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동인구 밀집지역 인근의 도로구간별 배출량 산정 및 보행자 노출 강도 평가

        이상은,신명환,이석주,홍다희,장동익,길지훈,정택호,이태우,홍유덕,Lee, Sangeun,Shin, Myunghwan,Lee, Seokjoo,Hong, Dahee,Jang, Dongik,Keel, Jihoon,Jung, Taekho,Lee, Taewoo,Hong, Youdeog 한국액체미립화학회 2018 한국액체미립화학회지 Vol.23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level of exposure of traffic-related air pollutants (TRAPs) on the pedestrians in Seoul area. The road network's link-based pollutant emission was calculated by using a set of mobile source emission factor package and associated activity information. The popula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number of pedestrian, was analyzed in conjunction with the link-based traffic emissions in order to quantify exposure level by selected 23 spots. We proposed the Exposure Intensity, which is defined by the amount of traffic emission and the population, to quantify the probability of exposure of pedestrian. Link-based traffic NOx and PM emissions vary by up to four time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each spot. The Hot-spots is estimated to be around 1.8 times higher Exposure Intensity than the average of the 23 selected spots. The information of Exposure Intensity of each spot allows us to develop localized policies for air quality and health. Even in the same area, the Exposure Intensity over time also shows a large fluctuation, which gives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site-specific counter-measures.

      • KCI등재후보

        노동과 인간의 미래 ―인간의미의 원천으로서 노동의 미래에 대한 신학적 전망

        이상은 ( Lee¸ Sangeun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20 神學과 宣敎 Vol.59 No.-

        본문은 기술혁명시대에 제기되고 있는 일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설명을 모색하고자 하고 있다. 본문은 첫째, ‘일’로부터의 방면이 본질적으로 목표가 될 수 있는 주제인가라는 질문을 제기하고자 한다. 둘째, ‘일’이 인간의 본질적 부분을 구성하는 주제이며, 변화된 환경 속에서도 이러한 주제에 대한 고찰이 주어져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한다. 셋째, 미래시대를 위해 바람직한 기독교 노동관을 구성하기 위한 단상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주제를 다루기 위해 본문은 특히 몰트만(J. Moltmann)과 볼프(M. Volf)가 전개했던 노동에 대한 단상을 중심으로 하는 신학적 대화를 전개해 나가고 있다. 본문은 기독교적 관점에서 노동은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에 대해 다루고 있다. 노동을 인간의 형벌로 보는 부정적 관점과 인간의 자기실현이라고 하는 차원에서 노동을 관찰하는 긍정적 관점 사이의 양가감정 사이에서 기독교적 노동관에 대해 고찰하고 있으며, 몰트만의 관점과 함께 역사적 고찰을 통해 이 문제를 다루고 있다. 본문은 또한 인간의 미래를 위해 노동개념 자체에 대한 고찰 속에 성서적, 신학적 노동관을 수립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하나님의 창조를 반영하는 것으로서의 노동, 산출과 안식을 포괄하는 관계적 개념으로서의 노동, 그리고 개인이 아니라 공동체를 지향하는 것으로서의 노동을 구현하면서 인간의 미래를 위한 노동개념을 구사해나가고자 하고 있다. 본래의 창조적 기쁨을 누리는 인간으로서의 호모 루덴스를 지향하는 노동개념을 생각하고자 하고 있으며, 인간상호간의 결핍과 보완을 통한 통전적 장을 지향하고자 하고 있다. This text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work and human being itself in the era of technological revolution. It raises at first a question whether it is proper to seek emancipation from the work, especially from a christian point of view. Second, it expresses the position that ‘work’ constitutes the essential part of human being and that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is subject, even in the changed environment. Third, it tries to provide a thought for constructing the concept for the Christian ethics of labour for the future age. In order to deal with this subject, this study is centering on the theological work of J. Moltmann and M. Volf. Based on it, this study examines how the Christian ethics could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labour, between the negative viewpoint of labor as a punishment for human being and the positive viewpoint of observing labor on the level of human self-achievement. Simultaneously, this text is also attempting to establish a biblical and theological work in consideration of the concept of labor itself for the future of mankind. It suggests that the concept of labour is to be understood in the light of God’s creation, and labour as a community-oriented performance. Furthermore, it considers the concept of homo ludens whether it could reflect on the concept of labour as creative joy and complement of human mutuality in the field of labour.

