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초등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체육의 가치 탐색

        이동호(Dong Ho Lee),이대형(Dae Hyung Lee) 한국체육교육학회 201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6 No.2

        이 연구는 예비 초등 교사들이 인식하는 체육의 가치는 무엇이고,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체육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파악하고, 미래 초등체육교육의 주체자인 예비 교사들에게 학교체육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할 수 있는 직전 교사교육 프로그램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0년 연구자가 체육수업을 맡게 된 H 대학교 및 J 교육대학교 2학년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초등 예비교사들의 체육에 대한 가치를 귀납적 범주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 예비교사의 체육에 대한 인식은 『신체를 통한 가치』, 『신체를 위한 가치』, 『수단적 가치』, 『교육적 가치』의 4가지 대영역으로 범주화를 하였다. 둘째, 『신체를 통한 가치』는 사회성, 친교성, 인성, 정신교육, 스포츠맨쉽 등의 중영역을 형성하였고, 이 중 사회성이 가장 많은 비율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를 위한 가치』는 건강, 신체발달, 성장발달, 몸에 대한 이해, 등의 중영역을 형성하였고, 이 중 건강이 가장 많은 비율로 나타났다. 넷째, 『수단적 가치』는 인지교과를 위해서, 스트레스 해소, 활력소, 노는 시간, 레크리에이션의 중영역을 형성하였고, 이 중 ``인지교과를 위해서``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적 가치』는 전인교육, 교양교육, 생활체육, 평생체육, 내재적 가치 등의 중영역을 형성하였고, 이 중 ``전인교육``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essential information for developing a teacher education program which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value of physical education for preparatory teachers in primary school. In this regard, the study focuses on what this value was and examines innovation for physical education with deep innate meaning. To this end, the researcher in charg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H National University and J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ollects questionnaires(open questions) on value of physical education from preparatory teachers of the second year in primary school. First, their value was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value through physical, value for physical, value of means, and educational value. Second, the category of value through physical was related to ``sociality``, ``fellowship``, ``humanity``, ``spiritual education``, and ``sportsmanship``. ``Sociality`` had the highest proportion among them. Third, the category of value for physical was connected with ``health``, ``physical development``, ``growth development``, ``understanding of body``. ``Health`` was the highest. Forth, the category of value of means was linked to ``cognition class``, ``deducing stress``, ``energizer``, ``breaking time``, and ``recreation``. ``Cognition class was the highest. Fifth, the educational value was tied to ``whole-person education``, ``general education``, ``sports for all``, ``life-time physical education``, and ``innate value``. ``Whole-person education`` was the highest.

      • KCI등재

        체육 중등교원 임용시험의 교과교육학 문항 분석 : 2014학년도 이후를 중심으로

        이대중 한국체육교육학회 2020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5 No.2

        Purpose: In this study, the question items on sport pedagogy were investigated in the second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Method: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the tendency and level of questions on the subject for 7 years from 2014 to 2020 based on the 'Physical Education Evaluation Area and Evaluation Contents Elements' propos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6) and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Results: The number of questions and scores of the sport pedagogy in the examination were 26-38% of the total major scores, which was followed by the 25-35% of the sport pedagogy examination rate and the 65-75% of the physical education contentology examination rate presen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except for the 2015 issue. In terms of questions, the subjects were not given in the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for 7 years, and 24 questions 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42 questions in the physical education teaching and evaluation, and 7 questions in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were given. This showed bias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physical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In the cognitive process of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for the level of questions, the majority were 'remember(38.2%)', 'understand(47.3%)' and in the knowledge level, the factual knowledge(12.3%) and the conceptual knowledge (85.5%) accounted for 97.8% of the types of knowledge level.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area and content elements of the Secondaty School Physical Euducation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should be discussed', 'the questions of asking for a short knowledge or concept should be avoided' and 'The questions of confusing the examinees should be avoided'. 이 연구는 2014학년도부터 2020학년도까지의 체육과 중등학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의 교과교육학문항을 대상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6)이 제시한 ‘체육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와 Bloom의‘신 교육목표분류’를 근거로 출제 경향과 문항 수준을 분석하였다. 임용시험에서 출제된 교과교육학과 문항수와 점수를 살펴보면, 교과교육학은 총 전공 점수의 26-38% 비율로 출제되었으며, 2015년 문제를 제외하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시한 ‘교과교육학 출제 비율 25-35%, 교과내용학 출제 비율 65-75%’를 준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제 문항의 영역별로는 7년간 체육교과교육과 체육교육 교재 영역에서는 출제되지 않았고, 체육교육과정 영역 24문항, 체육 교수학습 및 평가 영역 42문항, 체육교사 영역 7문항이 출제되어 체육교육과정 영역과체육 교수학습 및 평가 영역의 편중 현상을 보였다. 출제문항의 수준을 위한 교육목표분석의 인지과정 차원에선 기억하다(38.2%), 이해하다(47.3%)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지식차원에서도 사실적지식(12.3%), 개념적지식(85.5%)이 지식차원의 유형 중 97.8%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임용시험 목적에 타당한 교과교육학 문제가 출제될 수 있도록‘임용시험의 평가 영역 및 내용 요소의 비중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와‘단편적인 지식이나 개념을 묻는 문제는 지양해야 한다’, ‘수험생에게 혼란을 주는 문제는 지양해야 한다’라는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등체육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김진필(Jin Pil Kim),박종률(Jong Lyul Park),박대원(Dae Won Park) 한국체육교육학회 201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7 No.1

