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거유형에 따른 아동의 장소성 형성에 관한 연구

        김은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63

        This study is to see which places are recognized as significant or reluctant for children in their resident environmental space, which seems to become poor for children in their everyday activities, and to examine what has caused such formation of placeness of children. To pursue these aims, this study first consider some conceptual contexts of place and placeness and residential life of children. And then this study conducts questionary survey, to children in the sixth grade of 3 primary schools in Jisandong Soosunggu Daegu, especially dividing and comparing two groups of children who live in independent houses and row houses, and those who live in apartment complex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classified questions for child’s cognition about his resident environment physical factor, behavioral factor and psychological factor, and compared children in apartment from children in independent and row houses. As a result, only between physical and behavioral factor are statistically different, but not in psychological factor. That is, by the function that residence should be, child, regardless of the resident type, had the same feelings psychologically to their resident space. Also, children showed that they responded positively in all items and most of them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resident environment. Second, the village center of which children cognized, regardless of resident type, was responded all highly the school, we could see that the center for children was cognized the place, centralized by their activities rather than the real point of visual, symbolical and scale side. Also, the distance to the center showed to be very near to their resident place. Third, the past children, as they actively used an alley even a distant place like a natural environment, were good at their social, geographical accessibility to the distant places, different from now, diverse outdoor places showed generally even applying frequency. But the favorite place for actual children, different from the past, was responded downtown factor near to their houses, we could see that the meaning of downtown like a place for children who live in cities become very high. Besides, their favorite place responded corresponded to positive environmental factor, but also such negative environmental factor as traffic and harmful factor if they provide them with the resource to play with be their favorite place, while though the place corresponds to the positive environmental factor if the environment isn’t agreeable or funny children cognized there to be averse place. That is, the preference of place for child showed to be different not only its physical environment but also his contribution of importance of which child himself does by his actions in the place. Children cognize much the place they frequent within their resident environment or the environment they have been given some of visual stimulus, conscious or unconsciously showed resident environment have a lot of effect on children’s formation of placeness. In the dramatic process of urbanization so far, the effort to make image, apt to separate city or each of resident area, actually can be said to almost not be realized. The good image to the resident environment makes children form emotional security and harmonious placeness. So, the further resident environment should be planed to give children more positive effect.

      • 중년성인의 알츠하이머병 위험감소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behaviour change wheel model 기반으로

        김은주 대전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63

        국문초록 본 연구에서는 행위변화 휠(Behaviour Change Wheel [BCW]) 모델을 기반으로 알츠하이머병 위험감소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알츠하이머병 위험요인을 가진 중년성인에게 적용 한 후 알츠하이머병 지식, 대인관계, 건강관련 자기효능감, 우울,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효과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무작위 대조군 반복측정설계(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peated measurements study)를 사용하였다. 대상자는 J시에 있는 학력인정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45세 이상 65세 이하의 중년성인 52명을 실험군 26명, 대조군 26명으로 무작위 할당하였으며 프로그램 시작 전까지 할당 은폐하였다. 연구의 기간은 2016년 3월 10일부터 4월 22일까지였으며, 프로그램 진행은 3월 14일부터 4월 19일까지 1회 60분, 주 2회, 6주 진행하였다. 알츠하이머병 위험감소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알츠하이머병 지식은 Alzheimer’s Disease Knowledge Test (ADKT)를 기반으로 Carpenter 등(2009)에 의해 수정된 도구를 Kim과 Jung(2015)이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번역하여, 내적일치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ADKS-K(Alzheimer’s Disease Knowledge Scale-Korean Version)도구로 측정하였다. 대인관계는 Schlein과 Guerney(1971)가 개발한 Relationship Change Scale을 Moon(1980)이 번안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건강자기효능감은 Becker, Stuifbergen, Oh & Hall(1993)이 개발한 The Self Rated Abilities for Health Practices Scale을 Choi와 Moon(2005)이 번안하고 수정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우울은 Radloff(1977)가 개발한 CES-DS(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를 Cho와 Kim(1993)이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표준화한 CES-DS(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건강증진행위척도는 Walker 등(1987)이 개발한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Ⅱ (HPLP-Ⅱ)를 Seo(2001)가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2.0을 사용하였으며, 처리의향분석(intent-to-treat, ITT)원칙을 적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가설검정은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알츠하이머병 지식의 변화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결과, 시간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F=21.75, p<.001, partial η²=.303) 가설 1은 지지되었다. 2) 대인관계의 변화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결과, 시간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F=1.37, p=.258, partial η²=.027) 가설 2는 기각되었다. 3) 건강관련 자기효능감 변화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결과, 시간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F=3.80, p=.036, partial η²=.071), 가설 3은 지지되었다. 4) 우울의 변화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결과, 시간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F=1.17, p=.311, partial η²=.023) 가설 4는 기각되었다. 5) 건강증진행위의 변화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결과, 시간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F=2.98, p=.060, partial η²=.056) 가설 5는 기각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알츠하이머병 위험감소프로그램은 지식과 건강관련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 건강증진행위가 변화되기 위해서는 6주 이상의 프로그램이 적절하다. 따라서 알츠하이머병 위험감소프로그램은 중년성인의 알츠하이머병 위험감소를 위한 중재로 사용가능하다.

