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청각과 신체활동 영상을 통한 '다중지능 놀이 음악이론' 연구 : 창작동요와 율동을 중심으로

        이지선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시청각과 신체활동 영상을 통한 ‘다중지능 놀이 음악이론’ 연구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음악이론을 시각, 청각, 노래, 율동, 도구, 음원이 합쳐진 24개의 뮤직비디오를 시청하면서 직접 활동하는 놀이 음악이론에 관한 논문이다. 이론으로만 배우는 음악이론이 아닌 신체활동과 다중지능 측면을 함께 교육했을 때 더 많은 교육적 이해도의 상승과 활용도, 즐거운 활동을 통해 이뤄지는 교육적 활동이라는 것을 증명하고자 한다. 본 교육실험을 통해 얻는 좋은 시너지를 기대하며 연구를 진행했고,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이론 책과 문제집으로 풀었을 때보다 음표와 쉼표, 박자 수, 음악 용어들을 더욱 잘 인지하게 되었다. 머리와 몸이 함께하는 다중지능 놀이 활동의 재미와 긍정성을 얻게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다중지능 놀이 음악이론 활동을 통해 피아노 교육과 다양한 아동 음악이론 지도와 음악활동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논문을 썼다. 다양한 놀이 활동을 접목하고 창작동요를 통해 만들어진 다중지능 놀이 음악이론 영상이 장소를 불문하고 언제든지 누구에게나 자유롭게 활용될 수 있는 교육 매개체가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titled " A Study on the Theory of 'Multi-intelligent Play Music' through Video Clips Containing Audiovisual and Physical Activities - Focusing on Creative Children's Songs and Dances,” introduces a music theory of play and application while watching 24 music videos that combine visual and auditory senses, singing, dancing, tools, and songs. It expects more than just a theory, but an activity that anticipates a synergy that comes from the educational activities enacted by an in-depth educational understanding, its applications, and enjoyable activities when educ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and multiple intelligence aspects.

      • 韓·日兩言語の人稱に關する 敎育的アプロ一チ -感情の介入による使い分けを中心に- : 韓·日 兩言語의 人稱에 관한 敎育的 어프로치 -感情의 介入에 의한 人稱의 變化- : 李知宣

        李知宣 慶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63

        人間은 社會的 動物이며, 言語는 人間이 活動하는 社會 속에서 影響을 받으면서 形成된다. 言語라는 것은 情報를 傳達하는 手段일 뿐만 아니라, 他人과 서로 關係를 맺고, 그 關係를 維持하는 手段이다. 그래서 커뮤니케이션을 할 때에는 社會規範을 意識해야하며, 對話를 始作할 때는 相對와 自身을 規定하는 人稱을 意識할 必要가 있다. 이와 같이 人稱은 社會的 對人關係에서 絶對 無視할 수 없는 것이므로 社會的 脈絡과 關聯시켜 派生되는 여러 問題를 考察할 수 있다. 그래서 지금까지 이러한 人稱에 관한 많은 硏究가 있었지만, 지금까지의 硏究는 社會的 要因, 특히 人間關係(上下, 親疎關係)에 重點을 두고 分析하고 있다. 그러나 人稱을 비롯한 待遇 表現은 社會的 要因과 心理的 要因이 竝行되어 選擇되는 것이기에 心理的 要因, 특히 人物에 대한 感情을 看過할 수 없다. 따라서 本稿에서는 社會的 要因과 함께 心理的 要因을 考慮하여 心理的 要因 중 특히, 人物에 대한 感情에 焦點을 맞추어, 感情의 介入에 따른 人稱의 變化에 대해 考察하는 것을 目的으로 한다. 韓日 兩言語의 人稱의 使用實態를 把握하기 위해, 本稿에서는 韓國과 日本의 大學生 427名을 對象으로 調査하였다. 韓國人 調査 對象者는 總217名이며, 性別로는 男子 112名, 女子 105名이며, 地域別로는 서울 100名, 釜山 107名으로 構成되어 있다. 日本人은 總210名이며, 男子 107名, 女子 103名이며, 地域別로는 東京 102名, 大阪 108名이다. 調査期間은 2004年 7月부터 10月까지이며, 調査 方式은 앙케이트를 통한 自己記入式으로 하였고, 調査 對象者는 有意選擇方式에 의하여 選定하였다. 그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感情의 介入에 의한 自稱의 變化 (1) 韓國語의 自稱 代名詞는 日本語에 비해 그 種類가 적으며, 대부분 「나」, 「저」 가 使用되고 있다. 또, 自稱 代名詞의 使用實態를 分析해 본 結果, 相對와의 上下關係가 絶對的인 影響을 미치고 있으며, 感情의 介入에 의한 自稱의 變化와 親疎關係에 따른 差, 地域差 등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2) 日本語는 男女別로 使用되는 自稱 代名詞의 種類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男女別로 나누어 整理해 보겠다. 男性은 普通 때는 손윗 사람(선생님, 先輩)에 대한 自稱으로 「ぼく」, 同級生과 後輩에게는 「おれ」를 가장 많이 使用하며, 플러스 有標(좋은 感情이 介入되었을 때)의 境遇에는 普通의 境遇에 비해 「おれ」의 使用이 줄어든 반면, 마이너스 有標(좋지 않은 感情일 때)의 境遇에는 「おれ」의 使用이 增加하였다. 한편, 日本의 女性은 男性과는 달리 大部分의 境遇 「わたし」를 使用하며, 親疎關係나 感情의 介入에 의한 自稱의 變化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東京과 大阪의 地域差가 顯著하게 나타났다. 즉, 大阪의 女性은, 東京의 女性의 경우에는 全無한 「うち」의 使用率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손윗사람보다 同級生과 後輩에게 두드러졌다. 2. 感情의 介入에 의한 呼稱의 變化 (1) 韓日 兩言語 모두, 손윗사람(선생님, 先輩)에 대한 呼稱에서는 感情의 介入에 의한 變化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感情 表現의 制約이 보다 약한 同級生과 後輩에 대한 呼稱에서는, 感情의 介入에 따라 使用되는 呼稱이 다른 樣相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男性의 경우에 顯著했다. (2) 地域的으로는, 韓國의 경우는 서울의 男性, 서울의 女性, 釜山의 女性은 感情(좋지 않은 感情)의 介入에 의한 呼稱의 變化가 나타났으나, 釜山의 男性에게만 變化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釜山의 男性은 感情이 介入되지 않은 普通 때에도 同級生과 後輩에게 親近感의 表明으로서 거친 呼稱을 使用하기 때문이라 推測할 수 있다. 