        이 연구는 중학교 체육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계획 및 실천에 대한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여 그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체육교사들에게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주고, 즐겁고 유익한 체육수업을 실현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교육 현장에 적합하고 의미 있는 학습을 지원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이 연구는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을 적용한 중학교 체육교사 4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그들의 내러티브를 통해 체육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을 이해하고, 그 경험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체육교육과정 재구성 계획 경험은 ‘체육교사의 교육철학’, ‘학교의 시설 및 용구’, ‘체육교사들 간 협의’, ‘학생 및 학급’, ‘운동 종목 및 기능’, ‘수업 환경’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체육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경험은 ‘목표는 내가 추구하는 체육수업’, ‘내용은 다양한 스포츠 경험을 통한 신체 활동 가치의 의미 전달’, ‘방법은 대안을 찾기 위한 방법 적용’, ‘평가는 또 하나의 유익한 수업 과정’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체육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한 의미는 ‘체육수업의 길라잡이로 작용하는 교육과정’, ‘해석과 선택의 번뇌를 통한 교육과정실행의 이해 증대’, ‘현장에 적합한 교육과정 재구성 발견’으로 해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ts significance by deeply understanding experience of a plan and practice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f middle school. Through this, the aim was to support learning that is proper and significant for the educational field by being conducive to establishing direction of operating curriculum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offering basic data for pleasant and useful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understood the experience of physical-education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the significance immanent in its experience through the narrative on 4 research participants a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guided by applying the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for 2007. Research finding, the following are the experiences of planning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reconstructio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ducational philosophy``, ``The facilities and tools of school``, ``Discussion amo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tudents and classes``, ``Sports item and skill``, ``Instruction environment`` was indicated. And the following are the experiences of practicing the physical-education curriculum reconstruction. ``Aim at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of being pursued by me``, ``The contents of delivering significance in value of physical activity through diverse sports experiences``, ``As a method of applying a method for seeking an alternative plan``, ``Evaluation is another useful instruction process`` was analyzed. Also, The following are the significances of experiencing the physical-education curriculum reconstruction. ``Curriculum of functioning as a guide of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A rise in understanding of implementing curriculum through being worried about analysis and selection``, ``Discovery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proper for the field`` was construed.

      • KCI등재

        기간제 체육교과전담 출신 초등교사의 직무만족에 따른 체육수업 실태 분석

        양갑렬(Gab Rul Yang),박동곤(Dong Gon Park) 한국체육교육학회 200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6 No.2