      • 디지털매체 활용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교육요구조사

        김은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디지털매체 활용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교육요구조사 김은주 유아교육전공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디지털매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데 필요한 역량과 지식에 대한 요구를 확인하고, 교육방안 및 교사 역량강화에 대 한 교사의 필요성을 명확히 파악 하고 현실적으로 필요한 교육을 지원하 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디지털매체 활용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요구’를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를 구성한 후, 수도권의 유아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유아교육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수정 및 보완하였 으며 수집된 자료는 통계 분석으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더불어 대응표본 t검증과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를 사용 하여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에서의 디지털 매체활용 교수학습방법으로 ‘교사에게 디지털매체 활용교육 지침서를 통 해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교육을 제공한다.’ 에 대해 현재수준과 중요수준 차이값이 평균보다 높은 지표 및 가장 높은 요구로 확인되었다. 둘째, 디지털매체활용을 유아가 안전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유아는 올바른 방법(시간, 장소, 태도)으로 디지털 매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 원’의 요구도 두 번째 우선순위로 확인되었다. 셋째, 유아교육에서의 디지털매체 활용교육자료 및 환경에서 ‘교사에게 디지털매체 활용교육지침서(누리과정교사용지도서, 유치원 교사용 현장 지원자료 등)를 통해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교육을 제공한다’, 유아교육 현장교육자로서 교사교육을 통해 지침서활용 및 안전하게 사용하기 등 유아교사의 전문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들은 디지털매체활용교육에 지침서 개발과 교사 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명확하고 현실적인 교사 연수계획 및 교육지침이 구성되어야 할 것을 시사한다. Teachers' Educational Needs for Digital Media Utilization Education Kim Eun Ju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eeds of teachers for competencies and knowledge to effectively utilize digital media, to clearly identify the needs of teachers for educational methods and teacher capacity building, and to support realistic education. Therefore, a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to investigate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education utilizing digital media, and a needs survey was conducted on 300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questionnaire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consultation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o calculat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In addition, priorities were analyzed using paired sample t-tests, the Borich Needs Char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level and the critical level was identified as a higher-than-average indicator and the highest need for "Provide teachers with education using digital media through digital media education guidelines"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utilizing digital medi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in order to ensure the safe use of digital media by young children, the need to "support young children to use digital media in the right way (time, place, attitude)" was identified as the second priority. Third, in terms of educational materials and environments for the use of digital medi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earchers emphasized the need for professional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uch as 'providing teachers with education on the use of digital media through digital media education guidelines (Nuri Course Teacher's Guide, Kindergarten Teacher's Field Support Materials, etc.)' and teacher education as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educators to use the guidelines and use them safely. In conclusion, early childhood teachers value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and teacher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digital media utilization education, and suggest that clear and realistic teacher training plans and educational guidelines should be organized for this purpose. It suggests that clear and realistic teacher training plans and educational guidelines should be organized.

