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웰빙인지목록기법이 여자대학 신입생의 부정기분 조절기대, 웰빙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고은미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웰빙인지목록기법이 여자대학 신입생의 부정기분 조절기대와 긍정정서, 낙관성, 삶의 만족, 삶의 기대 및 스트레스 반응, 부정 정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대상은 서울시 소재 여자 대학의 2011년도 대학신입생들로서 프로그램참여를 희망하고, 연구자가 설정한 3가지 기준에 모두 부합된 총42명으로 웰빙인지목록 적용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21명씩(기숙사거주 21명, 서울 자가 21명) 무선할당 하였다. 웰빙인지목록 프로그램은 1주일에 1회기씩 총 5회기가 진행되었으며, 1회기 당 진행은 약 60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웰빙인지목록 적용집단과 통제집단은 모두 같은 시기에 사후 평가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부정기분 조절기대 척도, 긍정 정서 척도, 낙관성 척도, 삶의 만족 척도, 삶의 기대 척도, 스트레스 반응 척도, 부정 정서 척도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웰빙인지목록 적용집단과 통제집단의 부정기분 조절기대와 웰빙 및 스트레스수준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각 집단의 사전 점수에서 사후 점수를 뺀 차이 점수로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웰빙인지목록 적용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부정기분 조절기대 [t(38) = -6.318, p<.001], 긍정 정서 [t(38) = 3.370, p<.01], 낙관성 [t(38) = -5.188, p<.001], 삶의 만족 [t(38) = -4.307, p<.001], 삶의 기대 [t(38) = -4.960, p<.001] 가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스트레스 반응 [t(38) = 6.177, p<.001], 부정정서 [t(38) = -.55, p<.01]는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웰빙인지목록이 여자대학 신입생의 부정기분 조절기대와 웰빙을 증진시키고,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Well-Being Cognition List on increasing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y, well-being, and managing stres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2 first year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Well-Being Cognition List application group (experimental group, n=21) and the control group (comparative group, n=21). The Well-Being Cognition List application group completed 5 weeks of the Well-Being Cognition List application program that included education sessions, and the writing of diaries at least two times a day. It took about 60 minutes per session. Measurements in this study included the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NMRE), Positive Affect, Life Orientation Test-Revised(LOT-R),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the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cale(LSES), and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Negative Affect. t-test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difference value of pre-post scores using SPSS 12.0.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The scores of the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t(38) = -6.318, p<.001], Positive Affect [t(38) = 3.370, p<.01], Life Orientation Test-Revised [t(38) = -5.188, p<.001], the Satisfaction With Life [t(38) = -4.307, p<.001], the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t(38) = -4.960, p<.001] in the Well-Being Cognition List applica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scores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t(38) = 6.177, p<.001], Negative Affect [t(38) = -.55, p<.01] in the Well-Being Cognition List applica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scores of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ell-Being Cognition List can be an effective techniques to promote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y, well-being and stress reduction for frist year female college students.

      • 온라인 수용전념치료(ACT)가 스마트폰 과의존 여자대학생의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지각된 스트레스 및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에 미치는 효과

        신희지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온라인 수용전념치료가 스마트폰 과의존 여자대학생의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지각된 스트레스 및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온라인 대학교 커뮤니티에 연구 참여 홍보물을 게시하여 참여를 희망하는 스마트폰 과의존 여자대학생을 모집했다. 참여자들은 무선할당을 통해 처치집단(n=16)과 대기통제집단(n=16)에 배정되었다. 처치집단은 온라인 화상회의 프로그램(ZOOM)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프로그램은 회기별 약 90분, 4주간 주 2회, 총 8회기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 활용된 연구 도구는 수용행동질문지(AAQ-16), 자기통제력 척도(SCS), 자아존중감 척도(RSES),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SS),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SAPS-A)이며, 스마트폰 사용시간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스마트폰 사용시간(Screen Time)을 추가로 적어 제출하도록 했다. 참여자들은 프로그램 시작 전 사전검사, 프로그램 종료 시점에 사후검사를 실시했고, 프로그램 종료 6주 후 추후검사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 처치집단은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수용행동, 자기통제력 수준, 자아존중감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했다. 그러나, 지각된 스트레스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가 겪는 우울의 관계 :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이중 매개효과