        본 연구는 기간제 체육교과전담 출신 초등교사의 직무만족에 따른 체육수업 실태를 분석하여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수업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발전적이고 합리적인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체육교육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무만족에 따른 기간제 체육교과전담 출신 초등교사의 초등체육 교육과정 이해 실태 분석, 체육수업 계획 실태 분석, 단위시간 체육수업 과정 실태 분석, 체육수업 평가실태 분석의 4가지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연구참여자는 기간제 체육교과전담 출신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직무만족도를 조사하여 절대평균치가 높은 교사 2명과 낮은 교사 2명 등, 4명을 선정하였으며, 그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서술적 조사 등을 실시하고, 관련 문헌을 참고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례기록 분석, 귀납적 범주분석, 다각도검증 등의 절차를 거쳐 교육과정 이해, 수업계획, 수업과정, 수업평가 등으로 실태를 분석하였다.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교육과정 이해연구참여자들은 초등체육의 가치와 목적에 대하여는 4명 모두 신체활동을 통한 심신의 조화로운 발달과 바른 인성의 함양, 건강한 생활의 영위, 체육 지식의 습득이라고 밝혀 교육과정에 제시된 체육교육의 목표에 대하여 상당히 구체적으로 알고 있었다. 또한, 교육과정의 내용이나 교수방법에 대한 이해는 직무만족도가 높은 교사는 노력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으나, 직무만족도가 낮은 교사는 노력하고 있지 않다는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그 이유로는 학급담임을 맡아 10개 교과 모두를 지도해야 하는 부담감과 잡무의 과다 등으로 인한 교재연구 시간의 부족을 들며 교과전담제의 확대 시행과 잡무의 감축 등을 올 그 해결 방안으로 제시하였다.교육과정 운영에 대하여는 연구참여자 모두 교육과정에 배정된 주당 3시간의 시수를 제대로 이수하지 못한다고 답하였으며, 연간계획대로 교육과정을 운영하지 않고 있다고 하였다. 그 이유로 다른 교과지도나 학교 행사로의 대체, 시설 및 용구의 부족 등을 들었으며, 학교 실정을 고려하지 못한 연간계획자체의 문제점을 지적하기도 하였다.초등교육 교육과정의 이해 실태는 직무만족에 따라 큰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나, 직무만족도가 높은 교사가 교육과정의 내용 및 교수방법의 이해에 있어 보다 노력하고 있다고 답함에 비하여 직무만족도가 낮은 교사는 체육과의 교육과정에 대하여 큰 관심을 갖고 있지 않고 있었으며 다른 교과지도 때문에 시간적 여유가 없어 소홀히 하고 있다고 답하였음을 볼 때, 직무만족도가 높은 교사가 좀 더 적극적인 자세로 교육과정을 이해하려고 노력함을 알 수 있었으며, 교육과정을 잘 이해하고 가르치기 위해서는 전담교사제의 확대와 과다한 잡무의 감축 등, 정책적인 조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2) 체육수업계획연구참여자들은 수업계획 단계에서의 학습 환경분석은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시설 및 용구의 확보에도 큰 신경을 쓰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 분석은 학급담임교사가 더 적극적으로 실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급 아동수가 적은 교사가 가장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었으며, 전담교사의 경우 아동수가 너무 많음을 이유로 개개인에대한 분석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라고 하였다. 목표설정 및 지도내용의 선정은 직무만족도가 높은 교사가 보다 더 목표설정 및 지도내용의 선정에 성실히 임하고 있었다. 이들은 교사용지도서나 교과서, 월간교육지 등의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수업목표 및 지도내용을 재구성하였다. 직무만족도가 낮은 교사는 아예 수업목표를 세우지 않고 일정한 성취수준 없이 수업을 진행한다고 하였다. 지도내용의 선정에도 소극적이어서 교과서의 내용만을 고집하는 경향이 높았으며, 재구성에는 별 관심을 두지 않는 모습이었다. 또, 교재의 활용은 연구참여자 모두 교사용지도서를 주로 참고하고 있었으나, 연간계획 및 주간계획을 작성하는 도구로 이용하고 있음을 볼 때, 체육수업의 목표달성도를 높이기 위한 지도교사의 보다 충실한 체육수업 계획이 요구된다.3) 체육수업과정연구참여자들은 흥미 및 동기유발에 대하여 연구 참여자들은 직무만족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상이한 차이를 나타냈다. 직무만족도가 높은 교사는 동기 및 흥미유발에 보다 더 적극적이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아동의 흥미를 유발한다고 하였는데, 직무만족이 낮은 교사는 그 중요성은 알고 있으나, 별다른 노력없이 수업을 전개한다고 하였다. 준비 및 정리운동은 직무 만족도에 따른 차이 없이,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운동장 달리기나 국민체조 등을 형식적으로 실시하였으며 체력이나 보강운동은 실시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instruction styles of temporary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s in relation to the job satisfaction. Specifically, this study attempted to shed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job satisfaction and styles of instruction and to present progressive and rational measures in an effort to provide basic data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 development.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wo teachers with high job satisfaction and two teachers with low job satisfac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turned out to be fairly high regardless of job satisfaction in regard to the values and purposes of elementary schools` physical education. However, they turned out to have a very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as job satisfaction was lower. Second, few analyses were made of the environment of study in the area of PE plans. An analysis of students showed that there were more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students than job satisfaction: the smaller the number of the students, the more positively the analysis was.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planning and the selection of instruction contents. Third, teachers with high job satisfaction turned out to be more positive in the utilization of the PE curriculum. Teachers with low job satisfaction proved to ignore or neglect it. They turned out to leave out the closing activity as was true to warm-up activity. They just let students run around the ground or do national calisthenics. In terms of teaching methods, teachers with high job satisfaction provide positive feedback, while their counterparts provide more negative feedback. Teachers provided appropriate demonstrations to students when they were good at sports skill performance while they asked students demonstrate skills when they were porr at sports skill performance. They rarely asked questions, but rely heavily on the explanations. They gave students three seconds for answering their questions. All the subjects were focused on preventing accidents and doing "good." Also they asked students to observe the activities of their peers who were supposed to answer teachers` questions.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교육자가 체육교육에서 경험한 교수내용과 가치

