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분식회계와 부실감사, 그리고 피해투자자들의 손해배상소송; ㈜비엔디 사례를 중심으로
비엔디는 동물용 사료 및 조제식품의 제조, 판매 및 수출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법인으로써 2001년 6월 코스닥 시장에 주식을 상장하였고, 2010년 1월 회계처리기준 위반과 계속기업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코스닥 상장이 폐지되었다. 이 과정에서 2009년 11월 증권선물위원회의 감리를 받게 되었고 투자선급금 및 지분법적용투자주식의 과대계상 등의 지적을 바탕으로 과징금, 감사인 지정, 전 대표이사 해임권고상당, 담당임원 해임권고 및 전, 현직 대표이사 검찰고발 등의 조치가 취해진다. 비엔디의 사례는 상장폐지된 회사에 대한 책임을 증권선물위원회의 감리결과와 조치를 기반으로 경영자와 외부감사인에게 투자자들이 손해배상을 청구한 소송이다. 이처럼 최근 감독당국의 감리결과와 조치를 바탕으로 경영자뿐만 아니라 외부감사인의 법적 책임에 대한 투자자의 손해배상소송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외부감사인의 법적 책임에 대해서는 피해자와 법원과 회계업계 간에 권한과 책임부분에 대해서는 입장차가 존재하고 있고 이는 당분간 논의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서 비엔디의 사례를 바탕으로 상장폐지 예상기업에 대한 엄격한 감리의 필요성과 투자자들의 감사보고서 활용에 있어서의 감사위험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을 비엔디의 사례를 바탕으로 연구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비엔디의 분식회계 발생과정과 그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외부감사 회계법인의 부실감사 내용과 그 문제점과 한계점을 살펴보며, 피해투자자들의 손해배상 소송과정과 어떤 이유로 원고인 투자자들이 패소하였는지 그 결과를 서술한다. 결론적으로 비엔디와 같이 상장폐지를 앞둔 회사들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식회계를 할 가능성이 높으며, 외부감사인은 고유한계로 인하여 이를 단기간에 찾아내기란 어려움이 있어 상장폐지 예상기업에 대한 엄격한 감리가 필요하다. 또한 증권선물위원회의 조치결과를 기반으로 손해배상소송을 진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원고는 패소하였다. 이처럼 투자자들은 감사보고서 활용에 있어서도 충분한 감사위험을 인식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BND Co,.Ltd.(Below BND) is a company established in 1992 that was purposed to produce, manufacture and sell fodders. The company enters to a bio-industry in 2000, and it was listed on KOSDAQ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 in 2001. BND was delisted in 2010, because of the violation of the Korean Accounting standards and the going concern assumption. In this process, BND was supervised by the Securities & Futures Commission(SFC) which ascertained some of accounting frauds such as the advance payments and the overestimated equity method investments in the financial statement resulting to dismissal suggestions against the previous representative directors, newly appointed external auditors, and the past and current directors of the board and the imposition of penalties as a part of legal actions. The BND lawsuit is the representative the case that investors took a legal action against not only the invested company, but also the external auditor based upon the result of the SFC's audit review. Like this BND case, the investors' lawsuits for financial damages have been recently increasing against financial managers as well as the external auditors in accordance with authorities' audit review. Because opinions regarding the legal responsibilities of external auditors differ have between victims, courts and external auditors, the controversy will be expected to continue for some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the strict management for the expected delisting firms and the necessity of the recognition of the audit risk when the investors use the external audit reports based on the BND’s case. In addition, it explains that the process of committing accounting fraud by BND in detail, poor inspections by the external auditors, its limitations and processes and the result of law-suit raised by investors. In conclusion, external auditors need a more to be stricter management to the expected de-list companies because they have a higher possibility to attempt the fraud accounting in many ways, whereas the external auditors are hard to find the frauds in a short period of time due to the their innate limitations. BND's investors lost in their lawsuit although their claims were based on the SFC’s audit review. The BND case suggests that the interested parties using the external audit report should sufficiently recognize risk of the external audit.
