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관광지태도와 방문의도에 미치는 PPL효과 : TV 프로그램 유형을 중심으로

        홍윤선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정말 텔레비전 프로그램속의 관광지에 대한 간접광고(PPL)가 시청자들의 동기를 부여시키는 효과가 있는지, 또한 시청자들의 텔레비전 이용량과 선호장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PPL에 대한 인식과 태도, 정보탐색의사, 방문의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서울시에 거주하는 자를 대상으로 총 350명을 설문 조사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회귀분석,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등 다양한 방법이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지PPL태도는 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TV 프로그램 유형별로 간접광고(PPL)로 등장하는 관광지PPL태도 중에 선호도와 몰입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TV 프로그램 유형별로 방문의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성별, 연령, 학력, TV 시청시간에 따른 관광지PPL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추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선호도, 몰입도, 인지도, 방문의도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태도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된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는 추후에 관광지PPL태도의 중요한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다. 둘째, 실증분석을 통해서 TV프로그램 유형별로 관광지 방문의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이 나타남에 따라 광고주들과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광고상품의 특성에 맞는 관광지 간접광고를 실시할 TV 프로그램 유형을 인식하도록 하고 다양한 마케팅 전략과 방향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사료 된다.

      • Edvard Grieg violin sonata No.2 in G major Op.13의 연구 및 분석

        홍윤선 이화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노르웨이의 대표 작곡가인 에드바르드 그리그(Edvard Hagerup Grieg, 1843-1907)의 바이올린 소나타『Violin Sonata No.2 Op.13』를 다룬다. 오랜 세월동안 덴마크와 스웨덴의 지배로 민족의식이 고갈되어 있던 노르웨이 작곡가들은 낭만주의 음악의 한계를 극복하고 자국민의 의식이 묻어난 음악을 하길 원했다. 그 결과 그들의 작품세계는 민족주의 사조가 주를 이루었고, 이를 가장 잘 표현한 작곡가로 19세기 노르웨이의 대표적인 민족음악가인 그리그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그의『Violin Sonata No.2 Op.13』은 1867년 크리스티아나에서 작곡한 세 곡의 바이올린 소나타 중 두 번째 작품으로, 민속적 색채가 강하게 드러나 있는 대표적 작품 중 하나다. 곡은 총 3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악장은 소나타 형식으로 서주에서 카덴차로 시작되며, 2악장은 A-B-A’의 3부 형식으로 선율흐름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기 다른 네 개의 주제가 등장한다. 3악장은 7부 론도 형식으로, 반음계적 선율로 진행되며, 감 7화음의 대비되는 화성진행이 특징이다. 본 논문에서는 『Violin Sonata No.2 Op.13』에 나타난 그의 작품 세계를 그리그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에 따라 알아보고, 작품에서 표현된 민속적 색채와 화성, 리듬을 파악한다. 또한 악장별 분석을 통해 작곡자의 의도를 심도 있게 해석하여 이를 연주에 반영할 수 있도록 돕는다. This thesis deals with Edvard Hagerup Grieg (1843-1907), one of the representative Norwegian composers, and his <Violin Sonata No.2 Op.13>. The domination by Denmark and Sweden exhausted the national consciousness of Norwegian people. After that period, many of Norwegian composers wan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Romanticism and to compose works that contain the consciousness of their nationals. As a result, the trend of their works became nationalism, which Grieg expressed best – he is referred to as a representative national musician of Norway in the 19th century. Grieg’s <Violin Sonata No.2 Op.13> is the second one of three violin sonatas that he composed in Christiana in 1867, which is one of the exemplary works that illustrate the color of folklore of Norway. This work comprises three movements in total: in sonata form, the first movement starts with a cadenza in an introduction; the second one has three parts as ‘A-B-A’ and progresses with melodical stream, and each of four different themes turn out; the last movement, the third one, is in rondo form and progresses with chromatic melodies, whose diminished seventh chord is characteristic. The thesis analyzes the world of Grieg’s works, following his life and time period, and reveals the ethnic color, chord and rhythm out of the work. Furthermore, analyzing by movements and interpreting the intention of the composer, it tries to help players apply these when they play.

