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lative Strength of Adoption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in Preprimary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 Comparing Korea to four other countries

        Lee, Sun Mi 미래유아교육학회 200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0 No.3

        본 연구는 국제 간 비교연구로서 최근 유아교육학 분야에서 유아교육 질 제고의 수단으로 크게 제기되고 있는 유아교사의 DAP 신념과 DAP 실제간의 경향들을 비교ㆍ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DAP 신념과 DAP 교육실제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 각 국의 DAP 신념척도 및 DAP 교육실제 척도의 요인 구조 특성은 어떠한가? 3. 각 국의 유아교사 DAP 신념척도 및 DAP 교육실제 척도의 요인 구성 경향은 어떠한가? 4. 유아교육 실제에서 DAP 수용에 대한 각 국의 상대적 경향 즉, 공통점과 차이점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한국(955명), 미국(815명), 중국(296명), 대만(459명), 터키(258명)의 유아교사 중 2783명을 포함하였으며, 사용된 척도는 Charlesworth 등(1991)이 개발한 TBS와 IAS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자료분석 방법은 Pearson 상관계수, ANOVA, 그리고 요인분석 방법 등이 채택되었다. 얻어진 주요결과는 미국의 유아교사가 5개국 중 가장 낮은 DAP 신념을 보여 주었으나, DAP 유아교육 실제에서는 5개국 중 가장 참여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 가장 높은 DAP 신념을 보여 주었으나 5개국 중에서 DAP유아교육 실제 적용에서는 두 번째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중국은 DAP 유아교육 실제가 가장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외에 각 국의 유아교사 DAP 신념 및 DAP 유아교육 실제 경향자료, 각 국의 DAP 신념척도 및 DAP 교육실제 척도의 요인구조 경향에 대한 자료 제시와 이에 대한 논의가 구체적으로 제시되었다. The relative strength of adoption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DAP) as a belief system and the self-reported frequency of engagement in practices related to these beliefs were compared in professionals who work with three - to six-year-olds in the Korea, U.S., China, Taiwan, and Turkey. Participants completed Charlesworth et al.s(1991) Teachers Beliefs Scale(TBS) and Instructional Activities Scale OAS). Questions addressed for each country include: How do self-reported beliefs compare to practices? What are the factor structures of the TBS and IAS? Overall beliefs and practices and TBS/IAS factor structures were then compared across the five countries, and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are reported. U.S. professionals had the weakest overall DAP beliefs among the countries, yet reported engaging in related practices more frequently than those in any of the other five nations; Korea scored as holding the strongest beliefs, but the second lowest practices scores, with China holding the lowest.

      • KCI등재

        온라인 클래식 음악극을 활용한 유아 감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근혜 ( Kim¸ Geunhy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2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클래식 음악극을 활용한 유아 감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감성지능과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감성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총 50명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각각 25명이었다.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온라인 클래식 음악극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10회 실시하였고, 비교집단 유아에게는 누리과정에 기반한 예술경험 활동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온라인 클래식 음악극을 활용한 유아감성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감성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온라인 클래식 음악극을 활용한 유아 감성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자기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유아의 감성지능과 자기표현력을 향상시키는 활동으로써 온라인 클래식 음악극을 활용한 유아 감성교육 프로그램의 가치를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emotional education program of children by examining the effects of emotional education programs using online classical music drama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xpress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50 children aged 5 years old, and 25 of each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For the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 a program using an online classical music drama was conducted 10 times, and to the children in the comparison group, arts experience activities based on the Nuri course were conducted. For the collected data,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o-analysis(ANCOVA) were performed using SPSS 19.0.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emotional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using online classical music drama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Second, the emotional education program using online classical music drama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ren’s self-expression abilit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confirmed the value of the emotional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using online classical music drama as an activity to improv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xpression.

