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경제의 역할과 과제

        안윤숙(An Yun Sook),김흥주(Kim Hung Ju) 한국지역사회학회 2019 지역사회연구 Vol.27 No.4

        최근 들어 한국의 복지환경이 크게 변화하면서 지역사회복지와 사회적경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유는 세가지다. 첫째, 사회적경제 조직은 국가와 시장이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들에 혁신적으로 대처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둘째, 지역의 일자리와 소득을 증대시켜 자원이 지역에서 선(善)순환하는 지역순환의 복지체제를 만들어간다. 셋째, 사회적경제 조직은 다중 이해관계자들의 협동과 호혜를 통해 지역사회에 필요한 사회서비스의 공공성(publicness)을 실천한다. 이 연구는 사회적경제 조직체 중에서 경제적 가치보다 ‘사회적’ 가치에 초점을 두고 활동하는 사례들을 검토하여 지역중심의 사회복지실천에 사회적경제가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사회적협동조합은 공익적 경제활동과 제도적 지원, 그리고 공동체 돌봄 활동을 통해 사회서비스의 공공성을 실현하고 있다. 이탈리아 사회적협동조합은 사회적 취약계층의 복지 증진과 지역사회의 보편적 이익을 확보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안산의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은 의료서비스만이 아니라 지역 주민들의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지역사회복지운동을 펼치고 있었다. 지역자활센터가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전환되면서, 자활사업 참여자의 역량이 강화되고, 탈(脫)빈곤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었다. 생협은 조합의 이익을 주민과 지역사회와 함께 공유하고자 하는 협동의 가치를 기반으로 사회적 돌봄을 실천하고 있었다. 울림두레생협은 주민의 참여와 사회적 자본을 바탕으로 지역이 중심이 되는 복지체계를 만들고 있었다. 한살림 생협은 조합원들을 효과적으로 조직화하여 지역의 사회적 약자를 위한 돌봄공동체를 만들고 있었다. 일본의 복지클럽 생협은 마을 중심의 커뮤니티 케어를 실시하고 있었다. 이런 성과에도 불구하고 지역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사회적경제가 주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실천과제가 남아 있었다. 무엇보다도 제도화를 위한 정치적 의지, 시민사회의 연대, 지역사회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였다. 사회적경제가 중심이 되는 지역사회복지는 주민의 참여로 시작되고, 연대와 파트너십으로 완성된다. 여기에 실질적인 지방분권, 신뢰와 호혜의 가치, 시민사회의 성숙, 살아있는 지역조직, 실천가의 적극적인 사회행동이 기반이 되어야 지속가능해진다. Recently, Korea’s welfare environment has changed dramatically, community welfare and social economy are receiving great attention There are three reasons. First,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have the characteristic of innovative coping with problems that the nation and market cannot solve. Second, by increasing social jobs and income in the region, creating a community welfare system in which local resources are positively circulated. Third, a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practice the publicness of social services that are necessary for the community through the cooperation and reciprocity of multiple stakeholders. The study examined cases of the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focused on ‘social’ value rather than economic value. This is to find out how useful the social economy is for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Social cooperatives realize the publicness of social services through public economic activities, institutional support, and community caring activities. Italy’s social cooperatives were playing a leading role in promoting the welfare of the socially vulnerable and securing the universal interests of the community. The medical welfare social cooperative in Ansan was carrying out a community welfare movement to maintain the healthy lives of local residents as well as medical services. As the local self-support center was transformed into a social cooperative, the capacity of participants in the self-sufficiency project was strengthened and the possibility of deserting poverty was increasing. The consumers’ life cooperative was practicing social care based on the value of cooperation that wanted to share the interests of the union with the residents and the community. The Ulim-Dureconsumers’ life cooperative was building a welfare system in which the region was centered,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social capital. The HanSalim consumers’ life cooperative was effectively organizing its members to create a caring community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in the region. Japan’s welfare club, the association, was conducting community care centered on villages. Despite these achievements, there were still some practical tasks for the social economy to be situated as a center of community welfare. For example, political will, solidarity of civil society, and strengthening of the local community are necessary.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which is supported by a social economy, begins with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is completed by solidarity and partnership of civil society. In addition, for the sustainable community welfare system based social economy, the real decentralization, the value of trust and reciprocity, the maturity of civic consciousness, the active social behavior in the community are necessary.

