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그린마케팅 믹스요인이 기업의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클라우디아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환경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사회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도가 고조되고 있다. 대량생산 및 소비에 의존하는 경제주체들이 천연자원 고갈과 관련된 환경문제를 야기시키므로써 지구온난화, 대기오염, 삼림규모의 감소 및 파괴, 야생동물 멸종 등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환경보존과 녹색성장을 위한 방침을 정부에서부터 취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을 바탕으로 경제와 환경의 조화로운 발전을 위해 녹색기술과 녹색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활용하고 있다. 기업은 더 이상 기존의 상품 판매 전략처럼 단순히 고객의 욕구나 수요충족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환경 보호 운동 및 친화적인 관리를 통해서 삶의 질을 높이고자 그린마케팅을 도입하게 되었다. 과거에 기업의 그린마케팅 활동은 정부의 법적규제에 대한 대응으로 시작되었으나 최근 그린기업은 경쟁자와 차별화 시킬 수 있도록 혹은 우수한 기업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강력한 전략이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린마케팅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토대로 실증분석을 통하여 기업의 그린마케팅 활동과 이미지, 구매의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212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린마케팅 활동 요인들이 기업 이미지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부분적으로 채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그린 제품, 그린 가격, 그린 촉진, 기업의 이미지와 정의 관계를 보이고 있으나 그린 유통은 유의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 이미지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이 검증되었으며 이 관계는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린 소비자의 환경에 대한 지각에 따라서 그린마케팅 활동이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은 다를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즉, 그린제품과 그린유통 요인들이 환경에 대한 지각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에 따라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기업의 그린마케팅 전략을 위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소비자들에게 제품에 대한 환경친화적 특성을 명확히 정의하여 차별화한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제품요인은 일반제품과 다르게 가격에 대한 수요의 탄력성이 적용되므로 원가절감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유통요인 측면에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즉, 소비자가 그린유통을 이해할 수 있는 더 간단한 정의가 필요하며 기업 내부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역유통과 재순환 전략의 방침을 명확하게 설정해야 한다. 넷째, 촉진요인의 경우 광고나 홍보를 중시하고 비영리 환경단체들과의 제휴를 통해 소비자에게 객관성 입증하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주요어: 그린마케팅 활동, 기업의 이미지, 구매의도. Over the past few years, environmental issues have become a major concern. We have been experiencing a warmer climate caused by global warming, as well as a deterioration in air quality, the reduction of forestry spaces, animal extinction, resource depletion, and pollution due to mankind’s reckle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All of these concerns have created a growing interest in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to better protect the environment. Governments are adopting Green Growth policies and enforcing new regulations to promote sustainability. South Korea’s “Low Carbon Green Growth” framework enactment focuses on the implementation of measures to effectively address climate change and energy issues and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while creating a system for green growth that harmonizes the economy with the environment through the development of green technologies and green industries. Gradually, companies will not only face consumer demands for greener or healthier products and services, but also pressure to adopt socially responsible policies, resulting in changes at the management and planning level that consider environmental protection. Terms like Green Marketing are now being used to refer to strategies oriented to lower the negative impact of production and the misuse of the resources. In the past, Green Marketing management measures were only a response to government legislation. However, these measures have become a powerful tool to face fierce competition and to differentiate environmentally friendly companies from others and to improve the overall corporate image. In this light, Green Marketing has become a strategy to attain a favorable corporate image among consumers.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focus on a 4P’s mix Green Marketing strategy -green product, green price, green place, and green promotion- in order to measure its impact on a company’s corporate image. A more trustworthy corporate image induces purchase intentions and we try to evaluate this relationship among Korean consum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cities of Seoul and Deajeon with a total of 212 respondents. The surveys were analysed via SPSS 20.0 and AMOS 18.0. The outcome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reen Product, Green Price and Green Promotion activities of the 4 P’s mix elements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a company’s image. On the other hand, corporate image i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ompany’s Green Place activities. Second, Corporate Image has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n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Green Marketing activities and Corporate Image is affected by the consumer’s perception about the environmental problem. This study, however, encountered limitations such as limited measures of green marketing activities related to the sample, (insufficient variety and diversity of respondents). A further analysis of moderator effects on age, gender, level of income, etc., has yet to be verifi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thus become recommendations for profit and nonprofit organizations to create more suitable Green Marketing strategies that seek to protect the global environment and enhance their image as environmentally friendly organizations.