      • KCI등재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선택 결정요인 모형 분석

        고현 ( Hyun Go ),정명자 ( Myung Ja Ju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어머니들이 자녀의 유아교육기관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중 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을 경험적으로 분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인 고찰을 통해 유아교육기관 선택 결정요인으로 교육과정, 운영관리, 지원체계, 기관의 인적 및 물리적 환경 요인을 선정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형의 적합도 지수를 평가한 결과, 선행연구를 통해 성립된 유아교육기관 선택 결정요인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양호하게 나타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모형은 수용할만한 수준의 모형이라고 판단내릴 수 있다. 즉, 교육과정, 운영관리, 지원체계, 인적 환경, 물리적 환경 요인이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의 중요한 결정요인임을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기관은 유아교육기관 평가정책 수립 및 유아교육기관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analysis the main factors empirically that affect parents` choice of Kindergarten or Child-care Center. Curriculum,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Support System, Personal and Physical Environment of Institution were selected to be determinants through literature review. Subjects were 238 parents whose child attended in Kindergarten or Child-care Center in Gwangju City and Jeonnam Provinc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study. First, mothers considered high value on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factor like provision of meals and sanitary conditions. In addition they made a great point of teacher`s qualities and principal`s competence and experiences. Therefore it was necessary for a principal to establish a systematic and continuous appraisal system of his or her own by way of in-service training programme and refresh course for her or his teachers. Second,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of those determinants to choose Kindergarten or Child-care Center which were selected by preceding researches, its adequacy index approved positively. Curriculum,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Personal and Physical Environment, and Support System were verified as the most powerful determinant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According to this study,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was to plan its appraisal policy and a marketing public relations.

      • KCI등재

        한국 유아교육의 현황과 과제

        이명조 ( Myung Joe Le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7 No.1

        우리의 유아교육은 최근 양적으로 질적으로 현저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1982년 유아교육진흥법과 1991년 영유아보육법의 제정 이후 유치원 및 보육시설이 확충되기 시작했고, 2004년 유아교육법 제정 및 영유아보육법의 전면 개정은 공교육화 및 공보육화 시대를 열게 하여 유아교육의 기회균등의 실현 가능성과 유아교육의 질적 발전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우리의 유아교육은 세계 최저의 심각한 저출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2005년 범국가적 추진체계를 구축한 정부의 정책적 뒷받침에 의해 그 지속적인 발전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 공교육에 입각한 유아교육은 확고한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있고, 출산율은 그 회복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에 본고는 2000년을 전후한 시점에서 지금까지 기간을 중심으로 해서 우리의 유아교육현황을 살펴본 후 글로벌 시대에 대비하여 우리 유아교육이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그 과제를 유아교육의 수요자와 공급자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해 보았다.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system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kindergarten for 3-5 year olds and the day care center for 0-8 year olds,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Ministry of Hear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respectively. During the last 30 years, the kindergarten and the day care center have developed rapidly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Since the legislation of `ECE(Early Childhood Education) Supporting Act` in 1982 and `ECEC(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ct` in 1991, the number of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have seen significant increase. The legislation of `ECE Act` & overall revision of `ECEC Act` in 2004 have brought about the era of the `public` ECE & ECEC,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the equality & equity of chance for education, and the opportunity of qualitative development in ECE & ECEC. The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have continued to develop, supported by Korean government since 2005, which faced the lowest birth rate in the world. However, the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of Korea have not taken root, and the national curricula have only been partly applied in the fields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t`s an appropriate time to reflect upon some of the necessary current status and task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conclusion, high-quality global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Korea depends on the high-quality teacher with energetic zest, the high-quality parents revitalizing the weakened family education, and child-centered national policy.

      • KCI등재

        Oxfam 세계시민교육과정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김정숙 ( Kim Jeong Sook ),이경화 ( Lee Kyeong Hwa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4 No.1

        이 연구는 국제구호단체인 Oxfam(2015a, 2015b)이 제안한 세계시민교육과정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유아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유아세계시민교육의 목표와 원리, 내용과 교수법에 대한 56개 문항으로 설문을 구성하여, 6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493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구성요소들이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유아세계시민교육의 목표로는 `자신의 행동에 책임지는 자세 갖기`, 교육원리로서 `유아의 일상에서 세계시민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를, 교육내용으로는 `배려와 나눔의 중요성 알기`, `타인의 말을 경청하기`, `자신과 타인을 존중하기`를, 그리고 교수법으로 `유아가 직접 실천할 수 있도록 격려하기` 등의 문항을 보다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세계시민교육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과의 연계를 고려한 유아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천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re-service teacher awareness of the goals, principles, contents, and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proposed by Oxfam.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n the translated versions of global citizenship guides published by Oxfam (2015a, 2015b) and was conducted to 493 pre-service teachers studying at the 6 universities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pondents intended to perceive the 56 items as the fundamentals positively for earl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ome items were relatively stressed-e.g., `taking responsibility for their actions` as a goal, `enriching everyday teaching and learning` as a principle, `importance of caring and sharing` as a knowledge, `listening to others` as a skill, `sense of self-worth and worth of others` as a attitude, and `providing the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take informed, reflective action` as a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The researchers suggested the further discussion for constructing the fundamentals of earl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future researches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program in the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유보통합을 위한 유아교육진흥법 재조명: 역사사회학적 접근으로

