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집 자연광 유입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정혜림,이지윤,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1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economic activity of women increased with rapid industrialization, dual-income families surged. Therefore, the number of cases where the responsibility of childcare was given to daycare centers has increased due to the nuclearized family. As such, the problem of childcare emerged. According to this demand, the number of daycare centers is increasing rapidly despite the physical environment not being properly prepared. Increasing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daycare centers, but the importance of creating a natural light environment is often overlooked. The introduction of natural light into the infant care environment is considered a condition that influences the physical and emotional well-being of each recipient, and thus must be considered in the daycare center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review the effects of natural light on infant development and to suggest a direction of design for the spatial inflow of natural light into children's homes through a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analysis. (Method) This study analyzes how natural lighting in indoor childcare areas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infants, including their ability to exercise, as well as their cognition, emotion, and spatial awareness. Types of natural lighting applied in daycare center interior spaces were classified. First, the visibility by visual element; second, the direction by the method of light inflow; third, the material by the quality of light; and fourth, the brightness by the amount of light. Based on this criteria, three daycare centers in Korea and Japan were selected a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for applied natural lighting design elements to each space. (Results) As a result, both Korea and Japan were found to be good at mining for visual distinctions, but Japan used various sizes, locations, and window heights in their orientation. However, the results show a lack of spatial depth displays through brightness in both Korea and Japan, reflecting poor awareness of the various effects of natural light. (Conclusions) The inflow of natural light into the space of daycare centers is an important factor that positively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natural light is a design factor that must be considered as a basic requirement in daycare center space design. As little importance is placed on natural lighting in the construction of Korean daycare centers,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cognize natural lighting as a significant design element in infant spaces. This study has a limit in its selection of a detached building in daycare center for study; therefore, future research on natural lighting in various types of daycare center spaces is needed. (연구배경 및 목적) 핵가족화와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로 맞벌이 가정이 급증함에 따라 가정에서 육아를 전담했던 예전과는 달리 아동 보육을 어린이집에 맡기는 경우가 증가하게 되면서 0세반이 증가하는 등 보육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인간의 발달에 있어 가장 결정적 시기인 0~6세인 영유아 시기의 물리적 보육환경은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수요에 따라 물리적 환경은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채 어린이집의 수만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점차 어린이집 시설 개선을 위해 많은 노력이 진행되어 왔으나 자연채광을 통한 빛 환경 조성의 중요성에 대해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영유아 보육 환경에 있어 자연광 유입은 인체의 신경을 자극하여 재실자의 신체와 정서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조건이라 사료되며 이에 본 연구는 자연광이 영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고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어린이집의 공간별 자연광 유입의 공간디자인에 대한 방향 제시를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실내 보육 공간으로의 자연채광의 특성이 어떻게 영유아 운동능력·인지·정서·공간인지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한다. 어린이집 실내공간에서 자연채광이 적용된 유형을 분류하였다. 첫째, 지각적 요소에 따른 시각성, 둘째, 빛의 유입 방법에 따른 방향성, 셋째, 빛의 질을 통한 물질성, 그리고 넷째, 빛의 양에 의한 명도성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국내 및 일본의 어린이집 각 3곳을 선정하여 공간별 자연채광 디자인 요소 적용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그 결과 국내와 일본 모두 시각적 특징를 위한 채광에는 우수했으며 방향성에 있어서도 측창, 천창을 다양하게 사용하였지만 일본의 경우 다양한 크기와 위치, 용도로 채광창을 활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반면 국내 및 일본 모두 명도성을 통한 공간의 심도표현이 부족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자연광의 다양한 효과에 대한 인식이 다소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보육 공간으로의 자연광 유입은 영유아의 운동능력·인지·정서·공간인지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므로 어린이집 공간디자인의 기본적인 요건으로 자연광 유입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디자인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어린이집 공간 건립에 있어 자연채광에 대한 중요도가 높지 않은 실정으로 본 연구를 통해 유아 공간에서 자연채광이 중요한 디자인 요소로 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단독형 어린이집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나 앞으로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유형의 어린이집 공간에서 자연채광에 대한 공간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Iodine and thyroid function

        정혜림 대한소아내분비학회 2014 Annals of Pediatirc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19 No.1

        Severe iodine deficiency causes hypothyroidism that results in impaired somatic growth and motor development in children. Mild and moderate iodine deficiencies cause multifocal autonomous growth of thyroid, which results in thyrotoxicosis. On the other hand, iodine excess i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hypothyroidism and thyroid autoimmunity. In areas of iodine deficiency, a sudden increase in iodine intake is associated with transient hyperthyroidism. Recent studies demonstrated that long-term thyroid function of subjects who experienced both iodine deficiency and iodine excess during childhood tended to be abnormal despite optimization of their current iodine intake. Iodine status in the Korean Peninsula is very unique because people in the Republic of Korea have been shown to have predominantly excessive iodine levels, whereas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s known to be an iodine-deficient area. Further research is warranted to verify the optimal ranges of iodine intake and to clarify the effects of iodine intake on thyroid disorders in the Korean Peninsula.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국내 감각통합치료 중재에 관한 체계적 고찰 : Ayres의 감각통합중재(ASI)를 중심으로