      • 광주지역 전자상거래에 대한 소비자들의 이용행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은주 호남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47

        전자상거래의 이용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그 간접적인 구매방법으로 인해 소비자들은 불안함을 가지고 있다. 전자상거래 기업들은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을 파악하여 그 불안함을 해소시킬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의 전자상거래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이용행태와 만족도를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 만족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설문조사를 통해 통계적으로 검정한다. 실증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자상거래를 사용하는 소비자들의 성별이나 소득수준은 비이용자들에 비해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연령이나 학력 그리고 직업의 차이는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을 더 많이 이용할수록 전자상거래의 이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보급의 증가가 전자상거래를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전자상거래에 대한 만족도 측면에서 상품과 서비스를 주문함에 있어 구매경험자와 비구매자로 구분하여 주문과정에서 느끼는 위험이나 편의 및 소비자의 상품에 대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비구매자는 구매자에 비해 기능적, 시간적, 금전적인 손실과 신체에 해가 끼칠까봐 더 큰 두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문시 장소에 대한 부담정도, 구매대금 지불할 때 실제 결재가 이루어질 것인가 하는 불안감 정도 및 상대방에 대한 신뢰부족에 대해서도 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존재했다. 즉 비구매자가 구매자보다 불안을 더 크게 느끼고 있었다. 따라서 기업들은 구입과정과 구입후의 서비스를 보완함으로써 고객들이 느끼는 불안함을 해소 해야할 것이다. 주문 시간 편리성, 주문 처리 정확도, 거래 취소의 용이성에서 있어서도 두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즉 구매경험자가 편의를 더 크게 느끼고 있었다. 비구매자의 편의를 높이기 위해서 기업들은 불편한 사용방법을 줄여서 주문이나 취소를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유용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전자상거래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구매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조사한 경우 전자상거래는 다른 유통경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만족의 정도가 낮게 나왔다. 즉 구매경험이 있더라도 전자상거래에 대한 만족도가 대체로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자상거래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소비자들이 우려하는 배달과정이나 제품의 품질에 대한 신뢰감과 거래후 서비스 등 소비자들의 이용과 신뢰를 높일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전자상거래에 대한 소비자들의 편의를 증가시키고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줌으로써 고객의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전자상거래 기업의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광주광역시에 접근하는 전자상거래 기업들의 상품과 서비스 마케팅 전략수립시 참고할 수 있는 소비자의 이용실태 및 만족도를 분석하려는 시도였다. 향후 다양한 샘플에 적용함으로써 본 연구 결과를 검정하려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Despite of rapid increase in electronic commerce, consumers worry about using it because of it's indirect way of transaction. Electronic commercers have to identify various anxiety of consumers in planning adequate marketing strategy to expand their market.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to analyze consumers' behavior and degree of satisfaction on varying stages of electronic transaction through the questionnaire collected from Gwangju residents. Major empirical findings are followings. First, the study couldn'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and income between consumers having experienced e-commerce purchase and those not.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wage, education and job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the more consumers were using internet, the more likely that they were buying through e-commerce. Third, the consumers who had purchased goods and services through e-commerce felt less risk about the proper functioning of goods delivered, time and money loss involved in e-commerce transaction than the consumers without purchasing experience. Proper money clearing and product guarantee also bothered the consumers with purchasing experience less than the other consumer group. Time required to complete the transaction, accuracy of ordering, easiness of cancellation also affected the two consumer groups differently. The experienced consumers worried less about those services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 Even the experienced consumer group were not satisfied with the overall services of e-commerce transaction compared to other traditional commerce medium, except for low price of e-commerce. The study suggests that e-commercing firms have to invest properly not only to improve consumers' convenience in using e-commerce but to alleviate their risk involved in the transaction. Future study should test the hypotheses in various samples to generalize the empirical results derived from the study.

