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신경숙의 소설 '엄마를 부탁해'에 대한 정신분석적 고찰

        류승화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03

        정신분석과 문학은 언어를 통해 인간의 내면세계를 탐색하며, 인간의 욕망과 환상, 갈등을 의미 있게 다룬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특히, 좋은 문학 작품은 무의식의 역동들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며 독자들에게 호소한다. 문학작품에서 숨겨진 무의식적 갈등과 내용의 의미를 해석하고, 통찰을 얻어서 갈등의 해결과 치유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정신분석의 도움이 필요하다. 프로이트가 1917년“애도와 멜랑콜리아”에서 멜랑콜리아의 본질에 대해 ‘대상의 그림자가 자아에 드리워졌기 때문’이라고 언급한 이래로, 심각한 우울증의 정신역동을 이해하고 치료하기 위한 정신분석 연구들이 계속 발전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신경숙의 소설 ‘엄마를 부탁해’의 주인공인 엄마‘박소녀’의 심각한 우울증에 의한 자살을 가정하고, 그녀의 정신 역동을 이해하기 위해 프로이트, 클라인, 그리고 위니캇을 중심으로 정신분석 문헌들을 검토하였다. 또한 그녀가 공격성을 자기 자신에게로 돌리는 문제와 관련하여 그녀의 자살을 이해하기 위해 자기애와 공격성에 관한 문헌들을 검토하였다. 프로이트는 현실에서 대상 상실을 경험한 개인이 이를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겨, 자아로 철수한 리비도가 오직 포기된 대상과 동일시하는 데에만 사용됨으로써, 그 포기된 대상의 그림자가 자아에 드리우게 되어 멜랑콜릭 상태에 들어간다고 보았다. 클라인은 유아가 자신의 환상 속 공격성과 그에 따른 죄책감에 대한 무시무시한 두려움이 대상의 사랑으로 수정되지 못하여 우울적 자리에 도달하지 못한 발달적 실패 때문에, 위니캇은 유아가 환경의 실패로 인해 진정한 자기감을 상실한 채 참자기의 삶을 포기하고 거짓 자기의 삶을 살아간 것으로 인해 우울증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자살에 관해 아직 분명한 답을 얻을 수는 없을 지라도, 프로이트는 멜랑콜리아 환자가 대상과 관련된 적대감을 자신에게 돌려 최후의 형태로 맞이하는 것을 자살로 보았고, 두 번째 욕동이론에서 정신병리에 의해 두 욕동이 융합상태에 있지 못하고 탈융합되어 타나토스가 에로스를 압도할 정도로 우위를 점하는 경우 완전한 이완상태가 되어 죽음에 이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클라인, 위니캇, 비온이 통합 혹은 건강으로 향하는 길목에서 자살의 위험에 빠져들 수 있다고 설명한 점으로 미루어, 자살은 증오된 대상과 동일시된 자기에 대한 공격이며, 동시에 가학적이고 잔인한 공격을 한 자기에 대한 처벌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위의 이론들을 적용하여 ‘박소녀’의 심각한 우울증과 자살의 정신 역동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인‘박소녀’는 대상의 상실을 경험한 후 우울적 자리로의 도달에 실패함으로써 좋은 내적 대상에 의해 수정되지 못한 공격성으로부터 엄청난 공포와 죄책감에 시달려왔고, 생의 초기 발달 과정상의 환경적 실패로 인해 거짓자기가 지배하는 공허하고 생명력 잃은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는 심각한 우울증 환자였다. 건강한 자기감을 갖지 못했기 때문에 그녀는 진정으로 대상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가질 수 없었고, 증오된 대상과 동일시된 자기에 대한 가학적이고 잔인한 공격을 반복하는 자기 처벌 소망을 갖고 있었다. 결국 그녀는 드리워진 대상의 그림자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탈출구로서 자살을 선택했던 것으로 보인다. 만약 ‘박소녀’가 가족들 곁으로 다시 살아 돌아올 수 있다면, 우리가 희망을 놓지 않고 정신분석에 기대하는 것은, 그녀가 한 번도 경험하지 못했던, 그녀의 무자비한 공격성을 보복하지 않고 견디어 손상되거나 파괴되지 않고 살아남아주는 “충분히 좋은 어머니” 대상을 만나서 그녀가 자신의 공격성의 가치를 인식하고, 만족과 대상 추구의 리비도적 성애와 연결시켜낼 수 있는 경험을 통해 발달적 성취를 이루어내는 것에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마치며, ‘박소녀’에게 또 그녀와 같은 병리로 고통 받으며 살고 있는 이들에게 다시 살 기회가 주어지기를, 정신분석의 도움으로 그들이 창조적인 참자기의 삶을 살아갈 수 있게 되기를 소망해 본다. Psychoanalysis and literature both explore the inner-world of people by using language, and also deal with the desire, fantasy and conflicts in-depth. However, literature can manifest only the conscious level of conflicts. Psychoanalytic exploration is required not only to interpret and gain insight into inner conflicts but also to resolve them and recover from one’s inner wounds. Psychoanalysis strives to understand and treat the psychodynamics of depression since Freud explained the essence of melancholia as the shadow of object fell upon the ego in his paper “mourning and melancholia(1917)”. In this paper, the author hypothesized that the major character of Kyung-sook shin’s novel ‘Please Look After Mom’, mom ‘Park So-nyo’, commits suicide due to severe depression. To understand her psychodynamics and psychological conflicts which lead her to commit suicide, the psychoanalytic literature including Freud, Klein and Winnicott were reviewed. Freud, in regard to the essence of melancholia, explained that the libido was withdrawn from lost loved object into the ego was not employed in any unspecified way, but served to establish an identification of the ego with the abandoned object, thus the shadow of the object fell upon the ego. Klein considered it developmental failure, the failure of entrance into the depressive position, that the dreadful aggression and guilt of infantile could not mitigate by the love of the object. Winnicott wrote that the failure of the environment caused the infant to over-develop a false self and that this could bring about depressive disorder. Although, we still cannot clearly solve the problem of suicide, Freud explained the suicide can be caused by the ultimate form in melancholia when patients turn their hostility onto themselves. In his secondary drive theory, Freud explained that defused overwhelming force of thanatos which holds a dominant position over eros, might lead to the complete relaxed condition, death. Also Klein, Winnicott, and Bion agreed that suicide occur on the way to integration of character. In the last part of this paper, the psychodynamics of depression and suicide of ‘Park So-nyo’ were analyzed. Findings suggested that she failed to enter the depressive position and had suffered from dread and guilt caused by aggression, which could not be modified by the inner good object. Futhermore, she had lived a false self life due to early environmental failures. She was a melancholic who lived a hollow lifeless life led by the false self. She could hardly have real concern and love for the object and she had a self-reproach wish that relentlessly caused her to attack herself while she sadistically identified with a hated object. Ultimately, it seems that she chose to kill herself as the only escape from the shadow of the object which fell upon the ego. If she had not committed suicide, she would have found a ray of hope, psychoanalysis therapy. If she experienced “good enough mother” object who endured and survived her infantile aggression without retaliation and being destroyed, she could realize the value of her aggression and obtain the developmental achievement. Then, maybe she would not have to commit suicide. Concluding this paper, the author hopes that the opportunity to live again is given to ‘Park So-nyo’ and the melancholics like her and that they could start their creative true self life for the first time with psychoanalytic help.

