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연구시설 재정투자 목표설정에 관한 연구 : 국립대학교를 중심으로

        최형규 서울산업대학교 주택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79

        우리나라 국립대학교는 해방 이후 현재까지 국가사회 발전의 선도적 기능을 수행하고 사립대학의 발전노력을 촉진함으로써, 대학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왔다. 대학의 수적인 규모면에서도 종합대학 23개, 산업대학 6개, 교육대학 11개 등 40개교로 증가하였고, 대학시설의 양적인 규모에서도 2007년 현재「대학설립ㆍ운영규정」이 정하고 있는 시설기준면적 (강의실과 실험실습실로 구성되는 교육기본시설과 학생회관, 기숙사, 대학본부, 도서관 등의 지원시설 기준) 대비 전국 평균 시설확보율이 95.8%에 달하고 있으며, 일부 대학은 100%에 달하는 수준까지 성장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시설의 양적 평가는 단순히 규정이 정하고 있는 시설기준적 관점에서 교육에 필요한 시설의 종류와 최소기준 대비 시설확보 정도만을 나타내는 지표일 뿐, 다변화되어진 국제화사회와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되는 대학기능 공급을 위해 필요한 시설에 대한 양적, 질적 시설수요의 충족기준은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 국립대학 교육시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보다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산학협력에 필수적인 연구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시설, 부속시설, 산학협력시설 등에 대한 적정시설기준이 없어, 대학경쟁력 확보를 위해 확충이 시급한 시설들임에도 투자방향 설정이 어렵고 투자논리 개발이 어렵다. ○ 국립대학교 현 시설의 국제적 수준정도를 양적이나 질적으로 비교 평가할 수 있는 외국 기준이 없어 인증을 대비한 시설확보 기준설정이 어렵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 개선을 위하여 설정한 본 논문의 목적은 국립대학교의 산학협력에 필수적인 연구시설의 적정 투자목표를 제시하는 것이며, 연구내용의 구성 및 방법은 아래와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내용의 구성의 경우 연구시설의 재정투자 목표치 설정을 위하여, 우리나라 대학 시설기준 관련 제도변천 내용분석 및 국립대학의 대학시설보유현황 조사, 시설 만족도 조사, OECD 국가의 대학교육 정책동향, 시설기준, 시설보유현황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방법의 경우 연구내용과 관련된 국내외 문헌자료와 각종 통계자료 분석, 선행연구조사 등의 문헌조사와 해외 현지방문조사, 국립대학 시설담당자와 교수를 대상으로 한 시설만족도 설문조사, 해외 200 대 대학 시설담당자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 국내 수도권 주요사립대에 대한 설문조사, 전문가 협의회 운영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 수행 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본 논문은 급속히 발전하는 정보통신기술과 대학교육시설의 개방, 산학협동 및 삶의 질 요구 등에 따라 필요한 대학교육시설의 양적, 질적 요구수준을 선진국 대학시설과 비교하여 파악하고 우리나라 국립대학교 연구시설과 부속시설 투자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가 예상된다. ○ 선진 각국의 대학시설 별 현황자료 분석을 통하여 국내 대학교육시설의 수준 파악 ○ 선진국의 대학시설 현황분석을 기반으로 도출된 대학 연구시설과 부속시설 자료는 향후 국ㆍ공ㆍ사립대학교 시설기준제정의 타당성 및 신뢰성 제공 ○ 국립대학 시설사업 중기재정계획 수립 및 예산편성 시 대학 별 투자목표 설정의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예산편성의 타당성 제고 As the research intended to check the area required for research facilities of university necessary for diversified international society and knowledge-based society and to estimate the required amount which is not in the viewpoint of quantitative evaluation of facilities, this dissertation was implemented to prepare the standard for calculating the financial investment in expanding the research facilities of university. Currently, main countries in the world open universities with the emergence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establish research and investment institutions to cope with lifelong learning society and expand the support to area of basic science and applied research as well a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vestment to industry-academy cooperation facilities,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and research facilities. However, universities in Korea have played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university by performing the leading function of na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and promoting the effort of private universities for development since the emancipation. In quantitative scale of university, it increased to 40 schools composed of 23 universities, 6 industry universities and 11 educational universities. In the quantitative scale of facilities in the university, the average rate of facilities preparation in the country is 95.8% and some universities reach 100% compared to the facilities standard area (based on basic education facilities composed of lecture room and laboratory room as well as supporting facilities such as student hall, dormitory, university head office and library) designated by 「regulation of establishing and operating university」 in 2007. However, the researcher judged that this was merely the index shown in the viewpoint of facilities standard simply set in the regulation and it was required to prepare the proper standard of research facilities through actual investigation so as to ensure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y. Thu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proper investment goal of research facilities indispensable to the present industry-academy cooperation.

