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자 성인의 조리에 대한 인식과 조리능력 및 식생활 관리 수준

        박진미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Recognition about Cooking and Cooking Ability and Dietary Management Level of Adult Male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Daejin College Major in nutrition education Park Jin Me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o the 212 adult male living in Seoul and Kyunggi region for figuring out the direction the cooking education should take, in order to improve the degree of adults male to take balanced dietaries. It has given the questions to the respondents about their ages, jobs, marriage status, current residential states, possibility of cooking proper to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awareness of cooking, experience level of cooking, self-evaluation of cooking ability, and the degrees of dietary practic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 How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hich are adult male have their meals is mostly ‘home meal’, which accounts to 38.7%. In the question of how frequently they take parts in cookings in their houses, ‘sometimes get in’ was the most answer, which accounts to 45.3%. In self-evaluation of cooking ability, ‘not good at cooking’ was the most answer, which accounts to 41.5%. The more frequently they take part in cooking in their home, the more good at cooking they think themselves. Among the respondents who answered they cook very well, 27.8% answered that their motivations having good cooking ability were ‘easily cook but taste good’ and ‘easy to follow recipes’. Among who answered that they cook well alone, 41.9% answered it is because they ‘use simple recipes’. Meanwhile, among who answered ‘not good at cooking’, 21.6% pointed ‘the meal I cooked was not tasteful’ as the reason of their bad self-evaluation, which was 21.6%. Among who answered ‘very poor at cooking’, 30.0% pointed ‘so poor to handle the food stuffs’ and ‘no opportunity to cook’. 30~40 years old male have the largest number of the food they can cook alone, and they think ‘taste’ most important when they cook. 75.9%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y would like to cook in the future, and the most reason was ‘for their families or who lives with them’, which was 47.2%. The most reason of who answered ‘not want to cook in the future’ was ‘bothered’, which was 35.3%. 69.8% answered they have had ‘experiences’ of some information about cooking, and the sources were mostly ‘TV’ and then ‘Radio’. 78.8% said they ‘need’ cooking educations, and the most reason was ‘they want to cook well’, which was 45.5%. 42.0% said they would like to engage in cooking education. What they want to learn most was ‘how to cook’(39.6%), and the most wanted part they want to learn was ‘Korean cooking’(54.7%). The most preferred course was ‘education through TV’, which was 38.2%, and the most preferred place was ‘on-line’, 47.2%. In the self-perception of their life problems, the most people answered they have ‘habit to salty foods’, 27.4%. In the behavior changing steps for balanced meal, the most respondents belong to ‘the stage of considering’, which was 65.1%. According to age, the action for balanced meal was highest in the over 50s, which marked 23.27±4.92. In the behavior changing steps for cooking ability according to self-evaluation, the group of ‘skilled cook’ has the most part(66.3%), but about the level of taking dietary practice, the group has the higher marks of 23.03±4.96. According to the results explained above, cooking educations for the 20s and the over 50s are necessary in order to raise interests in cooking. To the adult male with high ability to cook, nutrition educations need to be given for raising the level of dietary. For the ones with low ability, there should be the educations for basic cooking methods, in order to raise the cooking level and fix their dietary problems, and improve the degree of dietary practice. 국문 초록 남자 성인의 조리에 대한 인식과 조리능력 및 식생활 관리 수준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박 진 미 본 연구는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남자 성인 212명을 대상으로 남성들의 균형식 실천정도를 높이기 위한 조리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자 실시하였고, 남자 성인의 연령대, 직업, 결혼여부, 현재 거주형태, 가구원 수에 따른 조리가능여부, 조리에 대한 인식, 조리 경험과 조리교육에 대한 요구, 균형식 행동 수준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의 남자 성인이 주로 이용하는 식사해결방법은 ‘가정식’이 38.7%, 가정 내에서 조리에 참여하는 빈도는 ‘가끔 참여’가 45.3%로 가장 높았다. 30∼40대가 혼자서 조리 가능한 음식이 가장 많았으며 조리능력에 대한 자가진단에서 ‘잘 못한다’(41.5%)는 사람이 많았고, 가정 내 조리에 참여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조리능력이 좋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조리를 잘 할 수 있게 된 계기로 혼자서 조리를 ‘매우 잘 한다’고 응답한 사람은 ‘쉽게 조리를 해도 맛이 있음’과 ‘조리법을 따라하는 것이 쉬움’이 27.8%로 나타났으며 혼자서 조리를 ‘잘 한다’고 응답한 사람은 ‘간단한 조리법을 이용’(41.9%)하기 때문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반면 조리를 ‘잘 못한다’고 응답한 사람이 스스로 평가한 이유로는 ‘내가 조리 한 음식은 맛이 없음’이 21.6%, ‘매우 못 한다’고 응답한 사람은 ‘재료 손질을 너무 못함’, ‘조리를 할 기회가 없음’이 30.0%이었다. 조리 시 ‘맛’(66.5%)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미래에 조리를 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75.9%로 그 이유는 ‘가족 및 함께 사는 사람들을 위해서’라고 응답한 사람이 47.2%, 미래에 조리를 할 의사가 없는 이유는 ‘귀찮아서’가 35.3%로 가장 많았다. 조리에 대한 정보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한 사람이 69.8%이었으며 경로는 ‘TV, 라디오’가 47.3%로 가장 높았다. 조리교육이 ‘필요하다’는 사람은 78.8%이었고, 그 이유는 ‘혼자서 조리를 잘 하고 싶어서’가 45.5%로 가장 많았으며 조리교육에 참여 하겠다는 사람은 42.0%로 배우고 싶은 내용은 ‘음식 조리 방법’이 39.6%, 조리 부문은 ‘한식’이 54.7%로 가장 높았다. 선호하는 경로는 ‘TV를 통한 교육’이 38.2%, 장소는 ‘온라인’이 47.2%로 가장 많았다. 식생활 문제점에 대한 자가인식에서 ‘짜게 먹는 습관’이 27.4%로 가장 많았고, 균형식에 대한 행동변화단계에서 ‘고려단계(고려 전, 고려, 준비단계)’인 대상자가 65.1%였으며 연령에 따른 균형식 행동 수준은 50대 이상(23.27±4.92점)이 가장 높았다. 조리능력 자가진단에 따른 균형식 행동변화단계에서 ‘고려단계’가 조리 능숙군(66.3%)이 많았지만 균형식 행동 수준에서 조리 능숙군(23.03±4.96점)이 점수가 더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20대와 50대 이상을 대상으로 조리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조리능력이 높은 남자 성인을 대상으로 균형식의 수준을 더 높일 수 있는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조리능력이 낮은 남자 성인은 기초적인 조리 방법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조리 수준을 높여 식생활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균형식 실천 수준을 높일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상하이 학교 평생교육 운영현황 분석