      • 정신분석과 음양론에 관한 연구

        최윤희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03

        <Abstract> A Study on Psychoanalysis and Yin and Yang Theory Yunhea Choi Department of Psychology, Major in Psychoanalysis The Graduate School of Psychoanalysis, Hanshin University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Freud's psychoanalysis and yin and yang theory by applying personality psychological methodology, which was from the structural, dynamic, change-developmental, and psycho-adaptive perspectives of personality. To this end, Freud's psychoanalysis theory analyzed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unconsciousness including phylogenetic unconsciousness, instinct change and adaptation. And yin and yang theory reviewed analytically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them, and the change-development and equilibriu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rom a structural point of view, psychoanalysis and yin and yang theory were similar in that they had a dualistic structure with two opposing energies. However, mental analysis developed a theory centering on a triple structure,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at the yin and yang theory had a more subdivided form of a pentagonal structure. Second, from a dynamic point of view, both psychoanalysis and yin and yang theory were similar in that they deal with changing energy while moving dynamically. However, in yin and yang theory, cyclical change implied by the concept of time is viewed as a key topic of dynamics, while in psychoanalytic theory,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that the concept of time or cyclical concept was not treated importantly in dynamics. Third, the two theories were in line with each other on the point of change and growth development. However, in yin and yang theory, changes in cyclical meaning and quantitative development of new life are centered,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at changes and developments in mental analysis meant qualitative changes in ego-development, including regression. Fourth, from a psycho-adaptive point of view, both theories had similarities in that they viewed the balanced state as an adaptive state. However, the two theories differed in terms of viewing equilibrium. In other word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at the optimal equilibrium state was viewed as adaptation, while in yin and yang theory, the state of relative balance was viewed as adaptation. In addition, in psychoanalysis, adaptation is viewed as psychological adaptation through ego-development, whereas in yin and yang theory, finding a dynamic and relative equilibrium in the circulation process of yin and yang is viewed as adaptation. Considering the above research results, psychoanalysis and yin and yang theory have considerable similarities in that they value structure, dynamics, change-development and adaptation, but they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circulation, relativity, in-depth understanding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Both theories are representative theories that understand and explain humans and their lives, bu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basic concepts and approaches. Although these differences may be theoretically opposed, we expect them to help broade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horizon of human understanding and pursue a healthier and more advanced life. < 국문초록 > 정신분석과 음양론에 관한 연구 최 윤 희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심리학과 정신분석전공 본 연구는 성격 심리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Freud의 정신분석과 음양론을 성격의 구조적 관점, 역동적 관점, 변화·발달적 관점, 심리 적응적 관점에서 유사성과 차이점을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Freud의 정신분석 이론에서는 계통 발생적 무의식을 포함하여 무의식 개념과 원리, 본능의 변화와 적응을, 음양론에서는 음양의 개념과 원리, 변화·발달과 평형을 분석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구조적 관점에서 정신분석과 음양론은 대립적인 두 가지 에너지를 가진 이원론적 구조를 가졌다는 점은 유사하였다. 다만 세부적인 구조로 나누었을 때, 정신분석은 삼중(三重) 구조를 중심으로 이론을 전개하였으나, 음양론은 오중(五重) 구조의 형태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역동적 관점에서 정신분석과 음양론은 모두 역동적으로 움직이면서 변화하는 에너지를 다룬다는 점에서는 유사하였다. 