      • KCI등재

        과잉치 치수 세포와 치주인대 세포의 유전자 발현 비교

        이상은,김종빈,김종수,Lee, Sangeun,Kim, Jongbin,Kim, Jongsoo 대한소아치과학회 201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정량적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법을 이용하여 발거된 과잉치 치수 및 치주인대 줄기세포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하는 것이다. 전신병력이 없는 만 6세 남아 2명의 상악 전치부에 매복된 과잉치를 발거하였다. 같은 날 치수 및 치주인대 세포를 채취하였고, 3계대까지 계대배양하였다. 분석을 위해 상아질모세포 특이 유전자인 Alkaline phosphatase (ALP), Dentin Matrix Protein 1 (DMP-1), Dentin sialophosphoprotein (DSPP), Osteocalcin (OCN) 그리고 Osteonectin (ONT)을 사용했고, 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을 대조군으로 설정했다. 과잉치 치수 세포에서는 ONT, OCN, ALP, DMP-1, DSPP 순서로 발현량이 많았고, 치주인대 세포에서는 DMP-1과 DSPP의 순서만 바뀌었다. 치주인대 세포보다 치수 세포에서 모든 유전자의 발현량이 많았다. 이러한 상아질모세포의 특성을 고려해 보았을 때, 다른 조직으로의 분화 가능성이 있는 과잉치 줄기세포는 유용한 공여부로서 그 잠재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roperties of dental pulp and periodontal ligament stem cells from extracted supernumerary teeth by quantitative real-time PCR. Impacted supernumerary teeth in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were extracted. Dental pulp and periodontal ligament cells were collected from extracted supernumerary teeth on the same day. After isolation and culture of cells, compare characterization of them by using qRT-PCR. Primer sequences for odontoblasts are ONT, ALP, OCN, DMP-1 and DSPP. On dental pulp group, ONT has the largest quantity of gene expression, followed by OCN, ALP, DMP-1 and DSPP. On periodontal ligament group, ONT has the largest quantity of gene expression, followed by OCN, ALP, DSPP and DMP-1. Analysis of quantitative gene expression data using relative quantification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all genes decreased in periodontal ligament cells. Dental pulp and periodontal ligament stem cells from supernumerary teeth have the properties of odontoblasts. Considering that properties, supernumerary teeth were considered a useful donor site of dental pulp and periodontal ligament stem cells.

      • KCI등재

        동음이의어 점화자극의 상대적 빈도와 표기음운정보 일치성이 단어의 재인에 미치는 영향

        이상은(Lee, Sangeun),김태훈(Tae Hoon Kim),이윤형(Yoonhyoung Lee) 언어과학회 2016 언어과학연구 Vol.0 No.77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lative word frequency and the spelling-to-sound correspondence of heregoraphic homophone priming on the recognition of semanticallyrelated words. A cross-modal semantic paradigm has been applied, where homophone primes were presented auditorily and targets were presented visually. The difference in lexical decision latencies of the visual targets was calculated between semantically-related prime and semantically-unrelated prime to measure the size of facilitation. A facilitatory effect was shown only when the spelling corresponds to sound, and no such effect was observed for the relative word frequency condition.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an auditorily presented homophone activates all of its corresponding orthographic words and that the spelling-to-sound correspondence is more influential than the relative word frequency for homophone recognition.