도시공간구조의 변화와 지가변동에 관한 연구 : 원주시의 택지개발사업을 대상으로
본 연구는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이 도시공간에 어떠한 구조적 변화를 주었는가를 분석하고 도시공간구조의 변화가 지가에 어떠한 변화를 주었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와 시간적 범위는 강원도 내에서 택지개발사업이 가장 활발히 진행된 원주시를 대상으로 1990년부터 2007년까지이다. 연구의 방법은 도시공간구조 변화를 Space Syntax 방법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Space Syntax는 공간구조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전체통합도, 국부통합도, 공간구조명료도 등의 지표로 수치화하는 방법론으로 시계열적인 도시공간구조의 변화를 가시적으로 보여 주는 프로그램이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먼저 원주시내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도시 전체의 공간구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하고, 대규모 택지개발사업들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도심에 대한 공간구조 분석을 재실행함으로 공간의 중심성 이동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도심 내 중심성 이동에 의하여 지가는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조사하였다. 중심성은 전체통합도 상위 3%의 중심지역을 설정하여 파악하였으며, 지가는 표준지공시지가를 이용하여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택지개발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1990년부터 2007년까지 원주시의 공간 수, 전체통합도, 국부통합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공간 수가 증가하는 것은 도시공간이 외연적으로 점차 확장되었음을 의미하며, 전체통합도와 국부통합도의 증가는 지속적인 도시공간의 확장으로 인하여 도시의 전체적인 접근성 및 일정공간과 주변지역과의 국부적인 접근성 모두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공간구조명료도는 공간에 대한 인지도와 예측률, 체계적인 이용 등을 알 수 있는 지표인바, 1996년 일시적인 하향값을 나타냈다. 이런 현상은 택지개발사업으로 인한 도시공간이 평면적 확산되어가는 단계에서 공간의 수가 증가하고 복잡해지는 과정을 거치므로 공간에 대한 인지도나 예측률이 일시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2002년부터 다시 공간구조명료도 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볼 때 도시전체의 공간이 안정되었음을 시사한다고 사료된다. 특히 택지개발사업으로 인한 공간구조의 변화를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원주시 도심을 1990년과 2007년의 두개의 시점으로 나누어 재분석한 결과, 1990년의 원주시는 중앙로를 중심으로 중앙동 일대의 시가지가 공간의 중심성을 가졌다. 그러나 2007년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이 이루어진 단계동, 무실동, 단구동 일대인 원주시 남서부로 중심성이 이동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지가변동을 분석한 결과, 1990년의 중심지역인 구시가지의 지가수준이 2007년에도 높은 가격수준을 나타내고 있지만, 구시가지의 지가상승률보다 신중심지의 지가상승률이 원주시 전체의 지가상승률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택지개발사업으로 인해 새롭게 형성된 중심지역이 도시공간구조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이는 지가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이 도시공간구조를 물리적으로 변화시킴은 물론 중심성을 이동시키고, 이러한 이동은 당해지역의 지가변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supposed to analyze what kind of structural change do large-scale works for developing building land bring to city space and examine what kind of city structure's change affects land price. The study's spatial and time range is from 1990 to 2007 when works for developing building land targeting Won-ju city in Kangwon province was progressed most actively. This study analyzed change of space structure by using Space Syntax methodology. Space Syntax is a methodology charting global integration, local integration, intelligibility and other index by analyzing the feature of space structure quantitatively. It is also a program that visually shows time series change of city space structure. The range of study's contents contains analyzing how the space structure of entire city was changed as works for developing building land in Won-ju city go on and grasping the transfer of space's nucleus by re-implementing space structure analysis about a city's central place that was influenced by large-scale and focused works for developing building land. Also, it studied what change does land price bring related with transfer of space's nucleus in the city. The nucleus was grasped by setting top 3% central place of global integration. Land price's change was analyzed by using standard land price of declared value. As a result of the study, we can know the fact that the number of space, global integration and local integration of Won-ju city was rising gradually from 1990 to 2007, when works for developing building land was started actively. Increased number of space means that city space was expanded gradually. We can also know that city's entire and surrounding areas's all local integrative accessibility was enhanced due to continuous expansion through raising global integration and local integration. However, as the fact that intelligibility is an index allowing to know the level of recognition, percentage of expectation, systematic use and others, it temporarily showed downtrend. This phenomenon seems that the level of recognition and percentage of expectation to space was temporarily diminished because it experiences the process raising the number of space and being complicated at the stage that city space is horizontally expanded as a result of works for developing building land. However, due to the fact that intelligibility has been raised since 2002, this study considers that the whole space of city was stabilized. Particularly, as a result of re-analysis separating Won-ju city's downtown area to double point of time, 1990 and 2007, to effectively know the change of space structure resulted from works of developing building land, Won-ju city acquired spatial nucleus in 1990 especially at the town around Joongang village which is located in the middle of Joongang avenue. However, as a result of analyzing data in 2007 when large-scale works of developing building land were implemented, we can see the tendency that the nucleus move to southwestern Won-ju which is around Dangae village, Moosil village and Dangu village. Moreover, as a result of analyzing fluctuation of land price, the land's value of old town is still high in 1990, however, increasing rate of new central place is higher than that of old one and it is also higher than the rate of entire Won-ju city. This phenomenon let us know that central area which is newly constructed through works of developing land reacts sensitively to the change of city space structure and it immensely affected change of land price. This study found not only large-scale works of developing building land physically changes structure of city space, but also it moves nucleus and the move immensely affects fluctuation of concerned area. In this context, the study is significant.