        쑨이판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개혁 개방 정책을 실시한 이래 중국의 경제는 급속도로 발전해오며, 국민들의 생활수준도 보편적으로 높아졌다. 중국 국가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까지 중국의 인구는 14억에 이르고, 그 중에서 15살 이상의 인구는 11억을 넘는다고 나타났다. 중국은 2003년에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한 뒤부터 경제적으로 더욱 급속도로 발전했다. 그리고 현대 사회의 구조에 일어난 변화들은 평생교육에는 사회적 참여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할 것이다. 즉, 현 단계 평생교육의 패러다임은 바뀔 것이다. 기존의 중국 평생교육 시스템에는 여가 활동과 취미생활이 아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앞으로 갈수록 사회적 참여를 강조한다는 현시대 중국의 발전적 요구에 어긋날 것이다, 이와 같은 패러다임식의 전환은 평생교육을 접수하는 시민들에게 생활의 질 등과 같은 측면에서 아주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는 기존 평생교육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한다. 기존 평생교육이 여가와 취미에 집중되었다면, 현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평생교육은 사회적 참여를 강조한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는 평생교육 학습자들의 삶의 질에 많은 영항을 미치고 있다.

      • 공감적 대화를 활용한 소설 교육 방법 연구

        김가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A Study on the Method of Novel Education Using Empathetic Conversation Ga-Hee Kim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Department of Education Daej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is goal of this article is to define the concept of empathy and to explore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novel education using empathetic conversation. In this context, empathy is interpreted as the concept that enables interaction with an ‘enemy’ whose values and behavioral patterns are different from a subject. Previous studies neglected this concept; thus, if not careful, it is easy to mistake ‘empathy’ for mental activity that occurs only within the range of the subject’s understanding. Hence, this study stems from such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article will focus on ‘empathy’ that allows communication with the ‘enemy.’ Meanwhile, Korean academia in recent years has been criticizing the uninformative education style that is competitive and interested in ranking; however, the newly revised curriculum of 2015 disproves this phenomenon. In this study, special attention was drawn to ‘empathy’ in order to “shape humans to be humane,”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Examining the process of how the concept of ‘empathy’ developed allows to explain the series of process of being moved by the aesthetic structure of novel text itself and to understand various human representations in literature education, especially in novel education. The “empathetic conversation,” which has been derived based on the concept of empathy, is perceiving other people’s situations and emotions based on the ability to imagine other people’s situations and emotions feeling, and eventually expressing other-oriented emotions. Thus, empathy is an ‘internal’ mental activity to recognize and feel other people’s situations and emotions, while empathetic conversation can be seen as an ‘external’ spoken activity that expresses such emotions to others. This study explored the novel education method by identifying the similarities between ‘empathetic conversations’ and the understanding of a novel while ‘discovering, understanding, and expanding the object of empathy’ by establishing ‘character, text, and author’ as the target of empathy in novel reading.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how to apply novel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empathy and also examined what can be achieved via this method by applying this novel education method to <Snowy Road> by Lee Chung-jun. The expected effects of the novel education method using empathetic conversations are as follows: learners can increase their imagination, expand their outlook on the world, and master empathetic expressions; and process-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can be realized. 국문초록 공감적 대화를 활용한 소설 교육 방법 연구 김 가 희 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본고는 공감의 개념을 정리하고, 공감적 대화를 활용한 소설 교수․학습의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공감은 주체와 가치관이나 행동 양식이 다른 ‘적’과의 소통까지도 가능한 개념으로 사용되며, 기존의 연구에서는 이를 중요하게 다루지 않아 자칫 잘못하면 주체가 이해 가능한 범주 안에서만 이뤄지는 정신적 활동을 ‘공감’이라고 오인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되었고, 본고에서 사용하는 ‘공감’은 ‘적’과의 소통이 가능한 개념임에 중점을 둘 것이다. 한편, 최근의 교육계는 천편일률적이고 줄 세우기식의 경쟁적 교육 방식에 대한 반성의 목소리가 높아졌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이를 반증하고 있다. 본고는 교육의 궁극적 목표, “인간을 인간답게 형성”하기 위하여 ‘공감’에 주목하였다. ‘공감’은 그 개념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면 문학교육, 특히나 소설교육에 있어서 소설 텍스트 그 자체의 미학적 구조의 아름다움에 감동받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이며, 소설 속 다양한 인간상을 이해할 수 있는 개념이다. 이러한 공감의 개념을 바탕으로 도출한 ‘공감적 대화’의 개념은 타인의 상황과 그 감정을 상상할 수 있는 상상력을 기반으로, 스스로 그 상황과 기분을 인지하며 타자 지향의 감정을 느끼고, 이를 표현하는 것까지를 말한다. 즉, 공감이 타자의 상황과 감정을 인지하고 이 감정을 느끼는 일종의 ‘내재적’ 정신활동이라고 한다면, 공감적 대화는 이를 타자에게 표현하는 일종의 ‘외재적’ 발화활동이라고 본 것이다. 이러한 ‘공감적 대화’와 소설 감상 사이의 유사성을 밝히고, 소설 읽기에서의 공감의 대상을 인물, 텍스트, 작가로 설정하여 ‘공감 대상의 발견․이해․확장’의 공감의 과정을 통한 소설 교육 방안을 탐색하였다. 또한 이 같은 소설 교육 방안을 이청준의 <눈길>에 대입하여 공감의 과정을 통한 소설 교육 방안의 적용 과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공감적 대화를 활용한 소설 교육의 기대 효과로는 학습자의 상상력 신장, 학습자의 세계관 확장, 학습자의 공감적 표현 방식 터득, 과정 중심의 교수․학습 구현이 있다