        고문수(Ko, Moon-Soo),임명재(Lim, myoung-jae) 한국체육교육학회 2017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교육자가 체육수업에서 경험한 교수내용과 가치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자는 연구참여자인 동시에 연구자로서의 성격을 동시에 지닌다. 본 연구는 연구참여자의 수업일지를 토대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radley(1979)가 제안한 영역 분석과 분류 분석을 토대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을 가르치는 삶의 경험에 관한 이야기에서는 교수 경험의 내용과 교수 경험의 가치로 범주화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수 경험의 내용은 수업의 흐름에 대한 고민과 흔적, 수업의 내용에 대한 고민과 흔적, 수업내용 운영에 대한 고민과 흔적으로 범주화하였다. 교수 경험의 가치는 건강한 신체 만들기, 인지적 활용능력키우기, 신체활동의 과정에서 인성 함양하기가 도출되었다. 둘째, 경험의 관계 맺기는 교수자 측면의 관심과 학습자 측면의 관심으로 범주화되었다. 논의 및 제언에서는 체육교육의 성과와 체육교육의 지원 방안을 탐색하였고, 체육을 가르치는 삶에서 못 다한 이야기를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교육자가 체육을 가르치는 삶이 다른 예비교사교육자에게 전이되어 체육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고, 의미 있는 체육교육을 지향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ent and value of teaching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 educator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is researcher is both a participant and a researcher at the same time. Methods: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the class diaries of the participants,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area analysis and classification analysis proposed by Spradley(1979). Results: First, in the story about the experience of life in physical education, we categorized it into the value of teaching experience and the value of teaching experience. Specifically, the contents of the teaching experience were categorized by the anxieties and traces about the flow of class, the anxieties and traces about the contents of class, The value of teaching experience was derived from building a healthy body, cultivating cognitive abilities, and cultivating personality in the process of physical activity. Second, the relationship of experience was classified into the interests of the instructor and the interests of the learners. In the discussion and proposal, the results of physical education and the support plan of physical education were searched.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ife of physical education of pre-service teacher educator will be transferred to other pre-service teacher educators and will help to explore the direc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to promote meaningful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초등 예비 여교사의 체육수업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색

