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연고(無緣故) 개인기록물 수집관련 연구

        전대현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When humans are born, their life begins, and their presence is revealed as they get to be called by their own unique name. The human that is born works actively and disappears eventually in the form of death. Likewise, records are produced and used by humans and then go through the process of disposition. Humans and records have something in common like that, but as records are produced by humans, they are managed by humans dependently. If there are no descendants or agents after one’s death, the records will not be managed. These records are called unclaimed personal records. Unclaimed personal records are a type of personal records belonging to the area of private recor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cessity to define and manage unclaimed personal records and the cases, analyzed records collection standards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institutions comparatively, and presented actual problems and solutions for the management of unconnected personal records. The order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author mentions the value of personal records and the need for management through literature review,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establishing ordinances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private records, and then investigates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unclaimed personal records. Next, this researcher examines the cases of collecting valuable personal records and analyzes the cases of unclaimed personal records. Meanwhile, after analyzing the records collection standard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e British Columbia State Archives, and the Ontario State Archives of Canada, this author reestablished 18 records collection standards. These collection standards are expected to meet the evaluation criteria to collect all the categories of records including unclaimed personal records and private records. Also, it is significant in that this study has extended the scope of the existing collection standard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added detailed explan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survey on professionals of records management affiliated to basic local governments, they are quite unaware of unclaimed personal records management. The term and concept of unclaimed personal records were unfamiliar to them, and it should be the result of approaching and understanding them at a different level from the records management method that they had thought of.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absence of the entity to manage unclaimed personal records, the lack of legal systems and absence of records evaluation standards, the absence of plans to collect and manage unclaimed personal records, and the absence of plans to utilize services for unclaimed personal records. Therefore, this study includes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awareness of unclaimed personal records, determining the management entity and devising legal and institutional approaches, providing evaluation criteria, and making plans for collecting, managing, and utilizing the record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nducting interviews to experts, as a way to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unclaimed personal records management and vitalize it, they say basic local governments should manage the records, and to execute it, legal grounds should be established so as to provide all sorts of support and enhance the awareness. Regarding unclaimed personal records management, this study has established 18 collection standards for unclaimed personal records archivally, derived the term and definition of unclaimed personal records philosophically, devised plans for records rescue collection reflecting rescue excavation archaeologically, and laid the legal basis grounded on civil law legally, and then, attempts were made to connect the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pioneered a new area of unclaimed personal records management in the field of records management and prepared plans to preserve and utilize important unclaimed personal records that are disappearing. Most personal records can exert their value just to individuals, but there are also records that are previous nationally and socially beyon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catch two rabbits of the extension of the base and prosperity at the same time eventually if we make it records management that can encompass even the grassroot records that are away from the world not focusing too much on public records management. 