        이지선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가 겪는 우울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대학생 자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특별시, 경기도, 경상도, 충청도, 전라도, 강원도, 제주도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542명(남성 270명, 여성 272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우울, 거부민감성,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응답의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분석에는 SPSS 23.0 프로그램이 이용되었으며, 연구의 구조방정식 모형 및 매개효과 검증에는 Amos 21.0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는 거부민감성,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대학생 자녀가 겪는 우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거부민감성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대학생 자녀의 우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우울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가 겪는 우울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각각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가 겪는 우울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이중 매개효과를 보였다. 넷째,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 모형은 대학생 자녀의 성별에 따라 세부적인 경로계수의 차이가 있었다. 부의 심리적 통제가 남성 자녀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영향을 미치고 여성 자녀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모의 심리적 통제는 남성과 여성 자녀 모두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가 겪는 우울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이중 매개효과 및 대학생 자녀의 성별에 따라 세부적인 차이점을 규명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and (2) to examine the gender differences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542 college students (270 males, 272 females) attending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Gyeongsang-do, Chungcheong-do, Jeolla-do, Gangwon-do, and Jeju-do with the Dependency-oriented and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Scale (DAPCS), the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RSQ),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an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SPSS 23.0 and Amos 21.0 programs were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e equation modeling (SEM),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of subjects’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rejection sensitivity,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Rejection sensitivity also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Thus,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Second, each rejec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Third,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howed a du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Fourt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etailed path coefficients according to the gender of college students. Other paths were same, but psychological control by fathers affected the maladaptive cognitive regulation of male students but not that of female students. However,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had no effect on either male or female students’ maladaptive cognitive regulat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examined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the gender difference of college stud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depress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신어의 형성 방법 분석

        ZHAOBING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re has been a steady rise in the number of foreign learners who are learning Korean language, along with an increase in general learning plans that have been mapped out for the teaching of foreign learners. However, it seems that there are few learning plans focusing on areas where learners face difficulty.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presenting the learning plans that concentrate intensively on those areas. Newly-coined word is one of the typical areas where learners encounter difficulty. As a foreign learner specializing in Korean language, learning newly-coined words was particularly a challenge to this author. Newly-coined word means a new word. Several words, such new words, coinage, coined-words, etc, which have same meaning as newly-coined words, are being used. In this paper, this author intended to use the term, ‘newly-coined word’. This paper examines the report titled <Newly-Coined Words of Year 2014> which was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This report was published most recently among reports related to newly-coined word. The newly-coined words created since 2014 were collected and complied through the Naver Open Dictionary, Nuri Social Network Service (SNS), television programs, etc. This author will classify the collected newly-coined words based on their formation methods and intended to create tables. By using the diagram, this author could easily understand newly-coined words, their original words, structure or original words of newly-coined words, meanings of newly-coined words, formation methods of newly-coined words, etc. Most scholars classified the newly-coined word formation methods into 4 categories such as derivation, synthesis, blending, and abbreviation. However, this author considered that it would be impossible to explain the principles behind formation of all newly-formed words based on those 4 four ways of formation, and thus divided the newly-coined word formation methods into 5 categories such as derivation, synthesis, blending, abbreviation and borrowing. First, derivation represents a method for creating new words by using the affix. Derivation can be divided into 2 parts, such as prefix derivation and suffix derivation, based on position of affix. Second, synthesis involves maintenance and combination of two different words. As synthesis and derivation are often difficult to be differentiated from each other, this author thought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affix involved in combination. In addition, some scholars sometimes integrate and explain synthesis and blending. However, this author will explain synthesis and blending separately by considering that both have different composition methods and formation process. Third, newly-coined words are formed through blending and