그러나, 음양론에서는 시간 개념이 내포된 순환적 변화를 역동성의 핵심 주제로 보는 반면, 정신분석 이론에서는 시간 개념이나 순환 개념이 역동성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은 점에서는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변화하고 성장 발달한다는 관점에서는 두 이론이 맥을 같이 하고 있었다. 다만, 음양론에서는 순환적 의미의 변화와 새로운 생명이 탄생한다는 양적인 반달이 중심을 이루고 있지만, 정신분석에서 변화와 발달은 퇴행을 포함하는 자아의 발달이라는 질적 변화를 의미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심리 적응적 관점에서 두 이론은 모두 균형을 이루는 상태를 적응 상태로 본다는 점에서는 유사점이 있었다. 그러나, 두 이론은 평형 상태를 보는 관점에 차이가 있었다. 즉 정신분석은 최적의 평형 상태를 적응 상태로 보는 반면 음양론에서는 상대적 균형을 이룬 상태를 적응으로 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정신분석에서는 적응을 자아의 발달을 통해서 심리적 적응을 이루어 가는 것으로 보는 반면, 음양론에서는 음양의 순환 과정에서 동적(動的)이고 상대적 의미의 평형을 찾는 것을 적응으로 본다는 차이점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정신분석과 음양론은 구조, 역동, 변화·발달 그리고 적응을 중시한다는 점에서는 상당한 유사성이 존재하지만 순환성, 상대성, 심층적 이해와 포괄적 이해라는 점 등에서는 상당히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두 이론은 모두 인간과 그 삶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이지만, 기본 개념과 접근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들은 이론상 대립된다는 측면이 있겠지만, 인간 이해의 이론적 실제적 지평을 넓히고, 보다 건강하고 발전적인 삶을 추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바이다.

      • PTSD 치료에 있어 정신분석 이론의 적용과 분석가의 역할 : 비온 이론을 중심으로

        신주내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imarily interpret and organize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from the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and to suggest the utility of the psychoanalytic theory and the analyst’s desirable attitude in the PTSD treatment through this. To this end, the researcher arranged the occurrence cause for the PTSD, sign and progress process, and theories and perspectives applicable to the treatment through the psychoanalytic theory while examining how to interpret the PTSD attracting more and more attention by the psychoanalytic theory. The positions on PTSD observed from the trauma theory and the object-relations theory by Freud were described, and the theory by Wilfred Bion, a psychanalyst, was linked to Judith Herman’s theorem on PTSD to apply, interpret, and integrate. And then the treatment process through Biton theory and the analyst’s attitude in it were researched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PTSD through the psychoanalysis. As a result of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sychoanalytic theory starting from Freud who introduced a concept called psychological trauma was able to provide significant insight and general theories on the interpretation and therapeutic process on the cause and progress process of PTSD along with the trauma theory and the object-relations theory. In particular, the theory by psychoanalyst Bion mentioned his ideas on the cause for general mental illnesses, psychological actions happening in the therapeutic process for those illnesses, and attitude of analyst who analyzed them, and suggested a new direction of psychodynamic therapy through the psychoanalytic theory in treating PTSD. 본 연구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정신분석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정리하는 것에 1차적인 목표를 두고, 이를 통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치료에서 정신분석이론의 효용성과 분석가의 자세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먼저 날이 갈수록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정신분석이론으로는 어떻게 해석 가능한지를 살펴보면서, 정신분석이론을 통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발생원인, 징후와 진행과정, 그리고 치료에 적용될 이론과 관점들을 정리했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프로이트의 외상이론과 대상관계이론에서 바라 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입장들을 서술하고, 계속해서 정신분석가 비온의 이론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주디스 허먼의 정리와 연결하여 적용, 해석, 통합함으로써 비온이론을 통한 치료과정과 그 안에서의 분석가의 자세에 대해 연구하여 정신분석을 통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이해와 치료에 대해 방향을 제시하려고 했다. 연구 결과, 심리적 외상이라는 개념을 도입한 프로이트로부터 시작된 정신분석이론은 그의 외상 이론을 비롯해서 이후의 대상관계이론에 이르기까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병인과 진행과정에 대한 해석과 치료 과정에 대해 의미 있는 통찰과 제반 이론들을 제공할 수 있음을 보게 되었다. 특별히 정신분석가 비온의 이론은 정신 병리 전반의 병인에 대한 그의 생각들과 그 병리들의 치료 과정에서 일어나는 심리 작용들, 그리고 무엇보다 이 때, 분석에 임하는 분석가의 자세에 대해 언급하여 놓음으로 인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에 있어 정신분석이론을 통한 정신역동치료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

