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K대학 예비중등교사의 다문화교육경험과 다문화교육역량의 관계에 대한 진로결정수준의 상호작용효과
김선화,현영섭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18 중등교육연구 Vol.66 No.4
다문화배경학생의 증가는 중등교사에게 다문화교육역량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함께 예비중등교사를 대상으로도 다문화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정규과목 운영, 비형식교육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교육이 실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중등교사의 다문화교육경험이 다문화교육역량에 주는 영향과 이 영향에 대한 진로결정수준의 상호작용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K대학에서 교직 수강생과 사범대 학부생이다. 분석을 위하여 조사대상자에게 다문화교육경험 횟수(GTU사업 관련/비관련, 수업/세미나/체험형태), 다문화교육역량, 진로결정수준을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조사자료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중등교사의 다문화교육경험 총 횟수와 다문화교육역량의 정적 관계는 진로결정수준에 의해 조절되었다. 둘째, GTU사업 관련/비관련 다문화교육경험 횟수는 다문화교육역량에 정적 영향을 주었고, 진로결정수준에 의한 상호작용효과는 발생하지 않았다. 셋째, 수업형태와 체험형태의 다문화교육경험 횟수는 다문화교육역량에 정적 영향을 주었고 진로결정수준에 의해 조절되었다. 그러나 세미나형태 다문화교육경험 횟수는 다문화교육역량에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상호작용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학교의 교육과정 재구성과 수업 실행의 변화: 교원양성기관의 부설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김수영,강남희,하헌수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3 중등교육연구 Vol.71 No.4
본 연구는 IB 학교 교사가 실천하는 교육과정 재구성과 수업 실행의 변화를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IB 교육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IB 교육과정의 지향점과 특징, IB MYP Unit Plan(템플릿의 구조)을 분석하였고 이러한 구조와 지향점을 백워드 설계와의 연계성 속에서 밝혔다. 그리고 중등교사양성기관인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IB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안을 사례를 통해 수업과 평가상의 실행 변화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구성주의 관점에서 백워드 설계와 IB 교육과정의 탐구 사이클의 공통적 지향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례 분석을 통해 IB MYP 수업 실행의 변화를 수업과 평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탐구중심 수업, 학습자 주도성의 강화, 현행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IB 평가 목표의 연결, 교육과정 혁신가의 관점에서 설계, 일반화와 전이 가능한 학습 실행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IB 교육과정의 공교육 도입 사례를 통해, 향후 IB 학교 단계별 지원 강화, 이해를 통한 전이를 추구하는 IBEC 프로그램을 통한 IB 교사 교육 강화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nges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implementation of IB school teachers and to propose implica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IB education based on this. Literature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IB curriculum and the IB MYP Unit Plan (structure of the template) were analyzed, and these structures and directions were linked to the Backward Design. In addition, focusing on the case of schools affiliated with KNU's Teachers College, the reconstruction plan of the IB Curriculum was analyzed through the cas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ommon direction of the backward design and the inquiry cycle of the IB Curriculum was confirm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In addition, through case analysis, changes in IB MYP instructional implementation were examined in terms of class and evaluation. It emphasized inquiry-oriented classes, strengthening learner initiative, linking current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with IB evaluation goals, and designing, generalizing, and transferable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curriculum innovators. Therefore, through the case of the introduction of the IB curriculum into public education, we have presented the implications of strengthening support at each level of the IB school in the future, and strengthening IB teacher education through the IBEC program, which seeks transfer through understanding.
학교 교육행정서비스와 대학생의 인성 및 학교생활만족 간의 영향관계
김익형,김창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19 중등교육연구 Vol.67 No.3
본 연구는 대학교육수요자의 감소와 교육시장의 개방, 대학환경의 변화 속에서 대학의 생존전략을 위한 대학 교육행정서비스 질을 어떻게 제고할 것인가를 모색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교육행정서비스, 학생들의 교육행정서비스만족과 학교생활만족, 인성에 대한이론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대학교육행정서비스 대상인 강원도, 경상북도, 충청북도의 4년제 대학 4개소와 전문대학 4개소 총 8개 대학의 대학생 10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대학 교육 행정 서비스와 인성의 영향력이 부분적으로나타났다. 둘째, 이 연구는 인성과 학교생활에서 대학생들의 만족감 사이의영향력이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는 대학 교육 행정 서비스와 학교생활에서 대학생들의 만족도 간에 영향력이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지원 선호도가 떨어지는 지방대학, 또는 지역적, 환경적여건으로 신입생 확보가 더욱 어려운 실정이 곧 신입생 감소와 학교재정 감소로 이어지고 이는 대학의 부실화를 불러올 수 있다. 이에 대학은 학생들에게 학교생활에 만족하고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질 높은 교육행정서비스와 인성교육을 강화해야 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IBEC 인증 기준을 통한 교사양성대학의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구: 경북대 IBEC 사례를 중심으로
김수영,강현석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4 중등교육연구 Vol.72 No.3