abbreviation. Blending and abbreviation refers to the process by which a part of a word constituent is involved in combination and joined to create a new word. In this paper, however, this author determined whether the words formed by such combination method constitute new words, i.e., whether words created newly in that way would have meanings different from those of pre-combined words, and then divided the combination methods into two methods, which were blending and abbreviation. Blending involves formation of new words which have meanings different from those of pre-combined words. Abbreviation maintains original meaning. Finally, formation of coined words involves borrowing which is a method of adopting vocabulary, morphemes, characters, or individual words from other languages. In this paper, this author will explain the word formation methods based on those 5 methods. This author will subdivide them based on affix, etymon, part of speech, mode of composition, root of formed words, etc., as well as concept of formation methods, and present relevant tables. This author also intended to present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newly-coined word formed on the basis of difference in formation methods which could be easily confused and formation methods. Moreover, this author will focus on helping build up ability of foreign learners to learn newly-coined word easily and analyze their formation methods and meanings by themselves. After describing the formation methods and analytical methods of newly-coined words, this author will present the learning plan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based on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learners. The learning plan will be implemented through 3 stages such as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practice. The learning method will be presented in such a way so as to ensure easy understanding of basic meaning of newly-coined words for basic level learners, assure comprehension of methods and principles of formation of newly-coined word among intermediate level learners, and enable advanced learners to analyze the meaning of newly-coined words through independent utilization of the formation methods. Key words: newly-coined word, principle of formation, derivation, synthesis, blending, abbreviation, borrowing, education plan, foreign learner 한국어를 학습한 외국인 학습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외국인 학습자를 가르치기 위한 일반적인 학습 방안도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학습자가 어려워하는 분야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학습 방안이 적은 것 같다. 따라서 이런 분야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학습 방안을 제시한 필요성이 있다. 신어는 학습자가 대로를 느끼는 대표적인 분야 하나이다. 필자는 한국어를 전공하는 외국인 학습자로서 특히 신어를 배울 때 어려움을 느꼈다. 신어(新語)란 새로 생긴 말을 뜻한다. '신조어, 새말, 조어...' 등 여러 가지 용어가 사용되지만 본 논문에서는 '신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국립국어원에서 발표한 보고서 <2014년 신어>에 제시한 신어들을 대상으로 한다. 이 보고서는 신어와 관련한 보고서 중에 제일 최근에 발표한 것이다. 2014년 이후 생긴 신어들은 필자가 네이버 오픈 사전, 누리 소통망 서비스(SNS),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을 통해서 수집하고 정리하였다. 수집된 모든 신어를 필자는 형성 방법에 따라 다시 분류하고 표를 만들고자 한다. 도표를 통해서 신어, 신어의 원어, 신어의 구조나 어원, 신어의 뜻풀이, 신어의 형성 방법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대부분 학자들은 신어의 형성 방법은 파생, 합성, 혼성, 축약 네 가지로 나누어서 분류를 하였다. 그러나 필자는 이 네 가지 형성 방법을 통해서 모든 신어 형성 방법을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판단하고 신어의 형성 방법을 파생, 합성, 혼성, 축약, 차용 다섯 가지로 나누어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파생은 접사를 이용해서 새 단어를 만드는 방법이다. 파생은 접사의 위치에 따라 접두 파생과 접미 파생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둘째, 두 단어의 형태가 유지하고 결합하는 것이 합성이다. 그러나 합성과 파생은 구별하기 어려울 때가 많으므로 결합에 참석하는 부분이 접사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어떤 학자는 합성과 혼성을 통합하고 설명할 경우도 있다. 하지만 필자는 둘의 구성 방법과 형성 과정이 다르다고 생각해서 합성과 혼성을 나누어서 설명할 것이다. 셋째, 혼성과 축약이다. 혼성과 축약은 단어 구성 부분의 일부가 결합에 참석하고 합쳐져서 새로운 단어를 생성하는 과정을 말하는 것이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 필자는 이런 결합 방식을 통해서 형성된 단어가 새 단어인지, 즉 결합하기 전의 단어보다 새로운 의미가 생기는지에 따라 판단하고 혼성과 축약 두 가지로 나누었다. 결합하기 전보다 새 단어가 형성되는 것이 혼성이고 원래 의미를 유지하는 것이 축약이다. 마지막으로 다른 나라 언어에서 단어, 형태소, 문자나 개별적 따위를 빌려서 쓰고 단어를 만드는 방법, 즉 차용이다. 본 논문에서 단어의 형성 방법을 이렇게 다섯 가지로 나누어서 설명을 할 것이다. 형성 방법의 개념뿐만 아니라 접사, 어근, 품사, 구성 방식, 구성 어원 등에 따라 다시 분류하고 표로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쉽게 헷갈리는 형성 방법들의 차이, 형성 방법을 이용해서 형성된 신어를 분석하는 과정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논문은 주로 외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신어를 쉽게 배우고 형성 방법과 의미를 스스로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연구를 하겠다. 신어의 형성 방법과 분석 방법을 위주로 설명한 후 학습자의 한국어 등급별 한국어를 습득하는 학습 방안을 제시하겠다. 학습 방안은 도입, 전개, 연습 세 단계로 나누어서 진행할 것이다. 초급 학습자는 신어의 기초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게, 중급 학습자는 신어의 형성 방법과 형성 원리를 파악할 수 있게, 고급 학습자는 스스로 형성 방법을 이용해서 신어의 의미를 분석할 수 있게 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제어: 신어, 형성 원리, 파생, 합성, 혼성, 축약, 차용, 교육 방안, 외국인 학습자

      •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 연구 : 학문 목적의 베트남인 중급 학습자 대상으로