      • Early Childhood Education: Towards Sustainable Peace in Sri Lanka

        클라우디아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15

        Early childhood education offers various intersectional points for integrating enriching education into a developmental framework. In Sri Lanka, the term “early childhood care and development” (ECCD) has been used when designing programmes that support children’s development, learning, health, nutrition and other features. Yet, in those categories, Peace Education has hardly been realized nor incorporated in a systematic way into peace building theory and practice. More specifically, Sri Lanka has largely overlooked the potential role of early childhood in contributing to the construction of sustainable peace. After almost two decades of the beginning of peace education programmes, a re-conceptualisation in peace education approaches is necessary in order to enter into a new phase of responsive pedagogy; more importantly, an integrated policy of peace education based on a broad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is vital. This thesis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how by incorpo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its formal settings and implementing peace education within this stage, Sri Lanka’s endeavours to foster peace are more likely to have lasting positive effects in the society. John Dewey and Maria Montessori’s approaches to education are reviewed and integrated into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peace education. To complement this examination, the thesis presents a review on the definition of ‘basic education’ and the activities advocated by the National Policy on Education for Social Cohesion and Peace, thus pla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in the greater context of sustainable peace. 어린이 조기 교육은 풍성한 교육을 개발의 틀로 통합하기 위한 다양한 교차점을 제공한다. 스리랑카에서 “어린이 조기 돌봄과 개발”이란 용어는 어린이들의 개발과 배움, 보건, 영양과 다른 특성들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만들 때 사용 되어 왔다. 그러나 그러한 범주 안에서 평화교육은 좀처럼 평화구축의 이론과 실제의 체계적인 방법으로 인식되거나 편입되지 않았다. 좀 더 엄밀히 말하자면 스리랑카는 지속 가능한 평화를 건설함에 있어 어린이 조기 교육의 잠재적 역할을 대부분 간과해왔다. 평화 교육 프로그램이 시작 된지 거의 이십 년이 지나서야 반응 교육학의 새 장으로 들어서기 위한 평화 교육 접근의 재 개념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더욱 중요한 것은 조기 교육의 폭넓은 이해에 기반한 평화 교육 정책의 통합된 정책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본 논문은 어린이 조기 교육을 어떻게 공식적인 지정이 되도록 구체화하고 평화 교육을 이 범주 내에서 실행할 것인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스리랑카의 평화를 촉진하기 위한 노력은 사회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지속해 온 것처럼 보인다. 존 듀이와 마리아 몬테소리의 교육에 대한 접근이 검토되었고 평화 교육을 위한 종합적인 틀로 통합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달성하기 위해 본 논문은 ‘기초 교육’의 정의와 사회적 결속과 평화를 위한 국가 교육정책에 의해 주창된 활동을 검토하고 지속 가능한 평화라는 큰 맥락 내에 어린이 조기 교육을 제시 한다.

      • The influence of Taekwondo training in the mood state of Ecuadorian adolescents

        클라우디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15

        Taekwondo is the most popular martial art in Ecuador whose benefits have not yet been investigated in the realm of psychological research. This study examined in Ecuadorian context the influence of Taekwondo training on adolescents’ mood state. Total mood disturbance (TMD) was measured based on the Profile of Mood States for Adolescents (POMS-A). A serie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develop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from adolescents (N = 760) from conveniently selected schools in Quito, Ecuador. The results showed that male adolescents had a lower TMD score compared to female adolescents (Coefficient (Coef) = -6.609, SE = 0.976, p < 0.001); and the same was found for younger adolescents compared to older adolescents in this study (Coef = 0.437, SE = 0.209, p < 0.05). Regarding participation in Taekwondo, adolescents with a higher Taekwondo training time reported a lower score on TMD (Coef = -0.056, SE = 0.014, p < 0.001).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Taekwondo training time (Coef = 0.058, SE = 0.027, p < 0.05). The analysis showed that in the overall role of Taekwondo training in mood improvement, female adolescents appear to be benefitted from it in a more impactful way than male adolescents. The main findings in this study indicate an enhancement in adolescents’ mood product of a longer training experience in Taekwondo. Therefore, integration of Taekwondo practice in different settings such as physical education, youth development programs, fitness facilities, and even clinical environments; is recommended. 태권도는 에콰도르에서 가장 인기 있는 무술이지만 심리학 분야에서 그 장점이 조사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에콰도르 맥락에서 태권도 훈련이 청소년들의 기분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Total mood disturbance (TMD)는 청소년 기분 상태 프로파일(POMS-A) 척도를 기반으로 측정되었다. 에콰도르의 수도 Quito 내 학교의 청소년들로부터 수집한 데이터(N = 760)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남성 청소년의 TMD 점수는 여성 청소년에 비해 낮았으며 (계수 = -6.609, 표준에러 = 0.976, p < 0.001), 연령이 높은 청소년과 비교했을 때 (계수 = 0.437, 표준에러 = 0.05, p <0.05) 어린 청소년에게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태권도 참여시간의 경우, 훈련시간이 높은 청소년은 TMD (계수 = -0.056, 표준에러 = 0.014, p < 0.001)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성별과 태권도 훈련 시간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계수 = 0.058, 표준에러 = 0.027, p < 0.05). 청소년들의 기분상태의 향상에 있어 태권도 훈련의 전반적인 역할은 여성 청소년들이 남성 청소년들보다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를 통해 태권도를 더 오랜 기간 훈련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의 기분 상태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체육, 청소년 개발 프로그램, 피트니스 시설, 임상 환경 등을 비롯한 다양한 환경에서 태권도 종목을 통합하여 태권도 참여를 권장할 필요가 있다.