      • 대구 경북지역에 있어서 지역별 초등학생의 물에 대한 이해.인식 및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홍윤선 대구교육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대구․경북 지역에 있어서 지역별 초등학생들의 물에 대한 이해․인식 및 사용실태를 조사하여 물 부족을 극복하는 물 절약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물 관련 조사용 설문지를 제작하였고, 설문지의 내용은 물에 대한 이해를 알아보기 위한 9문항, 물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6문항 그리고 생활에서 물 사용 실태 관련 10문항, 총 2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Window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등의 기술 통계와 성별, 거주지역에 따른 물에 대한 일반적 사항, 물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생활에서 물 사용 실태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과 χ2통계량을 이용한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에 대한 이해’에서는 성별에 따른 이해는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고 .대도시와 중소도시에 위치한 학생들이 농촌에 거주하는 학생들보다 물 부족 국가라는 인식이 더 높았다. 또 물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분야와 이용률의 이해도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물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서는 우리 몸의 수분 함량과 물을 섭취하지 않고 생존할 수 있는 기간, 생명의 손실을 입히는 물의 양에 대한 이해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았고 물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대부분 잘 이해하였다. 셋째, ‘생활에서 물 사용 실태’에서는 수돗물, 샤워기의 절약 기구 사용 가구가 약 30% 밖에 되지 않았다. 또 샤워 물 절약 기구와 세탁 헹굼물 재사용, 샴푸와 린스 적게 사용하기 등은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 예비 교사의 SW교육 교수효능감과 AI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 SW에듀톤 참가자를 중심으로

        홍윤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예비 교사의 SW교육 교수효능감과 AI교육에 대한 인식에 관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2020년도 SW에듀톤에 참가한 교육대학교 학생(이하 교대생)과 사범대학교 학생(이하 사대생)으로, 이들에게 온라인 설문조사를 예선캠프와 부트캠프에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각각의 캠프에 참가한 예비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여 추후 양질의 SW에듀톤 운영에 도움이 되도록 제언을 하고자 한다. SW에듀톤은 예비 교사가 참여하는 SW교육 수업설계대회로 예비 교사의 SW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창의적 역량을 제고하고, 창의적인 SW교육 학습 지도안을 발굴하고 확산하며, 추후 학교 현장에서 멘토 교사들과 지속적으로 네트워킹하며 SW교육을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끔 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SW교육 교수효능감은 SW교육 학습자의 학습에 교사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는 교사 자신의 능력에 대한 기대나 믿음이며, 이를 측정하기 위해 이소율, 이영준이 개발한 SE-TEBI 문항을 예비 교사의 상황에 맞게 개정하여 적용하였다. SW에듀톤 예선캠프에 참가한 예비 교사들은 모두 높은 수준의 SW교육 교수효능감을 보였으며 특히 남성의 경우 여성에 비해 개인 효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대생의 경우 교대생보다 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는데, 전공별 SW교육 교수효능감을 분석하였을 때 컴퓨터교육 전공생이 그 외 과목의 전공생들보다 SW교육 교수효능감이 높았는데, 이는 전원 컴퓨터교육을 전공한 사대생들의 특성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라고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부트캠프 참가자의 경우 예선캠프 참가자에 비하여 SW교육 교수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예선캠프와 마찬가지로 남성이 여성보다, 사대생이 교대생보다, 컴퓨터교육 전공자가 비전공자보다 더 높은 교수효능감을 보였다. AI교육은 국가 수준의 교육 목표상 초등은 놀이·체험, 중등은 실습, 고등학교는 알고리즘 적용 중심의 AI교육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AI의 이해, AI의 원리와 활용, AI의 사회적 영향을 주축으로 삼아 교육 내용 요소가 정립되어 있다. AI교육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고자 류미영, 한선관이 개발한 문항을 활용하였으며, SE-TEBI와 마찬가지로 SW에듀톤의 실정에 맞게 문항을 일부 수정하였다. SW에듀톤 예선캠프에 참가한 예비 교사들은 AI와 데이터 기술에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AI교육이 필요하다는 데에도 높은 수준의 동의를 보였다. 한편, AI가 초등 교사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는 명제에는 부정적으로 응답한 예비 교사가 더 많았다. 남성이 여성보다 AI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AI의 긍정적인 영향을 상대적으로 더 높게 사고, 더 나아가 초등 교사의 역할도 AI에 대체될 수 있다고 믿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전공별 분석에서도 두드러지는데, 컴퓨터교육을 전공한 예비 교사들이 AI와 데이터 기술에 더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AI가 사회에 이로운 점을 불러올 것이라는 데 더욱 동의하고, 학교에서 AI를 가르쳐야 할 필요성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AI교육에 대한 인식에 있어 SW에듀톤 대회 참가 경험과 대학 입학 전 SW교육 경험이 변인으로 작용하였다. 