      • 대상 상실로 인한 외상에 대한 정신분석적 고찰 : 영화 '데몰리션'을 중심으로

        한승희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논문은 대상 상실을 경험한 이후 충격으로 인해 정신증 수준까지 퇴행한 외상환자를 정신분석 관점에서 이해하고 치료적으로 접근하고자, 영화「데몰리션(Demolition)」의 주인공과 주변 대상들을 분석한 연구이다. 대상 상실로 인해 나타난 외상 이면의 무의식적 역동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외상과 관련하여 프로이트, 비온, 모던정신분석의 이론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나아가 모던정신분석 이론상의 분석가의 태도와 치료접근 및 기법에 관련한 문헌 연구를 정리하여, 모던 정신분석적 치료개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비스를 통해, 대상상실로 인해 정신증 수준까지 퇴행한 외상환자는 정신증 수준의 환자와 유사한 증상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첫 번째로, 정서적 철수 증상은 좌절로 인해 리비도가 대상에게 향하지 못하고 자기 자신에게로 돌아온 결과로 이해될 수 있고, 또한 알파 기능이 작동하지 않아 베타 요소를 축출하기만 하여 정신기구가 분열하게 된 결과로 이해될 수 있다. 두 번째로, 자기 과몰입 상태는 리비도가 자아로 회귀하여 자기애적 성격이 형성되는 과정과 유사하며, 알파 기능이 역전되어 정신이 비워지면서 정신증 증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세 번째로, 비이성적 행동의 이면에는 자극을 회피하고 통제하여 베타요소를 비워내려는 정신증 환자의 무의식적 시도가 있으며, 또한 좌절로 인해 자기애적 격노를 자기 자신에게 돌려 스스로를 파괴하는 역동이 존재함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로써 정신증 환자의 치료 과정이 일반 상담 과정과 다른 면이 있듯이, 외상환자에 대한 치료 역시 체계적이고 조심스럽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던정신분석 이론을 토대로 외상환자에 대한 초기 개입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주인공의 주변 인물들의 태도를 통해 살펴보았다. 먼저, 초기 개입에 필요한 분석가의 태도로,‘환자를 포기하지 않는 마음’과 치료적 동맹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외상으로 인해 정신증 수준의 증상을 보이는 환자와의 작업 초기에는 모던 정신분석적 기법인 사실적 질문, 대상-지향적 질문, 자아-동조적 죠이닝, 그리고 미러링 기법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상 상실의 충격으로 인해 정신증 수준까지 퇴행한 외상환자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모던 정신분석적 치료기법으로 접근하고자 함이다. 후속 연구에서 실제 사례연구를 통해 보다 다각적이고 면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외상환자의 무의식에 대한 실제적인 자료와 함께 외상환자를 위한 유용한 치료적 개입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analyzes the main character and surrounding subjects of the film “Demolition” in order to understand and approach therapeutically to the traumatic patient who has regressed to the psychosis level caused by the shock after experiencing the loss of the object from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In order to search for the unconscious dynamics behind trauma caused by the loss of object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theory of Freud, Bion and Modern Psychoanalysis.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modern psychoanalytic interventions by literature studies related to the attitudes, therapeutic approaches and techniques of analysts in modern psychoanalysis theory. In this study, through Davis case, it was found that symptoms of a traumatic patient who was regressed to a certain level of psychosis caused by the loss of object were similar to symptoms of a patient who had a certain level of psychosis. First, the symptoms of emotional withdrawal can be understood as the result of a setback in which libido returned to himself instead of going to the object, or the failure of the alpha function only led to the split of the mental apparatus by simply vacating the beta component. Secondly, it can be seen that the self-absorbed state is similar to the process in which libido returns to self to form a narcissistic personality, or that psychosis symptoms appear when the alpha function is reversed and the mind is emptied. Third, irrational behavior seems the unconscious attempt of a psychotic patient to vacate the beta component by avoiding and controlling stimuli, and come from self-destructive dynamic which caused by the narcissistic rage by frustration with turning it on itself. Thus, as the treatment process of a psychotic patient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consultation process, the treatment of a traumatic patient is also necessary to be systematic and careful. Finally, through the attitudes of Phil, Karen and Chris, it was analysed how early intervention should be made for the trauma patients on modern psychoanalytic theory. First, at the early stage of intervention, it was found that the analyst's attitude of not-giving up patient and therapeutic alliance were very important. And then, at the early stage of working with patients suffering from psychotic symptoms caused by trauma, techniques of modern psychoanalysis such as factual questions, object-oriented questions, ego-syntonic joining, and mirroring was found to be eff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ymptoms of traumatic patients who regressed to psychotic levels due to the shock of loss of objects and to approach them with modern psychoanalytic treatment. Should a more diversified and in-depth studies are made through actual case studie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provide substantial findings on the unconsciousness of traumatic patients and useful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traumatic patients.