벼 논에서 가축분 퇴비 시용이 암모니아 휘산에 미치는 영향 및 배출 기작 구명
Livestock manures have been broadly usedinagriculture sectors forimproving soilproductivity and quality. However, intensive manure applicationscan significantlyenhance soil nitrogen (N) availability, whichmay facilitate ammonia (NH3) volatilization as a major pathway of Nloss during rice cultivation. However, the effectsof different livestock manure applications on NH3volatilization rate, its mechanism,and their relationships have not been investigated well so far. In this study, thefieldtrial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NH3volatilization by using a static chambermethod with a phosphoglycerol-soaked sponge in rice paddy soilamendedwithdifferentlivestock manures such as cattle manure (CM) and swine manure (SM) at therate of 0 (NPK only as acontrol), 10, 20, and 40 Mg ha-1during cultivation. Moreover, soil physico-chemical andbiological propertiesincluding extractable Ns and ureaseactivity, as well as Nuptake from rice plant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ultra-fineparticulate matter (PM2.5) wa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measured by the annular
이주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some useful English teaching methods and techniques for Korean preschoolers. In the second chapter the current English teaching in kindergartens and private institutes for preschoo1ers is discussed. The third chapter reviews several foreign language teaching methods with special focus on using songs and games. The fourth chapter deals with important elements of good English textbooks. Two commercial English textbooks are then examined. Finally a sample lesson plan is presented. It is concluded that studies should be continued to develop better teaching methods and techniques, and most of all to train better qualified teachers.
딥러닝을 활용한 국내 COVID-19 유행 시기 별 사회적 거리두기 여론 및 감성분석 연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는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발발된 후 전세계로 퍼졌으며 2020년 3월 11일에 세계보건기구(WHO;The World Health Organization)에 의해 팬데믹으로 선언되었다. 우리나라 역시 2020년 1월 20일 국내 첫 확진자를 시작으로 COVID-19가 광범위하게 퍼지고 장기화되는 추이를 보인다. 정부의 관련 예방 조치에는 여행 제한 및 특별입국절차 도입, 확진자 동선 추적, 휴원 및 휴교령과 다중이용시설 이용 관련 사항으로 대표되는 사회적 거리두기 등이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Social Distancing)는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전염병 확산 속도를 늦추는 예방효과가 높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여러 이면의 문제로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찬반이 빈번하다. 방역을 위한 이동 제한을 함으로써 경제활동을 위축시키고,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게 피해를 집중시키는 등 사회에 큰 타격이 될 가능성 역시 존재한다. COVID-19의 장기화 및 새로운 펜데믹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규제를 받는 일반 대중의 정서적 상황과 관심 주제에 대한 정부 각계의 관심과 논의가 촉구된다. 시의적절한 정부 정책을 위해서 사회적으로 어떤 논의가 이루어지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소셜 미디어는 사회 현상과 흐름 파악에 용이하다. 소셜 미디어 커뮤니티는 실제 커뮤니티와 비슷하고, 이용자 역시 충분히 증가해나가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인 트위터(Twitter)를 활용하여 국내 COVID-19 유행 시기 별 사회적 거리두기 별 사회적 거리두기 관련 텍스트를 분석하여 전반적인 대중의 텍스트 특징을 파악하고, 나아가 유행 시기 별 여론의 감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중앙방역대책본부 보고서의 COVID-19 유행 시기 기준을 활용하여 2020년 1월 20일부터 2022년 1월 19일까지의 기간을 2020년 1월 20일에서 8월 11일, 2020년 8월 12일에서 11월 12일, 2020년 11월 13일에서 2021년 7월 6일, 2021년 7월 7일에서 2022년 1월 19일까지의 4개 유행시기로 나누었다. 이 시기마다 ‘사회적 거리두기’ 혹은 ‘거리두기’를 질의어로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하고 내용의 사회적 거리두기 관련 유무에 따라 관련 데이터를 판별하였다. 이후 소셜 미디어를 통해 COVID-19 유행 시기 별 사회적 거리두기 관련 텍스트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LDA 토픽모델링, 동시출현 분석과 유행 시기별 감성분석을 실시하였다. 감성분석의 경우에는 한국전자기술연구원에서 제공하는 7가지 감정을 라벨링한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딥러닝 모델들을 학습 및 평가한 후, 가장 좋은 성능을 보인 딥러닝 모델로 유행 시기 별 사회적 거리두기 연관 텍스트가 주로 어떠한 감정을 보이는지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로 COVID-19 사회적 거리두기와 관련한 대중들의 주요 관심 주제를 발견하였다. 유행 시기 별 관심 주제 양상은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중은 전체적으로 ‘콘서트 및 공연’,‘거리두기 단계 발표’,‘자영업 피해’,‘COVID-19 검사’,‘대중교통 감축’,‘방역 수칙’,‘백신 유입 및 접종’,‘외출 및 모임 자제’, ‘대통령 및 정부 평가’,‘카페 및 식당 이용’,‘종교집단의 거리두기 위반’,‘학사일정’,‘정책’등 주제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관심은 대중이 규제를 하는 정부와 정책에 민감하게 반응함으로 보여주고 규제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 상황을 타결할 해결책에 특히 관심을 가짐을 알려준다. 