      • 郵遞局 作業場 照度 및 事務室 照度 合理化 硏究

        안종면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재 우체국 우편업무는 우편물 접수관리, 운송관리(구분, 교환 및 체결), 집배등과 운영 지원부서인 사무분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그 중 운송관리 업무는 주로 현장 작업장에서 수행되고 있어 현장의 조도는 근무자들의 건강은 물론 업무능률과 직결된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우체국 증·개축시 광범위한 조도설계(KS A 3011 300∼750[lx])를 일관성 없이 적용함으로써 우체국별로 근무환경이 대부분 상이 하였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1995년도(서울서초우체국, 용인수지우체국), 1999년도 (성남분당우체국, 안양평촌우체국) 그리고 2003년도(서울강남우체국, 서청주우체국)설계 시공한 우체국 2개씩을 대상으로 작업장 및 사무실 설계조도를 검토하고, 각 연도별로 시공된 3곳(성남분당우체국, 서울서초우체국, 서울강남우체국)을 직접 방문하여 설계시와 비교하여 현재 어떠한 형태로 변경되어 있고, 현재 조도는 얼마를 유지하고 있는지 등을 파악 분석하였으며, 특히 서울서초우체국에 대하여는 과거와 현재의 설치상태를 조명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차이점을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적정한 작업장 및 사무실 근무형태를 도출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논문에서는 우체국 작업장 및 사무실의 조도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아래와 같이 다루었다. 1. 조명의 기초에서는 조명을 쉽게 생각할 수 있고 이해할 수 있게끔 조명과 인간생활과의 관계 및 조명 용어를 설명하였고, 2. 조명기구의 종류는 배광분포, 형태, 용도에 따라 분류하여 다루었으며, 특히 우체국 작업장 및 사무실에서 주로 사용하는 형광등을 설명하였다. 3. 옥내조명은 조명방법과 설계방법에 따라 논하였고, 설계방법은 광속법과 구역 공간법을 설명하였으며. 또한 국부조명의 계산을 알아보았다. 4. 또한, 사무실 조명형태와 우체국 작업장조명을 알기위한 공장조명을 포함하였으며 현장에서 원활한 유지보수를 위하여 현장조도 계측법을 소개 하였다. 위 사항을 토대로 1995년, 1999년 및 2003년 우체국 작업장 및 사무실 조명설계 현황을 비교 분석 적정조도를 파악하여 향후 환경개선 및 증·개축시 기준치를 제시함으로써 친화적인 환경을 만들고자 한다. Presently, major work at the post office is generally categorized into mail acceptance, transportation management(mail sorting, exchanging, contracting, etc), delivery service and office work for business operation. Among them, transportation management work is usually performed in the work places of post office, whose illumination is directly linked with work efficiency and affects worker's health. In spite of these facts, extending or renovating the building, we still adopts a wide range of illumination criteria(KS A 3011 300~750[lx]) without any consideration for different working environment of each post office. Hence, I have chosen 6 post offices that were Seo-cho post office from Seoul, Su-ji post office from Yong-In designed in 1995, Bun-dang post office from Sung-nam, Pyung-chon post office from An-yang planed in 1999, and Gang-nam post office from Seoul, Seochong-ju post office from Chong-ju drowed in 2003. and examined illumination degree of those work places, including both indoor and outdoor. I visited 3 post offices; they are Bun-dang post office, Seo-cho post office and Gang-nam post office which represent each year's building and analyzed what has been changed from the original design, what degree of illumination is being kept currently, and so on. Especially, as to Seo-cho post office I used simulations of lighting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the installation condition which is applied in the past and the present respectively and then, I would come up with the more relevant environment of work places and in door offices. In this paper, I deal with some necessary fact for understanding the illumination of work places and indoor office as follows. 1. Basis of the illumination explains the relation between illumination and human life as well as illumination terminology to the concept of illumination easily. 2. Kind of lighting instrument is explained as being classified into luminous intensity, distribution, type, and purpose, especially, mentioned fluorescent lights used in the work places or indoor office. 3. In the indoor lighting section, I treat "Method of Illumination and Method of Design" and "Lumen method & Zonal Cavity method" in the aspect of Method of Design, and then I considered calculation of the local lighting. 4. I also introduced "Illumination Estimating Method" for easier maintenance of the work and indoor office including the illumination type of indoor office and factory. Based on these items mentioned above, I would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illumination of work place & indoor offices designed in 1995, 1999 and 2003. In the result, I intend to propose a kind of standard for extending/renovating the buildings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d environment in the future.

      • ERP 커스터마이징 방법에 대한 사례연구 : 서비스 산업의 ERP 구축을 중심으로

        이상훈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서비스 산업이 국가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한국 서비스 산업은 생산구조 측면에서 GDP 대비 54%, 고용비중 63%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또 비중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리고 시장의 개방이 현실화되고 있으나 서비스 산업 전반의 낮은 생산성과 취약한 대외 경쟁력으로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제조업에서 확산되어 있는 ERP 시스템을 경영혁신의 도구로 서비스 산업에도 도입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ERP를 패키지 방식으로 도입하려고 할 때, 기존의 업무 프로세스와 ERP 프로세스와의 차이(gap)가 발생하여 ERP 프로그램들은 수정, 보완하고 추가 기능들을 포함시키는 작업, 즉 커스터마이징이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실제로 ERP를 도입하는 기업들의 대부분은 그들이 필요로 하는 기능과 ERP 패키지에서 제공되는 기능과의 차이가 적어도 20% 정도가 발생한다고 한다. 따라서 ERP를 도입하려는 기업들은 ERP 패키지 기능과 도입 기업의 요구사항간의 차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즉, 커스터마이징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ERP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ERP 패키지에 대한 커스터마이징 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약간의 연구가 제시되었지만, 서비스 산업의 경우에는 빈약한 편이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서비스 산업인 대학교에서 ERP 시스템을 도입하는 경우 ERP 패키지와 도입하고자 하는 대학교의 요구사항의 차이를 해결하는 방안인 ERP 커스터마이징의 방법론을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는 ERP 시스템이 업종별로 특이하므로, ERP를 도입하였거나 혹은 도입하는 과정에 있는 대표적인 4개의 대학교를 선택하여 사례연구를 통해 4개 대학이 ERP 도입 시 대학 업무 프로세스와 ERP 프로세스와의 차이를 커스터마이징하기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4개 대학의 커스터마이징 방법을 종합해 보면 ERP의 기본기능을 수정하는 일은 없었고 포탈, 학사관리, 그룹웨어, 입시 등 ERP와 다른 기능 및 특성을 가진 소프트웨어는 기존시스템 연동으로 해야 하고, 원래 ERP에 없는 모듈 및 프로세스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는 추가개발로, 대학에 있어야 할 업무인데 예를 들면 학사 관리, 입시, 수강신청 등이 에러가 많거나 시스템 속도가 느리거나 할 경우에는 신규개발로 처리하는 것이, 나머지 업무마다의 약간의 갭은 주로 파라미터 조정으로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사되었다. 또한, 사립대학과 국립대학의 갭을 비교해 보면 사립대학(A대학, C대학)이 국립대학(B대학, D대학)보다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사립대학에서는 연구행정, 병사관리, 시설관리, 인적자원관리, 보건소, 생활관, 기숙사 관리에서는 추가개발이라는 커스터마이징 방법이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표준화 측면에서 살펴보면 대학 업무 프로세스의 표준화를 수행할 때 ERP 특정모듈과 핵심모듈과의 커스터마이징 방법의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다시 말해서 대학에서의 표준화, 모듈화가 아직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특정모듈인 연구행정, 병사관리, 보건소관리, 생활관관리, 기숙사관리 등의 갭이 커서 커스터마이징의 대부분을 추가개발로 해결하였다. 그러나 핵심모듈인 재무회계, 관리회계, 구매자재, 설비관리 등은 5% 내외의 재설계를 통해 주로 커스터마이징을 수행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 대학에서만 존재하는 특정업무는 대학 특성에 맞도록 추가개발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ERP 표준 프로세스와의 차이를 나타내는 갭의 크기가 크다는 사실을 알았다. 또한 대학 프로세스 표준화, 모듈화가 진전된다면 커스터마이징 비용이 상당히 감축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 프로세스의 표준화 측면에서의 연구를 수행하지 못한 한계를 지닌다. The role of service industry in Korea has been enlarging more and more. It has accounted for 54% of GDP and 63% of employment. However, with the ongoing market opening, the competitive power in service industry needs to be imminently enhanced in terms of productivity and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the enhancement of its competitive power, it is necessary for Korean service industry to implement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system, which is widely used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s a means of management innovation. However, a gap between the existing work process and the ERP process is generated in the course of ERP implementation. In order to avoid this kind of gap, it is necessary to customize the ERP package. ERP customizing is defined the course of modifying and complementing the ERP program and adding more functions in the program. It is said that at least about 20% of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functions needed and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ERP package when the majority of businesses actually implement ERP. Thus, businesses with the intention of implementing ERP need a solution for the gap between the functions of the ERP package and the functions required in the businesses. To look for a solution of customizing issu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to consider for successful ERP system implementation. There have been a few studies on the ERP package customizing methods, but among them studies related to service industry seem rare. Therefore, the present study looked into the customizing methods as a solution of the gap between the ERP package and the requirement of a university assuming that the university, a representative of service industry, implements ERP system. As ERP system is specialized by industry, the present study selected four representative universities which had implemented ERP or were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and, by conducting case studies, examined specifically the customizing methods that the four universities employed to avoid the gap between the university's work process and the ERP process in the course of implementing ERP.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By synthesizing the customizing methods of the four universities, no case of modification of the basic functions of ERP was found. Also, it was found desirable that the existing system should be linked to the software which has different functions and features from ERP such as portal service, school affairs administration, groupware management and entrance exam administration, that supplementary development should be done when the required module is not included in the ERP or the required process is largely different from the one of the ERP, that new development should be done when there are a number of errors in requisite processes for the university such as school affairs administration, entrance exam administration and course registration or when the system works slowly, and that moderate gaps between the rest work processes and their counterparts should be resolved by adjusting parameters. And, in the comparison of the gaps between in private universities and in national universities, the gaps in private universities (A university and C university) were larger than the ones in national universities (B university and D university). The result was due to the fact that private universities employed the customizing method of supplementary development for research administration, military affairs administration, facility management, human resources administration, health service center management, etiquette training house management, and dormitory management. Besides, from the aspect of standardiza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ustomizing methods between the particular ERP modules and the key modules in the course of performing the standardization of university's work process. That is, there was so large gap in the particular modules such as research administration, military affairs administration, health service center management, etiquette training house management and dormitory management, of which standardization and modularity has not achieved properly yet, that most parts of the customizing were resolved through supplementary development. However, for the key modules such as financial accounting, managerial accounting, purchase and inventory management and equipment management, the customizing was mainly conducted through 5% or so of redesigning. Lastly,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the gap, the representation of the difference from the standard ERP processes, is large for the particular processes that exist only in universities because supplementary development is necessary in order to reflect the universities'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advancement of standardization and modularity may considerably reduce the costs of customizing.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has limitations of not conducting research from the aspects of standardization of university's work process.