      • 정신병질적 성격에 대한 정신분석적 연구 : 영화 '케빈에 대하여'를 중심으로

        박문현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논문은 정신병질적 성격에 대한 특성과 병인을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이해하기 위해 원작인 소설과 함께 영화 '케빈에 대하여'를 분석한 연구이다. 먼저, 정신병질의 다양한 진단 기준들(클렉클리의 16가지 특성, DSM-5, 헤어의 PCL-R)에 대해 살펴보고 각각의 진단 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정신병질의 특성을 찾아보았다. 둘째, 정신병질적 성격의 특성 및 병인과 관련된 정신분석 문헌연구를 하였다. 셋째, 위의 결과들을 사용하여 영화 및 등장 인물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케빈의 출생과 성장과정, 그리고 대학살까지 케빈에게 나타난 정신병질의 진단적 특성은 주로 범죄적 행동에 초점이 맞춰진 DSM-5의 반사회적 인격장애의 진단 기준보다는 정서적이고 대인관계적인 성격적 특성으로서의 진단 기준인 클렉클리가 제시한 정신병질적 특성이나 헤어의 PCL-R에 부합되는 특성이 더 많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정신병질적 특성들의 기저에 작용하고 있는 정신내적인 측면으로서 4가지 특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첫째, 과거의 외상과 관련된 가학적인 무의식적 재연이다. 둘째, 정신병질자 자신과 융합되어 있어 자신의 생존과 직결된 상실한 초기 대상에 대한 보호이다. 셋째, 악성의 과대적인 자기 구조이다. 넷째, 악성 유사 동일시이다. 이러한 케빈의 정신병질적 성격은 4가지 병인으로 인해 형성되었음을 찾아볼 수 있었다. 첫째, 지나친 흥분성과 과잉 반응 기질 그리고 과도한 공격성과 같은 기질적인 특성이 발견되었다. 둘째, 케빈을 안아주지 못하고 냉담하며 무기력한 에바와 지나치게 허용적이고 무의식적으로 공모했던 프랭클린의 초기 양육환경의 실패가 있었다. 셋째, 그 결과로 초자아 결함이 나타났다. 넷째, 에바의 조부모와 부모가 겪은 대학살의 외상이 세대 간에 대물림 된 소화되지 않은 외상이라는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정신병질적 성격의 병인들은 마치 각각의 원인들이 다른 원인들이 활성화되는데 풍족한 자양분이 되듯 맞물려서 끔찍한 대학살이 재연되었다. 본 연구의 목표는 정신병질적 성격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것이었으며, 후속 연구에서 정신병질자에 대한 면밀한 정신분석적 탐구와 조기의 치료적 개입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정신병질적 병리가 더 이상 비가역적인 질병이 되지 않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s analysis of the movie and its original novel "We Need to Talk about Kevi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psychopathic personality from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Firstly, this thesis examined several diagnostic criteria of psychopathy(Cleckley's 16 behavioral characteristics, DSM-5, Hare's PCL-R), and found characteristics of psychopathy that are suggested in each diagnostic criterion. Second, the researcher analyzed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psychopathic personality based on psychoanalytic literature. Third, using the research results from above, this thesis analyzed the movie and its characters. According to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diagnostic characteristics of Kevin's psychopathy that are apparent from Kevin's birth, growth process, up till the massacre are more in accord with Cleckley's psychopathic characteristics or Hare's PCL-R that are related to emotional and interpersonal personality trait diagnosis criteria, rather than DSM-5 which is the diagnostic criteria of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mainly focused on criminal behaviors. Also, 4 main intra-psychic characteristics were found underlying the basis of psychopathic traits. First, sadistic unconscious re-enactment related to past trauma. Second, protection of the lost early object who is merged with the psychopath himself, and directly connected to his self survival. Third, malignant grandiose self-structure and forth, malignant pseudo-identification. The psychopathic personality of Kevin was found to have formed under these 4 causes. Moreover, these causes of his psychopathic personality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to invigorate other causes, resulting in a re-enactment of a horrific genocide. The object of this research was to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psychopathic personality. It is expected that psychopathic pathology will no longer remain an irreversible disease, if more detailed psychoanalytic understanding and more studies on early therapeutic intervention are conducted in follow-up researches.

