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nsumer Preferences and Purchase Perceptions by the Picture Image Types of Floral Products - Focused on Image-Based SNS (Instagram)

        Sangeun Seo,Jong Won Hong,Jongyun Kim 한국화훼학회 2019 화훼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한 화훼상품 구매인식과 화훼상품 이미지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국내 성인남녀 31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소비자들이 SNS를 통해 화훼상품을 구매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트렌드에 맞는 디자인을 판매하기 때문이며, 해당 항목에 대하여 20대가 가장 높은 평균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 20대와 30대의 응답자는 40대에 비해 SNS를 통해 판매하는 화훼상품의 가격이 덜 합리적이라고 생각하였으며, 50대 이상의 연령에서는 SNS를 통해 판매하는 화훼상품의 품질과 꽃의 신선도에 대해 낮게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SNS에 게시된 화훼 상품의 이미지가 구매할 상품 선택에 많은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였으며, SNS상의 화훼상품 이미지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훼상품의 이미지가 보정효과로 다듬어진 것이라고 인식하였으나, 실제 상품과 비슷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화훼상품 구매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이미지 특성으로는 전체적인 분위기가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절화 화훼상품 이미지에서 꽃다발과 꽃바구니 화훼상품에 따라 선호하는 배경에 약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구도에 따른 선호도는 꽃다발과 꽃바구니 모두 정면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이미지 보정에 대한 선호도에서는 밝은 느낌의 채도가 높은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는 반면, 어두운 느낌의 이미지는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상품 이미지 보정효과에 대한 감성인식을 의미변별척도법(semantic differential scale)에 따라 조사한 결과, 채도에 상관없이 밝은 느낌의 이미지는 ‘풍부한’, ‘세련된’, ‘고급스러운’, ‘기품 있는’과 같이 긍정적인 감성어휘 쪽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어두운 느낌의 이미지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감성어휘 쪽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상품 이미지의 배경, 구도, 보정효과에 따라 소비자의 선호도와 감성반응에 차이가 나타났으나, 소비자의 성별, 연령 및 직업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를 통해, 소비자가 선호하는 이미지를 구축하여 SNS를 통한 화훼상품을 판매하는 것이 소비자들의 구매상품 선택에 도움이 될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surveyed 311 adult consumers in Korea to investigate their preferences and purchase perceptions of floral products through the social network services (SNS) market. The consumers responded that they favored purchasing a floral product via SNS mainly because the products were trendy in design, with a significantly high score among those in t heir 20s. Among the a ge g roups, the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found the prices of floral products sold via SNS less reasonable than the consumers in their 40s. Those who were in their 50s or older showed lower confidence in the quality of floral products and freshness of flowers sold via SNS. The consumers said that the picture images of the floral products posted on SNS helped guide their choices, illustrating consumers’ positive views of the images of f loral products on SNS. Although the consumers were aware that the floral product images were retouched, they tended to assume that the actual products would be s imilar to the posted p icture images. As for the impact of image characteristics on the consumers’ purchase decisions of floral products, it was discovered that the respondents attached considerable importance to the overall atmosphere. The preferred backgrounds of the f loral product images slightly varied between floral bouquets and floral basket products. As for the composition preferences of images, most consumers preferred images that were taken from the front, for both floral bouquets and floral baskets. The consumers preferred bright images, with high chroma in color, whereas they disliked images with low brightness. Based on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the consumers used favorable terms, such as abundant, refined, high-class, and elegant, to describe bright images, regardless of color saturation. In contrast, dark images were generally perceived more negatively. Although the consumers’ preferences and emotional responses to picture images of floral products varie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omposition, and retouching effects of the imag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in responses among different genders, age brackets, and vocational g roups. Overall, w hen marketing floral products through SNS, product information with images appealing to consumers’ preferences would support their purchase decisions.

      • 반능동 스테빌라이저바에 대한 연구

        배상은(Sangeun Bae),김원영(Wonyeong Kim),김인섭(Insup Kim),서유원(Yuwon Seo) 한국자동차공학회 2019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9 No.5

        The stabilizer bar maintain the stability and attitude of the vehicle when it is travelling in curves. Cornering maneuvers with reduced body roll and without comfort loss are important requirements for car manufacturer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n electric Active Roll Control(ARC) system is being studied, but it is still composed of very complicated parts, which is heavy and expensive. In this thesis, a semi-active stabilizer bar system of mechanical structure is developed, which is weight reduction, cost down and similar performance than the active stabilizer bar. The feasibility of the system was verified from finite element analysis and test.