한편, 日本의 境遇는 女性의 呼稱에 있어서 地域差가 두드러졌다. 즉, 東京의 女性은 感情에 따른 呼稱의 變化가 적은 데 反해, 大阪의 女性은 그 變化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3. 感情의 介入에 따른 他稱의 變化 (1) 呼稱과는 달리, 韓國語는 感情의 介入에 의한 他稱의 變化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이에 반해 日本語는 感情에 따라 他稱의 變化가 顯著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그 자리에 없는 第3者에 대한 他稱인데도 불구하고, 韓國語에서는 變化가 나타나지 않는 原因을 손윗사람(선생님과 先輩)과 同級生 및 後輩로 나누어 考察해보았다. 먼저, 손윗사람인 境遇는 性이나 年齡 등 「生得的 要素」와 利害關係나 親疎關係 등의 「社會的 要素」를 考慮해 볼 때, 韓國은 上下意識이 강하게 作用하여 손윗사람에게는 「生得的 要素」가 他稱의 決定에 큰 影響을 주므로 感情의 介入에 의한 變化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 同級生과 後輩의 他稱은 日本語와는 달리, 韓國語에서는 同級生과 後輩에 대한 他稱이 「이름」으로 安定되어 있으므로, 感情이 介入되어도 「이름」이 가장 많이 사용되므로, 變化가 나타나지 않는 것이라 생각한다. (2) 地域差와 男女差를 考慮해보면, 韓國語는 全體的으로 感情의 介入에 의한 變化가 거의 나타나지 않지만, 서울의 女性에게만 그 變化가 多少 나타났다. 이는 女性은 自身의 個人的 領域을 他人으로부터 妨害받지 않으려 하는 意識이 강하며, 또 男性에 비해 人間關係보다는 狀況을 重視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한편, 日本의 경우, 東京과 大阪 兩地域 모두 感情의 介入에 의한 變化가 顯著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兩地域에서 感情 表出 時 使用되는 他稱이 다르게 나타났다. 즉, 「姓」은 東京과 大阪 兩地域에서 좋지 않은 感情을 表現할 때 共通的으로 使用되고 있지만, 「あいつ」는 大阪에서, 「あのやろう」는 東京에서 좋지 않은 感情을 表現하는 他稱으로 使用되고 있었다. 以上과 같이 本稿에서 韓日 兩言語의 感情의 介入에 의한 人稱의 變化에 대해 分析해 본 結果, 社會的 要因 뿐만 아니라, 感情 등 心理的 要因이 人稱의 決定에 크게 影響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 人稱에 관한 硏究는 社會的 要因을 中心으로 다루었으나, 本稿에서는 社會的 要因과 함께 心理的 要因(感情)을 考慮하여 考察하였다는 點에서 意義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人間의 多樣한 感情을 크게 세 가지로 分類하여 考察하고 있다는 點과 相對의 性別에 따른 人稱의 使用實態까지 詳細하게 考察하지 못한 點은 問題點으로 남아있다. 따라서, 本稿의 考察을 土臺로, 調査對象者를 大學生 뿐만 아니라 社會人으로 넓혀, 보다 多樣한 視點에서의 硏究를 앞으로 進行해 나가고 싶다. 끝으로 이번 調査에 응해주신 분들과 도와주신 많은 분들께 感謝의 말씀을 드립니다. 調査 뿐만 아니라 本稿의 基本 틀을 잡아주시고 完成에 이르기까지 細心한 指導를 아끼지 않으셨던 高正道 선생님께 眞心으로 感謝드립니다. 그리고 授業을 통해서 硏究에 대한 忠告의 말씀과 指導를 해 주신 왕태웅 선생님, 이종환 선생님, 이준섭 선생님께 感謝의 마음을 전합니다. 또 本稿의 마무리 段階에 많은 도움을 주시고, 앞으로의 課題에 대해 助言을 아끼지 않으셨던 富山大學의 中井精一 선생님께 紙面을 빌어서 感謝드립니다. 마지막으로, 딸을 믿고 언제나 應援해주시고 激勵해주신 尊敬하는 부모님께 眞心으로 感謝드리며, 이 論文을 바칩니다. 그리고 더운 날씨에 受驗生活을 하고 있는 사랑하는 동생에게도 幸運이 함께하기를 바랍니다.

      • 교육복지 대상학생이 인식한 교육복지사업의 도움정도가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지선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fluence of perceived helpfulness of education welfare program on school happiness of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urveyed data from 155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which performed the education welfare service around Seoul area were analyzed. The main outcomes from the analysis of the survey data are as follows. First, study participants reported to have above average school happiness. Also participants evaluate the area of psychological emotion is the most helpful, on the contrary to this, they evaluate the area of learning is not helpful. Second, analyse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vel of school happiness of adolescent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grade level and situation of the home. Third, analyzing school happiness difference in level of education welfare program, group of above average in level of education welfare program shows higher level of school happiness than group of below average. Also, analyzing school happiness' sub-factor of education welfare program, it indicated that group of above average accordance to level of degree of helpfulness in education welfare program showed higher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joy of learning activity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figure than group of below the average. Fourth, in order to answer the major study question on how the education welfare program impact on school happiness of