      • 보호구 제조 산업의 육성과 검ㆍ인증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신세철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보호구 산업은 이익보다는 근로자의 생명을 보호하는 고차원적인 산업이며, 공공성을 위하여 정부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제조의 단순성과 적은 수익성 등의 이유로 그 중요도보다는 저평가 되어 제조 산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이 부진하였다. 국내의 보호구 제조 산업은 초기 일본의 것을 그대로 모방하는 기술로부터 시작되어 현재 꾸준히 기술 향상을 피하고 있으나, 영세 소규모 사업장이 대부분이어서 기술, 자금, 인력 둥이 부족하고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기 힘든 실정이다. 또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였다 하더라도 신제품에 따른 홍보부족, 제한된 유통구조 및 품질관리, 전문 인력 및 시설의 부족, 제한된 실험장비 등의 문제로 보호구 제조 산업에 대한 지원은 안전을 위한 최저 기준 제시에만 머물고 있어서 이를 국제적 수준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인 대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국내 및 선진외국의 보호구 산업 관련법 및 검사, 인증, 검정 제도 적용실태를 파악, 비교 분석하고, 현재 보호구를 제조, 판매자 및 안전전문가 등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1) 정부의 검인증기관 확대·개편 - 현재 검정수준을 국제기준에 맞도록 기준, 장비, 인원확보를 위한 관련 규정 개정 및 기준을 제정한다. - 가칭 안전검인증본부로 확대하여 국제규격 인증을 기관화하는 방향으로 조직시스템을 현실화시킨다. - 가칭 안전검인증본부는 기술지원, 자금지원, 인력지원등의 전략 목표를 수립하고, 보호구 제조 산업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을 수행한다. - 선진국의 관련기관(TU¨V등)을 모델로 하여 예산, 장비, 인적구성을 마련하고, 세계적 수준 이상으로 육성시킨다. (2) 보호구 제조업체 지원을 위한 법률 기반 조성(시행규칙 제정) - 새로운 위험에 대한 보호구를 파악하고, 정정 및 검사제도 대상 범위를 확대 조정한다. - 법 제 62호에 제정된 바와 같이 보호구 업체들이 산재예방사업에 따라 자금 지윈을 받을 수 있도록 세부 시행규칙을 제정하고, 최대 2,000만원 한도의 무상지원을 실시하도록 한다. - 성능검정규정의 산업안전기술기준과 KS를 통일화시켜 생산 시부터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일원화 된 기준을 제시하며, JIS 와 ISO와 같은 국제규격으로 변화시킨다. (3) 산·학·연 공동 연구를 위한 기반을 조성 - 현재처럼 경험적 지식에 의하여서 상품을 개발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산·학 공동 연구를 통하여 제품을 개발하고, 새로운 장치를 개발한다. (4) 위탁 시험소(설비가 갖추어진 대학중심)를 개설하여 품질향상을 유도 - 대학 등 비영리단체와 연계하여 위탁시험소를 설치하며 그 기준은 한국 시험기관인정기구(KOLAS)로부터 국제공인시험기관으로 인정받을 만한 수준의 시험소가 선정될 수 있도록 한다. - 위탁 시험소 운영시 첫해에는 1개 기관 또는 대학을 선정하여 운영하고, 2년차 에 성과를 측정하여 지역본부 3개소로 확대한다. 5년 후 지역별, 기능별 탄력적 운영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위학시험소의 운영에 대한 지침과 사후 관리는 안전검인증센터에서 실시하며, 매년 운영 상태를 평가하여 일정 수준을 유지하도록 관리한다. The protector manufacturing industry is the highest industry that focuses on rather protecting employees than gathering profit and must need to get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n order to be fair. However, due to the fact that it is valued lower by reasons such as producing simply and low profit, it is supported rarely in order to being an effective industry. When the industry in Korea started, it copied the first system Japan used have. Even though it has tried to improve their own technology since then, it has such bad circumstance that it could not produce high quality products because of small businesses for lack of skills, manpower, and funds. Moreover, because of several problems such as insufficient information, limited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products' quality, and being sort of experts, facilities and equipment, although it has such good technology that it could produce high quality products, that it is supported remain in below standard by published code. Therefore, it must need to make measures in order to be the same level as international standard. This thesis is shown by the survey including improvement measures of the inspection and certified system found below problems, and has solution to fix up those problems. 1. To enlarge and revise inspection and certified system agency of the Government - Revise and change code, equipment, and manpower to fit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 Realize protector system by spreading institutions named a head quarter of protector - An agency named a head quarter of protector makes goals such as supporting to be better skills, funds, and manpower and does support the protector manufacture industry - Be ready to able to be the same as the international standard, prepare resources such as funds, equipment, and manpower to catch up a better system advanced countries have 2. Establish the laws in order to support protector businesses - Try to make sense about protectors which are in dangerous and enlarge and modify the range of the inspection and certified system - According to the law numbered 62, make detailed rules for protector companies in order to get support and fund and enforce to support funds(maximum ₩2,000) without the interest rate - Make clearly the standard including both of KS and Industrial Safety technical code that high quality products could be made at first and try to develop it to be the same standard as JIS and ISO 3. Make the base of study to work all of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the academic world together - Because of, by recent knowledge, the limit to produce and develop new products, industry and the academic work on together and develop products to be better 4. Establish a contract laboratory for the lead of improving quality