또한 유행 시기 별 감정 추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모두 부정적인 정서를 보였으나 COVID-19이 처음 시작한 1기에는 슬픔, 공포, 혐오, 놀람 등 대부분의 부정적인 감정이 높게 나타났고 특히 공포의 비율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2기에는 치명률과 확진률이 줄어들며 행복이 차지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3기의 경우에는 부정적인 감정들 중 분노가 더욱 증가하면서 중립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기도 하였다. 팬데믹의 장기화, 사회적 거리두기의 강화에 대한 분노와 백신 접종 시작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유추하였다. 이후 4기는 분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COVID-19 팬데믹이 장기화될수록 사회적 거리두기 수칙을 협조하는 일반 시민 및 자영업자들의 피해가 극심해지고, 백신 접종이 큰 돌파구가 되지 못하며 변이 바이러스가 퍼지는 것과 관련 있다고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학습한 딥러닝 모델들을 비교 및 평가하였을 때 KR-Medium이 128배치 사이즈에 5e-5 학습률의 환경에서 f1 score 0.7244로 가장 높은 성능을 달성하였다. 이는 일반적으로 이진분류를 하는 감성분석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7가지 감정의 다중분류를 시도하였으며 형태소 분석 및 문맥 파악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한국어를 대상으로 한 점에서 우수한 성과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를 통하여 2년 간 사회적 거리두기 관련 여론을 폭넓게 파악하여 일반 대중이 느끼는 시사점을 살피고자 하였고 결과적으로 유행 시기 별 텍스트 특성과 감정의 흐름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은 물론 딥러닝 기반의 모델 학습 및 평가를 시행하고 그를 통하여 7가지 다중 감정 분류를 시도한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Since its first onset in Wuhan, China in December 2019, COVID-19 was declared a pandemic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on March 11, 2020 and has been spreading across the world. South Korea has also witnessed rapid spread of COVID-19 starting with its first confirmed case on January 20, 2020, and the pandemic is still affecting peoples’ lives. To fight the viru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rolled out a range of preventive measures, such as travel restrictions and special entry procedures, COVID-19 contact tracing, and social distancing especially at multi-use facilities including school closures. Various research has proved that social distancing is very effective in preventing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 However, there are people who are for and against the practice due to multiple issues. For instance, social distancing limits people’s movement, reducing economic activity, doing damage to small businesses and the self-employed, and eventually dealing a big blow to society. In order to be prepared for the prolonged COVID-19 outbreak and a potential new pandemic emergency, various sectors of government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and discuss the emotional status and topics of interest of the general public who are under restrictions.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what kind of discussion is taking place in society to develop government policy in a timely manner; social media is easy to grasp the current social phenomena and trends, as the online communities are similar to offline communities, and the number of users is increasing.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analyze texts related to social distancing by the stage of COVID-19 outbreak in South Korea using Twitt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xts produced by the general public and the sentiments of public opinion through each pandemic stage.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ports of Central Disease Control Headquarters, which made stages of COVID-19 outbreak from January 20, 2020 to January 19, 2022. For this study, the research period was divided into four peak periods: Period 1 from January 20 to August 11, 2020; Period 2 from August 12 to November 12, 2020; Period 3 from November 13, 2020 to July 6, 2021; and Period 4 from July 7, 2021 to January 19, 2022. Text data was collected with the keyword of social distancing or distancing for each period and screened based on the relevance to social distancing. Additionally, LDA topic modeling,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and sentiment analysis by peak period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xts related to social distancing by COVID-19 stage through social media. For the sentiment analysis, the dataset labeled with seven emotions by the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was used for learning and evaluating different deep learning models, and the model that showed the best performance was employed for analyzing emotions connected to the text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e main topics of public interest related to COVID-19 social distancing. Although the topic of interest for each period was somewhat different, most people were generally interested in concerts and performances, announcement