low-income adolescent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tudents think that they are helped, school happiness showed high. And the result indicated among sub-factors in education welfare program, the more students perceive level of the area of cultural experience and the area of psychological emotion, the more higher school happiness. Finally, The result of which sub-factors in level of helpfulness in education welfare program affects on sub-factors in school happiness, perceptions about the degree of cultural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emotion affect on self-efficacy, joy of learning activity and positive influence 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lso it is indicated perception in level of helpfulness of psychological emotion affects on teacher relationship as a positive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 welfare program affect the school happiness of low-income adolescents. Raised the need to provide measures that can be activated in the education welfare programs for the low-income adolescents. Secondly, the area of psychological emotion and the area of cultural experience showed a high degree of school happiness rather than another area. This is able to be a media which heals emotional instability that appears in adolescence. Hence, it needs to be grope for a way how increase area of psychological emotion though using more in-depth qualitative research way. Also more helpful program development considering about adolescents growth characteristics is needed. Third, it is necessary that we look into the reasons why degree of assistance in an area of learning which inspires education welfare program to support more asset than other area is low and focus on process-oriented intervention out of result-oriented intervention. Fourth, we need to approach to different perspectives by seizing what students truly needs rather than emphasizing a material support in the areas of welfare. 본 연구는 교육복지 대상학생이 인식한 교육복지사업의 도움정도가 학교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교육청 산하 11개 교육지원청 소속학교 중 교육복지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8개교의 중학교 2학년, 3학년 학생 15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대상학생이 인식한 학교행복감 수준과 교육복지사업의 도움정도를 살펴본 결과, 보통수준의 학교행복감을 나타냈고, 심리정서 도움 정도를 가장 높게 평가한 반면 학습 도움정도는 가장 낮게 평가했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학교행복감 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적이 높고, 경제적으로 잘 산다고 인식한 학생의 학교 행복감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복지사업의 도움정도에 따른 학교행복감 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육복지사업의 도움정도가 평균 이상인 집단이 평균 이하인 집단보다 학교행복감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육복지사업의 도움정도에 따른 학교행복감의 하위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교육복지사업의 도움정도가 평균이상인 집단이 평균 미만인 집단보다 자기효능감, 교사관계, 친구관계, 학습활동즐거움, 환경만족에서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교육복지사업의 도움정도가 학교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육복지사업이 도움이 됐다고 인식할수록 학교행복감이 높은 결과가 나왔으며, 교육복지사업 도움정도의 하위요인(학습, 문화·체험, 심리·정서, 복지·지원)중에서 문화체험 도움정도와 심리정서 도움정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학교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복지사업 도움정도의 하위요인이 학교행복감의 하위요인(자기효능감, 교사관계, 친구관계, 심리적 안정, 학습활동의 즐거움, 환경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문화체험 도움정도와 심리정서 도움정도에 대한 인식이 자기효능감, 학습활동의 즐거움, 환경만족에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정서 도움정도에 대한 인식은 교사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복지사업의 도움정도에 대한 인식이 대상학생의 학교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므로 대상학생이 교육복지사업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그들에게 도움이 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특히 문화체험 도움정도와 심리정서 