      • Inhibition Effects of Adiponectin-based Peptide and Dasatinib in Keloids

        클라우디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15

        Keloid is a benign cutaneous overgrowth of dermal fibroblasts that are caused by pathologic scarring on wound healing. It may occur after an apparent injury to the skin tissue, but may develop up to several years after minor injuries, or even spontaneously without any perceivable injuries. It persists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does not regress spontaneously. This lesion may significantly affect patient’s quality of life, both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Their complex pathogenesis is not clearly elucidated up to date and various current surgical and therapeutic modalities are still unsatisfactory. In chapter 1,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diponectin-based short peptide on TGF-β1 induced fibrosis in keloid. The effect of adiponectin peptide on TGF-β1 induced fibrosis were evaluated using primary culture of keloid fibroblast. Keloid tissues were xenotransplanted to the back of athymic nude mic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ralesional injection of adiponectin peptide on keloid lesion. Adiponectin peptide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TGF-β1 induced procollagen type 1 expression in keloid fibroblasts (p < 0.05). It inhibited the TGF-β1 induced phosphorylation of SMAD3 and ERK while it amplified the phosphorylation of AMPK (p < 0.05). Knockdown of Adiponectin Receptor 1 (AdipoR1) reversed the attenuation of procollagen expression on adiponectin peptide treated TGF-β1 induced fibrosis (p < 0.05). Treatment with adiponectin peptide significantly reduced the gross weight and procollagen expression of keloid tissues than those in the control in the xenograft mice. In chapter 2, we investigated the presence of senescent fibroblasts in keloid cells and to assess the senolytic effect of dasatinib in keloid fibroblasts. Senescence-associated β-galactosidase positive cells and p16-expressing cells were higher in keloid lesional fibroblasts compared to those in perilesional normal fibroblasts (p < 0.05). Dasatinib induced selective death of senescent cell and decreased the expression of procollagen in cultured keloid fibroblasts. Xenotransplantation model using athymic nude mice with implatned keloid tissues showed that intralesional injection of dasatinib reduced the gross weight and suppressed the level of procollagen and p16 expression in keloid tissues.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possible therapeutic application of adiponectin peptide and dasatinib for keloid treatment. 켈로이드는 피부가 손상된 후 발생하는 상처 치유과정에서, 병리적으로 피부 섬유아세포가 과증식되어 발생하는 피부 질환이다. 이 질환은 피부 조직에 심한 손상을 입었을 때 뿐만 아니라 경미한 손상 후에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켈로이드는 대부분 장기간 지속되고 자발적으로 회복되지 않고, 환자의 삶의 질에 신체적 및 심리적으로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이 질환의 병인은 현재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이 질환에 시행되고 있는 다양한 외과적 치료 및 약물적 치료는 효과는 제한적이라,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본 연구의 챕터1 장에서는 켈로이드 병변에서 아디포넥틴 유래 펩타이드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인간 켈로이드 병변 유래 섬유아세포 및 마우스에 이식된 인간 켈로이드 조직을 사용하였다. 먼저, 켈로이드 제거 수술을 받는 환자에서 켈로이드 조직을 획득하였다. 회득한 조직을 1차 배양하여 섬유아세포를 획득하고, 이 세포에 아디포넥틴 유래 펩타이드를 처리하여 TGF-β1에 의한 섬유화 효과를 평가 하였다. 또한, 켈로이드 조직을 무 흉선 누드 마우스의 등에 이식하고, 이식된 켈로이드 조직에 아디포넥틴 유래 펩타이드를 주입하여, 펩타이드의 항 섬유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아디포넥틴 유래 펩타이드는 켈로이드 유래 섬유아세포에서 TGF-β1에 의해 유도된 프로콜라겐 타입 1 (procollagen type 1)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p <0.05). 이 때, 아디포넥틴 수용체 1 (Adiponectin receptor 1) siRNA를 이용하여 아디포넥틴 수용체 1를 억제하면, 아디포넥틴 유래 펩타이드에 의해 감소한 TGF-β1 유도 프로콜라겐 타입 1의 발현이 다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p <0.05). 또한, 아디포넥틴 유래 펩타이드는 TGF-β1에 의해 유도된 mothers against decapentaplegic homolog 3 (SMAD3) 및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ERK)의 인산화를 억제하고 5'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의 인산화를 증가 시켰다 (p <0.05). 마우스에 이식된 켈로이드 조직에 아디포넥틴 유래 펩타이드를 주입하면, 대조군을 주입한 조직보다 조직의 총 중량 및 프로콜라겐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연구의 2 장에서는, 켈로이드 세포에서 노화 (senescent) 섬유 아세포의 존재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자는 켈로이드에서 노화성 섬유 아세포의 존재를 조사하고, 켈로이드 섬유 아세포에서 다사티닙의 세놀라이틱(senolytics) 효과를 평가하였다. β-갈락토시다제 양성 세포 및 p16 발현 세포는 켈로이드 섬유아세포에서 주변 정상의 섬유아세포에 비해 더 높았다 (p <0.05). 다사티닙이 노화된 세포의 선택적 사멸 뿐만 아니라 배양된 켈로이드 섬유 아세포에서 프로 콜라겐의 발현 감소를 유도함을 관찰하였다. 또한, 켈로이드의 이종 이식 모델에서 다사티닙의 병변 내 주사가 켈로이드 조직의 총 중량 및 프로콜라겐과 p16 발현을 감소 시켰음을 확인주었다. 저자는 본 연구를 통해 아디포넥틴 기반 펩티드 및 다사티닙의 켈로이드 치료제로서 대안적인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 Navigating the Intersection of Data Protection and Digital Trade : A Critical Examination of EU’s GDPR and APEC’s CBPR