      • KCI등재

        Curriculum Reform for the Development of Key Competencies in Korean Middle Schools

        Sangeun Lee(이상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2

        이 글의 목적은 국내 중학교에서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개혁 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의도된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핵심역량 개발을 위해 국가 교육과정 수준에서 설계된 국내 중학교 교육과정의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실행된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이와 같은 교육과정 개혁으로 인해 교실 수준에서 교사들이 겪는 변화와 도전과제는 무엇인가? 셋째, ‘경험된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학생들은 새로운 교육과정 변화와 자신들의 핵심역량 발달 정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가? 첫 번째와 두 번째 연구 문제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문서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고, 세 번째 연구 문제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최근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중학교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개혁은 먼저의도된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간학문적 접근의 확대, 학습량 감축,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 확 대 등의 특징을 보였다. 다음으로, 실행된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수업은 학생 참여형 활동이 강조되고, 평가는 학생들의 성장 과정에 초점을 둔 과정 평가와 수행 평가의 형태가 확대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교사들 간의 학습 공동체를 활성화하며, 나아가 교사들에게 학교 밖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요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은 실행 과정에서 업무량 증가, 관련 자료 부족 등과 관련하여 어려움과 불만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경험된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변화를 경험한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및 자신의 핵심역량 발달 정도에 관해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학생 및 학부모들의 학력 저하에 대한 우려도 공존하고 있었다. 결론 부분에서는 이러한 국내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변화가 ‘21세기 진보주의 교육의 부활’이라는 특징을 나타낸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The topic of “key competencies”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worldwide within the discourse on curriculum reform. Recently, in South Korea, a new form of curriculum for students’ development of key competencies throug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a new educational policy, “Free Semester Program” has been adop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cent trends of curriculum reform for students’ key competencies in Korean middle schools. To analyze them, the present study used the conceptual framework of curriculum expression, which distinguishes between the intended curriculum, the implemented curriculum, and the experienced curriculum. This study address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nded curriculum” designed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in Korean middle schools? (2) What are the changes and challenges faced by teachers in aspect of “implemented curriculum” intended to pursue key competencies? (3)What are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new curriculum and their development of key competencies in terms of “experienced curriculum?” To deal with this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document analysis and reanalyzed data from a survey questionnaire to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 KCI등재

