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아프리카 DR콩고의 농촌종합개발사업현황과 과제: 추엔게 지역을 중심으로
허진영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5 국제지역연구 Vol.24 No.4
The main objectives of the Project are to improve quality of life through income generation, capacity building and betterment of living environment for the beneficiaries in the project area, and to strengthen relationship and cooperation on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between Republic of Korea and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through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The Project scopes are based on the R/D (Record of Discussion) signed on July 2010 by the representatives of both governments. The components of the Project would be largely classified as the followings: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Construction of public facilities: community center, drinking water, construction of farming facilities: complex plaza (multi-warehouse), rice drying facility). Income generation: Increment of agricultural productivity(operation of demonstration farms (rice, vegetables, farmyard manure), establishment of income increment facilities (construction of fish farms and establishment of rice milling center). Capacity building: job training(plastering and brick making, baking, beauty art, sewing training courses, organization of village committees (organizing and operating village development committee and sub-committees), overseas training (high and working level courses in Korea). Provision of equipments and materials (agricultural machineries and tools, office equipments, job training materials etc). We suggest that the Tshuenge Community Development Committee should continuously develop the “community business units” established by the Project. The central and provincial government should assist Operation and Maintenance (O&M) activities of the Tshuenge Community Development Committee. For having ownership and unification for Tshuenge community, through the leading role of the Tshuenge Community Development Committee, Carrying on the “Love Tshuenge” campaign should be recommended.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prepare the law or regulation related to O&M of public projects, also should establish the own department to play a role in O&M policy implementation for the public projects. 콩고민주공화국의 수도 킨샤사에 인접하고 있는 추엔게지역은 지리적으로 유리한 입지여건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넓고 기름진 농경지를 보유하고 있는 도시근교 농업지역이다. 또한 콩고강과추엔게강을 수원으로 하는 풍부한 수자원을 확보하고 있어 건기에도 물 걱정 없이 농사를 지을 수있는 유리한 여건을 구비하고 있는 지역이다. 이 지역에 한국정부가 시행한 DR콩고 추엔게 농촌종합개발사업은 대한민국 농림수산식품부의 공적개발원조(ODA) 자금에 의한 무상지원사업으로2010년 7월 9일 양국 대표단의 R/D(Record of Discussion) 체결에 의해 시작되었다. 그 이후 2010년 11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4년간에 걸쳐 사업을 해왔으며 주요목적은 소득증대, 주민역량강화, 생활환경개선 등을 통한 사업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본 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통한 양국 간 농업․농촌개발 분야 협력 강화에 있다. 사업내용은 전문가 파견, 농촌인프라 건설, 주민역량강화, 한국초청연수, 기자재지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금까지의 추엔게지역 농촌종합개발사업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정부가 농촌종합개발사업에 있어서 개선되어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윤리성을 기반으로 해체의 방법을 적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허진영,김혜연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2
In modern society, an interest in environment got to increase on the whole, and the importance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ethics is brought to the fore. Hence,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possibility of practicing people- and environment-oriented ethical fashion design through establishing ethical deconstruction design procedure and embodying this in fashion design by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recycling a vast amount of fashion waste to be dumped and the importance and value of ethical fashion design brought to the fore in society at large. With regard to major methods of this research,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ethics and deconstruction was defined. And based on investigation and case study of deconstructionism applied to ethical fashion design and fashion, the characteristics were deduce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according to this theoretical study and empirical study, the principle and procedure of ethical fashion design deconstruction was established. As a result, through the concept of ethical deconstruction fashion design and the principle of external forms in deconstructionist fashion, a visual external form was investigated. It was deduced that this was resource reuse, escape from fixed idea and disjunction, the principle of ethical deconstruction fashion design. Based on this, ethical deconstruction fashion design procedure was established with mix and match, avant-garde, layering, zero waste and transfer of function, and was embodied in work. Therefore, it is intended to hope that various studies on pro-environment-oriented ethical fashion design will continue to be carried out through studying fashion design from which a product can be manufactur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practical value of design and establishing the procedure of ethical deconstruction fashion design. 현대 사회는 전반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고, 생산 및 소비 윤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윤리의 개념은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디자인과 관련하여 강조되고 있으며, 브랜드 철학에서 더 이상 윤리의 개념을 간과 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버려지는 방대한 양의 패션 폐기물들의 재활용 필요성을 인식하고 사회 전반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윤리적 패션디자인의 중요성과 가치에 주목하여 윤리적 해체의 디자인 방법을 구축하고 이를 패션디자인으로 구현함으로서 인간과 환경 중심의 윤리적 패션 디자인 실천의 가능성을 제안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하여 윤리와 해체의 개념을 정의하고, 윤리적 패션디자인 및 패션에 적용된 해체주의에 관한 고찰과 사례 조사를 바탕으로 그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연구와 실증연구에 의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윤리적 패션 디자인 해체 원리와 방법을 구축하였다. 그 결과 윤리적 해체의 패션디자인 개념과 해체주의 패션의 외적 형식 원리를 통해서 시각적인 외적 형식을 고찰하였으며 윤리적 해체의 패션디자인 원리인 이접, 고정관념의 탈피, 자원의 재사용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믹스 앤 매치, 전위, 레이어링, 제로 웨이스트, 기능의 전환으로 윤리적 해체 패션디자인 방법을 구축하고 작품으로 구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자인의 실천적 가치로 윤리성을 주목하고 윤리적 해체 패션디자인 방법을 구축하여 제품으로 제작 가능한 패션디자인을 연구함으로써 친환경 중심의 윤리적 패션디자인의 다양한 연구들이 지속되길 기대하고자 한다.