부트캠프 참가자들은 예선캠프 참가자들보다 AI와 데이터 기술에 더 많은 관심을 보였으며, 이를 배우고 싶다는 의견을 강하게 내비쳤다. 예선캠프에서는 대학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보이지는 않았지만 부트캠프에서는 사대생이 교대생보다 AI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인다는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는 매해 개최되는 SW에듀톤 중 딱 한 해에 시행된 설문이고, 온라인으로 응답을 받았기에 설문에 응하지 않았다는 참가자들도 있어서 상관관계 또는 인과관계를 정확히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별된 학생들인 부트캠프 참가자들이 예선캠프 참가자들에 비해 SW교육 교수효능감이 높고, AI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며 AI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추후 개최될 SW에듀톤이 이러한 참가자들의 특성을 고려하고 수요를 반영하여 개최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about preliminary teachers’ SW education teaching efficacy and perception of AI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tudents from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nd students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who participated in the 2020 SW Edu-thon. I analyzed the teaching efficacy and perception in order to make suggestions for high-quality SW Edu-thon in the future. SW Edu-thon is the SW education design contest of preliminary teachers. SW education teaching efficacy is the teacher's expectations or beliefs about the teacher's own ability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ing of SW education learners. All of the SW Edu-thon preliminary camp participants showed high level of SW education teaching efficacy. Men's individual efficacy was higher than that of women's. In the case of college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 teaching efficacy was higher than that of university students. When analyzing the SW education teaching efficacy by major, computer education major students showed higher SW education teaching efficacy than students majoring in other subjects. In the case of boot camp participants, it was found that SW education teaching efficacy was higher than that of preliminary camp participants. As in the preliminary camp, males showed higher teaching efficacy than females, college students than university students, and computer education majors than non-computer education majors. In the case of AI education, preliminar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W Edu-thon preliminary camp showed high interest in AI and data technology, and showed high level of agreement on the need for AI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more preliminary teachers who responded negatively to the proposition that AI could replace the ro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was found that men are more interested in AI than women, think AI will bring postive impacts than negative effects relatively higher, and believe that the ro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n be replaced by AI. These differences are also noticeable in the analysis by major, where those who majored in computer education showed higher interest in AI and data technology, agreed more that AI will bring benefits to society, and the need to teach AI in schools. Boot camp participants showed more interest in AI and data technology than the preliminary camp participants, and strongly expressed their desire to learn AI more.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university in the preliminary camp, the result that the college students showed more interest in AI than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 boot camp is also noteworthy. It can be seen that the boot camp participants, who are selected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efficacy in SW education than the preliminary camp participants, and they are more interested in AI and want to learn more. It is hoped that the SW Edu-thon in the future will be held considering status and satisfying the need of these participants.