      • 비주얼 텍스트와 극적 내러티브 : <올드보이>와 <향수>의 텍스트시간 연구

        김은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시각 영상 분야에서 일어난 이와 같은 변화는 전통적인 의미의 공간 지각 예술 내의 형식적 혁신만을 의미하진 않는다. 전통적인 범주 내에서는 시각 예술 내에 머물러야 마땅할 사진과 영화는 문자 텍스트 못지않은 메시지(message)를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형식의 ‘내러티브(narrative)’를 만들어냈다. 추상적인 문자 텍스트에 회화적 이미지가 더한 삽화, 포스터, 만화가 담지하고 있던 공감각적 스토리텔링(story-telling) 기법은 4차원적 CG 기법으로 대체되었으며, 이는 근본적으로 미디어의 형식적 한계에 갇혀 있던 인간의 상상력을 해방시켰다. ‘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상을 보게 될 것이다’라고 했던 한 외국 영화의 광고 카피는 사실 21세기 예술적 미디어의 혁신 그 전체를 함축하고 있는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전통적인 의미의 시간 / 공간 예술과 같은 이분법의 붕괴 혹은 융합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야기’ 혹은 ‘서사(敍事)’ 등으로 번역되었던 ‘내러티브’는 (쓰고, 읽고, 이해하는) 시간의 연쇄적 흐름을 통한 메시지의 구현이라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었지만, 디지털 시대의 CG 등의 도움을 받으며 새롭게 등장한 영상 서사 구조는 더 이상 전통적인 의미의 서사이론으로는 설명하기 힘든, 즉각적이면서도 함축적인 새로운 디지털 내러티브를 창출하고 있다. 현재 디지털 문화 세대에게는, 아날로그 문화 세대의 통시적(diachronic) 설명(explanation)을 통해 이해에 이르는 전통적인 내러티브 방식보다는 동시적(synchronic) 공감각적 체험(synesthetic experience)을 이끌어내는 멀티미디어(multi-media)의 하이퍼리얼리즘(hyper-realism) 내러티브가 더욱 자연스럽고 접근 용이한 것이 되었다. 물론, 내러티브는 신화, 전설, 소설, 비극, 드라마, 코미디, 마임, 회화와 같은 전통적인 예술 양식은 물론 영화, 만화, 뉴스 그리고 일상의 대화 속에까지 들어 있다. 이런 점에서, ‘내러티브’는 언어를 획득한 인류의 ‘문화적 본능’의 소산이라고 말해도 무방할 것이다. 존재의 이유 혹은 사건의 전말에 대한 전달자의 생각이 피전달자에게 도달하는 과정에 개입하는 언어적 활동 전반은 전통적으로 ‘설명’과 ‘이해’의 과정, 그 사이에 시차(時差)가 존재함을 대전제로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디지털 시대의 영상 내러티브는 이와 다르다. 시간적 인과 관계와 연상 작용보다는 동시적 감정이입(empathy)이 더욱 중요한 목적인 동시에 표상이 되었다. 이는 물론, 내러티브에 시각적 이미지가 결합함으로써 촉발되고 강화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1. 먼저 본 논문은, 내용으로서 내러티브와 혁신된 형식으로서 텍스트의 시각화가 맺고 있는 유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서 말하는 유기적 관계란, 내용이 시각적 이미지로 변화하는 과정과 이미지와 내러티브가 중첩되어 창안된 새로운 영상 내러티브가 수용자에게 전달, 수용, 공감을 획득하는 과정의 전체를 일컫는다. 이와 같은 연구 의도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텍스트의 기호 시스템과 또 서로 다른 코드를 지니고 있는 표현 매체의 관계부터 고찰할 필요가 있다. 즉, 전통적인 의미의 내러티브를 보유한 문자 텍스트(문학 작품)와 3차원적 시각 이미지가 가미된 회화 텍스트(만화) 그리고 이와 같은 원작을 모본(母本)으로 하여 새로운 형식의 내러티브를 구성한 영상 텍스트(영화)를 상호 비교하는 차원에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원작에서는 문자나 그림을 통해 구현된 내러티브가 새로운 영상 텍스트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획득하게 되는 상호텍스트성(inter textuality)이 바로 본 논문이 집중적으로 살펴야 할 내용이다 2. 다음으로는 이와 같은 변화의 핵심이자, 서사 변형을 이끌고 있는 시각 이미지의 ‘서사 내 역할(role-in-narration)'이 본 논문이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내용이다. 3. 본 논문은 영상 텍스트의 시각적 이미지가 어떠한 방식으로 극적 내러티브를 형성하고, 관객의 감정이입을 이끌어내는지 측정할 수 있는 수리적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상 텍스트 내의 시간적 요소는 스토리에 제공되는 정보의 배열에 의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이때 배열의 순서나 강조된 이미지는 그 작품을 특징짓는 내러티브 스타일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스타일은 주로 시각적 조형 요소에 의해 뒷받침된다. 즉, 카메라의 각도, 화면의 크기, 색채와 이미지의 배열, 화면의 구도 등은 충분히 계수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 요소들의 배열을 계수화하고 논리적으로 분석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영상 텍스트 분석의 방법적 가이드 라인이 구축될 것이다. 본 논문의 진행과 함께 드러나게 될 이와 같은 영상 텍스트 분석의 가이드 라인을 통해, 영상 텍스트의 조형 원리가 드러나고 이를 통해 내러티브의 서사 구조의 새로운 분석 방법이 제시되고, 보다 궁극적으로는 이를 통해 디지털 문화 시대의 새로운 미학적 원리의 양상의 일단이 드러나게 될 것이다.끝으로, 본 연구는 내러티브에 관한 이론적 출발이 인문과학, 사회과학에 있음을 분명히 인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힌다.