        정혜림,최연우,김경미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3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1 No.2

        목적 :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감각통합중재에 관한 연구가 Ayres 감각통합치료의 원리를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 가를 체계적 고찰을 통하여 알아보고자한다. 연구방법 :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국가과학기술전자도서관(NDSL), 한국학술정보(KISS), 디비피아(DBpia) 를 사용하여 2000년부터 2012년까지의 국내학회지를 검색하였다. 검색어는 ‘감각통합치료’, ‘감각통합중재’, ‘감각통합프로그램’, ‘감각통합 훈련’으로 하였으며, 최종 49개의 논문을 포함하였다. Ayres의 감각통합 충실도 분석은 중재방법에서 Ayres의 감각통합 원리를 설명한 경우로 하였으며, 각 대상논문에서 사용한 ASI의 원리의 수를 분석하였다. 결과 : 근거의 질적 수준은 수준Ⅳ가 26개로 가장 많았고, 연구 대상 진단군은 지적장애(15개), 발달장애(발달지연, 14개), 자폐스펙트럼장애(13개) 순으로 많았다. Ayres의 감각통합 충실도는 항목 중 감각기회 제공(43개), 자세․ 안구운동․구강․양측 운동협응에 대한 도전과제 제안(37개)이 가장 많이 언급되었다. 중재에서 5개 이상의 Ayres의 감각통합 원리를 사용한 논문은 26.5%(13개)였고, 8개 이상의 원리를 사용한 논문은 7개(14.2%)로 작업치료 분야의 연구이었다. 결론 : 본 연구에 포함된 49개 연구 중 34개가 작업치료분야에서 이루어졌고 작업치료분야에서 Ayres의 감각통합중재 원리를 빈번히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감각통합치료에서 치료원리의 통일성과 치료분야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Ayres의 감각통합 원리를 사용하는 것은 중요하며, 앞으로 많은 연구를 포함하여 감각통합중재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many studies for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in Korea reflect the principle of Ayers' sensory integration through a systemic review. Methods : The systemic review was executes using RISS, NDSL, KISS, DBpia. The key words for search were ‘sensory integration therapy’,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sensory integration program’, ‘sensory integration training’ to search the articles, published in 2000-2012. To analyze ASI fidelity of 49 studies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the numbers of items were calculated if the study describe the ASI principle. Results : The Ⅳ was the most levels of evidence, and the subjects for the studies were mental intellectual disability (15), developmental disability (14)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13) etc. It was described the most that presenting sensory opportunities (43), challenging postural, ocular, oral and/or bilateral motor control (37) of ASI fidelity. The studies using more than 4 ASI principle were 26.5%(13), and 7 studies using 8 or more than 8 were studied in OT. Conclusion : In OT, 34 of 49 studies performed, and they used several principles of ASI. To have unity for sensory integration principle and to improve therapy professionalism the study using various data and systematic review study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 KCI등재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utomated Privacy Protection System over TPM and File Virtualization

        정혜림,안성규,김문성,박기웅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17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13 No.2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TPS (TPM-enhanced Privacy Protection System) which is an automated privacy protection system enhanced with a TPM (Trusted Platform Module). The TPS detects documents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by periodic scanning the disk of clients at regular intervals and encrypts them. Hence, system manages the encrypted documents in the server. In particular, the security of TPS was greatly enhanced by limiting the access of documents including the personal information with regard to the client in an abnormal state through the TPM-based platform verification mechanism of the client system. In addition, we proposed and implemented a VTF (Virtual Trusted File) interface to provide users with the almost identical user interface as general document access even though documents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are encrypted and stored on the remote server. Consequently, the TPS automates the complianc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s without additional users’ interventions.

      • KCI등재

        우수 육상 허들선수들이 지각하는 지도자의 코칭 역량에 대한 이해

        정혜림,김현우 한국체육교육학회 2020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5 No.2

        Purpose: we investigated the coaching ability of leaders who are perceived by excellent athletes in track and field hurdles. method: This study selected four outstanding athletes and one excellent leader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ugust 2018 to March 2019 for a total of 8 months in the literatu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oaching ability of leaders who are perceived by excellent athletics in track and field hurdles First, chaching factors perceived by superior hurdlers os guidance authority(involvement, acceptance, compromise), Second, responsibility(intimacy, recognition, consciousness), third, leader nature(respect, consideration, prominence), Fourth, teaching method(observation, motivation, interest, change), fifth, deal with situation(coolness, injury management, expression). Conclusion: The leadership area of the leader is extensive. One of them was able to comfirm that the leader had to prepare for a situation thath was difficult to predict. Through many cases, it is believed that the wider understanding of the teaching field will increase the applicability of the teaching field and lead to improvement of the teaching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육상허들 종목의 지도자들이 생각하는 코칭역량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허들 우수선수 4명과 우수지도자 1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8월부터 2019년 3월가지 문헌조사 및 심층면접으로 총 8개월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육상 허들종목에서 우수선수들이 인지하는 코칭역량과 관련하여 첫째, 지도권한(관여, 요구수용, 타협), 둘째, 책임감(친밀함, 인정, 소신), 셋째, 지도자성품(존중, 배려, 대범함), 넷째, 지도방식(관찰, 동기부여, 흥미유발, 변화), 다섯째, 상황대처능력(냉철함, 부상관리, 표출절제) 등으로 분류되었다. 한편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제기된 몇 가지 문제점들과 연구결과 및 논의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육상 허들 우수 선수들이 지각하는 코칭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도요인들이 어떻게 형성이 되고, 현장에서 어떻게 발현되는지에 대한 측면에서의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지도현장에서는 지도자들의 다양한 지도력과 자신들만의 지도방법 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보다 많은 사례들을 통하여 지도현장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나감으로써지도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지도현장의 개선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신경증, 집중적인 부모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 관계에서 어머니 문닫기의 매개효과: 전업모와 취업모 비교