      • 관광서포터즈의 관계효익과 참여동기가 몰입, 만족과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홍윤선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자체 및 관광 관련 기관·기업에서 시행하고 있는 관광서포터즈들이 느끼는 관계효익과, 관계효익이 서포터즈 활동 시 느끼는 참여동기, 몰입, 만족, 지속의도 등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 관광서포터즈의 현황을 파악, 관광서포터즈의 태도를 분석하여 관광마케팅 기초자료를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서포터즈와 기업과 관광기업의 경영성과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관광서포터즈를 대상으로 관광서포터즈의 입장에서 관계효익과 참여동기가 무엇인지 제대로 파악하여 향후 지방자치단체 및 관광기업의 효과적인 관광서포터즈 관리 및 지원·운영정책을 수립하고 상호결속력을 강화하여 충성도 높은 관광서포터즈를 육성하며 관광기업과 관광서포터즈 간의 성공 전략 수립에 중요한 전략을 제시함과 동시에 장기적인 관계지속 체제를 구축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실증분석의 조사를 위해 표본추출의 공간적 범위를 전국으로 설정하고 조사대상은 지방자치단체에 소속되어 활동하고 있는 관광서포터즈로 설정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를 위해 2018년 12월 15일부터 약 2주간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설문지를 수정 및 보완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조사는 2019년 2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1개월간 총 500여부를 배포하였고, 본 조사의 설문지는 관광서포터즈에게 조사의 목적과 취지, 설문지의 내용에 관하여 설명한 후 이중 회수된 250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작성된 12부를 제외하고 238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요약해보면, 첫째, 관광서포터즈 관계효익 중 사회적 효익, 부가적 효익, 심리적 효익은 관계몰입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가적효익, 사회적효익, 경제적효익은 활동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서포터즈의 관계효익 중 사회적 효익, 부가적 효익, 심리적 효익이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경제적 효익은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광서포터즈 참여동기 중 여가적 동기, 자기개발 동기, 대의적 동기 요인은 관계몰입에 유의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동기인 여가적동기, 대의적동기, 자기개발동기 요인은 관광서포터즈 활동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관광서포터즈 참여동기 요인인 여가적 동기, 자기개발 동기, 대의적 동기 요인은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외부적 동기는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관광서포터즈 관계몰입, 활동몰입 요인은 관광서포터즈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관광서포터즈 관계몰입, 활동몰입 요인은 관광서포터즈 지속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관광서포터즈 만족은 관광서포터즈 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광서포터즈가 관계효익과 참여동기를 긍정적으로 예측할수록 서포터즈 활동의 만족과 지속의도가 높아진다고 짐작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확인된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가 전무한 관광서포터즈를 대상으로 학술적 연구를 실시하여 관광서포터즈의 관계효익, 관광서포터즈의 참여동기, 몰입, 만족 및 지속의도에 관한 문헌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론을 체계화하였다는 것이다. 기존의 관광서포터즈를 다룬 선행연구는 서포터즈의 현황을 파악하는 수준에 그쳤다면 본 연구는 기존에 다룬바 없는 관광서포터즈의 태도를 다루며 학문적 접근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둘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관광서포터즈와 관광기업과의 관계를 설명하고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설정되어진 연구모형과 가설을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고 관광서포터즈간의 주요 변수들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는 것이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지방자치단체 및 관광기업의 경영성과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관광서포터즈를 대상으로 관광서포터즈의 입장에서 관계효익과 참여동기를 제대로 파악하여 이에 따른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구사하고 서포터즈 유지 및 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결론적으로 관광서포터즈의 효과적인 관리·운영을 위해서는 관광서포터즈가 느끼는 관계효익과 참여동기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충족시켜주기 위하여 노력해야 할 것이며 관광정보 제공, 신규콘텐츠 개발, 지속적인 관광정보 관리 등을 위하여 단·중·장기적인 관광서포터즈 마케팅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ourism supporters' perceived Relational benefits of tourism supporters on attitudes such as participation motivation, commitment, satisfaction and Continuous Intention. This intend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tourism supporters Industry and to analyze the attitude of tourism supporters to establish basic data of tourism marketing an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tourism supporters and Supervisors for the tourism Industry practitioner. This one may establish effective tourism supporters manage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and also establish market segmentation and productively apply the mix-factors within respective market segm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ocumentary study and empirical study methods have been combined. Documentary study method has been used to deduce measuring items of the relationship benefits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commitment, satisfaction and Continuous Intention of tourism support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study, the spatial extent of sampling was set to nationwide, and the survey subjects were set up as tourism supporters who belong to local governments.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we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for about two weeks from December 15, 2018,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of the survey was used to explain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e survey and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to the tourism supporters. also re-formulated by researcher based on previous research, a total 500 sheets of questionnaire have been distributed from February 1st to February 28 in 2019 and 250 sheets have been collected and then 238 sheets have been empirically analyzed except 12 sheets which could not be utilized due to insincere response.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have been analyzed though statistical programs of SPSS 18.0 and Amos 21.0.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benefits, additional benefits, and psychological benefits of tourism supporter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commitment, and the additional benefits, social benefits, economic benefit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ctivity commitment. Second, the social benefits, additional benefits, and psychological benefits of tourism supporte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hereas economic benefits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Third,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in tourism supporters such as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leisure, self-development motivation, and Counterpoint Motiva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on relationship commitment and Activity commitment. Fourth,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in tourism supporters such as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leisure, self-development motivation, and Counterpoint Motiva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but the external Motivation on tourism supporters were not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pport for tourism satisfaction. Fifth, relationship commitment and Activity commitment on tourism supporte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Sixth, the relationship of tourism supporters' involvement and activity commitment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ontinuous Intention of tourism