      • 블루베리(Vaccinium corymbosum L.)의 품종특성, 삽목번식 및 토양관리체계 확립

        김은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Ⅰ.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Highbush Blueberry Cultivars In 2008, cultivar characteristics (growth and fruit quality) were investigated from 20 highbush blueberry cultivars at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For this study, two-year old seedlings had been transplanted in 2006. The results showed that bloom period was the earliest in ‘Collins’ (16 April) and latest in ‘Darrow’ and ‘Elliott’ (29 April). Fruit set were higher in ‘Bluecrop’, ‘Collins’, ‘Duke’, ‘Jersey’, ‘Northland’, ‘Rancocas’, and ‘Sierra’ than ‘Berkley’, ‘Blueray’, ‘Chandler’, ‘Elliot’, ‘Nelson’, and ‘Spartan’. Fruit was larger in ‘Berkley’, ‘Chandler’, ‘Patriot’, and ‘Spartan’(>3.5 g), than ‘Collins’, ‘Jersey’, ‘Northblue’, ‘Northland’, and ‘Rancocas’(<2.4 g). The varieties showing relatively high TSS (>13°Brix) were ‘Bluejay’, ‘Blueray’, ‘Coville’, ‘Darrow’, ‘Dixi’, ‘Jersey’, and ‘Northland’. Anthocyanin content was in the range of 55~155 mg/100 g and the cultivars with more than 100 mg/100 g were ‘Bluejay’, ‘Collins’, ‘Coville’, ‘Elliott’, ‘Jersey’, ‘Northblue’, ‘Patriot’, and ‘Rancocas’ varietie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sing 21 characteristics of highbush blueberry, the 20 cultivars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 by maturing time and yield. Ⅱ. Establishment of the Propagation Methods by Cuttings for Blueberry Plan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propagation by cuttings of highbush blueberry plants. The pH of the media for cuttings was 4.3 for peatmoss only, 4.4~4.6 for peatmoss +sand, and 4.6~4.7 for peatmoss+perlite. The most optimal medium for rooting was peatmoss:perlite(7:3) in which rooting, root length and root weight were good. Mean percent budding of the cuttings was promoted when PGRs were applied. Determined 90 days after cutting, callus development and rooting rate were high with 500 mg·L-1 NAA for the cultivars ‘Bluecrop’ and ‘Sunrise’ cultivars but IBA at 500 mg·L-1 promoted rooting in ‘Duke’. Mean temperatures of the media for cuttings decreased with increasing level of shading; compared to non-shading control, shading reduced temperatures by 1.1~2.2℃ around 9 AM, by 3.3~4.8℃ around 1 PM, and by 2.6~3.6℃ 5 PM. Callus development and rooting rate were highest with 30% shading. The rooting rate from the hardwood cutting varied according to the time of sampling; rooting rate was higher in the cuttings sampled in early April, compared to the mid March samples. The growth potential of roots and shoots of the cuttings increased with increasing number of nodes per cutting. Considering rooting rate and cutting efficiency, 4~5 nodes per cutting was considered to be optimal. Ⅲ. Soil Management of Blueberry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oil management techniques for improving blueberry production, which included the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mounding height, incorporated organic materials, and mulching materials. Several organic materials were tested for their alternative to peatmoss, when partly composted pine needles, rice hulls and sawdust were used alone or in mixture. The pH of the organic materials was the lowest in peatmoss (4.3), followed by pine needles (4.8), sawdust (5.7) and rice hulls (7.8). Soil water content was maintained highest in peatmoss + pine