        PHAM NGUYEN TUONG VY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use of flipped learning in Korean reading education for intermediate-level Vietnamese learners. The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his approach is effective as a teaching method for essential courses in undergraduate Korean language programs. Based on a survey of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Vietnam and areas for improvement, the study aims to develop a suitable Korean reading education method for Vietnamese learne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in Korean reading classes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flaws of flipped learning classes that remain in previous studies. To establish a systematic instructional design theoretically, the PARTNER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as referenced for use in Korean reading classes utilizing flipped learning. The following is an overview of each chapter.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were described,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reading education for Vietnamese learners and flipped learning were reviewed.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difficulties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experience in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process were identifi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reading ability is the most frequently used function in academic performance for learners with academic objectiv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flipped learning can implement an ideal teaching and learning model suitable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classes, but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flipped learning teaching methods in the field of reading education for Vietnamese learners with academic objectives.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flipped learning and Korean reading education will be presen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 process, and methods of reading education and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design model of flipped learning will be discussed. The educational effects and issues of flipped learning will also be examined. In Chapter 3,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reading education at Vietnamese universities will be analyzed. Next, a survey will be conducted to investigate Vietnamese learner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flipped learning and Korean reading education. Through the survey, the factors that affect Vietnamese learners' Korean reading ability, limitations, learner demands, perceptions of flipped learning, and opinions on Korean reading classes utilizing flipped learning will be examined. By analyzing the results of a survey of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learner demands in Vietnam, appropriate directions for improvement will be identified. In Chapter 4, specific lesson plans and topics for Korean reading education will be selected and developed to conduct an experimental class with 8 Vietnamese intermediate Korean language learners (KFL), divided into two groups of 4 for a total of 4 sessions over 4 weeks. Objective results will be analyzed through pre- and post-level evaluations, and the learners' opinions on the class will also be collected. In Chapter 5, the results of the review of the flipped learning model for Korean reading education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ill be summarized to conclude the research.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the study aimed to select appropriate reading texts and topics that could be applied to Korean reading education for enhancing learners' language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in daily life. The use of flipped learning to present a class model is significant, an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iscussion-based classes for academic purposes. Keywords: Vietnamese Korean learners, flipped lear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reading education, Korean read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 목적의 베트남인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읽기 교육 현장에 플립드러닝을 도입하는 문제에 대한 나름의 통찰을 제공하는 데 있다. 플립드러닝을 활용하는 방법이 학부과정 필수 교과목으로서의 한국어 읽기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으로 효과적인지 여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베트남인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개선할 점을 조사한 뒤 베트남인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의 하나를 모색해 볼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어 읽기 수업에서 플립드러닝 수업을 적용한 기존의 모형들을 우선 분석하여 기존의 연구들에 남아 있는 문제점들의 개선 방향을 찾아보려 한다. 플립드러닝을 한국어 읽기 수업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고는 PARTNER 교수-학습 모형을 참고하여 체계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기술하고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육 연구와 플립드러닝 관련 연구를 검토하였다.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학습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경우 읽기 능력이 학문적 수행 과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플립드러닝이 외국어 교육 수업에 적합한 이상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구현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이 교수법이 학문 목적 베트남인 학습자들을 위한 읽기 교육 분야 연구에서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장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 플립드러닝과 한국어 읽기 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읽기의 개념, 과정과 읽기 교육 방법 그리고 플립드러닝의 개념, 특징, 설계 모형을 알아보고 플립드러닝의 교육적 효과 및 문제점에 대해 검토하였다. 3장에서는 지금까지 진행되고 있는 베트남 대학에서의 한국어 읽기 교육 현황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베트남인 학습자의 플립드러닝과 한국어 읽기 교육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계점, 학습자의 요구 그리고 플립드러닝에 대한 인식, 플립드러닝을 적용한 한국어 읽기 수업에 대한 의견들을 살펴보았다. 베트남에서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학습자 요구도를 조사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적절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려는 의도였다. 4장에서는 플립드러닝 한국어 읽기 수업 모형 및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고자 한다. 