supporters. Finally, satisfaction of tourism supporte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ntinuous intention of tourism supporters. This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a higher relationship benefits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regarding tourism supporters will results in a high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intention. Thu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may deri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we conducted academic research on tourism supporters who did not have previous studies, and based on the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nefits between tourism supporters and tourism industry. If the initial research was only at the level of grasping the current situ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ried to approach the academic supporters' attitudes of tourism supporters that have not been discussed before. Secon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supporters and regional tourism Industry practitioner was explained,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establish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ird, through this study, tourism supporters who can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local governments and Supervisors for the tourism Industry practitioner in the future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supporters. In conclusion, for effectiv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ourism supporter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nefits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of tourism supporters accurately and try to satisfy tourism supporters to make them local tourism Industry to be activated.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정서인식명확성과 분노억제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홍윤선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분노억제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에 재학중인 1~4학년 대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통제 척도 (PCS-YSR), 정서인식명확성 척도(TMMS), 분노억제 척도(STAXI-K), 사회불안 척도(SIAS)를 사용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와 PROCESS Marco 3.5.3을 사용하였고, 각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 정서인식명확성, 분노억제, 사회불안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분노억제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넷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분노억제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이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주용어: 심리적 통제, 사회불안, 정서인식명확성, 분노억제

      • 무용전공 대학생의 감정활동기억과 문화소진, 몰입 및 문화성숙도와의 관계

        홍윤선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이 과거에 경험하였던 감정활동에 대한 기억이 현재의 문화소진과는 어떠한 관계를 가지며, 문화몰입 및 성숙도와는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는 청소년기의 예술 공연활동이 성인기에 이르러 문화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여 청소년 예술 활동과 대학에서의 무용 활동의 나아갈 미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 및 충청도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의 무용학과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종통계분석에는 880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가설검증을 위한 통계방법으로는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SEM)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와 같은 절차와 방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무용전공대학생이 감정활동에 대한 기억이 많을수록 문화소진은 증대되었다. 둘째, 무용전공대학생이 감정활동에 대한 기억이 많을수록 문화몰입은 증대되었다. 셋째, 무용전공대학생이 감정활동에 대한 기억이 많을수록 문화성숙도는 증대되었다. 넷째, 무용전공대학생이 문화소진을 접할수록 문화몰입은 감소되었다. 다섯째, 무용전공대학생이 문화소진을 접할수록 문화성숙도는 감소되었다. 여섯째, 무용전공대학생이 문화몰입을 크게 지각 할수록 문화성숙도는 증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무용전공대학생들이 과거에 경험한 무용활동이 현재에 이르러 문화소진감을 크게 느끼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문화몰입 및 성숙도는 오히려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감정활동이 단편적인 차원에서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편견은 지지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무용현장이 다른 산업 및 직업 현장과는 다른 주관적 속성이 존재하고 있음을 시사하는데 그것은 무용수들이 무용에 대한 예술적 태도와 의미성이 깊게 내재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청소년기의 무용활동에 있어서 과거의 획일적인 활동보다는 그들을 존중하고 이해시키는 비전적 활동으로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ty how the emotional activities experienced by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dancing in the past is related to current cultural depletion and cultural commitments & maturity.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a future direction of youth artistic activities and dancing activities at colleges by grasping the meaning of art performances in youth period to their grown-up stages and how they impact from cultural perspectiv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thesis the study was conducted around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dancing arts in their respective colleges. Nine hundreds of samples were extract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in the beginning and data from eight hundreds and eighty samples were applied for the final analysis. To verify the hypothesis such statistics methods as Confirmatory Factory Analysis(CFA) using AMO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ere employed and below results were obtained following the procedures and methods thereof. Firstly, the cultural depletion has increased as the memories on the emotional activities increase for the students majoring the dancing art. Secondly, the cultural commitment has increased as the memories on the emotional activities increase for the students majoring the dancing art. Thirdly, the level of cultural maturity has increased as the memories on the emotional activities increase for the students majoring the dancing art. Fourth, the cultural commitment has decreased as the students majoring the dancing art face the cultural depletion. Fifth, the level of cultural maturity has decreased as the students majoring the dancing art face the cultural depletion. Sixth, the level of cultural maturity has increased as the students majoring the dancing art recognize the cultural commitment as important. The research result does not support the biased belief that the emotional activities can work negatively from a horizontal point of view as the study reveals that the past dancing activity experiences of the students play as a factor of increasing the cultural commitment and cultural maturity even though such past dancing activity experiences play a role in increasing the cultural depletion. This fact implies that a certain attribute lies deeply in the dancing performance scene which is different from other industries or workplace and this maybe due to the artistic attitudes of dancers and meanings about the dancing. However it implies that the activities should be changed in the way that the visionary cultural activities based on respects and understanding are pursued rather than the activities practiced at the scenes in the past in uniformity thereby playing a positive role for future dancing activities.