      • KCI등재

        국내 경제이해력 함양 교수-학습방법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박상은 ( Sangeun Park ),서봉언 ( Bongeon Seo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8 경제교육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국내 초중등 학생을 대상으로 경제교육에서 이루어지는 경제이해력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경제교육 연구와 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을 선정하기 위하여 1990년부터 2018년 6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와 학위논문 가운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누리미디어, 한국학술정보, 학술교육원, 교보문고 스콜라의 데이터서비스에서 경제이해력, 경제이해도, 경제사고력, 경제지식, 경제인지, 경제개념, 경제 학업성취도 등을 키워드로 하여 자료를 검색하였고 검색된 자료 중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설정한 실험연구와 평가도구를 사용한 논문을 기준으로 총 42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이들 논문에서 추출한 총 42개의 효과크기 값은 메타분석 전문 프로그램인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2.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무선효과를 이용한 전체효과크기 값은 0.567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제이해력 함양 교수학습방법을 받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경제이해력이 약 21.5%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급별 분석 및 학년에 따른 메타회귀분석 결과, 초등학교에서 효과크기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연구과제와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economic literacy using a meta-analysis and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in economic education. We searched several databases including Riss, DBpia, Kiss, E-article, and Kyobo Scholar, using wide range of keyword such as economic literacy, economic recognition, economic concept, achievement from the beginning of 1990. 42 studies that included both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analyzed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version 2.0. Overall effect size was large(g=0.567). Random effects meta-analysis showed that economic literacy of treatment group was improved about 21.5%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lso, meta-ANOVA and meta-regression were performed. The effect size significantly increased in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eaching strategy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구시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 맥락 변인의 효과

        서봉언 ( Bongeon Seo ),박상은 ( Sangeun Park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7 중등교육연구 Vol.65 No.3

        본 연구는 학교교육의 성과로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맥락변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교육실태연구2016 자료를 활용하여 대구광역시 관내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교육 맥락 요인을 위계선형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국, 영, 수 학업성취 학교수준 분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20%를 상회하였으며 특히, 영어교과의 학교분산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수준 변수에서 학업성취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부모학력, 부모의 교육관, 공부시간, 내재적 동기, 수업이해도, 학생회경험 여부, 동아리 경험 여부로 나타났다. 반면 운동시간과 학습활동 만족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교수준 변수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관찰된 변수는 부모학력평균과 부모소득평균으로 나타나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학교에서 높은 학업성취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학교 간 교육격차를 짐작해 볼 수 있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최근 수집된 대구교육실태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대구광역시 고등학생의 교육 성취와 교육 맥락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교육적 성취는 장기간의 교육과정에 의한 결과물이기에 보다 면밀한 학업성취 분석을 위해 종단자료 구축과 이를 활용한 추후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South Korea’s zeal for education and learning is perhaps the highest in the world. Commonly referred to as educational “fever” the situation continues to intensify as parents want to improve and ensure their children’ academic achievement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various factors that influence academic achievement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focuses on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ity of Daegu, using data from the Daegu Education Research and Information Institute. This study uses HLM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1-level variances of student achievements in Korean, mathematics, and English were above 20%. The significantly positive factors in this level were the education level of parents, the educational attitude of parents, study time, internal motivation, class (i.e. lecture) comprehension, student association involvement, and school club activity. Negative variables to academic achievements included exercise time and satisfaction in learning activities. Second, in school-level analysis, the education and income mean among parent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s. This finding suggests that students in schools catering to families with high socioeconomic status show better educational achievements. Taken together,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are needed to establish educational equality and collect longitudinal data for long-term educational consequences.

      • KCI등재

        대구 중학생의 고등학교 유형 선택 결정 요인

        박상은(Park, Sangeun),서봉언(Seo, Bongeon) 한국지역사회학회 2018 지역사회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학생과 학부모들이 진학할 고등학교 유형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고자 대구교육실태연구2016 중학교 자료를 활용하여 1,873명을 대상으로 전·후기고의 다양한 고교유형을 반영하여 고등학교를 진학하고자 할 때 학생의 가정배경, 개인특성과 학교특성, 고교 선택 시 고려하는 요소와 진로영향력 등의 요인들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다항로지스틱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검토하였다. 첫째, 학생들의 성취수준은 고등학교를 선택하는 데에 있어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에 반해 부모 학력, 가구소득 등과 같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학생의 개인특성 변인을 통제하면 고등학교 유형 결정에 독립적인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모의 기대수준이 고등학교 유형 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지리적 접근성과 유리한 내신 성적은 다른 학교유형에 비해 일반고를 선택할 때 고려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목․자사고와 특성화․마이스터고는 상대적으로 진로와 취업을 더욱 고려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고등학교 진학 시 의사결정에 작용하는 요인에 차이가 있었다. 특목․자사고에 비해 통학거리 즉 지리적 접근성이 일반고의 경쟁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남에 따라 보다 통학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배정방법을 고안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요컨대 고등학교 계층화로 인한 일반고 위기론이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전․후기고의 다양한 고교유형을 반영하여 고등학교 유형 선택의 결정요인을 파악한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일반고의 활성화를 위해 경쟁력 있는 요소를 적용한 방안모색이 필요하며, 일반고 내 학교선택의 효과성에 대한 후속연구를 기대해본다. This study examines determinants that explain high school choice as an indication of educational aspiration among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Using multinomial logistic multi-level model, we explored determinants of high school choi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data retrieved from the Analysis of Actual Status of Daegu Education 2016. The main research question is as follows: What a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choice of high school typ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Daegu? Our research found that there is robust influence of academic achievement to choose high school. Family background such as parents’ education and family income, however, independently has less influence on high school choice than students’ variables such as academic motives, their own educational aspirations, and study time. Factors related with career and employment are important to choose self-governing private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Further, geographical proximity and the advantages of academic performance have no rival factors in choosing general high schools compared with self-governing private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Taken together, this study suggest that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in general high schools to overcome their difficulties. We also proposed further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high school choice specifically within general high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