도움정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학교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또래활동을 중요시하는 청소년의 발달 시기적 특성을 반영한 문화체험 프로그램을 더욱더 많이 개발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심리정서영역의 경우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정서적 불안정감을 달래주는 매개체가 된다고 볼 수 있으므로 지금보다 좀 더 심도 있는 질적 연구를 통해 도움정도를 높일 수 있는 더 나은 방법이 무엇인지 모색해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결과 학생들은 현재 교육복지사업에서 다른 영역에 비해 더 많은 예산을 지원하도록 독려하고 있는 학습영역의 도움정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에서 학습 관련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하고 흥미를 느낄 수 있게 한 것인지 등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한다. 따라서 학습영역에서도 학생들의 개별 욕구와 능력에 따라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해 대상학생의 학업능력 향상에 진정으로 도움이 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복지지원의 도움정도에 대한 인식도 학교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생들에게 필요한 자원을 효율적이고도 효과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욕구에 적절하게 부응하는 교육복지 실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갑상선암과 갑상선자극호르몬 및 하시모토 갑상선염의 관계

        이지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Background : Several studies showed patients with coexisting Hashimoto’s thyroiditi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had a few recurrences, improved survival rates, good prognosis. On the other hand, Hashimoto’s thyroiditis w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with thyroid carcinoma in another data. So,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between benign thyroid disease patients and thyroid carcinoma patients. And then, we examined what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yroid carcinoma.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study, 640 patients underwent thyroid operation were examined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07. We divided these patients into 2 groups; group1 - 251 patients with benign thyroid disease and group2 - 389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We compared age, sex, serum TSH levels, autoantobodies, existence of Hashimoto’s thyroiditis, ultrasonographic findings between two groups. And the association factor of thyroid cancer was investigated using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at was adjusted for age, sex, Hashimoto’s thyroditis, increased serum TSH levels, autoantibodies, ultrasonographic findings. Results: Group2 had higher serum TSH levels, positive rate of autoantibodies, and coexistence rate of Hashimoto’s thyroiditis than group1. In addition, group2 patients had smaller nodular sizes, lower echogenecity, higher carcification, irregular margins and more solid components than group1. The risk of diagnosis of malignancy rose in parallel with the serum TSH at presentation (p=0.0009).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ly increased adjusted odds ratios (AORs) for the diagnosis of malignancy in subjects with serum TSH levels more than 1.8mU/L (AOR 2.44(CI 1.01-5.88, p=0.047)) compared with TSH less than 0.4 mU/L. And autoantibodies (AOR 2.19 (CI 1.00-4.79, p=0.050)), microcalcifications (AOR 2.10 (CI 1.11-3.98, p=0.022)), macrocalcification (AOR 5.01 (CI 1.23-20.37, p=0.024)) and irregular margins of nodules in ultrasonographic findings (AOR 1.80 (CI 1.01-3.19, p=0.045)) were also at increased risk. On the other hand, nodule size more than 22mm (AOR 0.15 (CI 0.09-0.26, p <0.0001))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d risk. No association was observed between Hashimoto’s thyroiditis and thyroid cancer. Conclusions: Our data suggests increased serum TSH levels and presence of autoantibodies but not Hashimoto’s thyroiditis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of thyroid malignancy.