플립드러닝이 전통적인 수업과 비교하여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어 읽기 수업 주제들을 선정하고 구체적인 수업 계획을 제시하여 실험 수업을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베트남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 8명을 모집하고 4명으로 이루어진 2개 그룹으로 나누어 4주 동안 총 4차시의 모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사전과 사후 수준 평가를 통해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실험 수업 모형의 유효성을 높이려 노력하였다. 5장에서는 플립드러닝 한국어 읽기 수업 방안에 대한 결론 및 연구 한계점을 정리하였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해 플립드러닝을 적용한 한국어 읽기 수업 모형이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능력과 사고력 향상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플립드러닝의 적용 실례를 제시해 보려 한 데에 나름의 의의가 있다고 판단한다. 이 연구가 학문 목적 베트남인 중급 학습자의 읽기 수업 과정에 하나의 대안이 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 플립드러닝 , 한국어 교육 , 읽기 교육 , 학문 목적의 한국어 읽기 교육

      • 남녀 대학생의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FoMO 척도 적용을 중심으로

        전소연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oMO, coping styl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 FoMO was also to test the madiation effect of passive coping style on subjective well-being. To this end,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sacle 'FoMO', the stress coping style scale,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K - SWLS '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 K-pANAS-R' for 354 university students(female=213, male=141). The t-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FoMO, stress coping style and subjective well-being depending on gender.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FoMO and stress coping style and subjective well-being. To test FoMO and each sub-factor influences subjective well-being, series of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mediation the effect of passive coping sty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 First,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FoMO, Coping Style, and Subjective Well-Being by gender showed that for each sub-factor,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male students. It has been shown that female students use more passive coping style, emotional center, and desire coping style than male students. A sub-factor of subjective well-being has been shown to have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and positive affect than female students. Second,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FoMO and coping style and subjective well-being. As a result, the positive coping style showed a static correlation with 'external motivations' for female students.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there was a static correlation in ‘belonging nee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oMO and subjective well-being, male students have shown that the satisfaction of life is FoMO and sub-factor, with the exception of ‘belonging need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FoMO.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did not correlate with FoMO in the positive affect, but in the negative affect,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had a static relationship with FoMO in each sub-fact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components of stress coping style and subjective well-being showed active coping style, satisfaction with life, positive affect and static relationships. On the other hand, in the passive coping style, only Female students were concerned with the relationships of negative affect. Third,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when FoMO and each sub-factor affect negative affect, passive coping style has been shown to have partial effect. On the other hand, FoMO had an effect on negative affect but, no regulatory effect of passive coping style.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소외에 대한 두려움, 대처방식, 주관적 안녕감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극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54명에게(여학생=213명, 남학생=141명) 한국형 ‘소외에 대한 두려움’ 척도(FoMO),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 한국판 삶의 만족도 척도(K-SWLS), 한국판 정적정서 부적정서 척도 개정판(K-PANAS-R)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소외에 대한 두려움, 대처방식, 주관적 안녕감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검증을 실시하였다.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대처방식, 주관적 안녕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소외에 대한 두려움 및 그 하위요인들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칠 때 소극적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소외에 대한 두려움, 대처방식, 주관적 안녕감에서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각 하위요인에 경우,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의 경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소극적 대처인 정서 중심,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의 경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삶의 만족도와 정적정서를 더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대처방식,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적극적 대처방식에서는 여학생의 경우 외적동기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나, 남학생의 경우 소속욕구에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주관적 안녕감 및 그 하위요인들 간의 관계에서는 남학생의 경우, 삶의 만족도는 소속욕구를 제외한 소외에 대한 두려움, 외적동기, 상대적 박탈감에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 여학생에서는 삶의 만족도와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상관은 나타나지 않았다. 