      • KCI등재

        지역재생사업 내 사회복지 거시실천 양상 이해를 위한 새뜰마을 민관협력형 주민돌봄사업 사례연구

        정소익(Soik Jung),김은혜(Eunhye Kim),김성미(Sungmi Kim) 한국지역사회학회 2021 지역사회연구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재생사업 현장에서 사회복지 거시실천이 추진되고 있는 양상과 그 맥락을 살펴봄으로써 지역재생사업에 필요한 사회복지실천의 방향성을 탐색해보는 것이다. 지역쇠퇴와 관련한 지역사회의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현안에 대응하기 위해 막대한 공공예산을 들여 계속되고 있는 지역재생사업의 대부분은 일회성 건설사업 중심으로 진행되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마중물이라는 사업 기본 취지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 원인과 향후 개선 방향을 사회복지 거시실천 관점에서 찾아보고자 안동, 전주, 진안, 평택의 새뜰마을 민관협력형 주민돌봄사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지금의 돌봄사업은 사회복지 거시실천 수준까지 나아가지 못하고 서비스 전달에 머물고 있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마중물이라는 사업 목적 달성에 유용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사회복지 거시실천 방법론을 정비하고 이를 적극 적용할 수 있도록 사업 체계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 거시실천이 지역재생사업과 개념적, 방법론적 맥을 같이 하고 있음을 보여주면서 상호 접목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더하여 지역재생사업의 구조적, 실천적 방향성을 재설정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social work practice necessary for local regeneration projects by examining the aspects and contexts of the social work macro practice in the work field. Most of the local regeneration projects, which are ongoing with huge public budgets to respond to the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issues of the local community related to regional decline, are mainly one-time construction project, so does not meet the basic purpose of the projects to be the priming water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is study, to find the cause and future improvement direc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work macro practice, a case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private-public partnership based human care projects of Saeddeul Village in Andong, Jeonju, Jinan, and Pyeongtaek. Implications drawn from the study are (1)the current projects do not advance to the level of macro practicing and remain in service delivery, so they are not useful in achieving the project purpose of priming sustainable development, (2)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social work macro practice methodology and re-establish the project system so that it can be actively applied in the future.

      • 지역사회복지사업 교회서비스의 수준과 관련요인 평가연구-대전지역 교회를 중심으로-

        임구원 ( Lim Koo-won )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구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 2016 地域社會開發硏究 Vol.41 No.1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사업 교회서비스수준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평가를 연구하므로써 지역별로 교단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대전지역교회 중심으로 실증분석한 사례논문이다. 특히 일반적 특성에 따라 교회지도자의 지역사회복지사업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지역별, 교단별로 인적·물적자원의 차이 등 그리고 지역사회복지사업 실시가 지역사회에 끼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지를 파악한 논문이다. 대전지역 5개구에 위치한 교회로 각 교단별로 200여 교회를 선정하였으며,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 중대형교회를 운영하는 지도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16년 2월부터 4월까지로 한정하였으며, 연구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분석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라 교회지도자의 지역사회복지사업에 대한 인식과 인적·물적자원 활동도 차이가 지역별, 교단별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지역사회복지사업 실시가 교회발전과 지역사회에 끼치는 영향이 긍정적으로 나타나 대부분 대전지역 교회중 장로교단과 유성구가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review the assessment of the level of church service for community welfare programs and the relevant factors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regions and orders, focusing on churches in Daejeon. It aimed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in church leaders` awareness of community welfare programs by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in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by regions and orders and determine if community welfare programs positively affected communities. About 200 churches were selected for each order in five districts of Daejeon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leaders of medium- and large-sized churches in Daejeon from February to April, 2016. Data were processed using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hurch leaders` awareness of community welfare programs by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in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by regions and orders; the community welfare program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churches and communities; and the order of presbyterianism and Yuseong-gu in Daejeon had significant effects.