      • 마수드 칸의 성도착 이론에 관한 연구 : 칸의『성도착에서의 소외』를 중심으로

        최윤숙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of the perversion theory by Masud Khan. Khan(1924-1988)was a member of the British Psycho analytical Association, a Winnicottian, and an object relations theorist. He evolved his own perversion theory based on the views of Freud and Winnicott. The discussion about perversion which means to deviate from the normal sexual behavior, started with Freud. He examined perversion as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human sexuality. Khan emphasized that Freud's perversion theory implies the loose relationship between instinct and objects, and the pathology of ego in the theory of Freud. He also developed his own theory of perversion by applying Winnicott‘s theory. He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pervert's ego and tried to develop a psychoanalytic treatment for perversion. His result of clinical research and theory was published in『Hidden Selves』, 『Alienation in Perversions』. He received credit for contributing to psychoanalysis by them. In this context, in this paper through investigating Khan's theory the researcher tried to understand about the hypothesis about Freud's perversion theory and to explore how to apply Winnicott's theory in Khan’s perversion theory. For this purpose, the first step is exploring the hypothesis of Freud's perversion theory, female sexuality, and fetishism. Then she explored Khan' theory in the view of Winnicott's conception of the False Self, Transitional Object and Acting out, Counter transference as the technique of analysis. Khan's theory was explored focusing on the case of "the role of infantile sexuality and early object-relations in female homosexuality" of 『Alienation in Perversions』and the fetish of mail homosexuality of "prison" in the 『Long Wait』. Through the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Freud examined perversion in the aspect of sexual object and sexual aim and then made a distinction normal and deviation. In early stages, Freud focused on instinct satisfaction, regression and fixation at a pre-Oedipal phase, but then later he gradually emphasized the aspects of the object in terms of instinct satisfaction and the pathology of ego. Khan accepts the view of Freud in terms of female sexuality and fetishism, and furthermore he emphasized the role of the pathology of mother in perversion-formation. He considers that fetishism and female homosexuality are in relation to the failure of environment and the failure is reenacted in the sexual practice of the pervert. The pervert tries to restore and compensates the failure of the early development. In the early theory, Khan paid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al similarity between the schizoid character disorder and perversion, but then later he considered perversion as more of a false self than a separate disease. Therefore, the sexual practice of the pervert is understood as a kind of attempt that the false self personality tries to contact the reality and the problem of the false self including perversion is not only false defence but also the function that helps the patient to survive. Khan considers that fetish object can be turned into transitional object in the analytic relationship. When the pervert's acting out is supported by analyst through the analytic relationship, sexual practice of the pervert can gain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transitional object. However Khan doesn't recommend the acting out as therapeutic device. He thinks that only when acting out can be regulated by the analytic process, it can be a therapeutically advantageous process. Khan sees that the analysts has the double burden