인간은 태어나면서 한 인간의 삶이 시작되고 이름이라는 고유 명칭을 불리게 되면서부터 존재감을 드러낸다. 탄생한 인간은 왕성하게 활동하다가 언젠가는 죽음이라는 형태로 소멸하게 된다. 기록물도 마찬가지로 인간에 의해 생산되어지면서 이용되어지다가 처분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처럼 인간과 기록물은 공통점을 가졌지만 한편으로는 기록물은 인간에 의해 생산되어지므로 인간에 의해 종속적인 성격을 지니면서 관리를 받게 되지만 인간 사후 후손 또는 대리인이 없다면 관리를 받을 수 없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록물들을 무연고(無緣故) 개인기록물이라고 한다. 무연고 개인기록물은 민간기록물 내 영역에 속한 개인기록물의 한 종류이다. 본 연구는 무연고 개인기록물의 정의 및 관리의 필요성과 사례들을 조사하고, 국‧내외 기관의 기록물 수집기준을 비교 분석한 후 무연고 개인기록물 관리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개인기록의 가치와 관리의 필요성에 언급하고 현재 민간기록물 관리와 관련한 조례 제정 현황을 살펴본 후 무연고 개인기록물의 정의와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서 가치 있는 개인기록물 수집 사례들을 살펴보고, 무연고 개인기록물 관리의 사례 및 이를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한편 국가기록원·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립기록관·캐나다 온타리오 주립기록관의 기록물 수집기준들을 비교·분석 한 후 기록물 수집기준 18가지를 재정립하였다. 이러한 수집기준은 무연고 개인기록물은 물론 민간기록물 뿐만 아니라 기록물 전체 분야의 수집을 위한 평가 기준에 부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기존의 국가기록원 수집기준에 비해서 기준범위를 확장하고 세부적인 설명을 이끌어낸 점에 대해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기초자치단체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무연고 개인기록물관리에 대한 인식은 낮은 편이다. 무연고 개인기록물이라는 용어라든지 개념자체가 생소하게 받아들였고, 지금까지 생각해왔던 기록물 관리방식과는 다른 차원에서 접근하고 이해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이는 무연고 개인기록물 관리 주체 부재, 법적 제도의 미비와 기록물 평가기준의 전무, 무연고 개인기록물 수집 및 관리방안의 부재, 무연고 개인기록물 서비스 활용 방안 부재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무연고 개인기록물에 대한 인식개선, 관리 주체 확정 및 법제도적 접근방안, 평가 기준 제안, 수집 및 관리방안, 활용 방안에 대한 제안을 담았다.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무연고 개인기록물 관리의 중요성 인식 향상 및 활성화 방안으로 지방자치단체가 무연고 개인기록물을 관리를 해야 한다는 점,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법적 근거가 제시되어야만 각종 지원 및 인식개선이 이루어 질 수 있다는 시각이 있다. 법적 근거가 마련된다면 이에 따라 민간기록물을 포함한 무연고 개인기록물 관리의 인식이 개선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무연고 개인기록물 관리에 대해서 기록학적으로는 무연고 개인기록물의 수집기준 18가지 기준을, 철학적으로는 무연고 개인기록물의 명명과 정의를, 고고학적으로는 구제발굴에 착안한 기록물 구제수집 방안을, 법학적으로는 민법에 기초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발상을 하였고 이를 각각 연결하는 시도를 하였다. 이를 통해 기록관리 분야 내 무연고 개인기록물 관리라는 새로운 영역의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과 사라져가는 중요 무연고 개인기록물에 대해서 보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대다수의 개인기록물들은 개인에 한정해서 그 가치를 발휘할 수 있으나 이를 뛰어넘은 국가․사회적으로 중요한 기록물들이 존재한다. 공공기록물 관리에만 편중되어 있던 시각에서 벗어나 궁극적으로는 초망(草莽)의 기록물들까지도 아우를 수 있는 기록관리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저변의 확대와 동시에 번영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사내 하도급 사업장 안전보건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 창원 A공장 내 한 하도급업체 사례연구

        전대현 창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내 하도급사업장의 안전보건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두고 경남 창원시 제조업 대공장 사내 하도급사업장 중 한 곳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사례연구는 제조업 대공장 사내 하도급 사업장에서 안전보건교육 종류별 실시되는 교육과 실시되지 않는 교육을 구분하여 교육이 가능 또는 불가능 하게 하는 요인을 탐구하였다. 사례연구 결과 하도급 사업장의 안전보건교육은 정기교육을 제외한 나머지 교육은 법정시간과 교육내용을 충족하지 않고 이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교육이 체계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정기교육의 경우 하도급 사업장에서 정기교육을 할 수 있도록 원청에서 교육시간을 부여하고 교육교재를 제공하고 있으며, 하도급 사업주가 정기교육에 참여하여 안전의식과 교육의 긴장감을 높혀 주고 있다는 점 등이 정기교육을 가능하게 한 주된 요인으로 분석된다. 반면, 채용시 교육, 특별안전교육, 작업내용 변경시 교육은 법정시간 및 교육내용을 충족하지 않은 채 형식적으로만 교육이 되고 있는데, 그 주된 이유는 안전보건교육을 실시 할 경험과 지식이 풍부한 교육 강사가 없고, 정기교육과는 달리 원청에서 특별안전교육에 대한 교재가 지원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특별안전교육은 다른 교육에 비해 시간이 가장 많이 소요되는 교육으로 관리감독자(소장)가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장시간 현장을 비우게 될 경우, 생산 납기와 관련하여 생산 공정에 차질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 뿐만 아니라 하도급 사업장에서는 사내 상주하고 있는 안전컨설턴트에 교육 지원을 요청하기보다 자체적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원청의 규정에 따라 20인 이상인 사업장의 경우 안전전담자가 선임되어야 하나 인건비 부담으로 안전전담자를 두지 않고 있었다. 이와 같이 사내 하도급 사업장에서 안전보건교육이 제대로 실시되지 않는 요인을 분석해보면 교육 주체인 사내 하도급 사업주의 안전의식이 부족한 것도 사실이지만, 원청이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도급사업 시 취해야 할 안전교육에 대한 지도와 지원을 소홀히 한다는 점과 의무이행을 하지 않더라도 원청에 대한 법적 제재가 실제로 없다는 것 등이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 애니메이션 후반작업의 구조적 활성화 방안 연구