      • KCI등재

        위기취약 대상자 발굴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지역사회 아웃리치 실천 기술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박미진(Park, Mi Jin),김진(Kim, Jin) 한국지역사회학회 2018 지역사회연구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들이 지역사회 아웃리치를 어떻게 경험하고 있고, 이를 위해 사용하는 실천기술들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지역사회 아웃리치 경험이 있는 지역사회 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심층면접을 통해 이루어졌고, 질적연구방법중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사회 아웃리치 실천과 기술에 대한 경험은 74개의 의미단위, 12개의 드러난 주제, 7개의 본질적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본질적 주제는 지역사회 아웃리치 개념, 필요성, 지역사회 아웃리치 장애요소, 지역사회 아웃리치 대상자, 지역사회 아웃리치 실천기술에 대한 개별적 접근 (클라이언트와 관계맺기, 동기부여하기), 조직적 접근(기관차원에서 정기적으로 하기, 기관정책 차원에서 체계마련하기), 지역적 접근(지역주민과 함께 하기, 지역사회 기관들과 함께 하기)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사들의 실천경험토대 지역사회 아웃리치 인식, 장애물, 기술 구조화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사들의 지역사회 아웃리치에 대한 개입과 실천방법에 대한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how social worker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use their community outreach skills. This study used Giorgi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o in-depth interview 15 social workers.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phenomenon of community outreach, as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is analysed. The interviews referenced 74 meaning units, 12 revelatory themes and seven core themes. Core themes identified four: community outreach concepts(meaning of community outreach, going to the clients), necessity of community outreach, clients’ type of community outreach, obstacles of community outreach. Community outreach practice skills fell into three themes: individual approach(relationships with clients centered, motivating clients), organizational approach(approaching with regulary, with a system at the agency level), and community aprroach(being with community citizens, being with commingy agencies).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some of the implications of community outreach practice for social worker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 KCI등재

        시·도 지역사회복지계획 발전 방안 모색을 위한 탐색적 연구

        유애정(Yoo, Ae-Jung),김동화(Kim, Dong-Hwa)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6

        최근 지역복지 활성화를 통한 지역주민들의 참여의식 제고와 복지체감도 향상, 복지향상을 위한 지역단위 기반 정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사회복지계획을 4년 단위로 수립·실천하고 있다. 시·군·구는 지역복지 추진의 주체가 되어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시·도는 시·군·구 단위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들을 중심으로 ‘지원자’ 적 역할을 수행해야 하지만, 현 시·도 단위 지역사회복지계획은 단순히 기초단위 지역사회복지계획 내용을 취합, 중앙정부로부터 시·군·구에 하양 전달되는 사업 중심으로 구성, 일부 전문가 및 관계자들에 의해 계획이 수립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도도부현 지역복지지원계획’의 추진사례를 분석하여 한국의 시·도 단위 지역사회복지계획의 발전을 위해 첫째, 지역사회복지계획의 개념 확립 및 시·도 역할의 명확화 필요, 둘째, 시?도 단위 지역사회복지계획의 방향성 전환 검토, 셋째, 지역주민 참여 활성화 및 사회복지위원회 기능 강화 등의 구체적인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Recently, interest in improvement of participating intention of local residents, in enhancement of welfare feeling thermometer and in local infra arrangement have been increased through local welfare activation, and practice local welfare plan every 4 years from this perspective. Although City?Gun?Gu should act as the subject of local welfare performance, City and Do (Province) should perform supportive roles for difficult tasks that City ?Gun?Gu cannot tackle, current City and Do local welfare plan is configured with the projects that are collected from local welfare plan of local communities and delivered to City?gun from central government. The plan of local welfare is established by some experts and related people.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followings were proposed based on best practices ‘Municipal Government Welfare Support Plan in Japan’; first, it is needed to establish concept of local welfare plan and to clarify the roles of city and Do. Second, it is needed to consider changing direction of local welfare plan of City and Do. Third, it is needed to establish City?Do local welfare plan from mid to long term perspectives, to activate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nd to enforce function of social welfare committee.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 교육의 정체성과 개선방안 연구