of distancing stages, damage to the self-employed, COVID-19 testing, reduction of public transport, disease control rules, introduction of vaccines and vaccination, refraining from going out and gatherings, evaluation for the President and the government, use of cafes and restaurants, violation of social distancing by religious groups, academic schedule, policy, etc. Such topics show that the public was sensitive to the government and restrictive policies and that they we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changes in their daily lives caused by the regulations and solutions to resolve the situa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motional trends through each period, negative emotions were found throughout the periods. During Period 1 when the pandemic began, negative emotions such as sadness, fear, disgust, and surprise were widespread, and especially fear was most outstanding. In Period 2, as the fatality rate and the number of confirmed cases decreased, the proportion of happiness gradually increased. Period 3 showed the increase of anger among other negative emotions, and neutrality took up a high proportion. This seems to have resulted from anger over the prolonged pandemic and strengthened social distancing and expectations from the start of vaccination. During Period 4, the most prominent emotion was anger. This seems to be related to deteriorating damage to ordinary citizens and the self-employed due to the prolonged pandemic, who had been complying with social distancing, and vaccination having turned out to be no cure-all combined with the spread of different variants. Lastly, the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the deep learning models showed that KR-Medium had the greatest performance with an f1 score of 0.7244 in the 128 batch size and the environment of 5e-5 learning rat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entiment analysis, which generally involves binary classification, this achievement is significant in that multiple classifications of seven emotions was attempted and that the Korean language is relatively difficult to analyze morphemes and contexts. This study aimed to obtain implications from emotions felt by Korean citizens by generally understanding public opinion related to social distancing over the past two years through social media, and finall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exts by each pandemic period and the flow of emotions. This study also has significance in performing model learning and deep learning-based evaluation as well as various text mining techniques and attempting the seven-emotion classification.
3종의 에센셜오일의 안전성, 유효성 비교 및 화장품 응용에 관한 연구
에센셜오일은 휘발성 향기성분으로 식물의 2차 대사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여러 가지 생화학적 성분들의 복합체이며, 거의 대부분 탄소와 수소, 산소로 구성되어 있는 탄소화합물로 추출과정과 식물의 구성분자의 생합성 과정에서 화학적 성질이 대부분 결정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처럼 에센셜오일은 여러 가지 효능 및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항균력이 탁월해 고대에서부터 방부에 사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전염병 예방을 위해서도 사용되어 왔다. 현대에서는 화장품, 향료, 식품 첨가제, 식품 보존제, 아로마테라피, 피부 미용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되면서 항균, 항산화, 항염 등에 대한 선행 연구들이 있다. 로즈마리, 시트로넬라, 레몬그라스 에센셜오일에 대한 연구로는 항산화, 항균 효능이 있다고 보고된 바가 있으나 in vivo 연구 및 화장품 제형 안정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에서는 3종의 에센셜오일을 활용하여 세포 및 zebrafish embryo를 이용하여 독성을 확인하였으며, 항산화, 항균 활성, 에센셜오일을 에멀젼에 적용하였을 때 제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각질형성세포인 HaCaT 세포와 zebrafish embryo에 에센셜오일의 독성 실험을 진행하였을 때 HaCaT 세포에서는 대조군과 비교시 로즈마리 에센셜오일의 경우 모든 농도에서 미처리 대조군에 비해 100.00%의 세포 생존율을 보였고, 시트로넬라의 경우 5.00 ppm 이하의 농도에서 100.00%의 세포 생존율을 보였으며 10.00 ppm 농도에서는 86.79%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냈다. 레몬그라스의 경우 5.00 ppm 이하의 농도에서는 95.00% 이하의 세포 생존율을 보였으며 10.00 ppm 농도에서는 84.98%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냈다. Zebrafish embryo의 독성 평가 결과, 로즈마리의 모든 농도와 시트로넬라의 5.00 ppm 농도 이하, 레몬그라스의 1.00 ppm 농도 이하의 경우 전체적인 결과 대조군과 비교해봤을 때 zebrafish embryo에 미미한 영향을 보였다. 