        나은경 ( Eun Kyung Na ),오경희 ( Kyung Hee Oh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6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1980년대 ‘유아교육진흥법’을 중심으로 유아교육과 보육의 이원화체제 형성의 역사적배경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 유보통합을 위한 올바른 방향 정립의 가능성을 찾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유아교육역사상 처음으로 정부가 유아교육을 국정지표로 선택하고 정책추진의 근거법으로서 제정한 유아교육진흥법에 대한 정치적·역사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유아교육진흥법이 유치원과 보육시설에 미친 영향을 재조명하고 유아교육진흥법이 개념적으로는 유보일원화, 제도적으로는 유보이원화의 양면성이 있음을 밝혔다. 결과적으로 유아교육진흥법은 유아교육의 이원화를 고착화시키는 단초를 제공하였으나 역설적으로 유보통합의 결정적 기회였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육진흥법에 관한 재조명을 통해 현재 진행 중인 유보통합의 올바른 방향을 유아교육의 공교육화에서 찾고자 하였다. This paper aimed to explore the right way of integ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doing so,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n the evolution of the dual syste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particular, we focused on the role of ‘the Act for promo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nacted in 1980s. We analyzed the polit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Act for promo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provides the first legal basis for the policies regar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le reviewing the influence of the act o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wefound the dual aspects of the act. The act, in fact, systematically deterred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lthough it conceptually combine the education and care for early childhood. Moreover, we found that although the act eventually became a crucial cause of du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ironically could have promoted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f it had designed appropriately. Lastly, we suggested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n appropriateway to achieve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 KCI등재

        장애 유아 통합교육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

        황정희 ( Jeong Hee Hwang ),오정희 ( Jung Hee Oh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장애 유아 통합교육`` 교과목을 수강하면서 그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A대학교 3학년 1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11년 9월부터 12월까지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수집된 문서자료와 면담자료를 질적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장애 유아 통합교육`` 교과목 수강을 통해 장애 유아, 통합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게 되었고 통합교사에 대한 이미지를 형상화 해가면서 통합교사로서 요구되는 자질을 갖추려는 노력을 구체적으로 보여주었다. 이 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의 장애 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점진적으로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미래 통합교육의 실행자로서 예비유아교사들이 통합교사로서의 자신감을 갖도록 도움을 주는 한편, 통합교육 관련 교과목 운영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 of pre-childhood educators` cognition and attitude about inclusive education in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13 seniors at A university. For this study, various documents such as reflective journals, announcement opinion sheets, discussion sheets were collected,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in 2011.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Pre-childhood educators experienced the change of cognition and attitude about inclusive education in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program. First, they changed cognition about disable people, inclusive education, and inclusive teacher positively. Second, they formed new image of inclusive teacher like teacher support emotionally, teacher deal with students equally, and teacher treat inclusive education socially. Third, they prepared qualities as inclusive teacher actively through reflective thinking, preraring knowledge and art, gathering source of information, and working as volunteer. This results will help pre-childhood educators take confidence as inclusive teacher and give useful information to operate the subject regarding inclusive education for supporting quality as inclusive teacher virtually.