초등학교 6학년의 분수와 소수의 크기에 대한 수직선 표상의 정확성 및 사용 전략 분석
허진영,임수현 한국수학교육학회 2024 수학교육 Vol.63 No.3
분수와 소수가 나타내는 크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수의 크기를 공간상에 직관적으로 표시하는 수직선 모델이 널리 활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직선 추정 과제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분수와 소수에 대한 이해도 및 문제 해결 전략을 살펴보고, 다양한 전략 사용의 유연성이 분수와 소수의 표상의 정확성, 연산 능력, 수학 학업성취도의 개인차와 연관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자연수에 비해 분수와 소수의 수직선 표상 정확성이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특별히 분수의 경우 분모가 짝수인 분수보다 홀수인 분수에서, 소수의 경우 소수 세 자리 수 보다 소수 두 자리 수에서 수직선표상의 정확성이 더 낮게 나타났다. 전략 사용의 측면에서 학생들은 분수를 수직선에 표상할 때 기준점 참고 전략, 분할 전략, 어림 전략 순으로 많이 사용하였으며, 소수를 표상할 때에는 기준점 참고 전략, 반올림 전략, 자연수 변환 전략 순으로많이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수를 표상할 때 사용하는 전략이 다양할수록 분수의 표상 정확성과 수학 학업성취 점수가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분수의 다양한 개념과 자연수 대비 소수의 자릿값 및 0의 개념에 대한 세심한 지도의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또한 분수와 소수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방안으로, 수직선 모델 활용과 함께 표상 전략을 병행해서지도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number line model, which intuitively marks numerical magnitudes in space, is widely utilized to help in understanding the magnitudes that fractions and decimals represent. The study analyzed 6th graders’ understanding of fractions and decimals, their problem solving strategies, and whether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flexibility of various strategy uses are associated with the accuracy of numerical representation, calculation fluency, and overall mathematical achieve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students showed relatively lower accuracy in representing fractions and decimals on a number line compared to natural numbers, especially for fractions with odd denominators compared to even denominators, and for two-digit decimals compared to three-digit decimals. Regarding strategy use, students primarily used benchmark, segmentation, and approximation strategies for fractions, and benchmark, rounding, and transformation strategies for decimals sequentially. Lastly, as students used various representation strategies for fractions, their accuracy in representing fractions and their overall mathematical achievement scores showed significantly better outcomes. Taken together, we suggest the need for careful instruction on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fractions, the place value of decimals, and the meaning of zero in decimal places. Moreover, we discuss instructional methods that integrate the number line model and its diverse representation strategies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fractions and decimals.
초등학생의 사이버불링 피해경험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허진영,송도선,김장회 한국재활심리학회 2020 재활심리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사이버불링 피해경험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 8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조모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이버불링 피해경험은 심리적 안녕감에 부적인 영향을,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부적인 영향을, 소극적 대처방식에는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에 대한 적극적 대처방식은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소극적 대처방식은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적극적 대처방식과 소극적 대처방식은 각각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상담에 대한 함의, 사이버불링 예방과 개입을 위한 방안, 추후 과제 등이 논의되었다.
허진영,Choi Sang-Ho,조경욱,허진원,홍상범,심태선,임채만,고윤석 대한중환자의학회 2022 Acute and Critical Care Vol.37 No.4
Background: Legionella species are important causative organisms of severe pneumonia. However, data are limited on predictors of progression to severe Legionella pneumonia (LP). Therefore, the risk factors for LP progression from non-severe to the severe form were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that included adult LP patients admitted to a 2,700-bed referral center between January 2005 and December 2019. Results: A total of 155 patients were identified during the study period; 58 patients (37.4%) initially presented with severe pneumonia and 97 (62.6%) patients with non-severe pneumonia. Among the 97 patients, 28 (28.9%) developed severe pneumonia during hospitalization and 69 patients (71.1%) recovered without progression to severe pneumoni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platelet count ≤150,000/mm3 (odds ratio [OR], 2.92; 95% confidence interval [CI], 1.10–8.11; P=0.034) and delayed antibiotic treatment >1 day (OR, 3.09; 95% CI, 1.17–8.73; P=0.026) were significant independent factors associated with progression to severe pneumonia. Conclusions: A low platelet count and delayed antibiotic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ogression of non-severe LP to severe L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