      • 금형산업 근로자의 숙련형성에 관한 연구

        김현진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의 목적은 금형산업 근로자의 숙련형성의 과정과 숙련의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금형산업 근로자의 전반적인 숙련양상을 파악하는 것에 있다. 이 연구는 (1) 비공식적 교육훈련인 현장학습과 현장경험이라는 사회적 요인, (2) 기술적 요인, (3) 근로자들의 숙련형성을 위한 정책 수립에 있어 가장 영향력이 있는 경영자의 선택이라는 전략적 선택요인 등 세 가지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대상은 금형산업 근로자 가운데 금형가공 및 사상 제조를 담당하는 생산기능인력들로서 표본은 서울산업대학교 금형설계학과와 산학협력관계를 맺고 있는 금형업체 중 약 27개사에 재직하고 있는 190명의 생산직근로자들이다. 설문조사는 2005년 4-5월에 이루어졌다. 표본추출은 편의표집(convenience sampling)이며 분석방법으로 평균격차 분석(mean difference)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형산업 근로자의 숙련은 경력 혹은 근속이 클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학력수준별로 숙련의 증가 추세는 다르며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금형기술 교육을 이수했을 확률이 높고 금형기술 교육의 경험이 있는 근로자가 그렇지 않은 근로자보다 숙련수준이 높았다. 특히 기능대학졸업자들의 숙련수준이 타 집단에 비하여 확연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기능대학 졸업자집단의 직업훈련 및 교육을 통한 학습 결과라 할 수 있다. 둘째, 주요담당기계의 자동화의 여부는 금형산업 근로자들의 숙련수준과 유의미한 관계에 있지 않았다. 수동범용기계와 자동화기계를 담당하는 근로자간 숙련수준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력이 높을수록 재직했던 회사의 수가 많지만 회사의 이동 횟수와 숙련수준이 양의 관계에 있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는 금형산업 근로자가 담당직무에 필요한 숙련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일정기간의 근속기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금형산업 근로자의 임금은 경력 혹은 근속이 클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직이 잦은 금형산업 특성상 근속에 의한 임금효과 보다는 경력에 의한 임금효과가 조금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임금이 높았고 금형기술 교육경험의 유무와 담당기계의 자동화 여부는 임금과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이 작은 근로자의 경우 회사의 이동 횟수가 많을수록 낮은 임금을 받고 일정수준의 숙련 수준에 도달한 경력이 큰 근로자의 경우엔 유동성이 커도 임금이 높았다. The thesis intends to identify a skill aspect of workers in Die and mould industries by positive analyses on the process of skill formation and the determinants of skill. This study investigates worker's skill focused on three kinds of determinants of skill. (1) Societal factor : on-the-job learning as inform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on-the-job experience ; (2) Technical factor ; (3) Strategic choice factor : the management strategy which has the most influence in formulating a policy on skill formation of the work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production technicians in charge of process and polish of moulds. Data were col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through mailed-questionaries and e-mailed-questionaries to 27 Die and mould firms that have the relation of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with the department of Die and mould design in S.N.U.T. The survey was done between April and May in 2005. The number of valid responses is 190 and the way of mean difference was used for analysis of data.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kill level of workers in Die and mould industries is improved on the basis of an increase in the career or the length of service. The trend of skill improvement is different from educational level, and the skill level of workers educated technology of manufacturing moulds is higher than the level of uneducated workers. Especially the skill level of workers who graduated from a Polytechnic college is definitely higher than other groups. This is the result of learning through vocational training and education in a Polytechnic college. 2. The skill level of workers in Die and mould industries has any positive relation with the fact whether the machine in charge is automated or no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skill level between workers in charge of hand-operated machines and workers in charge of automatic machines. 3. The career level is accompanied with the number of firms in service, however, it is proved that the skill level isn't improv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changing of post. It means that a period of continuous service for skill formation of workers in Die and mould industries is need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ir duties. 4. The wage of workers in Die and mould industries is increased by the career or the length of service. The wage effect on the career is a bit higher than the effect on the length of service since a separation rate is generally high in Die and mould industries. The wage is increased by individual's education, however, it has no significance with technical education of manufacturing moulds and the kinds of machines in charge. In case the career level of workers is low they get low wages according as they change the post in the same kind of industry, and in case of skilled workers whose career is high they get high wages even though liquidity in changing of post is large.