      • KCI등재

        유아다문화 교육: 인식의 전환을 통한 포괄적 접근 가능성 탐색

        오경희 ( Kyoung Hee Oh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유아다문화교육 분야에서 유아 자체에 대한 관심과 문화 생산자로서 유아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킴으로써, 그 동안 ``아주 작은 차이``로만 여겨져 왔던 유아와 성인의 ``생각의 차이``를 인정하는 것으로부터 진정한 유아다문화교육이 실천되어야 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현재 유아교육분야에서 이루어지는 다문화적 접근이 가지는 인식의 한계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유아 및 유아기에 대한 성인들의 인식의 전환으로부터 유아다문화교육이 실천되어야 함을 유아기 또래문화가 가지는 교육적 함의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논의는 유아다문화교육이 보다 포괄적인 범위와 의미를 담아내는 것으로, 유아기 아동에 대한 진정한 이해를 돕고자 하는 데 있다. 또한 교육자들로 하여금 모든 유아들이 질높은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지며, 이들을 위해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하도록 이끌고자 했다. 이러한 고민들이 결과적으로 교실의 문화를 변화시켜나갈 촉진제가 될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This paper argued that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put its emphasis on the acknowledgement that there is huge difference between children and adult which once regarded as ``small difference``. To do so this paper tries to see infant as subjective being and as producer of the culture. First of all, the paper reviewed recognizing limitation of multicultural perspectives which was used in the childhood education. Next, the paper consider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early childhood peer culture, thereby insisting that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practiced from the transition of adult`s understanding about the child and childhood This kind of discussion, encompassing a broader boundary and meaning of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attempted to understand the infants in the early childhood in real sense. In addition, the paper tried to induce educators of infants into new concerns that all infants should be given the rights to an high-quality education and thus they should have new thoughts and minds on what to teach and how to teach them. This new thoughts and minds are expected to be facilitators in changing their classroom culture.

      • KCI등재

        미술관 및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활용 실태 - 서울,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

        한미란 ( Han Mi Ran ),김유정 ( Kim Yoo Ju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들이 미술관 및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유아교육 현장에서 얼마나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31명을 임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학력, 전공,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미술관 이용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현장학습 및 체험활동에서 다른 문화시설에 비해 미술관 이용에 대한 선호도가 낮았다. 셋째, 유아교사가 개인적으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한 경험은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로서의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활용과 관련이 있었다. 넷째, 교사로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한 경우 대체로 만족도가 높았으며, 이용 경험이 없는 교사들도 필요성에 대해서는 상당 부분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유아교사로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과 관련된 인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유아 대상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연구가 부족한 국내의 상황에서, 유아교육에서의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경험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유아 대상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해 보완해야 할 부분들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bout art museum and art museum education and their practical usag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231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of art museu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differed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status and the type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 Seco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ended to visit art museum as field trips less than other cultural facilities. Third, the personal experiences of teachers linked to the practical use of the art museum education as a teacher. Forth, thos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the experiences of the art museum education with young children in their classes generally satisfied the program. Even the teachers who had not used the art museum education, they also felt the need of the art museum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is research provided fundamental information about the use of art museum program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s suggested some points to encourage the art museum education for the young children.

      • KCI등재후보

        홀리스틱 교육과 유아교육과정

        이영석 미래유아교육학회 200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9 No.2

        본 연구는 유아교육학적 관점에서 Holistic 교육과 Holistic 교육과정이 갖고있는 교육적 시사점과 실용성을 논의하고, 특히 최근에 유아교육 분야의 다양한 새로운 유아교육 과정적 동향과 방향이 Holistic 정신과 무관하지 않다는데서 그 의의를 찾아보려고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Holistic 교육과정의 의미, 최근 유아교육과정의 동향, 그리고 Holistic 유아교육과정의 실제 등을 중심으로 홀리스틱 교육과 유아교육과정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홀리스틱 교육은 하나의 교육과정 모델의 성격보다 훨씬 더 추상적, 상징적, 정신적 의미가 강한 새로운 페러다임이며, 이러한 홀리스틱의 정신에 따라 Miller가 제시한 17개의 수업절차 모델들은 유아교육 현장에 그 적용이 가능한 것들이다. 유아교육 현장에서 이들 수업 모델들을 바르게 숙지하고 실천한다면, 유아교육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plore the relevance of the holistic education to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to further identify some impli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ses from the holism and holistic education. There were recently the various curriculum model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t is, DAP curriculum, emergent curriculum, projective approach, and multicultural or antibias curriculum, etc. Those mode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closely related to the emergence of holism and holistic education thought. The specific contents explored in this study were the meanings of holistic curriculum, the recent trends toward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e 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holistic education, and exploration about teaching-learning process models based upon holistic education. Miller(1976) introduced seventeen teaching models of humanistic education or affective education in his book "Humanising the Classroom". Researcher presented the detailed instructional elements about each of ten teaching models abstracted from seventeen models, which were possibly applied in our early childhood settings. We expect it can be the crucial alternation for these teaching models become the high quality of early childhood practi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