해 학계와 관련 전문가들이 먼저 관심을 가지고 사회 이슈화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장애분야 ODA 정책변동 과정을 분석한 우리나라 첫 연구로서 장애분야 ODA 정책 특성을 규명하였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포괄적 개발협력을 위한 방안을 제안했다는 의의를 지니고 있다. For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of ODA in the field of disability,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related policies and their introduction and change process.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legal basis for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 Korea has been founded and amended from 2013 to 2018 with the help of Multiple Streams Framework of Dr. Kingdon. In so doing, this study reviews the policies and precedent studies for the areas of the ODA in the disability fiel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revisions of the ODA basic law in Korea are not good enough to draw a policy change from the government in the field. Secondly, it is true in Korea that there is no one with disability out of 65 members in the 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 addition, the Ministry of Health has no deep interest in the ODA business in the field of disability, which causes more isolation of the disability issues in the ODA policy discussions. Thirdly, it is very problematic that the application of disability inclusive development cooperation is not practiced in a comprehensive way. It is mainly because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is in charge of load ODA,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in charge of grant ODA and each department and many local governments have their own ODA business. Fourthly, even though the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 Korea have been increased from the year of 2009 when Korea joined OECD DAC, it is certain that the study for the ODA in the field of disability has not been fully encouraged and the related topics are very limited. Fifthly, similar to USA, Australia and England, Korea also announced the specific guidelines for the disability inclusive development cooperation in order to make the disabled included in every area in the ODA business. Nevertheless, since the guidelines are not applied in the field, the continuous monitoring and supplement are required. Sixth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law revision in 2013 by Multiple Stream Framework, the 2012 Incheon International Conferences on Disability made a turning point to draw attentions from many organizations and groups of the disabled. Especially KDF, which prepared the 2012 conferences, played a significant role to revise the law. Since the law was not revised by the government or the congress, the law is not applied effectively in the fiel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ocial interest in this issue with various efforts such as the parliamentary inspection of the administration. Seventhly, Multiple Stream Framework indicates that the revision of the law in 2018 increases the social awareness of the issue but the revision itself does not suggest a power to change the situation. It is because the legal revision was proposed by one staff of congressman JungRo Kim in the national defense committee, not by a social consensu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his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expand the ODA business in the filed of disability and cooperate the disability-inclusive development. First of all, an committee member with disability needs to be includ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ODA policies. Although CRPD requires the participation of the committee member with disability in all the proces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we also need to follow the CRPD which has the same legal authority as the domestic law in Korea. Secondly, KOICA needs to hire experts on the filed of disability. Since the size of grant ODA business increases and the business is done as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 program, the staffs of KOICA have to be guided by the experts who enable them to understand the busine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sabled. Thirdly,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include disability inclusive development cooperation to the government policies, because legal infra-structure was founded in the years of 2013 and 2018 with the revision of the basic law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Fourthly,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expand the business of the ODA in the disability field, more experts need to be dedicated into this field and the studies for the ODA in the disability field have to be done in more research institutes and the related organizations. This study is the first analysis for the process of ODA policy change in the field of disability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ODA policy, which has a meaning to suggest a method for a development cooperation.