due to the peculiar transference circumstance and anti-social tendency. Khan accepts the objective counter transference theory of Winnicott and he argues that the analyst must feel and deal with his own hatred and resentments in order to contact the hidden helplessness and feel the pain and confusion behind the patient's manic defence and exaggerated eroticism. The perversion theory of Khan includes the psychoanalytic view and hypothesis of Freud and applies Winnicott's theory. Khan considers that the attempt of the treatment of the perversion reflects the change of the analytic technique in the psychoanalytic treatment that is dealing with the more severe condition than neurosis. In particular, it suggests that acting out and the objective counter transference have the important meaning. Khan investigates perversion in terms of the false self, and emphasized the self alienation in perversion. 본 논문은 정신분석가 마수드 칸(Masud Khan)의 성도착 이론에 관한 연구이다. 영국정신분석가협회에 소속되어 위니캇(D. W. Winnicott) 학파 정신분석가로서 활동했던 칸은(1924-1988) 프로이트의 성도착 이론의 토대 위에서 대상관계 정신분석가 위니캇의 이론을 적용하여 자신의 고유한 성도착 이론을 개진하였다. 인간의 정상적인 성 행위에서 벗어난 것을 의미하는 성도착에 대한 정신분석적 연구는 프로이트(Freud, S.)에 의해서 시작되었으며, 프로이트는 성도착을 인간 성욕의 보편적인 특징의 한 측면으로서 이해하였다. 칸은 프로이트의 성도착 이론에 본능과 대상 간의 느슨한 관계와 자아의 분열에 대한 견해가 내재되어 있음을 강조하고, 이를 위니캇의 초기 유아-엄마 관계 이론에 근거해서 도착자의 자아구조를 분석하고 도착증에 대한 정신분석 치료를 시도하였다. 그의 임상적 연구 결과는 그의 저서『숨어있는 자기』와 『성도착에서의 소외』에 집약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정신분석학에 공헌하였다고 평가 받는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자는 칸의 성도착 이론을 연구하게 되었으며, 그를 통해서 프로이트의 기본적인 성도착 가설을 이해하고, 그러한 토대 위에서 칸이 위니캇의 이론을 적용하여 자신의 성도착 이론을 어떻게 개진하였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 먼저 프로이트의 성도착 이론을 성도착에 대한 기본적인 가설, 여성 동성애, 주물성애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위니캇의 거짓자기, 중간대상 개념과 분석 기법으로서 행동화와 역전이에 관한 위니캇의 이론의 측면에서 칸의 성도착 이론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칸의 논문 “여성동성애에 있어서의 유아성욕의 역할과 초기 대상관계 the role of infantile sexuality and early object-relations in female homosexuality"에 제시된 여성동성애 사례와 ‘감옥prison"에 제시되어 있는 남성동성애자의 음경표피 주물성애 사례를 중심으로 칸의 이론과 임상 기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프로이트는 성대상과 성목적의 측면에서 성도착을 고찰하고 인간의 성욕에 있어서의 정상과 일탈을 구별하였다. 프로이트는 성도착 형성에 있어서 초기에는 본능 만족과 전성기기로의 퇴행과 고착에 주목하였지만, 후기로 가면서 본능 만족과 관련된 대상의 측면과 자아의 병리성에 대한 측면에 대한 강조로 이론의 논점이 바뀌었다. 이는 여성동성애와 주물성애에 대한 그의 논의에 잘 반영되어 있다. 칸은 여성동성애와 주물성애에 대한 프로이트의 견해를 수용하고 더 나아가 도착형성에 있어서 초기 발달 단계에서 어머니의 병리적 역할을 강조하였다. 여성동성애에와 주물 성애에는 초기의 모성적 돌봄의 제공과 관련된 환경의 실패가 재연되어 있으며, 도착자들은 도착적 성 행위를 통해 초기 실패를 되돌리고 보상 받으려 한다고 보았다. 칸은 초기이론에서는 분열성 성격장애와 도착증의 유사한 특징에 주목하지만 후기 이론에서는 도착증을 별개의 병리가 아니라 거짓자기의 측면에서 다룬다. 따라서 칸은 도착적 성 행위를 거짓자기 인격의 현실을 접촉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서 간주하고, 도착증을 포함한 거짓자기 문제를 거짓된 방어인 동시에 환자가 살아남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의 측면에서 이해한다. 칸은 주물 대상의 중간 대상으로의 이행이 분석관계에서가능하다고 본다. 도착자의 행동화가 전이 관계 안에서 분석가의 자아 지원을 받을 때 도착적 성행동은 중간현상의 성격을 갖게 되고 주물 대상은 중간 대상의 의미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칸이 분석상황에서의 모든 도착자의 행동화를 지지하는 것은 아니다. 칸은 분석가가 행동화에 대한 환자의 동기를 이해하고 자아의 통찰과 숙달을 통해 환자의자아가 힘을 얻을 수 있을 때만, 행동화로서의 도착증이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강조한다. 칸은 도착자의 특수한 전이 신경증과 반사회적 경향성은 분석가에게 이중적인 역전이 부담을 준다고 본다. 그러나 칸은 위니캇의 객관적 역전이 이론을 수용하고 도착자의 전능감 안에 숨어 있는 무력감에 접촉하고 조적 방어와 과장된 성애화 이면에 존재하는 고통과 혼동을 보려면, 분석가는 분석가 자신의 증오와 불쾌감을 느끼고 다룰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칸의 성도착 이론은 성도착에 대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적 관점과 가설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위니캇의 거짓자기와 중간대상 개념이 적용되어 있다. 또한 칸은 도착증에 대한 치료 시도에는 신경증의 치료로 시작되었던 정신분석이 보다 심각한 병리를 다루는 정신분석의 기법의 변화가 반영되어 있다고 본다. 특히 행동화와 분석가의 객관적 역전이 수용 문제가 도착자의 정신분석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강조한다. 칸은 도착증을 거짓자기의 측면에서 고찰하고, 성도착에 있어서의 자기의 소외를 강조한다.