      • 산재보험 부정수급 식별모형에 관한 연구

        함승오 서울산업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산업재해 발생 시 산업재해근로자는 근로복지공단을 통해서 각종 급여를 받게 된다. 본 논문은 심사 과정과 급여지급 후에 부정수급으로 판명된 산재 청구 건을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서 분석하여 부정수급의 유형을 발견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서울관내 4개 지사에서 8년 동안(2000년~2007년)의 총 61,704건의 최초요양 신청을 한 산업재해근로자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고,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8개의 독립변수를 선택해서 사용한다. 데이터 마이닝을 적용함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인 허위․부정 탐지 모델을 만들기 위해 의사결정나무분석(Decision Tree)과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ion)등의 다양한 기법을 적용하여 결과를 비교분석 하고, 오분류 비용을 적용하여, 최적의 분류결정 값을 가지는 모델을 도출한다. 분석결과, 의사결정나무분석에서는 요양기간이 산재보험 부정수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선정되었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이 산재보험 부정수급 유형 발견에 보다 효과적인 모델로 판명되었다. 또한 Under Sampling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판별점(Cut-Off) 0.05로 했을 때 오류비용을 최소화 하는 최적의 판별점임을 밝혀냈다.

      • 애니메이션 후반작업의 구조적 활성화 방안 연구

        전대현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우리나라 사회에 있어서 애니메이션이라는 개념이 자리 잡기 시작한 것은 불과 10여 년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경제·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의해 문화적 가치가 높아지고 문화활동에 대한 수요가 커지면서 문화의 상품화·산업화가 추구되는 문화산업의 경제화 현상이 크게 대두되면서 애니메이션도 하나의 문화산업으로서 정착되어 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문화산업 발전과 더불어 애니메이션은 21세기 문화산업 중에 한 축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정부 몇 지자체에서도 애니메이션을 문화산업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갖가지 방안들을 적극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즉 문화산업 육성을 위해 문화 컨텐트진흥원, 서울애니메이션센터, 부천만화정보센터, 춘천애니타운 등의 기관을 설립 만화· 애니메이션산업의 지원 및 애니메이션 산업에 대한 지원과 국민의 인식을 전환시키고자 개관하였으며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 페스티벌(SICAF), 동아·LG 국제만화 페스티벌, 부천 국제대한애니메이션페스티벌 등 다양한 국제 페스티벌을 열어 창작력, 한국애니메이션산업의 진흥 및 기반 조성을 위해 앞장서고 있다. 이렇듯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은 규모 및 지원 면에서는 많은 진보를 보이고 있으나 내용적으로는 아직도 낙후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말하자면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은 하청 산업으로서는 발달하였으나 부가가치를 지닌 완성도 높은 창작산업으로 발전되지 못하였다는 의미이다. 이에 애니메이션 POST-PRODUCTION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제시하여 Post-Production 발전방향을 모색코자 한다. 2장 애니메이션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애니메이션의 개념, 발생, 분류를 통해 애니메이션을 이해하고자 했으며, 3장 애니메이션 산업구조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구조적 문제를 진단하였고, 4장 우리나라 애니메이션 Post-Production 구조 연구를 통해 제작, 인력구조 및 문제점 등을 알아 보았고, 5장에서는 3장에서 제시한 현황을 중심으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함은 물론 애니메이션 Post-Production 표준 작업 시스템 제시를 통해 Post-Production의 인식이 올바르고 곧게 자리 잡아 애니메이션 제작시스템의 발전으로 이어져 보다 질 높은 창작 애니메이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본 논문의 요지는 기존의 Post-Production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인해 발전에 대한 연구가 없었으며 제작 시스템에 대한 시스템 제지에 중점을 두었다. 인력양성에 관한 교육적 개선방향은 차후 논문에서 연구하길 바라며 조금이라도 애니메이션계에 Post-Production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 주었으면 한다. It is not more at 10 years only that concept that is the animation in our country society begins to recognize. However, animation is becoming settled as one of the cultural industry as the cultural value rises and the demand for the cultural activity increases by change of economic and social circumstance along the economical phenomenon of the cultural industry, which demands the commercial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culture, is greatly risen. Also, animation regard as one of the 21th century culture industry along with culture industry development. Therefor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evaluate animation as culture industry , and present various ways actively. So they established Seoul Animation Center, Paunches Cartoon Information Center, Ch'unch'on Ani town etc. for culture industry upbringing and changing people's cognition about cartoon animation industry. And They hold various international festival such as Seoul international cartoon animation Festival (SICAF), Dongah LG International Cartoon Festival, Pucheon International Students Animation Festival for Promotion of Korean Animation Industry and foundation. Korean animation industry have developed as scale and support but Contents have not. it means that Korean animation industry was developed as for subcontract industry but was not developed by consummativeness high production industry that have added value. I Wish to present problem of animation Post-production work and improvement and find Post-Production development direction.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nimation, we recognized the concept, the occurrence, and the classification of animation, and in chapter 3, we diagnosed the structural problem by the research about the structure about the animation industry, and in chapter 4, we studied the production, labor system, and the problems through the research of Korean animation Post-Production structure, and in chapter 5, we present the solution for the problem that are presented in chapter 3 for sure, and we contribute the activation of creative animation with high quality follow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animation production system as the recognition of Post-Production is settled rightly and straightly through the presentation of the work standard system for the post-production work of animation. The site of this treatise also emphasized in system presentation as was no research about development inappreciatively about existent Post-Production I wish to study Educational improvement more in other treatise and implant consciousness about the importance about Post-Production.