      • IoT를 이용한 센서 기반의 자동차 후미등 상태 감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이지선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현대 사회에서 자동차는 사람과 화물 등을 수송하는 중요 운송수단으로서 그 필요성에 따라 자동차의 수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의 등화장치는 기능에 따라 약 20종이 장착되어 있으며 크게 두 가지로 분류를 할 수 있는데, 첫째는 야간 및 시야 확보가 어려운 경우 사용되는 조명기능과 둘째는 마주 오는 자동차 및 도로 이용자에게 상태를 알려주는 신호기능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야간 운전 시 전조등과 후미등을 켜지않고 운전하는 차량이 심야 교통사고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다. 후미등의 경우 고장 발생 시 별도의 고장 경고장치가 부착되어 있지 않아 운전자는 고장 여부를 알지 못한 채 운전을 하게 된다. IoT 기술이 발전하면서 자동차와 IoT 기술이 융합하여 차량 내부의 센서 및 각종 전자제어장치(ECU)의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차의 위치 추적 및 원격 차량 진단, 사고 감지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세대 자동차가 출시되었지만 아직 완벽한 실시간 감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는 않다. 본 논문는 후미등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양측 모두 고장 발생 시 야간 사고 방지를 위하여 비상등을 강제 점등하며, Wi-fi soft AP 접속을 통하여 후미등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한 연구이다. 후미등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자동차 등화장치의 신호를 제어하는 Arduino 기반의 shield module의 MCU를 이용하여 등화장치 구현 회로의 신호를 수집한다. 후미등의 상태는 lamp로 흐르는 전압을 10W 10Ω의 shunt 저항을 사용하여 강하되는 전압을 측정하여 전류로 상태를 검출한다. 운전 중 미등이 켜진 상태에서 후미등 양쪽이 고장이 났을 경우 방향지시등 출력 신호를 제어하여 비상등을 강제 점등하게 된다. 강제 점등 모드에서도 기존의 방향지시등 기능 또한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시스템 운용의 효율성을 높였다. MCU를 통해 측정한 값은 shield module와 연결된 esp8266 Wi-fi module을 통해 웹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Wi-fi module은 무선 Access Point(AP)를 구성하여 차량 내 무선 네트워크망을 생성하며, 스마트폰으로 무선 AP에 접속할 시 후미등의 전류 상태를 20sec 주기로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다. The number of automobiles has been increasing steadily according to the necessity as an important way of transportation that transport people and freight in modern society. Approximately 20 types of vehicle lighting system are installed according to the function and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The first is a lighting function that is being used at night and when it is difficult to secure clear view and the second is a signaling function that informs condition to oncoming cars and road users. However, vehicles that do not turn the headlight and taillight when driving at night time are being pointed out as the culprit of traffic accidents in the middle of the night. People drive without knowing the failure in taillight because a separate hazard warning device is not attached. Next-generation cars that provide services as location tracking, vehicle remote diagnosis, and accident detection through sensor inside the vehicle and data of various electronic control units(ECU) with the convergence of automobile and IoT technology, but there are still no perfect detection services. This study implemented a system that forcibly turns on the emergency light to prevent accidents at night when taillight failure occurs on both sides by detecting condition of taillight in real time, and implemented a system that can check the condition of taillight in real time using smartphone through Wi-fi soft AP access. It collects the signal of implementation circuit of lighting system using MCU of Arduino-based shield module that controls the signal of vehicle lighting system to detect the condition of taillight. The condition of taillight gets detected with current by measuring voltage drop using 10W 10Ω shunt resistance that flows into the lamp. Emergency light is forced to get turned on by controlling output signals as a turn signal when both taillights are broken down when taillights are turned on while driving. Forced lighting mode raised the efficiency of system operation by normally operating the existing turn signal. The measured value through MCU gets transmitted to a web server through esp8266 Wi-fi module connected to the shield module. Wi-fi module generates in-vehicle wireless network by configurating wireless Access Point(AP), and can check the current state of taillight when getting connected to the wireless AP with a smart phone.