      • 영상 매체를 활용한 소설 교육 방법 연구 : 김려령 <완득이>를 중심으로

        이슬기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A Study on the Novel Education Plans Using Image Media: Focused on Kim Ryeo-ryeong's Wan-deuk Lee Seul-gi Daej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epartment of Education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mporary society is rapidly developing. Teaching methods that educate in the actual field accordingly has been continuously changed. It is because adolescent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wash with image media seek things exciting and sensitive. As our society has depended on these image media, using image media that have excellent visual effects, getting out of the hackneyed way of simply deciphering letters of the past, became an important medium indispensable in our society. This study made an effort to find a right way of how to teach in the actual novel education class using image media. This study suggested a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concentrated on students' attention using films to arouse their interest in the novel education and positively participate in classes. By doing so, it opened possibilities to expand free thinking, swiftly change from printed media to image media and develop an ability to accept literary works critically. The novel used as a material for this study is Wan-deuk, a novel by Kim Ryeo-ryeong, published in 2008 and in the public eye. The reason this novel was selected for this study was that it was written in the easy and concise style for adolescents to understand it without difficulty and that it described main character's candid story through the first-person point of view and could arouse a lot of literary imaginations. In Chapter 2, it could be identified that the importance of media education had been on the rise through various changes in the curriculum until today's curriculum had been settled down. It was the 7th curriculum that using the media was paid attention to educationally first. Then, in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 new elective subject 'Media Language' was also organized; as in the 2015 newly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importance of media was remarkably emphasized, 'Language and Media' was newly organized and separated. The purpose of the novel education can be also examined. In addition, in Chapter 2, a variety of educational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by instructing novels using image media can be understood. First, it is to arouse learners' interest in works and help them understand and improve their memory through the sensitive and detailed description. Furtherm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dmiring ability of various media can be improved. In Chapter 3, the novel Wan-deuk and the film Wan-deuk were analyzed. Unlike the novel, the film chose a method of decisively deleting and adding scenes because of the time restriction. Besides, unlike the novel, the film changed some of the features of characters; however, there were not greatly different things between the novel and the film as a whole. In Chapter 4, a detailed teaching-learning model and method using the actual image media were proposed. Comparing and contrasting focusing on characters, background and incidents between the novel and the film were a big assignment; freely organizing the last ending of Wan-deuk with a feature of open ending was the second assignment; telling coherently his own thoughts of the usual actions of teacher Dong-ju and listening to what the other party told were the third assignment. Using films as the supplementary material in the novel education field, we can think adolescents, learners, can understand novels more easily and actively. 국문초록 영상 매체를 활용한 소설 교육 방안 연구 - 김려령 <완득이>를 중심으로 이 슬 기 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현대 사회는 빠른 속도로 급격하게 발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실제 현장에서 교육하는 학습방법도 지속적으로 변화해 왔다. 영상 매체가 넘쳐나는 현대 사회에서 살고 있는 청소년들은 영상을 통해 자극적이면서도 감각적인 것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듯 사회가 영상 매체에 의존하게 되면서 단순히 과거의 문자를 해독하는 고리타분한 방식에서 벗어나 시각적 효과가 두드러지는 영상 매체의 활용은 우리 사회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매개체로 자리 잡았다. 본고에서는 영상 매체를 활용하여 실제 소설 교육 수업에서 어떻게 진행할 것인가에 대한 올바른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하였다. 소설 교육에서 영화를 활용하여 주의를 집중시키고, 흥미를 유발하여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자유로운 사고의 확장, 인쇄 매체에서 영상 매체로의 빠른 전환, 문학 작품의 비판적 수용 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본고의 제재로 활용된 것은 2008년 출간하여 세간의 주목을 받은 김려령의 소설 <완득이>이다. 이 작품을 제재로 선정한 이유는 쉽고 간결한 문체로 되어 있어 청소년들이 작품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어보였으며, 1인칭 주인공 시점을 통한 자기 고백적인 솔직한 이야기를 서술함으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많은 문학적 상상력을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Ⅱ장에서는 많은 교육과정의 변화를 거쳐 지금의 교육과정이 정착할 때까지 교육과정의 다양한 변화를 통해 매체 교육의 중요성이 점점 대두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처음 매체의 활용이 교육적으로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제7차 교육과정이었다. 그 다음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매체언어’라는 선택과목이 신설되었으며, 새로 개편된 2015 교육과정에서도 매체의 중요성이 두드러지게 강조되어 ‘언어와 매체’로 신설되어 따로 분리되었다. 또 소설 교육목표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다. 또한, Ⅱ장에서는 영상 매체를 활용하여 소설을 지도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가 다양함을 이해할 수 있디. 먼저 작품에 대한 학습자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감각적이고 구체적인 묘사를 통해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 기억력을 증진시키게 된다. 나아가 다양한 매체에 대한 감상 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Ⅲ장에서는 소설 <완득이>와 영화 <완득이>를 분석하였다. 영화는 소설과는 달리 시간적 제약이 있어 과감히 장면을 삭제하고 첨가하는 방법을 택했다. 또한 소설과는 달리 영화에서는 등장인물들의 특징적인 요소가 일부 변화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전체적인 구성에서는 소설과 영화가 크게 다른 점은 없었다. Ⅳ장에서는 실제 영상 매체를 활용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모형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소설 <완득이>와 영화 <완득이>이의 인물, 배경, 사건을 중심으로 두고 비교·대조하는 것이 큰 과제였고, 열린 결말을 특성으로 <완득이>의 마지막 결말을 자유롭게 구성하는 것이 두 번째 과제였으며, 선생 동주의 평소 행동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논리정연하게 이야기하고,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는 것이 세 번째 과제였다. 우리는 소설 교육 현장에서 영화를 보조 자료로 활용함으로써 학습자인 청소년들이 소설을 좀 더 쉽고 능동적으로 이해할 수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 성인학습자의 지역사회 평생교육에 대한 요구분석