        차이의 인정 속의 공존: 독일 개신교총회(EKD)의 정책에 반영되어 있는 이슬람 문제 연구

        이상은 ( Sangeun Lee ) 한국개혁신학회 2017 한국개혁신학 Vol.53 No.-

        기독교 교회가 이슬람 문화를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라는 문제가 점점 중요한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점점 더 거세지는 이슬람의 도전 속에 기독교는 사회 내적 종교로서 어떻게 갈등을 최소화하고 평화로운 만남을 이루어나갈 수 있을 것인가. 본문은 이러한 질문 앞에서 우리의 현실을 고찰하면서 기독교문화가 지배적인 다른 나라의 예를 살펴보며 반면교사를 삼아보고자 하는 시도를 담고 있다. 특히 본문은 미국 신학자들의 주장과 독일 개신교회의 입장을 비교하며 이 문제를 다루기 시작하고 있다. 볼프를 비롯한 미국의 신학자들은 미국의 국제정치적 구도가 기독교세계와 이슬람의 갈등을 불러왔다는 반성 하에 기독교와 이슬람의 화해를 추구하며 동질성을 강조하는 특성을 보여준다. 두 종교는 같은 신을 예배하는 같은 종교이며 이 기반 위에서 공적인 장에서 협력하며 평화를 추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미국이 취하고 있는 이러한 입장을 우리가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점은 의문스럽다. 그보다는 지난 50년 동안 사회적 공존 속에 이슬람 문제를 다루어왔던 독일의 예는 우리 교회의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2000년대 초반 이후 지속적으로 발간해 온 독일 개신교연합의 백서(Handreichung)들은 다양성 속의 일치라는 관점 하에서 이 문제를 다루어나가고 있다. 동일성을 추구하기보다 차이를 인정하는 가운데의 공존을 주장하며, 타협할 수 없는 기독교적 정체성에 대한 시각을 부각시키는 특성을 갖고 있다. 본문은 미국의 예보다는 독일의 예가 이슬람에 대한 우리 교회의 입장을 정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러한 비교를 수행하면서 본문은 앞으로 이슬람의 유입이 더욱 심화될 한국의 사회에서 교회가 어떠한 입장을 취하고 대비를 해야 하는가 하는 점을 숙고하고자 했다. 이들의 유입은 잠재적인 사회적 충돌의 문제를 안고 있고, 교회의 입장에서는 여러 면에서 이들의 폭증은 상당히 곤혹스러운 문제가 될 것이 분명하다. 결과적으로 과연 미국과 유럽의 예가 이슬람문제를 바라보는 한국교회를 위해 도움이 될 수 있을지 본문은 질문하고 있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question of how Christianity should cope with the rising of the Islamic power in the society. Regarding this question, it is easy to recognize that more people show growing interest in the dormant conflict between the two religions, especially in the western world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th century. Confronting the increasing influx of the Islamic wave, it is questioned how the Christianity could peacefully coexistence with Islam, diminishing the potential conflict.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stance of the theologians from the two important Christian regions: One is the stance of American theologians; another is that of the congregation of German protestant church named EKD. Supposedly, in an apologetic atmosphere due to the blame that US government`s foreign policy brought the conflict between Christianity and Islam, many American theologians such as M. Volf pursue reconciliation asserting that there exists great amount of homogeneity between Christian and Islamic cultures. They insist that the two religions have virtually the same foundation, worshipping the same God, and this common ground provides a foundation for mutual effort toward reconciliation.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we could accept this stance without further examination. Comparing to this, it would be helpful for us to look into the case of German church which has contributed to the social integration for more than 50 years.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th Century, EKD has been publishing white papers in order to deal with the issue of social integra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unity in the diversity`. They argue that, for coexistence, acceptance of differences is more important than attempt to find homogeneity. At the same time, they put emphasis on the value of their own tradition and uncompromisable identity of Christianity while recognizing their differences. To make its stance in a religiously plural situation as in Korea, the Korean church could learn from the stance of German church. Consequently, this paper considers how Korean Christian church should prepare and deal with increasing influx and power of Islam in Korean society which could lead to social conflict.

      • KCI등재

        한국의 주관적 위험분포와 재분배정책 지지도

        이상은 ( Lee Sangeun ),전세나 ( Jeon Sena ) 한국사회보장학회 2020 사회보장연구 Vol.36 No.3

        본 연구는 한국의 주관적 위험분포를 분석하고 재분배정책 지지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3년 한국종합사회조사의 위험사회 특별주제모듈 자료를 이용하여 커널밀도추정방법으로 주관적 위험분포의 모양을 그려보고 재분배정책 지지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발견하였다. 첫째,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위험의 수준이 상당히 높고 분포의 모양이 중간 및 중상 위험군에 다수의 사람들이 속하는 분포로서, 재분배정책 지지도가 높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험 종류들 간에 위험분포의 특성에 차이가 있었다. 노후불안과 주거불안이 가장 다수의 사람들이 심각하게 느끼고 있는 위험이었고, 이에 비해 가족해체는 상대적으로 덜 심각하게 인식하는 위험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관적 인식에 있어서 본인에게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보다는 전반적으로 한국 사회가 위험에 노출된 정도에 대해 보다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득/위험분위 집단들 간에 재분배 지지도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고 대체로 재분배 지지도가 높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한국사회의 경우 중간 및 중상 위험군에 다수의 사람이 분포하고 소득/위험분위들 간에 재분배지지도 차이가 크지 않아, 사회보장 특히 보편적 복지정책에 대한 지지가 상당히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ubjective risk distribution in South Korea and to examine its relation to the degree of support for redistribution policy. To this end, by employing data from the 2013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s special theme module for a research on risk society, this study uses Kernel Density Estimation to draw the shape of subjective risk distribu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degree of support for redistribution policy.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left-skewed distribution where there are a large number of people whose subjective risk awareness level is significantly high and thereby belong to high-risk group, in which people are likely to show a high degree of support for redistribution policy. Secondly,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nature of the risk distribution among the risk types. Aging anxiety and housing insecurity are the risks that most people felt serious about, whereas family dissolution is deemed relatively less critical. Thirdly, regarding subjective perception, it is found that Koreans more seriously perceive about the extent to which Korean society is exposed to risk in general than about the potential risks that happen to individual. Lastly, There were little consistent difference on support for the government’s redistribution policy among the income/risk groups. These results suggests that there could exist a strong support for the expansion of social security and especially the universal welfare in Korea.