현행 초・중등 교육과정에서 IB 교육의 적용, 교육과정 개발, 교수-학습, 평가, 지원 사항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변화들이 논의됨에 따라 교사양성대학의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필요성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BEC(IB Educator Certificates) 인증 기준 분석을 통해 교사양성대학의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로 교사 교육을 위한 IB 교육에 대한 인증 과정 분석, 교사양성 교육과정 개선 방안 제안에 초점을 두었으며, 연구방법으로는 문헌분석, 대학 IBEC 사례조사와 셀프 내러티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IBEC 인증 과정에서 코스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의 관점에서 IB 교육에 대한 전문성과 IBEN 교사의 협력을 통한 교육과정 개발의 요구, 학습 공동체 관점에서 유연한 협업, 대학원 중심의 행정 시스템 구축, 지역 교육청과 협력 체제 구축을 개선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이제 교사양성대학의 교육과정은 추가적으로 IBEC 기관 인증을 통해 IB 교사들을 포함하여 예비 교사들의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강현석,박소영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3 중등교육연구 Vol.7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육의 실천 영역에서 교육학 연구의 성과와 과제를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의 논의 원칙은 세 가지로 삼았다. 첫째, 역사성이다. 둘째, 양적 데이터로 파악되는 객관성이다. 셋째, 질적 조망성이다. 역사성을 준수하기 위해서 한국교육학회,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발간한 단행본과 국가 교육과정 문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 및 교육학 연구의 변화 흐름을 살펴보았다.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토픽 모델링의 기법을 활용하여 학술지 논문의 자료를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등교육에 관한 연구의 주제들은 특수교육에서의 학습자 맞춤형 교육, 중등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교사 역량 강화, 교육 혁신 과제 분석, 학습경험 및 교육방법 연구, 교육 현장의 이해와 발전으로 분석되었다. 질적 측면을 보강하기 위하여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잠재적 차원들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relationships affecting the in-class math attitude of middle school third graders in Gyoung-gi provinc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More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how structural relationships could vary according to school educational environments. SEM analysis indicated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latent means of student-centered math class between the two groups. Moreover, a comparison of path coefficients between the two groups found the impact of pupils’ second grade in-class math attitude on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at innovation schools was smaller than that at regular schools, and third graders’ in-class math attitude at innovation schools was higher than that at regular schools. Besides, these findings,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impact of student-centered math classes on math self-efficacy was higher at innovation schools.
예비중등교사의 교육현장실습을 통한 학습전이에 영향을 주는 변수 : 학습자 특성, 교육과정 특성, 상황적 특성, 학습을 중심으로
현영섭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0 중등교육연구 Vol.68 No.1
예비중등교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교육현장실습은 ‘필수적’이지만, ‘형식적’이라는 비판도 적지 않았다. ‘형식적’이라는 비판은 교육현장실습이 현장성 높은 지식 획득과 활용이라는 목적을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현장실습을 통하여 학습한 것을 활용하는 학습전이에 예비중등교사의 교육현장실습 후 학습자 특성(자기효능감, 학습동기), 교육과정 특성(동일구성요소, 자극변산성), 상황적 특성(교육현장실습 교사의 지원, 동료예비중등교사의 지원), 학습이 주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현장실습에 참가한 대구의 예비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427부의 설문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현장실습교사의 지원과 동료예비중등교사의 지원은 학습과 학습전이의도에 직‧간접 영향을 가장 강하게 주는 변수였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도 예비중등교사의 학습과 학습전이의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수였다. 셋째, 교육과정 특성 중 동일구성요소는 학습과 학습전이의도에 직‧간접 영향을 준 반면, 학습전이에 대한 자극변산성의 경로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임지룡,김영순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1
이 연구는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학교 미디어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중등학교 미디어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법론을 제시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미디어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미디어교육 개념의 변화에 대해 조사하고, 학교 미디어 교육으로서 특히 중등 국어과의 미디어교육적 요소를 검토하게 된다. 나아가 현행 국어과에서 적용되는 미디어교육의 방법론을 개괄하고 문제점을 도출하게 된다. 아직까지 미디어교육이 ‘미디어를 통한 교육’ 즉 미디어를 통해 특정 교육 요소를 이해시키는데 활용하는 도구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런 점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미디어에 대한 교육’이 중점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교육적 대안을 마련하게 된다. 그것이 바로 문화기호학적 교수학습방법론이다. 일찍이 기호학은 구조주의를 바탕으로 한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교육적 영역에 도입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그레마스에 의해 시도되었던 행동자 모형과 내러티브 분석 기법을 중등학교 미디어교육에 도입한다. 이 문화기호학적 방법론은 멀티 리더러시를 가능케 하는 데, 이는 미디어 수용자 혹은 잠재적인 미디어 학습자가 특정 미디어 텍스트를 통해 문화적 차원의 의미 해석에 기여한다. 뿐만 아니라 수용자나 학습자가 처한 사회문화적 콘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성찰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e research explores acceptance of media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concept of media education extends to teach communication skills as 'new language'. Using internet is not only the technology but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For the new generation, media education value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like the constructivism paradigm. Media education have to be get through via the idea of literacy. For going forward expansion of communication ability, the purpose and contents of media education need to be re-established. Results of this article were as follow: First, the idea of media education was reflected on the 7th Korean curriculum. And some Korean teachers group developed series of textbooks for media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Second, the teaching methodologies based cultural semiotics, multi-literacy methodology and narrative scheme methodology play an important role for secondary Korean class.