        배상미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지역사회 성인학습자가 평생교육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평생학습에 참여하고 있는 실태는 어떠한지, 평생교육 참여요구 및 기대는 어떠한지를 분석함으로써, 지역사회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적 요구를 만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지역사회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지역사회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지역사회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요구 및 기대는 어떠한가? 이를 알아보기 위해 평생교육에 관한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조사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성인 학습자들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및 참여 실태와 평생학습에 대한 참여 기대 및 요구를 조사하기 위하여 경기 북부에 위치한 의정부시와 포천시의 성인 학습자 31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 분석에는 미회수 및 무성의한 응답지를 제외한 303부를 이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평생학습에 대한 인식, 평생학습 참여 실태, 참여 기대 및 요구에 따른 배경변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평생교육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매우 높은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대부분의 성인학습자가 지역사회 평생교육 발전의 잠재적 학습자임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결정적 요인은 당해 분야에 관심과 흥미가 있어서였으며, 평생교육 참여결정 요인으로는 프로그램의 내용이나 유용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평생교육 참여를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경험이 있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내용으로 문화예술 및 교양강좌, 자격증 취득 및 취업관련 교육, 취미 오락 교육, 건강 보건 스포츠 교육 자녀교육 및 부모역할관련 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가 이용한 평생교육장소로 교육청이나 학교 및 학교유관시설, 주민센터ㆍ시민회관ㆍ시청, 여성회관 및 여성단체 등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앞으로 참여하고 싶은 평생교육 기관으로는 대학 또는 대학평생교육원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어려운 점은 시간적 여유의 부족, 교육비 부담, 교육장소의 거리 및 교통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평생교육에 참여하게 됨으로써 얻게 되는 교육적 성과는 배움의 자체, 전문성 함양, 자아실현 순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향후 참여하고 싶은 평생교육 내용으로 문화예술 및 교양강좌, 건강ㆍ보건ㆍ스포츠 교육, 자격증 취득 및 취업관련 순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향후 평생교육활성화에 대한 우선적 확립 사항으로 다양한 프로그램강좌 개발운영과 평생교육 참여 기회 확대 및 지원 확충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을 단위로 하는 평생교육 연구가 확대되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더욱이 앞으로는 지방자치시대가 되므로 지역을 단위로 하는 평생교육 연구는 필연적이고 필수적인 요청사항이라고 말할 수 있다. 둘째, 평생교육에 대한 질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양적 접근에 의해 이루어 졌으며, 본 연구도 이 점에서 예외는 아니다. 셋째, 지역사회 평생교육에 대한 연구가 연차적인 계획에 의해 주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평생교육은 인간의 삶 자체이며, 사람들의 요구는 시대적 상황에 의해 끊임없이 변화한다. 그러므로 주기적인 연구를 통해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평생교육 발전에 기여하여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obtain th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program that will satisfy the needs of the life long education for the adult learners of the communities by analyzing how they recognize it, how they participate in and what they expect from the lifelong education.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how is the recognition on the lifelong education of the adult learners in the community? Second, what is the actual condition on the involvement of the adult learners in the community? Third, What are the requirements and expectations involved in the lifelong education of the adult learners of the community? To understand these questions,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lifellong education were surveyed. To answer the questions of the recognition on the lifelong education of the adult learners in the community, actual conditions on the involvement of the adult learners in the community, and the requirements and expectations involved in the lifelong educat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10 adult learners living in the cities of Uijeongbu and Pocheon in the northern Kyung-Ki province. For the final analysis, 303 respondents were utilized excluding those uncollected and insincere. In order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and cross-analysis was used to understand the recognition on the lifelong education of the adult learners in the community, actual conditions on the involvement of the adult learners in the community, and the requirements and expectations involved in the lifelong education.