      • 서울시와 뉴욕시 條例 중 建築物의 垈地 안의 空地와 規模規制 手法에 관한 比較·硏究 : 주거지역을 중심으로

        이장춘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은 서울시와 뉴욕시 조례의 규정 중 건축물에 대한 규모·형태의 규제 수법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여 서울시 조례의 미비한 부분의 개선 안을 제시하고 한다. 첫째,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과 주거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건축물의 규모 및 형태의 규제수범으로서 서울시 조례는 건축물의 용도, 건폐율, 용적률, 도로경계선과 인접대지경계선으로부터의 이격거리 및 전면도로에 의한 높이제한이 있으나, 뉴욕시 조례는 위 규제수범에 추가하여 대지의 전면 너비 및 측면길이, 전·후면 및 양측면 이격거리, 최소대지면적, 건축밀도, 최소 공지율 등으로 보다 더욱 지역의 특성과 환경여건에 맞춰 자세히 규제하고 있다. 둘째, 대지 안의 공지를 확보함에 있어서 서울시 조례는 건폐율, 조경 및 공개공지 등의 설치와 인접대지경계선으로부터의 이격거리(0.5m)로 규제하고 있으나, 건폐율에 의한 공지를 확보하면 기타의 규제에서 요구하는 공지는 충족되기 때문에 이격거리 등의 미흡 등으로 인하여 주거환경의 보전이나 유지가 어려우며, 이로 인하여 민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뉴욕시 조례는 주거지역에서 후면이격거리를 30ft이상·전면은 특성에 따라 8ft∼25ft이상·양측면은 최소 8ft이상 확보하도록 규제하고, 공지율·건폐율 및 최대바닥면적비 등으로 규제함으로써 채광·통풍을 원활하게 하고 소화상 통로 및 인화방지를 충분히 할 수 있다. 셋째, 용도지역을 지정하는데 있어서 서울시 조례는 단일 용도지역을 넓게 지정함으로써 주거지의 입지여건이나 특성을 살리는데 한계가 있으며, 주거용도와 비주거용도의 혼재로 인하여 주거환경을 조성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뉴욕시 조례는 대지의 위치, 크기 및 형상 등을 고려하여 종류·형태 및 규모별로 세분화한 group단위로 지역을 지정함으로써 당해 지역의 입지여건이나 특성에 적합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또한 주거지역 안에 허용되는 비주거용 건축물은 주거지역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적정한 거리를 띄어 건축하도록 하였으며, 주거지역 안 또는 인근에 설치되는 상업지역도 주거지역의 규제를 따르도록 하여 주거환경을 철저히 보호하고 있다. 넷째, 서울시 조례는 주거지역에서 일조 등을 위한 절대높이 제한지역과 절대높이를 제한하지 않는 지역으로 구분하여 규제하는데, 절대높이 제한 지역인 제1종 전용주거지역의 경우 주거용 건축물(8m)보다 비주거용 건축물(11m)이 오히려 3m 높게 제한되고 있으므로 인해 주거용 건축물이 일조 침해를 받고 있으며, 제1종 및 제2종 일반주거지역은 4층 또는 12층 이하로 절대높이를 규제하고 있으므로 건축물간의 높이 차이로 인해 일조 등의 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특히 절대높이를 제한하지 않는 지역인 제3종 일반주거지역 및 준주거지역에서는 그 피해가 더욱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뉴욕시 조례는 4층 이하 저밀도 저층 주택 주거지역과 5층 이상인 중·고밀도 일반주거지역으로 구분하여 저밀도 저층주택 주거지역(R1∼R5)에서는 주택의 종류·형태·최고높이 및 외벽의 높이를 동일하게grouping하여 지정하며, 중∼고밀도 지역인 R6∼R10의 일반주거지역에서는 건축물의 바닥면적이나 층수가 증가하는 비율에 따라 대지 안의 공지면적도 증가하는 공지율을 적용함으로써 일조 등의 주거환경을 철저히 보호하고 있다. 다섯째, 도로에 의한 사선제한은 서울시 조례의 경우 모든 지역에서 건축물의 높이를 도로너비의 1.5배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규제함으로 지역의 특성이나 토지 이용측면이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고 있으나, 뉴욕시 조례는 도로의 너비가 좁고(75ft미만) 넓음(75ft이상)에 따라 도로 양측경계선에 접하여 건축물의 전면벽의 최고 높이를 달리 지정하여 축조하게 하며 그 축조한 전면벽의 최고 높이에서부터 setback하게 하는데 그 또한 수평거리 대 수직거리의 비를 합리적으로 다양하게 지정하게 함으로서 지역의 특성과 토지이용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controls for Open space and Bulk in a site in Seoul and New York especially on the Residential District. This study is for suggesting a better Ordinance of Seoul City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controls for the size and shape of a building in Seoul and New York. 1. A Ordinance of Seoul City has use of a building, lot coverage ratio, FAR, Back this standing distance from of the lot line and limitations on building height as controls of the size and shape of a building to effectively use lands and to protest residential environment. But New York's Zoning Resolution has regulations with addition to Seoul City's the front-wideness and side-size of Soul City's lot, . . . . , minimum Open Space Ratio and so on by the characters of region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2. To make open space in a site, a Ordinance of Seoul City makes control with But it is Lot Coverage Ratio, Landmark and Open Space and Yard. But it is difficult to conserve and remain residential environment through them. In conserve of New York's Zoning Resolution, there are regulations in a residential area such as Yard from front rear and sides of building and Open Space Ratio, lot coverage ratio, FAR and so on. These make sure enough lighting, proper ventilation and a path for extinguishing and fire prevention .. 3. Seoul City's Ordinance, which designate use groups, realizes the limitation of adjusting to site condition and characteristics, for designating alone use groups so widely, New York's Zoning Resolution, on the other hand, properly, regulates use groups with considering the location, size and shape of a site, which are subdivided by a kind, shape and size. 4. The regulation of Seoul City's Ordinance divides residential area for lighting into unlimited maximum height district. It's division brings about lighting damage by the difference of hight between buildings. Whereas, New York's Zoning Resolution classifies residential area into low densitied area(R1- R5) and middle and high densitied residential area(R6∼Rl0), which completely protects residential environment with applying appropriate ratio of open space. 5. Height limit from road, in case of Seoul City's Ordinance, prohibits building hight from being over more than one and half time in all area. But New York's Zoning Resolution has rationality and diversity, which are applied by read wide, in controling building heights. As a result, which is very effectively used in the side of regional character and land use.