정적정서에서는 여학생과 남학생 모두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각 하위요인에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부적정서에서는 여학생과 남학생 모두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각 하위요인에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대처방식과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들 간의 관계는 남녀 대학생 모두 적극적 대처와 삶의 만족도, 정적 정서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반면 소극적 대처에서는 여학생만이 부적정서의 관계만 유의하였고, 남학생은 모든 요인에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극적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여학생의 경우, 소속욕구를 제외한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각 하위요인이 부적정서에 영향을 미칠 때 소극적 대처가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남학생의 경우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부적정서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만 소극적 대처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아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과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 남자 유아교육전공자의 삶

        안우철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살아온 생애, 살아가는 삶을 심층적이고도 다양하게 조명해보고, 탐색함으로써 그 안에서 드러나는 이야기, 변화와 발달을 구체적이고도 상세하게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은 어떠한 삶을 형성해 가는가? 2.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의 전문적 정체성 형성 과정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한 연구 참여자는 연령별, 학력별, 경력별 분포를 고려하여 남자 유아교육전공자 8명을 선정 하였으며 본 연구는 2012년 7월 19일부터 11월 30일까지 총 16주에 걸쳐 사전면담 1회와 심층면담 4회, 연구 참여자별로 심층면담, 전화면담, 인터넷면담(E-mail, Messenger)등을 수시로 병행하였다. 전사된 자료는 영역분석과 분류분석 방법을 혼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 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은 어떠한 삶을 형성해 가는가?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은 교사가 되기 위해 대학입학이전과 교사양성기관인 대학에서 다양한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의 대학입학이전 유아교육에 관련된 경험은 자신들이 살아온 환경에서 영향을 받기도 하고,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은 채 살아온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관련 경험은 교사 역할에 대해 매력과 소망을 갖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의 유아교육과 지원 동기는 모두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장래성이나 유아에 대한 관심, 적성 등 공통적으로 자의로 유아교육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에서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은 경우가 있는 반면 반대에 부딪히기도 하였다. 셋째,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이 학부시절을 회상하였을 때, 긍정적인 경험보다는 부정적인 경험을 많이 하였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인 경험으로는 부담스러운 시선, 인간관계 형성의 어려움, 학업의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다. 시간이 지나면서 학과에 적응이 되고 성장의 발판으로 삼은 경우도 있었다. 교육실습을 통하여 교사의 역할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기 시작하였다. 교사직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교사직에 대한 자신의 마음을 조금씩 확고히 하기 시작하였다.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은 초임교사시절 개인적인 삶, 동료교사와의 관계, 기관장과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다양한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은 자신의 초임교사시절 개인적인 삶은 없었으며, 이에 대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고 나타났다. 일정하지 않은 출퇴근 시간, 과도한 업무, 잔업 등 스트레스를 받았다. 그러나 어려움 속에서도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은 교사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며 성실히 근무하는 자세를 보여주었다. 둘째,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은 초임교사시절 동료교사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낀 반면,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위해 본인이 노력한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도 있었다. 동료교사와의 어려움은 자신을 보는 시선의 의식, 무시, 편견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한 경험은 특별하게 생각하지 않는 시선, 배려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관장과의 관계는 배려와 관심을 받으며 순탄한 교사 생활을 시작하였으나 남자교사에 대한 지나친 기대감으로 불화가 생긴 사례도 있었다. 기관장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후원자로 교사를 지지해주었으며 교사는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넷째, 학부모와의 관계는 초임교사시절, 의구심, 낯섦, 어색함, 불편함으로 시작하여 오해를 부르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은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시간이 흐른 뒤, 교사로서 인정을 받게 되고 학부모와의 신뢰감을 형성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남자라서 힘든 점, 여자 유아교육전공자와의 차이점, 역할과 업무, 교육철학과 신념, 남자 유아교육전공자의 필요성, 비전,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를 위한 지원방안, 특별한 이야기의 요소들을 찾아내었다. 첫째, 남자라서 힘든 시기가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성추행과 같은 사회적인 문제가 나타났을 때의 걱정스런 시선을 느꼈다. 신체적 접촉은 외부의 시선으로 인해 나름의 기준과 원칙을 정하고 있었다. 기관 시설 환경의 불편함을 느낀 경우도 있었다. 또 여자교사와의 갈등 상황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자 유아교육전공자와의 차이는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 정서, 성향, 관심의 차이로 보는 관점과 차이를 느끼지 못한다는 의견도 나타났다. 차이점을 인지하고 있거나 수용, 거부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은 현재 교사, 원장, 강사의 역할과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역할에서 오는 책임감, 보람, 가치관 등을 이야기하며 자신의 일에 만족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넷째, 유아교육전공자로서 본인만의 교육철학을 이야기 하였다. 교육의 기준점에 대한 고민, 철학의 변화에 대한 다양한 견해로 나타났다. 다섯째,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로서 남성 역할 부재, 아버지의 부재로 인한 문제점을 제기하며 This study examined various aspects of life of male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to learn their in-depth life story as well as changes and developments they have experienced during that life from student life to teaching career life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The objec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What kind of life do male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form? 2. How do male students shape their professional identity? For the research, eight male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were selected after considering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experience that they have had. The study was carried out for a period of sixteen weeks (July 19 to November 30, 2012). The subjects had a preliminary interview as well as four in-depth interviews. In addition to that, each subject was interviewed through phone interviews, in-depth interviews, and internet interviews (via e-mail and/or messenger) on occasion.