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 interest and awareness of the lifelong education is very high among the community. This proves that most of the adult learners are the potential learners in the growth of the lifelong education in communities. Second, the decisive factor for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was that they have attention and interest on the field. The decisive factor for deciding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was that they consider the content of the program or the useful aspect of the education. Thir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at they have experience in participating were culture and art and liberal arts courses, earning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and employment-related training, hobbies, entertainment education, health and sports education, and education of children and the role of parent education were in order. Fourth, the place participants used for lifelong education program were usually the school district, a school, or a school related facility, resident center, city civic center, city-hall, women's center or other women's groups in order. It also showed that the desired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future were universities or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s. Fifth, the challenges for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were due to lack of time, burden of education expenses, the distance to the educational places, and traffic. Sixth, educational outcome of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were the education itself, fostering professionalism, and self-realization in order. Seventh, the content of lifelong education wanting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are culture and art and liberal arts courses, health, sanitations, and sports education, and earning certificates of qualifications and employment related in order. Eighth, for the priority information to establish for the future of the enabling lifelong education wer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various courses, the continuat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and expansion of suppor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s the following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research on lifelong education which should be conducted in community units. Furthermore, it will become a local community age so the lifelong education research based on community is inevitable. Second, it is necessary to have quality approach to lifelong education. Researches conducted before were mainly focused on the quantity of lifelong education and this research is not an exception in that category as well. Third, the research on the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needs to be conducted periodically every year. Lifelong education is human life itself and the demand of people will always change by the epochal situation. Therefore, th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program through periodic research should be provided to further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 특수교육 교원정책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최미경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특수교육 교원에 관한 전반적인 자격제도, 양성제도 및 인사제도의 변천과 현황을 알아보고 그 문제점을 발견하고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나누어 살펴보면, 자격제도에서는 특수교사의 자격증을 장애영역별로 구분하여야 한다. 특수교육 교사는 모든 장애영역에 대해서 기본적인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이 기본 위에 교사자격증을 장애영역별로 구분하여 자신의 자격증에 명시된 영역에서 자질을 심화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전문성이 크게 요구되는 직업교육교사나 치료교육교사는 대학원수준에서 전문적 교육이 필요하고, 특수교육 안에 복수전공제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또한, 특수교육 교원 양성은 대학과 대학원 중심으로 인력관리 측면에서 입학정원의 조정이 필요하며, 장애영역별, 교과목별, 학교과정별 수요와 교육적 요구를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조정해야 하겠다. 국가수준의 특수교육 양성과정 표준이 설정되어야 할 것이고, 특수교사들의 교과지도 능력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개별실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특수교육 교원의 인사제도에서는 임용 후 특정기간의 수습과정을 통하여 교직에 충실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특수교육 교원의 사기 향상과 특수성을 고려한 특수교육 교사의 우대정책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general current status of qualification system, training system, and human resource system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o reveal problem areas and find improvement plans for the future. In detail, for qualification system, qualific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categorized by areas of disability.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have basic knowledge in all areas of disability, and on top of this foundation, qualification for teachers should be divided by areas of disability for teachers to have more in-depth capabilities in the qualified area stated on his/her qualification certificate. In addition, professional education teachers or therapy education teachers requiring more expertise need graduate school level of professional training, and revitalization of multiple majors within the special education is needed. Furthermore, for training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dmission quota, mainly at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should be adjusted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aspect, and it should be reasonably adjusted taking into consideration demands in each area of disability, subject, and school course, and educational needs. Standard for training process of special eduction shall be established at the national level, and diverse individual practices should be carried out to improve subject teaching capabiliti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Lastly, for human resource syste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 system is needed in which teachers go through specific period of apprenticeship after appointment in order for teachers to be fully committed to teaching profession. Also, for enhancement of morale and considering special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eferential treatment policy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systematically carried out.