항산화 효능은 DPPH radical 소거 활성 결과를 보면 대조군인 L-ascrobic acid 50 μg/ml 농도에서 94.12%의 항산화능을 보였고 1.00, 10.00, 30.00, 50.00, 100.00 μl/ml 농도에서 로즈마리는 농도별로 28.78, 35.29, 45.35, 58.32, 76.98% 나타났으며, 시트로넬라는 32.42, 56.94, 80.35, 94.29, 109.92%, 레몬그라스는 53.83, 91.66, 92.51, 92.51, 93.55%의 radical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ABTS+ radical 소거 활성 결과를 보면 대조군은 89.50%의 항산화능을 보였고 로즈마리는 11.52, 38.88, 61.70, 81.55, 94.56%, 시트로넬라는 11.28, 59.86, 91.75, 98.21, 100.44%, 레몬그라스는 38.78, 98.67, 100.23, 100.42, 103.15%의 radical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FRAP assay 평가 결과 대조군은 1.04를 보였으며, 로즈마리는 0.07, 0.07, 0.07, 0.07, 0.09, 시트로넬라는 0.11, 0.28, 0.52, 0.77, 0.96, 레몬그라스는 0.14, 0.44, 0.83, 1.06, 1.14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결과는 로즈마리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24.98 mg/g 나타났으며, 시트로넬라는 29.36 mg/g의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로즈마리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32.73 mg/g 나타났으며, 시트로넬라는 35.51 mg/g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보였다. 그리고 레몬그라스는 70.23 mg/g로 확인하였고 3종의 에센셜오일 중 레몬그라스가 가장 높은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에센셜오일의 항균 효능을 확인한 결과 대조군인 methyl paraben 0.1 g/ml의 농도에서 S. aureus 균에서 21.17 ± 3.15, S. epidermidis 균에서 21.56 ± 0.42, E. coli 균에서 21.08 ± 0.11, P. aeruginosa 균에서는 13.62 ± 0.16, Candida. A 균에서는 26.53 ± 0.91로 나타났다. 그리고 1.00, 10.00, 30.00, 50.00, 100.00 μl/ml 농도에서 로즈마리는 S. epidermidis 균에서 0.00, 0.00, 10.87 ± 0.20, 15.68 ± 0.33, 19.90 ± 0.54 mm로 나타났으며, Candida. A 균에서는 0.00, 0.00, 9.37 ± 0.25, 9.71 ± 0.05, 10.25 ± 0.25, 25.61 ± 0.15 mm, 시트로넬라는 S. aureus 균에서 0.00, 0.00, 9.66 ± 0.07, 15.28 ± 0.24, 19.95 ± 0.42, 18.57 ± 0.41 mm, E.coli 균에서 0.00, 0.00, 0.00, 10.66 ± 0.76, 11.74 ± 0.51, 20.95 ± 0.64 mm, Candida. A 균에서는 0.00, 11.61 ± 0.06, 13.24 ± 0.21, 16.88 ± 0.28, 24.31 ± 0.10, 27.44 ± 0.16 mm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레몬그라스는 S. aureus 균은 농도의존적으로 0.00, 11.12 ± 0.11, 25.63 ± 0.42 mm, S. epidermidis 균에서 0.00, 11.05 ± 0.30, 12.92 ± 0.40, 14.18 ± 0.31, 16.24 ± 0.57 mm를 나타냈다. 그리고 E. coli 균에서는 0.00, 9.09 ± 0.82, 14.27 ± 0.64, 14.90 ± 0.64, 16.50 ± 0.73의 clear zone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P. aeruginosa 균만 제외하고서 나머지 균주에서는 항균 효능 결과를 얻었다. 3종의 에센셜오일을 에멀젼 제형에 적용하여 pH, 점도, 입자관찰, 터비스캔 측정을 통해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 시 에센셜오일을 1% 함유한 에멀젼 보다는 5% 함유한 에멀젼이 제형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에센셜오일을 제형에 적용 시에 적절한 농도를 설정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3종의 에센셜오일은 농도의존적으로 독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지만 항산화 및 항균 효능과 화장품 제형의 안정성을 확인한 결과 천연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ek various ways for the popularization of modern ballet through the foreign choreographers and the tendencies of ballet works. These days performance arts have been changing according to the social request and trends of the era with novel ideas and a lot of ways and many are interested in them, but it is true that the performance of the newly created ballet as one genre of performance arts does not attract general audiences. The popular modern ballet which has escaped from the traditional and classic techniques and themes reflects the complex modern phenomena. In addition, it is responding to the requirements of the popular by way of being reborn; That is, it aims at a total art which uniquely deal with the modern phenomena into newly interpreted subject matters and mix other genres, doing away with distinguishing lines. The representative choreographers of the modern ballet are Maurice Bejart and Matthe Bourn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eatures appearing in their works "1789...and We" and "Swan Lake" the ways for popularization of the ballet will be suggested. The tendencies in the modern ballet are like this ; In regard with the theme, the modern ballet treat the general social problems. And when it addresses the social thoughts or political viewpoints it adds theatrical factors across the general process of the performance. It also focuses on the public not the special class, and it provides interest to the audience by easy stories and humorous points. The works of Maurice Bejart and Matthe Bourne have gathered many people into the ballet theatres and they have attracted the other ballet artists and even the critics as well as the public because they show both virtuosity and popularity. Our created ballet also has to be popularized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trends and the activation of performance arts. This paper suggests several way for the popularizing of the ballet. Firstly, in order to find out popularity creative and new works should be created, whose dance techniques have to include not only the ballet dance but also other genres. Secondly, dance education should be given to the public for providing good image of the ballet. Thirdly, many