        클라우디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15

        In the year 1970, Germany was the first country that established a data privacy law as a reaction to concerns regarding computing advancements and privacy in the processing of personal data; following Germany, multiple European countries started legislating on data protection laws. However, provisions regulating transborder data flows were not considered until a decade later, when the OECD published its ‘Guidelines on the Protection of Privacy and Transborder Flows of Personal Data’ which provided recommendations and principles for member countries to govern the transfer of personal data across national borders while ensuring the protection of privacy. From these early stages, with the advance of new technologies, the surging of e-commerce, and the global exchange of information, data has become a valuable asset and a driving force behind international trade, enabling businesses to expand their reach, innovate and provide new services. However, this rapid growth in digital trade has also accompanied new challenges and concerns regarding the violation of several Human Rights, such as the Right to Privacy, Freedom of Expression, Access to Information, and Non-Discrimination, covered by multiple international instruments, including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UDHR) and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ICCPR). In this evolving landscape of digital trade and data protection, it has become increasingly crucial to address the challenges and tensions that arise from the intersection of these issues. Specifically, the need for harmonized digital trade regulations that facilitate international trade, as well as an enhanced GDPR mechanism to ensure robust data protection. Despite the growing importance of cross-border data flows and the pressing need for a unified legal framework,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struggled to harmonize legislation and establish a comprehensive system to effectively address the issues at hand. As a result, two prominent systems have emerged in the regulation of data protection and privacy in digital trade: the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GDPR) implemented by the European Union, and the APEC Cross-Border Privacy Rules (CBPR) adopted by countries in North America, Japan, South Korea, Singapore, Taipei, Australia, and the Philippines. These systems reflect distinct approaches to data protection and privacy. The EU's GDPR recognizes data protection as a fundamental right and places a strong emphasis on individual privacy. In contrast, the APEC’s CBPR does not explicitly frame data protection as a fundamental or human right. Instead, it prioritizes commercial interests and advocates for the free flow of cross-border information, aiming to prevent regulatory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from becoming trade barriers. The differing approaches of the EU and APEC systems highlights their contrasting perspectives on the treatment of regulations in digital trade, with the EU’s GDPR focusing on Human Rights, and APEC’s CBPR on free trade. This dichotomy leads to conflicts, particularly concerning data protection and privacy, specifically on how to achieve adequacy in meeting GDPR standards. It prompts a critical examination of how to safeguard citizens' right to privacy while also considering the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trade. This thesis seeks to conduct a comprehensive and critical analysis of the European Union's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GDPR) and the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s Cross-Border Privacy Rules (CBPR) system. The primary objective is to compare these two systems by exploring their historical background, underlying principles, and their effectiveness in addressing the challenges associated with data protection and privacy in the realm of digital trad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approach will be carefully examined, with particular attention given to the potential risks associated with APEC's CBPR system in terms of fundamental rights infringement. Given this backdrop, the thesis aims to contribute to the identification of potential alternatives or improvements that can promote the coexistence of both systems and facilitate future harmonization of digital trade regulations. It will also investigate whether further fragmentation of the cross-border rule system may exacerbate multilateral trade issues or, conversely, lay the groundwork for a unified rule system.