      • 대학교육에 있어서 메타버스 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주현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디지털화와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제4차 산업혁명을 불러왔고, 2020년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한 코로나 19의 등장과 함께 우리 삶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많은 부분에서 대면 방식으로 이루어지던 의사소통이 비대면 방식의 의사소통으로 전환되었다는 것이다. 교육 분야 역시 이러한 비대면 방식으로 전환되었고, 이러한 방식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활용하게 되었다. 코로나 19 발생 직후 대부분의 교육기관은 방역 당국의 거리 두기 지침과 연계하여 학사운영을 이어나가 2020학년도부터 ‘전면적 원격수업’을 실시하게 되었다. 전염병 차단을 위해 비대면 수업이 교육의 새로운 표준이 되었고 이를 ‘뉴-노멀(New Normal)’이라 하여 교육의 디지털 전환은 더욱 가속되었다. 대학의 전면적 원격수업은 각 대학이 구축한 학습관리시스템(LMS)에서 동영상 녹화수업과 실시간 화상 수업으로 구분되어 진행되었다. 초기 비대면 수업의 진행은 기술적 문제가 많았지만 2년 동안 지속되면서 강의 질에 대한 문제점과 상호작용 부재의 문제점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런 비대면수업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대안 중 하나로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메타버스란 사전적 정의로는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세계’, ‘우주’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 너머의 초월 세상을 말한다. 메타버스는 자유도, 정체성, 수익화라는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국의 비영리 기술연구단체인 ASF는 메타버스를 증강현실, 거울세계, 가상세계, 라이프로깅으로 구분하였다. 교육에서의 메타버스 활용은 순천향대학교, 건국대학교, 한성대학교 등 여러 대학에서 메타버스를 도입하여 교과, 비교과, 행사에 이용하고 있다. 산업에서의 메타버스는 현대자동차, 엔터테인먼트. 패션 등 여러 분야에서 마케팅의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에서 효과적인 학습자 중심의 메타버스 활용을 위한 기초적인 탐색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D 대학에 재학 중인 재학생의 인식을 설문으로 알아보고, 이를 기초로 한 바람직한 활용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설문조사는 2022년 6월 17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되었고, 총 13문항, 80명의 재학생이 응답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메타버스를 접한 경로는 미디어가 5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자신의 메타버스 활용 능력에 대한 인식은 단어를 들어본 적 있으나 정확히 잘 모르는 입문단계가 5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메타버스 활용 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42%가 보통이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학습에서 적절한 활용 방법은 수업 내용 전달을 위한 보조도구로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5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메타버스 활용 수업의 적절한 인원 규모는 30명 미만이 37.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이유는 30명 이상은 통제성이 약화되어 수업운영이 어려워 질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버스 활용 수업에 적합한 교수법에 대한 인식으로는 42%가 토론식 수업이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메타버스 활용 수업의 장점으로는 시공간 제약 해소가 3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단점으로는 실재감 부족이 3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속적인 메타버스 활용에 대한 인식은 56%가 보통이라고 응답했으며, 대학에서의 지원사항은 메타버스 활용 교수법 교육이 31%로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구성원이 메타버스에 대한 인식변화를 가져올 수 있고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비교과 프로그램과 행사를 통한 메타버스 운영의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교과에 메타버스를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사례 및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넷째, 단계적인 메타버스 도입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육 효과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와 질 관리가 필요하다. 여섯째, 메타버스의 역기능도 대비해야 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 참여 대상의 부족이다. 본 연구에서 설문 조사 참여자는 80명으로 이 결과를 근거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양적 조사로 시행되어 다수 인원에 대한 객관적 결과를 도출하기에는 적합하다. 하지만 학습은 교수자와 학습자와의 눈에 보이지 않는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질적 연구를 통해 더 자세하고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교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한다면 인식의 차이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교수자 혹은 행정직원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여 메타버스 도입에 대한 인식과 효과 그리고 타당성에 대해 검증이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는 메타버스 도입에 대한 인식이기 때문에 전공이나 교과에 따라 다른 인식을 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각 전공이나 교과를 대표할 수 있는 교수자에 대한 인식조사나 수업 유형, 설계 방법, 학습자의 만족도나 효과성에 관해 연구한다면 더욱 의미 있는 연구결과가 도출될 것이다.

      • 학교도서관의 메이커스페이스 도입에 관한 고찰

        이주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ideal 21st century new school library fo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an educational space where students can develop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trends of the times by applying maker education, which is being discussed as an appropriate educational metho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appropriate response space, MakerSpace, to the school library. This purpose is based on three backgrounds. First, creative ideas are presented and active activities are required accordingly as the right people of the future but our educational environment has little space to directly realize what existed as an idea.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aker space where creative ideas can be proposed and people can freely engage in creative activities. Secondly, the school library already has an optimized environment for maker education. Library has accumulated information on print and digital materials covering almost every topic, and it is a space where it can be done very easily to add and store tools such as 3-D printers robot kits, woodworking tools, and tools for maker education because it has a facility infrastructure that provides access to various creative learning. Thirdly, poor public education in Korea is appearing as intensive and deepening of private education. Parents' economic ability not only improves learning ability of children but also has a huge impact on their growth as a creative talent. School library is an institution that maintains intellectual equality by providing free knowledge information to student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identified that school library provides makerspace to help students freely engage in creative activities and it is necessary to change as a future educational space to share learning.