      • 코칭에 대한 정신분석적 고찰

        김상복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03

        A Psychoanalytic Study on Coaching This paper concerns on the genesis of coaching and how it has developed, culminating in the psychoanalytic elements that has affected ‘coaching presence’, the contemporary conception in the field. Coaching first emerged in 1960’s as the sociocultural movement(human potential movement) that was to restore humanity and develop potentiality. After 1990’s, it has developed on into the ‘helping’ field for important individuals in companies, public organizations and sports, in main cities all over the world. Development of coaching in the areas of companies and sports has been focused on the individual’s well-performing and attainment of his aim, and the change of behavior and attitude for such to happen. Psychoanalysis, by means of the psychodynamic psychology, has greatly influenced on the emergence of coaching and its development, and given decisive impact on the establishment of ‘subject areas’, ‘coaching techniques’, and ‘one on one coaching’, as well. This renews the spirit of coaching that has been set from the scratch, which is restoration of humanity and development of potentiality. The author has suggested psychoanalytic coaching as the trend to come, along with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which means to approach on the group of functioning people who are not psychopathological, and help them with the difficulties such as tasks or crises of life, and problems related to character. The structure of this paper is as below. In chapter Ⅱ, there will be a brief explanation on the progress of historic development in coaching, exploring possible parts stemmed from psychoanalysis, after which examinations will follow, on each concepts that has been set up on the foundation of psychodynamic coaching that is one of the branches of ‘evidence-based coaching’. These are the research as well as tracks that had been proceeded mostly in Europe(England, Denmark, France and so forth), but have deeply motivated the formation of contemporary coaching(subject and advance, the posture of coach). The coaching presence is explained using the well known phenomenon called ‘learning without being taught’ that characterizes the coaching, with which the author has elucidated the possibility that both coaching and psychoanalysis are able to co-work, coupling with ‘implicit relational knowing’, one of the accomplishments of Boston Process of Change Study Group. Discussion throughout chapter Ⅲ delineates several worthwhile topics such as the way leading to 3rd generation coaching(that is, the intersubjectivity in coaching relationships), the search for aesthete, the approach to Freud’s paper, ‘The constuctions in analysis(1937)’. The suggestion has been made that coaching is walking side by side with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psychoanalysis. The author, in addition, recommends to the whole psychoanalysis society that it assign a adjacent position to psychoanalytic coaching, as psychoanalysis has assigned to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코칭에 대한 정신분석적 고찰 본 논문은 코칭의 형성과 발전과정, 현재 코칭 내용 중 중요한 부분인 코칭 프레즌스에 대해 정신분석이 끼친 영향을 검토 한다. 코칭은 1960년대 중반 인간성 회복과 잠재력 개발을 위한 사회문화 운동으로 처음 출현했다. 1990년대 이후에는 전 세계 주요 도시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기업과 공공조직, 스포츠 분야의 중요한 개인을 위한 조력 분야로 발전을 거듭해 왔다. 기업과 스포츠 분야에서의 코칭 발전은 개인의 성과와 목표달성, 이를 위한 행동과 태도의 변화에 초점이 맞춰져 왔다. 정신분석은 정신역동 심리학을 매개로 코칭의 출현,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주제 영역, 코칭 기법, 일대일 코칭 확립에 결정적 영향을 주었다. 이는 코칭이 지닌 인간성 회복과 잠재력 개발이라는 본래의 문제의식을 환기시킨다. 아울러 향후에는 정신분석적 심리치료와 함께 정신분석적 코칭을 새로운 발전방향으로 제시한다. 비 병리적, 기능하는 영역에서의 고통과 삶의 과제와 위기, 성격적 특성을 대상으로 한 정신분석적 접근이 그것이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코칭의 역사적 발전 과정을 간단히 정리하며 정신분석의 영향을 탐색한다. 이어서 근거기반 코칭의 일환으로 정신역동 코칭을 입론 한 내용을 각각 검토한다. 영국, 덴마크, 프랑스 등 주로 유럽 지역에서 진행된 연구와 활동이지만 오늘날의 코칭(주제와 진행, 코치의 자세)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코칭 프레즌스는 코칭 성격을 특징짓는 ‘가르침 없이 배우기’ 현상의 출현으로 설명하고 이를 보스턴 변화과정 연구 그룹의 성과 중 하나인 ‘암묵적 관계적 앎’과 연결하여 코칭과 정신분석이 상호 접근 가능하다는 점을 설명하였다. Ⅲ장 논의를 통해서 제 3세대 코칭으로 논의 되는 코칭의 향후 발전 방향이 코칭관계의 상호주관성, 미적의식에 대한 탐색, 프로이트의 ‘분석의 재구성’에 대한 접근 등을 정리한다. 이는 코칭이 정신분석의 이론적 발전이 개척한 길을 같이 가고 있다는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아울러 정신분석이 정신분석적 심리치료와 인접해서 교류 하듯이 코칭과 연결을 통해 정신분석 코칭을 또 다른 인접 영역으로 둘 것을 제안한다.

      • 정신분열증에 대한 정신분석적 사례 연구

        박순아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정신분열증에 대한 정신분석적 사례연구이다. 정신분열증 환자들은 많은 경우 약물 복용과 끊기를 반복하고 이로 인해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는 악순환을 하고 있다. 본 연구의 피분석자(P) 또한 여러 해 동안 이러한 반복적인 패턴을 하고 있었다. 변화를 보이기보다는 반복적인 악순환을 하고 있는 P에게 정신분석적 심리치료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는 이루어졌다. 분석은 P에게서 두드러지게 보여 지는 언어, 비언어적 특징을 중심으로 네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1) P에게 환상의 기능과 역할은 무엇인가? 2) P는 치료사에게 얼마만큼 접촉을 시도하고 유지할 수 있는가? 3) 주요 패턴과 행동화의 의미는 무엇인가? 4) 전이와 역전이는 무엇인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