needles, followed by peat only, peatmoss + sawdust and peatmoss + rice hulls. Soil pH that measured after incorporation of organic materials into the soil was similar in peat only and peatmoss + pine needles (5.2) while hieger in peatmoss + sawdust and peatmoss + rice hulls (5.4 and 5.9, respectively). Plant vigor and fruit set were good in both peatmoss only and peatmoss + pine needles treatments, leading to the increase in yield, but fruit quality was not influenced. The optimal mounding height in terms of plant growth and fruit number was found to be 15 ~ 20 cm. Overall root growth was highest with 15 cm mounding in which the number of vegetative branches developed averaged 8.3 per plant and roots weighed 385 g. Mulching materials affected soil water content and temperatures. Growth was good in both black polyethylene film and black non-woven fabric mulching treatments but black polyethylene film induced a slight winter injury (15%) on the current years growth. Consequently, fruit set and yield were higher in the black non-woven fabric mulching treatment than black polyethylene film. However fruit characteristics were not influenced. 국내에 도입되어 있는 블루베리 품종을 대상으로 생육 및 과실특성을 조사하고 삽목번식방법을 구명하였으며, 유기물 시용효과, 정식시 복토높이, 생력화를 위한 토양피복재료 등 토양관련 재배기술을 개발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Ⅰ. 블루베리 품종의 생육 및 과실특성 북부하이부시 품종 20종을 수집하여 특성을 조사한 결과 개화기는 ‘Collins’가 4월 16일로 가장 빠르고 ‘Darrow’와 ‘Elliott’는 4월 29일로 늦었다. 수고는 ‘Nelson’, ‘Rancocas’, ‘Sunrise’가 125~128cm로 컸으며 반수고인 ‘Northblue’는 60cm로 작았다. 착과수는 ‘Bluecrop’, ‘Collins’, ‘Duke’, ‘Jersey’, ‘Northland’, ‘Rancocas’, ‘Sierra’가 많았고, ‘Berkeley’, ‘Blueray’, ‘Chandler’, ‘Elliot’, ‘Nelson’, ‘Spartan’ 등은 500개/주 이하로 적었다. ‘Collins’, ‘Duke’, ‘Spartan’의 수확기는 6월 23일로 빨랐고, ‘Darrow’와 ‘Elliott’는 7월 13일로 늦었다. 과중은 ‘Berkeley’, ‘Chandler’, ‘Patriot’, ‘Spartan’ 등이 3.5g 이상으로 대립이었고 ‘Collins’, ‘Jersey’, ‘Northblue’, ‘Northland’, ‘Rancocas’ 등은 2.4g 이하로 작은 편이었다. 고당도 품종은 ‘Darrow’ 등 7종이 13°Brix 이상이었고 경도가 높은 품종은 ‘Duke’, ‘Sierra’, ‘Bluejay’, ‘Rancocas’였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Bluejay’ 등 8종이 100mg/100g 이상이었다. 주성분분석에 의한 품종분류 결과 수확기가 빠르면서 수량이 높은 A군, 수확기가 중간이면서 수량이 높은 B군, 수확기와 수량이 중간인 C군, 수확기는 중간이고 수량이 낮은 D군, 수확기가 늦고 수량이 중간인 E군 등 5개 군으로 분류되었다. Ⅱ. 블루베리의 삽목번식 삽목 용토별 pH는 피트모스 단용 4.3, 피트모스+모래 4.4~4.6, 피트모스+퍼라이트 혼용처리가 4.6~4.7이었고 함수율은 모래에 비해 퍼라이트 혼용시 높았는데 피트모스(70)+퍼라이트(30)처리는 45.9%를 나타내었다. 발근율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컸으나 용토별로는 피트모스(70)+퍼라이트(30)처리가 피트모스 단용에 비해 평균 5~20% 향상되었다. 생장조정제 처리에 의해 삽수의 발아율이 높아졌고 발근율은 ‘Sunrise’와 ‘Bluecrop’의 경우 NAA 500mg·L-1에서, ‘Duke’는 IBA 500mg·L-1 처리에서 높았다. 삽목 후 발근기까지(4월~6월) 삽상내 평균지온은 무차광에 비해 차광정도가 30~90%로 높아질수록 오전(9시)에는 1.1~2.2℃, 한낮(오후 1시)에는 3.3~4.8℃, 오후(5시)에는 2.6~3.6℃ 낮아졌고 발근율은 30% 차광처리에서 가장 좋았다. 삽목시기별 발근율은 3월 중순에 비해 4월 상순 처리에서 높았고 발근된 묘의 뿌리 발달 정도와 신초 생장량은 삽수마디가 클수록 양호하였으나 삽목효율 면에서 적정 삽수 마디수는 4~5개였다. Ⅲ. 블루베리의 토양관리 유기물의 pH는 피트모스가 4.3으로 가장 낮았고 소나무잎 4.8, 왕겨 7.3, 톱밥은 5.7이었다. 유기물 조성에 따른 생육기별 토양수분 함량은 피트모스+소나무잎〉피트모스단용〉피트모스+톱밥〉피트모스+왕겨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기물 처리 후 토양화학성은 피트모스단용 처리시 pH 5.1, 피트모스+소나무잎 5.2, 피트모스+왕겨 5.9, 피트모스+톱밥 처리시 5.4로 변하였다. 피트모스단용과 피트모스+소나무잎 처리에서 수세가 양호하고 착과수가 많았으나 과실특성은 차이가 없었다. 복토 15cm, 20cm 처리에서 수고와 수폭이 커지고 신초장, 신초수, 과실 송이수가 많았다. 복토높이에 따라 지하부 생육이 달라졌는데 복토 15cm 처리에서 지중에서 발생되는 발육지수가 8.3개로 가장 많았고 근중도 385g으로 높았다. 토양 피복재 처리 후 지온과 토양수분의 변화는 흑색PE필름 처리에서 전 기간 높게 유지되어 생육이 월동 전까지 진행되었고 이로 인해 동해가 발생되었다. 반면에 흑색부직포 처리는 정식 후 초기생육이 촉진되었고 착과수가 많아 수량 확보에 유리하였다. 잡초는 흑색차광망 처리에서 주로 발생되었으나 과실특성은 토양 피복재 처리에 의한 차이가 없었다.