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pt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maker space, which is the learning environment of maker education through the concept of maker education and effective theoretical consideration, Secondly,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domestic and foreign maker space operations, focusing on factors applicable to school libraries. Thirdly, this study lists the elements applicable to domestic school libraries through case analysis and derives applicable factors by conducting a survey on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in Gyeonggi-do. Fourthly, this study proposes validity of the introduction of makerspace in domestic school libraries by synthesizing the above research proce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troduction of makerspace is already progressing rapidly in domestic and foreign libraries and various national support is actively underway. Secondly, makerspace in school needs to provide programs suitable for students of different ages by organizing and providing different contents for each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ype. Thirdly, the introduction of makerspace in school library can maximize the advantages of maker education and will increase the use of school librar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considered the introduction of makerspace in school library as a future learning space by presenting a space for maker education that is in the spotligh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when introducing makerspace into the school library as an alternative to school library services in response to the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적합한 교육 방법으로 논의되고 있는 메이커 교육과 함께 그에 걸맞은 대응 공간인 메이커스페이스(MakerSpace)를 학교 도서관에 적용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급변하는 시대적 흐름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교육 공간으로서 4차 산업에 대비한 이상적인 21세기형 새로운 학교도서관의 모습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은 세 가지 배경에 기초를 둔다. 첫 번째는 미래 인재상으로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해보고 그에 따른 적극적인 활동을 요구하고 있으나 우리의 교육 환경은 아이디어로 존재했던 바를 직접 실현해 볼 수 있는 공간이 거의 없는 상태이다. 이에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자유롭게 창작 활동을 할 수 있는 메이커스페이스 공간이 필요하다. 두 번째는 학교 도서관은 이미 메이커 교육을 위한 최적화된 환경을 갖추고 있다. 도서관은 거의 모든 주제를 포괄하는 인쇄자료와 디지털 자료에 대한 정보를 축적해 왔고, 이것을 사용해 다양한 창의적 학습의 접근할 수 있는 시설적 인프라를 갖추고 있으므로 메이커 교육을 위한 3-D 프린터나 로봇키드, 목공예 도구와 공구 등과 같은 도구들을 추가해 비치하는 것은 매우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이다. 세 번째, 대한민국 공교육의 부실은 사교육의 심화로 나타나고 있다. 부모의 경제적 능력이 아이들의 학습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창의적 인재로서의 성장에 막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 학교 도서관은 학생들에게 지식 정보를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지적 평등을 유지하는 기관이다. 이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학교 도서관에서 메이커스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자유로운 창작 활동을 돕고 배움을 공유하는 미래형 교육 공간으로서의 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구성의 다음과 같다. 첫째, 메이커 교육의 개념과 효과적 이론적 고찰을 통해 메이커 교육의 학습 환경인 메이커스페이스 개념과 공간적 특성을 분석한다. 둘째, 학교 도서관에 적용 가능한 요소를 중심으로 국내외 메이커스페이스 운영사례를 조사해 분석한다. 셋째, 사례분석을 통해 국내 학교 도서관에 적용 가능한 요소들을 나열해보고 경기도 내 학생, 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해 적용 가능한 요소들을 도출해 본다. 넷째, 위의 연구 과정을 종합하여 국내 학교 도서관의 메이커스페이스 도입의의 타당성을 제언해 본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미 국내외의 도서관에서는 메이커스페이스 도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여러 국가적 지원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둘째, 학교 내 메이커스페이스 공간은 초·중·고등학교 유형별로 콘텐츠를 다르게 구성하여 제공하여 나이별 학생들에게 맞는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학교 도서관 내 메이커스페이스의 도입은 메이커 교육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학교 도서관의 이용을 증가시킬 것이다. 본 연구는 주목받고 있는 메이커 교육에 대한 공간제시로 미래형 학습공간으로서 학교 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도입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변화해가는 교육 환경에 대응하는 학교 도서관 서비스 대안으로 메이커스페이스를 학교 도서관에 도입 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중학교 도덕 교과에서의 죽음교육 내용 검토

        고석순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법의학자는 직업의 특성상 수많은 죽음을 접하면서 ‘죽음’은 그 사람의 삶의 모습과 닮아있다는 사실을 전한다(유성호, 2019). 즉, 우리가 살면서 갖고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는 ‘삶의 태도’와 같다는 것이다. 캐나다 심리학자 폴 웡은 ‘죽음에 대한 태도’에 대해 3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첫 번째는 자연스러운 수용(Natural acceptance)으로 삶의 마지막 과정이 죽음이기에 죽음을 편안하게 받아들이는 태도를 뜻한다. 두 번째는 죽음은 삶의 중간과정으로(Approach acceptance)현재의 삶과 또 다른 세계가 죽음 이후에 있다고 믿는 것이다. 헌신적인 삶, 다른 사람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삶을 살 수 있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죽음 너머 다른 생이 있다는 믿음으로 현실을 사는 것이다. 세 번째는 죽음은 고통의 탈출(Escape acceptance)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삶이란 고통이며 죽음을 통해 자신의 고통스러운 현실을 벗어나는 것이다(유성호, 2019). 최근 우리 사회는 세 번째 태도를 취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2018년 통계청 기준 한국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 26.6명으로 OECD 회원국 중 1위이다. 죽음에 대한 태도에 따라 자신의 삶이 달라진다고 했을 때, 지금 우리 사회는 더 이상 죽음에 대한 논의를 미룰 수 없다. 1960년대 미국에서 시작된 죽음교육은 유럽과 아시아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생명존중교육, 자살예방교육, 나아가 죽음을 통한 삶의 성찰이라는 철학적 사유로까지 그 영역이 확대되었다(이이정, 2016). 우리나라에서는 1973년 덕성여자대학교에서 죽음교육이 처음 시작되었다. 이후 1991년에는 각당복지재단에서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해 왔으며, 노인이나 시한부 환자, 나아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죽음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2004년에는‘청소년 죽음준비교육 연구 위원회’를 발족하였고 2007년에는‘청소년에게 죽음준비교육이 필요하다’라는 주제로 강연회를 열기도 하였다(각당복지재단, 2016; 이이정, 2016). 2020년 한국죽음교육협회가 창설되었으며 ‘죽음교육의 공교육화 방향모색’을 주제로 토론회를 갖기도 하였다. 학교 현장에서도 죽음교육이 조금씩 진행되고 있다. 특히, 도덕수업에서 죽음교육이 체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함을 강조한다(정재걸 외, 2013). 모든 영역·교과에서 생명교육을 진행하고 있지만 그 중심에는 도덕수업이 있기 때문이다. 학생들이‘자기 자신의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죽음’을 의식하는 것이야말로 지금 자신이 살아있다는 것이 얼마나 존엄하고 소중한 일인지를 알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죽음교육은 단순히 죽음의 문제가 아니라 삶의 문제이며, 생명의 문제이다. 더 나은 삶을 위한 죽음교육, 삶을 성찰하기 위한 죽음교육, 자신의 삶을 완성하기 위한 죽음교육 등, 죽음이 삶을 각성하게 하는 강력한 모티브인 것이다(정재걸 외, 2013). 죽음교육이 진정한 삶의 의미를 성찰하는 것이라면, 그것은 자아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더 절실하게 필요한 교육이다. 때문에 어떤 형태로든 교육과정에서 진행되어져야 한다. 학교 폭력과 청소년 자살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2012년부터 ‘창의적 체험 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자살예방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자살예방교육도 죽음교육의 중요한 구성 내용 중 하나이다. 그러나 자살예방교육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죽음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확립을 위한 철학적 탐구, 죽음이 주는 슬픔을 올바르게 승화시키기 위한 비탄교육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죽음교육이 올바르게 시행되기 위해서는 도덕 교과 내에서 체계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죽음교육의 구체적인 내용이나 방법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진척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현행 도덕 수업에서 진행하고 있는 죽음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점검해보고자 한다. 죽음교육의 목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Deeken(1996)은 4가지 차원, 즉 인지차원, 정서차원, 가치차원, 행동차원에서 통합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도덕 교과 내용의 구성은 이 4가지 영역에 근거해서 그 내용을 살펴볼 것이다. 또 현재까지 보고된 중학생 대상의 죽음교육 프로그램 선행연구를 살펴봄으로써 청소년을 위한 죽음교육의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자 한다.