      • KCI등재

        칼 바르트와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이상은 ( Sangeun Lee ) 한국개혁신학회 2016 한국개혁신학 Vol.50 No.-

        본 논문은 20세기의 신학자 칼 바르트의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수용과 해석에 대해 다루고 있다. 바르트는 16세기에 저술된 개혁교회의 신앙의 유산을 자신의 시대에 맞게 재해석하고 적용의 길을 찾고자 시도했다. 그러나 플라스거나 라이헬의 연구에 따르면 바르트는 처음부터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에 대해 호의적인 반응을 가지고 있던 것은 아니다. 초기에 바르트는 이 요리문답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있었으며, 거부감까지 가지고 있었다고 전해진다. 이는 그가 자유주의 신학의 시대를 거쳐 신학을 시작했던 까닭에 신앙고백의 전통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바르트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을 고백교회의 투쟁기에 중요한 신학적 기반으로 받아들였으며, 이를 통해 개혁교회의 살아있는 신학정신이 현재적 상황 속에도 충분한 해답을 제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자 했다. 이러한 바르트의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읽기는 그리스도 중심성의 신학적 정신 하에서 가능한 것이었고, 칭의의 신학적 기반 위에서 바르트는 자신있게 성도들의 신앙적 행동을 촉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바르트의 설명은 1947년에 행한 신앙고백강의 를 비롯해서 교회교의학 등 그의 신학 전반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이 신학작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면 개혁교회의 중요한 요리문답을 역사속의 한 전통으로만 두지 않고 살아있는 활력을 위해 재해석해내고자 시도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정치적 신학을 위한 도구로 해석해 낸 시도는 충분이 높은 평가를 받을만한 일이다. 이러한 노력은 신앙고백 전통을 대하는 오늘의 교회가 스스로의 길을 모색함에 있어서 귀감이 되고 있다. This thesis deals with Karl Barth’s Reception and Interpretaion of Heidelberg Catechism. As a theologian of 20th Century, Barth tries to reinterpret the meaning of the Catechism which was written in the 16th century, and it helps him to develope the theology of political engagement in the period of church struggle during the Nazi regime, for example in drafting of the Barmen Declaration (1934). However, according to G. Plasger or H. Reichel, who carried out historical study about Barth’s Reception of Heidelberg Catechism, his evaluation of the Catechism was not favorable in his early period, when he took lectures about the Confession of the Reformed tradition at Gottingen University. This attitude comes mainly from his former ignorance of the Reformed Confessions, for he could not experience them as a student of theology in the last period of liberal theology. Nevertheless, Barth rediscovered implications of the Catechism and he shows that the spirit of the Reformed Confession could still provide proper answers for the questions from the contemporary world. Especially, he interpreted this Catechism in connection with his Christo-centrical theology, as is to see in his lecture about the Catechism in Bonn (1947). This interpretation is to be evaluated positively, in that Barth revitalize the meaning of the Catechism, not burying it as a mere historical heritage. It is also to be evaluated that Barth developed it as the ethical foundation for the christian life. Dealing with the problem of sin and devil, he urges christians to make an ethical life of sanctification, based on his interpretation of the Catechism, including the political field. This interpretation provides the church with a paragon in overcoming the challenges from the contemporary world.

      • 한국 개인정보보호의 미래

        이상은(Lee Sangeun) 한국정보법학회 2015 한국정보법학회 정기세미나 발표자료 Vol.- No.25

        EU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규 구조 쉬렘스 판결과 그 영향 일본의 개인정보보호법 최근 개정 미국의 개인정보보호의 주요 원칙 한국 방통위가 발표한 개인정보보호 법제 개정의 방향 구글의 개인정보보호 원칙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