김문기,김창혜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3 중등교육연구 Vol.51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how to educate creating a Sijo by using the Web that fits the education paradigm at the age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the 21C knowledge and information age,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and utilize creatively what we need among a huge amoun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Web-Based instruction, which can improve the meaningfulness of learning using several advantages of web, is consider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educational methods as well. Being linked with the needs of the times, the necessity of creating education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has been under discussion. When creating Sijo, it is necessary to discover and educate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creating Sijo. Principles of creating Sijo investigates the preceding research regarding the form structure and the meaning structure of Sijo and propose patterns of the form structure and the meaning structure of Sijo. And it investigated the existing model of Sijo creating education, it applies the principal of creating Sijo to the Genre -Centered Composition Teaching and it proposed the new model of Sijo creating education. When embodying this from web to, in advance maked story -board and embodied from web with this. Web site divide into three branch according to character of the menu : process of creation Sijo of principal studying contents, web resources, communication tool. Web-Based Sijo creative writing education did to be possible Sijo creation ability extension and appreciation ability improvement, affirmative internalization of Sijo genre because of strong point of Web.
학교 간 연계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G교육청 교육과정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
김은선,김병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18 중등교육연구 Vol.66 No.4
본 연구는 ‘교육과정 클러스터’ 운영과정의 흐름을 살펴보고 그 속에 드러나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은 무엇인지 밝히기 위한 질적 사례 연구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교육청 교육과정 클러스터 운영교를 사례 학교로 선정하여 2017년 9월부터 12월, 2018년 5월부터 6월까지 담당교사와 학생을 심층면담하고 관련 자료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클러스터’는 지역적으로 접근 가능한 학교들이 정규 및 개설 교육과정 교과 프로그램을 상호 공유하고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흥미와 적성, 진로와 연계한 교육과정 선택권을 보장하는 학교 간 공동 교육과정 운영 방식을 말한다. 교육과정 클러스터의 운영 과정 흐름을 관찰한 결과 ‘1단계(2-4월) 우왕좌왕 낯선 수업’, ‘2단계(4월말-6월) 선택받은 학생들의 초기 적응기’, ‘3단계(6-7월) 학교와 병행하는 혼란과 갈등’, ‘4단계(7-8월 여름방학) 홀가분한 정체기’, ‘5단계(9-10월) 자신의 진로와 연결하는 의미 찾기’, ‘6단계(11-12월초) 성과(결과)에 대한 부담’, ‘7단계(-12월 말) 그래도 건졌다’로 운영 과정을 구분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로부터 얻은 시사점을 통해 교육과정 클러스터의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2021~2022년 언론 보도 분석을 통한 정권의 변화와 고교학점제 담론 양상
지미영,강주현,김수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3 중등교육연구 Vol.71 No.1
권이 바뀜에 따른 각 교육 계층의 이슈와 교육적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고교학점제와 관련된 언론 보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페어클로가 제시한 비판적 담론 분석의 틀을 활용하여 언론보도에 나타난 고교학점제의 주요 내용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에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빅카인즈 사이트를 이용하여 대표진보언론인 <한겨례신문>과 대표보수언론인 <조선일보>, 4개 대표방송사 <MBC, KBS, SBS, YTN>를 대상으로 고교학점제 언론보도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2021년 7월~12월과 2022년7월~12월로 조건을 두었다. 그 연구 결과로 첫째, 2021년과 2022년로 변화되며 나타난 교육계 사회적 이슈는 코로나19로부터의 정상 수업, 국가 정권의 변화와 보수 교육감의 높아진 비중으로 인한 고교학점제 운영에 관한 것이었다. 이 중 성취도 평가과 절대평가에 대한 논란이 큰 흐름의 중심에 있었다. 둘째, 정권이 바뀌면서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특히 초등학교에서부터 중학교, 고등학교에 거쳐 진로의 연계성이 강조되었다. 셋째, 2021년과 2022년의 각 교육부와 교육청의 입장에서 고교학점제의 시행은 그대로 실시될 것으로 보였다. 넷째, 언론에서는 대중에게 고교학점제에 대한 내용, 진행과정, 비판적 내용, 긍정적인 내용을 모두 소개하고 있었다. 이 연구로 언론이 국민들에게 국가교육정책 알림 역할을 함과 그 내용으로 정권 변화에 따른 교육과정 변화를 동시에 살펴볼 수 있었다. 하지만 공급자 위주의 보도가 이루어질 뿐 학습자 중심에 선 보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