      • 중등음악교과에서 STEAM의 적용 방안

        이지선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decided to revise the education curriculum in 2015 and announced that it aims to improve the phenomenon of Knowledge Inequality Among University Entrance Candidates and 'Enjoy Learning and Enjoyment' in order to foster creative talents. The 2015 curriculum revised each curriculum to combine scientific knowledge and technical knowledge with general humanities, In order to develop creative and transformational talents. Six core competencies that determine the essentials and values ​​of education are newly added . STEAM Education began at STEAM and included art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and it Focuses on ways to teach integration of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art, including all human societies. In the presentation of the curriculum, appropriate classes for the new educational paradigm are required and measures are needed to develop the students' creativity so that communication skills can be cultivat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focus on the class that can cultivate original culture valves. Interac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skills can be studied on the basis of the need for STEAM education in music education. The creative presentations proposed by the Korea Foundation - Creative Thinking - Presentations of the three stages for enhancing scientific creativity, were applied to the curriculum. To increase the power of expression by developing creativity. Students learn the skills necessary to connect topics such as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literature and history, and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videos, the attitude of problem solving ability, teamwork and communication.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lecture plan of the music topic will be helpful for the STEAM education and the STEAM education which focuses on the music topic in the actual school field will be actively used.

      • 미국 고딕소설에 재현된 여성과 집: 제임스, 잭슨, 벡델

        이지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thesis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house’ and ‘women’ represented in gothic novel. Based on it, the relations and structures of various forces acting on the world around women can be identified. In gothic novel, for women ‘house’ appears as ambivalent meaning of imprisonment and escape. In the space of imprisonment women are under the paradoxical circumstances from where they want escape but have to conform the condition of oppression in order to gain protection and stability. The lives and experience of women in gothic novel are not described metaphorically and indirectly, but appear to be as distressing and strange state. Women feel a sense of separation and ‘uncanniness’ in where the ‘house’ should be protective and stable place. In this thesis I attempt to show the meaning of female experience and reality which presented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women and house in gothic novel, by considering Henry James’ The Turn of the Screw, Shirley Jackson’s The Haunting of Hill House and Alison Bechdel’s Fun Home. In the first chapter, I argue women’s placement and meaning of existence in patriarchal society represented in The Turn of the Screw. Women can be considered as the drifting existence which sh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ess and the ghosts. Moreover, I examine the novel’s ‘narrative of frame’ in relation with the objectification of women and the meaning of the presence of women trapped in domestic space under the patriarchal society. In the second chapter, I read the social pressure and repression on women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anor Vance, the main female character, and Hill House in The Haunting of Hill House. At the end of the