      • 산업안전 보건교육체제의 개선에 관한 연구 : 제조업에 대한 법정교육을 중심으로

        김동철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제조업 중심의 안전보건교육 중, 장기 발전 계획 수립뿐만 아니라 국내 안전보건교육활성화를 위한 발전방안을 다음과 같이 수립하였다. 이 같은 방향의 구체적인 실천방안은 좀더 깊이 있는 검토를 통하여 정립될 필요가 있다. 또한 미래지향적이고 효율적인 국내 안전보건교육의 발전방안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 더욱 심도 있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첫째. 안전보건교육기관의 역할 분담 현재 산업재해율을 낮추고 안전확보를 위한 공동목표를 가지고 활동하는 기관은 공공기관, 대한산업안전협회, 일반 안전보건컨설팅업체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 교육 기관 모두가 근로자 및 사업장에 모두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는바 이에 대한 교육범위 및 교육 대상의 차별화는 매우 필요한 것으로 인식된다. 기술 및 조직을 확보한 공공기관이 사업장의 안전보건교육을 모두 시행한다면 다른 재해예방단체와의 업무영역에 대한 마찰이 불가피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안전교육기관인 공단은 국내 산업재해예방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고비용이 소요되는 교육, 사업주, 안전보건관리자, 관리감독자, 안전관리 요원 등 안전관리의 지도자 육성 및 전문화 교육 등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국내외 안전보건교육센터의 설치 현재 국내의 제조공장들이 인건비가 저렴한 중국 또는 동남아 등으로 이전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해외 안전보건교육센터의 설립에 대한 구상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경우 국내 기준에 버금가는 법률이 제정되어 있어 안전관리의 필요성이 더 절실해지고 있다. 국내안전보건 교육의 노하우를 활용하여 한국법인 외국 생산공장에 대한 기본적인 안전관리를 하는 것도 필요하다. 셋째. 산, 학, 연 안전보건 협력체계 구축 기술의 개발 및 교육의 다변화 등을 위한 대학과의 연계는 세계 모든 국가가 전반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컨소시엄의 구성은 사업장은 물론 학계의 공동노력을 통하여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다. 안전보건교육도 마찬가지여서 미국의 경우 대학을 중심으로 안전보건교육이 실시되고 있으며, 이를 국내에서도 도입하는 시도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본다. 국내의 경우 교통의 발달로 인하여 전국이 1일 생활권이 된지 오래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안전보건교육센터이외의 지역은 안전보건관련학과가 있는 대학과 연계하여 기자재, 강사, 강의실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화한다면 경비절감 및 효율적인 운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 근로자, 관리자 이외에 사업장 교육자 또는 기술직들에게 새로운 정보를 보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학교는 학생들에게 실무교육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넷째. 정부의 안전보건교육 지원 모든 제도의 기본은 정부의 정책방향 및 시행계획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안전보건 분야도 예외는 아니어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97년도 폐지된 법안의 복원은 물론 안전보건교육 이수에 따른 인센티브 제도의 수립, 경제적 지원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현재 사업장의 안전보건을 위하여서 투자출되는 금액은 산업재해보상 보험기금 지출예산 총액의 5% 이상이며, 정부 또한 지예산 총액의 3%이내의 출연금으로 조성하여야 한다고 적시 되고 있다. 실제 정부의 출연금은 2002년 기준 0.3%로 약 80억원의 미미한 실정이다. 안전이 사회적 규제임을 감안할 때 최소 100억원 이상이 안전보건교육비로 지원되어야 한다. 이러한 자금지원을 통하여 교육사업장의 산재보험료 탄력적용, 영세 사업장 및 외국인 근로자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실습기자재 확보, 교육 우수생에 대한 장려금, 교육으로 인하여 사업장에서 입은 시간손실 등을 보상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사업장의 경우 교육시간 할애로 생산손실이 생긴다는 우려를 정부가 적절한 보상을 함으로서 안전교육에 관한 피해의식을 줄이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안전교육 활성화로 선진 안전보건문화 정착 2003년 2월의 대구지하철 화재로 200여명의 무고한 생명이 운명을 달리 하였다. 이는 2~3명이 화상으로 끝나야할 재해가 대형참사로 발전되어 수많은 희생자를 낸 것이다. 이러한 대형사고의 뒤에는 항상 안전교육의 부재가 자리잡고 있다. 안전교육은 안전확보를 위하여 가장 기본적이며, 최후의 수단이다. 이러한 중요한 예방활동이 꾸준히 확보될 수 있도록 노사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며, 노동조합은 안전보건교육의 확대를, 경영자 안전보건교육 수료자에 대한 인사고과 우대 또는 수당을 통하여 적극적인 지원을 실시하여야 한다. 초기의 교육에 대한 작은 투자가 대형 사고로 발전되지 않게 하는 가장 쉬운 방법임을 인식하고 문화로의 확산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하여 한국산업안전공단의 노하우를 활용하여 일반인들에 대한 안전교육도 점차 범위를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영국의 경우 일반인 특히 어린이들에 대한 안전보건 교육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에서도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003년에 출범한 참여정부는 산업안전에 관하여 중소기업의 산업재해율을 현재의 절반으로 줄이겠다는 의지를 표명하였다. 이러한 목표 설정과 달성은 쉬운 일이 아니며, 모든 관련 단체들의 적극적인 의지와 활동에 의하여 성취될 수 있을 것이다. 안전보건확보 뿐만 아니라 교육은 국가의 가장 큰 사업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매스컴을 통하여 안전의식 고취를 더욱 강화하는 등의 활동이 요구되며 홍보활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워져야 한다. 또한 교육인적 자원부와 더욱 긴밀한 협조하에 학교 교육의 안전보건교육이 내실화 될 수 있도록 보완과 지원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organizes not only the middle-long term developing plan of safety health education to put emphasis on a manufacturing industry, but also the developing plan of activating the domestic safety health education, focu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The concrete practice program about this object needs to be established on more profound investigation. To achieve a prospective and effective domestic safety health education, this study is carried out more deeply as follows. First. Assigning parts of safety health education institution If a governmental office with technology and organization carries out all of the safety health educations in the business fields, the troubles between the office and other disaster prevention institutions about the business department will inevitably arise. Therefore it is reasonable that a leading institution of domestic industrial disaster prevention takes to foster safety control leaders and to educate specializations such as high cost education, employer, safety health manager, and safety management officer, so on. Second. Organization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safety health education center It is necessary that we have a plan to establish the international safety health education center, considering the fact which domestic manufacture factories are transferring to China and Eastern-Southern Asia of low labor cost. Third. Organizing the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ng system of safety health It is a tendency that most of the nations expand on the whole the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for developing technology and diversifying education. The constitution of cooperation gets a great advantage to take synergy effects by the joint investigation of business field and academic circle. In America, the university plays in the central role of safety health education. We also must try to introduce it in the internal. Fourth. Government's supporting the safety health education The foundation of all the institutions is depending entirely on the policy line and the executing plan of government. The part of safety health needs equally the active supply of government. It is necessary of preceding not only the incentive system and the financial supply about taking the safety health education, but also the reconstitution of abolished bills. Fifth. Settlement of advanced safety health culture by promoting safety education To establish and educate the safety health is most important project of government. In this point, the activity of arousing safety sense is enforced by mass-media, and the activity of public information has to put in practice. The safety health education of school cooperating with the education human resource department has to get the government's supplement and supply in order to make substantial.