        전대현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우리나라 사회에 있어서 애니메이션이라는 개념이 자리 잡기 시작한 것은 불과 10여 년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경제·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의해 문화적 가치가 높아지고 문화활동에 대한 수요가 커지면서 문화의 상품화·산업화가 추구되는 문화산업의 경제화 현상이 크게 대두되면서 애니메이션도 하나의 문화산업으로서 정착되어 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문화산업 발전과 더불어 애니메이션은 21세기 문화산업 중에 한 축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정부 몇 지자체에서도 애니메이션을 문화산업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갖가지 방안들을 적극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즉 문화산업 육성을 위해 문화 컨텐트진흥원, 서울애니메이션센터, 부천만화정보센터, 춘천애니타운 등의 기관을 설립 만화· 애니메이션산업의 지원 및 애니메이션 산업에 대한 지원과 국민의 인식을 전환시키고자 개관하였으며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 페스티벌(SICAF), 동아·LG 국제만화 페스티벌, 부천 국제대한애니메이션페스티벌 등 다양한 국제 페스티벌을 열어 창작력, 한국애니메이션산업의 진흥 및 기반 조성을 위해 앞장서고 있다. 이렇듯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은 규모 및 지원 면에서는 많은 진보를 보이고 있으나 내용적으로는 아직도 낙후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말하자면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은 하청 산업으로서는 발달하였으나 부가가치를 지닌 완성도 높은 창작산업으로 발전되지 못하였다는 의미이다. 이에 애니메이션 POST-PRODUCTION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제시하여 Post-Production 발전방향을 모색코자 한다. 2장 애니메이션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애니메이션의 개념, 발생, 분류를 통해 애니메이션을 이해하고자 했으며, 3장 애니메이션 산업구조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구조적 문제를 진단하였고, 4장 우리나라 애니메이션 Post-Production 구조 연구를 통해 제작, 인력구조 및 문제점 등을 알아 보았고, 5장에서는 3장에서 제시한 현황을 중심으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함은 물론 애니메이션 Post-Production 표준 작업 시스템 제시를 통해 Post-Production의 인식이 올바르고 곧게 자리 잡아 애니메이션 제작시스템의 발전으로 이어져 보다 질 높은 창작 애니메이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본 논문의 요지는 기존의 Post-Production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인해 발전에 대한 연구가 없었으며 제작 시스템에 대한 시스템 제지에 중점을 두었다. 인력양성에 관한 교육적 개선방향은 차후 논문에서 연구하길 바라며 조금이라도 애니메이션계에 Post-Production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 주었으면 한다. It is not more at 10 years only that concept that is the animation in our country society begins to recognize. However, animation is becoming settled as one of the cultural industry as the cultural value rises and the demand for the cultural activity increases by change of economic and social circumstance along the economical phenomenon of the cultural industry, which demands the commercial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culture, is greatly risen. Also, animation regard as one of the 21th century culture industry along with culture industry development. Therefor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evaluate animation as culture industry , and present various ways actively. So they established Seoul Animation Center, Paunches Cartoon Information Center, Ch'unch'on Ani town etc. for culture industry upbringing and changing people's cognition about cartoon animation industry. And They hold various international festival such as Seoul international cartoon animation Festival (SICAF), Dongah LG International Cartoon Festival, Pucheon International Students Animation Festival for Promotion of Korean Animation Industry and foundation. Korean animation industry have developed as scale and support but Contents have not. it means that Korean animation industry was developed as for subcontract industry but was not developed by consummativeness high production industry that have added value. I Wish to present problem of animation Post-production work and improvement and find Post-Production development direction.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nimation, we recognized the concept, the occurrence, and the classification of animation, and in chapter 3, we diagnosed the structural problem by the research about the structure about the animation industry, and in chapter 4, we studied the production, labor system, and the problems through the research of Korean animation Post-Production structure, and in chapter 5, we present the solution for the problem that are presented in chapter 3 for sure, and we contribute the activation of creative animation with high quality follow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animation production system as the recognition of Post-Production is settled rightly and straightly through the presentation of the work standard system for the post-production work of animation. The site of this treatise also emphasized in system presentation as was no research about development inappreciatively about existent Post-Production I wish to study Educational improvement more in other treatise and implant consciousness about the importance about Post-Production.