        이재완(Lee, Jae-Wa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8

        본 연구는 현재 지역사회복지교육의 정체성과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지역사회복지교육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외국의 동향과 지역사회복지실천현장의 진단과 요구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에서 제시한 지역사회복지론 교과목지침서의 교과목 내용에 대하여 지역사회복지실천현장의 사회복지사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현장 실무자를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지역사회복지교육의 정체성 확립과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지역사회복지개념과 범위의 확장, 한국적인 이론 및 실천기술의 개발, 실천현장에 맞는 사례중심의 교육실시, 지역사회의 이해를 높이는 교육 강화, 그리고 사회복지현장실습과 연계된 교육, 지역의 변화와 문제해결을 위한 현장중심의 교육, 사회정의 및 사회구조적 모순의 해결을 위한 실천기술(방법) 강화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identity, and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community social welfare education in the Korean universities. For this, it examined the trend of its curriculum, let alone the cases of foreign universities and the needs arising from the community welfare practice field in Korea. In specific term, the article employed the methods of survey and FGI, based on the curriculum guideline suggested by Korea Association of Social Welfare Education, to define the contents of community welfare education which are required to be included in the future. The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define the identity, and to set up the future direction, of community welfare education in Korea, the followings are required:First, the definition of community social welfare needs to be expanded to include the areas which have been traditionally regarded as not relevant. The second is to develop the theories and the skills which are based on the Korean circumstance, as well as a case-based educating. In particular, the second are required to reflect such needs of the community welfare field as the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community itself, the establishing the linkage between schooling and practice field, and the defining the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in changing community surroundings. Finally, this article suggest to explore the methods or practical skills which could address the issues of social justice and socio-structural problems.

      • KCI등재

        지역복지 네트워크 모델 비교

        최균(Choi, Gyun),장영신(Jang, Young-Shi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5

        본 연구에서는 지역복지 네트워크 이론인 사회교환이론, 상호조직이론, 사회자본이론을 중심으로 평택시 사회복지협의회와 남양주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분석하고, 지역복지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를 하였다. 이를 위해 평택시 사회복지협의회와 남양주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지역복지 네트워크 모델을 비교했다. 분석결과에 의한 지역복지 네트워크 모델은 평택시 사회복지협의회의 경우, 상호조직이론과 사회자본이론을 중심으로 활용한 지역복지 네트워크 모델이고, 남양주시 지역복지협의체는 사회교환이론을 중심으로 활용한 지역복지 네트워크 모델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복지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으로 시 군 구사회복지협의회와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기능 강화, 시군 구사회복지협의회 확대설치,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조직운영 강화 등을 제언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with community welfare network models and to suggest what is the best way to activate community welfare network. This study made analysis and comparison of roles and functions between Pyeongtaek Council of Social Welfare(PCSW) and Namyangju Community Welfare Council(NCWC) based on social exchange theory, interaction organization theory, social capital theory. As a result, PCSW"s medel was found that had more elements of interaction organization theory and social capital theory, NCWC" model had more elements of social exchange theory.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community welfare network that empowerment of Local Council of Social Welfare and Community Welfare Council, establishment of Local Council of Social Welfare, and reinforcement of ability of organizational operation at Community Welfare Council should be performed successfully.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 교육의 현황과 개선방향