persons have to have the chances to experience the ballet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the private dance institutions including the so called Academic or Cultural Centers. Fourthly, the created supreme ballet works should be included in the repertory theatre works, so that ballet stars may emerge and they can be commercial stars through the popular media. Fifthly, the performances of both local provinces and foreign countries have to be positively pursued only to widen the ground of the ballet performance. This is also one way to introduce Korea all around the world. Sixthly, the system for planning, public relations, and marketing should be established, for which the experts should be employed. Seventhly, the popular media including broadcasting programmes, newspapers, and internet should be utilized as possible as it can. Eighthly, the financial support from both the public institutions and private companies should be encouraged. On the basis of theses ways, the persons of the ballet circle should discard the idle and passive attitudes. That means that they should not wait for audiences without any efforts. On the contrary they must seek positive ways to attract many persons to performances of the created ballet works. Moreover, it is also required that the choreographers more or less give up their own thoughts but consider the minds of the audience when they create the works. As a result more easy works can be produced and better works which positively give interests in the audience could gather more persons. In this paper, the methods for the created ballet works to approach more closely to the audience are suggested. Here it is expected that the steady and continuous studies of this theme w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created the general dance world of our country as well as the created ballet circle. 본 연구는 오늘날의 공연예술이 그 시대의 사회적 요청과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새로운 아이디어와 다양한 형태로 변화되고 그 중요성이 인식되어 대중들의 관심을 받고 있지만 공연예술분야의 한 장르인 창작발레 공연은 다른 장르에 비추어 봤을 때 아직도 그 실정이 미흡하여 대중들에게 쉽게 다가가지 못 했기에 외국의 현대발레 안무가와 작품성향을 통하여 대중화를 이룰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오늘날 성행하고 있는 현대발레는 전통적인 클래식 발레의 기법과 주제를 탈피하여 현대의 복잡하고 다양한 현상을 반영하고 시대적 상황이나 소재를 이색적으로 변화시켜 그 나름의 장르 구분을 없애고 타 장르들을 혼합하여 총체적인 예술형태를 지향하는 발레로 거듭나 현 시대 대중들의 요구에 부응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현대발레 안무가로 모리스베자르(Maurice Bejart)와 매튜본(Matthe Bourne)의 안무성향과 그들의 작품「1789...그리고 우리」,「백조의 호수」에 나타나는 특성을 통하여 우리의 창작발레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 대중들로부터 소외되고 있는 창작발레의 현 상황을 타계하여 대중화를 이룰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대발레의 작품에 나타나는 성향은 작품 주제에 있어 사회의 전반적인 문제점들을 다루고 있으며 시대적 사상과 정치적 관점을 통하여 작품의 소재나 극 전반에 걸쳐 연극적 요소가 가미되어 있으며 특권층이 아닌 일반 대중들이 쉽게 이해 할 수 있고 작품에서 해학적 이미지를 통하여 관객들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 시켰다. 그들의 작품들로 인하여 무용공연장을 찾는 관객들이 늘어나 무용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또 예술성과 대중성을 모두 지닌 그들의 작품은 일반인들 뿐 아니라 같은 부류의 예술가, 그리고 평론가들까지도 매료 시켰다. 이 처럼 시대의 사회적 흐름과 공연예술 산업의 활성화에 발맞추기 위해서 우리의 창작발레는 대중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중화를 이루기 위한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 방법을 제시하였다. 첫째, 대중성 확보를 위하여 춤의 기법을 발레의 한 장르만을 고집하지 않고 타 장르의 혼합을 통하여 참신하고 새로운 작품을 창작해 내야 한다. 둘째, 일반인들의 발레에 대한 인식의 전환으로 무용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아카데미나 문화센터 등 무용사설기관들을 통하여 일반인들의 참여가 직·간접 경험으로 확대 되어야 한다. 넷째, 우수한 창작발레 작품들을 레퍼토리 화 시키고 무용스타를 발굴하여 상품화시켜 매체를 통하여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야 한다. 다섯째, 지방공연과 해외공연을 확대하여 그 영역을 넓혀 나가야 한다. 또 이러한 방법은 우리나라를 세계에 널리 알리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전문인을 등용하여 기획, 홍보, 마케팅의 작업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일곱째, TV, 신문, 방송, 인터넷 등 대중매체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여덟째, 공공기관이나 민간기업 단체들의 재정적 지원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안들을 토대로 공연예술계에 침체 되었던 창작발레 공연을 활성화시키고 관객들을 기다리기만 했던 안일하고 소극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로 대중과 함께 호흡하는 창작발레 공연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 우리의 안무가들은 작품을 창작하는데 있어 자신의 생각만을 중요하게 여기지 말고 일반 관객들에 대한 배려를 하여 조금은 이해하기 쉽게 작품을 창작하고, 내용의 질적 향상과 관객 확대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기우려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창작발레가 대중들에게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보았다. 이에 그치지 않고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우리나라의 창작발레 뿐 만 아니라 전반적인 무용계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게 될 것이다.