      • 우리나라 동물용의약품 산업의 국제경쟁력 분석

        전대현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의 동물용의약품 산업의 수출경쟁력(Trade Competitiveness)을 확인하기 위하여 2001년~2014년 기간 동안에「무역통계연보」상에 나타난 동물용의약품 산업의 수출입 구조를 품목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연구방법은 우리나라와 주요 교역국인 미국, 중국, 독일, 일본의 4개국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동물의약품들을 15개 품목으로 분류한 후, 무역경쟁 지수로 수입침투율, 무역특화지수(Trade Specialization Index: TSI), 현시비교우위지수(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Index)를 2001년부터 2014년까지 3년 단위로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5개국을 비교하였다.

      •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알지오매스를 매체로 활용한 이차함수의 그래프 지도 방안 : ASSURE 모형 개선방안

        전대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Online class, which are the key keywords of education in 2020, can be referred to as distance class, non-face-to-face classes, and untact classes. Due to the COVID-19 epidemic that began in December 2019, the school began to postpone the opening of school every March in order to prevent infection and health of students. Eventually, the school could not open in March. Due to various problems such as academic achievement, we tried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online school opening. In practice, online classes have been conducted for only a few subjects from the past, but the online classes currently being conducted are the first type of class, recognizing students' attendance for all students. As it was the first online class at school,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but in order to relieve the burden on the school, the Ministry of Education presented the types of online classes as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content-oriented classes, problem-oriented classes, and others to provide high-quality classes to students. Tried to provide. In this study, in order to provide high-quality classes in online classes to learners, the ASSURE model, one of the class models that utilizes teaching media, is applied step by step through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that are most similar to classroom environments among online class types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his way, I would like to identify the problems that occur in the online class and propose a method for solving them in detail. At this time, the secondary function unit of the third grader of middle school was set and the class was conducted in a short form, and Algeomath, an engineering tool for mathematics education, was used together to draw a graph of the function and to intuitively grasp the nature of the graph. The biggest feature of online classes is that they meet online in different spaces, which creates different problems from offline classes. In other words, unlike the ASSURE model applied in the classroom environment, it is natural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applying the ASSURE model to online classes. In order to induce learners, behaviors such as a teacher's classroom tour in the middle of a class, group discussions, and activity worksheets used in class have many limitations in the online space, but through teaching methods and media, screen sharing, meeting creation, and digital activity learning sheet production It can be replaced by such as.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rising during the online class conversion process and achieve the goal set in the goal setting step (S), it can be solved by using appropriate methods and tools in the method/media/data selection step (S). In the online class that was briefly conducted in, Algeomath, an engineering tool for mathematics education, selected for the teaching plan to draw a graph of a quadratic function using an engineering tool together is a prerequisite that learners must have a PC and can be accessed through the Internet. If necessary, this is an area that has not been done in the learner analysis stage (A) of the existing ASSURE model for this learner's classroom environment analysis. Therefore, for online classes, it is necessary to modify and supplement the teaching methods, teaching media, and materials selected by the instructor through learner analysis in