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thesis, firstly, a historical analysis tracing the evolutionary trajectory of pivotal data protection laws pertinent to digital trade will be provided. This historical overview encompasses the initial regulatory frameworks and extends to international and regional mechanisms. Next, a comparative analysis of both main systems, GDPR and CBPR, followed by the analysis of the two main cases in recent years on the subject: Schrems I & II. Finally, an evaluation of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both regulatory frameworks is undertaken. This analysis serves to illuminate the efficacy and challenges associated with the real-world application of these regulatory instruments. In conclusion, the findings underscore that GDPR stands as the singular instrument conducive to harmonization in the context of data protection laws pertaining to digital trade. Conversely, CBPR is neither conducive to nor obstructive of this harmonization effort. Key Words: digital trade, GDPR, CBPR, data protection, data privacy, cross-border data flows. 1970년 독일은 개인 데이터 처리에서 컴퓨팅 발전과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에 대한 대응으로 데이터 개인 정보 보호법을 제정한 최초의 국가였습니다. 독일에 이어 다수의 유럽 국가들이 데이터 보호법에 대한 입법을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국경을 초월한 데이터 흐름을 규제하는 조항은 10년 후 OECD가 회원국들이 개인 정보의 국가 간 전송을 규제하는 권고와 원칙을 제공하는 '개인 정보 보호 및 국경을 초월한 흐름에 관한 지침'을 발표할 때까지 고려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초기 단계부터 디지털 기술의 부상, 전자 상거래의 급증 및 글로벌 정보 교환과 함께 데이터는 소중한 자산이자 국제 무역의 원동력이 되어 기업이 범위를 확장하고 혁신하며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디지털 무역의 이러한 빠른 성장은 또한 세계 인권 선언(UDHR) 및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 규약 (ICCPR)을 포함한 여러 국제 기구에서 다루는 프라이버시 권리, 표현의 자유, 정보 접근 및 차별 금지와 같은 여러 인권 위반에 대한 새로운 도전과 우려를 수반했습니다. 이러한 디지털 무역 및 데이터 보호 환경의 변화 속에서, 이러한 문제들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도전과 긴장을 해결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국제 무역을 촉진하는 조화된 디지털 무역 규제와 강력한 데이터 보호를 보장하기 위한 GDPR 메커니즘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국제사회는 국경 간 데이터 흐름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통일된 법체계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당면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포괄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디지털 무역에서의 데이터 보호 및 프라이버시 규제에 있어 유럽연합이 시행하고 있는 일반 데이터 보호 규정 (GDPR)과 북미, 일본, 한국, 싱가포르, 타이페이, 호주, 필리핀 등의 국가들이 채택하고 있는 APEC 국경 간 프라이버시 규정 (CBPR)의 두 가지 중요한 제도가 등장했습니다. 이러한 제도들은 데이터 보호와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뚜렷한 접근방식을 반영하고 있으며, EU의 GDPR은 데이터 보호를 기본권으로 인정하고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강조하고 있으며, 이에 반해 APEC의 CBPR은 데이터 보호를 기본권 또는 인권으로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으며, 대신 상업적 이익을 우선시하며 국가 간 규제 차이가 무역장벽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국경 간 정보의 자유로운 흐름을 옹호하고 있습니다. EU와 APEC 체제의 상이한 접근 방식은 디지털 무역에서의 규제 처리에 대한 EU의 GDPR은 인권에 초점을 맞추고 APEC의 CBPR은 자유무역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러한 이분법은 특히 데이터 보호와 프라이버시에 관한 갈등, 특히 GDPR 기준 충족의 적정성을 어떻게 달성할 것인가에 대한 갈등을 유발하고 있으며, 이는 국제 무역에 대한 함의를 고려하는 동시에 시민의 프라이버시 권리를 어떻게 보호할 것인가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를 촉발하고 있습니다. 본 논문은 유럽연합의 GDPR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의 CBPR(Cross-Border Privacy Rules) 제도에 대한 포괄적이고 비판적인 분석을 목적으로 하며, 디지털 무역의 영역에서 데이터 보호 및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역사적 배경과 기본 원칙, 효과성을 탐색함으로써 두 제도를 비교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합니다. 특히 기본권 침해 측면에서 APEC의 CBPR 제도와 관련된 잠재적 위험에 주목하여 각 접근법의 장단점을 면밀히 검토할 것입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두 제도의 공존을 촉진하고 향후 디지털 무역 규제의 조화를 촉진할 수 있는 잠재적 대안이나 개선점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것이며, 국경 간 규칙 제도의 추가 파편화가 다자간 무역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는지, 역으로 통일된 규칙 제도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는지도 조사할 것입니다. 본 논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디지털 무역과 관련된 중추적인 데이터 보호법의 진화적 궤적을 추적하는 역사적 분석을 제공할 것입니다. 이 역사적 개요는 초기 규제 프레임워크를 포함하며, 국제 및 지역 메커니즘으로 확장됩니다. 다음으로, GDPR과 CBPR 두 주요 시스템을 비교 분석하고, 이어서 최근 두 가지 주요 사례를 주제로 분석합니다: Schrems I & II. 마지막으로, 두 규제 프레임워크의 실질적인 구현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는데, 이 분석은 이러한 규제 수단의 실제 적용과 관련된 효율성과 과제를 조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결론적으로, 이번 연구결과는 GDPR이 디지털 무역과 관련된 데이터 보호법의 맥락에서 조화를 이루는 유일한 수단임을 강조하고 있으며, 반대로 CBPR은 이러한 조화 노력에 도움이 되지도 방해가 되지도 않습니다. 주요 단어: 디지털 무역, GDPR, CBPR, 데이터 보호, 데이터 프라이버시, 국경 간 데이터 흐름. CBPR은 데이터 보호를 기본권 또는 인권으로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으며, 대신 상업적 이익을 우선시하며 국가 간 규제 차이가 무역장벽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국경 간 정보의 자유로운 흐름을 옹호하고 있습니다.