      • 도시가로환경조성을 위한 가로시설물 디자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 디자인서울거리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정여란 서울산업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City streets are not only to provide simple passages but also to provide a role of design display by themselves. The street facilities of urban street environment have roles of safety, convenience, community, information-transformation, induction, limitation, control and pleasure to citizens. This dissertation shows that urban street policy will combinate several elements to the organic unity and effect them as the cultural production. To do thi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developed the standard type and general type of the street facilities on the designated three streets as "Designe Seoul Street", that is, history-culture, specified sightseeing area, Dae-hwak ro. The policy presents four strategies: making comfortable and margin space applied the design guideline, making vacant street of low density and high efficiency, making unity street of urban design system, and making a sustainable street formation. Is it sure to make a street design to fit the purpose of guide line that present to make vacant and unity design? This research has chosen three areas to seek for improvement of street design. Three areas are Dae-hwak ro which is the most attractive street, Guem-chun gu which is lack of diversity in commuting fluidity, and Gang-nam gu which has strong identity as a metropolitan borough. The street facilities are main tolls to create street environment and important elements to create whole identity. Among street facilities, items such as bus shelters, street boots, bollards, benches, bins, manhole covers, electricity boxes, and street lamps should apply the ideas of citizens, professional experts and the design manual of public faciliti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treet facilities design. First, the unity of street facilities means to make visual unity of unit and form from different functions. The standardization and formation can guarantee mass production and economy in the management, salary and manufacturing. Also it can secure the easiness of maintenance from the organization and unification of the management. Second, the symbolization of the street facilities means the localization of street space. Thus it should be planned, designed and established as the area symbol to institute its own idea to consider functional and plastic matter. Third, the management of street facilities should intensify total management. It should be operated regular examination, clearance and renewal by the management system. It should be corresponded rapidely by arranging the report system through the connection enforcement between the street facility manager and the road manager. The street facilities are not only fundamental factors to reflect regional specification and to combine sustainable "Design Seoul Street" but also important factors to improve competitiveness as culture icons of unique and attractive identity in urban environment. 도시의 가로는 단순히 통과를 위한 목적만 수행하는 것이 아닌 거리 자체가 디자인 전시장으로서의 역할이 필요하게 되고, 도시가로환경의 가로시설물들은 일반 시민들에게 안전과 편리의 기능뿐 아니라, 의사소통, 정보전달, 유도, 제한, 조절, 보로, 즐거움을 주는 추가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도시 거리들을 통해 거리사업이 단순한 기능 위주에 단일사업에서 거리의 요소들이 유기적 통합이 필요하고 거리의 정체성을 확보하여 문화상품으로서의 효과를 거두고자 함에 있다. 이에 서울시는 역사문화, 관광특구, 대학로 등의 특화거리나 3류 이상의 대로 등 사업파급효과가 큰 거리를 대상으로 “디자인서울거리”를 지정하여 가로시설물에 대한 디자인을 표준형, 일반형으로 개발하여 적용 하였으며, 디자인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디자인서울을 위한 가로환경조성에 있어 쾌적하고 여유 있는 공간, 저밀도 고효율의 비우는 거리, 통합된 도시디자인 체계의 통합하는 거리, 시민, 전문가, 행정 참여형의 더불어 하는 거리, 미래지향의 지속가능한 거리 형성의 4대 전략을 제시 하였다. 디자인서울거리 조성 사업에 디자인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비우고 통합하는 목적성에 부합하고, 디자인가이드라인에 알맞은 통합된 디자인이 되어있는가? 디자인서울거리 10개 거리 중 가로환경상태 및 가장 필요로 하는 사항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매력적 요소가 가장 큰 종로구 대학로, 다양성이 부족하여 유동인구를 흡입할 수 있는 매력요소가 부족한 금천구, 자치구만의 아이덴티티를 추구하는 강남구를 대표적인 사례로 선정하여 디자인에 대한 문제점 조사․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찾고자 함에 있다. 가로시설물은 가로환경을 창조하기 위한 중심도구로 개별 시설물의 차원을 달리하여 전체적이고 아이덴티티를 창출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가로시설물 중 디자인서울거리 조성을 위하여 공모전을 통한 시민과 전문가가 참여하고 공공시설물 디자인매뉴얼을 적용한 가로시설물 아이템(버스쉘터, 가로판매대, 볼라드, 벤치, 휴지통, 맨홀, 분전함, 가로등 등)을 적용하고 가로시설물의 디자인에 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가로시설물의 통합화는 가로공간에서 기능이 다른 각각의 시설물을 단위화, 규격화하여 시각적 일치성을 갖게 하는 통합화이다. 반복되는 요소가 표준화, 규격화함에 따라 양산체계 확보가 가능하여 관리, 보수, 제작상의 경제성이 보장되며, 관리의 주체가 체계화, 일원화되어 유지관리의 용이성까지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가로시설물의 지역 상징화는 가로공간 거리의 장소화를 의미하며, 가로시설물은 기능적인 측면과 조형적인 측면을 충분히 고려한 디자인으로 장소에 독자성을 심어주는 지역의 상징물로 계획, 디자인, 설치되어야 한다. 셋째, 가로시설물 관리에 있어 포괄적인 일괄관리를 강화하고, 관리시스템에 따라 정기적인 점검․청소․갱신을 계획적으로 시행하며, 시설물의 관리주체와 도로관리자의 연계성 강화로 오손․파손의 상태 발생 시 즉각적인 통보․보고체계를 갖춤으로서 신속히 대응하도록 해야 한다. 가로시설물은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 비우는, 통합하는, 더불어 하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서울거리 조성을 위한 요소들로 기본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그 도시만의 독특하고 매력적인 아이덴티티를 구축하여 문화 아이콘으로 경쟁력 제고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