addition to the method/media/material selection step (S). In this study, the ASSURE model was applied step-by-step and engineering tools were used to limit the quadratic function units in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and a small number of students were targe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ASSURE model in addition to the units presented in this study. In addition, the problems that occurred by targeting a small number of students were examined, corrected, and supplemented, but since the actual unit class consists of an average of 25 students, the problems that occur when students are actually conducted in the classroom are reviewed and corrected. Needs to be. In the future, through such research, teachers are expected to provide better instruction to learners when they apply the ASSURE model in online instruction. 2020년 교육현장의 핵심 키워드인 온라인 수업은 원격수업, 비대면 수업, 언택트(Untact) 수업을 통틀어 칭할 수 있다. 2019년 12월부터 발병한 COVID-19 전염병으로 인해 학교는 학생의 건강과 감염 예방을 위하여 매년 3월에 맞춰 진행하는 개학은 미루어지기 시작했고 결국 3월 개학을 하지 못했으며, 학생들의 수업 일수, 학업 성취 등의 여러 문제로 인해 온라인 개학을 통하여 문제를 해소하려고 하였다. 실질적으로 온라인 수업은 과거에서부터 일부 대상에 한하여 진행해 오고 있는 경우는 있지만, 현재 진행하고 있는 온라인 수업은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출결을 인정하며 최초의 수업 유형이다. 처음으로 이루어지는 온라인 수업인 만큼 학교 현장에서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나 교육부에서는 학교의 부담감을 해소하고자 온라인 수업 유형을 실시간 쌍방향 수업,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 문제 중심 수업, 기타 등으로 제시하여 학생들에게 질 높은 수업을 제공하려 노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에게 온라인 수업에서 질 높은 수업을 제공하기 위하여 교육부에서 제시한 온라인 수업 유형 중 교실환경과 가장 유사한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통해 교수 매체를 활용하는 수업 모형 중의 하나인 ASSURE 모형을 단계별로 적용하여 온라인 수업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때 중학교 3학년 이차함수 단원을 설정하여 약식으로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함수의 그래프 그리기, 그래프의 성질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수학 교육용 공학적 도구인 알지오매스를 함께 온라인 수업에 활용하였다. 온라인 수업의 가장 큰 특징은 서로 다른 공간에서 온라인으로 만나기 때문에, 오프라인 수업과는 다른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교실환경에서 적용되는 ASSURE 모형과는 달리 온라인 수업에 ASSURE 모형을 적용하는 것은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당연하다. 학습자 유도를 위하여 수업 중간에 교사의 교실 순회와 같은 행동, 모둠 토론, 수업시간에 활용하는 활동학습지 등은 온라인 공간에서 많은 제약이 있으나 교수방법 및 매체를 통하여 화면공유, 회의 생성, 디지털 활동 학습지 제작 등을 통해 대신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목표 설정 단계(S)에서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방법/매체/자료의 선정 단계(S)에서 적절한 방법과 도구들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진행한 온라인 수업에서는 공학적 도구를 함께 사용하여 이차함수의 그래프를 그리는데 함께 사용 하였으나, 수학 교육용 공학적 도구인 알지오매스는 학습자들이 PC를 보유해야 하고 인터넷을 통해 접속이 가능하다는 전제 조건이 필요한대, 이러한 학습자 수업 환경 분석에 대해서는 기존의 ASSURE 모형의 학습자 분석 단계(A)에서는 이루어지지 않은 영역이다. 따라서 온라인 수업에 대해서는 학습자 분석 단계에서 학습자 수업 환경에 대한 분석도 필수적이며, 교수자가 방법/매체/자료 선정 단계(S) 다음에도 추가적으로 학습자 분석을 통하여 선정한 교수방법, 교수매체, 자료들을 수정 보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ASSURE 모형을 단계별로 적용하고 공학적 도구를 사용하여 중학교 3학년 이차함수 단원을 한정하고 소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약식으로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단원 외에도 ASSURE 모형을 적용하여 진행해 볼 필요가 있으며, 소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고 수정하고 보완하였으나, 실제 단위 학급은 평균 25명 이상의 학생들로 구성되어있는 만큼 실제 학급 단위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진행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수정 보완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이러한 연구를 통해 교사들이 온라인 수업에서 ASSURE 모형을 적용하였을 때 학습자들에게 더 좋은 수업을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 Expression of Pregnant-Induced Genes in Mouse Mammary Gland and Effect of Stat5a Gene Transfection on Mammary Epithelial Cell Proliferation : 생쥐 유선조직에서 임신 특이적 유전자의 발현 및 Stat5a 유전자 도입이 유선상피세포 증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전대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During pregnancy, the mammary epithelial cells experiences its' greatest and most rapid phase of proliferation. This occurs in response to hormones. To understand molecular mechanism of mammary gland development, several clones were identified from a cDNA library using differential screening. The clones were characterized by partial nucleotide sequencing and northern analysis. The sequence of the clones was compared with the GenBank database. The several known genes were