      • 한국과 중국의 영재교육 비교

        김은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compared gifted education of China and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into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n gifted education of both countries and suggested the improvements for gifted education. The conclusion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gifted children usually are recommended by parents or teachers in China and Korea. However, some children with potential abilities may not be selected by such a method. Therefore, a various methods for selecting gifted children should be suggested. Secondly, the gifted children education in Korea is managed by federal government and protected by laws. But the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is not coherent in Korea, which means some junior high or senior high schools do not provide students with gifted education programs. In the contrast, China provides a better gifted children education programs and it lasts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Nevertheless, the quantity of gifted children education programs are less and people do not pay much attention to such education program. Therefore, Korea should put more effort on the coherent gifted children education system and China should set up more gifted children education department and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order to let more children in China accept such as the programs. Thirdly, the offered classes are determined by schools in both Korea and China. Korea does not permit the grade skipping system, but enhances the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by increasing education period. In China, the education time is shortened for gifted children and allows gifted children for grade skipping system. Increasing education time for gifted children is not preferred in China. Consequently, education system should be more flexible in Korea and other abilities except intellectual ability must not be ignored. Lastly, the system for selecting and educating teachers for gifted children is not formed well in China. Hence, the criteria for qualified teachers need to be standardized as soon as possible. Either Korea or China does not have a specific department for training the teacher for gifted children education programs. Such department should be founded in both countries in order to educate more excellent gifted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