      • 기혼여성의 자살충동 및 예방적 접근으로서의 평생교육 요구 분석 : 경기도 의정부시, 포천시 지역을 중심으로

        조광미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사람들은 왜 자살이라는 것을 할까? 자살이란 자기 자신을 죽이는 행동이다. 당사자가 자유의지를 가지고 자기 목숨을 끊는 행동이 자살인 것이다. 왜 그런 마지막 방법을 선택하는 것일까? 미리 예방할 수는 없을까? 현재 한국의 자살사망률은 OECD국가 가운데 최고 수준이다. 한국에서 자살은 교통사고를 제치고 주요 사망원인이 되었다. 가장 많이 활동을 해야 하는 나이인 10세∼39세 까지의 사망원인중 1위가 자살이다. 그리고 40세∼59세의 제2의 삶을 시작해야 하는 나이에 사망원인중 2위가 자살이다. 이건 너무 비극적이다. 사람들은 왜 그렇게 자살을 많이 선택하는 것일까? 한국의 자살률이 높은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 기혼여성에 초점을 맞추고 그 원인과 자살 실태를 분석하고 이러한 기혼여성 자살을 예방하기 위하여 전통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접근 방식을 분석한 후 기혼여성 자살 예방의 일환으로 평생교육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는지를 탐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제기하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의 자살 원인은 무엇이고 자살의 충동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기혼여성의 자살 예방을 위하여 어떤 노력과 접근 방법을 시도하고 경험하였는가? 셋째, 기혼여성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으며 그 교육이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는가? 넷째, 기혼여성 자살 예방을 위한 평생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요구에 대하여 평소 어떻게 생각하고 평생교육적 접근으로 무엇을 요구하고 있는가? 이러한 분석을 위해 경기도 의정부, 포천지역의 기혼여성들을 대상으로 총 160명에게 간략한 질문 형식의 설문지를 만들어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하였고, 개인별 차이를 분석 할 때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의 자살 충동원인은 경제적 어려움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가정불화로 인한 것과 신체적·정신적 질환, 장애 때문이 제일 컸고 비슷한 수치로 외로움, 고독 때문 인걸로 나타났다. 요즘 기혼여성들의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이 늘고 있는 점이 있다. 둘째, 기혼여성의 자살예방 프로그램 교육기관과 교육을 하는 주관기관으로 여성교육기관을 가장 많이 선택했고 기타의견으로 교회등과 같은 종교기관을 선택한 답변자가 많이 있었다. 교육비에 대한 부담은 중앙정부에서 해주길 희망했으며 상담심리 같은 전문 자살예방교육은 받은 경험이 별로 없고 자살예방 교육으로 활용하면 좋은 프로그램으로 여가활동 서비스 프로그램을 선택했다. 기혼여성들은 사람과의 관계를 중요시해서 다른 사람과의 소통이 있는 프로그램을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가장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혼여성의 자살예방 교육은 참여해본 상담프로그램이 없는 경우가 너무 많았다. 아직은 상담심리 프로그램이라든가 자살예방 프로그램 상담은 일반 기혼여성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프로그램인 것으로 나타난다. 이에 전문상담센터를 늘려서 접근에 용이하게 해야 할 것이다. 기혼여성의 특성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집단은 대학원이상의 집단으로 단체 상담심리나 개인상담심리를 경험해 본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 일반 자기개발과 같은 프로그램 또는 여가활동이나 디지털 교육, 건강에 관련된 프로그램에는 참여를 하고 있었다. 이런 교육 프로그램에서도 사람들과의 소통과 관계로 자살예방 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혼여성들이 느끼는 평생교육적 접근 방법에는 “거의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의 평균이 89%로 모두 긍정적으로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여성 자살예방 교육의 필요성은 알고 있지만 자살 예방에 접근하려는 노력은 거의 없었다. 그래서 기혼여성 자살 예방을 평생교육적으로 접근하여 요구하는 특성을 연구하였다. 기혼여성의 우울증이나 외로움을 이해해 주고 또한 교육을 통하여 여성으로 살아갈 길을 안내해 주는 새로운 접근 방법을 모색하였다. 무엇보다 여성 교육의 관심과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정부나 지방자치 단체에서 교육을 구체화시켜 실행하여야 한다. 기혼여성 자살이 평생교육적 접근을 통하여 예방 할 필요성이 시급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렇게 해서 기혼여성의 행복지수가 높아지면 자살률도 낮아질 것 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