        정혜림 한국여성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7 No.2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gate-closing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among neuroticism, intensive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ing stress and its difference between full-time mothers and working mothers. A sample of 169 full-time mothers and 134 working mothers who had at least one preschool children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 survey measured neuroticism, intensive parenting attitudes, maternal gate-closing and parenting stress. Mplus was used to analyz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result revealed that higher neuroticism and more intensive parenting attitudes were related to more maternal gate-closing and increased parenting stress. Also, more maternal gate-closing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parenting stress. The result of comparisons of full-time mothers and working mothe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Additionally, although full-time mothers adopted more intensive parenting attitudes, they did not show more gate-closing behaviors and more parenting stress. The mediation effect of maternal gate-closing was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and parenting stres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esent research implied that parenting stress could be reduced through collaborative co-parenting by alleviating negative emotion and helping to think flexibly on their rigid parental role.

      • KCI등재

        성인 정신장애의 청각자극에 따른 생리학적 반응 측정에 대한 체계적 고찰

        정혜림,김경미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1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9 No.1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method to measure physiologic response using equipments and auditory stimulation, and the physiologic response features of adult psychiatric disorders through a systemic review. Methods : The systemic review was executed using PubMed. The key words for search were "auditory stimulation, auditory startle, electromyograph, skin conductance, heart rate, psychiatric disorder, anxiety disorder, schizophrenia, depression". 8 stud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nd all of levels of evidence were level Ⅱ. The substances of the review were subject(population), auditory stimulation, measure equipments and physiologic response features of psychiatric disorder. Results : 1. The subjects for the studies were anxiety disorder(4) and schizophrenia(4). 2. Auditory stimulation was used in 8 studies and visual stimulation with auditory stimulation was used in 2 studies to induce physiologic response. 3. Every study used electromyograph, and skin conductance was used in 2 studies and heart rate was used in 2 studies with electromyograph to measure physiologic response. 4. The subjects for the studies, schizophrenia and anxiety disorder(PTSD, OCD) have different physiologic response features with the normal control group. Conclusion : All studies used simple tones as an auditory stimulation and electromyograph to measure physiologic response. Psychiatric disorders indicated larger response, shorter and delayed habituation. The objective and systematic study using physiologic measure to investigate the sensory feature of psychologic disorders. 목적 : 성인 정신장애를 대상으로 청각자극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을 측정한 연구에서 사용된 청각자극의 종류와 측 정도구를 알아보고 대상군의 자율신경계 반응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방법으로는 체계적 고찰을 사용하였다. 사용한 데이터베이스는 PubMed이었다. 검색어는 "auditory stimulation, auditory startle, electromyogram, skin conductance, heart rate, psychiatric disorder, anxiety disorder, schizophrenia, depression" 이었다.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논문은 8개이었으며, 근거의 질적 수준은 모두 수준Ⅱ이었다. 분석 내용은 대상군의 특성, 청각자극의 종류, 측정도구, 정신 장애의 청각자극에 대한 생리학 적 반응특성이었다. 결과 : 1. 연구 대상군은 불안장애와 정신분열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각각 4개이었다. 2. 생리학적 반응 유발을 위해 청각자극만 제공한 연구가 6개, 청각자극과 함께 시각자극을 포함한 연구가 2 개이었다. 3. 분석대상 연구 모두에서 근전도(electromyograph)를 사용하였으며, 근전도와 함께 피부전기전도(skin conductance)를 측정한 연구가 2개, 심박수(heart rate)를 측정한 연구가 2개이었다. 4. 정신분열장애와 불안장애(외상후 스트레스장애, 강박장애)는 일반인과 다른 생리학적 반응을 보였다. 결론 : 생리학적 반응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에서 사용한 자극은 청각자극으로 단순음을 제시하였고, 근전도는 안륜 근에 전극을 붙여 생리학적 반응을 측정하였다. 정신장애군은 청각자극에 대해 큰 반응, 짧은 잠재기, 지연된 습관 화 등의 특징을 보였다. 앞으로 정신장애군의 감각 특성에 대하여 생리학적 측정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