      • A Comparative Study of Korea’s Single Window (UNI-PASS) System and Mexico’s Ventanilla Unica de Comercio Exterior (VUCE) : 한국과 멕시코의 Single Window System 비교: UNI-PASS- 와 VUCE

        클라우디아 모타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359

        90 년대 이후, 세계 무역은 세계 GDP 만큼이나 빠르게 두 배 정도 성장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해외 투자와 무역 유치를 이룬 국가들은 빠르게 경제 성장을 하게 된다. 그러나, 국가 간 무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관세와 비관세 규정들을 줄이거나 없애는 것 또는 무역 협정을 만드는 것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그러나, 국가 간 무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관세와 비관세 규정들을 줄이거나 없애는 것 또는 무역 협정을 만드는 것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무역 비용을 절감하고 국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세관 시스템을 현대화 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활발한 무역국들은 체계적이고 단순화된 업무를 만들어내는 이른바 통관단일창구(Single Window)라고 불리는 단일진입점(single point of entry)으로 paperless 업무를 하는 독특한 시스템을 채택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역 활동에서 통관단일창구(Single Window)의 특성을 조사하고, 한국의 UNI-PASS 통관단일창구(Single Window) 개념과 멕시코의 Ventanilla Unica de Comercio Exterior(VUCE) 사이의 유사성과 전반적인 성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멕시코의 프로젝트들을 개발 단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경제, 정치 그리고 문화적 배경에 근거한, 전자 무역 활동을 수반하는 모든 관련사항과 문제들의 분석에 초점을 두었다. 한국의 경험과 국제기구에서 제공하는 가이드 라인의 고찰을 통해, VUCE가 올바르게 역할을 하고, 다른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에게 표본이 될 수 있는 통관단일창구(Single Window) 역할이 될 수 있게 돕는 몇 가지 지침들을 제시하였다. Since the nineties, world trade has grown twice as fast as global GDP. In this context, countries that achieve to attract foreign investment and foreign trade will promote economic growth. However, to increase trade between countries is not sufficient to reduce or eliminate tariffs and non tariff regulations or create trade agreements; it is necessary to modernizing customs systems to reduce costs and increas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Most of the countries with outstanding trade practices have adopted a unique system that promotes paperless activities with a single point of entry that creates a harmonized and simplified practice called Single Window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 Window in trade activities and compare the similitude’s and overall performance of Korea’s UNI-PASS single window concept between Mexico’s Ventanilla Unica de Comercio Exterior ( VUCE) recently implemented. This study also analyzes those development stages of Mexico’s project; based on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background strongly focusing on all implications and challenges that entail electronic trade activities. With Korea’s experience and with the help of guidelines provid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we suggest few actions that could help VUCE precisely operate and become a leader Single Window case of reference for other Latin-America countries.

      • A comparative study of Korea's single window(UNI-PASS) system and Mexico's ventanilla unica de comercio exterior(VUCE)

        모타 클라우디아 신라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358

        90 년대 이후, 세계 무역은 세계 GDP 만큼이나 빠르게 두 배 정도 성장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해외 투자와 무역 유치를 이룬 국가들은 빠르게 경제 성장을 하게 된다. 그러나, 국가 간 무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관세와 비관세 규정들을 줄이거나 없애는 것 또는 무역 협정을 만드는 것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그러나, 국가 간 무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관세와 비관세 규정들을 줄이거나 없애는 것 또는 무역 협정을 만드는 것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무역 비용을 절감하고 국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세관 시스템을 현대화 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활발한 무역국들은 체계적이고 단순화된 업무를 만들어내는 이른바 통관단일창구(Single Window)라고 불리는 단일진입점(single point of entry)으로 paperless 업무를 하는 독특한 시스템을 채택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역 활동에서 통관단일창구(Single Window)의 특성을 조사하고, 한국의 UNI-PASS 통관단일창구(Single Window) 개념과 멕시코의 Ventanilla Unica de Comercio Exterior(VUCE) 사이의 유사성과 전반적인 성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멕시코의 프로젝트들을 개발 단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경제, 정치 그리고 문화적 배경에 근거한, 전자 무역 활동을 수반하는 모든 관련사항과 문제들의 분석에 초점을 두었다. 한국의 경험과 국제기구에서 제공하는 가이드 라인의 고찰을 통해, VUCE가 올바르게 역할을 하고, 다른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에게 표본이 될 수 있는 통관단일창구(Single Window) 역할이 될 수 있게 돕는 몇 가지 지침들을 제시하였다. Since the nineties, world trade has grown twice as fast as global GDP. In this context, countries that achieve to attract foreign investment and foreign trade will promote economic growth. However, to increase trade between countries is not sufficient to reduce or eliminate tariffs and non tariff regulations or create trade agreements; it is necessary to modernizing customs systems to reduce costs and increas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Most of the countries with outstanding trade practices have adopted a unique system that promotes paperless activities with a single point of entry that creates a harmonized and simplified practice called Single Window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 Window in trade activities and compare the similitude’s and overall performance of Korea’s UNI-PASS single window concept between Mexico’s Ventanilla Unica de Comercio Exterior ( VUCE) recently implemented. This study also analyzes those development stages of Mexico’s project; based on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background strongly focusing on all implications and challenges that entail electronic trade activities. With Korea’s experience and with the help of guidelines provid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we suggest few actions that could help VUCE precisely operate and become a leader Single Window case of reference for other Latin-America countries.