        강효영 한국체육교육학회 202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6 No.6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auses of difficulties in conduct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by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narrative inquiry on femal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Method: Three students attending G University of Educatio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either had been in athlete clubs throughout their school years or have been interested in physical education.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on physical education classes from their elementary school to college were analyzed through narrative inquiry analysis procedures. The reliability of the data was secured through peer debriefing, triangulation, and members check. Results: First, the participants’ stories about their physical education experiences at elementary,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derived. Second, through the re-examination of the stories, the study revealed the themes that characterize each educational levels. The themes from elementary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irresponsibility’ and ‘null curriculum’ while those from secondary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difficulties in performing well’ and ‘on-looking by teachers focusing mainly on admissions’. Those from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pressure on performing better’. It turned out that these altogether eventually lead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avoid conducting physical education. Conclusion: The implications fro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departure of physical education, elementary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with a greater sense of responsibility and duty. Second, teachers at secondary schools need to seek various ways to engage female students into class. Last but not least,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train pre-service teachers need to provide classes with diverse instructional methods rather than offering classes that focus solely on better performance or assessmen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 여교사의 체육수업 경험을 바탕으로 초등 여교사들의 체육수업 어려움에대한 궁극적 원인을 탐색하고, 이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이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한 연구방법은 내러티브 탐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G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중 학창시절 운동부 활동 경험이 있거나, 체육에 관심이 있는 학생 3인을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초등학교 시절부터 대학에 이르기까지 체육수업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내러티브 탐구의 분석 절차를 거쳐 분석하였다. 자료의 진실성은 동료 간 협의(Peer Debriefing), 삼각 검증법(Triangulation), 구성원간 검토(Members Check)를 통해 확보하였다. 결과: 첫째,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하기를 통해 세 학생의 초등 교육기관, 중등 교육기관, 고등 교육기관의체육수업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도출하였다. 둘째, 다시 이야기하기를 통해 초등교육 기관은 무책임 및 영교육과정(null curriculum), 중등 교육기관은 어려움(기능위주) 및 방관(입시위주), 고등 교육기관은 부담감(기능향상) 및 두려움으로 재 조명 되었고, 이 모든 과정이 부정적 순환 구조로 연계되고 있어 결국 초등 여교사들이 체육수업을 기피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체육교육의 시작인 초등교육 현장에서 체육수업을 기피 하지 않기 위해서는 초등교육은 책임감과 의무감을 가지고 수업을 진행해야 하며, 중등교육은 여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특히 예비 초등교사를 양성하는 고등교육은 기능향상 및 평가를 위한 수업은 지양하고, 교수법을 다양하게 지도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예비 체육지도자의 대학 동아리 체육 교육기부 사례연구

        김현우(Kim, Hyun Woo),김주영(Kim, Ju Young)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6 No.3

        목적: 본 연구는 예비 체육지도자의 대학 동아리 체육 교육기부 활동에 대한 사례를 살펴보기 위해 G광역시에서 실시한 체육·예술 교육기부 거점대학 사업에서 예비 체육지도자의 대학 동아리 체육교육 기부 활동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예비 체육지도자의 대학 동아리 체육 교육기부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자료수집은 2020년도 9월부터 12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 수집 방법은 심층면담, 수업관찰, 수업 촬영 영상, 전문가 협의, 학생 평가 자료 등을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예비 체육지도자의 대학 동아리 체육 교육기부 활동과정은 시작이 어려운 봉사 활동과 체육지도자의 역할 탐색, 그리고 체육지도자로의 성장으로 의미를 도출하였다. 둘째, 예비 체육지도자의 대학 동아리 체육 교육기부 활동의 정서적 경험은 교육현장의 실제와 간극으로 인해 분노나 좌절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는 등 예상치 못한 반응과 어려움을 겪었어나, 교육신념을 부분적으로 수정하면서 현장에 적용가능한 이론과 실제의 차이를 좁히고 실효성 있는 교육을 이끌어 나갈수 있는 지혜와 안목을 형성함으로써 적응을 통한 공감을 이루었다. 결론: 교육기부 활성화 방안으로 대학과 유관기관의 명확하고 구체적인 제도적 체계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liminary sports coach who participated in physical education donation program for college sports clubs in G-city as part of the pivotal project funded by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We tried to find a way to activate sports coaching donation program for college sports clubs in an effective way by conducting this stud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class observation, class video-recording footage, expert consultation, and student evaluation for three months from September 2020 to December 2020. Results: First, the process of sports coaching donation program by preliminary PE teachers was meaningful in terms of volunteer activities which are difficult to begin, exploration of the role of sports coaches, and growth into sports coaches. Second, the preliminary PE teachers suffered unexpected reactions and difficulties by experiencing negative emotions such as anger or frustration due to the gap between the actual and the educational field. However, by partially modifying the educational beliefs, it narrowed the gap between the theory and practice applicable to the field and formed the wisdom and perspective that can lead to realistic education, thereby achieving sympathy through adaptation. Conclusion: It suggested the need for a clear and specific institutional system of universities and related institutions as a way to activate educational don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