      • 역사성 있는 구시가지 정비를 위한 시민참여 인식에 관한 연구 : 청주시를 대상으로

        홍윤선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도시 발전의 중심적 역할을 해왔던 구 시가지는 역사적 유물과 역사적 지속성을 지니고 있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공간적 의미를 지닌다. 구시가지의 보전과 관리를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여러 가지 요인(사회적 문화적, 환경적 요인들)이 고려되어야한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도시 계획의 설정 단계에서부터 이해 당사자인 지역 시민과 사회 공동체, 행정 당국이 다양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가장 큰 문제점은 바로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는 데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구시가지가 지닌 역사적 맥락과 지속성을 보존하고 관리, 더 나아가 계획의 효율적이고 지속적인 참여 방법들에 대해 고찰해 보고 연구해보고자 하는데 그 방향과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행정 당국의 관리 하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구시가지의 보존과 관리 및 개발에 관한 이용현황을 살펴보는 동시에 설문지를 통해 이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의견과 구시가지가 지닌 역사적 맥락과 지속성을 보존하고 관리하기 위한 적극적인 지역시민 참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시민 참여 방법으로는 그 참여 방법의 능동성에 따라 능동적 참여, 수동적 참여, 조직성에 따라 조직적 참여, 개인적 참여의 4가지 참여 방법으로 구분하였으며 또한 시민참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 또한 긍정적 기대효과와 부정적 기대효과 두 가지로 분류하였다. 행정 당국의 주도 하에 시행되고 있는 구시가지의 보전 계획을 다음과 같은 5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먼저 첫 번째로 현재 도시 내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설정하는 계획 의제 구성의 단계가 있으며, 두 번째로는 목적을 수립하고 실행 방안을 만드는 계획 형성의 단계, 세 번째로 공식적으로 효력을 부여하는 계획 결정의 단계, 네 번째로 공식화된 계획을 집행하는 계획 집행의 단계, 마지막으로 바람직한 방향으로 전개되었는지를 평가하는 계획 평가의 단계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분류를 통해 각각의 요소들이 시민의식과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Historic district has bee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cities, which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e historical remains and maintains as a spatial implication in urban city. There are numerous factors, such as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 of local community which consist of historic district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historic district. In addition, local governments should be coperated with local residents and the social community from vary first step of urban city-planning process in order to work together effectively in this circumstance. But it is not easy to find the case of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urban city-planning process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historic district.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suggested to encourage sustainable and more effec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historic district. For those, this study approaches resident-participation method styles, that is divided into four styles; active participation, passive participation, organized participation, and individual participation. For these purposes, research of documents about residential participation and opinion surveys to the case-districts' resident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research. In this study, local government have been implemented the preservation plans for old towns which ar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5 stages: first of all, there is a stage for the planing agenda-building to set up the problems existing within the city; Secondly, the stage to create the plan for set up the purpose and executing the plan; the third stage is for providing an official approval for the chosen plan; the fourth stage is for executing the official plan; the final stage is for evaluating whether the process is performed in a desirable direction. This study aims to analysis how these respective elements are related to civil consciousness through the above categor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