      • 한국어와 이탈리아어 지시어에 대한 언어유형론적 연구

        피키오니 클라우디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358

        본 연구는 유형론적 관점에서 한국어 지시어와 이탈리아어 지시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 있다. 지시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형태론적, 통사론적, 의미론적 및 화용론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두 언어의 지시어 체계를 비교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대다수 의미론적 관점과 화용론적 관점에서 다루었는데 본고에서는 조금 더 넓은 시각으로 형태론적, 통사론적 관점도 포함하여 진행하고자 한다. 또한 두 언어의 지시어를 대응하는 연구가 아직까지 없으며 본 연구를 통해서 두 언어의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제1장에서는 한국어와 이탈리아어의 지시어 체계를 유형론적으로 어떤 위치를 갖고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어 지시어의 대립적 관계는 이탈리아어 지시어의 대립적 관계와 다르다고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본문의 새로운 점을 제시하였고 본 연구가 어떤 방법으로 진행되는지를 소개하였다. 제2장에서는 Diessel(1999) 연구 바탕으로 세계 언어의 지시어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형태론적 관점에서 ‘이, 그, 저'와 ‘questo, quello’의 지시어 어간, 지시어의 굴절적인 성격, 지시 접어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지시어 어간에 관하여 지시 대명사, 지시 한정사, 지시 부사를 살펴보았고 각 언어의 변이형도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통사론적 관점에서 한국어 ‘이, 그, 저’와 이탈리아어 ‘questo, quello’를 비교하였다. 이 장에서 지시어의 범주적 지위, 장소 화시어 그리고 정체 확인 지시어를 살펴보았다. 제5장에서 의미론적 관점에서 두 언어의 지시어의 화시적 속성과 질적 속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두 언어의 구어 말뭉치를 분석하여 각 언어의 지시 한정사의 우측 첫 요소와 어떤 공기 결합을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제6장에서 화용론적 관점에서 외부 참조와 문맥 참고를 지시어를 통해서 어떻게 표상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장에서는 현장 지시어, 문맥 지시어와 인지적 지시어를 다루었다. 제7장에서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This Study aim to reveal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Italian demonstratives from a typological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emonstatrives of the two languages from morphological,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perspective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dealt with semantic and pragmatic perspectives, meanwhile this paper, in a slightly sense, includes also morphological and synctactic perspectives. Moreover there is yet no study that compare the korean and italian demonstrative systems, so this one would be helpful for learners of both languages. In chapter 1 have been presented the two languages systems from a broader typological point of view.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contrast system presents in Korean demonstratives is different from that of Italian. Also, new point of view has been introduced,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y and was introduced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Chapter 2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demonstratives ​​based on the study of Diessel(1999). Chapter 3 compares and analyzes the stem, the inflectional nature and clitics of Korean demonstratives “이, 그, 저” and italian “questo, quello” from a morphological point of view. In relation to the stem, pronouns, determiners and adverbs were examined, and were also examinated the variants of the demonstratives of each language. Chapter 4 compares Korean '이, 그, 저' and Italian 'questo, quello' from a syntactic point of view. In this chapter were analized the categorical status of demonstratives, place deictics and and identifiers. Chapter 5, has been analized the deictic and qualitative features of demonstratives from the semantic perspective. Also, through the spoken corpus has been analized the words “co-occurence” with the determiner of each language. Chapter 6, from a pragmatic point of view, has been analized the exophoric, anaphoric, discourse deictic and recognitional use of demonstratives of each language. Chapter 7 summarizes what has been discussed so far. Questa ricerca è volta ad analizzare le differenze e similitudini tra i dimostrativi coreani e italiani da un punto di vista linguistico tipologico. Lo scopo di questo studio è di comparare i dimostrativi delle due lingue dal punto di vista morfologico, sintattico, semantico e pragmatico. La maggior parte degli studi passati si sono focalizzati sull’aspetto semantico e pragmatico, questa ricerca vuole ampliare il campo coprendo anche gli aspetti morfologici e sintattici. Inoltre non essendoci ancora studi che comparino i dimostrativi coreani con quelli italiani, questo vuole presentarsi come un aiuto per coloro che apprendono le due lingue. Nel capitolo 1 sono stati presentati i sistemi dei dimostrativi delle due lingue da un vasto punto di vista tipologico. Inoltre è stato accennato al fatto che il sistema contrastivo presente nei dimostrativi coreani è diverso da quello italiano. E’ stato inoltre presentato il metodo di ricerca. Nel capitolo 2 sono state esaminate le caratteristiche dei dimostrativi in varie lingue, seguendo lo studio condotto da Diessel(1999). Nel capitolo 3, da un punto di vista morfologico, sono state comparate radici(stem), il carattere inflessivo e i clitici nelle due lingue. Per quanto riguarda le radici sono stati esaminati i pronomi, gli aggettivi dimostrativi e gli avverbi di luogo. Inoltre sono state prese in esame anche le varianti. Nel capitolo 4 sono stati comparati i dimostrativi coreani ‘이, 그, 저' e italiani 'questo, quello' da un punto di vista sintattico. In questo capitolo sono stati trattati gli status categoriali dei dimostrativi la deissi spaziale e gli identificativi. Nel capitolo 5 è sono state analizzate le caratteristiche deittiche e qualitative dei dimostrativi da un punto di vista semantico. Inoltre, tramite il corpus orale di ogni lingua è stata analizzata la ‘co-occorrenza’ semantica di parole con i dimostrativi. Nel capitolo 6 sono stati anallizati gli usi exoforici, anaforici, la deissi testuale e l’uso “recognitivo” dei dimostrativi. Nel capitolo 7 è stato riassunto il contenuto della ricerca.