        최현숙(Choi, Hyeon-suk),최경인(Choi, Kyeong-i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0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 교육의 정체성과 방향을 찾기 위하여 지역사회복지 교육의 표준화 과정을 검토 분석하고, 지역사회복지론 교과목 지침서(2010)의 내용을 분석틀에 근거하여 교육과정(목표, 교재, 내용, 방법) 현황과 지역사회복지 교육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에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에 가입한 75개 대학/개인회원 중 지역사회복지론 담당교수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이메일)를 실시하였으며, 분석대상은 25명이다. 조사결과, 지역사회복지 교육의 개선을 위한 제언으로 현장과 밀착된 교육과 더불어 지역사회복지 실습 강화, 한국적 지역사회복지 실천모형의 연구 보완, 실천방법/기술 교육의 강화, 새로운 분야 포괄, 지역사회복지론 교수방법을 위한 연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andardization Process of CWE(Community Welfare Education) and present that current situation of a curriculum and improvement direction on analysis form of subject guide(2010). Survey was carried out by Delphi method to charge professors of community welfare subject among 75 university/individual members who are joined in Korean Council on Social Welfare Educa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Strengthening practice and education that weld in first-hand field, Supplement study for Korean practical model, Solidify education about practice method/technology, Including new boundary, Necessity of study for instructional method based on the survey result.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 역할 제고를 위한 사회적기업의 과제

        이현주(Lee, Hyun-Ju),조성숙(Cho, Sung-Sook)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2

        본 연구는 현행 사회적기업의 역할을 지역사회복지 맥락에서 조명하고, 사회적기업의 지역사회복지 역할을 제고하기 위한 과제를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의 출현배경, 개념정의 및 특성을 살펴본다. 둘째, 각종 자료에 근거하여 지역사회복지 차원에서 현행 사회적기업의 역할을 조명한다. 셋째, 지역사회복지 역할을 제고하기 위한 사회적기업의 문제점과 과제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기업의 지역사회복지 역할 극대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언하며 결론을 맺는다. 지역사회 수준에서 사회적기업의 필요성과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사회적기업의 역할을 지역사회복지 차원에서 조명한 연구가 전무한 현시점에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 향상을 위한 사회적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spotlight the roles of the present social enterprises in the context of community welfare and further seek for the tasks of the social enterprises for maximizing the roles of community welfare.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examines the emergence background,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enterprises. Second, it casts light upon the roles of the present social enterprises based on the various kinds of the relevant data. Third, it grasps their problems and tasks focusing on the roles of community welfare. Lastly, it concludes with several specific suggestions to maximize the roles of community welfar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esent the new possibilities of the social enterprises to improve community welfare, at this point in time when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social enterprises increase at the community level, but there is no research to explore their roles in terms of community welfare.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 문헌에 나타난 이론의 경향과 향후과제

        조성숙(Cho, Sung-Sook)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1

        본 연구는 최근 지역사회복지 문헌에 나타난 이론들을 새롭게 조망하여 지역사회복지 이론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지역사회복지의 학문적 정체성 및 이론적 체계의 확립을 위한 과제를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최근 약 10년간 한국과 미국에서 출간된 지역사회복지 문헌을 편의표집하여 문헌에 나타난 지역사회복지 이론의 경향을 파악하였고, 주요 이론들을 상호작용 범위에 따라 재분류하였다. 나아가 지역사회복지 문헌에 나타난 이론들의 한계점을 제시하였고, 지역사회복지의 전문성 향상 및 발전을 위한 향후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raw limitations of community welfare theories by newly examining theories appeared in the recent community welfare literatures and further seek for future tasks toward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and theoretical systems of community welfare. To achieve these purposes, this study explored the recent trends of community welfare theories based on the community welfare literatures published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pproximately the last ten years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nd further reclassified these main theories according to the scale of interaction. Finally, this study concluded by presenting the limitations of community welfare theories appeared in the literatures and the future tasks for development of community welf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