induced during pregnancy stage in mammary gland: aldolase A, HMG-box containing protein 1(HBP1), phospholipase A2(PLA2), suilisol gene, snRNP-associated polypeptide(sRAP), NGF-A binding protein (NABP) and endothelial ligand for L-selectin (ELS). The clone that showed high homology to F₁F_0-ATP synthase of other species were subjected to full nucleotide sequencing. The cDNA clone had a total length of 420 nucleotides coding for 103 amino acids. By a search for sequence similarity in GenBank databases, the cDNA clone was identified as one encoding F₁F_0-ATP synthase g subuint. The sequence of the clone was 85% identical to the F₁F_0-ATP synthase g subunit of bovine species. Comparison of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of mouse ATP synthase g subunit with those of bovine species showed 86% similarity. High levels of ATP synthase g subuint mRNA were observed in pregnant days 8, 17, and 19 and involution 36 hrs. The highest expression of ATP synthase g subunit gene was observed in kidney tissues. Stat5 proteins can be activated by prolactin through the Janus kinase (JAK)-Stat pathway. These activated Stats dimerize and translocate into the nucleus where they bind to GAS sites and induce gene transcription. Stat5a and Stat5b are able to act independently as homodimers or in combination as heterodimers. In mammary cells,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mammary gland, selective gene activation might be attributed to the activation of different Stat5 dimers. In this study, northern analysis revealed that expression of Stat5a gene was induced at pregnant 7 and 8 months compared to virgin mammary tissues. To understand function of Stat5a homodimer in mammary epithelial cell proliferation, bovine Stat5a gene expression vector was constructed by ligating into pBK-CMV vector. The recombinant DNA was transfected into mouse mammary epithelial HCll cells. The genomic integration of bovine Stat5a cDNA was confirmed by PCR and expression of the gene was confirmed by Northern analysis. In cell counting experiments, transfection of Stat5a gene increased growth of HCll cells, suggesting that bovine Stat5a are able to act as homodimers on the proliferation of mammary epithelial cells. 임신기간 동안 유선조직에서는 유선도관의 확장과 유선상피세표의 증식이 활발하게 일어나는데 이러한 유선조직의 발달은 성호르몬, 뇌하수체 호르몬 및 여러 가지 성장인자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까지 유선상피세포 증식에 대한 분자 생물학적인 기작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임신시기 유선세포 증식에 대한 분자유전학적인 기작을 규명하기 위하여 생쥐 유선세포 임신시기에 발현이 유도되는 유전자들을 탐색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발현양상을 조사하였다. Adolase I, HMG-box containing protein 1(HBP1), phospholipase A2 (PLA2), suilisol gene, snRNP-associated polypeptide(sRAP), NGF-A binding protein(NABP) 및 L-selectin(ELS)에 대한 endothelial ligand 유전자의 발현이 임신시기의 유선조직에서 유도되었다. 본 연구과정에서 부분염기서열 분석결과 다른 종에서는 전체염기서열이 밝혀져 있고 생쥐에서는 밝혀져 있지 않은 F1F0-ATP synthase g subunit(ATPg) cDNA의 전체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ATPg cDNA는 420개 염기서열과 10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bovine종과는 86% 유사성을 보였다. 이 유전자는 유선조직에서 임신 8일, 17일, 19일 그리고 건유기때 높은 수준으로 발현이 되었다. 조직특이 Northern 분석에서는 신장에서 높은 발현수준을 보였다.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prolactin 호르몬은 임신 말기 유선조직의 말단 분화와 비유기 우유합성에 중요하다. 유선조직내에서는 prolactin 신호는 JAK-Stat signaling 경로를 거치는데, 활성화된 Stat5a와 Stat5b dimer를 이루어 핵내로 translocation하여 Gas site에 결합후 특정유전자 발현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tat5a와 Stat5b protein은 heterodimer 뿐만 아니라 각각 homodimer를 형성한다. 유선조직발달에서는 이들 3가지 형태의 dimer가 각기 다른 기능으로 복합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본 실험에서 bovine Stat5a mRNA가 임신 말기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tat5a를 pBK-CMV vector에 조합하여 유선상피세포주인 HCll 세포에 transfection시켜 HCll 세포의 증식효과를 검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G418 selection으로 유전자가 도입된 colony를 선발한 후 세포를 증식시켜 Stat5a 유전자가 발현된 것을 확인하였다. Cell counting 실험에서 Stat5a유전자를 transfection시킨 세포주가 정상세포주와 control vector를 transfection시킨 세포주에서 보다 세포성장율이 증가하였음을 관찰하였다. Prolactin과 dexamethasone처리는 Stat5a 유전자 transfection에 의한 세포증식효과를 더욱 증진시킴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bovine Stat5a dimer가 유선세포 성장을 증진시키는 signal transducer로 작용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