독일 표현주의 무대에서 나타나는 러시안 아방가르드의 영향 : Erwin Piscator의 정치극 무대를 중심으로
이주희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논 문 초 록 독일 표현주의 무대에서 나타나는 러시안 아방가르드의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Erwin Piscator의 정치극의 나타나게 된 역사적 배경과 당시 독일을 지배하고 있었던 표현주의 속에서 어떻게 정치극이 탄생하게 되었는지 알아보고, 현대 무대 미술에 큰 영향을 끼친 정치극 무대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그 특징을 살펴보는 데 있다. 그 과정에서 1917년에서 1930년까지 일어난 러시아 아방가르드에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출가 Erwin Piscator(피스카토르)는 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고 러시아 혁명을 겪으면서 정치적인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바이마르 공화국 기간 동안 그는 정치문제를 직접 다루는 이른바 정치극이라는 연극을 탄생, 발전 시켰다. 표현주의는 20세기 초 바이마르 공화국 당시 독일에서 일어난 예술운동으로 피스카토르의 정치극 또한 표현주의 안에서 탄생하였다고 하겠다. 이 운동은 회화에서 먼저 사용되어진 개념으로 인상주의와는 반대되는 새로운 회화양식을 일컫기 위해 생겨났다. 객관적 현실보다는 주관적이고 내면적인 감정을 표출하고자 했던 표현주의는 회화 만에 국한되지 않고 한 시대 전체의 핵심적인 개념이 되었으며, 기성세대와 기존의 세계에 대해서 반항하며 변화와 변신을 통한 새로운 인간의 탄생과 인류의 혁명을 지향했다. 그들은 정신적인 혁명이 모든 변화의 출발이라고 믿었으며 인간이 공동체의 일원으로 변신할 것을 강조했다. 그러나 표현주의는 현실과는 거리가 있는 이상만을 추구하고 있었는데 피스카토르는 이에 반대하고 실질적으로 혁명이 되길 원하고 그를 위해 정치극을 만들어 대중을 선동하고자 했다. 그는 관객과 무대의 구분을 철폐하고 현재 독일에서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 맞추기 위해 극작대신 이미 쓰여진 희곡이나 소설을 각색했으며 배우와 무대 역시 철저히 혁명 선동을 위해 도구화 하였다. 그의 무대 위에는 슬라이드의 사용, 영화, 컨베이어, 거대한 구조물 셋트 등이 등장하였고, 레뷰나 몽타주 같은 기법이 사용되었다. 피스카토르가 이러한 무대미술을 펼칠 수 있었던 것은 러시아 아방가르드에서 추구한 연극과 사회, 과학 기술과 예술의 일치에 대한 가능성의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러시아 아방가르드는 1차 세계대전 전후 러시아에서 일어난 전위적 추상미술운동이다. 당시 러시아의 젊은 미술가들이 서유럽에서 들어온 인상주의와 야수파, 입체주의, 이탈리아의 미래주의와 같은 최신 경향들을 러시아 고유 민속 예술을 가미한 신원시주의, 광선주의, 절대주의, 구성주의, 생산주의로 만들어냈다. 러시아 아방가르드의 무대에서는 기술과 사회적 요구에 예술을 연결시켜 사회주의 환경 전체를 다시 건설하고자 했다. 그들 역시 극장 공간을 일원화하고 기하학적 표현을 사용했으며 몽타주 기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피스카토르가 이런 러시아 아방가르드의 무대를 답습한 것은 아니었다. 다만 혁명이라는 같은 배경을 가지고 같은 영향 아래 있으면서 비슷한 맥락을 지니고 있었을 뿐 사용하는 용도나 목적은 전혀 다른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