      • 공사 중 발생되는 콘크리트 폐수처리를 위한 이동식 오수처리 시설의 적용 및 적정성 평가

        정우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작업 중 발생되는 콘크리트 폐수는 근로자, 감독자, 일반 시민들이 부지불식간에 비점오염원의 형태로 관로를 통해 유입되거나 토양으로 스며들어 관리가 쉽지 않다. 하천수 유입 방지를 위한 오탁방지막 설치 또는 공사 중 발생되는 비산먼지, 소음, 진동, 폐기물(콘크리트, 아스콘, 혼합폐기물 등)은 환경영향평가상 관리되어 방진망, 이동식 방음벽, 중간처리시설을 통해 폐기물 처리대책 등의 방안으로 관리되고 있다. 하지만 콘크리트 해체 시 냉각수와 혼합되어 나오는 건설오니들은 한정적으로 미세한 양으로 유출된다. 이러한 성향으로 건설 오·폐수는 관리되지 않는 상태로 비점오염원의 형태로 공공하천과 우, 오수관로 상으로 유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콘크리트 폐수는 터널 공사인 경우 오수 처리시설로 관리되고 있지만 도로공사는 종방향으로 길어 공사 범위가 넓고 오염수의 집수/처리에 대해 광범위한 접근으로 인해 효율성과 경제성이 저하된다. 이에 콘크리트 철거 시 발생되는 폐수를 이동식 우수처리 시설을 통해 pH 중성화, BOD 73.5%, TSS 89.1%, TOC 97.7%, TN 70.3%, TP 97.6% 처리 효과로 오수의 유출수 기준을 만족하였다. 본 연구는 도로(서울시 D구)상에 기설치된 콘크리트 옹벽(연장 L=600m) 철거공법으로 D.W.S 공법 시공 시 사용되는 냉각수로 콘크리트 절단 중 발생하는 오수를 이동식 오수처리시설을 통해 물리적, 화학적 처리를 시행하고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시료의 결과는 유입 전/유입 후 시료에 대해서 총 5회 검사 후 수질분석을 실시하여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용편익(B/C) 분석으로 이동식 오수처리시설의 활용이 경제적으로 적정한지도 검토하였다. 도로공사 특성상 종방향으로 길이가 길어 처리방법이 어렵지만 공사 중 발생되는 콘크리트 오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향후 유사공사 진행 시 이동식 오수처리 시설 활용을 통해 공사 중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Some concrete wastewater generated during construction is not easy to manage as it is introduced through pipelines or permeates into the soil in the form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that are not recognized by workers, managers, and users. Dust, noise, vibration, and waste (concrete, asphalt concrete, mixed waste, etc.) generated during construction or installation of an antifouling film to prevent the inflow of river water are manag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waste treatment measures, etc. However, when concrete is demolished, construction sludge that is combined with water is temporarily discharged in small amounts.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construction sludge flows into rivers, rainwater and sewage pipes in the form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without management. Existing concrete wastewater is managed as a sewage treatment facility during tunnel construction, but the length of the road construction is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e scope of construction is wide, and the efficiency and economic feasibility are lowering due to a wide approach to the collection and treatment of polluted water. Accordingly, the wastewater generated during concrete demolition was treated through a mobile rainwater treatment facility to neutralize pH, BOD 73.5%, TSS 89.1%, TOC 97.7%, TN 70.3%, and TP 97.6%, thereby meeting the sewage effluent standard. This study sought to physically and chemically treat concrete sewage generated during concrete cutting due to cooling water supplied when removing concrete retaining walls (extension L=600m) installed on the road by the D.W.S. method (Diamond Wire Saw). The results of the sample were tested a total of five times influent and effluent, followed by water quality analysis to confirm its utility. It also reviewed whether the use of mobile sewage treatment facilities is economically appropriate through benefit/cost (B/C) analysis. Due to the nature of road construction, it is difficult to treat it because it is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it was intended to minimize environmental pollution during construction by efficiently managing concrete sewage generated during construction and using mobile sewage treatment facilities in the future.

      • KOSPI200선물 고빈도 거래가 시장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

        정우석 건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최근 급속한 IT기술의 진보와 금융시장환경 변화에 따른 고빈도 거래 (High-Frequency Trading : 이하 HFT)의 증가가 자본시장의 유동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해 KOSPI200 선물시장을 중심으로 시장 유동성의 폭, 탄력성, 유동성의 변동성 측면에서 분석해 보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프레드율을 통해 시장의 폭을, 비유동성 지표 ILLIQ를 통해 시장의 탄력성을, 스프레드율의 GARCH/GJR- GARCH변동성을 통해 유동성의 변동성을 측정하고 HFT의 대용치로 취소율을 사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자료는 KRX TAQ(Trade and Quote) 자료를 사용하였다. 1000분의 1초(millisecond)단위로 구분된 실시간 신규, 정정, 취소 주문 호가 및 수량과 체결가격 및 수량, 1분 단위로 구분된 체결가격 및 수량, 거래량, 거래대금을 포함하고 있으며, 계좌정보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 분석 기간은 2009년 1월2일부터 2011년 3월 31일까지 564거래일이다. 회귀 분석결과 HFT의 대용치인 취소율이 거래의 탄력성을 의미하는 ILLIQ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동성의 폭인 스프레드율과 스프레드율의 GARCH /GJR-GARCH 변동성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과관계 분석결과 취소율은 유동성 척도들에 유의성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의 경우 ILLIQ와 스프레드율의 GJR-GARCH변동성이 취소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들간 영향력의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한 충격반응함수 분석 결과는 취소율이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동성에 의한 취소율 변화의 영향력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호가단위가 정해져 있는 국내 선물시장의 특성상 시장의 폭과 HFT간에 상관관계는 없지만 거래 탄력성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나타내는 연구결과라 할 수 있겠다.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high frequency trading(HFT) on the capital market liquidity in the case of the KOSPI. More specifically, three aspects of market quality are investigated to analyze the capital market liquidity; the spread ratio for the width of market, the ILLIQ for the resilience of market, and GARCH/GJR-GARCH for the volatility of spread ratio. In addition, cancellation ratio is measured to substitute the HFT. This study use the real-time transaction data and quote data from KRX for 564 trading days from January 2, 2009 to March 31, 2011.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three conclusions a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HFT has no effect on spread ratio. Second, ILLIQ is increased at t of HFT. Finally, GARCH/GJR-GARCH have no effect by HFT.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that HFT has a negative impact or no impact at capital market liquid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