      • The effect of State Anxiety on Task Performance in Service Industry : The antecedents of State Anxie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펫조바 클라우디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342

        The present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tate anxie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influence of customer incivility and job insecurity on employees’ task performanc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from 236 employees in the service industry, who experience day-to-day direct contact with customer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both job insecurity and state anxiety had a direct effect on task performance, however we could not find a direct effect of customer incivility on task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evidence of indirect effect of customer incivility on task performance mediated through employees’ state anxiety, but not for job insecurity on task performance. Finally, our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not significant.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statements, we could see that experiencing anxiety in the service-oriented workplace is a common occurrence, which might be provoked by different stress factors based on the fear of losing one’s job as well as being treated from customers in an uncivil manner. This in turn leads to negative consequences such as the inability to perform one’s own job duties. Although we could not find support for the direct effect of customer incivility on task performance, the indirect effect of job insecurity on task performance through state anxie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the relationship of state anxiety and task performance, this study provides some potenti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본 연구는 고객 비시민성과 직무불안정성이 직원들의 과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고객의 비시민적 행동과 직무불안정성이 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으며, 상태불안과 과업 성과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고객과의 직접 접촉을 경험하는 서비스업 종사자 236명으로부터 연구 자료를 수집했다. 결과에 따르면, 직무불안정성과 상태불안 모두 과업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객 비시민성의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한편, 고객의 비시민성은 직원들의 상태불안을 통해 과업 성과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반면, 직무불안정성의 매개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도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고객 비시민성과 직무불안정성이 서비스업 종사자들의 과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상태 불안의 매개 역할을 밝힘으로써 이론적,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 Monitoring rural territorial development in Colombia 2018-2022 within the post-conflict framework

        아벨로 아빌라 클라우디아 마르셀라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341

        Rural development is a crucial component of peacebuilding in Colombia after decades of armed confli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onitor rural development in Colombia in the period between 2018 and 2022. Although, given the scarcity of information at the municipal level this research does not directly evaluate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prehensive rural reform contemplated in the 2016 peace accords, the timeframe provides an overview of the results of its first years of implementation at the departmental level through the comparison of a Territorial Rural Development Index (IDRT) that contemplates five different categories: infrastructure, institutional management, economy, inclusion and ecosystems. The IDRT results for the 32 departments analyzed indicate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rural development during the period evaluated.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historical gaps between departments have not only remained the same but are tending to widen. Likewise, there is evidence of significant lags in terms of gender, ethnicity, and territorial approach, which would be related to the materialization of risks identified in qualitative research previously conducted by other authors. 농촌 개발은 수십 년간의 무력 충돌 이후 콜롬비아에서 평화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콜롬비아의 농촌개발을 조사하는 것이다. 비록 본 연구에서는 행정구역 중 군 단위의 정보 부족으로 2016년 평화 협정에서 고려된 종합적인 농촌 개혁의 직접적인 시행을 평가하지 않는다. 그러나 해당 기간 동안 국토 농촌 개발 지수(IDRT)를 활용하여 다섯 가지 범주인 인프라, 기관 관리, 경제, 포용성, 및 생태계를 비교함으로써 행정구역 도 단위 수준에서의 최초 몇 년 동안의 시행 결과를 개요로 제시한다. 32개 도의 농촌 개발 지수(IDRT) 결과 분석에 따르면, 해당 기간 동안 농촌 개발에 큰 변화가 없었다. 또한 도 간의 전통적인 격차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확대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이전에 다른 저자가 수행한 질적 연구에서 지적한 위험의 구체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는 성별, 민족 및 지역적 접근 측면에서 상당한 지연이 있다는 증거가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