novel, Eleanor's choice represents the subversive possibility of society's power to confine and oppress women. Though Eleanor’s ending is self-destructive, she pursues her desires by her own will and rejects social coercion. In the third chapter, I consider Fun Home as an alternative to the new possibili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space in gothic novel. In Fun Home, Bechdel escapes from her father who oppresses and manipulates her, and his home. Furthermore, she dissembles the house and recreates the house of her own by constructing archive about father and inscribing her personal story on canonical modernism literature. With her own perspective as a female / lesbian / graphic narrative artist, she creates whole new literary space. Bechdel's attempt is significant, for it acts as an subversive force on the power structure of male / heterosexual world / canonical writer. In additio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women and house in gothic novel shows the changes in the form and meaning of space. While the space in James' The Turn of Screw reflects the conventional elements of British female Gothic novels, the spaces in Jackson and Bechdel’s novel show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modern American society, along with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category of gothic novels’ content and form.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and women presented in gothic novels is meaningful to focus on the women's experiences and reality reflected in literature. However, the sense of ‘uncanny' in gothic spaces is also important, for it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literary research into not only women but also those who are seen but considered as not-be-seen. 본 논문에서는 고딕소설에 나타나는 ‘집’과 여성의 관계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여성을 둘러싼 세계에 작용하는 다양한 힘의 관계와 구조를 살펴본다. 고딕소설에서 여성에게 ‘집’은 감금과 탈출의 양가적인 의미로 나타난다. 이러한 억압과 감금의 공간에서 여성은 탈출하기를 원하면서도 보호와 안정을 얻기 위해서 억압과 감금의 조건에 순응해야하는 모순적인 상황에 처한다. 고딕소설에 나타나는 여성의 삶과 경험은 우회적이고 상징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고통스럽고 기이한 상태 그대로 드러난다. 여성은 보호와 안정의 공간이어야 할 집에서 오히려 불안하고 두려운 상황에 처하게 되는 괴리감과 낯설음을 느낀다. 본 논문에서는 고딕소설에서 재현되는 여성과 공간의 관계를 통해 나타나는 여성의 경험과 현실에 주목하여 그 의미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1장에서는『나사의 회전』에 나타나는 가부장 사회에서 적법한 자리를 갖지 못하고 가정교사와 유령처럼 부유하는 여성의 모습과 존재 의미에 대해서 분석한다. 또한 소설의 액자식 구성을 여성의 대상화와 가부장 사회에서 가정공간에 갇힌 여성의 존재 의미와 연결해서 살펴본다. 2장에서는 잭슨의『힐 하우스의 유령』의 엘리너와 힐 하우스의 관계를 통해서 여성에게 가해지는 사회적 압박과 억압에 대해서 고찰해본다. 엘리너를 압박하고 사람들 간의 관계를 단절시키는 힐 하우스의 구조와 초자연적인 힘은 소설의 배경이 되는 1950년대의 보수적인 미국사회에서 여성에게 작용한 가부장 사회의 억압으로 연결시켜 볼 수 있다. 힐 하우스에서 고통 받는 엘리너는 이상적 여성상으로 제시된 가정에 제한되는 삶을 강요당하는 당대 여성의 모습을 반영한다. 엘리너의 자기파괴적인 결말은 엘리너가 스스로의 선택으로 자신의 욕망을 추구하고 사회의 강요를 거부한다는 점에서 저항적 의미를 갖는다. 3장에서 살펴볼『펀 홈』은 고딕소설에 나타나는 여성과 공간의 관계에서의 새로운 가능성의 대안을 제시하는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자신을 통제하고 억압하는 아버지의 집에서 탈출한 벡델은 이를 해체하고 재구성하여 자신만의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낸다. 아버지에 대한 기억과 관련 자료들을 모아서 이를 그래픽 내러티브 형식을 통해 시각화하여 『펀 홈』이라는 아카이브를 구성한다. 또한 벡델은 아버지와 자신을 연결해주는 요소인 문학을 차용하여 정전으로 불리는 문학작품에 사적인 경험과 기억의 조각들로 채워넣고 여성/레즈비언/예술가로서의 자신의 시각을 중심으로『펀 홈』이라는 새로운 문학적 공간을 만들어낸다. 벡델의 이러한 시도는 기존의 남성/주류작가/이성애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던 공간에의 권력 구조에 전복적인 힘으로 작용한다. 여성과 고딕적 공간의 관계의 의미와 그 변화를 살펴보는 과정에서는 또한 고딕소설에서 구현되는 공간의 변화도 함께 나타난다.『나사의 회전』에서 나타나는 공간이 영국 여성 고딕소설에서 비롯되는 전형적인 요소를 반영하고 있다면 『힐 하우스의 유령』과 『펀 홈』에서는 이를 미국 현대 사회의 환경에 적용하여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며 내용적으로도 형식적으로도 고딕소설의 범주의 확장 가능성을 찾아볼 수 있다. 고딕소설에 재현되는 집과 여성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문학에 반영되어 있는 여성 삶의 경험에 집중하여 여성의 현실을 고찰해보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리고 고딕적 공간에서 나타나는 ‘익숙함 속의 낯설음’의 감각은 여성뿐만 아니라 보이지만 보이지 않는 존재로 치부되는 존재들에 대한 문학적 연구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는 것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