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both domain and classification analysis t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life do male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for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tudents had various experience before and after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rst, some students were influenced by their experience in choosing the major while some were not. Those who were affected by their experience displayed greater interest and desire in becoming a early childhood teacher. Second, although all students said that it was their own decision, they had different reasons as to why they have decided to study early childhood education. Some said they considered future prospect of the major, while others reflected their talent and their interest in children. Also, some families supported student’s decision to study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some were opposed to it. Third, when students were asked about their undergraduate memories, students gave more negative recollections than positive. These negative remembrance include people’s negative perception of students’ major, difficulties in their personal relationships and academics. However, some turned those difficulties into a stepping-stone for future growth. Many students took their field training experience seriously in considering their career as a teacher. During the field training, many students were able to experience first hand the work and made up their minds about whether to pursue a teaching career. Throughout the study, the students illustrated a variety of experiences they had at their first teaching post ranging from personal life to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high officers, and parents. First, most of the students said they did not have much time for personal life which caused a great deal of struggle. Many of them complained about stress from unstable working hours, excessive tasks, and extra working hours. However, even with the anxiety, most of them enjoyed and respected their profession. Second, while most of the students had difficulties with personal relationships, there was a case where a student tried to improve the situation by himself. The difficulties that the students had encountered usually associated with people’s biased perception and disrespect for the profession. For those who were able to attain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colleagues, they were able to do so by overcoming those challenges. Third, as for the relationships with high officials such as a director or staff teachers there was a case where he received firm support in the beginning of his career but it got complicated over time due to exceeding expectation. Teachers with high status usually supported male teachers without revealing themselves while the teachers strived to meet the expectancy. Fourth, the study showed indicated that many male teachers were often misunderstood by parents during their first year as a teacher, because many parents found male teachers to be strange, discomforting, and doubtful. Therefore, male teachers had to put extra additional efforts to improve the relationships with parents which they were able to achieve over time. Finally, the study also examined difficulties that male students had to confront due to their gender as well as th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In addition to that, the study also looked into things like student’s educational philosophy, thoughts on the need for male students, support measures, and any other special insight they have learned from being a male stud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First, the study showed the male students had to undergo extra hardship due to their gender. For example, when sexual molestation was a hot social issue, male students felt extra pressure. The students said that there were certain principles they were to set and follow in order to avoid problems like sexual molestation. There were other complaints regarding working environment. Also, some male teachers complained about conflicts with female colleagues. Related to the second issue of whether they were being treated differently due to their gender, some responded that they were treated differently as to how parents or other colleagues perceived them while others responded that they were not treated any differently from their female colleagues. Some recognized these differences while others either accepted or denied such disparities. Third, the study discovered that male students were now involved in different professions such as teachers, principals, and instructors. Many of them showed great satisfaction and pride about what they were doing. Fourth, in their interviews, many of them discussed about their educational philosophies although it varied widely. Fifth, all students pointed out lack of male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urged for more male involvement. There were some cases where the unique advantage of male tea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